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1558A - A pully-hub assembly for compressor - Google Patents

A pully-hub assembly for compres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1558A
KR20140031558A KR1020120097834A KR20120097834A KR20140031558A KR 20140031558 A KR20140031558 A KR 20140031558A KR 1020120097834 A KR1020120097834 A KR 1020120097834A KR 20120097834 A KR20120097834 A KR 20120097834A KR 20140031558 A KR20140031558 A KR 20140031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hub
compressor
connecting member
fla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8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70833B1 (en
Inventor
이건호
권윤기
서문원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두원학원
주식회사 두원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두원학원, 주식회사 두원전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두원학원
Priority to KR1020120097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833B1/en
Publication of KR20140031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5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8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Pulle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ley-hub assembly for a compressor that includes a pulley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an engine of a vehicle and a hub assembly transmitting the rotary force of the pulley to a driving shaft of the compressor, the hub assembly having at least one connection member fixed to the pulley in such a manner as to be partially spaced apart from one side edge of the pulley and partiall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ulley, the connection member having a supporting protrusion formed from the front surface thereof, a hub fasten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compressor, and a hub plat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ub and having coupling protrusion portions protruded radially from the outer periphery thereof in such a manner as to be crossedly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each coupling protrusion portion being incised on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thereof in a lengthwise direction thereof in such a manner as to be extended to three parts, that is, two side extended portions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and an intermediate extended portion formed between the side extended portions and steppedly bent from the side extended portions toward the pulley or hub, wherein the connection member is inserted between the stepped gap between the side extended portions and the intermediate extended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supporting protrusion of the connection member is exposed through the open portion between the side extended portions.

Description

압축기용 풀리-허브 조립체{A PULLY-HUB ASSEMBLY FOR COMPRESSOR}[0001] A PULLY-HUB ASSEMBLY FOR COMPRESSOR [0002]

본 발명은 압축기용 풀리-허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작동불능 시 풀리와 허브 사이를 연결하는 풀리-허브 조립체를 파단시키지 않고도 압축기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시킬 수 있는 압축기용 풀리-허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ley-hub assembly for a compres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lley-hub assembly for a compressor that can block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compressor without breaking the pulley-hub assembly connecting the pulley and the hub, - hub assembly.

일반적으로, 차량 공조장치로 사용되는 압축기는 증발기 내에서 기화된 냉매를 흡입하는 기능, 흡입된 냉매를 압축하는 기능 및, 압축된 냉매를 토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Generally, a compressor used as a vehicle air conditioner performs a function of sucking vaporized refrigerant in the evaporator, a function of compressing the sucked refrigerant, and a function of discharging the compressed refrigerant.

이러한 압축기의 일 예로서 차량 엔진의 동력을 연결하고 차단하기 위한 전자클러치가 생략된 풀리조립체를 채용한 압축기가 있다. 풀리조립체에서 전자클러치를 생략하게 되면, 전자클러치의 단점인 온/오프시 쇼크에 따른 탑승자의 불쾌감을 없앨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As an example of such a compressor, there is a compressor employing a pulley assembly in which an electromagnetic clutch is omitted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the power of a vehicle engine. The omission of the electromagnetic clutch in the pulley assembly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eliminate the discomfort of the passenger due to the shock when the electromagnetic clutch is turned on / off, which is a disadvantage of the electromagnetic clutch.

통상적으로 압축기는 엔진의 동력을 항상 전달하므로 차량 공조장치의 냉방부하에 따라 펌핑용량이 가변될 수 있는 방식을 가진다.Generally, since the compressor always transmits the power of the engine, the pumping capacity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cooling load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통상의 압축기에 적용되는 풀리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ulley assembly applied to a conventional compress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풀리조립체는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풀리(10)와, 상기 풀리(10)의 회전력을 압축기(P)의 구동축(P1)으로 전달하는 허브 조립체(20)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s, a conventional pulley assembly includes a pulley 10 that receives power from an engine of a vehicle and rotates, a hub assembly 10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ulley 10 to a drive shaft P1 of the compressor P, (20).

