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4420A - 딥 소켓 - Google Patents

딥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420A
KR20140034420A KR1020120100561A KR20120100561A KR20140034420A KR 20140034420 A KR20140034420 A KR 20140034420A KR 1020120100561 A KR1020120100561 A KR 1020120100561A KR 20120100561 A KR20120100561 A KR 20120100561A KR 20140034420 A KR20140034420 A KR 20140034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guide frame
connecting portion
pin connecting
adjus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0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4420A/ko
Priority to US13/757,579 priority patent/US20140073177A1/en
Publication of KR20140034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0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 H05K7/1015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exterior leads
    • H05K7/103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exterior leads co-operating by sliding, e.g. DIP carriers
    • H05K7/1038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exterior leads co-operating by sliding, e.g. DIP carriers with spring contact pie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0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 H05K7/1015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exterior leads
    • H05K7/103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exterior leads co-operating by sliding, e.g. DIP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2Holders for supporting the complete device in operation, i.e. detachable f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딥 소켓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딥 소켓은, 딥 모듈의 복수개 핀이 접속되는 복수개의 접속부재가 각각 열을 형성하며 구비되는 제1 핀 접속부 및 제2 핀 접속부 및 상기 제1 핀 접속부 및 상기 제2 핀 접속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핀 접속부 및 상기 제2 핀 접속부 간의 폭을 조절하는 폭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딥 소켓{DIP SOCKET}
본 발명은 딥 소켓에 관한 것이다.
패키지 모듈은 시장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다기능화 / 소형화 / 결합화 과정을 거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모듈이 개발되고 있으며, 패키지 모듈의 형태에 따라 종속적으로 결정되는 소켓 또한, 다양한 형태의 모듈을 평가 하기 위해서 새로 설계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소켓에서 딥(DIP; dual in-line package) 타입 모듈을 대상으로한 딥 소켓은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피씨비(PCB; printed circuit board)에 소켓을 장착하여 고정시킨 후 딥 모듈을 딥 소켓에 삽입하여, 딥 소켓에 고정되어 있는 핀(pin)과 패키지의 리드가 전기적 접촉을 통해 패키지를 평가하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일본 공개실용 제1993-00124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기존 딥 소켓은 딥 소켓에 핀들이 일정한 핀(pin)간격 및 라인(line)폭으로 고정되어 있어, 핀간격 또는 라인사이 폭이 일정지 않은 딥 모듈의 경우 딥 모듈의 형태에 따라 새로 딥 소켓을 설계제작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실용 제1993-001247호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딥 모듈의 핀 간격에 따라 핀이 접속되는 딥 소켓의 접속부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딥 소켓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딥 모듈의 핀 라인 간의 폭에 따라 핀이 접속되는 딥 소켓의 접속부위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딥 소켓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은, 딥 모듈의 복수개 핀이 접속되는 복수개의 접속부재가 각각 열을 형성하며 구비되는 제1 핀 접속부 및 제2 핀 접속부 및 상기 제1 핀 접속부 및 상기 제2 핀 접속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핀 접속부 및 상기 제2 핀 접속부 간의 폭을 조절하는 폭 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상기 폭 조절수단은 상기 제1 핀 접속부의 측부에 형성된 안내 프레임 및 상기 안내 프레임과 대향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제2 핀 접속부의 측부에 구비된 슬라이드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이 상기 안내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드 되며 상기 제1 핀 접속부 및 상기 제2 핀 접속부 간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상기 폭 조절수단은 상기 안내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을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상기 안내 프레임은 내,외측을 관통하는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나사로 이루어져, 상기 나사가 상기 나사홀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상기 제1 핀 접속부 및 상기 제2 핀 접속부는 상기 딥 모듈의 복수개 핀 간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접속부재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상기 간격 조절수단은 상기 제1 핀 접속부 및 상기 제2 핀 접속부에 각각 위치되는 제1 가이드 프레임 및 제2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2 가이드 프레임에 각각 열을 형성하며 장착되고, 상기 복수개의 접속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복수개 핀블록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개 핀블록이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2 가이드 프레임의 안내를 받으며 각각 이동됨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접속부재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상기 간격 조절수단은 상기 복수개 핀블록을 고정하는 핀블록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상기 핀블록 고정수단은 상기 핀블록의 측부에 장착된 제1 자석부 및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2 가이드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되고, 자력에 의해 