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3528A - 실시간 통합 환자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통합 환자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3528A
KR20140033528A KR1020120089213A KR20120089213A KR20140033528A KR 20140033528 A KR20140033528 A KR 20140033528A KR 1020120089213 A KR1020120089213 A KR 1020120089213A KR 20120089213 A KR20120089213 A KR 20120089213A KR 20140033528 A KR20140033528 A KR 20140033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management server
smartphone
function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이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윤 filed Critical 이상윤
Priority to KR1020120089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3528A/ko
Publication of KR20140033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5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환자를 관리 관찰할 수 있는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식별 코드가 부여된 각 환자; 상기 식별 코드를 통하여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각 환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된 스마트폰; 및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에 대하여 접속 허여 여부를 판단하는 보안기능과, 접속이 허여된 스마트폰에게 상기 각 환자의 위치, 종합상황, 및 응급 상황 시 경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기능과, 접속이 허여된 스마트폰에게 상기 각 환자의 종합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진단 기능을 포함한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시간 통합 환자 관리시스템{Patient Data Acquisition and Management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환자들의 맥박이나 혈압, 호흡, 체온 등의 바이탈 사인(vital sign)과 같은 환자에 대한 감지자료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환자의 활력징후 자료 구축은 물론 현재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응급상황시 발생변화를 여러 담당의 각 분야별 의사들이 동시에 모니터링 함으로써 해당 환자의 맥박이나 혈압 등의 바이탈 사인과 같은 환자에 대한 감지자료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함께 현황을 분석하여 환자 상태 전반에 걸친 현황에 대한 정확한 해석과 평가를 내릴 수 있는 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환자에 대한 실시간 원격관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요주의 환자의 상태를 보호자나 의사 등의 감시자가 실시간으로 감찰할 수 있도록 한 환자에 대한 실시간 원격관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병원의 중환자실에 수용된 중환자와 같은 요주의 환자에 대하여는 환자의 상태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 또는 감시를 행하게 된다. 종래에 이러한 환자에 대하여는 맥박이나 혈압 또는 호흡, 기타 병의 진행이나 생명유지에 관련된 사항에 관한 환자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여러 계측기가 환자별로 구비되어 환자의 상태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환자의 상태가 급격히 악화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계측기에 나타난 바이탈사인이나 경고메시지를 담당 의사나 간호사 등이 간과하여 신속한 대응조치를 할 수 없어서 환자가 사망하거나 병세가 치명적으로 악화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긴급상황 발생시 실시간 동시에 각 분야별 의사가 함께 그 상황을 확인하거나 함께 그 자리에 있기에는 시간적 공간적인 제약의 한계가 있어 보다 효과적인 대처를 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대체로 중환자실은 환자의 보호자나 기타 일반인의 접근이 통제된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에 대하여 누구보다도 관심이 많은 보호자나 친지로서 환자의 상태를 잘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불안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또한, 요주의 환자에 대한 접근이 통제되지는 않더라도 환자의 보호자나 친지가 24시간 환자의 곁에 남아서 환자의 상태를 살피는 것은 사실상 곤란하므로 환자의 감시에 만전을 기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요주의 환자의 관찰 또는 감시상의 어려움이나, 환자의 보호자의 접근상의 어려움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스마트폰을 통해 서버에 접속이 허여된 환자의 보호자나 의사나 간호사 등 접속허가자가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언제 어디서든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원격관찰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담당의사와 여러 분야별 의사들이 효과적으로 서버에 접속하여 환자 현 상태에 대한 상호 정보교환을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는 또한 현장에서 요구되는 실정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경우에서의 현 환자상태 확인과 함께 위급상황발생시 신속한 예보와 진단 및 처치기능을 강화하고 그 신속한 예보와 함께 위급상황발생시 여러 분야별 의사들이나 간호사, 보호자 등의 관리 서버에 대한 접속이 허여된 접속허가자들이 실시간으로 환자의 상태를 동시에 파악하고 의논하여 위급상황 발생시 안전하게 대처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실시간 통합 환자 관리 시스템 및 최적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통합 환자 관리 시스템은 식별코드가 부여된 각 환자; 상기 식별 코드를 촬영하여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각 환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된 스마트폰; 및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에 대하여 접속 허여 여부를 