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2334A - 암 줄기세포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에서 유래하는 암의 치료, 예방 및 진단을 위한 방법 및 조성물 - Google Patents

암 줄기세포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에서 유래하는 암의 치료, 예방 및 진단을 위한 방법 및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2334A
KR20140032334A KR1020137006929A KR20137006929A KR20140032334A KR 20140032334 A KR20140032334 A KR 20140032334A KR 1020137006929 A KR1020137006929 A KR 1020137006929A KR 20137006929 A KR20137006929 A KR 20137006929A KR 20140032334 A KR20140032334 A KR 20140032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pn2
cancer
cells
stem cells
cancer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6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히로 오찌야
Original Assignee
독립행정법인 국립암연구센터
가부시끼가이샤 쓰리디 매트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립행정법인 국립암연구센터, 가부시끼가이샤 쓰리디 매트릭스 filed Critical 독립행정법인 국립암연구센터
Publication of KR20140032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3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3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 C12N15/1137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against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61K31/7105Natural ribonucleic acids, i.e. containing only riboses attached to adenine, guanine, cytosine or uracil and having 3'-5' phosphodiester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4/00Glycosyltransferases (2.4)
    • C12Y204/99Glycosyltransferases (2.4) transferring other glycosyl groups (2.4.99)
    • C12Y204/99018Dolichyl-diphosphooligosaccharide—protein glycotransferase (2.4.99.18)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G01N33/57415Specifically defined cancers of brea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8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involving compounds serving as markers for tumor, cancer, neoplasia, e.g. cellular determinants, receptors, heat shock/stress proteins, A-protein, oligosaccharides, metabol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10Type of nucleic acid
    • C12N2310/14Type of nucleic acid interfering N.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30Chemical structure
    • C12N2310/35Nature of the modification
    • C12N2310/351Conjugate
    • C12N2310/3513Protein; Peptid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50Physical structure
    • C12N2310/53Physical structure partially self-complementary or closed
    • C12N2310/531Stem-loop; Hairp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20/00Applications; Uses
    • C12N2320/30Special therapeutic applications
    • C12N2320/32Special delivery means, e.g. tissue-specific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06Pharmacogenomics, i.e. genetic variability in individual responses to drugs and drug metabolis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18Prognosis of disease develop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90Enzymes; Proenzymes
    • G01N2333/91Transferases (2.)
    • G01N2333/91091Glycosyltransferases (2.4)
    • G01N2333/91097Hexosyltransferases (general) (2.4.1)

Abstract

본 발명은, 암 줄기세포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에서 유래하는 암의 치료, 예방 및 진단을 위한 방법 및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암 줄기세포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에서 유래하는 암의 치료, 예방 및 진단을 위한 방법 및 조성물{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PREVENTING AND DIAGNOSING CANCER CONTAINING CANCER STEM CELLS OR DERIVED THEREFROM}
본 발명은, RPN2 유전자를 표적으로 한 암 줄기세포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에서 유래하는 암의 치료, 예방 및 진단을 위한 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증거의 축적에 의해, 종양은 똑같지 않고 종종 불균일한 세포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의 세포의 서브셋이 종양의 저해, 약제 내성 및 전이를 담당한다는 것이 시사되어 있다. 이러한 세포는 암 줄기세포(또는 종양 개시 세포)라 부르고 있다. 이 암 줄기 세포를 표적으로 하면, 암의 발생, 전이, 재발을 치료 및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암 줄기세포 표현형의 분자적 기반의 대부분은 불분명하기 때문에, 암 줄기세포를 규정하는 마커는 명확하지 않고, 또한, 암 줄기세포를 표적으로 한 치료 또는 예방의 방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이전에 올리고당 전이 효소(OST) 복합체의 구성 성분인 리보포린 II(RPN2)가 유방암 세포에 있어서의 약제 내성을 조절하고 있으며, RPN2의 사일런싱이 약제 내성 종양을 극복하기 위한 유망한 시도임을 실증하였다(특허문헌 1). 그러나, RPN2의 발현 억제에 의한 암 세포의 증식 억제 등의 메커니즘은 명확하지 않았다.
국제 특허 공개 제2007/14498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암 줄기세포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에서 유래하는 암의 치료, 예방 및 진단을 위한 방법 및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RPN2가 유방암 세포의 암 줄기세포 분획에서 높게 발현되고 있으며, RPN2의 녹다운이 시험관 내에서 암 줄기세포의 콜로니 형성 및 침윤능을 저해한다는 것을 밝힌다. 추가 분석에 의해, RPN2의 녹다운이 생체 내에서 종양 형성을 저하시키고 전이능을 억제하는 것이 나타났다. 망라적 프로테오믹스 분석에 의해, RPN2 녹다운이 TGF-β/Smad 경로를 조절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 14-3-3ζ의 발현을 변화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RPN2가 암 줄기세포 표현형의 유지를 위해 중요하고, RPN2가 암 줄기세포 치료를 위한 유망한 표적일 수 있다는 유전적 및 생물학적 증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1] RPN2 조해제를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에서 유래하는 암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 조성물;
[2] 암 줄기세포가 변이형 p53유전자를 갖는 [1]의 의약 조성물;
[3] RPN2 조해제가 RPN2 유전자에 대한 siRNA인 [1] 또는 [2]의 의약 조성물;
[4] RPN2의 발현의 유무 또는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의 검출 방법;
[5] 변이형 p53 유전자를 검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4]의 방법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RPN2 유전자를 표적으로 한 암 줄기세포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에서 유래하는 암의 치료, 예방 및 진단을 위한 방법 및 조성물이 제공된다.
