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5726A - 스타일러스 펜, 이를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스타일러스 펜, 이를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5726A
KR20140035726A KR1020120102343A KR20120102343A KR20140035726A KR 20140035726 A KR20140035726 A KR 20140035726A KR 1020120102343 A KR1020120102343 A KR 1020120102343A KR 20120102343 A KR20120102343 A KR 20120102343A KR 20140035726 A KR20140035726 A KR 20140035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lus pen
tip
touch panel
digitizer pa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5403B1 (ko
Inventor
손제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2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403B1/ko
Priority to US14/026,999 priority patent/US9569041B2/en
Priority to EP13184359.1A priority patent/EP2717132B1/en
Priority to CN201310421308.9A priority patent/CN103677335B/zh
Publication of KR20140035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01R27/2605Measuring capacit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타이저 패드로부터 전자기 유도에 대한 제1위치를 검출하는 과정과, 터치 패널로부터 정전용량 변화에 대한 제2위치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2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제1위치를 보정하는 과정 및 상기 보정한 제1위치를 터치 위치로 지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입력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타일러스 펜, 이를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STYLUS PEN, ELECTROI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NPUT USING IT}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 펜과,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전자 장치 보급률의 급속한 증가로 휴대용 전자 장치는 이제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는 고유의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능상 멀티미디어 통신기기로 변모하게 되었다. 휴대용 전화 장치가 제공 가능한 서비스의 증가와 더불어 휴대용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UI(user Interface) 기술도 지속적으로 개발되었다.
최근 들어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크기와 해상도가 경쟁적으로 늘어나며 필기 입력이나 그림 메모 등에 대한 요구도 따라서 커지고 있다. 예컨대, 지도에 목적지를 표시해 둔다거나 사진에 메시지를 써넣고 전송하는 등의 용도 등이 주요 마케팅 포인트가 되고 있다. 또한, 일본이나 중국처럼 한자를 쓰는 국가에는 필기 일력이 필요하고, 결과적으로 펜이 있으면 그림이나 필기 입력을 할 수 있고 그 정확도는 높아진다.
도 1은 통상의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는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상의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는 입력 시스템은 전자기 공명(EMR, Electomagnetic Resonance) 또는 전자기 유도 방식을 이용하는데, 스타일러스 펜(20)과 터치 스크린 장치(30)를 포함한다.
스타일러스 펜(20)은 팁(21)을 갖는 펜 형태이고, 그 내부에 공진 회로를 구성한다.
터치 스크린 장치(30)는 디지타이저 패드(35), 디스플레이 패널(34), 윈도우(31) 및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36)를 포함한다. 디지타이저 패드(35), 디스플레이 패널(34) 및 윈도우(31)는 순서대로 적층된다.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36)는 디지타이저 패드(35)로 교류 전류를 제공하고, 디지타이저 패드(35)는 전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스타일러스 펜(20)이 디지타이저 패드(35)의 전자기장에 접근하게 되면 전자기 유도 현상이 일어나고 스타일러스 펜(20)의 공진 회로(22)는 전류를 발생시킨다.
스타일러스 펜(20)의 공진 회로(22)는 발생한 전류를 이용하여 자기장(23)을 형성한다.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36)는 스타일러스 펜(20)으로부터 디지타이저 패드(35)로 인가되는 자기장(23)의 강도를 전 영역에 걸쳐 스캔하여 위치를 검출한다.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36)는 검출한 위치를 미도시된 호스트 장치로 제공하고, 호스 장치는 이에 대한 동작, 예컨대,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34)로 출력시킨다.
통상, 스타일러스 펜(20)은 그 구조상 팁(21)으로부터 공진 회로(22)를 이격되게 배치하고 있고,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20)을 손으로 잡고 터치 스크린 장치(30)에 터치하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20)은 기울어진다.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20)이 기울어지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20)으로부터의 자기장(23)이 상대적으로 크게 인가되는 위치는 기울어진 쪽으로 치우치게 된다. 결국, 스타일러스 펜(20)이 기울어진 경우,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36)가 터치를 인식하는 위치는 팁(21)이 접촉된 위치(41)가 아니라, 팁(21)이 접촉된 위치(41)로부터 벗어난 위치(42)가 된다.
도 2는 통상의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예컨대,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20)으로 선을 긋는 경우, 손으로 파지한 스타일러스 펜(20)은 기울어지고,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36)는 팁(21)의 접촉 위치(41)를 벗어나는 위치(42)를 인식한다. 호스트 장치는 스타일러스 펜(20)의 팁(21)으로부터 벗어난 위치(42)에 선을 표시하므로, 사용자는 실제 펜을 사용하는 느낌을 갖지 못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공진 회로를 가지고 있어 디지타이저 패드를 통한 터치 인식을 유발시킬 수 있고, 또한, 팁 언저리에 정전 고무를 설치하고 있어 정전용량 터치 패널을 통한 터치 인식을 유발시킬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장치에 터치되는 스타일러스 펜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전자기 유도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터치 위치를 보정하는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으로 인하여 디지타이저 패드를 통하여 인식된 제1위치와 정전용량 터치 패널을 통해 인식된 제2위치를 검출하고, 제1위치를 제2위치를 참조하여 보정하는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견지로서, 본 발명은 디지타이저 패드로부터 전자기 유도에 대한 제1위치를 검출하는 과정과, 터치 패널로부터 정전용량 변화에 대한 제2위치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2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제1위치를 보정하는 과정; 및 상기 보정한 제1위치를 터치 위치로 지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입력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2견지로서, 본 발명은 디지타이저 패드와, 상기 디지타이저 패드 상부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과, 상기 디지타이저 패드로부터 전자기 유도에 대한 제1위치를 검출하는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와, 터치 패널로부터 정전용량 변화에 대한 제2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패널 컨트롤러 및 상기 제2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제1위치를 보정하고, 보정한 제1위치를 터치 위치로 지정하는 호스트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3견지로서, 본 발명은 디지타이저 패드와, 상기 디지타이저 패드 상부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과, 상기 디지타이저 패드로부터 전자기 유도에 대한 제1위치를 검출하는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와, 터치 패널로부터 정전용량 변화에 대한 제2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패널 컨트롤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모듈은 상기 제2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제1위치를 보정하고, 보정한 제1위치를 터치 위치로 지정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4견지로서, 본 발명은 막대 형태로 일단이 상대적으로 좁아지게 개구되고,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단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범위 이동 가능하며, 셀프 센터링이 가능한 팁과, 상기 팁과 이격하고, 상기 팁의 언저리에 해당하는 상기 하우징의 적소에 설치되며, 탄성 복원 가능한 정전체 및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설치되고 누름 가능한 버튼과, 상기 팁이 상기 하우징 내부로 가압되는 경우 또는 상기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커패시턴스를 변경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공진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을 소정 각도로 기울여 평면에 맞닿게 하는 경우, 상기 팁과 정전체가 동시에 상기 평면에 접촉되는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공진 회로를 구성하고 디지타이저 패드를 통한 터치 인식을 유발시킬 수 있고, 또한, 팁 언저리에 정전 고무를 설치하고 있어 정전용량 터치 패널을 통한 터치 인식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성을 개선한다.