판단하는 보안기능과, 접속이 허여된 스마트폰에게 상기 환자의 위치, 맥박이나 혈압, 호흡, 체온 등의 바이탈 사인(vital sign)과 같은 환자의 종합상태, 및 경보현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기능과, 접속이 허여된 스마트폰에게 상기 환자의 종합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진단 기능을 포함한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단 기능은 환자의 현재 상태를 진단하며, 그날의 상태에 따라 값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별 코드는 QR(Quick Response)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상기 QR 코드를 통할 때만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안기능은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의 번호가 상기 관리 서버에 기 등록된 번호일 경우에만 상기 스마트폰의 접속을 허여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 기능은 상기 각 환자에 대한 검색 기능과, 선택된 환자에 대한 세부 계측 정보들을 제공하는 계측정보제공 기능과, 상기 선택된 환자의 과거와 현재의 계측 결과에 따른 항목별 보고서를 제공하는 보고서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단 기능은 상기 세부 계측 정보들을 분석하여 상기 선택된 환자의 현 상태및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현 상태와 이상 유무, 위급의 내용, 원인 및 대처방법을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사고 대처 기능과, 상기 선택된 환자의 현재 상태 및 바이탈사인 특성을 진단하여, 항목별 계측값을 예측하여 제공하는 미래 예측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자 관리 방법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된 스마트폰을 이용해 각 환자의 식별 코드를 사용하여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하고,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 표시하는 단계; 관리 시스템이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에 대하여 접속 허여 여부를 판단하는 보안단계; 상기 관리 시스템이 접속이 허여된 스마트폰에게 상기 환자의 위치, 맥박이나 혈압, 호흡, 체온 등의 바이탈 사인(vital sign)과 같은 환자의 종합상태의 종합현황, 및 경보현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단계; 및 상기 관리 시스템이 접속이 허여된 스마트폰에게 상기 환자의 종합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진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별 코드는 QR(Quick Response)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상기 QR 코드를 통할 때만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안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의 번호가 상기 관리 서버에 기 등록된 번호일 경우에만 상기 스마트폰의 접속을 허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각 환자에 대한 검색 단계와,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환자에 대한 세부 계측 정보들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환자의 과거와 현재의 계측 결과에 따른 항목별 보고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단 단계는 상기 세부 제공계측 정보들을 분석하여 상기 선택된 환자의 현 상태 및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현 상태와 이상 유무, 위급의 내용, 원인 및 대처방법을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사고 대처 기능 단계와, 상기 선택된 환자의 현재 상태 및 바이탈사인 특성을 진단하여, 항목별 계측값을 예측하여 제공하는 미래 예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30)을 이용하여 환자(1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시간적 공간적 한계로 인한 비용낭비나 의료사고와 위급상황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의사, 간호사, 보호자 등의 접속허가자는 스마트폰(30)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환자(10)을 관리 감독 관찰할 수 있게 되므로 편의성이 증대되고, 응급상황 발생시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하게 된다. 즉 환자(10)의 바이탈 사인과 같은 감지자료에 접근이 가능한 사람들 중에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된 스마트폰을 이용해 환자의 식별 코드를 사용하여 관리 서버에 접속을 허용받은 사람들은 매시간 곳곳에서 스스로 환자의 바이탈 사인과 같은 생명유지에 필요한 감지자료 내용을 감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위급상황 가능성이 고조될 시 신속한 대비와 함께 위급상황발생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며, 환자의 보호자 등이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원격관찰할 수 있어 보호자의 불안감이 감소 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담당의사와 여러 분야별 의사들과 보호자 간에 상호 정보교환을 할 수 있어서, 요주의 환자에 대한 진료나 간호를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자 관리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40)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리 시스템(50)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자 관리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환자 관리 시스템은 식별 코드(20)가 부여된 환자(10); 식별 코드(20)를 촬영하여 관리 서버(40)에 접속을 요청하고, 관리 서버(40)로부터 제공된 환자(10)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된 스마트폰(30); 및 관리 서버(40)에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30)에 대하여 접속 허여 여부를 판단하는 보안기능과, 접속이 허여된 스마트폰(30)에게 환자(10)의 위치, 종합상황, 및 경보현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기능과, 접속이 허여된 스마트폰(30)에게 환자의 종합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진단 기능을 포함한 관리 시스템(50)을 포함한다.
