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6254A - 통신 장치, 통신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통신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6254A
KR20140036254A KR1020137034091A KR20137034091A KR20140036254A KR 20140036254 A KR20140036254 A KR 20140036254A KR 1020137034091 A KR1020137034091 A KR 1020137034091A KR 20137034091 A KR20137034091 A KR 20137034091A KR 20140036254 A KR20140036254 A KR 20140036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ion
communication
state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4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로 에시타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36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통상은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의한 접속 대기 전파의 발생을 조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해 둔다. 그리고,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도록 하고, 가속도 센서로부터의 가속도 검출 신호에 의해 인식되는 가속도 변동 정보로부터 하우징이 외부 통신 기기와 근접되었는지 여부를 추정한다. 그 추정 결과로부터 통신 기회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일정 시간 근거리 무선 통신부로부터 접속 대기 전파를 밀 상태에서 발생시킨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통신 제어 방법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 및 그 통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나 트랜스퍼 제트(Transfer Jet)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에서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 상대를 검출하기 위하여 검출용 전파를 발신할 필요가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의 일례로서의 트랜스퍼 제트에 대한 기재가 되어 있다. 당해 설명에 있어서는, 통신 상대 기기를 검출하기 위한 전파를 폴링 신호라고 칭하고, 통신을 행하는 한쪽 기기가 폴링 신호를 발신하고, 그 폴링 신호에 따라 다른쪽 기기로부터 응답 신호를 회신하는 동작이 기재되어 있다. 이 폴링은, 통신을 행하는 양쪽 기기간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개시할 때, 서로의 준비 상황을 판단하거나 처리의 동기를 취하기 위하여 행해진다. 또한, 폴링 신호는 소정의 폴링 주기로 간헐적으로 발신된다.
즉, 근거리 무선 통신에 있어서는, 통신 상대를 검출하기 위하여 전파 신호(본 명세서에서는 「대기 전파」라고 칭함)를 주기적으로 발신한다고 하는 일이 행해진다. 이것은, 당해 통신 기기를 통신 상대에 근접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통신 상대를 검출하고, 통신을 개시시키는 것을 의도한 것이며, 근거리 무선 통신 특유의 직감적인 조작감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9892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99918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54004호
그런데, 이 통신 상대의 검출 방식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로, 상기 검출 방식에 있어서는, 통신 상대와 근접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통신 상대를 검출하고, 통신을 개시시킴으로써 유저의 편리성을 높이고 있지만, 반대로 유저가 무선 통신을 실행할 의사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무선 통신 기기가 근방에 존재함으로써 통신 상대를 검출해 버리는 경우, 유저의 의도에 반하여 통신이 개시되어 버린다.
유저의 의도에 상관없이 통신이 개시되어 버림으로써, 의도하지 않게 데이터가 유출되거나 소비 전력의 증대로 이어진다.
둘째로, 상기 검출 방식에 있어서는, 유저가 무선 통신을 실행할 의사가 없는 경우에도, 대기 전파를 정상적으로 계속해서 발신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해 버린다.
또한, 주기적으로 전파 신호를 발신함에 따른 전력 소비를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예가 있다.
우선, 특허문헌 2에서는, 무선 통신 기기에 가속도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유저의 동작에 의한 가속도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통신 수단을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방식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속도 검출 수단(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에 의해 유저의 보행 등에 의한 가속도가 검출된 경우에 통신 처리를 동작시키고, 가속도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통신 처리를 정지한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의 경우, 유저의 동작에 의한 가속도 센서의 반응을 보아 통신 처리의 개시 및 정지를 행하고 있으므로, 유저가 통신을 개시할 의도가 없는 경우라도, 무선 통신 기기가 가속도를 검출한 경우에는 통신을 개시하고자 해 버린다. 예를 들어, 유저가 무선 통신 기기를 갖고 걷고 있는 경우라도 통신을 개시하고자 한다고 생각된다. 그 결과, 의도하지 않은 통신의 개시가 행해지거나, 불필요한 전력 소비가 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서는, 무선 통신 기기에 가속도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근접한 무선 통신 기기끼리에 대하여 더해진 소정의 진동 운동의 검지를 트리거로 하여, 통신 기기간에서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기능을 호출하도록 하는 방식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무선 통신 기기끼리를 근접시키고, 또한 그것들을 유저끼리 악수를 하는 것 같이 소정의 주기로 진동시킨다고 하는 2 스텝의 동작을 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각각의 통신 기기에 있어서 소정의 진동 동작을 검출하여 통신을 개시시킨다고 되어 있다. 이 기술에 있어서는, 유저가 통신을 개시하는 데 있어서 2종류의 조작을 요구하고 있으며, 후자의 조작은 명백하게 통신 기기에 특화한 특유의 조작이므로, 유저는 사전에 이것을 인식한 후에 있어서의 조작이 된다. 즉, 근접하는 것만으로 통신을 개시하는 것의 편리성이 손상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기에 있어서 유저의 편리성을 유지하면서, 불필요한 통신이 행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접속 대기에 걸리는 전력을 삭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외부 통신 기기와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하우징의 이동에 의한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와,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의 가속도 검출 신호에 의해 인식되는 가속도 변동 정보로부터, 하우징이 외부 통신 기기와 근접되었는지 여부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 결과를 이용한 통신 기회 판정을 행하여 통신 기회라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대기 전파를 밀 상태에서 발생시키도록 제어함과 함께, 상기 통신 기회라고 판정한 경우 이외에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의한 대기 전파의 발생을 조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기회라는 판정에 의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대기 전파를 밀 상태에서 발생시키도록 제어한 경우에 있어서, 외부 통신 기기와의 통신이 확립되지 않고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에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의한 대기 전파의 발생을 조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제어한다.
본 발명의 통신 제어 방법은, 외부 통신 기기와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하우징의 이동에 의한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를 구비한 통신 장치의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의 가속도 검출 신호에 의해 인식되는 가속도 변동 정보로부터, 하우징이 외부 통신 기기와 근접되었는지 여부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 결과를 이용한 통신 기회 판정을 행함과 함께, 통신 기회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로부터 대기 전파를 밀 상태에서 발생시키고, 상기 통신 기회라고 판정한 경우 이외에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의한 대기 전파의 발생을 조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통신 장치 하우징의 이동에 따라 가속도 센서에 의한 가속도 변동 정보로서, 하우징이 외부 통신 기기와 근접되었는지 여부를 추정하여 통신 기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유저가, 통신 장치 하우징을 통신 상대의 외부 통신 기기에 근접시키는 조작을 행하였을 때 관측되는 가속도 변동에 의해 근접 상태를 판정한다. 이에 의해 유저의 의사에 의해 통신 기회가 된 것을 비교적 높은 신뢰도로 추정하고, 그에 따라 대기 전파를 밀 상태로 함으로써 통신 개시의 준비가 가능하다.
한편, 통상시에는 대기 전파를 조 상태 또는 정지로 해 둠으로써, 쓸데없는 대기 전파의 발생을 삼가한다.
