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440A -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좌표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좌표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5440A
KR20160025440A KR1020150080201A KR20150080201A KR20160025440A KR 20160025440 A KR20160025440 A KR 20160025440A KR 1020150080201 A KR1020150080201 A KR 1020150080201A KR 20150080201 A KR20150080201 A KR 20150080201A KR 20160025440 A KR20160025440 A KR 20160025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s
electrode
signal
stylus pen
respons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수
강병훈
박주완
김관형
홍성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5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274B1/ko
Priority to TW104126311A priority patent/TWI584183B/zh
Priority to TW106109668A priority patent/TWI670636B/zh
Priority to US14/833,629 priority patent/US10379694B2/en
Priority to EP15182178.2A priority patent/EP2998834B1/en
Priority to CN201510536439.0A priority patent/CN105389064B/zh
Priority to PCT/KR2015/008962 priority patent/WO2016032245A1/en
Priority to AU2015307393A priority patent/AU2015307393B2/en
Publication of KR20160025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4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 패널이 개시된다. 본 터치 패널은,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채널 전극부, 및, 채널 전극부 내의 전극들에 대해 복수의 전극 단위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구동 신호를 정전 용량 결합(Capacitive Coupling)을 통하여 터치 패널로 접근한 스타일러스 펜의 공진 회로로 전달하고, 스타일러스 펜의 공진 회로에서 야기되는 응답 신호를 복수의 전극 각각으로부터 수신하여 공진 회로를 포함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좌표 측정 시스템{TOUCH PENEL AND COORDINATE INDICAT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좌표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터치 패널 및 좌표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의 보급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내장되는 접촉 위치 측정 장치에 대한 기술의 개발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는 주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의 특정 좌표를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좌표를 지정함으로써 스마트폰에 특정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전기적 방식, 적외선 방식 및 초음파 방식 등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R 타입 터치 스크린(resistive touch screen) 또는 C 타입 터치 스크린(capacitive touch screen)을 전기적 동작 방식의 예로서 들 수 있다.
종래에는 터치 스크린 중 사용자의 손가락 및 스타일러스 펜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R 타입 터치 스크린이 많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R 타입 터치스크린의 경우, ITO 층 사이의 공기층에 의한 반사에 의한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C 타입 터치 스크린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C 타입 터치 스크린은 물체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하는 투명 전극의 정전 용량의 차이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터치 스크린이다. 그러나 C 타입 터치 스크린은 손과 펜의 물리적인 구분이 어려워서 펜 사용시에 의도하지 않은 손의 접촉에 의한 동작 오류를 갖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에는 접촉 면적에 따라서 손과 펜을 구분하는 소프트웨어만으로 처리하는 방법 및 C 타입 터치 스크린 이외에 EMR(electro magnetic resonance) 방식과 같은 별도의 위치측정장치를 구비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손과 펜을 구분하였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방식은 의도하지 않은 손의 접촉에 의한 오류를 완전히 해결할 수 없으며, EMR 방식의 경우에는 별도의 위치 측정장치가 구비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무게 및 비용 증가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위치측정장치의 추가 없이, 손과 펜을 구분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청되었다.
한편, 스타일러스 펜은 배터리 교환 등의 불편함, 비용 및 무게 등에서 패시브(passive)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에서, 내부 전원 없이 스타일러스 펜을 감지하기 에 충분한 신호를 확보 가능한 스타일러스 감도 개선도 요청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상술한 기술 개발 요청에 응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 파악을 위한 신호 감도를 개선할 수 있는 터치 패널 및 좌표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채널 전극부, 및, 상기 채널 전극부 내의 전극들에 대해 복수의 전극 단위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정전 용량 결합(Capacitive Coupling)을 통하여 상기 터치 패널로 접근한 스타일러스 펜의 공진 회로로 전달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공진 회로에서 야기되는 응답 신호를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공진 회로를 포함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채널 전극부는, 접촉 물체의 접근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간의 커패시턴스가 가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간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 교차점에서 각 전극 간의 커패시턴스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커패시턴스에 기초하여 상기 접촉 물체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제1 전극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 및 제2 전극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을 기초로 상기 공진 회로를 포함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모두에 대해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 단위로 복수의 서브 그룹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서브 그룹 내의 모든 제1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응답 신호가 가장 크게 수신된 전극 및 상기 가장 크게 수신된 전극과 기설정된 간격 내의 전극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가장 큰 응답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가 전달될 전극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장 큰 응답 신호가 기설정된 제1 크기 이상이면 상기 가장 큰 응답 신호가 수신된 제1 전극에만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가장 큰 응답 신호가 제1 크기 미만이고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 이상이면, 복수의 제1 전극 중 가장 큰 응답 신호의 제1 전극과 기설정된 범위 내의 제1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가장 큰 응답 신호가 상기 제2 크기 미만이면 복수의 제1 전극 중 가장 큰 응답 신호의 제1 전극과 기설정된 범위 내의 제1 전극, 복수의 제2 전극 중 가장 큰 응답 신호의 제2 전극과 기설정된 범위 내의 제2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 접촉된 물체를 식별하고, 식별된 물체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 이외의 접촉물체이면, 하나의 전극에만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한편, 본 터치 패널은,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구간 내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각각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응답 신호를 기초로 상기 공진 회로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각각의 응답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제1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의 인가와 각각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대한 응답 신호의 수신이 교번적으로 수행되도록 상기 구동부 및 수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각각의 응답 신호를 복수의 채널 단위로 병렬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부는, 상기 수신된 응답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된 응답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응답 신호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부는, 복수의 전극으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 각각을 증폭하는 병렬 증폭부, 상기 증폭된 복수의 신호 각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복수의 응답 신호 간의 차이로부터 기설정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중 두 개 전극의 응답 신호의 차이를 차분 증폭하여 출력하는 차분 증폭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중 두 개 전극의 응답 신호의 차이를 차분 증폭하여 출력하는 차분 증폭부, 상기 차분 증폭된 응답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응답 신호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전극 이외의 전극은 접지되도록 상기 채널 전극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에 동일한 제1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1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제1 전극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제1 전극들에 상기 제1 구동 신호와 180도 위상차이를 갖는 제2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응답 신호가 가장 크게 수신된 전극을 중심으로 연속적으로 제1 서브 그룹, 제2 서브 그룹 및 제3 서브 그룹으로 구분하여, 상기 제1 서브 그룹 내의 전극에는 동일한 제1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2 서브 그룹 내의 전극은 접지되도록 하며, 상기 제3 서브 그룹 내의 전극에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와 위상이 반대인 제2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 및 접촉 물체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전극에는 동일한 제1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접촉 물체의 위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전극에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와 180도 위상차이를 갖는 제2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전극에 인가되는 제1 구동 신호와 상기 제2 전극에 인가되는 제2 구동 신호는 상이한 위상 차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시스템은, 복수의 전극 단위로 일괄적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터치 패널, 및, 상기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커패시턴스를 형성하며, 상기 형성된 커패시턴스를 통하여 공진을 위한 에너지를 수신하는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터치 패널로 접근한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야기되는 응답 신호를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판단한다.
이 경우,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형성하는 전도성 팁, 상기 전도성 팁에 연결된 인덕터 및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병렬 연결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상기 전도성 팁 간의 커패시티브 커플링을 통하여 공진을 위한 에너지를 수신하는 공진 회로부, 및, 직접적인 접촉 및 커패시티브 커플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사용자와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는 접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진 회로부는, 상기 전도성 팁의 접촉 압력에 따라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또는 상기 인덕터의 인덕턴스가 가변하여 공진 주파수가 가변되며,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응답 신호의 공진 주파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진 회로부는, 기설정된 커패시턴스를 갖는 제2 커패시터, 및,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커패시터를 상기 커패시터에 병렬 연결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응답 신호의 공진 주파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동작 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표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터치 패널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1의 터치 패널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채널 전극부의 구동 신호의 인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구동 신호가 입력되는 전극 개수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발생신호의 크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접촉 물체의 위치를 판단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공진 회로를 갖는 물체의 위치를 판단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 및 도 11은 터치 패널과 스타일러스 펜과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스타일러스 펜이 복수의 전극 사이에 배치된 경우의 등가 회로,
도 13은 도 12의 등가 회로에서 커패시턴스 값들이 충분히 큰 경우의 간략화한 등가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터치 패널, 손 및 스타일러스 펜과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복수의 구동 신호가 이상적인 경우와 실제 경우에 인가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손으로 전달된 응답 신호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손이 접촉된 경우의 구동 신호의 인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도 17과 같은 인가 동작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도 3과 같은 형태를 갖는 채널 전극부에서의 구동 신호의 인가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20은 전극에서의 구동 신호 전달의 지연에 따른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도 20과 같은 인가 동작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4 및 도 25는 도 23의 차동 증폭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7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8은 제5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9는 제6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0은 제7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1은 제 4 내지 제7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2는 도 1의 스타일러스 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3은 도 1의 스타일러스 펜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
도 3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
도 3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표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좌표 측정 시스템(300)은 터치 패널(100) 및 스타일러스 펜(200)을 포함한다.
