KR20140049419A -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9419A
KR20140049419A KR1020120115660A KR20120115660A KR20140049419A KR 20140049419 A KR20140049419 A KR 20140049419A KR 1020120115660 A KR1020120115660 A KR 1020120115660A KR 20120115660 A KR20120115660 A KR 20120115660A KR 20140049419 A KR20140049419 A KR 20140049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injection
unit
fuel
ignition device
i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일교육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일교육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일교육시스템
Priority to KR1020120115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9419A/ko
Publication of KR20140049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4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8/00Programme-control of eng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00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 F02D2001/0095Mounting of control means with respect to injection apparatus or the eng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자동차 엔진의 작동을 외부에 보여주는 자동차 엔진 시뮬레이터가 개시된다. 자동차 엔진 시뮬레이터는, 자동차 엔진의 연료분사부를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 후, 분사되는 연료를 회수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연료분사부 하우징으로 감싼, 연료 분사 확인부; 상기 자동차 엔진의 점화장치의 점화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한 점화장치 확인부; 상기 자동차 엔진을 자동차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속도보다 저속으로 구동하는 저속 구동부; 상기 자동차 엔진의 크랭크축에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저속용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 상기 자동차 엔진의 캠축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캠축 회전위치 감지센서; 및 상기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와 상기 캠축 회전위치 감지센서의 센서값을 기준으로 상기 연료분사부 및 상기 점화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연료분사 및 점화장치의 점화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Engine Simulator}
본 발명은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엔진의 작동을 외부에 보여주는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수만가지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어, 그 동작관계가 매우 복잡하며, 생산 및 정비에 수많은 전문인력이 필요한 제품이다. 따라서, 자동차의 동작관계를 외부에 보여주거나,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용으로 자동차의 주요부품에 대한 많은 시뮬레이터가 개발되었다.
엔진은 실린더에 연료가 분사되고 점화장치의 작동으로 폭발이 일어나, 자동차를 구동하는 가장 핵심이 되는 부품이다. 그러나, 연료의 분사 및 폭발은 밀폐된 실린더의 내부에서 발생되므로, 실제 동작관계를 외부로 보여주기가 매우 까다롭다. 따라서, 종래에는 단순히 크랭크축 및 캠축을 강제로 구동하여, 실린더 및 밸브의 동작을 보여주는 데 그쳤으며, 크랭크축 및 캠축의 회전에 따른 생생한 연료의 분사 및 점화장치의 작동관계를 보여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인젝터의 연료 분사 및 점화플러그의 점화 작동을 생생히 보여 줄 수 있는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자동차 엔진의 연료분사부를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 후, 분사되는 연료를 회수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연료분사부 하우징으로 감싼, 연료 분사 확인부; 상기 자동차 엔진의 점화장치의 점화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한 점화장치 확인부; 상기 자동차 엔진을 자동차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속도보다 저속으로 구동하는 저속 구동부; 상기 자동차 엔진의 크랭크축에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저속용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 상기 자동차 엔진의 캠축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캠축 회전위치 감지센서; 및 상기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와 상기 캠축 회전위치 감지센서의 센서값을 기준으로 상기 연료분사부 및 상기 점화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연료분사 확인부는, 상기 연료분사부 하우징에서 회수된 상기 연료를 수거하는 연료탱크; 및 상기 연료탱크에 모아진 연료를 상기 연료분사부로 송출하는 연료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점화장치 확인부는, 상기 점화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점화장치의 작동시 점화되는 표시등;을 포함한다.
상기 저속 구동부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크랭크축 및 상기 캠축을 구동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점화장치 확인부는, 상기 자동차 엔진의 실린더 블록의 상면에 위치하며 점화장치가 설치된 실린더 헤더 블록의 상기 실린더 블록과 접하는 면 일부가 전면을 향하도록, 상기 실린더 헤더 블록을 상기 실린더 블록에 고정하는 점화장치 거치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점화장치 거치대는, 상기 실린더 블록과 고정되는 실린더 블록 고정면; 및 상기 실린더 블록 고정면에 경사지도록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 헤더 블록을 고정하는 헤더 블록 고정면;을 포함한다.