또한, 대기 전파를 밀 상태로 하는 것은 소정 시간만으로 해 둠으로써, 외부 통신 기기와의 근접 상태가 아니라고 하여도 조기에 밀 상태를 그치고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 유저가 당해 통신 기기에 의해 통신을 개시할 의사가 없는 경우에, 통신 접속해 버리는 사태를 억제하고, 또한 접속 대기에 걸리는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유저에게 특별한 조작 부담을 주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유저의 편리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외관의 설명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내부 구성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의 근접 조작의 설명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의 근접 조작시의 가속도 변동을 나타내는 파형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통신 제어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6은 폴링 주기와 소비 전력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에서 검출하는 가속도 방향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에서 검출하는 가속도 방향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에서 검출하는 가속도 방향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의 통신 제어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에서 검출하는 가속도 방향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의 통신 제어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제4 실시 형태의 통신 제어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통신 장치의 주요부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다음의 순서로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장치의 예로서 외부 통신 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이하, 「DSC」라고 함)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1. DSC(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구성>
<2. 제1 실시 형태의 통신 제어 처리>
<3. 제2 실시 형태의 통신 제어 처리>
<4. 제3 실시 형태의 통신 제어 처리>
<5. 제4 실시 형태의 통신 제어 처리>
<6. 변형예>
<1. DSC(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구성>
본 발명의 통신 장치의 실시 형태로서의 DSC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의 A는 실시 형태의 DSC(1)의 정면측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그 DSC(1)의 배면측(조작면측)의 외관을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DSC(1)는,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정면의 하부에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2)를 갖는다. 본 예에서는 DSC(1)가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2)를 구비하고 있지만,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2)를 포함하는 통신 모듈(후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컨트롤러(10)나 통신용 기억 영역 등을 포함하는 모듈)이 DSC(1)로부터 제거 가능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DSC(1)는,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에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한 표시부(3)를 갖는다.
또한, 각 부에 조작 입력부(4)로서의 조작자를 갖는다. 조작자로서는 재생 메뉴 기동 버튼(41), 결정 버튼(42), 십자 키(43), 캔슬 버튼(44), 줌 키(45), 슬라이드 키(46), 셔터 버튼(47) 등이 설치된다.
도 2는 DSC(1)의 내부 구성과, 다른 전자 기기(무선 통신 기기(50))와의 근거리 무선을 이용한 접속 모습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DSC(1)와 외부의 무선 통신 기기(5)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서로 접속ㆍ통신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의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어 블루투스나 트랜스퍼 제트를 들 수 있지만, 이들 이외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이용되어도 전혀 상관없다.
DSC(1)는, 도 1에 도시한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2), 표시부(3), 조작 입력부(4) 외에, 촬상부(5), 촬상 신호 처리부(6), CPU(Central Processing Unit)(7), 메인 메모리(8), 기억 영역(9), 근거리 무선 통신 컨트롤러(10), 플래시 메모리(11), 가속도 센서(20)를 갖는다. 또한, 각 부는 각각 시스템 버스(14)를 통하여 내부적으로 서로 제어 신호나 촬상 화상 데이터 등의 송수신이 행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2), 기억 영역(9), 근거리 무선 통신 컨트롤러(10)는, DSC(1)에 설치된 것이 아니라 착탈 가능한 모듈로서 통합되어도 된다.
촬상부(5)는, 피사체광을 수광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촬상 소자에 집광하기 위한 렌즈계, 렌즈를 이동시켜 포커스 맞춤이나 주밍을 행하기 위한 구동 기구, 조리개 기구 등을 갖고 있다.
촬상부(5) 내의 이들 구동 기구는, 전체의 제어부인 CPU(7)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촬상 소자는,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형,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형 등의 촬상 소자로 된다.
촬상 신호 처리부(6)는, 촬상부(5)의 촬상 소자에서 얻어진 전기 신호에 대하여 A/D 변환, ISO 게인 조정, 그 밖의 각종 신호 처리를 행하여 촬상 화상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촬상 신호 처리부(6)는, 촬상 화상 신호에 대하여 압축 처리 등을 행하여 정지 화상이나 동화상으로서의 화상 파일로 하거나, 표시부(3)에서 표시시키는 스루 화상으로서 표시부(3)에 전송하는 등의 처리를 행한다.
표시부(3)는, CPU(7)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예를 들어 피사체의 촬상 전의 화상(스루 화상)이나, 촬상한 정지 화상 파일 또는 동화상 파일 등의 콘텐츠나, 조작용 메뉴(GUI; Graphical User Interface) 등을 표시한다.
조작 입력부(4)는, 유저의 조작을 입력하는 입력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당해 입력된 조작에 따른 신호를 CPU(7) 등에 보낸다.
또한, 도 1에서는 조작 입력부(4)로서 각종 조작자를 나타내었지만, 조작 입력부(4)로서 표시부(3)와 일체가 된 터치 패널을 설치하여도 된다.
메인 메모리(8)는, 예를 들어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고, CPU(7)의 각종 데이터 처리시의 작업 영역으로서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예를 들어, 셔터 버튼(47)이 눌러진 타이밍에서 촬상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화상 데이터는, 일단 메인 메모리(8)에 판독되고, 그 후 기억 영역(9)에 기입된다.
플래시 메모리(11)(불휘발성 메모리)는, CPU(7)가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OS(Operating System)나 화상 파일 등의 콘텐츠 파일 외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통신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기억한다.
기록 영역(9)은, 예를 들어 불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하고, 화상 파일 등의 콘텐츠 파일, 그 화상 파일의 속성 정보 및 썸네일 화상 등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화상 파일은, 예를 들어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TIFF(Tagged Image File Format),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등의 형식으로 기억된다.
기록 영역 미디어(9)는, DSC(1)에 착탈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의 형태이어도 되고, DSC(1)에 내장되어 있는 형태로 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기록 영역 미디어(9)는 가반형 플래시 메모리나 HDD(Hard Disk Drive) 등으로서 실현된다.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2)는, 다른 전자 기기 등으로부터 발해진 무선 전파를 수신하여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대기 전파나 다른 전자 기기에의 데이터 송신을 위한 무선 전파 송신을 행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컨트롤러(10)는, CPU(7)와 협동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2)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접속 프로토콜에 기초하는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가속도 센서(20)는, DSC(1)의 물리적인 이동에 의한 하우징의 가속도량과 가속도의 방향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CPU(7)가 검출 신호의 값을 읽는 것이 가능하여, 다양한 용도에서 검출 신호의 값을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CPU(7)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11) 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이 DSC(1) 전체를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CPU(7)는 유저의 조작에 따른 촬상 동작이나 촬상한 화상 파일의 재생 동작, 또한 외부 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동작 등에 대하여, 필요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시스템 버스(14)는, CPU(7) 등의 각 블록을 서로 접속하고, 각각의 블록간에서의 신호의 수수를 가능하게 한다.
이 도 2에서는 DSC(1) 내에 음성 출력부(11)를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제3,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유저에 대한 음성에 의한 고지(전자음이나 메시지 음성 출력)를 행하도록 하는 경우에 설치되는 것이다. 음성 출력부(11)는, CPU(7)의 제어에 기초하여 메시지 음성이나 전자음을 출력한다.
또한, 유저에 대한 고지는, 표시부(3)에서의 메시지 표시로서도 실행할 수 있다. 제3,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에 의한 고지만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음성 출력부(11)는 설치되지 않아도 된다.
DSC(1)와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기기(5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51)와, 예를 들어 CPU, ROM, RAM, 표시부, 조작 입력부 등의 도시하지 않은 정보 처리가 가능한 구성 요소를 갖는다.