터치 패널(100)은 접촉된 물체가 공진 회로를 갖는 스타일러스 펜(200)인지 손과 같은 접촉 물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패널(100)은 판단된 물체 종류에 대응되는 위치 판단 방식으로 구동 신호의 구동 방식 및 응답 신호의 처리 방식을 결정하여, 각 물체에 대응되는 적절한 위치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접촉 물체와 스타일러스 펜이 동시에 접촉된 경우, 터치 패널(100)은 접촉 물체의 접촉은 잘못된 접촉으로 판단하여 스타일러스 펜에 대한 위치만을 판단할 수 있다.
터치 패널(100)은 판단된 물체에 대응되는 방식으로 물체의 위치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터치 패널(100)은 접촉된 물체가 스타일러스 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접촉 물체를 인지하는 방식과 다른 방식으로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패널(100)은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며,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구동 신호를 정전 용량 결합을 통하여 터치 패널(100)로 접근한 스타일러스 펜의 공진 회로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터치 패널(100)은 복수의 전극에 동시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패널(100)은 동일한 위상의 구동 신호를 복수의 전극에 인가하거나,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를 고려하여 전극별로 다른 위상의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도 있다.
그리고 터치 패널(100)은 스타일러스 펜(200)의 공진 회로에서 야기되는 응답 신호를 복수의 전극 각각으로부터 수신하여 공진 회로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여기서 터치 패널(100)은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이거나,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PMP, MP3 player 등일 수 있다.
그리고 터치 패널(100)은 접촉된 물체가 손과 같은 접촉 물체인 것으로 판단되면, 접촉 물체의 접근에 의하여 복수의 제1 전극 및 복수의 제2 전극 간의 커패시턴스의 가변을 이용하여 접촉 물체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 물체의 위치 판단 동작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터치 패널(100)은 스타일러스 펜(200)과 손이 동시에 접촉된 것으로 판단되면, 스타일러스 펜(200)에 전달되는 구동 신호가 손 쪽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손이 위치하는 영역 내의 전극은 접지하거나, 해당 구동 신호와 상이한 위상을 갖는 구동 신호를 손이 위치하는 영역 내의 전극에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10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10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타일러스 펜(200)은 터치 패널(100) 내의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커패시턴스를 형성하며, 형성된 커패시턴스를 통하여 공진을 위한 에너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스타일러스 펜(200)은 공진 회로에서 야기되는 응답 신호를 터치 패널(100)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스타일러스 펜(200)은 스타일러스 펜(200)은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타일러스 펜(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32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시스템(300)은 터치 패널(100)이 정전 용량 결합을 통하여 스타일러스 펜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바, 스타일러스 펜(200)은 자체적인 전원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동작이 가능하다.
한편,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터치 패널(100)이 공진 회로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만을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손가락의 위치에 따는 전극의 커패시턴스 변화 또는 커패시턴스의 변화에 기인한 신호 크기 변화 등을 감지하여 손가락의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손가락 위치 판단 동작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터치 패널(100)에 하나의 스타일러스 펜(200)이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1대의 터치 패널(100)은 복수의 스타일러스 펜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터치 패널(100)은 복수의 스타일러스 펜 각각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터치 패널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터치 패널(100)은 채널 전극부(110) 및 제어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채널 전극부(110)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채널 전극부(110)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전극부(110)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들과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전극부(110)에 포함되는 복수의 전극의 형태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어부(120)는 채널 전극부(100) 내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에 따라 접촉된 물체가 손과 같은 접촉 물체인지, 펜과 같은 스타일러스 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수신된 응답 신호가 특정한 주파수 응답 신호인 경우에는, 접촉된 물체가 펜과 같은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20)는 수신된 응답 신호에서 특정한 주파수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손과 같은 접촉 물체에 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 물체의 판단은 최초 응답 신호가 수신된 경우뿐만 아니라,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감지 중에 사용자의 터치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이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손과 같은 접촉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방식으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 손의 위치를 감지 중에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또는 호버링)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손의 위치가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결정된 물체 종류에 따른 물체의 위치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타일러스 펜에 대한 위치 판단 동작을 먼저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120)는 채널 전극부(110) 내의 전극들에 대해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구동 신호를 정전 용량 결합(Capacitive Coupling)을 통하여 터치 패널(100)로 접근한 물체의 공진 회로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채널 전극부(110) 내의 전극들에 대해서 복수의 전극 단위로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기설정된 주기 단위로 복수의 전극 모두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일괄적으로 인가하거나,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 모두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일괄적으로 인가하거나,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 중 인접한 전극 몇 개에만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일괄적으로 인가하거나, 상호 교차하는 두 개의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일괄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가 방식은 일 예에 불과하며, 2개 이상의 전극에 동시에 구동 신호를 일괄적으로 인가하는 형태라면 상술한 예시 이외의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스타일러스 펜(200) 이외의 손과 같은 접촉 물체를 감지한 경우에는 스타일러스 펜(200)이 위치될 것이라고 예상되는 전극들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손과 같은 접촉 물체가 위치될 것이라고 예상되는 전극들에는 제1 구동 신호와 180도 위상 차이를 갖는 제2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동 신호와 제2 구동 신호는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구동 신호로 위상이 반대(즉, 180도 위상차이를 갖는)이다.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도 1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공진 회로에서 야기되는 응답 신호를 복수의 전극 각각으로부터 수신하여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구간 내에서 복수의 전극 각각으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전극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을 기초로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되어, 제1 방향으로 복수의 제1 전극이 배치되고, 제1 방향에 수직된 제2 방향으로 복수의 제2 전극이 배치된 경우, 제어부(120)는 제1 전극들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과 제2 전극들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을 기초로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수신된 응답 신호에 대해서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응답 신호의 감도를 향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수신된 복수의 응답 신호 각각을 증폭하거나, 복수의 응답 신호 간의 차이를 차동 증폭하거나, 특정 주파수 성분만을 추출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응답 신호의 감도를 향상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제어부(120)의 신호 처리 방식에 대해서는 도 22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수신된 응답 신호의 공진 주파수 변화에 기초하여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 압력을 감지하거나, 수신된 응답 신호의 공진 주파수 변화에 기초하여 스타일러스 펜의 동작 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물체가 손과 같은 접촉 물체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간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 교차점에서 각 전극 간의 커패시턴스를 계산하고, 계산된 커패시턴스에 기초하여 접촉 물체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공진 회로를 구비하지 않는 손과 같은 접촉 물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제1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복수의 제2 전극 각각에서의 수신되는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전극과 제2 전극 간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 교차점에서 각 전극 간의 커패시턴스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계산된 각 교차점의 커패시턴스를 기초로 가장 커패시턴스 변화가 큰 교차점을 접촉 물체의 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신호는 이진 값을 갖는 펄스 신호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100)은 정전 용량 결합을 통하여 스타일러스 펜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바, 스타일러스 펜(200)은 자체적인 전원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동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100)은 복수의 전극에 일괄적으로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바, 보다 큰 에너지를 스타일러스 펜(2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200)은 큰 응답 신호를 생성하는바, 수신 감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100)은 수신된 응답 신호에 대해서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바, 응답 신호에 대한 수신 감도를 향상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터치 패널(100)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터치 패널(100)은 상술한 구성 이외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100)이 터치 스크린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100)이 스마트폰, PMP 등의 장치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저장부, 통신 구성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터치 패널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터치 패널(100)은 채널 전극부(110) 및 제어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채널 전극부(110)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전극부(110)는 상호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전극 그룹(111) 및 제2 전극 그룹(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 그룹(111)은 제1 방향(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111-1, 111-2, 111-3, 111-4, 111-5, 111-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은 투명 전극으로, ITO(Indium Tin Oxide)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 그룹(111) 내의 복수의 제1 전극(111-1, 111-2, 111-3, 111-4, 111-5, 111-6)은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할 때, 소정의 송신 신호(Tx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용 전극일 수 있다.
제2 전극 그룹(112)은 제2 방향(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112-1, 112-2, 112-3, 112-4, 112-5, 112-6)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극은 투명 전극으로, ITO(Indium Tin Oxide)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전극 그룹(111) 내의 복수의 제2 전극(112-1, 112-2, 112-3, 112-4, 112-5, 112-6)은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할 때, 제1 전극에서 입력된 Tx 신호에 의하여 야기되는 Rx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용 전극일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전극 그룹 각각에 6개의 전극만이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7개 이상 또는 5개 이하의 전극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예에서는 전극 그룹 내의 전극의 형상이 단순한 직사각형 형태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각 전극의 형상은 보다 복잡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구동부(130), 수신부(140), MCU(150), 연결부(160)로 구성된다.
구동부(130)는 기결정된 시점에 채널 전극부(11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이러한 구동 신호는 기결정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사인파형 신호일 수 있다.