따라서, 상기 풀리(10)가 회전하면 그 회전력이 허브 조립체(20)에 의해 압축기의 구동축(P1)으로 전달되어 압축기가 구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풀리(10)는 벨트(미도시)를 통해 차량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게 된다.Therefore, when the pulley 10 rotates,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drive shaft P1 of the compressor by the hub assembly 20, and the compressor is driven. The pulley 10 receives power from the vehicle engine through a belt (not shown).

구체적으로, 상기 허브 조립체(20)는 풀리(10)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압축기의 구동축(P1)과 연결되는 이너 허브(Inner Hub, 21)와, 상기 이너 허브(21)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아웃터 허브(Outer Hub, 22)와, 상기 압축기의 작동이 불능인 상태에서 파단되도록 상기 이너 허브(21)와 아웃터 허브(22) 사이에 연결되는 리미터(Limiter, 23)와, 상기 풀리(10)와 아웃터 허브(22) 사이에 개재되는 댐퍼(Damper, 24)로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hub assembly 20 includes an inner hub 21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ulley 10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P1 of the compressor, A limiter 23 connected between the inner hub 21 and the outer hub 22 so as to be broken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is disabled and an outer hub 22 connected to the outer hub 22, And a damper (24)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hub (22) and the outer hub (22).

이와 같이 구성된 허브 조립체(20)는 풀리(10)의 회전력을 통해 압축기의 구동축(P1)이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는 풀리(10)의 회전력에 의해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작동을 실시하게 된다.The hub assembly 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unctions as an intermediary for rotating the driving shaft (P1) of the compressor through the rotation of the pulley (10). Therefore, the compressor performs an operation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ulley 10. [

한편, 압축기의 작동이 불능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허브 조립체(20)의 리미터(23)가 파단되어 풀리(10)로부터 구동축(P1)으로 전달하는 동력을 끊음으로써, 상기 압축기와 연동하는 다른 구성(벨트)이 손상되는 현상 또는 엔진 과부하를 방지한다.If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is disabled, the limiter 23 of the hub assembly 20 is broken and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pulley 10 to the drive shaft P1 is cut off, Belt) is damaged or engine overload is prevented.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허브 조립체(20)는 압축기의 작동이 불능 상태인 경우, 상기 리미터(23)가 파단되는 과정에서 아웃터 허브(22)의 파편들이 비산되어 다른 장치에 충격을 가하거나 손상을 입혔을 뿐만 아니라, 상기 리미터에 의해 파단된 아웃터 허브는 폐기처리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부품교체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hub assembly 20, when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is disabled, the fragments of the outer hub 22 are scattered in the process of breaking the limiter 23, Not only the outer hub which is broken by the limiter but also the outer hub which is broken by the limiter has to be discard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31529호 :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6-0031529: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Clutchless Compress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의 작동불능 시 풀리와 허브 사이를 연결하는 풀리-허브 조립체를 파단시키지 않고도 압축기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사용이 가능한 압축기용 풀리-허브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lley-hub assembly capable of cutting off power transmitted to a compressor without breaking a pulley- But also to provide a reusable pulley-hub assembly for a compresso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용 풀리-허브 조립체는,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풀리 및, 상기 풀리의 회전력을 압축기의 구동축으로 전달하는 허브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허브 조립체는, 상기 풀리의 일측 테두리에 일부는 이격되고 일부는 밀착된 상태로 고정설치되며 전면에 지지돌기가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와, 상기 압축기의 구동축과 체결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전면에 설치되며 테두리에는 방사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교차하는 상태로 결합하는 결합돌출부를 구비한 허브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결합돌출부는 단부측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3갈래로 연장되며, 결합돌출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면 연장부와, 상기 측면 연장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연장부에 대해 풀리 방향 또는 허브 방향으로 단차지게 절곡 형성된 중앙 연장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측면 연장부와 중앙 연장부 사이의 단차진 틈 사이에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연결부재의 지지돌기가 상기 측면 연장부 사이의 개구부를 통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ulley-hub assembly for a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lley that receives power from an engine of a vehicle and rotates, and a hub assembly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ulley to a drive shaft of the compressor, The hub assembly includes at least one connecting member, which is fixed at one side of the pulley and spaced apart at a part of the pulley, and partially fixed to the hub, And a hub plate protruding radially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hub plate and having an engaging protrusion for engaging with the connecting member in a state of intersecting with the connecting member, wherein a part of the engaging protrusion i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ide extension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engaging projection and a side extension extending between the side extensions,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inserted between the stepped gap between the side extending portion and the central extending portion and the supporting protrusion of the connect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side extending portion and the central extending portion, And protrudes through an opening between the side extension portions.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풀리의 고정 면으로부터 일부가 이격 형성되며, 그 일부는 상기 허브플레이트를 향해 탄성 변형된 상태로 허브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ng member is partly spaced from the fixing surface of the pulley, and a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is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hub plate and is coupled to the hub plate.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측면 연장부의 배면과 중앙 연장부의 전면 사이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onnecting member is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side extending portion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central extending portion.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풀리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제1 평편부와, 상기 제1 평편부의 단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상향경사지는 상향경사부와, 상기 상향경사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 평편부와 나란하게 형성된 제2 평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first flat portion fixed to the pulley in a state of being tightly adhered to the pulley, an upward sloped portion inclined upward from the end of the first flat portion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second flat portion bent from the upward sloped portion, And a second flat portion form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flat portion.