무선 통신 기기(5)가 수신한 신호는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51) 등을 통하여 변환되어, CPU에 의한 연산 처리 등이 행해진다. 이들에 의해 무선 통신 기기(50)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후술하는 대기 상태인 DSC(1)와 접속되어 통신을 확립할 수 있다. 통신이 확립된 상태에서는, DSC(1)는 DSC(1) 내에 포함되는 콘텐츠 파일 등을 무선 통신 기기(5)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 제1 실시 형태의 통신 제어 처리>
DSC(1)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 동작에 대하여 제1 실시 형태로서의 통신 제어 처리를 설명한다.
도 3에는 DSC(1)와 무선 통신 기기(50)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무선 통신 기기(50)는 DSC(1)를 상부에 두는 것이 가능한 기기로 하고, DSC(1)가 놓여진 상태에서 DSC(1)와 무선 통신 기기(50)의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실행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DSC(1)에 있어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2)의 하우징 내에서의 배치 위치를 안테나 위치(2P)로 하고, 또한 무선 통신 기기(50)에서의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51)의 배치 위치를 안테나 위치(51P)로서 도시하고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에 있어서는 기기끼리 근접할 필요가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테나끼리 근접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무선 통신 기기(50)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화상 편집 장치, 화상 보존 장치, 그 밖의 정보 처리 기기, 화상 처리 기기 등에 접속되고, DSC(1)로부터 송신되어 온 콘텐츠 파일 등을 그들 기기에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물론 무선 통신 기기(50)가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 등이며, 그 자체가 콘텐츠 파일 등의 전송처가 되는 것이어도 된다.
유저가 DSC(1)를 통신 상대의 무선 통신 기기(50)와 통신시키는 경우, DSC(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기기(5) 상에 놓여지고, 무선 통신 기기(5)와 근접함으로써 통신이 개시된다.
근거리 무선 통신에 있어서는 통신 기기끼리는 근접하고 있지 않으면 통신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유저가 DSC(1)를 계속해서 유지한다고는 생각하기 어려우며,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기기(50) 상에 놓여져 통신이 개시된다고 하는 사용법이 일반적이다.
이하, 유저가 손에 든 DSC(1)를 무선 통신 기기(50) 상에 놓고 통신시키는 조작을 「근접 조작」이라고 칭한다.
유저에 의한 근접 조작에 의해 DSC(1)가 도 3에 도시하는 하우징의 이동을 행한 경우, DSC(1) 내의 가속도 센서(20)로부터의 검출 신호 파형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정한 형상을 나타낸다. 도 4에 있어서는, 시간축 TM0의 시점부터 유저가 근접 조작을 개시한 것으로 하고, 그 경우의 속도의 변화 V와 가속도의 변화 AV를 나타내고 있다.
근접 조작의 개시시에는, DSC(1)가 정지한 상태로부터 이동을 개시하기 위하여 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가속도로서 정의 값이 검출된다.
그 후, 무선 통신 기기(50)를 향하여 하우징의 이동 중 속도를 일정하게 하면, 가속도는 대략 0의 값을 나타내지만, 무선 통신 기기(5) 상에 DSC(1)가 놓여지면 급격하게 속도가 0이 되기 때문에, 가속도가 부의 값을 검출한다.
즉, 유저가 근접 조작을 실행한 경우에는, DSC(1)의 가속도 센서(2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가속도의 값을 검출하므로, DSC(1)의 CPU(7)는, 이 검출 신호 파형으로서 관측할 수 있는 가속도 변동 정보로부터 DSC(1)의 하우징이 근접 조작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DSC(1)는, 통상시에는 대기 전파의 발생을 조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하고 있다. 통상시란, DSC(1)가 전원 온 상태이지만, 특히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고는 판단하지 않는 기간이다. 그리고, DSC(1)는, 무선 통신 기기(50)에 대한 근접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별되면, 일정 시간 근거리 무선 통신에서의 대기 전파를 밀 상태에서 발생시킨다. 또한, 그 후, 통신이 확립되지 않은 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대기 전파를 조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한다.
또한, 대기 전파를 조 상태로 한다는 것은, 대기 전파를 발신하는 주기 간격(폴링 주기)을 길게 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 6의 A에는 대기 전파를 발생하는 폴링 주기의 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밀 상태란 폴링 주기 P가 짧은 경우, 조 상태란 폴링 주기 P가 긴 경우를 말한다.
밀 상태는 통신 상대를 검출하기 쉽다. 한편, 조 상태는 통신 상대의 검출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상태이지만, 완전히 검출을 멈추는 것은 아니다.
정지 상태란 대기 전파의 발생을 완전히 정지한 상태이며, 이 경우에는 통신 상대의 검출이 행해지지 않는다.
실시 형태의 동작으로서는, 통상시 등에 대기 전파의 발생을 조 상태로 할지 정지 상태로 할지는 어느 쪽이어도 되며, 기능이 탑재되는 기기의 특성이나 성격에 따라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밀 상태와 조 상태에서의 구체적인 폴링 주기 P의 값도, 기기의 특성이나 성격에 따라 설정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밀 상태, 조 상태란, 본 예의 DSC(1)로서 폴링 주기 P를 짧게 하는 상태와 길게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구체적인 주기의 값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DSC(1)가 근접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가속도 변동을 판별하여 대기 전파의 제어를 행하는 구체적인 처리예에 대하여, 도 5에 나타내는 흐름도로 설명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흐름도는 CPU(7)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기초하는 CPU(7)의 제어 처리로서 설명하지만, 마찬가지의 처리가 하드웨어에서 실시되어도 되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양쪽에서 실시되어도 된다.
DSC(1)가 전원 온으로 되어 있는 경우, CPU(7)는 스텝 F100으로서 통상시의 대기 전파의 제어를 행한다. 즉, CPU(7)는, 근거리 무선 통신 컨트롤러(10)에 대하여, 대기 전파의 발생에 대하여 정지 상태 또는 조 상태를 지시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컨트롤러(10)는, 이에 따라 대기 전파를 정지 상태 혹은 조 상태로 한다.
CPU(7)는, 스텝 F101로서, 가속도 센서(20)로부터의 가속도의 검출 신호(가속도 측정값)를 취득하고, 가속도의 값이 일정한 임계값 thA 이상인지 여부를 감시한다. 또한, 도 4에 임계값 thA와, 후술하는 임계값 thB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가속도 센서(20)의 검출값의 취득 방법은, 일정 간격으로 CPU(7)로부터 가속도 센서(20)의 값을 취득하는 형태이어도 되고, 가속도 센서(20)로부터 인터럽트 등에 의해 값을 통지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가속도 측정값이 임계값 thA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마찬가지의 감시를 계속한다.
스텝 F101에서의 감시 처리에 있어서, 가속도 측정값이 임계값 thA를 초과한 경우, CPU(7)는 스텝 F102로 진행된다. 이 경우, CPU(7)는 타이머값 Ta를 한도로 하여 타임 카운트를 개시한다.
또한, 타이머는 CPU(7)에 기능으로서 포함되는 경우도 있고, CPU(7) 이외의 블록으로서 실현되는 경우도 있지만, 그 어느쪽이라도 상관없다.
타임 카운트를 개시한 후에는, CPU(7)는 계속해서 가속도 센서(20)의 가속도 측정값을 취득하면서, 스텝 F103, F104의 감시 처리를 계속한다.