상기 연료분사확인부는, 상기 연료분사부가 설치된 상기 실린더 헤더 블록을 절개하여 분리한 후, 상기 연료분사부가 외부로 드러나는 위치에 고정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는, 연료분사 및 점화장치의 점화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고속으로 구동되는 엔진을 사용하여, 저속으로 구동함에도 연료분사 및 점화장치의 점화상태를 이에 맞춰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저속으로 구동할 때 주어진 작동구간에서 연료분사 및 점화가 수없이 반복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했다.
그리고, 간단한 구성으로 급가속모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의 간략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제어부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저속 회전위치영역과 고속 회전위치영역을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5는 발화신호 발생부의 동작을 단계별로 도시한 메인루틴에 대한 순서도
도 6은 고속 회전위치영역 값의 변화가 있을 때, 작동하는 서브루틴에 대한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의 간략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제어부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에의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는, 자동차 엔진(1)의 연료분사부(110)를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 후, 분사되는 연료를 회수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연료분사부 하우징(120)으로 감싼, 연료 분사 확인부(100)와, 상기 자동차 엔진에서 점화장치(210)의 점화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한 점화장치 확인부(200)와, 상기 자동차 엔진을 자동차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속도보다 저속으로 구동하는 저속 구동부(300)와, 크랭크축(410)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차 엔진의 크랭크축(41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저속용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420)와, 캠축(51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캠축 회전위치 감지센서(520)와, 상기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420)와 상기 캠축 회전위치 감지센서(520)의 센서값을 기준으로 상기 연료분사부(110) 및 상기 점화장치(21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통상의 자동차 엔진(1)은 실린더가 형성된 실린더 블록(11)과, 실린더 블록(11)의 상면에 위치하며, 점화장치(210), 연료분사부(110) 및 흡배기밸브(미도시)를 구동하는 캠축(21)이 설치된 실린더 헤더 블록(12, 1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점화장치(210) 및 연료분사부(110)의 작동관계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것이나, 통상 엔진의 연료분사부(110) 및 점화장치(210)는 엔진 내부에 깊숙히 위치하여, 연료분사부(110)를 외부에 드러나도록 하기 위해서 별도의 구조가 필요하다.
먼저, 실린더 헤더 블록(12, 13)을 실린더 블록(11)으로 부터 분리한 후, 점화장치(210)가 부착된 실린더 헤더 블록(12)과, 연료분사부(110)가 설치된 실린더 헤더블록(13)으로 분할한다.
상기 연료분사부(110)가 설치된 상기 실린더 헤더 블록(13)을 상기 연료분사부(110)가 외부로 드러나는 위치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점화장치(210)가 부착된 실린더 헤더 블록(12)과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료분사부(110)의 작동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으면, 어떠한 위치도 무방하다. 다만, 점화장치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연료분사부(110)의 작동관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 다음, 투명한 재질의 아크릴 등으로 연료분사부에서 분사되는 연료를 수거할 수 있도록 연료분사부 하우징(120)을 형성한다.
또한, 연료분사 확인부(100)는, 상기 연료분사부 하우징(120)에서 회수된 상기 연료를 수거하는 연료탱크(130)와, 상기 연료탱크(130)에 모아진 연료를 상기 연료분사부(110)로 송출하는 연료펌프(미도시)를 포함한다. 연료펌프는 저속구동부(300)와 별도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나, 장비의 간소화를 위해 저속구동부(300)의 구동장치와 동일한 구동장치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점화장치 확인부(200)는, 상기 자동차 엔진의 실린더 블록(11)의 상면에 위치하며 점화장치가 설치된 실린더 헤더 블록(12)의 상기 실린더 블록과 접하는 면 일부가 전면을 향하도록, 상기 실린더 헤더 블록(12)을 상기 실린더 블록(11)에 고정하는 점화장치 거치대(30)를 포함한다.
상기 점화장치 거치대(30)는, 상기 실린더 블록과 고정되는 실린더 블록 고정면(31)과, 상기 실린더 블록 고정면(31)에 경사지도록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 헤더 블록을 고정하는 헤더 블록 고정면(32)과, 실린더 블록 고정면(31)과 헤더 블록 고정면(32)을 전면에서 연결하는 전면 연결부(33) 및 후면에서 연결하는 후면 연결부(34)를 포함한다. 전면 연결부(33)의 길이가 후면 연결부(34)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점화장치가 보다 전방에서 잘 보이도록 배치된다.
