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15809A1 -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15809A1
WO2021215809A1 PCT/KR2021/004978 KR2021004978W WO2021215809A1 WO 2021215809 A1 WO2021215809 A1 WO 2021215809A1 KR 2021004978 W KR2021004978 W KR 2021004978W WO 2021215809 A1 WO2021215809 A1 WO 202121580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ser
service
elderly
cognitive impairment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497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한병희
강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이아이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이아이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이아이컴퍼니
Publication of WO202121580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1580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Definitions

  • Dementia is a disease in which the normally developed brain is damaged or destroy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acquired trauma or disease, and various cognitive functions such as memory, judgment, calculation ability, language ability, personality change, etc. are deteriorated, and social activiti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well as daily life It's a syndrome that makes it impossible to even perform. Therefore, it is essential for the elderly to undergo regular dementia screening and treatment accordingly.
  • a system for providing an early detection of cognitive impairment and a community care matching service for the elderly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input value by simple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Medical institution server for receiving; classifying the user into a normal group and a cognitively impaired group by evaluating the input value received from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using a 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algorithm; when the user is classified into the normal group, providing a test result report to the normal user and guides the checkup schedule and prevention program; If the user is classified into the cognitive impairment group, a test result report is provided to the cognitively impaired user and a follow-up diagnostic test is provided, and a follow-up diagnostic test result report is provided to the user at the time of the user's follow-up diagnostic test.
  • MMSE simple mental state examination
  • the 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algorith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value is generated using the total scor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values of the stratified group according to the user's educational background, age, or gender.
  • FIG. 9 is an example of a screen on which a report by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elivered to a user terminal of a user who is a normal soldier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display unit.
  • the storage unit 140 includes user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ge, name, gender, etc. of the user of the system 1 that provides early detection of cognitive impairment and community care matching service for the elderly, dementia disease-related medical history information, and the calculation unit 130 ), the received examination result evalu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s long-term care grade for the elderly are stored.
  • user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ge, name, gender, etc. of the user of the system 1 that provides early detection of cognitive impairment and community care matching service for the elderly, dementia disease-related medical history information, and the calculation unit 130 ), the received examination result evalu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s long-term care grade for the elderly are stored.
  • the user terminal 300 may be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notebook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or the like.
  • the user terminal 300 receives predetermined information from a user database 310 that store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 user's name, gender, age, and the like, and a management server 100 , a medical institution server 200 and a related institution server 400 . It includes a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32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d a user terminal display unit 330 .
  • test result report is notified to the related institution server 400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500 . Therefore, related institutions such as public health centers can more conveniently manage users and prevention programs, such as monitoring whether users who have been notified of the test result report that they belong to the normal group participate in the prevention program. Users classified into the normal group may be instructed to retake the simple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again approximately every year or more.
  • MMSE simple mental state examination
  • test result report is notified to the related institution server 400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500 . Therefore, related institutions can make follow-up management more convenient, such as monitoring whether users belonging to the cognitive decline group participate in follow-up diagnostic tests.
  • the user classified into the cognitive impairment group may be instructed to perform a simplified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again at a shorter cycle than the normal group, for example, approximately every 6 months.
  • MMSE simplified mental state exami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통신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에 의한 입력값을 수신하는 의료기관 서버; 상기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입력값을 인지장애 검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평가하여 사용자를 정상군과 인지저하군으로 구분하고; 상기 사용자가 정상군으로 구분되면, 정상군인 사용자에게 검사 결과 보고서를 제공하고 추후 검진 일정과 예방 프로그램을 안내하고; 상기 사용자가 인지저하군으로 구분되면, 인지저하군인 사용자에게 검사 결과 보고서를 제공하고 후속 진단검사를 안내하고, 사용자의 후속 진단검사 시 사용자에게 후속 진단검사 결과 보고서를 제공하고 후속 진단검사 결과에 따른 치료프로그램을 안내하는 관리 서버;및 사용자 단말 표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고령자의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고령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고령자의 상태에 맞는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를 추천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의학의 발전과 함께 노인 인구 비율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대한민국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고령화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급속한 인구의 고령화로 치매(인지장애) 환자의 발생도 점차 증가되고 있고, 이에 따른 치매 유병률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치매는 정상적으로 발달한 뇌가 후천적인 외상이나 질병 등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손상되거나 파괴되어 기억력, 판단력, 계산능력, 언어능력, 성격변화 등 여러 인지기능이 감퇴되어 사회활동 및 대인관계는 물론 일상생활조차 수행할 수 없게 되는 증후군이다. 따라서 고령자는 정기적인 치매 검진과 그에 따른 치료가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치매를 진단하기 위하여, 현재는 의료기관(3차 의료 기관, 동네 의원 및 보건소 등)에서 해당 의료기관의 의료진이 치매 여부를 검사하는 수검자에게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를 시행한다. 이때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는 30점 만점으로 평가되며 점수가 낮을수록 기능이 저하된 상태를 의미한다. 교육 수준, 나이 및 성별 등의 인구학적 변인이 검사 수행결과에 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결과 해석에 주의를 요한다. 서구 노인의 경우 24 또는 25점 미만인 경우 치매 가능성을 의심해야 하지만 무학에서 대졸 이상까지 학력 편차가 매우 큰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단일 절단 점수를 적용할 경우 잘못된 해석을 하게 될 확률이 매우 높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우 23/24 또는 24/25처럼 일률적으로 치매를 의심할 수 있는 절단 점수를 제시하기 어렵다. 따라서,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의 결과인 점수를 절단 점수와 비교하고 수검자의 학력, 나이, 성별 등을 참조로 보정하여, 절단 점수 미만인 경우 수검자를 치매로 진단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절차에 의하면, 치매 관련 전문가가 아닌 의료진에 의하여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가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의 결과인 점수의 보정이 의료진의 경험치에 의하여 임의로 보정되어 진단이 내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가 수검자의 현재 건강 상태, 정신 상태(우울증 등) 등을 고려하지 않고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수검자의 치매 여부에 오진이 내려질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현재의 검사 절차에 의하면, 수검자가 자신의 현 상태에 대하여 자세한 리포트를 받기 어렵다. 또한, 수검자가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 후 바로 치매로 진단이 되면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치매로 기록이 되어, 추후 치매 여부가 아직 확진되지 않은 사람에게 국가에서 무상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실시하는 진단 검사를 받을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치매 조기 검진 절차에 따른 결과가 데이터로써 누적되지 않아 국가 차원에서 고령화에 따른 복지 대책을 마련하고 복지 예산을 편성할 때, 어려움이 있다.