또한, 전자 장치는 이러한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디지타이저 패드를 통하여 인식된 제1위치와 정전용량 터치 패널을 통하여 인식된 제2위치를 함께 검출하고, 제2위치를 통하여 스타일러스 펜의 기울어짐 여부를 판단하고 제1위치를 보정하고 보정한 제1위치를 터치 인식 위치로 지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 펜이 기울어지게 터치된 경우, 팁을 벗어나게 터치 인식 위치가 지정되지 않게 하므로, 실제 펜을 사용하는 느낌을 사용자에게 부여한다.
도 1은 통상의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는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통상의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터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는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는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는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는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는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 처리 절차의 순서도; 및
도 12는 도 11의 1107 단계에서 제2위치를 참조하여 제1위치를 보정 절차의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전면(2)에는 터치 스크린 장치(300)가 설치된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 장치(300)는 데이터의 입, 출력 기능을 동시에 지원할 뿐만 아니라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장치(300)는 윈도우, 정전용량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지타이저 패드를 차례대로 적층된 구성을 취한다. 윈도우는 투명한 재질로서 터치 패널에 부착되거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에 고정된다. 예컨대, 윈도우는 정전용량 터치 패널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접착제는 광학 탄성 수지(Super View Resin, SVR), 광학 투명 테이프(Optically Clear Adhesive, OCA) 등이 될 수 있다.
정전용량 터치 패널은 정전체(예;손가락)의 접촉 또는 접근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일으키고, 터치 스크린 장치(300)는 이로부터 터치 위치를 검출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영상을 출력한다. 디지타이저 패드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접촉 또는 접근에 의하여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 자기장을 인가받고, 터치 스크린 장치(300)는 이로부터 터치 위치를 검출한다.
터치 스크린 장치(300)의 상부에는 전기 신호를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3)와, 인물이나 기타 음원들로부터 전달된 음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4)이 설치된다.
스타일러스 펜(200)은 전자기 유도 방식에 따른 공진 회를 내부에 구성한다. 스타일러스 펜(200)의 공진 회로는 전자 장치(100)의 디지타이저 패드로부터 발생한 전자기장에 접근하게 되면, 전류를 발생시키고 이 전류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한다.
또한, 스타일러스 펜(200)은 팁(201)을 갖는 펜 형태이고, 팁(201) 언저리에 정전체(예 ; 정전 고무)(202)를 구비한다. 스타일러스 펜(200)이 기울어지게 윈도우에 접촉되는 경우, 정전체(202)는 윈도우에 접촉되며, 정전용량 터치 패널의 해당 위치의 정전용량은 가변된다.
더욱이, 스타일러스 펜(200)은 버튼(203)을 구비하는데, 버튼(203)이 눌러지는 경우 추가적인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되고, 전자 장치(100)의 기능에 부합하는 공진 주파수의 전기장으로 형성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러한 전자 장치(100)는 이동 전화(mobile phone),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 중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호스트 장치(110), 외부 메모리 장치(120), 카메라 장치(130), 센서 장치(140), 무선 통신 장치(150), 오디오 장치(160), 외부 포트 장치(170), 터치 스크린 장치(300) 및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180)을 포함한다. 외부 메모리 장치(120)와 외부 포트 장치(170)는 다수 개 구성될 수 있다.
호스트 장치(110)는 내부 메모리(11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2) 및 인터페이스(113)를 포함한다. 내부 메모리(11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2) 및 인터페이스(113)는 별개의 구성 요소일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화된 회로에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12)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10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며, 음성 통신, 영상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프로세서(112)는 내부 메모리(111) 및/또는 외부 메모리 장치(120)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명령어 세트)을 실행하여 그 모듈에 대응하는 여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프로세서(112)는 이러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내부 메모리(111) 및/또는 외부 메모리 장치(12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명령어 세트)을 실행하여 그 모듈에 대응하는 특정한 여러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도 한다. 즉, 프로세서(112)는 내부 메모리(111) 및/또는 외부 메모리 장치(1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들과 연동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방법을 수행한다. 또한, 프로세서(112)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전자 장치(100)는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을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113)는 전자 장치(100)의 여러 장치들과 호스트 장치(110)를 연결시킨다.