도 1의 (A)는 CD44+CD24- 암 줄기세포의 불균등 분열을 도시하는 도면, (B)는 RT-PCR에 의한 RPN2의 발현 해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CD44+CD24- 암 줄기세포수에 대한 RPN2 녹다운의 효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콜로니 형성능에 대한 RPN2 녹다운의 효과를 도시하는 도면, (B)는 형성 콜로니수에 대한 RPN2 녹다운의 효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종양 형성능에 대한 RPN2 녹다운의 효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종양 전이에 대한 RPN2 녹다운의 효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치사성에 대한 RPN2 녹다운의 효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A)는 변이형 p53의 발현에 대한 RPN2 녹다운의 효과를 도시하는 도면, (B)는 E-카드헤린의 발현에 대한 RPN2 녹다운의 효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14-3-3ζ의 발현에 대한 RPN2 녹다운의 효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MM231-LN 세포를 동물에 이식하여 형성된 종양의 면역 조직 염색의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인간 유방암 환자의 유방암 조직에 있어서의 RPN2 및 변이형 p53의 발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TUNEL 분석(assay)에 의해 평가한 종양 아포토시스(apoptosis)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유방암의 종양 아포토시스가 고도로 유도된 것이 투여 3일 후의 RPN2-siRNA/A6K의 종양 내 송달에 의해 증명되었다.
도 12는 개 유방암에 있어서의 RPN2의 녹다운 분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RPN2-siRNA/A6K에 의해, RPN2 mRNA의 대조(생리 식염수)에 비해 약 50%의 저해를 보였다(n=3, p<0.001).
본 발명은, RPN2 조해제를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에서 유래하는 암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대상에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에서 유래하는 암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하는 용어 「암 줄기세포」는, 다분화능 및 자기 복제능(이들을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자기 복제 분화능이라고도 함)을 갖는 암 세포를 말한다. 암 세포에는, 유방암 세포, 위암 세포, 대장암 세포, 폐암 세포, 전립선암 세포, 혈구계암 세포 등, 임의의 암이 포함된다. 암 줄기세포는, 자기 복제 분화능 뿐만 아니라 항암제에 대한 내성(약제 내성), 주변 조직에 침윤 및/또는 체내의 이격된 부위로 전이되는 능력(침윤 전이능)을 가질 수 있다. 암 줄기세포를 표적으로 하면, 암의 발생, 전이, 재발을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암 줄기세포를 표적으로 한 암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암 줄기세포는 증가한 리보포린 II(RPN2)의 발현 레벨을 갖는다. 「RPN2」는 조면 소포에 존재하고, 신생 폴리펩티드쇄에 N 결합형 당쇄를 부가하는 기능을 갖는 올리고당 전이 효소(OST) 복합체의 구성 성분(서브 유닛) 중 하나이다. 인간 RPN2는 631 아미노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염기성의 막 단백질이다. RPN2의 기원에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어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 동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영장류,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다. 「RPN2 유전자」는, RPN2를 코드하는 유전자이다. 배열 번호 1에 인간 RPN2 유전자의 염기 배열을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RPN2의 발현을 CD44+/CD24-의 유방암의 암 줄기세포 분획에 있어서 숏 헤어핀 RNA(shRNA)에 의해 녹다운하면, 시험관 내에서 암 줄기세포의 콜로니 형성 및 침윤능이 저해되고, 면역 부전 동물에서의(즉 생체 내에서의) 종양 형성능이나 침윤 전이능이 소멸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암 줄기세포는, 자기 복제 분화능, 약제 내성, 침윤 전이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이들 모두에 관여하는 RPN2는 암 줄기세포의 마커가 되고, 또한 RPN2를 표적으로 하면 암 줄기세포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에서 유래하는 암을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암 줄기세포는 변이형 p53 유전자를 갖는다. 「p53」은 암 억제 유전자 산물이며, 많은 인간 암에 있어서 p53 유전자에 있어서의 변이가 발견되어 있다(문헌 [Adorno, M. et al., Cell, 137:87-98(2009); Wang, S. P. et al., Nat. Cell Biol., 11:694-704(2009); Muller, P. A. et al., Cell, 139:1327-1341(2009); Morton, J. P.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07:246-251(2010)]). p53 유전자에 있어서의 변이에 한정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변이는 프레임 시프트를 발생하지 않는 치환점 변이(미스센스 변이) 또는 결실 변이(코돈 결실 변이)이다.
