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156A - Qr코드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Qr코드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156A
KR20220118156A KR1020210021939A KR20210021939A KR20220118156A KR 20220118156 A KR20220118156 A KR 20220118156A KR 1020210021939 A KR1020210021939 A KR 1020210021939A KR 20210021939 A KR20210021939 A KR 20210021939A KR 20220118156 A KR20220118156 A KR 20220118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de
patient
emergency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아
도민경
허은진
문정민
이상도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1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8156A/ko
Publication of KR20220118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1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16H10/65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stored on portable record carriers, e.g. on smartcards, RFID tags or C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05Identification bracelets, e.g. secured to the arm of a pers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QR코드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혼자서 행동이 자유롭지 못한 환자가 보호자가 없이 긴급 상황이 발생할 때 해당 환자에 대한 응급조치에 필요한 인적정보와 의료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QR코드가 프린팅 되어 신체에 착용할 수 있게 하는 환자 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발명에 관한 것으로, 신체 착용물(100), 스마트 단말기(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QR코드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제공 장치{A body wear that is printed QR CODE for presenting health information when emergency}
본 발명은 QR코드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노인성 질환이나 기저 질환이 있는 환자가 보호자가 없이 생활하다가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해당 환자에 대한 응급조치에 필요한 인적정보와 의료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21세기 들어 의학과 과학 기술이 발달하면서 세계적으로 평균수명이 크게 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평균수명 80세를 넘어 100세를 바라보는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하지만, 평균수명이 늘어남과 동시에 노인성 치매 환자도 증가하면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젊은 청년층도 치매 환자가 늘고 있다.
치매 환자가 발생하게 되면 가족을 포함한 주변인들이 겪는 고통은 크지만, 아직은 치매를 완치하는 치료방법은 없고, 단지 약물 처방과 인지훈련을 통해 치매 증세를 완화 시키거나 치매의 진행속도를 늦추는 방법이 현실적 대안이다.
특히, 치매 환자는 인지능력의 저하로 인해 실종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치매 환자 본인과 관련한 정보인 이름, 연락처, 주소를 기억해내지 못해 보호자를 찾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치매 환자뿐만 아니라 지적 발달 장애가 있는 아동도 실종 사건이 종종 발생하고 있으며 치매 환자와 비슷한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기저 질환이나 희귀 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 생활하다가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해당 환자에 대한 기초 의료정보가 있으면, 병원 후송 전에 현장에서 응급 구조원이 바로 해당 환자의 기초 의료정보를 이용해 인명 구조에 필요한 골든 타임 내에 적절하고 필요한 응급조치를 하여 생명을 구할 수 있지만, 많은 경우 긴급 상황이 발생한 환자의 기초 의료정보가 없어 현장에서 필요하고 적절한 응급조치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노인성 질환이나 기저 질환이 있는 환자가 보호자가 없이 생활하다가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해당 환자에 대한 응급조치에 필요한 인적정보와 의료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2635호 RFID를 이용한 진료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3528호 실시간 통합 환자 관리시스템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1773호 의료용 식별태그 및 이를 이용한 환자정보와 체온 체크시스템
본 발명은 노인성 질환이나 기저 질환이 있는 환자가 보호자가 없이 생활하다가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현장에서 해당 환자에 대한 응급조치에 필요한 인적정보와 의료정보를 QR코드를 이용해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QR코드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제공 장치는,
착용자 정보가 입력된 QR코드가 프린팅된 신체 착용물(100)과;
상기 신체 착용물(100)에 프린팅된 QR코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QR코드로부터 착용자 정보를 독출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전용 앱(210)이 탑재된 스마트 단말기(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노인성 질환이나 기저 질환이 있는 환자가 보호자가 없이 생활하다가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현장에서 해당 환자에 대한 인적정보와 의료정보를 QR코드를 이용해 획득할 수 있도록 하여, 노인성 질환이 있는 환자, 지적 발달 장애가 있는 장애우, 기저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현장에서 해당 환자에게 필요하고 적절한 응급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착용자 정보가 화면에 표시된 예시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QR코드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제공 장치(이하 ‘본 발명’)는 노인성 질환이나 기저 질환이 있는 환자가 보호자가 없이 생활하다가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현장에서 해당 환자에 대한 인적정보와 의료정보를 QR코드를 이용해 획득할 수 있도록 하여, 노인성 질환이 있는 환자, 지적 발달 장애가 있는 장애우, 기저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현장에서 해당 환자에게 필요하고 적절한 응급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환자 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신체 착용물(100), 전용 앱(210)이 탑재된 스마트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QR코드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제공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 정보가 입력된 QR코드가 프린팅된 신체 착용물(100)과;
상기 신체 착용물(100)에 프린팅된 QR코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QR코드로부터 착용자 정보를 독출 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전용 앱(210)이 탑재된 스마트 단말기(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신체 착용물(100)은 착용자 정보가 입력된 QR코드(110)가 프린팅 되어 있으며, 사람의 팔, 목과 같은 신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팔찌, 목걸이, 손목 밴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1에서는 손목 밴드 형태로 형성된 신체 착용물(100)이 예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신체 착용물(100)의 착용자는 치매와 같은 노인성 질환이 있는 환자, 지적 발달 장애가 있는 장애우, 기저 질환이 있는 환자 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신체 착용물(100)에 프린팅된 QR코드(110, Quick Response code)는 1994년 일본의 덴소 웨이브 회사에서 개발된 코드로서 각종 정보를 입력하고 독출 할 수 있는 코드로서, 종래의 바코드는 단방향인 1차원으로 정보가 저장되는 반면, QR코드는 종횡으로 2차원 형태로 인해 바코드보다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어 사진, 동영상, 지도, 명함 등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코드이다.