수신부(140)는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구간 내에서 채널 전극부(110) 내의 각 전극에서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부(140)는 하나의 전극 단위로 모든 전극의 응답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수신부(140)는 복수의 전극 단위로 모든 전극의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신부(140)는 수신된 응답 신호에 대해서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140)는 각 응답 신호를 증폭기를 이용하여 증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에 대해서는 도 2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수신부(140)는 두 응답 신호 단위로 차동 증폭하는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에 대해서는 도 2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수신부(140)는 수신된 응답 신호 중 기설정된 주파수 영역 내의 정보만을 추출하는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에 대해서는 도 2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MCU(150)는 구동 신호의 인가 및 각각의 전극에 대한 응답 신호의 수신이 교번적으로 수행되도록 구동부(130) 및 수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CU(150)는 제1 시간 구간에서 모든 제1 전극(111-1, 111-2, 111-3, 111-4, 111-5, 111-6)에 동일한 구동 신호가 동시에 인가되도록 구동부(130)를 제어하고, 구동 신호 인가 이후의 제2 시간 구간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극(예를 들어, 111-1)의 응답 신호가 수신되도록 수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에 MCU(150)는 제3 시간 구간에서 다시 모든 제1 전극(111-1, 111-2, 111-3, 111-4, 111-5, 111-6)에 동일한 구동 신호가 인가되도록 구동부(130)를 제어하고, 구동 신호 이후의 제4 시간 구간에서 다른 전극(예를 들어, 111-2)의 응답 신호가 수신되도록 수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MCU(150)는 모든 전극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횟수만큼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채널 전극부(110)는 12개의 전극을 포함하는바, MCU(150)는 12번의 인가/수신 동작을 교번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해서 도 8과 관련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모든 전극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MCU(150)는 제1 전극(111-1, 111-2, 111-3, 111-4, 111-5, 111-6)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 및 제2 전극(112-1, 112-2, 112-3, 112-4, 112-5, 112-6)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을 기초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111-3)의 응답 신호의 크기가 다른 제1 전극(111-1, 111-2, 111-4, 111-5, 111-6)의 응답 신호의 크기보다 크고, 제2 전극(112-2)의 응답 신호의 크기가 다른 제2 전극(112-1, 112-3, 112-4, 112-5, 112-6)의 응답 신호의 크기보다 크다면, MCU(150)는 제1 전극(111-3)과 제2 전극(112-2)이 교차하는 위치를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연결부(160)는 복수의 전극을 선택적으로 구동부(130)와 연결하거나, 복수의 전극을 선택적으로 수신부(140)와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60)는 MCU(150)의 제어에 따라 구동 신호를 인가할 전극과 구동부(13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60)는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전극은 접지 또는 플로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연결부(160)를 MCU가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구동 신호를 인가할 때는 구동부(130)가 연결부(160)를 제어하고, 응답 신호를 수신할 때는 수신부(140)가 연결부(16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제1 전극 그룹 내의 모든 제1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일괄적으로 인가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제2 전극 그룹 내의 모든 제2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가 일괄적으로 인가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전극 그룹 및 제2 전극 그룹 내의 모든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가 일괄적으로 인가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 이외의 방식으로 구동 신호가 인가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다양한 구동 신호의 인가 예를 설명한다.
한편, 도 3을 도시하고 설명함에 있어서, 복수의 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매트릭스 형태 이외의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채널 전극부의 구동 신호의 인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전극 그룹(111)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 단위로 복수의 서브 그룹으로 구분된다. 도시된 예에서 제1 전극 그룹(111)은 제1 서브 그룹(111-1, 111-2, 111-3) 및 제2 서브 그룹(111-4, 111-5, 111-6)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이전 과정에서 감지된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를 인가할 서브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결정된 서브 그룹 내의 모든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일괄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 과정에서 감지된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가 제1 전극(111-3)과 제2 전극(112-2)이 교차하는 위치이면, 제어부(120)는 해당 위치에 제1 서브 그룹(111-1, 111-2, 111-3)을 구동 신호가 입력될 서브 그룹으로 결정하고, 제1 서브 그룹 내의 전극들(111-1, 111-2, 111-3)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동시에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전극(111-4, 111-5, 111-6, 112-1, 112-2, 112-3, 112-4, 112-5, 112-6)에 대해서는 접지되도록 하거나 플로팅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서브 그룹이 미리 구분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서브 그룹은 동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이전 감지 과정에서 응답 신호가 가장 크게 수신된 전극(예를 들어, 111-3)과 해당 전극(111-3)과 기설정된 간격 내의 전극(예를 들어, 111-2, 111-4)을 구동 신호가 동시에 입력될 서브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그룹의 결정은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소요되는 하나의 시간 사이클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 전극 그룹 내에서만 서브 그룹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제1 전극 그룹(111)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111-3)과 제2 전극 그룹(112)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112-2)을 서브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제1 전극 그룹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 그룹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바, 스타일러스 펜에 전달되는 에너지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5는 구동 신호가 입력되는 전극 개수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발생신호의 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구동 신호가 입력되는 전극 개수가 증가할수록 스타일러스 펜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세기가 커짐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패널(100)에서 스타일러스 펜(200)으로 전달되는 에너지는 구동 전압과 '전극과 스타일러스 펜의 펜 팁 사이의 커패시턴스'에 의해 결정되며,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전극의 개수가 증가하면 펜 팁과의 커패시턴스가 증가하게 되어 이에 비례하여 펜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크기는 커지게 된다.
그리고 스타일러스 펜(200)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크기가 커지면, 터치 패널(100)에서 야기되는 응답 신호 역시 커지게 되어, 응답 신호의 감도를 향상할 수 있다.
도 6은 접촉 물체의 위치를 판단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접촉된 물체가 손과 같은 접촉 물체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복수의 전극 중 제1 전극(111-1~111-6)에 대해서만 기설정된 순서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전극(111-1)에 신호 인가, 그리고, 기설정된 시간 동안 신호 입력 중단, 그리고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전극(111-2)에 신호 인가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제1 전극에 신호 인가 및 인가 중단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신호 인가 사이의 신호 전달이 수행되지 않은 시점에(즉, 상술한 신호 입력 중간 기간동안), 제어부(120)는 복수의 제2 전극(112-1~112-6)에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응답 신호의 수신은 하나의 채널 단위 측, 하나의 전극 단위로 수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채널 단위로도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111-3)의 신호 인가 후에, 3개의 제2 전극(112-3, 112-4, 112-5)의 응답 신호의 측정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신호의 인가 및 응답 신호의 측정은 제1 채널의 개수만큼 수행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는 이전 과정에서 측정된 위치에 따라, 해당 위치 주변의 제1 전극에 대해서만 상술한 과정을 수행하여, 즉, 모든 제1 전극 중 일부 전극에 대한 측정만을 수행하여, 보다 빠른 측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앞서 과정에서의 복수의 제1 전극 각각에 대한 제2 전극에서의 응답 신호를 기초로 응답 신호의 세기 변화를 파악하고, 파악된 세기 변화를 기초로 접촉 물체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제1 전극에 대한 3개의 제2 전극에서의 수신된 응답 신호의 세기 변화가 표1과 같은 경우, 표의 값은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교차점에서의 커패시턴스 변화에 대응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111-3)과 제2 전극(112-3)에서의 신호 세기의 변화가 가장 큰바, 사용자의 터치는 해당 지점에서 이루어진 것을 판단할 수 있다.