상기 제1 자석부와 착탈가능하게 상호 고정되는 제2 자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2 가이드 프레임은 일측에 내,외측을 관통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핀블록은 상기 삽입홀과 연결되도록 일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접속부재가 구비되는 접속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은, 딥 모듈의 복수개 핀이 각각 접속되는 복수개의 접속부재가 각각 열을 형성하며 구비되는 제1 핀 접속부 및 제2 핀 접속부 및 상기 제1 핀 접속부 및 상기 제2 핀 접속부가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핀 접속부 및 상기 제2 핀 접속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핀 접속부 및 상기 제2 핀 접속부는 상기 딥 모듈의 복수개 핀 간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접속부재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상기 간격 조절수단은 상기 제1 핀 접속부 및 상기 제2 핀 접속부에 각각 위치되는 제1 가이드 프레임 및 제2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2 가이드 프레임에 각각 열을 형성하며 장착되고, 상기 복수개의 접속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복수개 핀블록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개 핀블록이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2 가이드 프레임의 안내를 받으며 이동됨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접속부재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상기 간격 조절수단은 상기 복수개 핀블록을 고정하는 핀블록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상기 핀블록 고정수단은 상기 핀블록의 측부에 장착된 제1 자석부; 및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2 가이드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되고, 자력에 의해 상기 제1 자석부와 착탈가능하게 상호 고정되는 제2 자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2 가이드 프레임은 일측에 내,외측을 관통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핀블록은 상기 삽입홀과 연결되도록 일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접속부재가 구비되는 접속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상기 제1,2 접속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접속부 간의 폭을 조절하는 폭 조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상기 폭 조절수단은 상기 제1 핀 접속부의 측부에 형성된 안내 프레임 및 상기 안내 프레임과 대향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제2 핀 접속부의 측부에 구비된 슬라이드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이 상기 안내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드 되며 상기 제1 핀 접속부 및 상기 제2 핀 접속부 간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상기 폭 조절수단은 상기 안내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을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상기 안내 프레임은 내,외측을 관통하는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나사로 이루어져, 상기 나사가 상기 나사홀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딥 모듈의 핀이 접속되는 딥 소켓의 접속부위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딥 모듈의 핀 간격에 상관없이 다양한 형태의 딥 모듈과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조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딥 모듈의 핀이 접속되는 딥 소켓의 접속부위 폭을 조절할 수 있어, 딥 모듈의 핀 라인 간의 폭에 상관없이 다양한 형태의 딥 모듈과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조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폭 조절수단을 통해 제1 핀 접속부 및 제2 핀 접속부의 폭이 조절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폭 조절수단을 통해 제1 핀 접속부 및 제2 핀 접속부의 폭이 조절된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핀 접속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제1 핀 접속부의 핀 블록이 고정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제1 핀 접속부의 핀 블록이 고정된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제2 핀 접속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100)은, 제1 핀 접속부(110)와, 제2 핀 접속부(120) 및 폭 조절수단(지지부)(130,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핀 접속부(110) 및 제2 핀 접속부(120)는 간격 조절수단을 각각 포함한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딥 소켓(1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핀 접속부(110) 및 제2 핀 접속부(120)는 딥 모듈(10)의 복수개 핀(11,12)이 접속되는 접속부위인 복수개의 접속부재(113b,123b)가 각각 열(라인,line)을 형성하며 구비된다. 이때, 제1 핀 접속부(110) 및 제2 핀 접속부(120)는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폭 조절수단을 통해 제1,2 핀 접속부의 폭이 조절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폭 조절수단을 통해 제1,2 핀 접속부의 폭이 조절된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인 폭 조절수단(130,140)은 제1 핀 접속부(110) 및 제2 핀 접속부(120)가 양측에 배치되어 제1 핀 접속부(110) 및 제2 핀 접속부(120)를 지지한다. 이때, 폭 조절수단(130,140)은 제1 핀 접속부(110) 및 제2 핀 접속부(120)의 사이에 한 쌍으로 나란하게 구비되어, 제1 핀 접속부(110) 및 제2 핀 접속부(120) 간의 폭(a)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폭 조절수단(130,140)은 안내 프레임(131,141) 및 안내 프레임(131,141)에 안내를 받으며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 프레임(slide frame)(132,142)을 포함한다. 그리고, 폭 조절수단(130,140)은 고정부재(133,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내 프레임(131,141)은 제1 핀 접속부(110)의 측부에 형성되고, 슬라이드 프레임(132,142)은 제2 핀 접속부(120)의 측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안내 프레임(131,141)과 슬라이드 프레임(132,142)은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슬라이드 프레임(132,142)과 안내 프레임(131,141)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슬라이드 프레임(132,142)의 일측부가 안내 프레임(131,141)의 내측에 삽입되고, 안내 프레임(131,141)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프레임(132,142)의 일측부 외측면이 슬라이드(slide)된다.
