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2003A - 연료 탱크용 밸브 - Google Patents

연료 탱크용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2003A
KR20140032003A KR1020147003236A KR20147003236A KR20140032003A KR 20140032003 A KR20140032003 A KR 20140032003A KR 1020147003236 A KR1020147003236 A KR 1020147003236A KR 20147003236 A KR20147003236 A KR 20147003236A KR 20140032003 A KR20140032003 A KR 20140032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valve
fuel
fuel gas
deflectio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3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2553B1 (ko
Inventor
유타카 스즈키
카오루 노미치
마코토 니노미야
Original Assignee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filed Critical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2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6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temperature as the par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04Shape cylindr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05Bosses, e.g. boss coll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82Constructional details of valves,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88Arrangement of valves, regulators,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4Methods for emptying or fi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4Indicating or measuring of parameters as input values
    • F17C2250/0404Parameters indicated or measured
    • F17C2250/0439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6Controlling or regulating of parameters as output values
    • F17C2250/0605Parameters
    • F17C2250/0631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94With means for separating solid material from the fluid
    • Y10T137/8122Planar strainer normal to flow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탱크(100) 내에 연료 가스(G)를 충전하는 충전구(6)와, 탱크(100) 내의 연료 가스(G)를 출력하는 출력구(7)를 갖는 밸브 본체(5)와, 충전구(6)에서 충전되는 연료 가스(G)를 탱크(100)의 축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여 분출하는 분류 편향 피스(10)를 구비하고, 분류 편향 피스(10)는 연료 가스(G)를 탱크(100) 내에 분출하는 분출구(11)를 갖는 연료 분출부(17)와, 탱크(100) 내에 충전되는 연료 가스(G)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20)가 배치되는 온도 측정부(13)를 구비하고 있고, 연료 탱크에 연료를 충전할 때에 있어서의 연료 가스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연료 탱크용 밸브{VALVE FOR FUEL TANK}
본 발명은 연료 탱크에 설치되는 연료 탱크용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연료 탱크에는 탱크 내에 연료 가스를 충전함과 동시에 가스 사용 때에는 출력할 수 있도록 탱크에 직접 설치하는 마스터 밸브형의 연료 탱크용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은 이러한 종류의 연료 탱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연료 탱크(100)는 일반적으로, 금속 등의 고기밀성을 갖는 탱크 내부 부재(101)와, 경량의 고장력 재료를 이용한 탱크 외부 부재의 이중 구조로 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탱크(100)의 일단에 밸브(103)가 설치되고, 타단은 플러그(104)로 막혀 있다.
그러나 도 6에 나타내는 구조의 경우, 연료 탱크(100)에 설치된 밸브(103)를 통하여 탱크 내에 고압의 연료 가스(G)를 충전할 때, 연료 가스(G)의 분류(jet)가 직접 부딪히는 탱크 후단 부근의 온도가 상승하고, 고압 충전 때에는 부분적인 온도 상승에 의한 열팽창으로 인하여 연료 탱크(100)에 뒤틀림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런 종류의 선행 기술로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가스(G)를 연료 탱크(100) 내에 충전할 때에, 밸브(113)에 설치한 분출구 유닛(115)의 분출구(116)에서 각도(α)를 갖게 하고 충전함으로써 연료 가스(G)를 확산시켜 연료 탱크(100)의 부분적인 열팽창에 의한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 일본 특허 제3864815호 등록공보