점화장치 확인부(200)는, 상기 점화장치(210)와 연결되어, 상기 점화장치의 작동시 점화되는 표시등(220)을 포함한다. 표시등(220)은 엘이디, 고전압 벌브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표시등(220)은 스파크 플러그에 공급되는 전원 혹은 점화코일에 공급되는 전원에 직접 연결함으로써,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저속 구동부(300)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310)와, 상기 모터(310)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크랭크축(410) 및 상기 캠축(510)을 구동하는 동력 전달부(320)를 포함한다. 동력전달부(320)는 풀리, 체인 혹은 기어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캠축 회전위치 감지센서(520)는 캠축의 회전위치를 감지(즉, 1회전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캠축(510)이 1회전하는 경우 1개의 신호(이하, 'CMP신호'라 부름)를 발생시킨다.
도 3는 도 1의 제어부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저속 회전위치영역과 고속 회전위치영역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크랭크축(410)의 회전위치를 복수 개의 고속 회전위치영역으로 분할한 후, 상기 저속용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420)의 측정값으로부터 해당되는 상기 고속 회전위치영역(421a)의 값으로 변환하는 센서값 변환부(610)와, 상기 센서값 변환부(610)의 출력값 및 상기 캠축 회전위치 감지센서(520)의 출력값으로 부터 상기 연료분사부의 연료분사 및 상기 점화장치의 점화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발화신호를 발생하는 발화신호 발생부(620)와, 상기 발화신호 발생부(620)로부터 발생한 발화신호에 따라 상기 연료분사부 및 상기 점화장치를 작동한는 발화제어부(63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엔진의 크랭크축(410) 및 캠축(510)은 매우 고속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통상의 엔진의 작동 속도로 구동하는 경우, 고속회전으로 인하여 쉽게 작동관계를 파악하기 힘들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저속구동부로 자동차의 엔진을 매우 저속으로 구동하여, 동작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저속으로 엔진이 구동되는 경우, 통상의 자동차에 부착된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로부터 발생되는 출력전압이 낮아 제어에 쉽게 이용할 수 없다. 회전위치 감지센서로 자기장을 이용하는 센서를 사용하는 데, 고속에 맞춰져 위치를 감지하도록 되어 있어 저속에서는 자기장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감지 자체가 어렵다.
그 결과, 훨씬 민감한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저속용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420)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저속용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420)는 고속으로 구동되는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에 비해서 매우 민감하게 센싱할 수 있다. 저속용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420)도 자기장을 이용하는 센서를 사용하였다.
저속용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420)는 크랭크축의 회전위치를 복수개의 저속회전 위치 영역(421b)으로 분할하였으며, 저속회전위치 영역(421b)에 변화가 있을 때, 위치 변화 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저속회전위치 영역(421b)는 360개 정도로 분할되었다.
이에 반해, 고속회전위치영역(421a)는 58개 정도로 분할되어있다. 저속회전위치 영역(421b)과 고속회전위치영역(421a)의 관계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센서값 변환부(610)는 이러한 저속회전 위치영역(421b)의 값을 해당하는 고속회전위치영역(421a)의 값으로 변환한다.
상기와 같이,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는 그 작동을 용이하게 관찰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종래에 관찰하기 힘든 연료분사 및 점화장치의 작동을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동차의 엔진을 저속으로 구동하고, 이들 신호를 자동차 엔진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의 작동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저속으로 구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저속회전 위치영역(421b)이 하나의 고속회전위치영역(421a)에 속하게 된다. 따라서, 저속회전 위치영역(421b)의 변동시마다, 발화신호 발생여부를 판단하게 되면, 하나의 고속회전위치영역(421a)에서 복수개의 발화신호를 발생하게 되어, 연료분사 및 점화장치가 여러 번 오작동하게 된다. 즉, 하나의 고속회전위치영역(421a)에서는 급속모드가 아닌 이상, 한번만 연료분사 및 점화장치가 작동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한 번의 발화신호의 지속 중에 상기 연료분사부 및 상기 점화장치가 중복하여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어부(600)에 구현하였다.