식별 코드(20)는 각 환자(10)에 부여되며, 스마트폰(30)은 식별 코드(20)를 촬영함으로써 각 환자(10)을 판별하게 된다. 이러한, 식별 코드(20)는 2차원 코드, 예를 들어 QR(Quick Response) 코드일 수 있다.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10)을 관리 감독 관찰하기 위해 스마트폰(30)용으로 제작된 것으로, 의사나 간호사 같은 관리자나 보호자 등의접속허가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 서버(40)에 접속하여 환자(10)을 관리감독 혹은 관찰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40)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관리 서버(40)는 각 환자(10)의 바이탈사인과 같은 계측된 여러 감지자료와 네트워킹되며, 각 환자(10)에 대한 각종 상태 정보를 제공받고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42)와, 각 환자(10)의 상태를 진단하고 분석하는 분석부(44)와, 환자(10)에 위급상황 발생과 사고가 발생할 경우 의사나 간호사 같은 관리자나 보호자 등의 접속허가자에게 사고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46)와, 관리 시스템(50)의 통제에 따라 각 환자(10)의 바이탈사인과 같은 계측된 여러 감지자료와 환자의 생명유지에 필요한 여러 상황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48)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시스템(50)은 관리 서버(40)의 기능을 실질적으로 제어하며, 관리 서버(40)에 내장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스마트폰(30)은 컴퓨팅 및 네트워킹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의 하나의 예일 뿐, 국한되지 않으며 식별 코드(20)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및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면 PDA, 노트북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환자(10) 관리를 위해 스마트폰(30)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된 스마트폰(30)은 각 환자(10)의 바이탈사인과 같은 계측된 여러 감지자료와 네트워킹된 관리 서버(40)와 접속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의사나 간호사 같은 관리자와 보호자 등의 접속허가자는 시간과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각 환자(10)을 관리 감독,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리 시스템(50)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관리 시스템(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안기능과, 모니터링 기능과, 진단 기능을 포함하며, 이러한 기능들은 스마트폰(30)과 연계된 기능들이므로, 스마트폰(30)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된다.
의사나 간호사 같은 관리자나 보호자 등의 접속허가자는 자기에게 부여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인증 후 서버나 장비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QR코드 인증을 통하여, 스마트폰(30)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환자(10)에 부여된 식별코드(20)를 촬영하여, 서버에 접속하게 된다.
한편, 스마트폰(3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 서버(40)에 접속할 경우, 각 환자(10)의 바이탈사인과 같은 계측된 여러 감지자료, 현재상태 등을 모두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기능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관리 시스템(50)은 관리 서버(40)에 대한 스마트폰(30)의 접속 허여를 판단하는 보안기능을 갖는다.
보안기능의 첫 번째로 스마트폰(3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식별 코드(20)를 통할 때만 관리 서버(4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관리 시스템(5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된 식별 코드(20)를 통한 스마트폰(30)에 대해서만 관리 서버(40)의 접속을 허여한다.
보안기능의 두 번째로 관리 시스템(50)은 관리 서버(40)에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30)의 번호가 기 등록된 번호일 경우에만 스마트폰(30)의 접속을 허여한다.
이어서, 관리 시스템(50)은 관리 서버(40)에 접속한 스마트폰(30)에게 각 환자(10)에 관한 각종 현황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다. 즉, 스마트폰(30)에 제공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각 환자(10)을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갖는다.
모니터링 기능의 첫 번째로 관리 시스템(50)은 각 환자(10)에 대한
리스트 제공 및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관리자나 접속허가자는 스마트폰(30)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 환자(10)의 리스트를 확인하거나 검색할 수 있다. 이때, 환자(10)의 리스트를 열람할 수 있는 범위는 관리자나 접속허가자의 권한에 따라, 허용되는 범위에 따라 차등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모니터링 기능의 두 번째로 관리 시스템(50)은 리스트에서 선택된 환자(10)에 대한 바이탈사인과 같은 여러 감지자료 등의 세부 계측 정보들을 제공한다.