그런데, 연료 탱크에 고압의 연료 가스를 충전할 경우, 충전시 연료 탱크의 비정상적인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료 탱크 내의 가스 온도를 측정 및 그 온도를 모니터링하면서 충전하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연료 탱크에 직접 설치되는 밸브에 온도 센서를 내장시키는 것을 생각하였다. 또한, 고압의 연료 가스를 충전할 때에는 밸브에 내장시킨 온도 센서를 연료 가스로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도 생각하였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1에 기재된 탱크 구조에는 온도 센서를 밸브에 설치하는 것에 대하여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1의 탱크 구조에서는 고압 가스의 정확한 온도 측정 및 모니터링이 어렵고, 고압의 연료 가스에 의한 온도 센서의 손상을 일으킬 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료 탱크에 연료를 충전할 때에 있어서의 연료 가스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연료 탱크용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탱크 내에 연료 가스를 충전하는 충전구와 상기 탱크 내의 연료 가스를 출력하는 출력구를 갖는 밸브 본체와, 상기 충전구에서 충전되는 연료 가스를 탱크의 축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여 분출하는 분류 편향 피스(deflection piece)를 구비한 연료 탱크 밸브이며, 상기 분류 편향 피스는 연료 가스를 상기 탱크 내에 분출하는 분출구를 갖는 연료 분출부와, 상기 탱크 내에 충전되는 연료 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가 배치되는 온도 측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명세서 및 청구 범위의 서류 중에 있어서의 「연료 가스」는 고압의 「수소 가스」, 「천연 가스」 등의 연료 가스를 말한다. 이 구성에 따라, 밸브 본체의 충전구에서 탱크 안으로 충전하는 연료 가스를, 분류 편향 피스의 분출구에서 탱크의 축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여 편향된 상태로 분출하여 충전하고, 그 충전하는 연료 가스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 편향 피스는 상기 연료 분출부에서 충전하는 연료 가스의 일부를 상기 온도 측정부에 인도하는 통로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충전하는 연료 가스의 온도를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연료 가스의 더욱 정확한 온도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 편향 피스는 상기 온도 측정부와 상기 연료 분출부의 사이에 격벽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통로는 상기 연료 분출부에서 충전하는 연료 가스가 상기 온도 센서에 직접 닿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격벽부에서 고압 충전 때의 연료 가스가 온도 센서에 직접 닿지 않고, 연료 가스에 의한 온도 센서의 손상 등을 방지하면서 연료 가스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모니터링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 편향 피스는 상기 탱크의 내면을 따라 연료 가스를 분사하도록 분류 편향 피스의 측면에 상기 분출구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렇게 구성하면, 분류 편향 피스의 분출구에서 탱크의 내면을 따라 연료 가스가 분출되어 충전되기 때문에 탱크의 국소적인 온도 상승을 억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출구는 상기 탱크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충전구에 연결되는 충전 구멍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각도 흔들며 연료 가스를 분출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렇게 구성하면, 분류 편향 피스의 분출구에서 탱크의 내면을 따라 분출되는 연료 가스가 소정의 각도로 나선형으로 흘러서 충전되기 때문에 탱크의 국소적인 온도 상승을 더욱 억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 편향 피스는 상기 출력구에 연결되는 출력 구멍과 그 출력 구멍에서 상기 출력구로 출력하는 연료 가스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분류 편향 피스를 교환함으로써 필터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 본체는 상기 분류 편향 피스와의 접합면에 상기 출력구에 출력하는 연료 가스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분류 편향 피스를 떼어냄으로써 밸브 본체에서 필터를 용이하게 떼어내고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 본체는 상기 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는 개폐 밸브의 밸브 설치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분류 편향 피스는 상기 밸브 설치부에 설치한 개폐 밸브에 외감(外嵌)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탱크 내에 개폐 밸브를 설치하는 구성의 연료 탱크용 밸브에 있어서, 연료 가스를 분류 편향 피스의 분출구에서 탱크의 축 방향에서 소정 각도로 편향하여 충전하고, 그 충전하는 연료 가스의 온도를 온도 센서로 더욱 정확하게 측정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 때의 연료 탱크의 온도 상승을 억제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충전 때에 연료 가스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 탱크의 밸브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밸브 부분의 Ⅱ-Ⅱ선에 따른 실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 탱크의 밸브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료 탱크의 밸브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료 탱크의 밸브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연료 탱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연료 탱크의 밸브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바탕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연료 탱크용 밸브를 확대한 단면도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연료 탱크(100)는 상기한 도 6에 나타내는 연료 탱크(100)와 마찬가지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한다. 