기간 112-2에서의 Rx 신호 세기 112-3에서의 Rx 신호 세기 112-4에서의 Rx 신호 세기
111-2에서 구동 신호인가 2 8 3
111-3에서 구동 신호인가 5 15 6
111-4에서 구동 신호인가 2 4 5
도 7 내지 도 9는 공진 회로를 갖는 물체의 위치를 판단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이전 과정에서 감지된 공지 물체(200)의 위치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를 인가할 서브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결정된 서브 그룹 내의 전극(예를 들어, 111-2, 111-3, 111-4)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일괄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가 아닌 3개의 제1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200)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크기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200)이 터치 패널(100)에 접촉하지 않은 다소 떨어진 상태에서도 스타일러스 펜(200)의 응답 신호는 각 전극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100)은 사용자로부터 에어 커맨드(air command)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기설정된 개수만큼 단위로 전극에서의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동 신호의 인가와 응답 신호의 수신을 교번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시된 도면에서 검은색으로 표시된 라인이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전극이며, 해싱 처리된 라인이 응답 신호가 측정되는 라인이다. 이를 기초로 도 8a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기결정된 제1 서브 그룹 내의 전극(111-2, 111-3, 111-4)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신호의 인가 이후 기설정된 시간 이후에, 제어부(120)는 도 8b와 같이, 제1 전극(111-2)에서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기설정된 시간 단위 이후에도 8c와 같이, 제어부(120)는 다시 제1 서브 그룹 내의 전극(111-2, 111-3, 111-4)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도 8d와 같이, 다음 전극인 제1 전극(111-3)의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기설정된 주기 단위(도 8a, 8c, 8e, 8g, 8i, 8k)와 같은 시점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도 8b, 8d, 8f, 8h, 8j, 8l과 같은 각 구동 신호의 인가 중간 중간에 복수의 전극의 응답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각 전극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제1 전극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 및 제2 전극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을 기초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설명함에 있어서, 12개의 전극 중에 6개의 전극에 대해서만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구현 형태일 뿐, 구현시에는 12개 전극 모두에 대해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시에는 5개 이하의 전극에 대해서만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전극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개수 및 위치는 이전 과정에서 측정된 물체의 좌표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을 설명함에 있어서, 하나의 서브 그룹 단위로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서브 그룹의 결정은 응답 신호의 크기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펜이 도 9b와 같이 터치 패널(100)에 터치된 상태인 경우에는, 많은 채널이 구동 신호를 전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이전 감지된 위치에 대응되는 제1 전극만이 구동 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9a, 9c, 9d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이 터치 패널과 터치되지 않는 떠있는 상태(hover)인 경우에, 제어부(120)는 이전 감지된 위치에 대응되는 제1 전극과 그 주변의 제1 전극이 함께 구동 신호를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호버(hover)란 스타일러스 펜이 터치 패널과 터치되지 않고 터치 패널과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그 거리 간격에 따라 일반적인 근접과 가까운 근접(low hover), 먼 근접(high hover)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분은 감지된 응답 신호의 크기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 감지된 응답 신호의 크기가 미약한 경우, 즉, 스타일러스 펜이 터치 패널과 상당히 이격된 경우(도 9d와 같이 high hover인 경우), 제어부(120)는 도 9c와 같은 low hover인 경우보다 더 많은 공진 신호가 해당 스타일러스 펜에 전달될 수 있도록, 복수의 가로 전극(제1 전극)뿐만 아니라, 복수의 세로 전극(제2 전극)에서도 구동신호가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가장 큰 응답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가 전달될 전극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큰 응답 신호가 기설정된 제1 크기 이상이면(즉, 접촉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가장 큰 응답 신호가 수신된 제1 전극에만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장 큰 응답 신호가 제1 크기 미만이고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 이상이면(즉, low hover이면), 제어부(120)는 복수의 제1 전극 중 가장 큰 응답 신호의 제1 전극과 기설정된 범위 내의 제1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장 큰 응답 신호가 제2 크기 미만이면(즉, high hover이면), 제어부(120)는 복수의 제1 전극 중 가장 큰 응답 신호의 제1 전극과 기설정된 범위 내의 제1 전극, 복수의 제2 전극 중 가장 큰 응답 신호의 제2 전극과 기설정된 범위 내의 제2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응답 신호의 크기를 기초로 구동 신호가 동시에 인가될 전극의 개수를 가변하는 것만을 설명하였지만, 스타일러스 펜과 터치 패널간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는 다른 방식이 구비된다면, 해당 방식을 이용하여 전극의 개수를 가변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사용자 손과 같은 접촉 물체만이 접촉되거나, 스타일러스 펜만 터치 패널에 접촉되는 경우에 사용자 손의 접촉 위치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팁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스타일러스 펜의 팁과 사용자의 손은 동시에 터치 패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손이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따른 구동 신호의 변화 및 이를 고려한 구동 방식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10 내지 1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0 및 도 11은 터치 패널과 스타일러스 펜과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펜(200)이 복수의 전극(112-2, 112-3) 사이에 배치하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200)은 복수의 전극(112-2, 112-3) 각각과 개별적인 커패시턴스가 형성된다.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200)에는 2개의 구동 신호가 전달되어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200) 쪽으로 더 많은 에너지가 전달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스타일러스 펜(200)이 두 개의 전극하고만 커패시턴스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스타일러스 펜(200)과 전극간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 중 큰 것만을 대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스타일러스 펜(2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팁(210), 공진 회로부(220) 및 접지부(230)로 구성될 수 있는데, 접지부(230)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케이스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200)을 잡은 경우, 사용자의 몸을 통하여 접지된다. 이러한 연결 형태를 등가 회로로 그리면 도 12와 같다. 한편, 스타일러스 펜(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32 내지 도3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2는 스타일러스 펜(200)이 복수의 전극(112-2, 112-3) 사이에 배치된 경우의 등가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터치 패널(100)과 스타일러스 펜(200)은 복수의 커패시터를 통하여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터치 패널(100)의 전극은 제1 커패시터(313)를 통하여 스타일러스 펜(200)의 공진 회로와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커패시터(313)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전도성 팁(210)과 터치 패널(100)의 전극 간의 커패시턴스(C_cp)이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200)는 전극(112-2)과 전극(112-3) 사이에 배치되는바, 커패시턴스(C_cp)는 스타일러스 펜(200)과 전극(112-3) 사이의 커패시턴스와 스타일러스 펜(200)과 전극(112-3) 사이의 커패시턴스의 합이다.
공진 회로부(220)는 일 단이 제1 커패시터와 연결되고, 타 단이 제2 커패시터(314)와 제3 커패시터(216)와 공통 연결된다. 여기서 스타일러스 펜(200) 내의 공진 회로를 이루는 제1 커패시터로, 기설정된 응답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다.
제2 커패시터(314)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케이스(즉, 접지부)와 터치 패널(100)의 접지 간의 커패시턴스(C_pg)이다.
제3 커패시터(316)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케이스(즉, 접지부)와 사용자 손 간의 커패시턴스(C_pb)이다. 그리고 제3 커패시터(316)는 제4 커패시터(315)를 통하여 터치 패널(100)의 접지와 연결된다. 여기서 제4 커패시터(315)는 사용자의 손과 터치 패널(100)의 접지 간의 커패시턴스(C_bg)이다.
여기서, 제2 커패시터(314), 제3 커패시터(316), 제4 커패시터(315)의 커패시턴스 값들이 충분히 큰 경우에는 펜의 공진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가 매우 작아지므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2의 등가 회로를 간략화할 수 있다. 즉,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신호는 스타일러스 펜의 전도성 팁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ct1, ct2)를 통해서만 구동 회로부에 전달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도 14와 같이 손으로 펜을 잡고 필기를 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전극과 전도성 팁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ct1, ct2) 이외에도 사용자 손과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cb1, cb2, cb3)도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 상태에서 앞선 구동 방식과 같이 복수의 전극(112-2, 112-3, 112-4)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신호는 스타일러스 펜의 전도성 팁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ct1, ct2)뿐만 아니라, 동시에 사용자 손과의 커패시턴스(cb1, cb2, cb3)에도 전달된다. 사용자의 손은 스타일러스 펜(200)의 접지부에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구동 신호가 공진 회로부의 그라운드에 전달되게 된다.
한편, 공진 회로부는 전도성 팁(210)을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와 접지 사이의 전압 차이를 이용하여 공진을 발생하나, 접지를 통하여 동일한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전도성 팁과 접지 사이의 전압 차이가 감소하게 되어, 공진 신호의 크기가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대해서는 도 16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6은 손으로 전달된 응답 신호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터치 패널(100)과 스타일러스 펜(200)은 복수의 커패시터를 통하여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터치 패널(100)의 전극은 제1 커패시터(313)를 통하여 스타일러스 펜(200)의 공진 회로의 일 단과 연결되며, 또한 제5 커패시터(317) 및 제3 커패시터(316)를 통하여 공진 회로의 타 단과 연결된다.
여기서, 제5 커패시터(317)는 전극과 사용자 손 사이의 커패시턴스(C_cb)이다.