상기 신체 착용물(100)에 프린팅된 QR코드(110)에는 착용자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착용자 정보는 인적정보와 의료정보를 포함한다.
도 2의 상단 그림을 참조하면, 상기 QR코드(110)에 입력된 인적정보는 이름, 생년월일, 주소, 보호자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고, 이외에 성별이나 기타 필요한 인적정보를 추가로 포함 시킬 수 있으며, 인적정보를 통해 해당 환자의 인적사항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2의 하단 그림을 참조하면, 상기 QR코드(110)에 입력된 의료정보는 생체 정보, 병원 정보, 지병 정보, 복용 약 정보, 긴급 상황 시 대처 정보를 포함하며, 이외에 집안 병력, 신장, 체중과 같은 신체 정보를 추가로 포함 시킬 수 있다.
의료정보에 포함된 생체 정보는 혈액형 정보일 수 있는데, 응급조치 시, 해당 환자에게 맞는 혈액이 무엇인지를 바로 현장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착용자가 희귀한 혈액형을 보유하는 경우 병원 이송 전에 QR코드를 통해 현장에서 파악한 희귀 혈액형 정보를 이송 병원에 제공하여, 해당 병원에서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의료정보에 포함된 병원 정보는 착용자가 평소 이용하던 병원 정보로서, 해당 병원에는 착용자의 각종 의료정보가 있어 해당 병원에 구조 대원이 연락해 필요 의료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의료정보에 포함된 지병 정보는 긴급 상황이 발생한 착용자가 평소 앓고 있는 기저 질환에 대한 정보이고, 의료정보에 포함된 복용 약 정보는 긴급 상황이 발생한 착용자가 평소 복용하는 복용 약 정보로서, 응급조치를 하는 구조 대원이 해당 환자의 응급조치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의료정보에 포함된 긴급 상황 시 대처 정보는 해당 환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응급조치를 하는 구조 대원이 해당 환자의 응급조치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이다.
도 1, 2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는 전용 앱(210)이 탑재되며, 상기 전용 앱(210)은 착용자의 신체 착용물(100)에 프린팅된 QR코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QR코드로부터 착용자 정보를 독출(reading)하여 스마트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앱(application)이다.
이때,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노트북, PDA와 같은 통신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등일 수 있는데, 본 발명(10)에서는 전자기기 중에서도 가장 많이 보급되면서 휴대성, 편리성, 기능성이 우수하고 인터넷과 블루투스 같은 통신이 가능하고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보유하고 스피커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체 착용물(100)을 착용한 착용자에게 긴급 상황(실종, 실신 등)이 발행하면, 발견자 또는 경찰 또는 구조대원이 자신이 소지한 스마트 단말기(200)를 이용해 신체 착용물(100)에 프린팅된 QR코드(110)에 입력된 착용자 정보를 독출한다.