한편, 고령자를 포함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국가 차원의 의료/행정 서비스, 즉 커뮤니티케어 서비스가 정보 부족 등의 이유로 효율적으로 이용되지 않고 있으며, 또한, 커뮤니티케어 서비스의 대상자에게 필요한 커뮤니티케어 서비스가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되지 않아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체계적인 관리가 어렵고 국가 차원에서 중복적으로 자원을 소모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치매 검진 시 사용자의 현 상태에 대하여 보다 명확한 진단을 받을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자세한 보고서를 받고, 고령자가 국가 지원 의료/행정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에 의한 입력값을 수신하는 의료기관 서버; 상기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입력값을 인지장애 검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평가하여 사용자를 정상군과 인지저하군으로 구분하고; 상기 사용자가 정상군으로 구분되면, 정상군인 사용자에게 검사 결과 보고서를 제공하고 추후 검진 일정과 예방 프로그램을 안내하고; 상기 사용자가 인지저하군으로 구분되면, 인지저하군인 사용자에게 검사 결과 보고서를 제공하고 후속 진단검사를 안내하고, 사용자의 후속 진단검사 시 사용자에게 후속 진단검사 결과 보고서를 제공하고 후속 진단검사 결과에 따른 치료프로그램을 안내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검사 결과 보고서 또는 상기 후속 진단검사 결과 보고서가 표시되는 사용자 단말 표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에 관한 데이터, 상기 사용자가 후속 진단검사를 받은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후속 진단검사 결과 데이터, 상기 사용자가 ADL 수행능력평가를 받은 경우에는 상기 ADL 평가 결과 데이터, 또는 사용자가 노인장기요양등급을 받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노인장기요양등급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인지장애 관련 데이터를, 사용자의 상기 개인정보와 통합하여 각 사용자의 개인별 데이터를 구축하고, 사용자에 대한 상기 개인별 데이터를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표준화하고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개인 맞춤형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개인별 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지역의 보건소와, 공공보건의료 또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에서 제공하는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를 관리하는 데에 이용하는 관련기관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지장애 검진 알고리즘은 상기 입력값을 상기 사용자의 학력, 나이, 또는 성별에 따라 층화된 집단의 총점 평균 및 표준편차 값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련기관 서버는 보건소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속 진단검사는 CERAD(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또는 SNSB(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는 공공보건의료서비스, 인지재활서비스, 주간 보호 서비스, 재가 서비스, 돌봄 서비스, 여가 서비스, 방문지원 서비스, 이동지원 서비스 및 배식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에 의한 입력값을 수신하는 단계; 인지장애 검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값을 평가하여 사용자를 정상군과 인지저하군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정상군으로 구분되면, 정상군인 사용자에게 검사 결과 보고서를 제공하고 추후 검진 일정과 예방 프로그램을 안내하고, 관련기관 서버에 검사 결과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인지저하군으로 구분되면, 인지저하군인 사용자에게 검사 결과 보고서를 제공하고 후속 진단검사를 안내하고, 관련기관 서버에 검사 결과를 전달하고, 사용자의 후속 진단검사 시 사용자에게 후속 진단검사 결과 보고서를 제공하고 후속 진단검사 결과에 따른 치료프로그램을 안내하고, 관련기관 서버에 후속 진단검사 결과를 전달하는 단계;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에 관한 데이터, 상기 사용자가 후속 진단검사를 받은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후속 진단검사 결과 데이터, 상기 사용자가 ADL 수행능력평가를 받은 경우에는 상기 ADL 평가 결과 데이터, 또는 사용자가 노인장기요양등급을 받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노인장기요양등급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인지장애 관련 데이터를, 사용자의 상기 개인정보와 통합하여 각 사용자의 개인별 데이터를 구축하고, 사용자에 대한 상기 개인별 데이터를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표준화하고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개인 맞춤형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지장애 검진 알고리즘은 상기 입력값을 상기 사용자의 학력, 나이, 또는 성별에 따라 층화된 집단의 총점 평균 및 표준편차 값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련기관 서버는 보건소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설치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속 진단검사는 CERAD 또는 SNSB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개인별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개인 맞춤형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를 추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케어 종류 및 이용가능 시간에 대한 안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는 공공보건의료서비스, 인지재활서비스, 주간 보호 서비스, 재가 서비스, 돌봄 서비스, 여가 서비스, 방문지원 서비스, 이동지원 서비스 및 배식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인지장애 검진 시 사용자의 현 상태에 대하여 보다 명확한 진단을 받을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자세한 보고서를 받고, 인지장애 관련한 지속적인 관리를 받을 수 있으며, 고령자가 국가 지원 의료/행정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검진에 의하여 누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국가 차원에서 고령화에 따른 복지 대책을 마련하고 복지 예산을 편성할 수 있으며, 보다 효율적으로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에 의한 커뮤니티케어 서비스 추천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개념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사용자가 의료기관 서버의 입력부에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 시 질문에 대한 답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 점수 보정표를 나타낸다.