또한, 충전하는 연료 가스(G)는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고, 출력하는 연료 가스(G)는 일점쇄선 화살표로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연료 탱크용 밸브(1)는 연료 탱크(100)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나사부(2)에 틀어박고 씨일링 링(ring)(3)에 의해 씨일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연료 탱크용 밸브(1)의 밸브 본체(5)에는 도시하는 상부에 충전구(6)가 마련되고, 하단에 출력구(7)가 마련되어 있다. 충전구(6)에 연결되는 충전 구멍(8) 및 출력구(7)에 연결되는 출력 구멍(9)이 탱크(100)의 내부에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출력 구멍(9)은 밸브 본체(5)의 중심에 마련되고, 충전 구멍(8)은 중심에서 한 쪽으로 치우쳐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밸브 본체(5)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충전 구멍(8)과 대칭 위치에 온도 센서(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온도 센서(20)는 밸브 본체(5)에 고정되어 있고, 온도 감지 부분인 프로브(probe)(21)가 탱크(100)의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도시하는 점선은 전기선이며, 온도 센서(20)에서 감지한 온도를 측정 및 모니터링하는 제어 장치(도시 생략)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 본체(5)의 탱크 내측 부분에는 분류 편향 피스(10)가 설치되어 있다. 분류 편향 피스(10)는 상기 충전 구멍(8)에서 탱크(100) 안으로 충전되는 연료 가스(G)를 탱크(100)의 축 방향에서 소정 각도 기울여 분출하는 분출구(11)를 가진 연료 분출부(17)를 구비한다. 이 분류 편향 피스(10)에는 상기 밸브 본체(5)의 출력 구멍(9)과 연통하는 출력 구멍(12)도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분류 편향 피스(10)는 볼트(bolt)(14)로 밸브 본체(5)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분류 편향 피스(10)에 마련된 분출구(11)는 분류 편향 피스(10)의 측면에 마련되어 있으며, 충전 구멍(8)에서 충전되는 연료 가스(G)를 탱크(100)의 내면 곡선을 따르는 것과 같이 축 방향에 대해 크게 기울여 분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탱크(100)에 충전되는 연료 가스(G)는 탱크 내면을 따라 탱크 후단 방향으로 확산되며 충전된다.
상기 분출구(11)는 도 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탱크(100)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연료 가스(G)를 분출하도록 설치되어 있지만,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충전 구멍(8)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β)(도 2에 나타내는 일점쇄선)로 흔들며 연료 가스(G)를 분출하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각도(β)는 분류 편향 피스(10)의 축심과 충전 구멍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한 기울기 각도이다. 이와 같이 분출구(11)를 흔들며 형성함으로써 분출구(11)에서 탱크(100)의 내면을 따라 분출되는 연료 가스(G)를 소정 각도로 나선형으로 흐르게 할 수 있고, 탱크(100)의 국소적인 온도 상승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분류 편향 피스(10)에는 상기 온도 센서(20)가 배치되는 소정의 공간 인 온도 측정부(13)와 연료 분출부(17)의 사이에 격벽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분류 편향 피스(10)는 충전하는 연료 가스(G)를 확산시키는 연료 분출부(17)와 온도 센서(20)가 설치되어 있는 온도 측정부(13)의 사이에 격벽을 구비함에 따라 연료 가스(G)의 분류가 온도 센서(20)의 프로브(21)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연료 분출부(17)와 온도 측정부(13)를 180°비켜놓은 대칭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연료 가스(G)에 의한 분류 편향 피스(10)의 온도 변화가 온도 측정부(13)의 온도 변화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 연료 분출부(17)와 온도 측정부(13)의 위치는 연료 가스(G)가 온도 센서(20)에 직접 닿지 않는 위치이면, 90°비켜놓은 위치나 그 밖의 각도로 비켜놓은 위치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류 편향 피스(10)에, 연료 분출부(17)에서 탱크 안으로 충전되는 연료 가스(G)의 일부를 상기 온도 센서(20)가 설치된 온도 측정부(13)에 인도하는 통로(15)가 마련되어 있다. 이 통로(15)는 연료 분출 부(17)에서 인도한 연료 가스(G)가 온도 센서(20)의 프로브(21)에 직접 닿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다. 요컨대, 통로(15)의 연장선상에 프로브(21)가 위치하지 않도록 설계된다. 통로(15)로서는 실선으로 나타내는 직선형의 형태나, 도 2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원호 모양의 형태 등 연료 가스(G)가 온도 센서(20)에 직접 닿지 않는 형상이면 좋다.