카메라 장치(130)는 사진 및 비디오 클립 레코딩 등의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30)는 CCD(charged coupled device) 또는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을 포함한다. 또한, 카메라 장치(130)는 프로세서(112)가 실행하는 카메라 모듈에 따라 하드웨어적인 구성의 변경, 예컨대, 렌즈 이동, 조리개의 F수 등을 조절한다.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참조번호 미기재) 또는 스트림 라인(참조번호 미기재)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장치(140)는 움직임 센서, 광센서, 온도 센서 등을 포함하고 여러 가지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예컨대, 움직임 센서는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광센서는 주변 빛을 감지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50)는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데,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광(예컨대, 적외선)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50)는 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i-Fi(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 WiMax 네트워크 또는/및 Bluetooth 네트워크 중 하나를 통해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60)는 스피커(161) 및 마이크로폰(162)에 연결되어 음성 인식, 음성 복제, 디지털 레코딩 및 통화 기능 등의 오디오 입력과 출력을 담당한다. 즉, 오디오 장치(160)는 스피커(161) 및 마이크로폰(162)를 통해 사용자와 소통시킨다. 또한, 오디오 장치(160)는 호스트 장치(110)와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한 전기 신호를 스피커(161)를 통해 출력시킨다. 스피커(161)는 전기 신호를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로폰(162)은 인물이나 기타 음원들로부터 전달된 음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오디오 장치(160)는 마이크로폰(162)으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기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한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호스트 장치(110)로 전송한다. 오디오 장치(160)는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 가능한 이어폰, 헤드폰 또는 헤드셋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포트 장치(170)는 전자 장치(100)를 다른 전자 장치로 직접 연결하거나,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인트라넷, 무선 LAN 등)를 통하여 다른 전자 장치로 간접적으로 연결한다.
터치 스크린 장치(300)는 전자 장치(100)와 사용자 간의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터치 스크린 장치(300)는 터치 감지 기술을 적용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호스트 장치(110)로 전달하고, 호스트 장치(110)로부터 제공되는 시각 정보, 예컨대, 텍스트, 그래픽, 비디오 등을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터치 스크린 장치(300)는 정전용량 터치 패널(320), 터치 패널 컨트롤러(330), 디스플레이 패널(340), 디지타이저 패드(350) 및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360)를 포함한다.
정전용량 터치 패널(310)은 다수의 전극들을 포함하는 전극 라인들을 교호하고 평행하게 형성한다. 정전용량 터치 패널(320)은 터치 패널 컨트롤러(330)로부터 전압을 인가받고, 터치 감지를 위한 전기장을 형성시킨다. 터치 패널 컨트롤러(300)는 정전용량 터치 패널(320)로부터 정전용량 변화에 따른 터치 위치를 검출한다. 터치 패널 컨트롤러(300)는 검출한 위치를 호스트 장치(110)로 제공하고, 호스트 장치(110)는 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320)는 호스트 장치(110)의 제어하에 시각 정보, 예컨대, 텍스트, 그래픽, 비디오 등을 출력한다.
디지타이저 패드(350)는 X, Y축 방향으로 라인들을 교호하고 평행하게 형성한다. 디지타이저 패드(350)는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360)로 교류 전류를 제공하고, 전기장을 발생시킨다. 스타일러스 펜이 디지타이저 패드(350)에 접근하게 되면 스타일러스 펜의 공진 회로는 전류를 발생시키고 이 전류에 의해 공진 회로는 자기장을 형성한다.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360)는 스타일러스 펜(20)으로부터 디지타이저 패드(350)로 제공되는 자기장의 강도를 전 영역에 걸쳐 스캔하여 위치를 검출한다.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360)는 검출한 위치를 미도시된 호스트 장치로 제공하고, 호스 장치는 이에 대한 동작을 수행한다.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180)은 볼륨 제어를 위한 업//다운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기타 입력/제어 장치(190)는 해당 기능이 부여된 푸시 버튼(push button), 로커 버튼(locker button), 로커(locker) 스위치, 섬 휠(thumb-wheel), 다이얼(dial), 스틱(stick), 및 스타일러스 등의 포인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메모리 장치(12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하나 이상의 광 저장 장치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예컨대, NAND, NOR)를 포함한다. 외부 메모리 장치(120)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데, 소프트웨어는 운영 체제 모듈, 통신 모듈, 그래픽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코덱 모듈,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모듈 및 디지타이저 보정 모듈을 포함한다.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명령어들의 집합 또는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 또는 프로그램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운영 체제 모듈은 WINDOWS, LINUX, 다윈(Darwin), RTXC, UNIX, OS X, 또는 VxWorks와 같은 내장 운영 체제를 가리키며,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메모리 관리 및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및 관리, 전력 제어 및 관리 등을 포함한다. 게다가, 운영 체제 모듈은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모듈)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장치(150) 또는 외부 포트 장치(170)를 통해 컴퓨터, 서버 및 전자 장치 등의 상대 전자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래픽 모듈은 터치 스크린 장치(180)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가리킨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게다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어떻게 변경되는지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의 변경이 어떤 조건에서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코덱 모듈은 비디오 파일의 인코딩 및 디코딩 관련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들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관련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모듈은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즉석 메시지(instant message),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접촉 리스트(touch list), 위젯(widget),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position determining function),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110)는 상술한 모듈들 이외에 추가적인 모듈(명령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 보정 모듈은 스타일러스 펜이 기울어지게 터치 스크린 장치(300)에 접촉되는 경우,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360)가 인식하는 위치를 보정한다.