즉, 관리자나 접속허가자는 스마트폰(30)에 표시된 환자(10) 리스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환자(10)의 위치, 키, 몸무게, 나이, 성별 등과 같은 기본 정보와 함께, 환자(10)의 계측된 혈압, 체온, 맥박, 호흡 등의 바이탈사인 등 여러 감지자료, 응급상황발생가능성 정도, 금월 위급발생횟수, 금일 위급발생횟수, 응급강도와 같은 세부 항목들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모니터링 기능의 세 번째로 관리 시스템(50)은 환자(10)의 과거와 현재의 계측 결과에 따른 항목별 보고서를 제공하는 보고서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보고서는 일별, 주간별, 월별 보고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보고되는 항목은 혈압, 체온, 맥박, 호흡 등의 바이탈사인 등 여러 감지자료와 함께 관련 세부 여러 항목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관리 시스템(50)은 각 환자(10)의 현황을 진단 분석하여, 관련 정보를 관리 서버(40)에 접속한 스마트폰(30)에게 제공하는 진단 기능을 갖는다. 즉, 스마트폰(30)에 제공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환자(10)의 현황과 함께, 종합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관리자나 접속허가자는 스마트폰(30)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환자(10)을 보다 쉽고 안정적으로 관리 감독 관찰할 수 있다.
진단 기능의 첫 번째로 관리 시스템(50)은 환자(10)의 세부 계측 정보들을 분석하여 환자(10)의 의료사고와 응급발생 유무를 판단하고, 응급발생이나 의료사고의 원인 및 대처방법을 스마트폰(30)으로 제공하는 사고 대처 기능을 제공한다. 즉, 관리자나 접속허가자는 스마트폰(30)에 표시된 환자(10) 리스트를 통해 응급상황과 의료사고가 발생되거나 가능성이 높은 환자(10)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응급상황과 의료사고의 원인 및 대처방법 등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환자(10)의 상태에 관해 진단하는 항목으로는 혈압, 체온, 맥박, 호흡 등의 바이탈사인 등 여러 감지자료와 여러 관련 항목이 될 수 있다.
진단 기능의 두 번째로 관리 시스템(50)은 환자(10)의 현재 상태 및 위험별 특성을 진단하여, 항목별 계측값을 예측하여 제공한다. 예를 들어, 관리 시스템(50)은 현재부터 24시간 경과 후까지의 각 측정 항목의 미래값을 예측하여 스마트폰(30)에 제공한다. 여기서, 예측되는 항목은 예상 바이탈사인 등 여러 관련 항목이 될 수 있다.
진단 기능의 세 번째로 관리 시스템(50)은 환자(10)의 위급상황 빈도 발생 패턴과 예측된 항목별 계측값을 분석하여 최적의 예보를 제공 관리하도록 정보를 스마트폰(30)에 제공한다.
이와 같이, 관리자나 접속허가자는 스마트폰(30)을 이용하여 환자(1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시간적 공간적 이동의 비용낭비나 응급발생과 의료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응급발생과 의료사고시 신속한 대처와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는 스마트폰(30)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각 환자(10)을 관리 감독할 수 있게 되므로 편의성이 증대되고, 환자에 대한 관리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접속허가자는 스마트폰(30)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각 해당 환자(10)을 관찰할 수 있게 되므로 응급사태 발생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환자
20: 식별코드
30: 스마트폰
40: 관리 서버
50: 관리 시스템

Claims (6)

  1. QR(Quick Response) 코드가 부여된 각 환자; 상기 QR 코드를 촬영하여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각 환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된 스마트폰; 및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에 대하여 접속 허여 여부를 판단하는 보안기능과, 접속이 허여된 스마트폰에게 상기 각 환자의 위치, 종합상황, 및 경보현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기능과, 접속이 허여된 스마트폰에게 상기 각 환자의 종합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진단 기능을 포함한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보안기능은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의 번호가 상기 관리 서버에 기 등록된 번호일 경우에만 상기 스마트폰의 접속을 허여하는 기능과,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상기 QR 코드를 통할 때만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을 허여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기능은 상기 각 환자에 대한 리스트 제공 및 검색 기능과,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환자에 대한 바이탈사인 등의 여러 세부 계측 정보들을 제공하는 계측 정보제공기능과, 상기 선택된 환자의 과거와 현재의 계측 결과에 따른 항목별 보고서를 제공하는 미래 예상보고서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기능은 상기 세부 계측 제공 정보들을 분석하여 상기 선택된 환자의 응급상황과 의료사고 및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응급상황과 의료사고의 내용, 원인 및 대처방법을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응급상황과 사고 대처 기능과, 상기 선택된 환자의 현재 상태 및 응급 특성을 진단하여, 항목별 계측값을 예측하여 제공하는 미래예측 정보제공 기능과, 상기 선택된 환자의 응급상황 패턴과 예측된 항목별 계측값을 분석하여 그 내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관리 시스템.