스텝 F103에서는 타임 카운트가 타이머값 Ta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시한다. 또한, 스텝 F104에서는 가속도 측정값으로서 일정한 임계값 thB 이하의 값이 얻어졌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CPU(7)는, 타임 카운트가 타이머값 Ta에 도달한 경우에는, 스텝 F103으로부터 F101의 감시 처리로 복귀한다.
또한, CPU(7)는, 스텝 F104에서 가속도 측정값이 임계값 B 이하로 된 것을 검지한 경우에는, 이 시점에서 근접 조작되었다고 추정하고, 이에 의해 통신 기회가 되었다고 판정한다.
여기까지의 스텝 F101 내지 F104는, 가속도 변동으로서, 하우징의 이동 속도 상승에 따른 정방향 가속도와, 하우징의 이동 정지에 이르는 부방향 가속도가 소정 시간(Ta) 내에 발생한 경우에, DSC(1)의 하우징이 무선 통신 기기(50)와 근접되어 통신 기회에 이르렀다고 판정하는 것이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소정 시간(타이머값 Ta) 내에, 근접 조작의 개시시에 있어서의 속도 증가에 따른 정의 가속도 측정값이 검출되고, 또한 무선 통신 기기(5) 상에 DSC(1)가 놓여져 급격하게 속도가 0이 될 때의 부의 가속도 측정값이 검출됨으로써, 도 4에 나타내는 파형 형상을 판별하여 근접 조작이라고 추정한다.
한편, 일단 정의 가속도가 검출되어도, 이후, 타이머값 Ta에 이르기까지 부의 가속도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때의 DSC(1)의 하우징의 움직임은 근접 조작이 아닌 것으로 보고 스텝 F101로 복귀하게 된다.
근접 조작으로 판정되어 스텝 F105로 진행한 경우, CPU(7)는 타이머값 Tb를 한도로 하여 새롭게 타임 카운트를 개시한다.
또한, CPU(7)는, 근거리 무선 통신 컨트롤러(10)에 밀 상태에서의 대기 전파의 발생을 지시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컨트롤러(10)는, 이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2)로부터 폴링 주기를 짧게 하여 대기 전파를 발생시키는 동작을 행한다.
그 상태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컨트롤러(10)는 상대편의 무선 통신 기기(50)와의 통신 접속을 시행하게 된다.
CPU(7)는, 스텝 F106에서 타임 카운트가 타이머값 Tb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시한다. 또한, 스텝 F107에서 통신 상대의 기기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즉, 타이머값 Tb는, 밀 상태에서의 대기 전파를 발하면서의 통신처의 검출 기간의 상한 시간을 규정하는 것이 된다.
CPU(7)는, 스텝 F107에서 통신 상대 기기를 검출한 경우에는, 스텝 F108로 진행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컨트롤러(10)를 제어하여 무선 통신을 개시시킨다.
한편, 통신 상대 기기가 검출되지 않은 채 타임 카운트가 타이머값 Tb에 도달하면, CPU(7)는 스텝 F106으로부터 F109로 진행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컨트롤러(10)에 대하여, 대기 전파의 발생에 대하여 정지 상태 또는 조 상태를 지시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컨트롤러(10)는, 이에 따라 대기 전파를 정지 상태 혹은 조 상태로 한다. 그리고, CPU(7)는 스텝 F101의 감시 처리로 복귀한다.
이상의 도 5의 처리는, 다음의 특징을 갖고 있다.
ㆍCPU(7)는, 통상시에는 대기 전파를 조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제어한다.
ㆍCPU(7)는, 가속도 센서(20)로부터의 가속도 검출 신호(가속도 측정값)에 의해 인식되는 가속도 변동으로부터, DSC(1)의 하우징이 무선 통신 기기(50) 등과 근접되는 근접 조작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추정하여, 근접 조작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통신 기회라고 판정한다.
ㆍ통신 기회라고 판정하면, CPU(7)는 대기 전파를 밀 상태로 제어한다.
ㆍ대기 전파를 밀 상태로 하는 것은, 소정 시간(타이머값 Tb)만으로 하고, 그 사이에 통신 확립이 불가능하면 대기 전파를 조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하는 통상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먼저 폴링 주기 P에 대하여 도 6의 A에서 설명하였지만, 밀 상태에서는 통신 상대를 검출하기 쉬워지지만, 조 상태에서는 통신 상대를 검출하기 어렵다. 정지 상태에서는 통신 상대는 검출되지 않는다. 한편, 소비 전력과 폴링 주기의 관계를 도 6의 B에 나타내고 있는데, 폴링 주기 P가 짧은 밀 상태가 될수록 대기에 걸리는 소비 전력은 증가한다. 조 상태에서는 소비 전력은 조금이 되고, 정지 상태에서는 대기 전파에 걸리는 전력 소비는 없다.
이것을 염두에 두고 제1 실시 형태의 처리를 생각하면, 근접 조작을 검출하여 통신 기회라고 판정하여, 대기 전파를 밀 상태로 하고, 그 이외는 조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하는 것은, 유저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의도했을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만 통신 접속의 가능성을 높게 할 수 있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유저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의도했을 가능성이 낮은 경우에는, 통신 접속이 행해질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고, 이것은 의도하지 않은 통신이 행해져 버리는 상황을 가능한 한 방지한다고 하는 점에서 적합하게 된다.
또한, 유저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의도했을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만 소비 전력이 큰 밀 상태로 하고, 그 이외는 소비 전력이 적은 조 상태, 혹은 대기 전파에 걸리는 소비 전력이 없는 정지 상태로 함으로써, 대기에 걸리는 전력 소비의 삭감에 유효하다.
또한, 대기 전파를 밀 상태로 하는 것은, 소정 시간(타이머값 Tb)만으로 하는 것도 유효하다. 가속도 측정값으로부터 유저의 근접 조작을 판정하는 것이지만, 그 근접 조작은 반드시 「DSC(1)가 무선 통신 기기(50)에 적재된 동작」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유저가 DSC(1)를 탁상 등의 위에 놓는 동작은, 통상의 사용에 있어서 다수회 행해진다.
여기에서 일반적인 사용 상황을 생각하면, 유저가 DSC(1)의 사용을 종료하고 탁상 등에 놓는 경우에는, 대부분의 경우에는 전원 오프로 해 두기 때문에, 그 경우에는 상기 도 5의 처리가 행해지는 일은 없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유저는 DSC(1)의 전원을 온으로 한 채로 탁상 등에 두는 경우도 있다. 그러한 경우, 가속도 측정값에 의한 판정에서는, 도 5와 거의 마찬가지의 파형이 관측되어 통신 기회라고 판정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다. 그러면, 통신 상대의 검출이 불가능한 채로 밀 상태에서 대기 전파를 발생하게 된다.
본 예에서는 통신 상대의 검출이 불가능한 채로 밀 상태에서 대기 전파를 발생시키는 것을, 타이머값 Tb의 시간을 한도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탁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통신 상대의 검출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언제까지나 밀 상태인 채로 되는 일 없이 일정 시간 후에 조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복귀된다.