본 발명자들은, 변이형 p53을 갖는 세포주에 있어서 RPN2의 발현을 녹다운하면 변이형 p53 단백질 레벨이 저하되고, E-카드헤린의 발현 저하가 억제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RPN2가 높게 발현하고 있는 암 세포에서는 14-3-3ζ의 발현이 저하되어 있으며, RPN2의 녹다운에 의해 그의 발현이 증가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14-3-3ζ은 mdm2를 통해 변이형 p53을 분해하도록 작용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암 세포는, 상피 간엽 전환(EMT)이라 칭하는 현상을 나타낸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EMT시에 세포 접착에 관여하는 E-카드헤린의 발현이 저하되고, 그 결과 암 세포가 침윤 또는 전이된다고 생각된다. 상기한 결과는, 암 세포에 있어서 RPN2가 14-3-3ζ의 발현을 저하시키고, 그 결과 변이형 p53이 안정화되어 EMT를 일으키고, 암 세포의 침윤 또는 전이가 초래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변이형 p53은 암 세포의 자기 복제 분화능 및 침윤 전이능에 관여한다는 것이 시사되어 있으며, p53에 관한 많은 연구가 존재한다. 그러나, p53을 표적으로 한 암의 치료 또는 예방의 성공예는 현재까지 보고되어 있지 않다. RPN2는, 자기복제 분화능 및 침윤 전이능 뿐만 아니라 약제 내성에 관여한다는 것이 나타나 있기 때문에, RPN2를 저해하면 암 세포의 약제 내성을 없앨 뿐만 아니라, 변이형 p53의 작용을 그의 상류에서 저해하여 암 세포의 자기 복제 분화능 및 침윤 전이능을 저해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RPN2의 발현 뿐만 아니라 변이형 p53의 존재를 검출하면, RPN2의 저해가 유효한 변이형 p53을 갖는 암 세포를 보다 정확하게 동정할 수 있다. 또한, RPN2를 저해함으로써, 변이형 p53을 표적으로 하는 것보다도 유효하게 변이형 p53에 관련된 암을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하는 용어 「RPN2 조해제」는, RPN2 유전자의 발현, RPN2 유전자 산물의 작용을 저해하는 임의의 물질을 말한다. RPN2는 태반 이외의 정상 조직에서는 대부분 발현되지 않는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RPN2 조해제는, 임산부 이외의 대상에 있어서의 암 세포 이외의 세포에는 실질적으로 작용하지 않아, 부작용이 없는 특이적인 암 치료약으로서 유용하다. 대상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어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 동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영장류,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다.
RPN2 조해제로서, 예를 들어 RPN2 유전자의 전사를 저해하는 물질, RPN2 전사 산물에 결합하거나 또는 그것을 분해하는 물질, RPN2 단백질에 결합하는 물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RPN2 단백질에 결합하는 물질의 예로서는, 항RPN2 항체 또는 그 프래그먼트(Fab, F(ab')2 등), 올리고당 전이 효소(OST) 복합체에 있어서 RPN2와 결합하는 다른 구성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RPN2 전사 산물에 결합하거나 또는 그것을 분해하는 물질의 예로서는, RPN2 유전자에 대한 안티센스 RNA, 리보자임, 저분자 간섭 RNA(siRNA), 마이크로 RNA(miRNA) 등을 들 수 있다.
RPN2 유전자에 대하여 RNA 간섭(RNAi)을 일으키는 siRNA, miRNA 등이 RPN2 조해제로서 적절하게 사용된다. RNA 간섭은, 이중쇄(ds) RNA 분자에 의해 배열 특이적으로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siRNA에 의한 표적mRNA의 절단, siRNA에 의한 표적 DNA 영역의 헤테로크로마틴화를 통한 유전자 사일런싱, miRNA에 의한 번역 억제, 전사 억제, mRNA의 분해 등에 의해 RNA 간섭이 초래된다. siRNA는, 대상 유전자인 RPN2 유전자의 배열에 기초하여 배열 설계를 할 수 있으며, 인공 합성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 적절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siRNA를 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DNA 화학 합성에서도 사용되는 포스포라미디트법에 의해, 3' 말단으로부터 5' 말단을 향해 일염기씩 순서대로 축합 반응시킴으로써 화학 합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합성 과정에서 RNase에 의한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개개의 리보뉴클레오티드의 2' 말단의 수산기를 보호한다. 이러한 보호기로서는, 2'-O-t-부틸디메틸실릴(2'-tBDMS)기, 2'-O-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메틸(2'-TOM)기, 5'-실릴-2'-아세톡시에톡시(2'-ACE)기 등을 들 수 있다.
RPN2 유전자에 대한 siRNA는, RPN2 유전자의 소정의 배열에 대응하는 배열, 즉 표적이 되는 mRNA의 일부의 배열에 대응하는 배열을 갖는다. 예를 들어, 배열 번호 1에 나타내는 RPN2 유전자 배열 중 1194번째부터 1212번째까지의 배열에 대하여, 센스쇄가 되는 배열 번호 2의 RNA 및 안티센스쇄가 되는 배열 번호 3의 RNA로 이루어지는 dsRNA(배열 A)를 siRNA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dsRNA에 있어서, 각 쇄의 3' 말단에는 2 염기의 오버행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중쇄 부분은 19 염기 길이가 된다. 배열 번호 4 내지 25에, 특허문헌 1에 개시된 RPN2 유전자에 대한 siRNA(배열 B 내지 L)의 센스쇄 및 안티센스쇄의 배열을 나타낸다. 이들 쌍(dsRNA)을 본 발명에 있어서 RPN2 조해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miRNA는 단백질을 코드하지 않는 저분자 RNA이며, 게놈 위에 몇백 종류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miRNA는, 몇백부터 몇천 염기의 뉴클레오티드로서 전사된 후에 프로세싱을 받고, 최종적으로는 19 내지 24 염기의 2량체 뉴클레오티드가 되어, 이 miRNA와 상보적인 염기 배열을 갖는 mRNA의 번역 억제나, mRNA의 분해, 전사의 제어 등에 의해 유전자 발현을 억제한다. RPN2도 복수의 miRNA에 의해 발현이 제어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miRNA를 인공적으로 합성하고, 본 발명에 있어서 RPN2 조해제로서 사용함으로써 RPN2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RPN2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할 가능성이 있는 기지된 miRNA의 배열은 공개 데이터 베이스(TargetScan Release 3.1 등)에 의해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투여는, 전신 투여, 국소 투여 중 어느 것이든 좋다. 