상기 통로(15)는 분류 편향 피스(10)의 밸브 본체(5)와의 접촉면 측에 마련되어 있고, 분류 편향 피스(10)를 밸브 본체(5)에 고정함으로써 홈 모양의 통로(15)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연료 탱크용 밸브(1)에 따르면, 충전구(6)에서 충전 구멍(8) 및 분출구(11)를 통하여 탱크 (100) 안으로 충전되는 연료 가스(G)는 탱크(100)의 내면을 따라 충전되기 때문에, 고압의 연료 가스(G)에 의한 연료 탱크(100)의 국소적인 온도 상승을 억제하면서 안정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밸브 본체(5)에 설치된 온도 센서(20)에 의해 충전되는 연료 가스(G)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충전하는 연료 가스(G)의 온도를 모니터링하여 안정적인 연료 가스 충전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시예에서는 분출구(11)에서 통로(15)를 통하여 온도 센서(20)를 설치한 온도 측정부(13)에 연료 가스(G)를 인도하고 있으므로 충전시 밸브 본체(5) 근방의 연료 가스(G)의 온도를 더욱 정확하게 측정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충전하는 연료 가스(G)가 온도 센서(20)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고 있으므로 고압의 연료 가스 충전 때에도 연료 가스(G)에 의한 온도 센서(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분류 편향 피스(10)에, 출력 구멍(9)에서 출력구(7)로 출력하는 연료 가스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30)를 설치한 예이다. 또한, 필터(30) 이외의 구성은 상기 연료 탱크용 밸브(1)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예의 필터(30)는 분류 편향 피스(10)의 출력 구멍(12)의 탱크 내측 부분에 필터 배치부(31)를 형성하고, 이 필터 배치부(31)에 필터(30)를 배치하고 C- 링(32)으로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분류 편향 피스(10)에 필터(30)를 설치하면, 필터(30)에 막힘이나 손상 등을 일으켰다고 하여도 분류 편향 피스(10)를 교환함으로써 필터(30)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35)는 밸브 본체(5)의 분류 편향 피스(10)와의 접촉면의 출력 구멍(9) 부분에 필터 배치부(36)를 형성하고, 이 필터 배치부(36)에 필터(35)와 필터 누름부(37)(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 부재)를 배치하여 분류 편향 피스(10)로 밸브 본체(5)에 압압하여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필터(35)를 설치하면, 분류 편향 피스(10)를 떼어냄으로써 필터(35)를 쉽게 교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밸브 본체(5)와는 별체인 분류 편향 피스(10)를 설치하는 부분에는 출력 라인용 필터(30,35) 등 다른 구성 요소가 설치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필터(30,35)와 같은 다른 구성 요소를 밸브 본체(5)에 직접 고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분류 편향 피스(10)마다 교환하면 용이하게 그 구성 요소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연료 탱크용 밸브(40)는 탱크(100)의 내부에 출력 구멍(9)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60)를 설치한 실시예이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료 탱크용 밸브(1)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밸브 본체(45)에는 탱크 내측 부분에 개폐 밸브(60)의 밸브 설치부(46)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밸브 설치부(46)는 개폐 밸브(60)의 형식 등에 따라 형성되는데, 이 예에서는 개폐 밸브(60)의 고정 부재(61)를 고정하는 나사부(4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분류 편향 피스(50)에는 상기 밸브 설치부(46)에 설치되는 개폐 밸브 (60)에 외감하는 개구부(51)가 마련되어 있다. 분류 편향 피스(50)에는 도시하지 않은 대략 원통형의 돌기가 밸브 본체(45)를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돌기를 밸브 본체(45)에 마련된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분류 편향 피스(50)가 밸브 본체(45)의 축심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 분류 편향 피스(50)에도, 분출구(11)와 개구부(51)의 사이에 격벽부(5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폐 밸브(60)는 상기 고정 부재(61)에 설치된 통형의 가이드(62)의 외주에 여자 코일(63)이 설치되고, 이 여자 코일(63)의 내측에 고정 자극(64)과 가동 철심(65)이 설치되어 있다. 여자 코일(63)이 여자되어 가동 철심(65)이 축 방향으로 이동되면, 이 가동 철심(65)과 로드(66)로 연결된 선단 부재(67)의 선단에 설치된 시트부(68)가 밸브 본체(45)에서 이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 밸브(60)의 고정 부재(61)를 밸브 본체(45)의 밸브 설치부(46)에 고정하고, 분류 편향 피스(50)의 밸브 본체(45) 측의 면에 마련된 돌기를 밸브 본체(45)의 구멍에 삽입하면서 개구부(51)를 이 고정 부재(61)의 위치에 배치함에 따라 분류 편향 피스(50)가 밸브 본체(45)의 중심에 배치된다. 