즉, 상기 센서값 변환부(610)는, 상기 고속 회전위치영역(421a)에 변동이 있는 경우, 상기 크랭크축(410)의 회전위치 변동 신호('CKP 신호'라 부름)를 발생하며, 상기 발화신호 발생부(620)는, 상기 크랭크축 회전위치 변동 신호 발생시 상기 발화신호 발생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저속용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420)는, 상기 저속회전위치 영역(421b)의 변화가 있을 때,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센서값 변환부(610)는, 상기 저속회전위치 값(421b)에 대응하는 상기 고속 회전위치영역 값(421a)으로 변환한다.
상기 발화신호 발생부(620)는, 상기 고속 회전위치영역 값(421a)의 변화가 있을 때, 상기 연료분사부 및 상기 점화장치를 작동하는 발화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별도로, 상기 발화제어부(630)는, 급가속 모드 상태에서는 1회의 발화신호에 상기 연료분사부 및 상기 점화장치를 2회 이상 작동하도록 하여, 간단히 급가속 모드를 구현하도록 한다.
도 5는 발화신호 발생부의 동작을 단계별로 도시한 메인루틴에 대한 순서도, 도 6은 고속 회전위치영역 값의 변화가 있을 때, 작동하는 서브루틴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발화신호 발생부의 동작을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캠축 회전 감지센서(420)로부터 CMP신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CMP신호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S110)와, CMP 신호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S110)에서 신호가 발생한 경우 카운트 값(n)을 '0'으로 초기화하는 단계(S120)와, 급가속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와, 급가속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에서 급가속 모드인 경우 발화제어부(630)를 호출하여 연료분사부 및 점화장치를 2회 이상 작동하는 급가속 제어단계(S140)와, 급가속 제어단계(S140) 완료 후 혹은 급가속 모드가 아닌 경우, 1 행정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행정완료 판단단계(S150)를 포함한다.
카운트 값(n)은 후술하는 서브루틴이 호출되는 수 만큼 증가하는 것으로서, 고속 회전위치영역(421a)의 값 변화 수이다. 즉, 카운트 값(n)은 크랭크축의 회전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크랭크축의 1회전은 58개의 고속 회전위치영역(421a)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선정하였다.
행정완료 판단단계(S150)에서 4 실린더를 기준으로 크랭크축이 2회전을 하는 경우 행정이 완료되므로, 카운트 값(n)이 116(58*2)이 되는 경우 행정이 완료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행정완료 판단단계(S150)에서 행정이 완료되면, 다시 최초의 CMP신호 발생 판단하는 단계(S110)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메인루틴 실행 중, 상기 센서값 변환부(610)에서 고속 회전위치영역 값의 변화가 있으면(즉, CKP 신호가 발생하면), 도 5의 서브루틴이 호출된다.
서브루틴은 카운트 값(n)을 1씩 증가하는 카운트 증가단계(S210)와, 카운트 증가단계(S210) 실행 후, 카운트 값(n)이 연료분사 및 점화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발화시기 판단단계(S220)와, 발화시기 판단단계(S220)의 출력값이 '예'인경우 발화제어부(630)에 발화신호를 발생하는 발화신호 발생단계(S230)을 포함한다.
발화시기 판단단계(S220)에서의 발화시기는 엔진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엔진 시뮬레이터는, 연료분사 및 점화장치의 점화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속으로 구동되는 엔진을 사용하여, 저속으로 구동함에도 연료분사 및 점화장치의 점화상태를 이에 맞춰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저속으로 구동하여 연료분사 및 점화가 1회신호에 수없이 반복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했다.