후술하겠지만, 통상 스타일러스 펜은 그 구조상 팁으로부터 공진 회로를 이격되게 구성하고 있고,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을 손으로 잡고 이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스타일러스 펜은 기울어진다.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이 기울어지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자기장이 상대적으로 크게 인가되는 위치는 기울어진 쪽으로 치우치게 된다. 결국, 스타일러스 펜이 기울어진 경우,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360)가 터치를 인식하는 위치는 팁이 접촉된 위치가 아니라, 팁이 접촉된 위치를 벗어난 위치가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팁 언저리에 정전 고무를 설치하고 있어, 기울어지게 터치 스크린 장치(300)에 접촉되는 경우, 터치 패널 컨트롤러(330)는 정전 고무에 의해 정전용량 터치 패널(320)로부터 정전용량 변화에 대한 터치 또한 감지된다.
디지타이저 보정 모듈은 디지타이저 패드(350)로부터 자기장 신호에 대한 제1위치를 검출하고, 터치 패널로부터 정전용량 변화에 대한 제2위치를 검출하며, 제2위치를 참조하여 제1위치를 보정하고, 보정한 제1위치를 지정한다. 스타일러스 펜에 의하여 제1위치와 제2위치가 검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2위치를 참조하여 제1위치를 보정하는 과정은 제1위치로부터 결정된 범위에 제2위치가 포함되는 경우 후행한다. 또한, 디지타이저 보정 모듈은 제2위치를 참조하여 제1위치를 보정하는 경우, 제1위치에 대한 제2위치의 방향을 판단하고, 판단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제1위치를 이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스트림 프로세싱(processing)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펜(200)은 팁(201)을 갖는 펜 형태이고, 팁(201) 언저리에 정전체(예 ; 정전 고무)(202)를 구비한다. 스타일러스 펜(20)은 그 내부에 공진 회로(210)를 구성한다.
스타일러스 펜(200)은 막대 형태로 일단이 상대적으로 좁아지게 개구되고,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스타일러스 펜(200)은 하우징의 개구된 일단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범위 이동 가능하며, 셀프 센터링이 가능한 팁(201)을 구성한다. 셀프 센터링은 자동으로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동작을 가리킨다. 더욱이, 스타일러스 펜(200)은 팁(201)과 이격하고, 팁(201)의 언저리에 해당하는 하우징의 적소에 설치되며, 탄성 복원 가능한 정전체(202)를 구성한다. 또한, 스타일러스 펜(200)은 하우징의 측부에 설치되고 누름 가능한 버튼(203)을 구성한다.
하우징은 그 내부에 공진 회로(210)을 구성하는데, 팁(201)이 하우징 내부로 가압되는 경우 또는 버튼(203)이 눌러지는 경우, 공진 회로(210)는 커패시턴스를 변경한다.
또한, 하우징을 소정 각도로 기울여 평면, 예컨대, 터치 스크린에 맞닿게 하는 경우, 팁(201)과 정전체(202)는 터치 스크린에 모두 접촉된다.
공진 회로(210)는 인덕터(Inductor)(211), 다수의 커패시터들(212,213,214,215)을 병렬로 연결하고, 터치 스크린 장치(300)의 디지타이저 패드(350)에 접근하게 되면 전자기 유도 현상이 일어나고 전류를 발생시킨다. 또한, 공진 회로(210)는 발생한 전류를 이용하여 자기장을 형성한다.
인덕터(211)는 전자기 공명(유도)(Electro-Magnetic Resonance) 동작을 위한 코일을 구성한다.
스타일러스 펜(200)의 팁(201)은 눌러지는 경우 하우징 내부로 일정거리 이동되는 구조를 취한다. 공진 회로(211)는 가변 커패시터(213)를 구성하고, 가변 커패시터(213)는 팁(201)이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가변시키고, 공진 회로(210)는 전자 장치(100)의 해당 기능에 상응하는 가변 공진 주파수의 자기장을 형성한다.
또한, 스타일러스 펜(20)은 버튼(203)을 구비하는데, 버튼(2030이 눌러지는 경우, 커패시터(215)는 병렬로 연결되고, 공진 회로(210)는 전자 장치(100)의 해당 기능에 부합하는 공진 주파수의 자기장을 형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는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펜(200)을 이용하는 입력 시스템은 전자기 공명(EMR, Electomagnetic Resonance) 방식을 이용하는데, 스타일러스 펜(200)과 터치 스크린 장치(300)를 포함한다.
스타일러스 펜(200)은 팁(201)과, 팁(201) 언저리에 정전 고무(202)를 구성하는 펜 형태이고, 그 내부에 공진 회로(210)를 구성한다.
터치 스크린 장치(300)는 디지타이저 패드(350), 디스플레이 패널(340), 정전용량 터치 패널(320), 터치 패널 컨트롤러(330), 윈도우(310) 및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360)를 포함한다. 디지타이저 패드(350), 디스플레이 패널(340), 정전용량 터치 패널(320), 터치 패널 컨트롤러(330) 및 윈도우(310)는 순서대로 적층된다.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360)는 디지타이저 패드(350)로 교류 전류를 제공하고, 디지타이저 패드(350)는 전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스타일러스 펜(200)이 디지타이저 패드(350)의 전자기장에 접근하게 되면 전자기 유도 현상이 일어나고 공진 회로(210)에 의해 전류를 발생시키고, 이 전류에 의한 자기장(204)을 형성한다.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360)는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 디지타이저 패드(350)로 인가되는 자기장(204)의 강도를 전 영역에 걸쳐 스캔하여 위치를 검출한다.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360)는 검출한 위치를 미도시된 호스트 장치로 제공하고, 호스 장치는 이에 대한 동작, 예컨대,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34)로 출력시킨다.
스타일러스 펜(200)은 팁(201)으로부터 공진 회로(210)을 이격되게 배치하고 있고,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200)을 손으로 잡고 터치 스크린 장치(300)에 터치하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200)은 기울어진다.