  4.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된 스마트폰을 이용해 환자의 QR(Quick Response) 코드를 통하여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 표시하는 단계; 관리 시스템이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에 대하여 접속 허여 여부를 판단하는 보안단계; 상기 관리 시스템이 접속이 허여된 스마트폰에게 상기 환자의 위치, 종합상황, 및 경보현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단계; 및 상기 관리 시스템이 접속이 허여된 스마트폰에게 상기 환자의 종합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진단 단계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보안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의 번호가 상기 관리 서버에 기 등록된 번호일 경우에만 상기 스마트폰의 접속을 허여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상기 QR 코드를 통할 때만 상기 관리 서버에 대한 접속을 허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관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각 환자에 대한 리스트 제공 및 검색 단계와,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환자에 대한 바이탈사인 등의 여러 세부 계측 정보들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환자의 과거와 현재의 계측 결과에 따른 항목별 보고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관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단계는 바이탈사인 등의 상기 여러 세부 계측 정보들을 분석하여 상기 선택된 환자의 응급상황 및 의료사고 유무를 판단하고, 응급상황 및 의료사고의 내용, 원인 및 대처방법을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응급상황 및 의료사고 대처 단계와,상기 선택된 환자의 현재 상태 및 응급 특성을 진단하여, 항목별 계측값을 예측하여 제공하는 미래예측 단계와, 상기 선택된 환자의 응급상황 패턴과 예측된 바이탈사인 등의 여러 감지자료에 대한 항목별 계측값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관리 방법.
KR1020120089213A 2012-08-15 2012-08-15 실시간 통합 환자 관리시스템 KR201400335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213A KR20140033528A (ko) 2012-08-15 2012-08-15 실시간 통합 환자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213A KR20140033528A (ko) 2012-08-15 2012-08-15 실시간 통합 환자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528A true KR20140033528A (ko) 2014-03-19

Family

ID=50644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213A KR20140033528A (ko) 2012-08-15 2012-08-15 실시간 통합 환자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35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156A (ko) 2021-02-18 2022-08-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Qr코드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제공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156A (ko) 2021-02-18 2022-08-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Qr코드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제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67158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обнаружения отклонений в контролируемой среде
JP5745933B2 (ja) 病歴診断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7145704A (zh) 一种面向社区的健康医疗监护、评测系统及其方法
AU2006266197B2 (en) Trend monitoring system with multiple access levels
US20190287661A1 (en) Related systems and method for correlating medical data and diagnostic and health treatment follow-up conditions of patients monitored in real-time
CN111401492A (zh) 一种一体化智能人体测温设备及管理系统和方法
KR20210001869A (ko) 사용자 생활 상태 모니터링 관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5260596A (zh) 基于云存储平台的居民健康状况实时分析方法
CN110084930B (zh) 一种基于his的护士站用病房监管系统
KR20130118512A (ko) 얼굴 인식을 통한 환자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1215809A1 (ko)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49795A (ko) 환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JP2010262384A (ja) 健康管理システム、健康管理方法及び健康管理プログラム
KR20140033528A (ko) 실시간 통합 환자 관리시스템
Trappey et al. Develop patient monitoring and support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and intelligent reasoning
CN207458598U (zh) 急危重症临床数据集成系统
US201802477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medical record of a patient by automatically collecting clinical data
Supraja et al. Secured Vital Parameter Monitoring and Seamless Instant Alert System for Health Care Services
TWM491196U (zh) 健康診療回報系統
CN115482940B (zh) 一种远程会诊医疗管理云系统以及方法
Singh Spirals Health: A Comprehensive Web-based Cloud-based e-Health Platform
Chun et al. Policy‐Based Approach to Emergency Bio‐Data Management for Mobile Healthcare
KR102380129B1 (ko) 심박수를 활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03502B1 (ko) 환자관리용전자라벨
Singh et al. Performance of IoT-Enabled Devices in Remote Health Monitoring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