투여 경로는,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근육 내, 비강 내 등의 임의의 경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부형제, 희석제, 안정화제 등, 제제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성분을 더 포함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RPN2 조해제가 항체 등의 단백질인 경우, 의약 조성물은 단백질 제제의 분야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RPN2 조해제가 siRNA 등의 핵산인 경우, 핵산을 도입하기 위한 임의의 물질(예를 들어, 리포솜)을 포함하여도 좋다. 국제 공개 제2010/024262호에 기재된 펩티드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트랜스펙션제는 낮은 독성, 높은 환부까지의 도달 효율 및 표적 유전자의 억제 효율을 나타내고, 전신 투여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을 위해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 포함되는 RPN2 조해제의 사용량은, 투여 방법, 종양의 종류, 크기, 환자의 상태, 병용하는 약제 등에 따라 변동되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결정된다. 예를 들어, RPN2 조해제로서 siRNA를 사용하는 경우, 국소 투여에서는 1nmol/kg 이상 10nmol/kg 이하, 전신 투여에서는 2nmol/kg 이상 50nmol/kg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RPN2의 발현의 유무 또는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의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RPN2는 세포질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검출시에는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세포 또는 조직으로부터 RNA, 단백질 등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제조하고, 그 중의 전사 산물(RPN2 mRNA), 번역 산물(RPN2 단백질)을 검출한다. RPN2 mRNA의 검출에는, 노던 블로팅, 역전사 폴리머라제 연쇄 반응(RT-PCR) 등의 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RPN2 단백질의 검출에는, 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 공지된 임의의 방법, 예를 들어 항RPN2 항체를 사용한 면역학적 방법(웨스턴 블로팅, ELISA 등)을 사용할 수 있다. RPN2는 태반 이외의 정상 조직에서는 거의 발현되지 않는 것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RPN2의 발현의 존재 또는 고레벨의 발현은 RPN2의 암에 대한 관여의 지표가 된다. 이러한 암의 치료 및 예방에는, RPN2 조해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을 사용한 처치가 유효하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검출 방법은 변이형 p53 유전자를 검출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변이형 p53 유전자의 검출을, 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 공지된 하이브리다이제이션, 전기 영동, 핵산 증폭, 배열 결정 등을 이용한 임의의 핵산 검출ㆍ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RPN2를 발현하는 암 세포에 있어서 변이형 p53이 존재하는 경우, RPN2를 저해함으로써 변이형 p53에 관련된 암을 유효하게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검출 방법은, 유효한 치료 및 예방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진단 방법으로서 유용하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인간 유방암 세포인 MCF7-ADR을 2개 세포 분획 CD44+CD24- 및 CD44+CD24+로 나누어서 7일간 배양하였다. CD44+CD24-의 분획만이 암 줄기세포로서의 성질인 불 균등 분열을 갖고 있었다(도 1의 A).
RT-PCR에 의해 리보포린 II(RPN2)의 발현을 해석하였다. 그 결과, CD44+CD24-(암 줄기세포)에 있어서의 발현은, CD44+CD24+(비암 줄기세포)에 있어서의 발현에 비해 약 20배 이상 항진되어 있었다(도 1의 B).
실시예 2
shRPN2 벡터를 사용하여, RPN2의 발현이 항상적으로 녹다운된 인간 유방암 세포를 제작하였다. 사용한 세포는, MCF7, MCF7-ADR, MDA-MB-231LN(MM231-LN)의 인간 유방암 세포주 3종류였다. MCF7은, MCF7-ADR(약제 내성주)의 친주(親株)이며, 비악성인 유방암 세포에서 호르몬 리셉터 양성이며, 약제에 감수성이 있다. MM231-LN은, 호르몬 리셉터 음성이며 고전이성의 악성도가 높은 세포주이다.
얻어진 각각의 세포에 대하여, 10nM 도세탁셀 존재하에 96시간 인큐베이트한 후, CD44+CD24- 암 줄기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shRPN2 벡터를 도입한 MCF7-ADR 세포 및 MM231-LN 세포에서는, 컨트롤 벡터(shNC)를 도입한 세포에 비해 CD44+CD24- 암 줄기세포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었다(도 2).
실시예 3
암 줄기세포의 특징 중 하나로서, 평면 배양(샬레)에서의 콜로니 형성능이 있다. MM231-LN 세포는, 도 3의 A 위(MM231-LN-shN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콜로니를 형성하지만, shRPN2 벡터를 도입한 경우, 콜로니 형성능은 현저하게 억제되었다(도 3의 A 아래, MM231-LN-shRPN2). 도 3의 B는, 형성된 콜로니수를 나타낸다.
실시예 4
암 줄기세포의 다른 특징은, 적은 세포수를 동물에 이식하여도 충분한 종양을 형성하는 것에 있다. 여기에서는 2종의 인간 유방암 세포(MCF7-ADR 및 MM231-LN)에 대하여 RPN2를 녹다운한 경우(shRPN2)와 그렇지 않은 경우(shNC)를 비교하였다. shRPN2 벡터를 도입한 세포를 마우스(NOD-Scid 마우스, 자성, 6주령) 배면부의 우측에, shNC 벡터를 도입한 세포를 좌측에 이식하였다. 이식한 세포수는, MCF7-ADR의 경우 1×104개/부위, MM231-LN의 경우 1×102개/부위였다.
그 결과, 마우스의 이미징의 도면(도 4 중 (MCF7-ADR-luc) 및 우측(MM231-LN-luc))에 도시한 바와 같이, shRPN2 벡터를 도입한 세포는 어느 쪽도 종양 형성능을 상실하였다. 표 1에 그 결과를 정리한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5
MM231-LN 세포는 악성도가 높은 고전이성주이며, 이 세포를 마우스의 유선에 이식하면 겨드랑이 밑이나 흉부 림프절에 전이되어, 100% 치사가 된다. 이 계에 있어서, shRPN2 벡터를 도입한 경우와 shNC 벡터를 도입한 경우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shRPN2의 군에서는 림프절 전이가 현저하게 억제되었다(도 5). 표 2에 그 결과를 정리한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6
실시예 5에 기재된 마우스를 더욱 장기간 관찰한 결과, shNC군에서는 이식 세포수 1×102개, 1×103개 모두 전체예가 치사가 되었지만, shRPN2군에서는 1×102개, 1×103개의 이식에서 전체예가 생존하였다(도 6). 도 6에 있어서, 종축은 무전이 생존율(%)을, 횡축은 시간(일)을 나타낸다.