따라서 착용자 정보에 포함된 인적정보를 통해 긴급 상황이 발생한 착용자 인적사항을 파악하고, 필요시 착용자의 보호자와 연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착용자 정보에 포함된 의료정보를 통해 긴급 상황이 발생한 착용자에게 현장에서 필요한 응급조치 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QR코드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제공 장치
100 : 신체 착용물
200 : 스마트 단말기

Claims (2)

  1. 긴급 상황 시 QR코드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착용자 정보가 입력된 QR코드가 프린팅된 신체 착용물(100)과;
    상기 신체 착용물(100)에 프린팅된 QR코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QR코드로부터 착용자 정보를 독출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전용 앱(210)이 탑재된 스마트 단말기(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착용물(100)은 팔찌, 목걸이, 손목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신체 착용물(100)에 프린팅된 QR코드에 입력된 착용자 정보는 인적정보와 의료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인적정보는 이름, 생년월일, 주소, 보호자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정보는 생체 정보, 병원 정보, 지병 정보, 복용 약 정보, 긴급 상황 시 대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제공 장치.
KR1020210021939A 2021-02-18 2021-02-18 Qr코드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제공 장치 KR20220118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939A KR20220118156A (ko) 2021-02-18 2021-02-18 Qr코드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939A KR20220118156A (ko) 2021-02-18 2021-02-18 Qr코드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156A true KR20220118156A (ko) 2022-08-25

Family

ID=83111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939A KR20220118156A (ko) 2021-02-18 2021-02-18 Qr코드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815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635B1 (ko) 2005-02-24 2006-05-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진료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33528A (ko) 2012-08-15 2014-03-19 이상윤 실시간 통합 환자 관리시스템
KR101391773B1 (ko) 2012-11-12 2014-05-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식별태그 및 이를 이용한 환자정보와 체온 체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635B1 (ko) 2005-02-24 2006-05-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진료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33528A (ko) 2012-08-15 2014-03-19 이상윤 실시간 통합 환자 관리시스템
KR101391773B1 (ko) 2012-11-12 2014-05-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식별태그 및 이를 이용한 환자정보와 체온 체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amanik et al. Internet of things, smart sensors, and pervasive systems: Enabling connected and pervasive healthcare
Chan et al. Smart wearable systems: Current status and future challenges
US20230004580A1 (en) Data tagging
US9795324B2 (en) System for monitoring individuals as they age in place
US20220148726A1 (en) Secure Systems for Contactless Identification and Vital Sign Monitoring
Martiniuk et al. Primary care provision by volunteer medical brigades in Honduras: a health record review of more than 2,500 patients over three years
US20230245767A1 (en) Wearable sensor system configured for monitoring and modeling health data
Khowaja et al. Internet of Everything enabled solution for COVID-19, its new variants and future pandemics: Framework, Challenges, and Research Directions
Allam et al. AI economical wearable smart device to alert real time health reports to doctors
Thakkar et al. Applications of wearable technologies in healthcare: An analytical study
JP6654007B2 (ja) 徘徊老人の保護システム
KR20220118156A (ko) Qr코드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제공 장치
TW200905511A (en) A mobile digital information health care service system
Murero Wearable internet for wellness and health: Interdigital territories of new technology
US20230238150A1 (en) Wearable sensor system configured for facilitating telemedicine management
WO2022015724A1 (en) Wearable sensor system configured for alerting first responders and local caregivers
US20190009049A1 (en) Digital command prompting device for dementia patients using augmented reality
AU2014100188A4 (en) A physical wearable item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watch sleeves, bracelets, bands and necklaces, containing a QR code that is linked to personal information listed on a database by the wearer, including name, photo, medication list, allergies and next-of-kin details. Scanning the QR code with a smartphone or other capable device with a QR code reader application will quickly list information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wearer as well as important medical information for patient safety, such as a medical emergency to avoid drug allergies or interactions.
Kim et al. Challenges for wearable healthcare services
Piasecka-Robak THE HEALTH SITUATION OF ELDERLY PEOPLE IN POLAND: THREE MODELS FOR ANALYSING THE NEEDS AND EXPECTATIONS OF POLISH SENIOR CITIZENS: NIA, DESIGN THINKING AND GROW IN THE CONTEXT OF THE POTENTIAL USE OF MEDICAL TECHNOLOGIES.
KR20130143521A (ko) 응급 정보가 내장된 카드 및 이를 이용한 구조 시스템
Kothari et al. A comprehensive study on IOT applications in wearable healthcare devices
KOCER et al. Use of IoT and Wearable Technology Design Fundamentals in Healthcare Industry
CN210961938U (zh) 一种体检用多功能腕带
Ballaji The Importance of Wearable Technology in Elderly Healthc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