도 9는 정상군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전달된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한 보고서가 사용자 단말 표시부에 표시된 화면의 일 예이다.
도 10은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 결과를 시각화하여 나타낸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한 그래프의 일 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를 매칭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의료기관을 방문한 사용자의 데이터를 표시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1)은 관리서버(100), 의료기관 서버(200), 사용자 단말(300), 관련기관 서버(400)가 유무선 통신망(50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관리서버(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연산부(130), 저장부(140), 분석부(150) 및 비용 정산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100)는 통신부(120)에 의하여 유무선 통신망(500)을 통해 의료기관 서버(200), 사용자 단말(300) 및 상기 관련기관 서버(400)와 연결되어 통신하거나 연동되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통신부(120)에 의하여 의료기관 서버(200)에서 입력된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1)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 후속 진단검사인 신경인지검사(CERAD, SNSB) 또는 치매척도검사(GDS, Global Deterioration Scale)의 입력값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입력값을 상기 연산부(130)에 저장된 인지장애 검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보정, 평가하고, 상기 수신된 검진결과 평가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130)는 의료기관 서버(200)에서 입력된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 후속 진단검사인 신경인지검사(CERAD, SNSB) 또는 치매척도검사(GDS, Global Deterioration Scale)의 입력값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보정 및 평가한다. 예를 들면,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 입력값을 사용자의 학력, 나이, 성별 등에 따라 층화된 집단의 총점 평균 및 표준편차 값을 이용하여 생성된 인지장애 검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0)는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1)의 사용자에 관한 나이, 성명, 성별 등의 사용자 개인정보, 치매 질환 관련 병력 정보, 상기 연산부(130)에서 수신된 검진결과 평가 정보, 및 사용자의 노인장기요양등급 등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정보는, 사용자 정보(성명, 주민번호, 전화번호, 주소, 등록일시, 수정일시 등), 검사 정보, 진단 정보, 병력 정보(병명, 병세, 치료결과 등), 가족력 정보(가족명, 가족관계, 병명 등), 진단결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CERAD 정보, SNSB 정보(주의집중능력, 언어능력, 시공간기능, 기억력, 종합평가 등), 임상진단 정보(지능검사, 발달검사, 종합심리검사, 학습능력평가, 주의력검사, 지능검사, 인성검사, 신경심리종합검사, 노인치매/인지능검사, 종합평가 등), MRI 정보(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 소뇌, 뇌간, 간뇌, 시상, 시상하부, 뇌하수체, 송과샘, 중뇌, 교뇌, 연수, 해마, 뇌막/두개골, 혈관, 뇌혈관장벽, 뇌신경, 종합평가 등) 및 노인장기요양등급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각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의료 빅데이터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40)는 상기 관련기관 서버(400)로부터 관련기관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커뮤니티케어 서비스 관련 정보, 국가 지원 의료비 정보, 사용자가 국가에서 무상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실시하는 진단 검사를 받을 경우 그와 관련된 비용 내역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150)는 사용자에게 개인 맞춤형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를 추천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상기 분석은, 수집되는 인지기능 결과 등 데이터에 대해 일부 가중치 및 데이터 표준화 등의 분석 알고리즘을 통한 데이터 표준화를 실시하여 평가자 지식수준에 따른 오차율을 감소시켜 보다 정확한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 및 분류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개인 맞춤형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를 추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석부(150)는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개인별 인지장애 진단과 관련된 의료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룹화하여 개인에게 가장 적합한 인지장애 관리 리포트 및 컨텐츠를 제공하며, 개인별 상태에 대한 분류는 softmax를 이용한 DNN(deep neural network)이나 SGAN(semi-supervised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방식을 사용하여 학습하고, 이중 정확도가 높은 방식을 채택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처리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DNN 방식은 은닉층(hidden layer)을 여러 개 추가하여 정확도를 높이는 방식이고, SGAN 방식은 GAN방식의 일종으로, 소량의 레이블링(labeling) 데이터와 페이크(fake)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높이는 방식이다.