아울러, 안내 프레임(131,141)은 내측에 안내 홀(hole)(131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드 프레임(132,142)은 안내 프레임(131,141)의 안내홀(131a)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내 프레임(131,141)은 사각형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원형관 형태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슬라이드 프레임(132,142)은 사각형 관 또는 사각형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부재(133,143)는 안내 프레임(131,141)과 슬라이드 프레임(132,142)을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133,143)는 나사로 이루어지고, 안내 프레임(131,141)에는 내,외측을 관통하는 나사홀(131b)이 형성되어, 나사가 나사홀(131b)에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드 프레임(132,142)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나사가 나사홀(131b)에 결합되면서 나사의 단부가 슬라이드 프레임(132,142)의 외면에 밀착되어 슬라이드 프레임(132,142)이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핀 접속부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제1 핀 접속부의 핀 블록이 고정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제1 핀 접속부의 핀 블록이 고정된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소켓에서 제2 핀 접속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간격 조절수단은 딥 모듈(10)의 복수개 핀(11,12) 간의 간격(b)에 따라 복수개의 접속부재(113b,123b) 간의 간격(b)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간격 조절수단은 제1 가이드 프레임(111)과 제2 가이드 프레임(121) 및 핀블록(pin block)(113,1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간격 조절수단은 핀블록(113,123)을 고정하는 핀블록 고정수단(114,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가이드 프레임(111) 및 제2 가이드 프레임(121)은 내측에 제1 가이드 프레임(111) 및 제2 가이드 프레임(121)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홀(111a,121a)이 형성된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 프레임(111) 및 제2 가이드 프레임(121)은 사각형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원형관 형태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제1 가이드 프레임(111) 및 제2 가이드 프레임(121)은 상측부 중앙에 내,외측을 관통하는 삽입홀(111b,121b)이 제1 가이드 프레임(111) 및 제2 가이드 프레임(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핀블록(113,123)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제1 가이드 프레임(111) 및 제2 가이드 프레임(121)에 각각 열을 형성하며 장착되어 복수개의 접속부재(113b,123b)가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핀블록(113,123)은 제1 가이드 프레임(111) 및 제2 가이드 프레임(121)의 가이드 홀(111a,121a)에 위치되어 가이드 홀(111a,121a)의 안내를 받으며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핀블록(113,123)은 상측부로 개방된 접속홈(113a,123a)이 형성되고, 접속홈(113a,123a)에 장착되는 접속부재(113b,123b)를 포함한다. 이때, 딥 모듈(10)의 핀(11,12)이 핀블록(113,123)의 접속홈(113a,123a)에 삽입되며 접속부재(113b,123b)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접속부재(113b,123b)는 일측부는 접속홈(113a,123a) 내부에 위치되고, 타측부는 핀블록(113,123)을 관통하여 제1 가이드 프레임(111) 및 제2 가이드 프레임(121)의 양측부로 돌출 형성되어 외부 단자(2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부재(113b,123b)의 타측부는 예를 들어 외부단자(20)의 리드선(21,22)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2,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가이드 프레임(111) 및 제2 가이드 프레임(121)의 양측부에 이동홀(111d,121d)이 형성되어 상기 접속부재(113b,123b)가 상기 이동홀(111d,121d)을 통해 제1 가이드 프레임(111) 및 제2 가이드 프레임(121)의 양측부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속부재(113b,123b)가 이동홀(111d,121d)을 통해 이동될 수 있어 핀블록(113,123)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접속부재(113b,123b)의 일측부는 핀블록(113,123)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제1 가이드 프레임(111) 및 제2 가이드 프레임(121)의 상측에 형성된 삽입홀(111b,121b)을 따라 접속부재(113b,123b)의 돌출부위가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접속부재(113b,123b)의 일측부는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딥 모듈(10)의 복수개 핀(11,12)이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다. 