상기 구동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구동축과 동심을 가지는 원호형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onnection member is an arc-shaped member having a concentricity with the drive shaft when viewed from the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상기 제2 평편부는, 상기 풀리의 고정 면에 결합 시에 제1 평편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풀리의 고정 면으로부터 분리 시에 제1 평편부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flat portion is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first flat portion when engaged with the fixing face of the pulley and is formed to be bent in the first flat portion direction when separated from the fixing face of the pulley.

상기 허브와 허브 플레이트는 서로 고정 설치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ub and the hub plate are fixed to each other or integrally formed.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기 작동불능 시, 풀리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시킬 수 있는 허브 조립체를 구성함으로써, 파단을 위한 별도의 리미터 구성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상기 리미터가 파단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파편들이 비산되어 다른 장치에 충격을 가하거나 손상을 주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허브 조립체는 반복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그에 따른 부품교체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since a separate limiter structure for breaking can be omitted by constituting a hub assembly capable of cutting off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pulley when the compressor can not be operated, And the hub assembly can be repeatedly used agai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replacement cost of the hub assembly hav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풀리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풀리-허브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연결부재와 허브플레이트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2의 연결부재로부터 허브플레이트가 이탈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pulley assembly.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lley-hub assembly for a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ng member of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hub plate;
FIGS. 7 and 8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hub plate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member of FIG. 2. FIG.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S. 2 to 8. FIG.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용 풀리-허브 조립체는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풀리(100) 및 상기 풀리(100)의 회전력을 압축기(P)의 구동축(P1)으로 전달하는 허브 조립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pulley-hub assembly for a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lley 100 that receives power from an engine of a vehicle and rotates, and a pulley 100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ulley 100 to a driving shaft P1 of the compressor P And a hub assembly (200).

먼저, 상기 풀리(100)는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측면에는 후술할 허브 조립체(200)가 결합되는 함몰된 구조의 결합수용홈(110)이 형성된다.First, the pulley 100 is rotated by a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an engine, and a side surface of the pulley 100 is formed with a coupling receiving groove 110 having a recessed structure to which a hub assembly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물론, 상기 풀리(100)의 둘레에는 풀리벨트(미도시)가 체결되는 벨트체결부(120)가 형성된다.Of course, a belt fastening part 120 to which a pulley belt (not shown) is fastened is formed around the pulley 10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풀리(100)의 경우에는 도 1의 종래기술에 도시된 풀리와 같이 별도의 댐퍼를 수용하기 위한 함몰된 구조의 공간부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에 따른 가공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ulle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pace portion having a recessed structure for accommodating a separate damper like the pulley shown in the prior art of FIG. 1, There is an advantag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허브 조립체(200)는 상기 풀리(100)의 결합수용홈(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풀리(100)와 함께 회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을 압축기(P)의 구동축(P1)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용 매개체 역할을 수행한다.The hub assembl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coupling receiving groove 110 of the pulley 100 and transmits the driving force generated in the course of rotating together with the pulley 100 to the driving shaft (P1), as shown in FIG.