GAN 방식은 도 3과 같이 리얼(real) 데이터를 판별하는 판별기(discriminator) D와 페이크(fake)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기(generator) G를 이용하여 학습 성능을 높인다.
GAN 방식은 아래의 수식과 같은 비용함수 V(D,G)를 이용하여 G가 최소가 되고, D가 최대가 되도록 학습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Figure PCTKR2021004978-appb-img-000001
는 리얼 데이터를 샘플링한 확률값을 의미하고
Figure PCTKR2021004978-appb-img-000002
는 가우시안 분포를 사용하는 임의의 노이즈에서 샘플링한 데이터에 대한 확률값을 의미한다. D는 리얼과 페이크를 잘 구별하도록 학습시키고, G는 D가 리얼과 페이크를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페이크를 리얼에 가깝게 생성하도록 학습시켜 D와 G의 성능을 높인다.
Figure PCTKR2021004978-appb-img-000003
SGAN 방식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GAN 방식에 더하여 전문가의 채점으로 점수화한 일부 레이블링 데이터를 판별기의 입력으로 사용하여 학습 효율을 높이는 방식이다. 수집된 빅데이터의 각 항목별 정규화(normalization)를 통한 전처리로 학습 성능을 높이며, 분류의 최적 솔루션을 찾기 위한 비용함수는 실제값 L과 예측값 H의 크로스 엔트로피(cross entropy),
Figure PCTKR2021004978-appb-img-000004
를 사용하여 엔트로피가 최소가 되는 가중치를 찾아서 여러 그룹으로 분류한다. 다중 분류(multinomial classification)는 정규화된 지수함수의 확률분포를 이용하는 softmax 함수,
Figure PCTKR2021004978-appb-img-000005
를 이용하며, 0과 1 사이의 값 중 최대값을 갖는 인덱스를 선택하여 다중으로 분류한다.
따라서, 상기 분석부(150)에 의하여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사용자에 관한 데이터를 표준화하여, 표준화된 데이터로 수집된 고령자의 상황(인지, 건강, 경제력, 동거형태, 장기요양등급, 거주지, 돌봄 자원)과 욕구를 분석하고 분류하여, 이에 적합한 지역내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를 매칭하고 안내한다. 즉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 및 치매척도검사(GDS, Global Deterioration Scale)를 포함한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선형회귀(linear regression) 및 가중합(weighed sum) 방법으로 점수화하여 사용자에게 리포트하고, 여기에 맞춤형으로 개인의 인지 상태에 맞는 추가 확진검사 및 적절한 지역 커뮤니티케어 프로그램을 추천한다. 이는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케어 종류 및 이용가능 시간 등에 대한 안내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에게 정기 검진이나 교육 스케줄에 대하여 자동으로 알려주는 알람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부(150)의 예측 솔루션에 의해 표준화된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인지기능 악화 및 관련 질환 발생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다. 이때, 개인 맞춤형 정보 제공 시 검사 결과나 필요정보에 대한 직관적이고 자연스러운 이해를 위한 시각화된 리포트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비용 정산부(160)는 사용자가 국가에서 무상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실시하는 진단 검사를 받을 경우, 국민건강보험공단 또는 의료비 지원 지방자치단체에 상기 진단 검사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의료기관 치매 조기 검진에 대한 비용청구를 자동화하여, 사용자가 검진 비용을 따로 청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간소화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연산부(130), 저장부(140), 분석부(150) 및 비용 정산부(160)가 구분되어 있으나, 반드시 구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하나로 통합되거나 다양한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의료기관 서버(200)는 사용자 또는 의료진이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 후속 진단검사인 신경인지검사(CERAD, SNSB), 치매척도검사(GDS) 또는 노인장기요양등급 등의 입력값 또는 결과를 입력하는 단말이다. 상기 의료기관 서버(200)는 2차 및 3차 의료기관, 동네 의원 또는 보건소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의료기관 서버(200)는 의료기관 서버 제어부(210), 의료기관 서버 통신부(220), 의료기관 서버 표시부(230), 의료기관 서버 입력부(240) 및 의료기관 서버 저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기관 서버 제어부(210)는 상기 의료기관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의료기관 서버 저장부(250)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의료기관 서버 통신부(22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 무선랜 모듈, 및 근거리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료기관 서버 통신부(22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랜 모듈, 및 근거리통신 모듈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의료기관 서버 표시부(230)는 의료기관 서버(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의료기관 서버 표시부(230)는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플랫폼의 실행화면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로서, 의료기관 서버(200)에서 구동되는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 등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의료기관 서버 표시부(230)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의료기관 서버(2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의료기관 서버(2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40)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으며, 터치스크린(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으로 구성되거나 컴퓨터의 키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입력부(240)는 상기 의료기관 서버 표시부(23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의료기관 서버 저장부(250)는 의료기관 서버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의료기관 서버 통신부(220), 상기 의료기관 서버 표시부(230), 및 입력부(24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사용자의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 신경인지검사(CERAD, SNSB), 치매척도검사(GDS, Global Deterioration Scale) 및 노인장기요양등급 등의 입력값 및 결과값을 저장하고, 또한, 상기 검사들을 하기 전 검사 동의서, 및 의료 비용 내역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의료기관 서버 저장부(250)는 의료기관 서버(2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300)은 스마트폰, 휴대폰, 