실시예 7
shRPN2 벡터의 도입에 의해 RPN2를 녹다운한 MCF7-ADR 및 MM231-LN의 2종류의 세포에 대하여, 웨스턴법에 의한 단백질 해석에 의해 변이형 p53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어떠한 세포에서도 변이형 p53의 발현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도 7의 A).
또한, shRPN2에 의한 RPN2 녹다운은 E-카드헤린의 발현을 유도한다는 것이 명확해졌다(도 7의 B). 도 7의 B 좌측은 shNC에 관한 결과를, 도 7 가운데는 shRPN2에 관한 결과를, 도 7의 B 우측은 E-카드헤린 양성 세포율(%)을 나타낸다.
E-카드헤린의 발현은, 암 세포가 상피 간엽 전환(EMT)을 나타내면 상실된다. E-카드헤린이 감소한 세포는 보다 전이되기 쉬워지는 성질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RPN2 고발현의 세포에 있어서의 RPN2의 발현을 shRPN2에 의해 녹다운하면, E-카드헤린의 발현이 상승한 사실은 RPN2가 EMT를 유도하고 있는 것을 뒷받침한다.
실시예 8
변이형 p53의 발현이 RPN2에 의해 제어되는 메커니즘을 조사하기 위해, shRPN2 벡터의 세포로의 도입에 의해 발현이 변화되어 있는 단백질을 프로테옴의 방법으로 해석하였다. 그 결과, 14-3-3ζ의 관여가 밝혀졌다(도 8). 14-3-3ζ은 mdm2를 통해 변이형 p53을 분해하도록 작용한다. RPN2가 항진하고 있는 세포에서는 14-3-3ζ의 발현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변이형 p53의 안정화가 일어나고, E-카드헤린을 감소시키는 등, 전이에 관계된 EMT의 방향으로 세포를 운명지은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9
MM231-LN 세포를 동물에 이식하고, 형성된 종양을 핵을 특이적으로 염색하는 DAPI(청색), 항RPN2 항체(녹색), 항변이형 p53 항체(적색)를 사용하는 3색의 면역 조직 염색에 의해 조사하였다(도 9 좌측). RPN2 양성 세포와 변이형 p53 양성 세포는 일치하고 있었다. 또한, RPN2의 발현을 ABC법으로 염색하여 조사하였다(도 9 가운데). 도 9 가운데에서 짙게 염색되어 있는 RPN2 고발현 암 세포에 있어서, E-카드헤린의 발현이 감소되어 있었다(도 9 우측).
실시예 10
2개의 인간 유방암 환자의 유방암 조직을, 핵을 특이적으로 염색하는 DAPI(청색), 항RPN2 항체(녹색), 항변이형 p53 항체(적색)를 사용하는 3색의 형광 면역 염색에 의해 조사하였다. 조직은 원발소이며, 어느 쪽도 림프절 전이 양성이다. 어느 경우에도 RPN2 양성 세포와 변이형 p53 양성 세포는 일치하고 있었으며, 이것은 실시예 9에 있어서의 시험관 내의 결과를 뒷받침하는 것이다(도 10).
실시예 11
개의 자연 발증 유방암에 있어서의 RPN2 유전자에 대한 siRNA 투여에 의한 유방암 세포의 아포토시스 및 유방암 종양의 축소
개의 자연 발증 암 조직(유선암을 포함함)의 PCR 해석에 의해, 개의 유방암 조직에 있어서도 RPN2가 고발현하고 있는 경향이 보였다. 개 RPN2에 대한 siRNA를 설계하고, 핵산 이송 담체 수용액(핵산 이송 담체로서, 펩티드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이송 담체(A6K: 특허 공개 2010-222338)를 최종 농도 0.5%로 사용함)와 혼합하고, siRNA-담체 복합체(최종 농도 1mg/mL)를 제조하였다.
개(골든 레트리버, 체중 약 40kg)의 자연 발증 유방암 종양에 상기한 siRNA-담체 복합체를 2일 간격으로 2번 국소적으로 투여하고, 최후의 투여로부터 3일째에 외과적으로 종양 조직을 절제하였다. 대조로서, 생리 식염수만, 담체(A6K)만을 투여하였다.
종양의 외관 크기는, siRNA-담체 복합체 투여 전에 긴 직경 36.3mm, 짧은 직경 17.1mm였던 것이 최후의 투여로부터 3일째에는 긴 직경 24.9mm, 짧은 직경 15.6mm가 되고, 종양 체적(GTV)으로서 43%의 축소가 보였다.
외과적 절제한 종양 조직의 절편 관찰 및 TUNEL 분석에 의해, siRNA-담체 복합체 투여에 의한 종양 세포의 아포토시스가 보이고, 투여 후의 조직에는 종양에 특징적인 구조가 보이지 않았다(도 11 우측). 한편, A6K만 투여에서는 종양 조직에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도 11 좌측).
siRNA-담체 복합체 투여에 의해, RPN2의 mRNA가 약 50% 녹다운되었다(도 12).
본 발명에 의해, RPN2 유전자를 표적으로 한 암 줄기세포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에서 유래하는 암의 치료, 예방 및 진단을 위한 방법 및 조성물이 제공된다.