스타일러스 펜(200)을 기울어진 상태로 터치스크린(300)에 터치되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자기장(204)이 상대적으로 크게 인가되는 위치는 기울어진 쪽으로 치우치게 된다. 결국, 스타일러스 펜(20)이 기울어진 경우,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360)는 팁(201)이 접촉된 위치(401)가 아니라, 기울어진 쪽으로 벗어난 제1위치(402)를 인식한다.
또한, 스타일러스 펜(200)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경우, 정전 고무(202)는 터치 스크린 장치(300)에 터치되고, 터치 패널 컨트롤러(330)는 정전용량 터치 패널(320)로부터 정전용량 변화에 대한 제2위치(403)를 인식한다.
호스트 장치(110)는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350)로부터 제1위치(402)를 수신하고, 터치 패널 컨트롤러(330)로부터 제2위치(403)를 수신한다. 호스트 장치(110)는 제2위치(403)를 참조하여 제1위치(402)를 보정한다. 예컨대, 호스트 장치(110)는 제1위치(402)에 대한 제2위치(403)의 방향을 판단하고, 판단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제1위치(402)를 이동시키는 보정을 수행한다. 즉, 호스트 장치(110)는 제1위치(402)를 팁(201)의 접촉 위치(401)로 가까이 이동시키는 보정 모듈을 수행한다. 즉, 이러한 보정 모듈은 제1위치(402)에 대한 제2위치(403)를 감지하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이 기울어졌다고 인식하고, 제2위치(403)을 참조하여 제1위치(402)를 보정하는 것이다.
또한, 스타일러스 펜(200)에 의해서 제2위치(404)가 검출되는 경우에 한해서, 제1위치(403)의 보정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호스트 장치(110)는 제1위치(402)에 상응하는 범위를 결정하고, 결정한 범위에 제2위치(403)가 포함되는 경우, 제2위치(403)를 참조하여 제1위치(402)를 보정하는 모듈을 수행한다.
호스트 장치(110)는 보정한 제1위치를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 터치된 위치로 지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는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접촉에 대하여 y 좌표를 결정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펜(200)의 팁(201)만이 터치 스크린 장치(300)에 터치된다.
스타일러스 펜(200)은 디지타이저 패드(350)의 전자기장으로부터 유도된 전류로부터 자기장을 형성하고,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360)는 디지타이저 패드(350)로부터 스타일러스 펜(200)의 자기장에 대한 y1 좌표(702)를 검출하며, 검출한 y1 좌표(702)를 호스트 장치(110)로 전송한다.
호스트 장치(110)는 디지타이저 패드 컨틀로러(360)으로부터 전송받은 y1 좌표(702)를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 터치된 y 좌표(77)로 지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는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접촉에 대하여 y 좌표를 결정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펜(200)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터치 스크린 장치(300)에 터치되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200)의 팁(201)과 정전 고무(202)가 터치 스크린 장치(300)에 모두 터치된다. 예컨대, 사용자는 도 3에서 도시된 파지법으로 스타일러스 펜(200)을 기울이게 쥐고 스타일러스 펜(200)을 터치 스크린 장치(300)에 터치한다.
스타일러스 펜(200)은 디지타이저 패드(350)의 전자기장으로부터 유도된 전류로부터 자기장을 형성하고,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360)는 디지타이저 패드(350)로부터 스타일러스 펜(200)의 자기장에 대한 y1 좌표 (802)를 검출하며, 검출한 y1 좌표(802)를 호스트 장치(110)로 전송한다.
또한, 터치 패널 컨트롤러(330)는 정전용량 터치 패널(320)로부터 스타일러스 펜(200)의 정전 고무(202)의 터치로 인한 정전용량 변화에 대한 y2 좌표 (803)를 검출하고, 검출한 y2 좌표(803)를 호스트 장치(110)로 전송한다.
호스트 장치(110)는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360)로부터 y1좌표 (802)를 전송받고, 터치 패널 컨트롤러(330)로부터 y2 좌표(803)를 전송받는다. 호스트 장치(110)는 y2 좌표(803)를 참조하여 y1 좌표 (802)를 보정하고, 보정한 y1 좌표를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 터치된 y 좌표(88)로 지정한다. 예컨대, 호스트 장치(110)는 y1 좌표 (802)에 대한 y2 좌표(803)의 방향을 판단하고, 판단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y1 좌표(802)를 이동시키는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호스트 장치(110)는 y1 좌표(802)를 팁(201)의 접촉 y 좌표(801)로 가까이 이동시키는 보정 모듈을 수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는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접촉에 대하여 x 좌표를 결정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펜(200)의 팁(201)만이 터치 스크린 장치(300)에 터치된다.
스타일러스 펜(200)은 디지타이저 패드(350)의 전자기장으로부터 유도된 전류로부터 자기장을 형성하고,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360)는 디지타이저 패드(350)로부터 스타일러스 펜(200)의 자기장에 대한 x1 좌표(902)를 검출하며, 검출한 x1 좌표(902)를 호스트 장치(110)로 전송한다.
호스트 장치(110)는 디지타이저 패드 컨틀로러(360)으로부터 전송받은 x1 좌표(902)를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 터치된 x 좌표(77)로 지정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는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접촉에 대하여 x 좌표를 결정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펜(200)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터치 스크린 장치(300)에 터치되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200)의 팁(201)과 정전 고무(202)가 터치 스크린 장치(300)에 모두 터치된다. 예컨대, 사용자는 도 3에서 도시된 파지법으로 스타일러스 펜(200)을 기울이게 쥐고 스타일러스 펜(200)을 터치 스크린 장치(300)에 터치한다.
스타일러스 펜(200)은 디지타이저 패드(350)의 전자기장으로부터 유도된 전류로부터 자기장을 형성하고,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360)는 디지타이저 패드(350)로부터 스타일러스 펜(200)의 자기장에 대한 x1 좌표 (1002)를 검출하며, 검출한 x1 좌표(1002)를 호스트 장치(110)로 전송한다.