노트북, 랩탑, 태블릿(Tablet PC)등 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의 성명, 성별, 나이 등의 개인정보을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10)와, 관리서버(100), 의료기관 서버(200) 및 관련기관 서버(400)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통신부(320), 그리고 사용자 단말 표시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관련기관 서버(400)는 커뮤니티케어를 제공하는 각 지역의 보건소와, 공공보건의료 또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관련기관 서버 제어부(410), 관련기관 서버 통신부(420) 및 관련기관 서버 저장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련기관 서버(400)는 관련기관 서버 통신부(420)에 의하여 유무선 통신망(500)을 통해 관리서버(100), 의료기관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과 연결되어 통신하거나 연동을 되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관련기관 서버 제어부(410)는 관련기관 서버 통신부(420)에 의하여 관리서버(100) 및 의료기관 서버(200)로부터 각 사용자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관련기관 서버 저장부(43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관련기관 서버 저장부(430)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는 각 지역의 보건소와, 공공보건의료 또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에서 제공하는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를 관리하는데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통신망(500)은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및 소지역 통신망(Small Area Network: S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러나, 통신망(500)은 전술한 바와 같은 이미 구축된 망뿐만 아니라 앞으로 개발된 망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므로, 특정 기술로 국한되지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검진 및 그에 따른 커뮤니티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개념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은 크게 사용자에 대한 검진 등을 통한 데이터 입력, 입력된 상기 데이터에 대한 대한 알고리즘을 이용한 평가, 그리고 평가에 따른 서비스 제공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의료기관 서버(200)로부터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에 의한 입력값을 수신한다(S10).
구체적으로, 사용자 또는 의료진은 상기 의료기관 서버(200)의 입력부(230)에 사용자 정보(성명, 성별, 나이, 주민번호, 연락처, 주소 등), 병력 정보(병명, 병세, 치료결과 등), 가족력 정보(가족명, 가족관계, 병명 등) 등을 입력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의료기관 서버(200)의 입력부(230)에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의 질문에 대한 답(입력값)을 입력한다. 도 7은 사용자가 상기 의료기관 서버(200)의 입력부(230)에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의 질문에 대한 답(입력값)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화면이다.
이후, 상기 입력값이 통신망(500)을 통하여 관리서버(100)에 전달되면, 상기 입력값을 상기 연산부(130)에 저장된 인지장애 검진 알고리즘, 즉 정상범위와 인지저하범위에 대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인지저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20).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값은 사용자의 학력, 나이, 성별 등에 따라 층화된 집단의 총점 평균 및 표준편차 값을 이용하여 생성된 인지장애 검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보정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 점수 보정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어떤 사용자의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의 결과가 24점인 경우에 해당 사용자가 고학력이며 나이가 비교적 젊으면 인지저하로 판정하고, 어떤 사용자의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의 결과가 24점인 경우에 해당 사용자가 무학이며 나이가 비교적 많으면 정상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지장애 검진 알고리즘은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 점수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점수 변화 추이를 관찰 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용자의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 결과가 24점인 경우 일년 전 점수가 30이었던 경우에는 인지저하로 판정하고, 일년 전 점수가 25점이었던 경우에는 정상으로 판정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인지장애 검진 알고리즘은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현 상태를 보다 세분화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쳐서 사용자가 정상군으로 구분되면(S30), 정상군인 사용자에게 검사 결과 보고서를 제공하고, 추후 검진 일정 및 예방 프로그램을 안내한다. 이와 같은 검사 결과 보고서와 추후 검진 일정 및 예방 프로그램 안내는 통신망(500)을 통하여 관리서버(100)와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3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와 직접 대면하여 검사 결과를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정상군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300)에 전달된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한 보고서가 사용자 단말 표시부(330)에 표시된 화면의 일 예이다. 상기 보고서는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 결과를 시각화하여 사용자가 보기 쉽도록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 결과 보고서를 통신망(500)을 통하여 관리서버(100)와 연결되어 있는 관련기관 서버(400)에 통지한다. 따라서 보건소 등의 관련기관은 정상군에 속한다는 검사 결과 보고서를 통지받은 사용자의 예방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관하여 모니터링 하는 등 사용자와 예방 프로그램에 관한 관리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정상군으로 분류된 사용자에게는 대략 1년 또는 그 이상의 기간마다 다시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를 다시 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상기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 결과에 추가적으로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일상생활 수행능력평가 또는 노인장기요양등급의 결과를 입력받아 사용자에 알맞는 커뮤니티 케어 서비스를 추천한다(S40).