SEQUENCE LISTING <110> National Cancer Center Research Institute 3-D Matrix, Ltd. <120>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ment, prevention and diagnosis of cancer comprising or derived from cancer stem cells <130> FP-3367 <160> 25 <210> 1 <211> 2509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1 ttccagcgtt gcgagacggt cggttccaag tgggcctggg cgcgggggag aggcgggtct 60 gtcctcggga actgcaaggc cctgtgagcg ggaggactgg gatcccggcc gcggctgctg 120 gaagcgtcga agctcagcgg gccgcggaca tgacctgtgc ttagaactca tcctggcccg 180 cagagcctgc cgcgagtccc tggcgtcccc tgtggcgggc tcttggagcc actttcccga 240 gcggaagtca gcccgcggct cggactccgg cgggacctgc tcggaggaat ggcgccgccg 300 ggttcaagca ctgtcttcct gttggccctg acaatcatag ccagcacctg ggctctgacg 360 cccactcact acctcaccaa gcatgacgtg gagagactaa aagcctcgct ggatcgccct 420 ttcacaaatt tggaatctgc cttctactcc atcgtgggac tcagcagcct tggtgctcag 480 gtgccagatg caaagaaagc atgtacctac atcagatcta accttgatcc cagcaatgtg 540 gattccctct tctacgctgc ccaggccagc caggccctct caggatgtga gatctctatt 600 tcaaatgaga ccaaagatct gcttctggca gctgtcagtg aggactcatc tgttacccag 660 atctaccatg cagttgcagc tctaagtggc tttggccttc ccttggcatc ccaagaagca 720 ctcagtgccc ttactgctcg tctcagcaag gaggagactg tgctggcaac agtccaggct 780 ctgcagacag catcccacct gtcccagcag gctgacctga ggagcatcgt ggaggagatt 840 gaggaccttg ttgctcgcct ggatgaactc gggggcgtgt atctccagtt tgaagaagga 900 ctggaaacaa cagcgttatt tgtggctgcc acctacaagc tcatggatca tgtggggact 960 gagccatcca ttaaggagga tcaggtcatc cagctgatga acgcgatctt cagcaagaag 1020 aactttgagt ccctctccga agccttcagc gtggcctctg cagctgctgt gctctcgcat 1080 aatcgctacc acgtgccagt tgtggttgtg cctgagggct ctgcttccga cactcatgaa 1140 caggctatct tgcggttgca agtcaccaat gttctgtctc agcctctgac tcaggccact 1200 gttaaactag aacatgctaa atctgttgct tccagagcca ctgtcctcca gaagacatcc 1260 ttcacccctg taggggatgt ttttgaacta aatttcatga acgtcaaatt ttccagtggt 1320 tattatgact tccttgtcga agttgaaggt gacaaccggt atattgcaaa taccgtagag 1380 ctcagagtca agatctccac tgaagttggc atcacaaatg ttgatctttc caccgtggat 1440 aaggatcaga gcattgcacc caaaactacc cgggtgacat acccagccaa agccaagggc 1500 acattcatcg cagacagcca ccagaacttc gccttgttct tccagctggt agatgtgaac 1560 actggtgctg aactcactcc tcaccagaca tttgtccgac tccataacca gaagactggc 1620 caggaagtgg tgtttgttgc cgagccagac aacaagaacg tgtacaagtt tgaactggat 1680 acctctgaaa gaaagattga atttgactct gcctctggca cctacactct ctacttaatc 1740 attggagatg ccactttgaa gaacccaatc ctctggaatg tggctgatgt ggtcatcaag 1800 ttccctgagg aagaagctcc ctcgactgtc ttgtcccaga accttttcac tccaaaacag 1860 gaaattcagc acctgttccg cgagcctgag aagaggcccc ccaccgtggt gtccaataca 1920 ttcactgccc tgatcctctc gccgttgctt ctgctcttcg ctctgtggat ccggattggt 1980 gccaatgtct ccaacttcac ttttgctcct agcacgatta tatttcacct gggacatgct 2040 gctatgctgg gactcatgta tgtctactgg actcagctca acatgttcca gaccttgaag 2100 tacctggcca tcctgggcag tgtgacgttt ctggctggca atcggatgct ggcccagcag 2160 gcagtcaaga gaacagcaca ttagttccag aagaaagatg gaaattctga aaactgaatg 2220 tcaagaaaag gagtcaagaa caattcacag tatgagaaga aaaatggaaa aaaaaaactt 2280 tatttaaaaa agaaaaaagt ccagattgta gttatacttt tgcttgtttt tcagtttccc 2340 caacacacag cagatacctg gtgagctcag atagtctctt tctctgacac tgtgtaagaa 2400 gctgtgaata ttcctaactt acccagatgt tgcttttgaa aagttgaaat gtgtaattgt 2460 tttggaataa agagggtaac aataggaaca aaaaaaaaaa aaaaaaaaa 2509 <210> 2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strand for sequence A <400> 2 ggccacuguu aaacuagaac a 21 <210> 3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strand for sequence A <400> 3 uucuaguuua acaguggccu g 21 <210> 4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strand for sequence B <220> <221> misc_feature <222> (20)..(21) <223> n stands for deoxythymidine (dT) <400> 4 cguguacaag uuugaacugn n 21 <210> 5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strand for sequence B <220> <221> misc_feature <222> (20)..(21) <223> n stands for deoxythymidine (dT) <400> 5 caguucaaac uuguacacgn n 21 <210> 6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strand for sequence C <220> <221> misc_feature <222> (20)..(21) <223> n stands for deoxythymidine (dT) <400> 6 gccauccauu aaggaggaun n 21 <210> 7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strand for sequence C <220> <221> misc_feature <222> (20)..