즉, 본 예에서는, 유저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의도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정하여 대기 전파를 밀 상태로 하지만, 실제로는 유저가 통신을 의도하고 있지 않았다고 하여도, 불필요하게 언제까지나 밀 상태인 채로 두는 일 없이 조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복귀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유저의 통신 의도라고 하는, 가속도 검출로부터는 완전한 판정이 불가능한 것이라도 전력 소비를 필요 최저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경우, 유저에게 있어서는 DSC(1)를 무선 통신 기기(50) 상에 놓는다고 하는 근접 조작을 행하면 무선 통신이 행해져, 예를 들어 콘텐츠 파일 등을 무선 통신 기기(50)측에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에게 쓸데없는 조작 부담을 주지 않고 편리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근접 조작시 이외에 대하여, 대기 전파를 조 상태로 할지, 정지 상태로 할지는 기기에 따라 결정되면 되지만, 각각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조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소비 전력 삭감에 관해서는 정지 상태로 하는 경우보다 불리하다. 그러나, 근접 조작이라고 판정하지 않은 통상시라도, 통신 접속의 가능성이 남겨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관측되는 가속도 검출 신호의 파형이, 상기 도 4와는 상이한 경우라도 유저가 통신 의도를 갖고 있는 경우도 있다.
즉, 유저가, DSC(1)를 무선 통신 기기(50) 등에 접근시키는 조작시에, CPU(7)가 그것을 검출할 수 없다고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DSC(1) 및 대응하는 무선 통신 기기(50)가 그러한 사용 형태가 고려되는 기기인 경우, 통상은 조 상태로 해 두어 적어도 통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남겨 두는 것이 적합하게 된다.
한편, 통상시에는 정지 상태로 하는 것에 따르면, 소비 전력의 삭감에 유리하다. 또한, 정지 상태로 하는 것에 따르면, 유저의 의도하지 않은 통신이 행해지는 것의 방지 효과는 높은 것이 된다. 단, 반대로, 통신을 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저에게 특정한 근접 조작을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DSC(1) 및 대응하는 무선 통신 기기(50)가 특정한 근접 조작에 의해서만 통신을 행하는 것으로 하는 경우에는, 통상시에는 정지 상태로 하는 것이 적합하게 된다.
<3. 제2 실시 형태의 통신 제어 처리>
DSC(1)에 의한 제2 실시 형태의 통신 제어 처리를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속도 센서(20)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낸 파형 형상의 가속도의 값을 검출함과 함께, 가속도의 3차원의 발생 방향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속도 센서(20)는, 가속도값을 스칼라량으로서의 값으로서가 아니라, 벡터량으로서의 값을 검출하고, 3차원 방향의 가속도량을 검출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도 3에 도시하는 근접 조작을 유저가 행한 경우에, 근접한 순간의 가속도 검출 방향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DSC(1)의 상부를 X축의 정방향으로 하여 X축, Y축, Z축 방향을 정했다고 하면, X축의 부방향으로 가속도(가속도 검출 방향(DET))가 검출된다.
또한, 도 7(및 후술하는 도 8, 도 9, 도 11)에 있어서, 화살표(U)는 DSC(1)의 상면측을 나타내고, 화살표(B)는 DSC(1)의 저면측을 나타내고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2)의 위치는, 위치(2P)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DSC 하우징 내에서 저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본 예에 있어서는, 가속도의 값으로부터 어떠한 근접 조작이 행해진 것을 검출하였을 때, 동시에 그때의 가속도의 방향을 검출하여 어느 방향에 대하여 근접 조작이 행해졌는지를 판단한다. 이에 의해, 유저가 통신 개시할 의사가 있는지 여부를, 제1 실시 형태의 방법보다 더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7의 예에 따르면, DSC(1)가 통신 상대의 무선 통신 기기(50)에 근접하는 방향이 DSC(1)의 X축 방향에서 부방향이다. DSC(1)의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2)는 DSC(1) 저면에 존재하기 때문에, 근접 조작시에, 무선 통신 기기(5)의 무선 통신 안테나(51)(위치(51P))와 밀착하게 되어, 유저는 통신을 개시할 의사가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도 8의 예와 같이, 도 7과는 상하 반대 방향, 즉 가속도 검출 방향(DET)이 X축 방향에서 정방향으로 되는 가속도가 검출되는 경우가 있다.
이 도 8의 예에서는, 스칼라량으로서의 가속도의 파형은 근접 동작으로서의 파형과 마찬가지가 된다. 그러나, 무선 통신 기기(50)가 존재한다고 하면, 무선 통신 기기(50)에 근접되는 방향이, DSC(1)의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2)의 설치 방향(저면측인 위치(2P))과는 반대인 상면측이다.
통상, 유저가 명백하게 DSC(1)를 상하 반대로 하여 통신 상대에 근접 조작한다고는 생각하기 어려우며, 유저는 통신을 개시할 의사가 있었을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된다.
또한, 도 9의 예와 같이, DSC(1)를 세로 방향으로 둔 방향에서 가속도가 검출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가속도 검출 방향(DET)이 Y축 방향에서 정방향이 되는 경우이다.
이 도 9의 예에서도, 스칼라량으로서의 가속도의 파형은 근접 동작으로서의 파형과 마찬가지가 되지만, 방향이 DSC(1)의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2)의 설치 방향(위치(2P))과 맞지 않는다. 통상, 유저가 DSC(1)를 세로 방향으로 두고 근접 조작한다고는 생각되지 않으며, 유저는 통신을 개시할 의사가 있었을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된다.
도 7 내지 도 9의 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 기기에서의 안테나의 위치에 의해, 통신 개시가 수반되는 근접 조작이 이루어질 때의 가속도의 방향이 결정되고, 근접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의 가속도의 방향이 그 방향과 일치한 경우에, 유저가 통신 개시할 의사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속도 방향 정보도 가미하여, 유저가 통신 개시할 의사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일정 시간 대기 전파를 밀 상태에서 발신하도록 한다. 그 이외에는 대기 전파를 조 상태 혹은 정지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통신을 방지하고, 또한 대기 전파를 위하여 소비되는 전력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실시 형태의 CPU(7)의 통신 제어 처리를 도 10에 나타낸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스텝 F100 내지 F104, F105 내지 F109는 도 5와 마찬가지이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이 도 10은, 도 5의 각 스텝 외에 스텝 F110이 추가된 처리예가 된다.
이 도 10의 처리에서는, CPU(7)는, 우선 스텝 F100 내지 F104에서 스칼라량으로서의 가속도의 파형으로 근접 조작을 판정하게 된다. 그리고, 스칼라량에 대하여 근접 조작에 상당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CPU(7)는 스텝 F110에서 가속도의 방향이 안테나 설치 방향에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예의 경우, 가속도 검출 방향(DET)이 X축의 부방향인 경우, 일치한다고 판정하게 된다.
한편, 가속도 검출 방향(DET)이 X축의 정방향인 경우, 또는 Y축의 정방향 또는 부방향인 경우에는, 가속도의 방향이 안테나 설치 방향에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또한, 도 11에서 후술하겠지만, 가속도 검출 방향(DET)이 Z축의 정방향 또는 부방향이 되는 경우도 있다. DSC(1)의 전방면 또는 배면이 무선 통신 기기(50)의 상면에 놓여지는 경우이다. 이 경우, 통신은 가능한 경우도 많으며, 또한 유저가 통신 가능하다고 생각하여 그렇게 두는 경우도 상정된다. 따라서, DSC(1)의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2)가, 도 11과 같은 상태에서 통신 가능한 배치나 성능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속도 검출 방향(DET)이 Z축의 정방향 또는 부방향인 경우에는, 가속도의 방향이 안테나 설치 방향에 일치한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혹은, 그 경우에는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Z축의 정방향 또는 부방향인 경우에 스텝 F110의 판단을 어떻게 할지는, 기기의 성능, 사용 상황 등에 따라 결정되면 된다.