상기 추천은 상기 관리서버(100)의 분석부(150)에서 사용자에 대한 의료 데이터를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개인 맞춤형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를 제시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는 주간 보호 서비스, 재가 서비스, 돌봄 서비스, 여가 서비스, 방문지원 서비스, 이동지원 서비스, 배식 서비스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외에 지방자치단체 또는 보건소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공공보건의료 서비스, 인지재활서비스, 요양 복지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인지저하군으로 구분되면(S50), 인지저하군인 사용자에게 검사 결과 보고서를 제공하고, 후속 진단 검사인 신경인지검사(예를 들어, CERAD, SNSB 등)를 안내한다. 예를 들어, 상기 검사 결과 보고서는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 결과를 시각화하여 사용자가 보기 쉽게 리포트할 수 있다. 도 10은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 결과를 시각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의 일 예이다.
또한, 상기 검사 결과 보고서를 통신망(500)을 통하여 관리서버(100)와 연결되어 있는 관련기관 서버(400)에 통지한다. 따라서 관련기관은 인지저하군에 속하는 사용자의 후속 진단 검사 참여 여부에 관하여 모니터링 하는 등 후속 관리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지저하군으로 분류된 사용자에게는 상기 정상군 보다는 짧은 주기, 예를 들어 대략 6개월 마다 다시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를 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후속 진단 검사(예를 들어, CERAD, SNSB 등)를 보건소에서 받으면(S60), 사용자에게 후속 진단 검사 결과에 대한 보고서를 제공하고, 후속 진단 검사 결과에 따른 점수별 치료프로그램을 안내할 수 있다(S70). 예를 들어 후속 진단 검사 결과에 따라 예방 프로그램, 재활프로그램 등을 안내하고, 특히 개인별로 그 증상에 따라 적절한 프로그램을 매칭시켜 안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적절한 치료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치매 안심센터를 안내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사용자는 전문의에게 진찰받을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보건소에 인지저하군으로 등록된 사용자에게 정기 검진이나 교육 스케줄에 대하여 자동으로 알려주는 알람 서비스를 제공하여 조기 검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인지장애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람 서비스는 사용자의 동의 시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알람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전문가, 즉 사용자 본인이나 사용자의 보호자가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나 치매척도검사(GDS)를 스스로 해 볼 수 있도록 돕는 보조 프로그램, 예를 들면 전문가 가이드 동영상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및 보호자의 치매 인식도를 평가 한 후 맞춤형 치매 인식 교육 및 보고서를 제공하여 치매인식도를 개선하고, 의료진의 설명을 보완할 수 있는 환자 맞춤형 교육 영상을 제공하여 치매 인식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치매척도검사(GDS)는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 시, 또는 후속 진단 검사(CERAD, SNSB 등) 시 등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 의료 데이터 및 후속 진단 검사(예를 들어, CERAD, SNSB 등) 결과에, 추가적으로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일상생활 수행능력평가 또는 노인장기요양등급 등의 결과를 입력받아 사용자에 알맞는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를 추천한다(S80). 상기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일상생활 수행능력평가 또는 노인장기요양등급은 반드시 입력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천은 상기 관리서버(100)의 분석부(150)에서 사용자에 대한 의료 데이터를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개인 맞춤형 커뮤니티 케어 서비스를 제시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커뮤니티 케어 서비스는 주간 보호 서비스, 재가 서비스, 돌봄 서비스, 여가 서비스, 방문지원 서비스, 이동지원 서비스, 배식 서비스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외에 지방자치단체 또는 보건소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공공보건의료 서비스, 인지재활서비스, 요양 복지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를 매칭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각종 의료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지남력, 기억등록, 주의집중, 기억회상, 언어구성, 시공간 구성에 관하여 가중치를 주어 종합 점수를 계산하고, 또한, 영역별 증상별로 그룹화하여 사용자에 적합한 커뮤니티케어를 매칭시킨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하면 관리서버(1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인지장애 검진을 하기 위하여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히스토리에 관하여 추적관리를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환자 증상 변화 및 순응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의료기관을 방문한 사용자의 데이터를 표시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인지장애 조기 검진 시 사용자의 현 상태에 대하여 보다 명확한 진단을 받을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자세한 보고서를 받고, 국가 지원 의료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시스템의 관리서버의 저장부에 저장된 누적된 데이터를 분석부에 의하여 분석하여, 치매 발생 추이 및 유병률을 분석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자치구별 또는 동별 치매 발생 추이 및 유병률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시스템의 관리서버의 저장부에 저장된 누적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치매(인지장애) 조기 검진 사업화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단율 및 치매 인식율, 예방교육 참여율, 인지재활교육 참여율, 치매 확진자 중 인지치료 프로그램 참여 대상자의 인지기능 보존정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시스템에 의하면, 의료기관 인지장애 조기 검진에 대한 비용청구를 자동화할 수 있어, 사용자가 검진 비용을 따로 청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설문조사 등을 통하여 본 시스템에 대한 사후 만족도를 평가하고, 인지장애 조기검진 사업 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의하여 국가 차원에서 고령화에 따른 복지 대책을 마련하고 복지 예산을 편성할 수 있으며, 보다 효율적으로 인지장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커뮤니티케어가 필요하지만 정보에 취약한 대상자를 위해 지역별, 개인별 다양한 상황에 맞는 서비스를 편리하게 찾아주는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치매 검진 사업에서 종이문서 형태로 배포 및 관리하던 행정업무를 전산 시스템으로 대체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인지장애 검진 시 필요한 검진 동의서, 청구서 등의 일반서류 및 MMSE, GDS 등의 표준화된 진단도구를 전산화하여 인지장애 진단과 관련된 의료 빅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할 수 있다. 