이를 위해, 상기 허브 조립체(200)의 일부 구성은 상기 풀리(100)에 고정설치되고 다른 일부 구성은 상기 압축기(P)의 구동축(P1)에 고정설치된다.To this end, a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hub assembly 200 is fixed to the pulley 100, and a part of the structure is fixed to the driving shaft P1 of the compressor P.

구체적으로, 상기 허브 조립체(200)는 상기 풀리(100)의 일측 테두리에 일부는 이격되고, 일부는 밀착된 상태로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10)와, 상기 연결부재(210)의 중공 내에 배치되며 상기 압축기(P)의 구동축(P1)과 체결되는 허브(220)와, 상기 허브(220)의 전면에 설치되며 테두리에는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재(210)에 교차하도록 형성된 결합돌출부(231)를 구비한 허브플레이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hub assembly 200 includes at least one connecting member 210 partially separated from one side edge of the pulley 100 and partially fixedly installed in a close contact state, A hub 220 that is disposed in the hollow and is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P1 of the compressor P and a hub 220 that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ub 220 and protrudes radially from the rim, And a hub plate 230 having an engaging projection 231.

상기 연결부재(210)는 상기 구동축(P1)에서 바라볼 때, 상기 구동축(P1)과 동심을 가지는 원호형 부재로서, 상기 풀리(100)와 일부가 밀착되는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The connecting member 210 is an arcuate member concentric with the driving shaft P1 when viewed from the driving shaft P1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is in tight contact with the pulley 100. [

즉, 상기 연결부재(210)는 상기 풀리(100)에 밀착된 상태로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공(211a)이 형성된 제1 평편부(211)와, 상기 제1 평편부(211)의 단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상향경사지는 상향경사부(212)와, 상기 상향경사부(212)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 평편부(211)와 나란하게 형성된 제2 평편부(213)를 포함하는 구성이다.That is, the connecting member 210 includes a first flat portion 211 having a fastening hole 211a to be fastened to the pulley 100 and a second flat portion 211 having a fastening hole 211a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flat portion 211 And a second flat portion 213 folded upward from the upward slant portion 212 to be parallel to the first flat portion 211. The upward slant portion 212 is inclined upward at a predetermined height.

이때, 상기 제2 평편부(213)는, 상기 풀리(100)의 고정 면에 결합 시에 제1 평편부(211)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반면, 상기 풀리(100)의 고정 면으로부터 분리 시에는 제1 평편부(211)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second flat portion 213 is formed parallel to the first flat portion 211 at the time of engagement with the fixing surface of the pulley 100, whereas when the second flat portion 213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surface of the pulley 100, The first flat portion 211 may be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flat portion 211.

상기 제2 평편부(213)의 전면에는 지지돌기(213a)가 돌출된다. A support protrusion 213a protrudes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flat portion 213.

이러한 상기 연결부재(210)는 풀리(100)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3개의 구성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적어도 1개 이상의 구성으로 설치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members 210 are installed in three configuration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pulley 1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connecting members 210 can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configuration.

상기 허브(220)는 상기 연결부재(210)의 중공 내에 배치되며 상기 압축기(P)의 구동축(P1)과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허브플레이트(230)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판(221)과, 상기 압축기(P)의 구동축(P1)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결합부(222)로 구성된다.The hub 220 is disposed in the hollow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and is fastened to the drive shaft P1 of the compressor P and is supported by a support plate 221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hub plate 230, And an engaging portion 222 engaging with the driving shaft P1 of the compressor P.

상기 지지판(221)에는 상기 허브플레이트(230)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또는 리벳 등이 체결되는 나사체결공(221a)이 형성된다.The support plate 221 is formed with a screw fastening hole 221a for fastening a screw or a rivet for fixing the hub plate 230.

상기 허브플레이트(230)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형 판재로서, 상기 허브(220)의 전면에 고정설치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며 테두리에는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재(210)에 교차하는 상태로 결합하는 결합돌출부(231)가 형성된다. The hub plate 230 is a plate-shaped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hub plate 230 is fixedly or integral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ub 220, and protrudes radially from the rim to cross the coupling member 210 A coupling protrusion 231 is formed.