(20) <223> n stands for deoxythymidine (dT) <220> <221> misc_feature <222> (21)..(21) <223> n stands for deoxycytidine (dC) <400> 7 auccuccuua auggauggcn n 21 <210> 8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strand for sequence D <220> <221> misc_feature <222> (20)..(21) <223> n stands for deoxythymidine (dT) <400> 8 gcaaugugga uucccucuun n 21 <210> 9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strand for sequence D <220> <221> misc_feature <222> (20)..(20) <223> n stands for deoxythymidine (dT) <220> <221> misc_feature <222> (21)..(21) <223> n stands for deoxyguanosine (dG) <400> 9 aagagggaau ccacauugcn n 21 <210> 10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strand for sequence E <220> <221> misc_feature <222> (20)..(21) <223> n stands for deoxythymidine (dT) <400> 10 ggugccagau gcaaagaaan n 21 <210> 11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strand for sequence E <220> <221> misc_feature <222> (20)..(20) <223> n stands for deoxythymidine (dT) <220> <221> misc_feature <222> (21)..(21) <223> n stands for deoxyguanosine (dG) <400> 11 uuucuuugca ucuggcaccn n 21 <210> 12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strand for sequence F <220> <221> misc_feature <222> (20)..(21) <223> n stands for deoxythymidine (dT) <400> 12 ggaugugaga ucucuauuun n 21 <210> 13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strand for sequence F <220> <221> misc_feature <222> (20)..(20) <223> n stands for deoxythymidine (dT) <220> <221> misc_feature <222> (21)..(21) <223> n stands for deoxyguanosine (dG) <400> 13 aaauagagau cucacauccn n 21 <210> 14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strand for sequence G <220> <221> misc_feature <222> (20)..(21) <223> n stands for deoxythymidine (dT) <400> 14 ggugccagau gcaaagaaan n 21 <210> 15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strand for sequence G <220> <221> misc_feature <222> (20)..(20) <223> n stands for deoxythymidine (dT) <220> <221> misc_feature <222> (21)..(21) <223> n stands for deoxyguanosine (dG) <400> 15 uuucuuugca ucuggcaccn n 21 <210> 16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strand for sequence H <220> <221> misc_feature <222> (20)..(21) <223> n stands for deoxythymidine (dT) <400> 16 ggccacuguu aaacuagaan n 21 <210> 17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strand for sequence H <220> <221> misc_feature <222> (20)..(20) <223> n stands for deoxythymidine (dT) <220> <221> misc_feature <222> (21)..(21) <223> n stands for deoxyguanosine (dG) <400> 17 uucuaguuua acaguggccn n 21 <210> 18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strand for sequence I <220> <221> misc_feature <222> (20)..(21) <223> n stands for deoxythymidine (dT) <400> 18 gggugacaua cccagccaan n 21 <210> 19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strand for sequence I <220> <221> misc_feature <222> (20)..(21) <223> n stands for deoxyguanosine (dG) <400> 19 uuggcugggu augucacccn n 21 <210> 20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strand for sequence J <220> <221> misc_feature <222> (20)..(21) <223> n stands for deoxythymidine (dT) <400> 20 ggguaacaau aggaacaaan n 21 <210> 21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strand for sequence J <220> <221> misc_feature <222> (20)..(20) <223> n stands for deoxythymidine (dT) <220> <221> misc_feature <222> (21)..(21) <223> n stands for deoxycytidine (dC) <400> 21 uuuguuccua uuguuacccn n 21 <210> 22 <211> 25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strand for sequence K <400> 22 aagauagccu guucaugagu gucgg 25 <210> 23 <211> 25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strand for sequence K <400> 23 ccgacacuca ugaacaggcu aucuu 25 <210> 24 <211> 25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strand for sequence L <400> 24 uuauggaguc ggacaaaugu cuggu 25 <210> 25 <211> 25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strand for sequence L <400> 25 accagacauu uguccgacuc cauaa 25

Claims (5)

  1. RPN2 조해제를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에서 유래하는 암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암 줄기세포가 변이형 p53 유전자를 갖는 의약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PN2 조해제가 RPN2 유전자에 대한 siRNA인 의약 조성물.