검진 이후 예방관리를 위해 이루어지던 전화, 방문 등의 모니터링 업무를 고령자 맞춤형 예방관리 서비스로 대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치매 선별검사의 전산화 및 분석을 통하여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를 연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데이터 분실 및 누락 문제를 해결하고, 통계자료도 관리자가 원하는 주기마다 확인 가능하며, 관리 대상자의 지속적인 데이터 축적을 통해 상태(인지 기능 및 신체 건강) 악화 위험도를 예측 및 측정하고 즉시 필요한 우선 서비스를 연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경우 병원 및 재가 의료서비스로, 그 외의 경우 예방 및 재활, 복지서비스로 연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태 악화를 조기에 개입하여 방지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치료비용 부담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별 인지장애 관련 데이터를 검진 및 분석 알고리즘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수치적으로 평가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개인별 맞춤화된 예방 교육, 진료 안내, 사후 관리 프로그램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부호의 설명)
100: 관리서버 110: 제어부
120:통신부 130:연산부
140:저장부 150:분석부
160:비용 정산부 200:의료기관 서버
300:사용자 단말 400:관련기관 서버
500: 통신망

Claims (12)

  1. 통신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에 의한 입력값을 수신하는 의료기관 서버;
    상기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입력값을 인지장애 검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평가하여 사용자를 정상군과 인지저하군으로 구분하고; 상기 사용자가 정상군으로 구분되면, 정상군인 사용자에게 검사 결과 보고서를 제공하고 추후 검진 일정과 예방 프로그램을 안내하고; 상기 사용자가 인지저하군으로 구분되면, 인지저하군인 사용자에게 검사 결과 보고서를 제공하고 후속 진단검사를 안내하고, 사용자의 후속 진단검사 시 사용자에게 후속 진단검사 결과 보고서를 제공하고 후속 진단검사 결과에 따른 치료프로그램을 안내하는 관리 서버;및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검사 결과 보고서 또는 상기 후속 진단검사 결과 보고서가 표시되는 사용자 단말 표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에 관한 데이터, 상기 사용자가 후속 진단검사를 받은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후속 진단검사 결과 데이터, 상기 사용자가 ADL 수행능력평가를 받은 경우에는 상기 ADL 평가 결과 데이터, 또는 사용자가 노인장기요양등급을 받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노인장기요양등급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인지장애 관련 데이터를, 사용자의 상기 개인정보와 통합하여 각 사용자의 개인별 데이터를 구축하고, 사용자에 대한 상기 개인별 데이터를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표준화하고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개인 맞춤형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개인별 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지역의 보건소, 공공보건의료 또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에서 제공하는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를 관리하는 데에 이용하는 관련기관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인지장애 검진 알고리즘은 상기 입력값을 상기 사용자의 학력, 나이, 또는 성별에 따라 층화된 집단의 총점 평균 및 표준편차 값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4. 제2항에서,
    상기 관련기관 서버는 보건소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5. 제1항에서,
    상기 후속 진단검사는 CERAD 또는 SNSB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6. 제1항에서,
    상기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는 공공보건 의료서비스, 인지재활서비스, 주간 보호 서비스, 재가 서비스, 돌봄 서비스, 여가 서비스, 방문지원 서비스, 이동지원 서비스 또는 배식 서비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7.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에 의한 입력값을 수신하는 단계;
    인지장애 검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값을 평가하여 사용자를 정상군과 인지저하군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정상군으로 구분되면, 정상군인 사용자에게 검사 결과 보고서를 제공하고 추후 검진 일정과 예방 프로그램을 안내하고, 관련기관 서버에 검사 결과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인지저하군으로 구분되면, 인지저하군인 사용자에게 검사 결과 보고서를 제공하고 후속 진단검사를 안내하고, 관련기관 서버에 검사 결과를 전달하고, 사용자의 후속 진단검사 시 사용자에게 후속 진단검사 결과 보고서를 제공하고 후속 진단검사 결과에 따른 치료프로그램을 안내하고, 관련기관 서버에 후속 진단검사 결과를 전달하는 단계;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에 관한 데이터, 상기 사용자가 후속 진단검사를 받은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후속 진단검사 결과 데이터, 상기 사용자가 ADL 수행능력평가를 받은 경우에는 상기 ADL 평가 결과 데이터, 또는 사용자가 노인장기요양등급을 받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노인장기요양등급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인지장애 관련 데이터를, 사용자의 상기 개인정보와 통합하여 각 사용자의 개인별 데이터를 구축하고, 사용자에 대한 상기 개인별 데이터를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표준화하고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개인 맞춤형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를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인지장애 검진 알고리즘은 상기 입력값을 상기 사용자의 학력, 나이, 또는 성별에 따라 층화된 집단의 총점 평균 및 표준편차 값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9. 제7항에서,
    상기 관련기관 서버는 보건소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7항에서,
    상기 후속 진단검사는 CERAD 또는 SNSB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7항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개인별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개인 맞춤형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를 추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케어 종류 및 이용가능 시간에 대한 안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7항에서,
    상기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는 공공보건 의료서비스, 인지재활서비스, 주간 보호 서비스, 재가 서비스, 돌봄 서비스, 여가 서비스, 방문지원 서비스, 이동지원 서비스 또는 배식 서비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PCT/KR2021/004978 2020-04-21 2021-04-21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2121580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907A KR102211391B1 (ko) 2020-04-21 2020-04-21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020-0047907 2020-04-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5809A1 true WO2021215809A1 (ko) 2021-10-28