그 후, 개폐 밸브(60)의 여자 코일(63)에 의해 분류 편향 피스(50)가 밸브 본체(45)와의 사이에 끼워지고, 이 여자 코일(63)을 너트(69)로 고정함에 따라 분류 편향 피스(50)가 여자 코일(63)과 밸브 본체(45)의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분류 편향 피스(50)도 충전하는 연료 가스(G)의 분출구 (11)와 그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20)를 배치하는 온도 측정부(13)가 형성되어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밸브 본체(45)의 탱크 내측 부분에 큰 개폐 밸브(60)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분출구(11)에서 일부의 연료 가스(G)를 온도 측정부(13)에 인도하는 통로(15)는 도 2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51)의 외측에 원호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연료 탱크용 밸브(40)에 따르면, 탱크(100)의 내부에 개폐 밸브(60)를 설치하는 인-탱크(in-tank) 구성의 연료 탱크용 밸브(40)에 있어서, 탱크 내에 충전되는 연료 가스(G)는 탱크(100)의 내면을 따라 충전되기 때문에, 고압의 연료 가스(G)에 의한 연료 탱크(100)의 국소적인 온도 상승을 억제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압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도 통로(15)에 의해 분출구(11)로부터 연료 가스(G)의 일부를 온도 측정부(13)에 인도하고 있으므로 밸브 본체(45)에 설치된 온도 센서(20)에 의해 충전 때에 있어서 밸브 본체(45) 근방의 연료 가스(G)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하는 연료 가스(G)의 온도 및 속도를 모니터링하여 안정적인 연료 가스 충전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온도 센서(20) 및 통로(15)는 일실시예이고, 온도 센서(20)의 형식 등에 따라 적합한 통로(15)를 마련하면 좋고, 이러한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분류 편향 피스(10,50)를 소정 높이의 원기둥체로 형성하고 있지만, 다각기둥체나 다른 형태이어도 좋고, 상기한 분출구(11), 온도 측정부(13) 및 통로(15)를 가지고 있으면 형태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본 발명의 요지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은 가능하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탱크용 밸브는 고압의 가스를 충전하는 연료 탱크용 밸브로서 이용할 수 있다.
1: 연료 탱크용 밸브
5: 밸브 본체
6: 충전구
7: 출력구
8: 충전 구멍
9: 출력 구멍
10: 분류 편향 피스
11: 분출구
12: 출력 구멍
13: 온도 측정부
14: 볼트
15: 통로
16: 격벽부
17: 연료 분출부
20: 온도 센서
21: 프로브
30: 필터
31: 필터 배치부
35: 필터
36: 필터 배치부
40: 연료 탱크용 밸브
45: 밸브 본체
46: 밸브 설치부
50: 분류 편향 피스
51: 개구부
52; 격벽부
60: 개폐 밸브
61: 고정 부재
100: 연료 탱크
G: 연료 가스

Claims (8)

  1. 탱크 내에 연료 가스를 충전하는 충전구와 상기 탱크 내의 연료 가스를 출력하는 출력구를 갖는 밸브 본체와,
    상기 충전구에서 충전되는 연료 가스를 탱크의 축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여 분출하는 분류 편향 피스를 구비한 연료 탱크용 밸브이며,
    상기 분류 편향 피스는 연료 가스를 상기 탱크 내에 분출하는 분출구를 갖는 연료 분출부와, 상기 탱크 내에 충전되는 연료 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가 배치되는 온도 측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용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편향 피스는 상기 연료 분출부에서 충전하는 연료 가스의 일부를 상기 온도 측정부에 인도하는 통로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용 밸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편향 피스는 상기 온도 측정부와 상기 연료 분출부의 사이에 격벽부를 갖고 있고,
    상기 통로는 상기 연료 분출부에서 충전하는 연료 가스가 상기 온도 센서에 직접 닿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용 밸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편향 피스는 상기 탱크의 내면을 따라 연료 가스를 분사하도록 상기 분류 편향 피스의 측면에 상기 분출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용 밸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는 상기 탱크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충전구에 연결되는 충전 구멍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흔들며 연료 가스를 분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용 밸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편향 피스는 상기 출력구에 연결되는 출력 구멍과, 상기 출력 구멍에서 상기 출력구에 출력하는 연료 가스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용 밸브.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는 상기 분류 편향 피스와의 접합면에 상기 출력구에 출력하는 연료 가스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용 밸브.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는 상기 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는 개폐 밸브의 밸브 설치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분류 편향 피스는 상기 밸브 설치부에 설치한 개폐 밸브에 외감하는 개구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용 밸브.