스텝 F110에서 가속도의 방향이 안테나 설치 방향에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CPU(7)는 스텝 F101로 복귀한다. 즉, 유저의 통신 의사의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대기 전파를 밀 상태로 하지 않는다.
한편, 스텝 F110에서 가속도의 방향이 안테나 설치 방향에 일치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CPU(7)는 스텝 F105 이후로 진행한다. 즉, 유저의 통신 의사의 가능성은 높아 통신 기회라고 보고 대기 전파를 밀 상태로 한다. 스텝 F105 내지 F109의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CPU(7)는, 가속도 센서(20)에 의해 얻어진 가속도 검출 신호로부터, 가속도 변동 정보와 함께 가속도가 발생한 3차원의 가속도 방향 정보도 인식한다. 그리고, 가속도 변동 정보와 가속도 방향 정보로부터, 하우징이 특정한 가속도 방향의 상태로 무선 통신 기기(50)와 근접되었다고 추정한 경우에, 통신 기회라고 판정하여 일정 시간(타이머값 Tb에 이르는 기간) 대기 전파를 밀 상태로 한다.
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유저의 편리성을 유지하면서 전력 절약화와 불필요한 통신의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유저의 통신 의사의 판정 신뢰도를 높임으로써, 이들 효과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4. 제3 실시 형태의 통신 제어 처리>
DSC(1)에 의한 제3 실시 형태의 통신 제어 처리를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속도 변동 정보와 가속도 방향 정보로부터 근접 조작이 행해진 것 및 유저의 통신 개시의 의사를 추정하는 것은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 외에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유저의 통신 개시의 의사가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에, DSC(1)의 하우징의 거치법이 적절하지 않기 때문에, 안테나 방향이 올바르게 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하고, 안테나의 방향이 통신 상대의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와 밀착할 수 있도록 거치법을 보정하는 표시 혹은 음성에 의한 고지를 행하는 것이다.
앞서의 도 7의 예에 따르면, 통신 상대에 근접하는 방향이 DSC(1)의 X축 방향에서 부방향이며, DSC(1)의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2)는 DSC(1) 저면에 존재하기 때문에, 근접 조작시에, 무선 통신 기기(50)의 안테나(51)와 밀착하게 되어, 유저는 통신을 개시할 의사가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도 11의 예와 같이, DSC(1)가 눕혀진 상태로 놓여지는 경우가 있다. 이 예에서는 스칼라량으로서의 가속도의 파형은 근접 동작으로서의 파형이 되지만, 방향이 Z축의 정방향으로 되어 있어, 유저는 통신을 개시할 의사가 있기는 하지만, 통신을 개시함에 있어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2)의 방향이 적절하다고는 할 수 없다.
이 도 11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기기의 통신 성능에도 좌우되지만, 통신 상대의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51)와 밀착하지 않기 때문에, 유저가 통신할 의사가 있었다고 하여도 전파 상태가 양호하지는 않기 때문에, 접속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경우에, DSC(1)가 안테나의 방향이 통신 상대의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51)와 밀착할 수 있도록 거치법을 보정하는 표시 혹은 음성에 의한 고지를 행한다. 이에 의해, 유저에게 DSC(1)의 자세 수정을 재촉하여, 전파를 양호한 상태로 할 가능성을 높인다.
제3 실시 형태의 CPU(7)의 통신 제어 처리를 도 12에 나타낸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스텝 F100 내지 F104, F105 내지 F109는 도 5와 마찬가지의 처리이며, 또한 스텝 F110은 도 10과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이 도 12는, 도 10의 각 스텝 외에 스텝 F111, F112가 추가된 처리예가 된다.
이 도 12의 처리에서는, CPU(7)는, 우선 스텝 F100 내지 F104에서 제1,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스칼라량으로서의 가속도의 파형으로 근접 조작을 판정하게 된다. 그리고, 스칼라량에 대하여 근접 조작에 상당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CPU(7)는, 스텝 F110에서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가속도의 방향이 안테나 설치 방향에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단, 이 경우의 스텝 F110에서는, 도 7에서 설명한 예와 같이, 가속도 검출 방향(DET)이 X축의 부방향인 경우에만 일치한다고 판정하고, 그 외에는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즉, 안테나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것은, 가속도 검출 방향(DET)이 X축의 정방향인 경우, 또는 Y축의 정방향 또는 부방향인 경우, 또는 Z축의 정방향 또는 부방향이 되는 경우이다.
안테나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CPU(7)는 스텝 F111로 진행하여 가속도의 방향이 안테나 설치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안테나 설치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라는 것은, 예를 들어 도 11과 같은 경우이며, 즉 가속도 검출 방향(DET)이 Z축의 정방향 또는 부방향이 되는 경우이다.
스텝 F111에서 가속도의 방향이 안테나 설치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즉 가속도 검출 방향(DET)이 X축의 정방향인 경우, 또는 Y축의 정방향 또는 부방향인 경우에는, CPU(7)는 스텝 F101로 복귀한다. 즉, 유저의 통신 의사의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대기 전파를 밀 상태로 하지 않는다.
한편, 스텝 F111에서 가속도의 방향이 안테나 설치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CPU(7)는 스텝 F112로 진행한다. 그리고, CPU(7)는 유저에의 경고 고지를 행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3)에 있어서, 「무선 통신하는 경우, 저면을 대향기에 밀접해 주십시오」 등의 경고 메시지를 표시시키거나, 혹은 음성 출력부(12)로부터 마찬가지의 경고 메시지 음성을 출력시킨다. 혹은 음성 출력부(12)로부터 전자음을 발생시킨다. 경고 메시지 음성이나 전자음의 출력과 함께 표시부(3)에서의 경고 메시지 표시를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러한 경고의 고지를 행하면, CPU(7)는 스텝 F105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F110에서 가속도의 방향이 안테나 설치 방향에 일치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도, CPU(7)는 스텝 F105 이후로 진행한다.
즉, 이들 경우에는 유저의 통신 의사의 가능성은 높아 통신 기회라고 보고 대기 전파를 밀 상태로 한다. 스텝 F105 내지 F109의 처리는 제1,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CPU(7)는, 가속도 변동 정보와 가속도 방향 정보로부터, DSC(1)의 하우징이 특정한 가속도 방향의 상태로 무선 통신 기기(50) 등의 외부 통신 기기와 근접되었다고 추정한 경우에는, DSC(1)의 안테나 방향과 무선 통신 기기(50) 등과의 위치 관계에 따라 고지 출력을 실행시킨다.
특히, DSC(1)의 안테나 방향과 무선 통신 기기(50)의 위치 관계가 통신 가능하기는 하지만 최적은 아닌 상태에서, DSC(1)의 하우징이 무선 통신 기기(50)와 근접되었다고 추정한 경우에, 통신 기회라고 판정하여 표시부(3)나 음성 출력부(11)로부터 고지 출력을 실행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유저는 통신에 있어서 적절한 거치법이 아닌 것을 알 수 있어, 통신 의사가 있는 경우에는 DSC(1)의 거치법을 수정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무선 상태가 좋은 상태에서 통신할 수 있게 된다.