따라서, 채널 전극에서 발생되는 구동 신호는 전극과 사용자 손 사이의 커패시턴스(C_cb)와 사용자 손과 스타일러스 펜의 접지부 사이의 커패시턴스(C_pb)를 통하여 펜의 케이스(A)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구동 신호가 접지부에 인가됨에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200)의 접지는 이상적으로 안정적인 그라운드 상태를 갖지 못하고, 구동 신호에 따라 전압 레벨이 변화게 된다. 한편, 구동 회로부는 A지점과 B 지점의 전압 차이로 필요한 에너지를 축적하나, A 지점(즉, 접지부)의 전위가 구동 신호에 따라 움직이게 되면 A 지점과 B 지점의 전압 차이가 줄어들게 되어, 공진 신호의 크기가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손과 같은 접촉 물체와 스타일러스 펜이 동시에 터치 패널(100)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손이 위치되는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지 않거나, 180도 위상차를 갖는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스타일러스 펜에 야기되는 공진 신호의 크기가 감소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에 대해서는 도 1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7은 손이 접촉된 경우의 구동 신호의 인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200)을 잡고, 터치 패널(100) 상에 위치한다. 이하에서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전도성 팁은 전극(806, 807) 상에 위치하고, 사용자 손은 전극(806~811) 위에 배치되는 것을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부(120)는 스타일러스 펜이 위치된 전극(806, 807)에 동일한 제1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제1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전극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극(803, 804, 809, 810)은 제1 구동 신호와 180도 위상차이를 갖는 제2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제1 구동 신호와 제2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전극(801, 802, 805, 808, 811, 812)은 접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제1 구동 신호와 제2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전극들 사이에 접지되는 전극(805, 808)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제1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전극과 제2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전극은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해당 전극(801, 802, 805, 808, 811, 812)들을 접지시키는 대신에 플로팅 상태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동 방식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는 도 1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8은 도 17과 같은 인가 동작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8a는 손을 통하여 구동 신호가 스타일러스 펜의 접지부에 전달되는 경우의 구동 회로의 선간 전압을 도시한 도면, 도 18b는 이상적인 그라운드가 스타일러스 펜에 제공되는 경우의 구동 회로의 선간 전압을 도시한 도면, 도 18c는 본 실시 예에 따라 손이 배치되는 전극에 180도 위상차이를 갖는 제2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의 구동 회로의 선간 전압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VA, VB)가 전달되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의 구동 회로의 양 단에 동일한 위상의 구동 신호가 전달되며, 구동 회로에 전달되는 실질적으로 전달되는 구동 신호(VB-VA)는 하나의 전극을 통하여 전달되는 것보다 작게 된다.
도 18a를 참조하면, 손을 통하여 구동 신호가 스타일러스 펜의 접지부에 전달되면, 구동 회로의 선간 전압은 감소하게 되며, 그에 따라 공진에 활용될 수 있는 에너지는 줄어들게 된다.
도 18b를 참조하면, 이상적인 그라운드를 갖기 때문에 구동 회로에는 Va만이 제공되어 펜 팁으로 전달되는 전압 모두가 공진에 이용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스타일러스 펜과의 구동 회로의 일 단에만 구동 신호가 전달되는바, 구동 신호(VB)가 그대로 구동 회로의 응답 신호 생성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8c를 참조하면, 180도 위상 차이를 갖는 구동 신호가 스타일러스 펜의 접지에 제공되기 때문에 구동 회로의 선간 전압은 접지가 이상적인 경우보다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공진에 활용될 수 있는 에너지는 증가하고, 그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은 더 큰 크기의 공진 회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이러한 18c와 같은 효과가 발생하도록,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손이 위치하는 영역(또는 위치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영역)에는 스타일러스 펜이 위치하는 영역과 다른 위상의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제2 전극들에 대해서만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전극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공진 회로를 인가할 수 있다.
도 19는 도 3과 같은 형태를 갖는 채널 전극부에서의 구동 신호의 인가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응답 신호가 가장 크게 수신되는 전극을 중심으로 연속적으로 제1 서브 그룹(가장 진한 전극들), 제2 서브 그룹(어둡게 해싱된 전극들), 제3 서브 그룹(밝게 해싱된 전극들)으로 구분되며, 제1 서브 그룹에는 일반적인 제1 구동 신호가 인가되며, 제2 서브 그룹에는 접지되며, 제3 서브 그룹에는 제1 구동 신호와 180도 위상차이를 갖는 제2 구동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 신호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동시에 전달될 수 있는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따라 제1 전극에서 전달되는 구동 신호와 제2 전극에서 전달되는 구동 신호는 위상 차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0 및 21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0은 전극에서의 구동 신호 전달의 지연에 따른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펜(200)이 제1 전극(111-5, 111-6) 및 제2 전극(112-5, 112-6) 근처에 위치한 것을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20)는 제1 전극(111-5, 111-6) 및 제2 전극(112-5, 112-6)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130)에서 생성된 구동 신호는 A 지점 및 B 지점을 걸쳐 스타일러스 펜에 전달되고, 또한, C 지점과 D 지점을 걸쳐서도 전달된다.
한편, 터치 스크린의 전극으로서 투명 전극이 이용될 수 있는데, 투명 전극은 채널의 시작부분에서 끝 부분까지의 저항은 수십 k옴에 이르게 된다. 또한, 채널 전극은 주변의 전도체 들과 형성되는 기생 커패시턴스를 갖고 있으므로, 이러한 채널 전극의 높은 저항과 주변 전도체 간의 기생 커패시턴스로 인하여, 채널 전극을 지나는 신호는 지연을 갖게 된다. 즉, 채널 전극의 시작점에서 펜의 위치하는 지점이 멀수록 구동 신호의 딜레이는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도 20과 같이 제1 전극(111-6)과 제2 전극(112-6)에 동일한 구동 신호가 인가된다면, 제2 전극을 통하여 구동 신호가 먼저 스타일러스 펜(200)에 전달되고, 일정 지연 시간 이후에 제1 전극을 통하여 구동 신호가 스타일러스 펜(200)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200)에 전달되는 두 구동 신호는 동일한 위상을 갖지 않고, 일정한 위상차이를 갖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21의 A와 같이 A지점에서 전달되는 구동 신호와 C 지점에서 전달되는 구동 신호는 동일한 위상이 아니라 상이한 위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전달되는 두 개의 구동 신호가 위상차이를 갖게 되면 동일한 위상으로 구동신호를 전달할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신호가 펜에 전달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위치에 따라 제1 전극에 인가되는 제1 구동 신호와 제2 전극에 인가되는 제2 구동 신호가 상이한 위상차이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C 지점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에 대해서 일정 시간만큼 지연하여 인가함으로써 B와 D 포인트에서 전달되는 구동 신호의 위상이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는 전극의 위치별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룩업 테이블로 저장해 놓고, 이전 과정에서 감지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따라, 제어부(120)는 특정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룩업 테이블 값의 시간 값만큼 지연하여 인가할 수 있다.
도 2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응답 신호를 증폭하여 감도를 향상하는 실시 예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수신부(140)는 증폭부(121)로 구성될 수 있다.
증폭부(121)는 각 전극에서 전달되는 응답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수신부(140)는 증폭부(121)를 이용하여 신호를 증폭하여 이용하는바, 응답 신호의 수신 감도를 향상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수신부(140)가 하나의 증폭부(121)만을 포함하는바, 복수의 전극의 응답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전극 개수만큼 반복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한다. 따라서, 구현시에는 도 27과 같이 복수의 증폭부를 이용하여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23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응답 신호를 차동 증폭하여 감도를 향상하는 실시 예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수신부(140')는 차동 증폭부(122)로 구성될 수 있다.
차동 증폭부(122)는 복수의 전극에서 전달되는 복수의 응답 신호를 차동 증폭하여 출력한다. 차동 증폭기(122)의 동작 원리에 대해서는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4 및 도 25는 도 22의 차동 증폭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극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는 원하는 신호뿐만 아니라 노이즈도 함께 수신된다. 이러한 노이즈는 신호의 품질을 저하시켜, 시스템의 감도를 떨어뜨리게 되는데, 디지털 노이즈와 같은 노이즈는 채널 간에 비슷한 크기로 갖고 들어오게 된다.
따라서, 도 25과 같이 두 응답 신호의 차이를 증폭하게 되면, 노이즈 성분은 서로 상쇄하게 되고, 신호의 차이만이 증폭되어 좋은 품질의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두 전극에서 수신되는 두 응답 신호를 증폭하여 두 응답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차동 증폭부(122)에 입력되는 두 응답 신호 중 하나는 계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나, 다른 하나는 어느 하나로 고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식) 차동 증폭부(122)는 연속적으로 인접한 두 전극의 응답 신호를 차동 증폭하거나(예를 들어, 111-1과 111-2의 차동 증폭 이후에, 111-2와 111-3을 차동 증폭 처리), (제2 방식) 중첩되지 않게 두 전극의 응답 신호를 차동 증폭하거나(예를 들어, 111-1과 111-2의 차동 증폭 이후에 111-3, 111-4의 차동 증폭), (제3 방식) 하나의 전극의 응답 신호와 나머지 전극들의 응답 신호를 차동 증폭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111-1(디폴트)과 111-2를 차동 증폭 이후에 111-1과 111-3의 차동 증폭). 제3 방식의 경우, 디폴트로 이용되는 전극은 위치 측정을 사용되는 전극(110)이 아니라 노이즈 제거를 위한 별도의 전극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차동 증폭부(122)를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바, 수신 감도를 향상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수신부(140')가 하나의 차동 증폭부(122)만을 포함하는바, 복수의 전극의 응답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전극 개수만큼 반복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한다. 따라서, 구현시에는 도 28과 같이 복수의 차동 증폭부를 이용하여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26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3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신호만 추출함으로써 응답 신호의 감도를 향상하는 실시 예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수신부(140")는 증폭부(121), ADC부(123), 신호 처리부(또는 DSP)(124)로 구성될 수 있다.