이때, 접속부재(113b,123b)의 일측부는 예를 들어 "X"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접속부재(113b,123b)는 예를 들어 와이어(wire)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핀블록 고정수단(114,124)은 일례로 제1 자석부(114a,124a) 및 제2 자석부(114b,124b)를 포함하여 복수개 핀블록(113,123)을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자석부(114a,124a)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복수개 핀블록(113,123)의 측부에 각각 장착되고, 제2 자석부(114b,124b)는 제1 가이드 프레임(111) 및 제2 가이드 프레임(121)의 외측에 위치되어, 제1 자석부(114a,124a)와 제2 자석부(114b,124b)가 자력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상호 고정됨으로써 핀블록(113,123)을 고정할 수 있다.
이때, 핀블록(113,123)을 이동시 제2 자석부(114b,124b)를 제1 자석부(114a,124a)에서 이탈시키면 제1 자석부(114a,124a)와 제2 자석부(114b,124b) 간의 자력에 의한 결합이 해제되어 핀블록(113,123)이 이동가능하다. 또한, 핀블록(113,123)의 이동 후 제2 자석부(114b,124b)를 제1 자석부(114a,124a)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자석부(114a,124a)와 제2 자석부(114b,124b)를 상호 간에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자석부(114a,124a)가 구비된 핀블록(113,123)을 제2 자석부(114b,124b)에 고정하여, 접속부재((113,123))가 구비된 복수개의 핀블록(113,123) 간의 간격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자석부(114a,124a) 및 제2 자석부(114b,124b)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2 자석부(114b,124b)는 바(bar)형태로 제1 가이드 프레임(111) 및 제2 가이드 프레임(121)의 외측 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자석부(114b,124b)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제1 가이드 프레임(111) 및 제2 가이드 프레임(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가이드 프레임(111) 및 제2 가이드 프레임(121)은 서로 마주 보는 방향의 측부에 고정홀(111c,121c)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홀(111c,121c)은 제1 가이드 프레임(111) 및 제2 가이드 프레임(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자석부(114a,124a)가 핀블록(113,123)에 장착시 고정홀(111c,121c) 방향으로 장착되고, 제2 자석부(114b,124b)가 고정홀(111c,121c)에 일측부가 삽입되어 제1 자석부(114a,124a)와 제2 자석부(114b,124b)의 자력에 의해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2 자석부(114b,124b)는 지지부(114c,124c)에 장착되어 지지부(114c,124c)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114c,124c)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지지부(114c,124c)에 장착된 제2 자석부(114b,124b)를 제1 자석부(114a,124a)에 이탈시키기 용이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부(114c,124c)는 비자성체 재질로 이루어져 제2 자석부(114b,124b)의 자력이 본 발명의 딥 모듈(100) 외부로 작용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지지부(114c,124c)의 재질이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지지부(114c,124c)는 고정홀(111c,121c)에 삽입가능하도록 일측부가 고정홀(111c,121c)에 대응되는 형태로 돌출형성된 돌출부(114c-1,124c-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자석부(114b,124b)가 돌출부의 단부에 부착됨으로써 고정홀(111c,121c)을 통해 제1 자석부(114a,124a)와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핀블록 고정수단(114,124)은 상기와 같은 제1 자석부(114a,124a) 및 제2 자석부(114b,124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일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일례로 핀블록 고정수단(114,124)이 복수개 고정나사로 이루어고, 제1 가이드 프레임(111) 및 제2 가이드 프레임(121)에 고정나사홀(미도시)이 형성되어, 고정나사가 고정나사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정나사가 핀블록(113,123)에 밀착되어 복수개 핀블록(113,123)을 고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딥 소켓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딥 모듈 11,12 : 핀