<5. 제4 실시 형태의 통신 제어 처리>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는 상기 제3 실시 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이지만, 유저가 DSC(1)의 거치법을 수정한 경우에 대응하는 처리를 더한 것이다.
도 13에 CPU(7)의 통신 제어 처리를 나타내지만, 스텝 F113, F114를 더한 것 이외에는 도 12와 마찬가지이므로, 스텝 F113, F114에 관한 설명만을 행한다.
제3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DSC(1)의 거치법에 따라서는, 스텝 F112에서 경고 메시지의 고지를 행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도, 스텝 F105의 시점부터 타이머값 Tb를 한도로 하는 일정 기간 대기 전파를 밀 상태로 하게 되지만, 도 11과 같이 DSC(1)의 거치법이 적절하지 않으면, 접속 확립이 불가능할 가능성도 높다.
이로 인해, 유저에게 통지하게 되지만, 유저가 어느 시점에서 대응할지는 일정하지 않다. 유저가 DSC(1)의 자세를 고치기는 하였지만, 그 시점에서 타임 카운트가 타이머값 Tb에 도달해 버리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스텝 F109가 조 상태가 아니라 정지 상태로 하는 처리인 경우에는, 유저가 DSC(1)의 자세를 고쳤음에도 불구하고 통신이 불가능한 일도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CPU(7)는 스텝 F105에서 대기 전파를 밀 상태로 하여 타임 카운트를 개시한 후, 스텝 F113에서, 가속도 변동 정보와 가속도 방향 정보로부터 DSC(1)의 자세가 수정된 것을 감시한다.
여기서, 통신 상대를 검출하지 못한 상태가 계속되고 있을 때, 유저가 스텝 F112에서의 고지에 따라 DSC(1)의 자세를 수정하는 경우가 있다. DSC(1)의 자세가 수정되어 도 11의 상태로부터 도 7의 상태로 수정된 것을 검지하면, CPU(7)는 스텝 F114로 진행하여, 타이머값 Tb에 이르는 타임 카운트를 처음부터 다시 하도록 한다.
이 처리에 의해, DSC(1)의 자세가 수정되었을 때에는, 그 시점부터 일정 기간 대기 전파가 밀 상태로 되는 상태가 계속되어 통신 확립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6. 변형예>
이상,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의 통신 장치의 구성이나 통신 제어 처리는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다.
가속도 검출값에 의한 가속도 변동에 의한 근접 조작의 판정에 대해서는, 각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의 가속도 검출 파형에 대하여 정방향 가속도가 검출되고, 그 후, 부방향 가속도가 검출되는 것이 소정 시간 Ta 내인 것으로 하였다(각 통신 제어 처리의 스텝 F101 내지 F104).
근접 조작의 판정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a) (b) (c)와 같이 하여도 된다.
(a) 소정 시간 Ta 내에서 정방향 가속도가 검출된 후, 가속도 0 기간을 거쳐 부방향 가속도가 검출된 경우에 근접 조작으로 한다.
(b) 소정 시간 Ta 내에서 정방향 가속도가 검출되고, 그 후 부방향 가속도가 검출된다. 그리고, 더 나중에 일정 시간 가속도 0 기간이 유지됨(즉, 무선 통신 기기(50)에의 적재 후의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근접 조작이라고 판정한다.
(c) 소정 시간 Ta 내에서 정방향 가속도가 검출된 후, 가속도 0 기간을 거쳐 부방향 가속도가 검출된다. 그리고, 더 나중에 일정 시간 가속도 0 기간이 유지됨(즉, 무선 통신 기기(50)에의 적재 후의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근접 조작이라고 판정한다.
이것들은 일례이지만, 이렇게 근접 조작의 판정 방법은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다. 물론, 각 기간의 시간 조건, 검출 기간을 제한하는 윈도우 기간 등을 설정하여, 보다 정확한 근접 판정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실제로는 가속도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가속도 검출값으로서, 근접 조작 판정에 있어서 노이즈가 되는 성분을 적절하게 필터링하는 것도 당연히 상정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근접 조작은 DSC(1)를 무선 통신 기기(50) 상에 「놓는다」고 하는 근접 조작에 대상으로 하고, 이것을 도 4와 같은 가속도 측정값의 파형으로부터 판단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실제의 사용 상황, 기기 종별 등에 따라 유저의 근접 조작의 동작 형태는 상이하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기기(50)에 상당하는 상대측의 기기가 벽면에 있고, 이것에 DSC(1) 등에 상당하는 통신 장치를 근접시키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근접 조작의 판정은, 실제의 통신 장치의 종류, 형태, 사용 상황 등을 고려하여, 그에 따른 파형 검출로 근접 판정을 행해야 할 것이다.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장치의 예로서 DSC(1)를 예시하였지만, 물론 DSC(1)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기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통신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 비디오 카메라 기기, 모바일 단말 기기, 휴대형 게임 기기, 정보 처리 장치, 휴대형 음악 재생기, 휴대형 텔레비전 수상기, 그 밖의 각종 기기를 생각할 수 있다. 기기 본체의 움직임에 의한 가속도를 검출하여 판단한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유저가 손에 들 수 있는 소형 기기가 적합하지만, 반드시 그것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들 각종 기기를 본 발명의 통신 장치(100)로서 실현하는 경우, 그들 기기가 도 14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도 14에서는 제어부(101), 가속도 센서(102), 근거리 무선 통신 컨트롤러(103),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04)를 도시하고 있다.
외부 통신 기기와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컨트롤러(103)와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04)가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의 이동에 의한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102)가 설치된다.
제어부(101)는, 근접 판정이나 가속도 방향 판정을 행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 컨트롤러(103)에 대하여 대기 동작 제어를 행한다. 즉, 제어부(101)는, 가속도 센서(102)로부터의 가속도 검출 신호에 의해 인식되는 가속도 변동 정보로부터, 통신 장치(100)의 하우징이 외부 통신 기기(50)와 근접되었는지 여부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 결과를 이용한 통신 기회 판정을 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통신 기회라고 판정한 경우에, 근거리 무선 통신부(103, 104)에 대기 전파를 밀 상태에서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1)는, 통신 기회라고 판정한 경우 이외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03, 104)에 의한 대기 전파의 발생을 조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제어한다. 상술한 휴대 전화기, 비디오 카메라 기기, 모바일 단말 기기 등이, 그 주된 기능을 위한 구성 외에 도 14의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의 통신 장치에 해당하는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1) 외부 통신 기기와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하우징의 이동에 의한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와,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의 가속도 검출 신호에 의해 인식되는 가속도 변동 정보로부터, 하우징이 외부 통신 기기와 근접되었는지 여부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 결과를 이용한 통신 기회 판정을 행하여, 통신 기회라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대기 전파를 밀 상태에서 발생시키도록 제어함과 함께, 상기 통신 기회라고 판정한 경우 이외에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의한 대기 전파의 발생을 조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통신 장치.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기회라는 판정에 의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대기 전파를 밀 상태에서 발생시키도록 제어한 경우에 있어서, 외부 통신 기기와의 통신이 확립되지 않고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에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의한 대기 전파의 발생을 조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제어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통신 장치.
(3)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변동 정보로서, 하우징의 이동 속도 상승에 따른 정방향 가속도와, 하우징의 이동 정지에 이르는 부방향 가속도가 소정 시간 내에 발생한 경우에, 하우징이 외부 통신 기기와 근접되었다고 판정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통신 장치.