증폭부(121)는 각 전극에서 전달되는 응답 신호 각각을 순차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ADC부(123)는 증폭된 응답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 처리부(124)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복수의 응답 신호 간의 차이로부터 기설정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극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원하는 신호뿐만 아니라, 노이즈도 함께 수신된다. 이러한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신호 처리부(124)를 이용하여 응답 신호의 주파수 영역에 대응되는 주파수 성분만을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기설정된 주파수 성분만을 추출하여 노이즈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바, 응답 신호의 수신 감도를 향상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수신부(140")가 하나의 증폭부(121)만을 포함하는바, 복수의 전극의 응답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전극 개수만큼 반복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한다. 따라서, 구현시에는 도 26과 같이 복수의 증폭부를 이용하여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제2 전극 그룹(112) 내의 제2 전극의 응답 신호만을 증폭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제1 전극 그룹 내의 제1 전극의 응답 신호도 증폭할 수 있다.
도 27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4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응답 신호를 증폭하여 감도를 향상하며, 복수의 증폭기를 이용하여 감지 속도를 개선한 실시 예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수신부(140"')는 복수의 증폭부(121-1, 121-2, 121-3)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증폭부(121-1, 121-2, 121-3)는 각 전극에서 전달되는 응답 신호를 병렬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1 수신 구간에서 각 증폭부(121-1, 121-2, 121-3)는 전극(111-1, 111-2, 111-3)의 응답 신호 각각을 동시에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수신 구간에서 각 증폭부(121-1, 121-2, 121-3)는 전극(111-4, 111-5, 111-6)의 응답 신호 각각을 동시에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3개의 채널 단위로 응답 신호를 병렬 처리하는바,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예를 들어, 도 9의 경우보다 처리 속도가 3배 빨라질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 각 증폭부(121-1, 121-2, 121-3)가 제1 전극 그룹 내의 제1 전극들의 응답 신호에 대해서만 증폭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 각 증폭부(121-1, 121-2, 121-3)는 제2 전극 그룹 내의 제2 전극들의 응답 신호에 대해서도 증폭할 수 있다.
도 28은 제5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5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응답 신호를 차동 증폭하여 감도를 향상하며, 복수의 차동 증폭기를 이용하여 감지 속도를 개선한 실시 예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수신부(140"")는 복수의 차동 증폭부(122-1, 122-2, 122-3)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차동 증폭부(122-1, 122-2, 122-3)는 두 전극에서 전달되는 두 개의 응답 신호를 병렬적으로 차동 증폭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각 차동 증폭부(122-1, 121-2, 121-3)는 각각 전극(111-1, 111-3, 111-5)와 전극(111-2, 111-4, 111-6)의 두 응답 신호를 차동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5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3개의 채널 단위로 응답 신호를 병렬 처리하는바,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예를 들어, 도 23의 경우보다 처리 속도가 3배 빨라질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 각 차동 증폭부(122-1, 122-2, 122-3)가 제1 전극 그룹 내의 제1 전극들의 응답 신호에 대해서만 차동 증폭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 각 증폭부(122-1, 122-2, 122-3)는 제2 전극 그룹 내의 제2 전극들의 응답 신호에 대해서도 차동 증폭할 수 있다. 또한, 구현시에는 제1 전극 그룹 내의 전극과 제2 전극 그룹 내의 전극을 차동 증폭할 수도 있다.
도 29는 제6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6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응답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신호만 추출함으로써 응답 신호의 감도를 향상하며, 복수의 증폭기를 이용하여 감지 속도를 개선한 실시 예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수신부(140""')는 복수의 증폭부(121-1, 121-2, 121-3), 복수의 ADC부(123-1, 123-2, 123-3) 및 신호 처리부(124')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증폭부(121-1, 121-2, 121-3)는 각 전극에서 전달되는 응답 신호를 병렬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1 수신 구간에서 각 증폭부(121-1, 121-2, 121-3)는 전극(111-1, 111-2, 111-3)의 응답 신호 각각을 병렬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수신 구간에서 각 증폭부(121-1, 121-2, 121-3)는 전극(111-4, 111-5, 111-6)의 응답 신호 각각을 병렬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각 ADC부(123-1, 123-2, 123-3)는 각 증폭부(121-1, 121-2, 121-3)에서 증폭한 응답 신호 각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124')는 복수의 ADC부(123-1, 123-2, 123-3)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경된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응답 신호 각각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6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3개의 채널 단위로 응답 신호를 병렬 처리하는바,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예를 들어, 도 23의 경우보다 처리 속도가 3배 빨라진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 각 증폭부(121-1, 121-2, 121-3)가 제1 전극 그룹 내의 제1 전극의 응답 신호에 대해서만 증폭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 각 증폭부(121-1, 121-2, 121-3)는 제2 전극 그룹 내의 제2 전극의 응답 신호에 대해서도 증폭할 수 있다.
한편, 도 26 및 도 29를 설명함에 있어서, 증폭기에 의하여 증폭된 신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도 26 및 도 29의 증폭기 대신에 차동 증폭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0은 제7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7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응답 신호를 차동 증폭하며, 응답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신호만 추출함으로써 응답 신호의 감도를 향상하며, 복수의 차동 증폭기를 이용하여 감지 속도를 개선한 실시 예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수신부(140""")는 복수의 차동 증폭부(122-1, 122-2, 122-3), 복수의 ADC부(123-1, 123-2, 123-3) 및 신호 처리부(124')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차동 증폭부(122-1, 122-2, 122-3)는 두 전극에서 전달되는 두 개의 응답 신호를 병렬적으로 차동 증폭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각 차동 증폭부(122-1, 121-2, 121-3)는 각각 전극(111-1, 111-3, 111-5)와 전극(111-2, 111-4, 111-6)의 두 응답 신호를 병렬적으로 차동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각 ADC부(123-1, 123-2, 123-3)는 각 차동 증폭부(122-1, 122-2, 122-3)에서 증폭한 응답 신호 각각을 병렬적으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124')는 복수의 ADC부(123-1, 123-2, 123-3)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경된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응답 신호 각각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7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3개의 채널 단위로 응답 신호를 병렬 처리하는바,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또한, 차동 증폭 및 특정 주파수 성분 추출의 두 단계로 노이즈를 제거하는바, 응답 신호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 각 차동 증폭부(122-1, 122-2, 122-3)가 제1 전극 그룹 내의 제1 전극들의 응답 신호에 대해서 증폭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 각 증폭부(122-1, 122-2, 122-3)는 제2 전극 그룹 내의 제2 전극들의 응답 신호에 대해서도 증폭할 수 있다.
도 31은 제 6 및 제7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a를 참조하면, 수신부(130)는 31a와 같이 제1 전극의 전극들의 응답 신호를 3개의 채널 단위로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세 개의 제1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가 동시에 인가되고, 구동 신호 인가 이후의 세 개의 제1 전극(예를 들어, 111-2, 111-3, 111-4)의 응답 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도록 수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3개의 채널 단위의 수신 이후에 다시 한번 동일한 구동 신호의 인가가 수행되고, 세 개의 다른 전극들의 응답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도 31b를 참조하면, 수신부(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극의 전극들의 응답 신호를 3개의 채널 단위로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세 개의 제1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가 동시에 인가되고, 구동 신호 인가 이후의 세 개의 제2 전극(예를 들어, 112-2, 112-3, 112-4)의 응답 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도록 수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1c를 참조하면, 수신부(130)는 6개의 전극에서 전달되는 6 개의 응답 신호를 병렬적으로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세 개의 제1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가 동시에 인가되고, 구동 신호 인가 이후의 세 개의 제1 전극(예를 들어, 111-2, 111-3, 111-4)과 세 개의 제2 전극(예를 들어, 112-2, 112-3, 112-4)의 응답 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도록 수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는, 복수의 채널 단위로 응답 신호를 처리하는바, 응답 처리 속도를 향상할 수 있다. 한편, 한번에 수신되는 채널의 개수는 스타일러스 펜의 터치 패널 상의 표면과의 거리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이 표면 상에 접촉된 경우, 동시에 수신하는 채널의 개수를 줄이고, 측정할 전극의 개수도 줄일 수 있다. 반대로, 스타일러스 펜이 표면과 이격된 경우, 동시에 수신하는 채널의 개수를 늘리고, 측정할 전극의 개수도 늘릴 수 있다. 구현시에는 동시 측정 개수와 전체 측정 전극의 개수는 상호 반비례 형태로 결정할 수도 있다.
도 32는 도 1의 스타일러스 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펜(200)은 전도성 팁(210), 공진 회로부(220), 접지부(2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타일러스 펜(200)은 예를 들어 펜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도성 팁(210)은 터치 패널(100) 내의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형성한다. 이러한 전도성 팁(310)은 예를 들어 금속성 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도성 팁(210)은 비전도성 물질 내부에 존재하거나 전도성 팁(21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 시에 필기 감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전도성 팁(210)이 외부와 직접적인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진 회로부(220)는 전도성 팁에 연결된 인덕터 및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병렬 연결 회로를 포함한다.