상기 결합돌출부(231)는 단부측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3갈래로 연장되되, 결합돌출부(231)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면 연장부(231a)와, 상기 측면 연장부(231a)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연장부(231b)로 이루어진다. The engaging protrusion 231 has a side extension 231a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engaging protrusion 231 and a side extension 231a located between the side extension 231a, And a central extended portion 231b.

이때, 상기 중앙 연장부(231b)는 상기 측면 연장부(231a)에 대해 풀리 방향 또는 허브 방향으로 단차지게 절곡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center extension part 231b is formed to be stepped in a pulley direction or a hub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ide extension part 231a.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용 풀리-허브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허브플레이트(230)의 측면 연장부(231a)와 중앙 연장부(231b) 사이의 단차진 틈(231c) 사이에 상기 연결부재(210)의 제2 평편부가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연결부재(210)의 지지돌기(213a)가 상기 측면 연장부(231a) 사이의 개구부(231d)를 통해 돌출된다. In the pulley-hub assembly for a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etween the stepped gap 231c between the side extending portion 231a of the hub plate 230 and the central extended portion 231b, 210 and the support protrusion 213a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protrudes through the opening 231d between the side extension portions 231a.

이때, 상기 측면 연장부(231a)와 중앙 연장부(231b) 사이의 단차진 틈(231c)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부재(210)는 상기 측면 연장부(231a)의 배면과 중앙 연장부(231b)의 전면 사이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되어 전,후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게 된다. The connecting member 210 inserted between the side extension 231a and the middle extension 231b is inserted into the rear of the side extension 231a and the center extension 231b, So that it does not flow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또한, 상기 연결부재(210)의 제1 평편부(211)와 상향경사부(212)는 풀리(100)의 고정 면으로부터 이격 형성되어 상기 허브플레이트(230)를 향해 탄성 변형된 상태로 상기 허브플레이트(230)에 결합된다.The first flat portion 211 and the upward sloping portion 212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are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surface of the pulley 100 and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hub plate 230, And is coupled to the plate 230.

이는 압축기(P)의 작동불능 시, 상기 풀리(10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허브플레이트(230)로부터 연결부재(210)가 이탈될 경우 상기 연결부재(210)의 제1 평편부(211)와 상향경사부(212)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여 상기 연결부재(210)와 허브플레이트(230)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When the connecting member 210 is detached from the hub plate 230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ulley 100 when the compressor P is inoperable, the first flat portion 211 and the second flat portion 211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The upward inclined portion 212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210 and the hub plate 230 are not interfered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연결부재(210)와 허브플레이트(23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압축기(P)의 정상 작동시 상기 연결부재(210)와 허브플레이트(230)는 상기 풀리(100)의 회전력을 상기 허브(220)로 전달하게 된다.The connecting member 210 and the hub plate 230 are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ulley 100 during normal operation of the compressor P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ng member 210 and the hub plate 23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the hub (220).

반대로, 압축기(P)의 작동불능 시, 상기 허브플레이트(230)의 회전력이 급정지되는 반면 상기 연결부재(210)는 상기 풀리(100)와 함께 계속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연결부재(210)와 허브플레이트(230)의 결합 상태는 강제적으로 해제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compressor P is inoperabl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ub plate 230 is suddenly stopped, while the connecting member 210 continues to rotate together with the pulley 100, The state of engagement of the connector 230 is forcibly released.

즉, 상기 연결부재(210)의 지지돌기(213a)가 허브플레이트(230)의 상기 측면 연장부(231a) 사이의 개구부(231d)로부터 강제적으로 이탈되면서 상기 연결부재(210)와 허브플레이트(230)가 서로 분리된다. The support protrusion 213a of the connection member 210 is forcibly detached from the opening 231d between the side extension portions 231a of the hub plate 230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210 and the hub plate 2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다시 말해, 상기 연결부재(210)의 지지돌기(213a)가 변형되거나, 아니면 상기 측면 연장부(231a)가 변형되면서 제2 평편부(213)가 측면 연장부(231a)와 중앙 연장부(231b) 사이의 단차진 틈(231c)으로 빠져나오게 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when the supporting protrusion 213a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is deformed or the side surface extending portion 231a is deformed, the second flat portion 213 is pressed by the side surface extending portion 231a and the central extending portion 231b In the stepped portion 231c.