또한, 터치 패널 컨트롤러(330)는 정전용량 터치 패널(320)로부터 스타일러스 펜(200)의 정전 고무(202)의 터치로 인한 정전용량 변화에 대한 x2 좌표 (1003)를 검출하고, 검출한 x2 좌표(1003)를 호스트 장치(110)로 전송한다.
호스트 장치(110)는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360)로부터 x1좌표(1002)를 전송받고, 터치 패널 컨트롤러(330)로부터 x2 좌표(1003)를 전송받는다. 호스트 장치(110)는 x2 좌표(1003)를 참조하여 x1 좌표 (1002)를 보정하고, 보정한 x1 좌표를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 터치된 x 좌표(88)로 지정한다. 예컨대, 호스트 장치(110)는 x1 좌표 (1002)에 대한 x2 좌표(1003)의 방향을 판단하고, 판단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x1 좌표(1002)를 이동시키는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호스트 장치(110)는 x1 좌표(1002)를 팁(201)의 접촉 x 좌표(1001)로 가까이 이동시키는 보정 모듈을 수행한다.
도 7 내지 10은 스타일러스 펜(200)을 화면의 상하 방향으로 기울인 실시 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방향, 예컨대, 화면의 대각선 방향 등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됨은 자명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 처리 절차의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12)는 1101 단계에서 디지타이저 패드(350)로부터 전자기 유도에 대한 제1위치를 획득한다.
다음, 프로세서(112)는 1103 단계에서 정전용량 터치 패널(320)로부터 정전용량 변화에 대한 제2위치를 획득 여부를 식별한다. 1103 단계에서, 정전용량 터치 패널(320)로부터 제2위치를 획득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12)는 1111 단계로 진행하여 제1위치를 터치 위치로 지정하고 본 절차를 종료한다. 한편, 1103 단계에서, 정전용량 터치 패널(320)로부터 제2위치를 획득하는 경우, 프로세서(112)는 1105 단계를 수행한다.
프로세서(112)는 1105 단계에서 제1위치로부터 소정 범위를 결정하고, 결정한 범위에 제2위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1105 단계는 스타일러스 펜(200)에 의한 제2위치의 검출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프로세서(112)는 제1위치를 기점으로 하는 소정 반경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1105 단계에서, 제1위치로부터 결정된 범위에 제2위치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12)는 1111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1105 단계에서, 제1위치로부터 결정된 범위에 제2위치가 포함되는 경우, 프로세서(112)는 1107 단계를 수행한다.
프로세서(112)는 1107 단계에서 제2위치를 참조하여 제1위치를 보정한다.
다음, 프로세서(112)는 1109 단계에서 보정한 제1위치를 터치 위치로 지정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12)는 제1위치로부터 범위를 결정하고, 결정한 범위에 제2위치가 포함되는 경우, 제2위치를 참조하여 제1위치를 보정한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프로세서(112)는 제1위치와 제2위치가 동시에 검출되거나 또는 임계 시간 안에 모두 검출되는 경우, 제2위치를 참조하여 제1위치를 보정할 수도 있다.
도 12는 도 11의 1107 단계에서 제2위치를 참조하여 제1위치를 보정 절차의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11071 단계에서 프로세서(112)는 제1위치에 대한 제2위치의 방향을 판단한다.
다음, 11073 단계에서 프로세서(112)는 판단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제1위치를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보정을 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호스트 장치 200 : 스타일러스 펜
201 : 팁 202 : 정전 고무
210 : 공진 회로 300 : 터치 스크린 장치
310 : 윈도우 320 : 정전용량 터치 패널
330 : 정전용량 터치 패널 컨트롤러
340 : 디스플레이 패널 350 : 디지타이저 패드
360 :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

Claims (16)

  1. 디지타이저 패드로부터 전자기 유도에 대한 제1위치를 검출하는 과정;
    터치 패널로부터 정전용량 변화에 대한 제2위치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제2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제1위치를 보정하는 과정; 및
    상기 보정한 제1위치를 터치 위치로 지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입력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제1위치를 보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1위치에 상응하는 범위에 상기 제2위치가 포함되는 경우 수행하는 입력 처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제1위치를 보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가 동시에 검출되거나, 임계 시간 안에 모두 검출되는 경우 수행하는 입력 처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제1위치를 보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1위치에 대한 상기 제2위치의 방향을 판단하고, 판단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1위치를 이동시키는 입력 처리 방법.
  5. 디지타이저 패드;
    상기 디지타이저 패드 상부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
    상기 디지타이저 패드로부터 전자기 유도에 대한 제1위치를 검출하는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
    터치 패널로부터 정전용량 변화에 대한 제2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패널 컨트롤러; 및
    상기 제2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제1위치를 보정하고, 보정한 제1위치를 터치 위치로 지정하는 호스트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제1위치에 상응하는 범위에 상기 제2위치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2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제1위치를 보정하는 전자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가 동시에 검출되거나, 임계 시간 안에 모두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2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제1위치를 보정하는 전자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제2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제1위치를 보정하는 경우, 상기 제1위치에 대한 상기 제2위치의 방향을 판단하고, 판단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1위치를 이동시키는 전자 장치.
  9. 디지타이저 패드;
    상기 디지타이저 패드 상부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
    상기 디지타이저 패드로부터 전자기 유도에 대한 제1위치를 검출하는 디지타이저 패드 컨트롤러;
    터치 패널로부터 정전용량 변화에 대한 제2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패널 컨트롤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모듈은,
    상기 제2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제1위치를 보정하고, 보정한 제1위치를 터치 위치로 지정하는 전자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제1위치에 상응하는 범위에 상기 제2위치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2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제1위치를 보정하는 전자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가 동시에 검출되거나, 임계 시간 안에 모두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2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제1위치를 보정하는 전자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제2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제1위치를 보정하는 경우, 상기 제1위치에 대한 상기 제2위치의 방향을 판단하고, 판단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1위치를 이동시키는 전자 장치.