20 : 외부 단자 21,22 : 리드선
100 : 딥 소켓 110 : 제1 핀 접속부
120 : 제2 핀 접속부 111 : 제1 가이드 프레임
121 : 제2 가이드 프레임 111a,121a: 가이드 홀
111b,121b: 삽입홀 111c,121c: 고정홀
111d,121d: 이동홀 113,123 : 핀블록
113a,123a: 접속홈 113b,123b: 접속부재
114,124 : 핀블록 고정수단 114a,124a: 제1 자석부
114b,124b: 제2 자석부 114c,124c: 지지부
114c-1,124c-1: 돌출부 130,140 : 폭 조절수단
131,141 : 안내 프레임 131a: 안내홀
131b: 나사홀 132,142 : 슬라이드 프레임
133,143 : 고정부재

Claims (18)

  1. 딥 모듈의 복수개 핀이 접속되는 복수개의 접속부재가 각각 열을 형성하며 구비되는 제1 핀 접속부 및 제2 핀 접속부; 및
    상기 제1 핀 접속부 및 상기 제2 핀 접속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핀 접속부 및 상기 제2 핀 접속부 간의 폭을 조절하는 폭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딥 소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폭 조절수단은
    상기 제1 핀 접속부의 측부에 구비된 안내 프레임; 및
    상기 안내 프레임과 대향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제2 핀 접속부의 측부에 구비된 슬라이드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이 상기 안내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드 되어 상기 제1 핀 접속부 및 상기 제2 핀 접속부 간의 폭을 조절하는 딥 소켓.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폭 조절수단은
    상기 안내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을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딥 소켓.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내 프레임은 내,외측을 관통하는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나사로 이루어져,
    상기 나사가 상기 나사홀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딥 소켓.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핀 접속부 및 상기 제2 핀 접속부는
    상기 딥 모듈의 복수개 핀 간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접속부재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딥 소켓.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수단은
    상기 제1 핀 접속부 및 상기 제2 핀 접속부에 각각 위치되는 제1 가이드 프레임 및 제2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2 가이드 프레임에 각각 열을 형성하며 장착되고, 상기 복수개의 접속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복수개 핀블록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개 핀블록이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2 가이드 프레임의 안내를 받으며 각각 이동됨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접속부재 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딥 소켓.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수단은
    상기 복수개 핀블록을 고정하는 핀블록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딥 소켓.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핀블록 고정수단은
    상기 복수개 핀블록의 측부에 각각 장착된 복수개 제1 자석부; 및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2 가이드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되고, 자력에 의해 상기 복수개 제1 자석부와 착탈가능하게 상호 고정되는 제2 자석부를 포함하는 딥 소켓.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2 가이드 프레임은 일측에 내,외측을 관통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핀블록은 상기 삽입홀과 연결되도록 일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접속부재가 구비되는 접속홈이 형성되는 딥 소켓.