KR1020147003236A 2011-09-16 2012-09-12 연료 탱크용 밸브 KR1015825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03271A JP5785835B2 (ja) 2011-09-16 2011-09-16 燃料タンク用バルブ
JPJP-P-2011-203271 2011-09-16
PCT/JP2012/005793 WO2013038664A1 (ja) 2011-09-16 2012-09-12 燃料タンク用バルブ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003A true KR20140032003A (ko) 2014-03-13
KR101582553B1 KR101582553B1 (ko) 2016-01-07

Family

ID=47882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3236A KR101582553B1 (ko) 2011-09-16 2012-09-12 연료 탱크용 밸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04621B2 (ko)
EP (1) EP2757305B1 (ko)
JP (1) JP5785835B2 (ko)
KR (1) KR101582553B1 (ko)
CN (1) CN103732971B (ko)
CA (1) CA2848313C (ko)
WO (1) WO20130386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36076B2 (ja) * 2014-11-14 2017-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高圧タンク
JP2016186338A (ja) * 2015-03-27 2016-10-27 株式会社ケーヒン インタンクバルブ
DE102015218232A1 (de) * 2015-09-23 2017-03-2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Druckbehälter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m Temperatursensor im Absperrventil
JP6633375B2 (ja) * 2015-12-04 2020-01-22 株式会社Soken タンク
EP3333475B1 (de) * 2016-12-06 2021-03-24 Magna Energy Storage Systems GesmbH Druckgasflasche
JP6677179B2 (ja) * 2017-01-16 2020-04-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タンク
JP2022147694A (ja) * 2021-03-23 2022-10-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タンクバルブ装置
DE102022208213A1 (de) * 2022-08-08 2024-02-08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m Befüllen eines Brenngastanks mit Brenngas, Brenngastank sowie Brenngastanksystem
DE102022208214A1 (de) * 2022-08-08 2024-02-08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m Befüllen eines Brenngastanks mit Brenngas, Brenngastank sowie Brenngastanksystem
DE102022208212A1 (de) * 2022-08-08 2024-02-08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m Befüllen eines Brenngastanks mit Brenngas, Brenngastank sowie Brenngastanksystem
DE102022211297A1 (de) * 2022-10-25 2024-04-25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Tanksystem für ein wasserstoffbetriebenes Fahrzeug, Brennstoffzellenanordnung, Wasserstoff-Verbrennungsmotorsystem, brennstoffzellenbetriebenes Fahrzeug, wasserstoffbetriebenes Fahrzeu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0496A (ja) * 2003-12-17 2005-07-07 Toyota Motor Corp 高圧タンク用のバルブ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燃料電池システム
JP3864815B2 (ja) 2002-03-14 2007-01-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タンク構造
JP2007232151A (ja) * 2006-03-02 2007-09-13 Kawasaki Precision Machinery Ltd 弁装置
JP2010015847A (ja) * 2008-07-04 2010-01-21 Suzuki Motor Corp 車両用燃料電池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1762A (en) * 1996-08-16 2000-03-28 Impco Technologies, Inc. Control module for natural gas fuel supply for a vehicle
US6360546B1 (en) 2000-08-10 2002-03-26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Fluid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 featuring externally adjustable regulator assembly for high flow dispensing