  13. 막대 형태로 일단이 상대적으로 좁아지게 개구되고,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단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범위 이동 가능하며, 셀프 센터링이 가능한 팁;
    상기 팁과 이격하고, 상기 팁의 언저리에 해당하는 상기 하우징의 적소에 설치되며, 탄성 복원 가능한 정전체; 및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설치되고 누름 가능한 버튼;
    상기 팁이 상기 하우징 내부로 가압되는 경우 또는 상기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커패시턴스를 변경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공진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을 소정 각도로 기울여 평면에 맞닿게 하는 경우, 상기 팁과 정전체가 동시에 상기 평면에 접촉되는 스타일러스 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체는,
    정전 고무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회로는,
    상기 팁이 상기 하우징 내부로 가압되는 경우, 커패시턴스를 변경하는 가변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회로는,
    상기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병렬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KR1020120102343A 2012-09-14 2012-09-14 스타일러스 펜, 이를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995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343A KR101995403B1 (ko) 2012-09-14 2012-09-14 스타일러스 펜, 이를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4/026,999 US9569041B2 (en) 2012-09-14 2013-09-13 Stylus pen, input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EP13184359.1A EP2717132B1 (en) 2012-09-14 2013-09-13 Input processing method using a stylus p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CN201310421308.9A CN103677335B (zh) 2012-09-14 2013-09-16 触控笔、使用触控笔的输入处理方法及其电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343A KR101995403B1 (ko) 2012-09-14 2012-09-14 스타일러스 펜, 이를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726A true KR20140035726A (ko) 2014-03-24
KR101995403B1 KR101995403B1 (ko) 2019-07-02

Family

ID=49165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343A KR101995403B1 (ko) 2012-09-14 2012-09-14 스타일러스 펜, 이를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69041B2 (ko)
EP (1) EP2717132B1 (ko)
KR (1) KR101995403B1 (ko)
CN (1) CN103677335B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578A (ko) * 2014-11-12 2016-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KR20160064719A (ko) * 2014-11-28 2016-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펜 입력장치, 그 입력 좌표 보정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KR20170041013A (ko) * 2015-10-06 2017-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동작 방지 기능을 가지는 펜 입력장치 및 펜 입력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US9904432B2 (en) 2014-06-23 2018-02-27 Lg Innotek Co., Ltd. Touch panel
KR101864190B1 (ko) * 2016-12-26 2018-06-04 주식회사 더한 다중 접촉 방식의 전자펜
WO2018216868A1 (ko) * 2017-05-22 2018-1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입력 장치의 입력 처리 방법
WO2019212212A1 (ko) * 2018-05-03 2019-11-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커패시터 회로를 포함하는 펜 입력 장치
US11163407B2 (en) 2017-03-16 2021-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device including pen tip, electronic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249593B2 (en) 2016-07-29 2022-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en input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7473A (ko) * 2012-03-22 2013-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펜
US20140247238A1 (en) * 2013-03-01 2014-09-04 Barnesandnoble.Com Llc System and method for dual mode stylus detection
KR102131776B1 (ko) * 2013-08-06 2020-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15087785A (ja) * 2013-10-28 2015-05-07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及び座標補正方法
CN106462263B (zh) * 2014-07-11 2020-07-17 株式会社和冠 位置指示器、位置检测装置以及位置检测装置的输入控制方法
US20170220133A1 (en) * 2014-07-31 2017-08-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ccurately positioning instruments
CN104216538B (zh) * 2014-08-26 2018-04-10 汉王科技股份有限公司 无源电容笔、电容触控面板、电容触控装置及交互方法
EP2998834B1 (en) 2014-08-27 2020-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anel
KR20160025440A (ko) * 2014-08-27 2016-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좌표 측정 시스템
WO2016129194A1 (ja) * 2015-02-09 2016-08-18 株式会社ワコム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センサコントローラ及びスタイラス
US9977519B2 (en) * 2015-02-25 2018-05-22 Synaptics Incorporated Active pen with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S10082890B2 (en) 2015-09-01 2018-09-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lectrostatic communication using an active stylus
US9740312B2 (en) * 2015-09-09 2017-08-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sure sensitive stylus
CN105786289B (zh) * 2016-03-31 2018-12-1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降低屏幕输入干扰的方法及电子设备
US10296089B2 (en) * 2016-08-10 2019-05-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aptic stylus
TWI616799B (zh) 2017-01-16 2018-03-01 宏碁股份有限公司 輸入裝置
CN110869897A (zh) * 2017-07-14 2020-03-06 株式会社和冠 修正笔坐标与指示器的显示位置之间的偏离的方法
TWI636355B (zh) * 2017-08-01 2018-09-21 群光電能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印章
US10509489B2 (en) 2017-09-26 2019-12-17 Yong Bum Kim Systems and related methods for facilitating pen input 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US10540023B2 (en) 2017-09-26 2020-01-21 Yong Bum Kim User interface devices for virtual reality system
CN109947272B (zh) * 2019-03-25 2020-04-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笔及驱动方法
JP7300304B2 (ja) * 2019-04-22 2023-06-29 株式会社ワコム ペン状態検出回路及びペン状態検出方法
KR20210070458A (ko) 2019-12-04 2021-06-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210073699A (ko) * 2019-12-10 2021-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7472262B2 (ja) * 2020-03-04 2024-04-22 株式会社ワコム 入出力モデルを設定可能なペン状態検出回路
KR20210145876A (ko) 2020-05-25 2021-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장치
KR20220030460A (ko) 2020-09-01 2022-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DE102020125576A1 (de) 2020-09-30 2022-03-31 Preh Gmbh Wahlfrei auf einer Positionierfläche positionierbarer Schiebe- und/oder Drehregler mit beweglichem Betätigungsteil und elektromagnetischer Wechselfeldbeeinflussung zur Ermittlung einer Stellungsinformation
JP2022083939A (ja) * 2020-11-25 2022-06-06 株式会社ワコム 方法、センサコントローラ、及び電子機器
CN112667103B (zh) * 2020-12-28 2023-10-17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书写装置的校正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US11941193B2 (en) 2022-06-23 2024-03-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ireless uplink communication system
CN115185389B (zh) * 2022-09-09 2022-12-06 广州市保伦电子有限公司 一种提放笔状态识别方法、装置、存储介质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81A (ja) * 1993-06-28 1995-01-17 Pentel Kk 座標検出装置における補間法
JPH08314615A (ja) * 1995-05-18 1996-11-29 Wacom Co Ltd 座標検出装置及び角度情報検出方法
US20080142280A1 (en) * 2006-12-13 2008-06-19 Sadao Yamamoto Coordinate input device
US20120037433A1 (en) * 2010-08-16 2012-02-16 Yun-Hsiang Yeh Handwritten input device and an angle correct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0326A (ja) * 1986-09-12 1988-03-30 Wacom Co Ltd 位置検出装置
US5491706A (en) * 1993-04-07 1996-02-13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integrated type tablet device capable of detecting correct coordinates at a tip end of a detection pen by detecting external noise
MXPA01005267A (es) * 1998-11-27 2002-04-24 Synaptics Uk Ltd Sensor de posicion.