  4. RPN2의 발현의 유무 또는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의 검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변이형 p53 유전자를 검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37006929A 2010-08-20 2011-06-24 암 줄기세포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에서 유래하는 암의 치료, 예방 및 진단을 위한 방법 및 조성물 KR201400323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84764 2010-08-20
JPJP-P-2010-184764 2010-08-20
PCT/JP2011/064527 WO2012023345A1 (ja) 2010-08-20 2011-06-24 がん幹細胞を含むまたはそれに由来するがんの治療、予防および診断の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683A Division KR101911659B1 (ko) 2010-08-20 2011-06-24 암 줄기세포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에서 유래하는 암의 치료, 예방 및 진단을 위한 방법 및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334A true KR20140032334A (ko) 2014-03-14

Family

ID=4560500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683A KR101911659B1 (ko) 2010-08-20 2011-06-24 암 줄기세포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에서 유래하는 암의 치료, 예방 및 진단을 위한 방법 및 조성물
KR1020187029882A KR20180116465A (ko) 2010-08-20 2011-06-24 암 줄기세포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에서 유래하는 암의 치료, 예방 및 진단을 위한 방법 및 조성물
KR1020137006929A KR20140032334A (ko) 2010-08-20 2011-06-24 암 줄기세포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에서 유래하는 암의 치료, 예방 및 진단을 위한 방법 및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683A KR101911659B1 (ko) 2010-08-20 2011-06-24 암 줄기세포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에서 유래하는 암의 치료, 예방 및 진단을 위한 방법 및 조성물
KR1020187029882A KR20180116465A (ko) 2010-08-20 2011-06-24 암 줄기세포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에서 유래하는 암의 치료, 예방 및 진단을 위한 방법 및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130236891A1 (ko)
EP (1) EP2606909B1 (ko)
JP (2) JP5891173B2 (ko)
KR (3) KR101911659B1 (ko)
CN (1) CN103068403A (ko)
ES (1) ES2586116T3 (ko)
WO (1) WO20120233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36891A1 (en) 2010-08-20 2013-09-12 3-D Matrix, Ltd. Method and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prevention, and diagnosis of cancer containing or derived from cancer stem cells
JP2014207883A (ja) * 2013-03-27 2014-11-06 国立大学法人岡山大学 がん幹細胞及びその用途
US20200129042A1 (en) * 2017-05-25 2020-04-30 Nec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EP3723726A1 (en) 2017-12-15 2020-10-21 3-D Matrix, Ltd. Surfactant peptide nanostructures and uses in drug delivery
CN109486942B (zh) * 2018-12-26 2021-04-06 苏州大学 一种用于类风湿性关节炎诊断的生物标志物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78458A1 (en) * 2003-09-05 2007-08-02 O'brien Philippa Methods of diagnosis and prognosis of ovarian cancer II
WO2007144985A1 (ja) 2006-06-16 2007-12-21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Rpn2遺伝子発現抑制剤の用途
US20090047295A1 (en) * 2007-07-12 2009-02-19 Berry David A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Stemness in Oncogenesis
US9217155B2 (en) * 2008-05-28 2015-12-22 University Of Massachusetts Isolation of novel AAV'S and uses thereof
JP5129887B2 (ja) 2008-08-22 2013-01-30 マーベル ワールド トレード リミテッド 高精度時間プロトコルおよび媒体アクセス制御セキュリティをネットワークエレメントに統合するシステム
CN102131926A (zh) * 2008-08-27 2011-07-20 三维肽胶株式会社 转染剂
EP2370813A4 (en) * 2008-12-04 2012-05-23 Univ California MATERIALS AND METHODS FOR DIAGNOSIS AND PROGNOSIS OF PROSTATE CANCER
WO2011040613A1 (ja) * 2009-10-01 2011-04-07 独立行政法人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 腫瘍治療剤
US20130236891A1 (en) 2010-08-20 2013-09-12 3-D Matrix, Ltd. Method and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prevention, and diagnosis of cancer containing or derived from cancer stem ce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36891A1 (en) 2013-09-12
EP2606909B1 (en) 2016-05-11
JP5891173B2 (ja) 2016-03-22
JPWO2012023345A1 (ja) 2013-10-28
JP2016101167A (ja) 2016-06-02
KR20180116465A (ko) 2018-10-24
ES2586116T3 (es) 2016-10-11
KR101911659B1 (ko) 2018-10-24
WO2012023345A1 (ja) 2012-02-23
EP2606909A1 (en) 2013-06-26
JP6262707B2 (ja) 2018-01-17
EP2606909A4 (en) 2014-08-13
KR20170131723A (ko) 2017-11-29
US10337012B2 (en) 2019-07-02
US20170240902A1 (en) 2017-08-24
CN103068403A (zh)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öbel et al. Polyethylenimine/small interfering RNA‐mediated knockdow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vivo exerts anti‐tumor effects synergistically with Bevacizumab
JP6414886B2 (ja) 抗癌治療に用いられる長鎖非コードrna
US10337012B2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prevention, and diagnosis of cancer containing or derived from cancer stem cells
TW200908998A (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ing cancer
US20090202623A1 (en) Gene therapy for cancer using small interfering rna specific to ant2 and a method to overcome tolerance to antitumor agent
US20130237584A1 (en) CANCER THERAPY USING Bcl-XL-SPECIFIC siNA
JP5933010B2 (ja) 癌治療剤
US11883401B2 (en)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pathogenic- and/or chemical-induced lung injury and for the treatment of cancer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150344887A1 (en) siRNA FOR INHIBITION OF USP15 EXPRESS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EP2810655A1 (en) Novel antitumor agent and method for screening same
CN111197046A (zh) Notch 1特异性sirna分子
US20110190375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cmyc sirna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5567555B2 (ja) 頭頸部腫瘍増殖抑制剤
JP6436477B2 (ja) 癌治療用医薬組成物
KR20180068524A (ko) SS18-SSX 융합 유전자 특이적 siRNA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09143281A2 (en) Compositions comprising c-met sirna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09143372A2 (en) Compositions comprising a-raf, b-raf, and c-raf sirna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0137143B1 (en) Preventing tumor development and metastasis
JP7427227B2 (ja) 腫瘍細胞の生存を低下させるkrasアンチセンスオリゴヌクレオチド及びその用途
WO2012020839A1 (ja) 癌治療用医薬組成物
KR100627377B1 (ko) 뇌하수체 종양-형질전환 유전자 1 단백질의 합성을 차단할수 있는 작은 간섭 rna 및 이를 발현하는 벡터를 이용한 암의 유전자 치료
KR20150114637A (ko) SerpinA1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하는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948064B1 (ko) NIK 유전자에 대한 siRNA를 포함하는 간질환치료제
JP2021031484A (ja) 膵癌細胞浸潤転移阻害剤
JPWO2018003988A1 (ja) 脳腫瘍を含む腫瘍の治療用核酸および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560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121

Effective date: 2019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