그리고 공진 회로부(220)는 터치 패널(100)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전도성 팁 간의 커패시티브 커플링을 통하여 공진을 위한 에너지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진 회로부(220)는 터치 패널(100)로부터 입력되는 구동 신호에 공진할 수 있다. 그리고 공진 회로부(220)는 구동 신호의 입력이 중단된 이후에도 공진에 의한 공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진 회로부(220)는 공진 회로부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사인파형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공진 회로부(220)는 전도성 팁의 접촉 압력에 따라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또는 인덕터의 인덕턴스가 가변하여 공진 주파수가 가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도 34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또한, 공진 회로부(2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또는 인덕터의 인덕턴스가 가변하여 공진 주파수가 가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도 35과 관련하여 후술한다.
도 33은 도 1의 스타일러스 펜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공진 회로부(220)는 인덕터(221) 및 커패시터(222)로 구성되며, 일 단이 전도성 팁과 연결되고, 타 단이 접지될 수 있다.
인덕터(211) 및 커패시터(222)는 병렬 연결되어, 공진 회로로 동작한다. 이러한 공진 회로는 특정 공진 주파수에서 고-임피던스(high-impedance)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공진 회로부(220')는 인덕터(221), 커패시터(222), 가변 커패시터(224)로 구성될 수 있다.
인덕터(211) 및 커패시터(222)는 병렬 연결되어, 공진 회로로 동작한다.
가변 커패시터(224)는 공진회로와 병렬 연결되며, 전도성 팁의 접촉 압력에 따라 커패시턴스가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도성 팁의 접촉 압력이 변화하게 되면, 가변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가변하게 되어 공진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0')은 터치 패널(100)과의 접촉 압력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가변 되는바, 터치 패널(100)은 응답 신호를 기초로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뿐만 아니라, 공진 주파수의 가변 량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가변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공진 주파수를 가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전도성 팁의 접촉 압력에 따라 인덕턴스가 가변될 수 있는 가변 인덕터를 이용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공진 회로부(220')를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공진 회로부(220")는 인덕터(221), 커패시터(222), 제2 커패시터(225) 및 스위치(226)로 구성될 수 있다.
인덕터(211) 및 커패시터(222)는 병렬 연결되어, 공진 회로로 동작한다.
제2 커패시터(225)는 기설정된 커패시턴스를 갖는다.
스위치(226)는 사용자의 온/오프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온/오프 명령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2 커패시터(225)를 커패시터(222)에 병렬 연결하게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위치를 온하면, 제2 커패시터(225)가 공진 회로에 병렬 연결되어, 공진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0")은 사용자의 스위치 동작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가변 되는바, 스타일러스 펜의 동작 모드를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제2 커패시터 및 스위치를 이용하여 공진 주파수를 가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제2 인덕터 및 스위치 또는 다른 회로 구성을 이용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공진 회로부(220")를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5에 따라 가변 되는 공진 주파수는 도 34에 따라 가변 되는 공진 주파수 범위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구현시에 도 34의 가변 커패시터와 도 35의 스위치 및 제2 커패시터가 함께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터치 패널(100)에서 공진 주파수의 변경이 접촉 압력의 변화에 의한 것인지, 스위치의 동작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스위치(225)의 동작에 의하여 가변 되는 공진 회로(220")의 공진 주파수는 도 32의 가변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변화에 따라 가변 되는 공진 주파수의 범위와 다를 수 있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채널 전극부 내의 복수의 전극들에 대해 복수의 전극 단위로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S3610). 이에 따라 구동 신호를 정전 용량 결합(Capacitive Coupling)을 통하여 터치 패널(100)로 접근한 스타일러스 펜(200)의 공진 회로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전극들에 대해서 복수의 전극 단위로 동일한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스타일러스 펜의 공진 회로에서 야기되는 응답 신호를 복수의 전극 각각으로부터 수신한다(S3620). 구체적으로,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구간 내에서 복수의 전극 각각으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된 응답 신호에 대해서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수신 감도를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수신 동작은 상술한 인가 동작과 교번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복수의 응답 신호를 기초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판단한다(S3630). 구체적으로, 복수의 전극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을 기초로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제1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전극들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과 제2 방향으로 배치된 제2 전극들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을 기초로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어 방법은 정전 용량 결합을 통하여 스타일러스 펜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바, 스타일러스 펜(200)은 자체적인 전원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동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전극에 일괄적으로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바, 보다 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수신 감도 및 측정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어 방법은 수신된 응답 신호에 대해서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바, 응답 신호에 대한 수신 감도를 향상할 수 있다. 도 36과 같은 제어 방법은, 도 2의 구성을 가지는 터치 패널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터치 패널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은 도 2의 제어부(120)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터치 패널 110: 채널 전극부
120: 제어부 200: 스타일러스 펜
210: 전도성 팁 220: 공진 회로부
230: 접지부 300: 좌표 측정 시스템

Claims (28)

  1. 터치 패널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채널 전극부; 및
    상기 채널 전극부 내의 전극들에 대해 복수의 전극 단위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정전 용량 결합(Capacitive Coupling)을 통하여 상기 터치 패널로 접근한 스타일러스 펜의 공진 회로로 전달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공진 회로에서 야기되는 응답 신호를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공진 회로를 포함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전극부는, 접촉 물체의 접근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간의 커패시턴스가 가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간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 교차점에서 각 전극 간의 커패시턴스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커패시턴스에 기초하여 상기 접촉 물체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전극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 및 제2 전극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을 기초로 상기 공진 회로를 포함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모두에 대해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 단위로 복수의 서브 그룹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서브 그룹 내의 모든 제1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응답 신호가 가장 크게 수신된 전극 및 상기 가장 크게 수신된 전극과 기설정된 간격 내의 전극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장 큰 응답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가 전달될 전극의 개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장 큰 응답 신호가 기설정된 제1 크기 이상이면 상기 가장 큰 응답 신호가 수신된 제1 전극에만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가장 큰 응답 신호가 제1 크기 미만이고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 이상이면, 복수의 제1 전극 중 가장 큰 응답 신호의 제1 전극과 기설정된 범위 내의 제1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가장 큰 응답 신호가 상기 제2 크기 미만이면 복수의 제1 전극 중 가장 큰 응답 신호의 제1 전극과 기설정된 범위 내의 제1 전극, 복수의 제2 전극 중 가장 큰 응답 신호의 제2 전극과 기설정된 범위 내의 제2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 접촉된 물체를 식별하고, 식별된 물체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 이외의 접촉물체이면, 하나의 전극에만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구간 내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각각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응답 신호를 기초로 상기 공진 회로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각각의 응답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제1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의 인가와 각각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대한 응답 신호의 수신이 교번적으로 수행되도록 상기 구동부 및 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각각의 응답 신호를 복수의 채널 단위로 병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수신된 응답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된 응답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응답 신호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복수의 전극으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 각각을 증폭하는 병렬 증폭부;
    상기 증폭된 복수의 신호 각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복수의 응답 신호 간의 차이로부터 기설정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중 두 개 전극의 응답 신호의 차이를 차분 증폭하여 출력하는 차분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중 두 개 전극의 응답 신호의 차이를 차분 증폭하여 출력하는 차분 증폭부;
    상기 차분 증폭된 응답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응답 신호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전극 이외의 전극은 접지되도록 상기 채널 전극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에 동일한 제1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1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제1 전극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제1 전극들에 상기 제1 구동 신호와 180도 위상차이를 갖는 제2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응답 신호가 가장 크게 수신된 전극을 중심으로 연속적으로 제1 서브 그룹, 제2 서브 그룹 및 제3 서브 그룹으로 구분하여, 상기 제1 서브 그룹 내의 전극에는 동일한 제1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2 서브 그룹 내의 전극은 접지되도록 하며, 상기 제3 서브 그룹 내의 전극에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와 위상이 반대인 제2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 및 접촉 물체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전극에는 동일한 제1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접촉 물체의 위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전극에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와 180도 위상차이를 갖는 제2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전극에 인가되는 제1 구동 신호와 상기 제2 전극에 인가되는 제2 구동 신호는 상이한 위상 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25. 좌표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전극 단위로 일괄적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터치 패널; 및
    상기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커패시턴스를 형성하며, 상기 형성된 커패시턴스를 통하여 공진을 위한 에너지를 수신하는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터치 패널로 접근한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야기되는 응답 신호를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판단하는 좌표 측정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형성하는 전도성 팁;
    상기 전도성 팁에 연결된 인덕터 및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병렬 연결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상기 전도성 팁 간의 커패시티브 커플링을 통하여 공진을 위한 에너지를 수신하는 공진 회로부; 및
    직접적인 접촉 및 커패시티브 커플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사용자와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는 접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표 측정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회로부는,
    상기 전도성 팁의 접촉 압력에 따라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또는 상기 인덕터의 인덕턴스가 가변하여 공진 주파수가 가변되며,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응답 신호의 공진 주파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 압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표 측정 시스템.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회로부는,
    기설정된 커패시턴스를 갖는 제2 커패시터; 및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커패시터를 상기 커패시터에 병렬 연결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응답 신호의 공진 주파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동작 모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표 측정 시스템.