KR100459230B1 (ko) * 2002-11-14 2004-12-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KR101080525B1 (ko) 2004-07-20 2011-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자동 기울임 장치
US9019209B2 (en) * 2005-06-08 2015-04-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location determination involving multiple touch location processes
US8599143B1 (en) * 2006-02-06 2013-12-03 Leapfrog Enterprises, Inc. Switch configuration for detecting writing pressure in a writing device
JP4876718B2 (ja) 2006-05-31 2012-02-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ペーパー記録装置
KR100901870B1 (ko) 2007-06-29 2009-06-0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전자펜 문자 인식율 개선 방법 및 그 시스템
US8493340B2 (en) * 2009-01-16 2013-07-23 Corel Corporation Virtual hard media imaging
US20130009907A1 (en) * 2009-07-31 2013-01-10 Rosenberg Ilya D Magnetic Stylus
TWI399688B (zh) * 2010-06-08 2013-06-21 Waltop Int Corp 整合電磁式及電容感應輸入裝置
US8638320B2 (en) * 2011-06-22 2014-01-28 Apple Inc. Stylus orientation detection
US20130271487A1 (en) * 2012-04-11 2013-10-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sition lag reduction for computer drawing
US20140204038A1 (en) * 2013-01-21 2014-07-24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81A (ja) * 1993-06-28 1995-01-17 Pentel Kk 座標検出装置における補間法
JPH08314615A (ja) * 1995-05-18 1996-11-29 Wacom Co Ltd 座標検出装置及び角度情報検出方法
US20080142280A1 (en) * 2006-12-13 2008-06-19 Sadao Yamamoto Coordinate input device
US20120037433A1 (en) * 2010-08-16 2012-02-16 Yun-Hsiang Yeh Handwritten input device and an angle correcting method thereof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4432B2 (en) 2014-06-23 2018-02-27 Lg Innotek Co., Ltd. Touch panel
KR20160056578A (ko) * 2014-11-12 2016-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KR20160064719A (ko) * 2014-11-28 2016-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펜 입력장치, 그 입력 좌표 보정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KR20170041013A (ko) * 2015-10-06 2017-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동작 방지 기능을 가지는 펜 입력장치 및 펜 입력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US11249593B2 (en) 2016-07-29 2022-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en input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KR101864190B1 (ko) * 2016-12-26 2018-06-04 주식회사 더한 다중 접촉 방식의 전자펜
US11163407B2 (en) 2017-03-16 2021-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device including pen tip, electronic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8216868A1 (ko) * 2017-05-22 2018-1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입력 장치의 입력 처리 방법
WO2019212212A1 (ko) * 2018-05-03 2019-11-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커패시터 회로를 포함하는 펜 입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17132A2 (en) 2014-04-09
US9569041B2 (en) 2017-02-14
CN103677335B (zh) 2017-01-18
CN103677335A (zh) 2014-03-26
US20140078105A1 (en) 2014-03-20
EP2717132B1 (en) 2015-11-18
KR101995403B1 (ko) 2019-07-02
EP2717132A3 (en)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403B1 (ko) 스타일러스 펜, 이를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056316B1 (ko) 터치 스크린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925485B1 (ko) 근접 터치 감지 장치 및 방법
US20150378557A1 (en)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interfacing method thereof
US20140240264A1 (en) Method of controlling even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40210706A1 (en) Electronic device employing a flexible displa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87392B1 (ko)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U2014201875B2 (en) Method of controlling touch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40240259A1 (en) Method for detecting touch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2645290A2 (en) Devices and methods for unlocking a lock mode
JP7329150B2 (ja) タッチボタン、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
KR20140055444A (ko) 터치 감지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US112099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rientation of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50045637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70108662A (ko)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23606B1 (ko) 터치 스크린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WO2014132965A1 (ja) 携帯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19061A (ko) 무선 연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342736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sensor uni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78208B1 (ko) 터치 오 입력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158293B1 (ko) 이미지 촬영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027548B1 (ko) 전자장치에서 화면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30115693A (ko) 확대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2013236345A (ja) 携帯通信端末
KR20150009197A (ko) 보조 패널을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