(4)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얻어진 가속도 검출 신호로부터, 또한 가속도가 발생한 3차원의 가속도 방향 정보도 인식함과 함께,
상기 가속도 변동 정보와 상기 가속도 방향 정보로부터, 하우징이 특정한 가속도 방향의 상태로 외부 통신 기기와 근접되었다고 추정한 경우에, 상기 통신 기회라고 판정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통신 장치.
(5) 고지 출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변동 정보와 상기 가속도 방향 정보로부터, 하우징이 특정한 가속도 방향의 상태로 외부 통신 기기와 근접되었다고 추정한 경우에,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의 안테나 방향과 외부 통신 기기의 위치 관계에 따라, 상기 고지 출력부로부터 고지 출력을 실행시키는, 상기 (4)에 기재된 통신 장치.
1: DSC
2, 104: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
3: 표시부
4: 조작 입력부
5: 촬상부
6: 촬상 신호 처리부
7: CPU
8: 메인 메모리
9: 기억 영역
10, 103: 근거리 무선 통신 컨트롤러
11: 플래시 메모리
12: 음성 출력부
20, 102: 가속도 센서
50: 무선 통신 기기
51: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
100: 통신 장치
101: 제어부

Claims (6)

  1. 외부 통신 기기와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하우징의 이동에 의한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와,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의 가속도 검출 신호에 의해 인식되는 가속도 변동 정보로부터, 하우징이 외부 통신 기기와 근접되었는지 여부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 결과를 이용한 통신 기회 판정을 행하여, 통신 기회라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대기 전파를 밀 상태(dense state)에서 발생시키도록 제어함과 함께, 상기 통신 기회라고 판정한 경우 이외에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의한 대기 전파의 발생을 조 상태(rough state) 또는 정지 상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기회라는 판정에 의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대기 전파를 밀 상태에서 발생시키도록 제어한 경우에 있어서, 외부 통신 기기와의 통신이 확립되지 않고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에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의한 대기 전파의 발생을 조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제어하는,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변동 정보로서, 하우징의 이동 속도 상승에 따른 정방향 가속도와, 하우징의 이동 정지에 이르는 부방향 가속도가 소정 시간 내에 발생한 경우에, 하우징이 외부 통신 기기와 근접되었다고 판정하는,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얻어진 가속도 검출 신호로부터, 또한 가속도가 발생한 3차원의 가속도 방향 정보도 인식함과 함께,
    상기 가속도 변동 정보와 상기 가속도 방향 정보로부터, 하우징이 특정한 가속도 방향의 상태로 외부 통신 기기와 근접되었다고 추정한 경우에, 상기 통신 기회라고 판정하는, 통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고지 출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변동 정보와 상기 가속도 방향 정보로부터, 하우징이 특정한 가속도 방향의 상태로 외부 통신 기기와 근접되었다고 추정한 경우에,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의 안테나 방향과 외부 통신 기기의 위치 관계에 따라, 상기 고지 출력부로부터 고지 출력을 실행시키는, 통신 장치.
  6. 외부 통신 기기와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하우징의 이동에 의한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를 구비한 통신 장치의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의 가속도 검출 신호에 의해 인식되는 가속도 변동 정보로부터, 하우징이 외부 통신 기기와 근접되었는지 여부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 결과를 이용한 통신 기회 판정을 행함과 함께, 통신 기회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로부터 대기 전파를 밀 상태에서 발생시키고,
    상기 통신 기회라고 판정한 경우 이외에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의한 대기 전파의 발생을 조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KR1020137034091A 2011-07-11 2012-06-11 통신 장치, 통신 제어 방법 KR201400362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52746 2011-07-11
JP2011152746A JP5807414B2 (ja) 2011-07-11 2011-07-11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
PCT/JP2012/064917 WO2013008572A1 (ja) 2011-07-11 2012-06-11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254A true KR20140036254A (ko) 2014-03-25

Family

ID=47505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4091A KR20140036254A (ko) 2011-07-11 2012-06-11 통신 장치, 통신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26120B2 (ko)
EP (1) EP2733994A1 (ko)
JP (1) JP5807414B2 (ko)
KR (1) KR20140036254A (ko)
CN (1) CN103636266A (ko)
WO (1) WO20130085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6410A (ja) * 2013-12-26 2015-07-06 アプリックスIp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398375B2 (ja) * 2014-06-30 2018-10-0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6152242B2 (ja) * 2015-04-06 2017-06-21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式電子機器の情報セキュリティを確保する方法、携帯式電子機器および機能拡張装置
US11037436B2 (en) * 2019-03-07 2021-06-15 Stmicroelectronics S.R.L. Three-level motion detector using accelerometer device in key fob appl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4004A (ja) 2006-12-18 2008-07-03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端末及び情報通信方法
US8391786B2 (en) * 2007-01-25 2013-03-05 Stephen Hodges Motion triggered data transfer
JP2009278267A (ja) * 2008-05-13 2009-11-26 Sony Corp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068494A (ja) * 2008-09-12 2010-03-25 Olympus Imaging Corp 携帯機器
JP5495582B2 (ja) 2009-02-25 2014-05-21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04513B2 (ja) * 2009-07-24 2013-10-02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式の判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45461B1 (ko) * 2010-01-12 2016-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자동 연결 방법 및 장치
JP5471653B2 (ja) 2010-03-17 2014-04-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永久磁石式電動モータ
EP2485542B1 (en) * 2011-02-03 2019-02-27 Sony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for establish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link
US8965285B2 (en) * 2011-05-13 2015-02-24 Nokia Corporation Touch inqui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21475A (ja) 2013-01-31
US20140113566A1 (en) 2014-04-24
JP5807414B2 (ja) 2015-11-10
CN103636266A (zh) 2014-03-12
EP2733994A1 (en) 2014-05-21
US9326120B2 (en) 2016-04-26
WO2013008572A1 (ja) 201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7521B2 (ja) 素子ウェークアップ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19129020A1 (zh) 一种摄像头自动调焦方法、存储设备及移动终端
US11785331B2 (en) Shooting control method and terminal
US9794456B2 (en) Camer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device
KR102252248B1 (ko) 무선충전 통신방법, 장치, 디바이스,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US9191896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O2019047862A1 (zh) 一种指纹采集方法及终端设备、存储介质
WO2019129092A1 (zh) 一种降帧率拍照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JP2010124246A (ja) 電子装置、温度上昇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40036254A (ko) 통신 장치, 통신 제어 방법
US20210174749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display screen, and display device
JPWO2011132757A1 (ja)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9144815A1 (zh) 拍摄方法及移动终端
US9749456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suppressing notification of incoming communications during connection to an external device
WO2018039881A1 (zh) 充电保护方法、终端及充电器
CN105578391B (zh) 信息处理方法、装置、系统及终端设备
JP2015070549A (ja) カメラ装置、その消費電力制御方法、撮像装置、操作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9179413A1 (zh) 景深图像生成方法及移动终端
US11864117B2 (en) Program and electronic device
KR101485149B1 (ko)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CN113722260A (zh) 保护电路、串行总线系统、电路保护方法及移动终端
CN107995413B (zh) 一种拍照控制方法及移动终端
US20110190038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11930275B2 (en) Control device of imaging device,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of imaging device, and control program of imaging device with image shake correction
TWI483112B (zh) 可攜式電子裝置、可攜式電子裝置的系統控制方法以及可擴充式電子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