KR1020150080201A 2014-08-27 2015-06-05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좌표 측정 시스템 KR20160025440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482A KR102428274B1 (ko) 2014-08-27 2015-07-03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좌표 측정 시스템
TW104126311A TWI584183B (zh) 2014-08-27 2015-08-13 觸碰面板
TW106109668A TWI670636B (zh) 2014-08-27 2015-08-13 座標測量系統以及觸碰面板
US14/833,629 US10379694B2 (en) 2014-08-27 2015-08-24 Touch panel and coordinate measuring system having the same
EP15182178.2A EP2998834B1 (en) 2014-08-27 2015-08-24 Touch panel
CN201510536439.0A CN105389064B (zh) 2014-08-27 2015-08-27 触摸面板
PCT/KR2015/008962 WO2016032245A1 (en) 2014-08-27 2015-08-27 Touch panel and coordinate measuring system having the same
AU2015307393A AU2015307393B2 (en) 2014-08-27 2015-08-27 Touch panel and coordinate measuring system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2467 2014-08-27
KR1020140112467 2014-08-27
US201562113697P 2015-02-09 2015-02-09
US62/113,697 2015-0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440A true KR20160025440A (ko) 2016-03-08

Family

ID=555344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201A KR20160025440A (ko) 2014-08-27 2015-06-05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좌표 측정 시스템
KR1020150095482A KR102428274B1 (ko) 2014-08-27 2015-07-03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좌표 측정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482A KR102428274B1 (ko) 2014-08-27 2015-07-03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좌표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20160025440A (ko)
AU (1) AU2015307393B2 (ko)
TW (2) TWI670636B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8968A (ko) * 2016-07-14 2018-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80085524A (ko) * 2017-01-19 2018-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0013453A1 (ko) * 2018-07-09 2020-01-16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장치 및 이의 터치 검출 방법
WO2020017794A1 (ko) * 2018-07-18 2020-01-23 주식회사 하이딥 스타일러스 펜
KR20200038758A (ko) * 2018-10-04 2020-04-14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장치 및 이의 터치 검출 방법
WO2020167029A1 (ko) * 2019-02-14 2020-08-20 주식회사 하이딥 스타일러스 펜
WO2020209639A1 (ko) * 2019-04-10 2020-10-15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장치 및 이의 터치 검출 방법
KR20200140434A (ko) * 2019-06-05 2020-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장치
US11947755B2 (en) 2021-04-15 2024-04-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touch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605B1 (ko) * 2016-09-06 2023-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의 구동 방법
KR102488630B1 (ko) * 2018-07-13 2023-0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표시 패널, 터치 표시 장치
JP7312192B2 (ja) * 2018-11-27 2023-07-20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斜交検出電極群を有する近接検出装置
KR102180034B1 (ko) * 2018-11-28 2020-11-17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장치 및 이의 터치 검출 방법
KR102426731B1 (ko) * 2018-11-28 2022-07-28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장치 및 이의 터치 검출 방법
KR102206051B1 (ko) 2019-01-22 2021-01-21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장치 및 이의 터치 검출 방법
KR102224833B1 (ko) * 2019-02-01 2021-03-08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장치
KR102459359B1 (ko) * 2019-02-01 2022-10-28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장치
KR20200142343A (ko) * 2019-06-12 2020-12-22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장치 및 이의 터치 검출 방법
KR20210034358A (ko) * 2019-09-20 2021-03-30 주식회사 하이딥 스타일러스 펜, 터치 장치, 및 터치 시스템
KR20210124649A (ko) * 2020-04-07 2021-10-15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장치 및 이의 터치 검출 방법
KR20220022022A (ko) 2020-08-14 2022-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692045B1 (ko) * 2021-03-02 2024-08-05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장치
WO2022203471A1 (ko) 2021-03-26 2022-09-29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입력 장치
KR20230061641A (ko) 2021-10-28 2023-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30063924A (ko) 2021-10-29 2023-05-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674309B1 (ko) * 2021-12-02 2024-06-12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입력 장치
EP4290341A3 (en) * 2022-06-07 2024-02-28 Hideep Inc. Pen and touch input system or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366123U (en) * 2009-04-10 2009-10-01 Prime View Int Co Ltd Touch control display apparatus and position indicator thereof
TWI503730B (zh) * 2009-07-20 2015-10-11 Asustek Comp Inc 電阻式觸控面板及其接觸點型態的偵測方法
KR100971220B1 (ko) * 2009-08-17 2010-07-20 주식회사 에프티랩 Lc공진주파수 변이를 이용한 정전용량방식 터치스크린패널의 검사방법
KR101773612B1 (ko) * 2011-01-13 2017-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영역 확인 장치 및 방법
KR101219273B1 (ko) * 2011-01-14 2013-0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시스템
US8928635B2 (en) * 2011-06-22 2015-01-06 Apple Inc. Active stylus
TWI537774B (zh) * 2012-03-15 2016-06-11 Passive stylus with constant power supply
TWM433596U (en) * 2012-03-15 2012-07-11 Uc-Logic Tech Corp Passive touch stylus with constant power source
KR101995403B1 (ko) * 2012-09-14 2019-07-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 이를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213455B2 (en) * 2012-10-17 2015-12-15 Atmel Corporation Stylus with resonant circuit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45408B2 (en) 2016-07-14 2024-07-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same
KR20180008968A (ko) * 2016-07-14 2018-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US11669185B2 (en) 2016-07-14 2023-06-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same
KR20180085524A (ko) * 2017-01-19 2018-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609653B2 (en) 2018-07-09 2023-03-21 Hideep Inc. Touch apparatus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of
WO2020013453A1 (ko) * 2018-07-09 2020-01-16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장치 및 이의 터치 검출 방법
US11995262B2 (en) 2018-07-09 2024-05-28 Hideep Inc. Touch apparatus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of
KR20200009363A (ko) * 2018-07-18 2020-01-30 주식회사 하이딥 스타일러스 펜
US11481047B2 (en) 2018-07-18 2022-10-25 Hideep Inc. Stylus pen resonating with a signal transferred from a touch sensor
WO2020017794A1 (ko) * 2018-07-18 2020-01-23 주식회사 하이딥 스타일러스 펜
KR20200038758A (ko) * 2018-10-04 2020-04-14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장치 및 이의 터치 검출 방법
US10942587B2 (en) 2019-02-14 2021-03-09 Hideep Inc. Stylus pen
WO2020167029A1 (ko) * 2019-02-14 2020-08-20 주식회사 하이딥 스타일러스 펜
US11347335B2 (en) 2019-04-10 2022-05-31 Hideep Inc. Touch apparatus and touch detection method for detecting touch position by stylus pen
WO2020209639A1 (ko) * 2019-04-10 2020-10-15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장치 및 이의 터치 검출 방법
KR20200140434A (ko) * 2019-06-05 2020-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장치
US11650702B2 (en) 2019-06-05 2023-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nsing device including a first electrode receiving a first driving signal and a second electrode receiving a second driving signal
US11947755B2 (en) 2021-04-15 2024-04-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touch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08448A (zh) 2016-03-01
TWI670636B (zh) 2019-09-01
KR102428274B1 (ko) 2022-08-03
TW201721393A (zh) 2017-06-16
AU2015307393A1 (en) 2017-02-02
TWI584183B (zh) 2017-05-21
KR20160025443A (ko) 2016-03-08
AU2015307393B2 (en)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5440A (ko)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좌표 측정 시스템
US10379694B2 (en) Touch panel and coordinate measuring system having the same
US10754468B2 (en)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coordinate measurement apparatus for measuring input position of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KR102050444B1 (ko) 터치 입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치 검출 방법
US9846499B2 (en) Touch panel and touch detection circuit
KR101429925B1 (ko) 입력 시스템
KR101441396B1 (ko) 입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치 검출 방법
US10019077B2 (en) Capacitive cordless writing device
US20150070297A1 (en) Control method for touch panel
WO2014076708A2 (en) Transparent proximity sensor
KR101668225B1 (ko) 터치스크린 패널을 이용한 압력 센싱 장치
CN111902798A (zh) 不接地的支持笔的设备上的触摸检测
CN102033637B (zh) 触摸屏位置检测方法
KR20140094232A (ko) 터치 입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치 검출 방법
US9817528B2 (en) Touch sensitive device having different surrounding patterns and related touchscreen
US20140043278A1 (en) Electrode configuration for large touch screen
KR102131310B1 (ko) 좌표 표시 장치 및 좌표 표시 장치의 입력 위치를 측정하는 좌표 측정 장치
CN203733099U (zh) 一种电感式触摸屏、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130342503A1 (en) Signal Enhancing Method for Capacitive Touch Panel of Mobile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