  10. 딥 모듈의 복수개 핀이 각각 접속되는 복수개의 접속부재가 각각 열을 형성하며 구비되는 제1 핀 접속부 및 제2 핀 접속부; 및
    상기 제1 핀 접속부 및 상기 제2 핀 접속부가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핀 접속부 및 상기 제2 핀 접속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핀 접속부 및 상기 제2 핀 접속부는 상기 딥 모듈의 복수개 핀 간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접속부재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딥 소켓.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제1 핀 접속부 및 상기 제2 핀 접속부에 각각 위치되는 제1 가이드 프레임 및 제2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2 가이드 프레임에 각각 열을 형성하며 장착되고, 상기 복수개의 접속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복수개 핀블록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개 핀블록이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2 가이드 프레임의 안내를 받으며 이동됨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접속부재 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딥 소켓.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핀블록을 고정하는 핀블록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딥 소켓.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핀블록 고정수단은
    상기 핀블록의 측부에 장착된 제1 자석부; 및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2 가이드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자석부와 착탈가능하게 자력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제2 자석부를 포함하는 딥 소켓.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2 가이드 프레임 관통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핀블록은 상기 삽입홀과 연결되도록 일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접속부재가 구비되는 접속홈이 형성되는 딥 소켓.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핀 접속부 및 상기 제2 핀 접속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핀 접속부 및 상기 제2 핀 접속부 간의 폭을 조절하는 폭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딥 소켓.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폭 조절수단은
    상기 제1 핀 접속부의 측부에 형성된 안내 프레임; 및
    상기 안내 프레임과 대향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제2 핀 접속부의 측부에 구비된 슬라이드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이 상기 안내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드 되며 상기 제1 핀 접속부 및 상기 제2 핀 접속부 간의 폭을 조절하는 딥 소켓.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폭 조절수단은
    상기 안내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을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딥 소켓.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안내 프레임은 내,외측을 관통하는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나사로 이루어져,
    상기 나사가 상기 나사홀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딥 소켓.
KR1020120100561A 2012-09-11 2012-09-11 딥 소켓 KR20140034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561A KR20140034420A (ko) 2012-09-11 2012-09-11 딥 소켓
US13/757,579 US20140073177A1 (en) 2012-09-11 2013-02-01 Dip so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561A KR20140034420A (ko) 2012-09-11 2012-09-11 딥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420A true KR20140034420A (ko) 2014-03-20

Family

ID=50233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561A KR20140034420A (ko) 2012-09-11 2012-09-11 딥 소켓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073177A1 (ko)
KR (1) KR20140034420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10418A (en) * 1939-08-29 1940-08-06 States Company Meter testing plug
US4375309A (en) * 1980-12-24 1983-03-01 Wells Electronics, Inc.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block
US5586891A (en) * 1994-05-04 1996-12-24 Electronic Designs Inc. Electrical socket for high-frequency applications
US5808859A (en) * 1996-12-20 1998-09-15 Liang; Shih-Tsung Circuit breaker box
US9188316B2 (en) * 2011-11-14 2015-11-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ED socke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73177A1 (en) 201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0599B1 (en)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US9281594B2 (en) Connector
KR101795615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 테스트를 위한 프로브 블록
KR101130268B1 (ko) 소형 카메라 장치
US9812801B2 (en) Cable holding member, plug connector, connector device, flat cable, and method for assembling plug connector
KR20030043743A (ko) 자기 구성요소를 구비하는 모듈형 잭
TW201939819A (zh) 端子台
CN109256632A (zh) 卡缘连接器
KR20110050161A (ko) 소형 카메라 장치
JP2016105400A (ja) 安定化部材を備えるコネクタ及び組立方法
EP3391782A1 (en) A shelf electrical supply and shelf electrical supply system having same
JP5134458B2 (ja) リレーの取付構造
WO2017047495A1 (ja) プローブピン、および、これを備えた検査治具
EP3273756B1 (en) Board guide member and housing
JP2008147265A (ja) コイル部品
JP2016134548A (ja) 電子機器
KR20140034420A (ko) 딥 소켓
JP2015204165A (ja) 表面実装コネクタ
EP2624261B1 (en) Multi-inductor usable with slim flat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50118075A (ko) 미니 바로 보드
KR20130094333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89019Y1 (ko) 전자접촉기
CN108500877B (zh) 一种多针夹持机构
CN214176263U (zh) 一种用于显示屏组件的浮动连接器及显示屏组件
KR200466284Y1 (ko) 이종의 릴레이를 호환장착 가능한 릴레이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