JP2003090499A (ja) * 2001-09-19 2003-03-28 Samtec Kk 高圧タンク装置
DE03807908T1 (de) * 2002-09-25 2006-06-22 Taiyo Nippon Sanso Corporatio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füllen eines kraftstofftanks mit einem druckgas wie wasserstoff durch steuerung von strom und temperatur
DE112006000247B4 (de) * 2005-01-26 2010-09-0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Toyota-shi Brennstofftank-System
JP4594149B2 (ja) * 2005-03-29 2010-12-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圧縮ガス貯蔵装置
US7377294B2 (en) * 2005-04-20 2008-05-27 Honda Motor Co., Ltd. Gas cooling methods for high pressure fuel storage tanks on vehicles powered by compressed natural gas or hydrogen
DE102006004120A1 (de) * 2006-01-25 2007-07-26 Hydac Technology Gmbh Hydrospeicher
JP4805320B2 (ja) * 2008-09-11 2011-11-0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電磁開閉弁
US9383281B2 (en) 2009-02-19 2016-07-05 Ford Motor Company Fuel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gas pressure therein
WO2012017668A1 (ja) * 2010-08-06 2012-02-0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ガス用調圧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4815B2 (ja) 2002-03-14 2007-01-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タンク構造
JP2005180496A (ja) * 2003-12-17 2005-07-07 Toyota Motor Corp 高圧タンク用のバルブ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7232151A (ja) * 2006-03-02 2007-09-13 Kawasaki Precision Machinery Ltd 弁装置
JP2010015847A (ja) * 2008-07-04 2010-01-21 Suzuki Motor Corp 車両用燃料電池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85835B2 (ja) 2015-09-30
US20140352817A1 (en) 2014-12-04
JP2013064440A (ja) 2013-04-11
WO2013038664A1 (ja) 2013-03-21
CN103732971A (zh) 2014-04-16
CA2848313A1 (en) 2013-03-21
CN103732971B (zh) 2015-06-10
CA2848313C (en) 2016-01-26
US9404621B2 (en) 2016-08-02
EP2757305A1 (en) 2014-07-23
KR101582553B1 (ko) 2016-01-07
EP2757305A4 (en) 2015-07-08
EP2757305B1 (en)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2003A (ko) 연료 탱크용 밸브
KR101372539B1 (ko) 가열가능한 유체 라인용 커넥터 및 가열가능한 유체 라인
US9366357B2 (en) Electromagnetic valve for a tank valve of a fuel supply system
US20190170303A1 (en) Tank Valve
KR102439957B1 (ko) 개선된 정전기 방지 압력 탱크
KR20210055753A (ko) 기체상 매질을 저장하기 위한 탱크 장치
JP2018096537A (ja) インタンクレギュレーターの圧力測定システム
US9217342B2 (en) Collecting container for lubricants
JP5728840B2 (ja) タイヤ水圧試験装置およびタイヤ水圧試験方法
KR101686925B1 (ko) 연료 과충전 방지용 멀티밸브
JP2014046289A (ja) 気体用フィルタ装置
JP6633375B2 (ja) タンク
KR102189473B1 (ko) 가스저장탱크용 더블체크 멀티밸브장치
US10493764B2 (en) Fluidic interface
JP5249652B2 (ja) 車両用燃料電池システム
JP6100207B2 (ja) フューエルインレット
JP6852619B2 (ja) 高圧容器の膨張検査方法
US9874290B2 (en) Valve device
JP2010260436A (ja) ガス燃料車両
KR101977303B1 (ko) 연료 공급장치
CN203349589U (zh) 用于空调器的冷媒充泄装置
JPH08327491A (ja) 地下タンクの漏洩検知装置
CN204807228U (zh) 一种易安装热电阻传感器
KR20230078885A (ko) 초저온 연료탱크용 과충전방지장치
KR101251721B1 (ko) 연료량 측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