그리고, 간단한 구성으로 급가속모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10: 연료분사부 120: 연료분사부 하우징
100: 연료 분사 확인부 210: 점화장치
200: 점화장치 확인부 300: 저속 구동부
30: 점화장치 거치대 31: 실린더 블록 고정면
32: 헤더 블록 고정면 410: 크랭크축
420: 저속용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
510: 캠축 520: 캠축 회전위치 감지센서
600: 제어부 421a: 고속 회전위치영역
610: 센서값 변환부 620: 발화신호 발생부
630: 발화제어부 421b: 저속회전위치 영역
130: 연료탱크 310: 모터
320: 동력 전달부

Claims (7)

  1. 자동차 엔진의 연료분사부를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 후, 분사되는 연료를 회수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연료분사부 하우징으로 감싼, 연료 분사 확인부;
    상기 자동차 엔진의 점화장치의 점화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한 점화장치 확인부;
    상기 자동차 엔진을 자동차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속도보다 저속으로 구동하는 저속 구동부;
    상기 자동차 엔진의 크랭크축에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저속용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
    상기 자동차 엔진의 캠축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캠축 회전위치 감지센서; 및
    상기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와 상기 캠축 회전위치 감지센서의 센서값을 기준으로 상기 연료분사부 및 상기 점화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분사 확인부는,
    상기 연료분사부 하우징에서 회수된 상기 연료를 수거하는 연료탱크; 및
    상기 연료탱크에 모아진 연료를 상기 연료분사부로 송출하는 연료펌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장치 확인부는, 상기 점화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점화장치의 작동시 점화되는 표시등;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 구동부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크랭크축 및 상기 캠축을 구동하는 동력 전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장치 확인부는,
    상기 자동차 엔진의 실린더 블록의 상면에 위치하며 점화장치가 설치된 실린더 헤더 블록의 상기 실린더 블록과 접하는 면 일부가 전면을 향하도록, 상기 실린더 헤더 블록을 상기 실린더 블록에 고정하는 점화장치 거치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장치 거치대는,
    상기 실린더 블록과 고정되는 실린더 블록 고정면; 및
    상기 실린더 블록 고정면에 경사지도록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 헤더 블록을 고정하는 헤더 블록 고정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분사확인부는,
    상기 연료분사부가 설치된 상기 실린더 헤더 블록을 절개하여 분리한 후, 상기 연료분사부가 외부로 드러나는 위치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
KR1020120115660A 2012-10-17 2012-10-17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 KR20140049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660A KR20140049419A (ko) 2012-10-17 2012-10-17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660A KR20140049419A (ko) 2012-10-17 2012-10-17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68024A Division KR20140145573A (ko) 2014-11-28 2014-11-28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419A true KR20140049419A (ko) 2014-04-25

Family

ID=50655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660A KR20140049419A (ko) 2012-10-17 2012-10-17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94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1277A (zh) * 2018-08-23 2018-11-16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多功能发动机教学台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1277A (zh) * 2018-08-23 2018-11-16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多功能发动机教学台架
CN108831277B (zh) * 2018-08-23 2024-05-14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多功能发动机教学台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53890B (zh) 用以评估内燃发动机的起动系统的方法和设备
JP5265724B2 (ja) エンジンの故障診断方法、故障診断システム及び故障診断機
KR101427106B1 (ko)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
US10590903B2 (en) Spark plug condition monitoring
CN108072525B (zh) 一种起动机耐久性试验验证方法
KR20080010423A (ko) 내연 기관의 실화 검출 장치
WO2012127976A1 (ja) エンジンの故障診断方法及び故障診断装置
JP6001503B2 (ja) 内燃機関の失火検出装置
CN1641199A (zh) 用于设置在发动机上的检测装置的故障诊断装置
US10551275B2 (en) Cam angle sensor fault diagnosis apparatus for straddled vehicle, engine system, and straddled vehicle
JP4908694B2 (ja) 燃焼診断及びノック制御のためのシステムを有するオートバイ
KR20140049419A (ko)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
KR20140145573A (ko)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
US20190376486A1 (en) Spark plug electrode wear rate determination for a spark-ignited engine
JP5385482B2 (ja) 内燃機関の失火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CN104121095A (zh) 转速传感器的故障诊断方法
US20090165747A1 (en) Two-Stroke Engine
JP5277275B2 (ja) エンジンの故障診断方法及び故障診断装置
CN202370663U (zh) 气体发动机用信号盘
CN206772589U (zh) 一种汽车发动机故障检测仪
CN102042109B (zh) 四行程喷射式引擎的失速防制方法
KR101387421B1 (ko) 차량의 접지 레벨 신호를 이용한 차량상태 검사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1509446B1 (ko) 엔진 모터링 테스트 벤치 시스템
KR101207392B1 (ko) 엔진의 테스트 시스템
CN203098126U (zh) 一种发动机用信号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128

Effective date: 2015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