Family

ID=74572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4978 WO2021215809A1 (ko) 2020-04-21 2021-04-21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11391B1 (ko)
WO (1) WO20212158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46657A (zh) * 2022-07-05 2022-11-15 深圳市镜象科技有限公司 利用迁移学习提升老年痴呆的识别效果的训练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391B1 (ko) * 2020-04-21 2021-02-03 주식회사 카이아이컴퍼니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15116593B (zh) * 2022-08-29 2022-11-11 山东新蓝海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大数据的社区医护调度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649A (ko) * 2017-08-03 2019-02-14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한 치매 발병 예측 방법 및 예측 시스템
KR101969540B1 (ko) * 2018-03-26 2019-08-13 주식회사 에임메드 인지 기능 재활 훈련 방법 및 장치
JP2020000483A (ja) * 2018-06-28 2020-01-09 株式会社アルム 認知症診断装置、および認知症診断システム
KR102211391B1 (ko) * 2020-04-21 2021-02-03 주식회사 카이아이컴퍼니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649A (ko) * 2017-08-03 2019-02-14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한 치매 발병 예측 방법 및 예측 시스템
KR101969540B1 (ko) * 2018-03-26 2019-08-13 주식회사 에임메드 인지 기능 재활 훈련 방법 및 장치
JP2020000483A (ja) * 2018-06-28 2020-01-09 株式会社アルム 認知症診断装置、および認知症診断システム
KR102211391B1 (ko) * 2020-04-21 2021-02-03 주식회사 카이아이컴퍼니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ONYMOUS: "CommunityCare", KOREA POLICY BRIEFING. COMMUNITY CARE, 6 March 2020 (2020-03-06), XP055860511,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www.korea.kr/special/policyCurationView.do?newsId=148866645> *
LEE, KANG SOO; CHEONG, HAE-KWAN; HOON, BYOUNG; HONG, CHANG HYUNG: "Comparison of the Validity of Screening Tests for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of the Elderly in a Community:K-MMSE, MMSE-K, MMSE-KC and K-HD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48, no. 2, 1 January 2009 (2009-01-01), Korea, pages 61 - 69, XP009531390, ISSN: 1015-481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46657A (zh) * 2022-07-05 2022-11-15 深圳市镜象科技有限公司 利用迁移学习提升老年痴呆的识别效果的训练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391B1 (ko)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15809A1 (ko)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Patrick et al. Measurement of health status in the 1990s
KR102558021B1 (ko) 임상 의사결정 지원 앙상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임상 의사결정 지원 방법
US201202212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ordering, scheduling, administering, storing, interpreting and transmitting a plurality of psychological, neurobehavioral and neurobiological tests
Warwick et al. Validation of ICD-10-CM surveillance codes for traumatic brain injury inpatient hospitalizations
Fontaine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to evaluate postoperative pain based on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WO2019225910A1 (ko) Nihss를 이용한 뇌졸중 중증도의 예측 및 분석 방법과 시스템
CN114334123A (zh) 一种适用于轻度认知障碍快速检测的认知测评体系
WO2022211385A1 (ko) 질병 예측치의 분포를 이용한 건강관리 상담 시스템
WO2021146368A1 (e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latform to optimize skill training and performance
Azofeifa et al. Peer Reviewed: Evaluating Behavioral Health Surveillance Systems
Bertl et al. A survey on AI and decision support systems in psychiatry–Uncovering a dilemma
Nasiri et al. Knowledge representation and management based on an ontological CBR system for dementia caregiving
Ndira et al. Assessment of data quality of and staff satisfaction with an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 in a developing country (Uganda)
Zambelli-Weiner et al. Building a basis for action: Enhancing public health surveillance of vision impairment and eye health in the United States
Safdari et al. Designing and implementation of a heart failure telemonitoring system
Smith et al. Predicting follow-up living setting in patients with stroke
US20030018240A1 (en) Chronic heart failure patient identification system
KR20210020428A (ko) 노인 관리 시스템
Helfer et al. Wanted: a national standard for early hearing detection and intervention outcomes data
KR102655620B1 (ko) 원격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tein et al. Methods in epidemiology
Meislin et al.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emergency medical services patient care record
JP7437825B1 (ja) スクリーンインタラクションを利用する認知症早期検診システム{Dementia early examination system using screen interaction}
JP7344424B1 (ja) 医療・療法システム及びそれを実行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9281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79281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1.04.2023)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79281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