이와 같이 압축기(P)의 작동불능 시 풀리(100)와 함께 연동하는 연결부재(210)가 허브플레이트(230)로부터 이탈되어 분리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허브플레이트(230)로 전달되는 풀리(100)의 동력이 자동으로 차단된다. The connecting member 210 interlocking with the pulley 100 is detached from the hub plate 230 so that the pulley 100 can be separated from the hub plate 230. Therefore, Power is automatically shut off.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기(P) 작동불능 시 풀리(10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시키는 허브 조립체(200)를 구성함으로써, 파단을 위한 별도의 리미터 구성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상기 리미터가 파단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파편들이 비산되어 다른 장치에 충격을 가하거나 손상을 주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허브 조립체(200)는 반복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그에 따른 부품교체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ub assembly 200 that blocks power transmitted from the pulley 100 when the compressor P is inoperable can be omitted, a separate limiter structure for breaking can be omitted, In addition, since the hub assembly 200 can be reused repeatedly, the replacement cost of the hub assembly 200 can be greatly reduc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reduced.

100 : 풀리 200 : 허브 조립체
210 : 연결부재 211 : 제1 평편부
211a : 체결공 212 : 상향경사부
213 : 제2 평편부 213a : 지지돌기
220 : 허브 221 : 지지판
221a : 나사체결공 222 : 결합부
230 : 허브플레이트 231 : 결합돌출부
231a : 측면 연장부 231b : 중앙 연장부
231c : 틈 231d : 개구부
100: pulley 200: hub assembly
210: connecting member 211: first flat piece
211a: fastening hole 212: upward inclined portion
213: second flat portion 213a: support projection
220: hub 221: support plate
221a: Screw fixing hole 222:
230: hub plate 231: engaging projection
231a: side extension part 231b:
231c: gap 231d: opening

Claims (7)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풀리 및,
상기 풀리의 회전력을 압축기의 구동축으로 전달하는 허브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허브 조립체는,
상기 풀리의 일측 테두리에 일부는 이격되고 일부는 밀착된 상태로 고정설치되며 전면에 지지돌기가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와,
상기 압축기의 구동축과 체결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전면에 설치되며 테두리에는 방사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교차하는 상태로 결합하는 결합돌출부를 구비한 허브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결합돌출부는 단부측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3갈래로 연장되며, 결합돌출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면 연장부와, 상기 측면 연장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연장부에 대해 풀리 방향 또는 허브 방향으로 단차지게 절곡 형성된 중앙 연장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측면 연장부와 중앙 연장부 사이의 단차진 틈 사이에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연결부재의 지지돌기가 상기 측면 연장부 사이의 개구부를 통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풀리-허브 조립체.
A pulley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engine of the vehicle and rotates,
And a hub assembly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ulley to the drive shaft of the compressor,
The hub assembly includes:
At least one connecting member fixed at one side of the pulley and spaced apart at a part of the pulley,
A hub fastened to a drive shaft of the compressor,
And a hub plate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hub and having a coupling projection protruding radially from the rim and crossing the coupling member,
Wherein the engaging projection has a side extending portion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engaging projection and a portion extending between the side extending portions and extending in the pulley direction or the hub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ide extending portion,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inserted between the stepped gap between the side extending portion and the central extending portion and the supporting protrusion of the connecting member protrudes through the opening between the side extending portions, Wherein the pulley-hub assembly is a pulley-hub assembly for a compres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풀리의 고정 면으로부터 일부가 이격 형성되며, 그 일부는 상기 허브플레이트를 향해 탄성 변형된 상태로 허브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풀리-허브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partly spaced from the securing surface of the pulley and a portion thereof is coupled to the hub plate in an elastically deformed state toward the hub pl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측면 연장부의 배면과 중앙 연장부의 전면 사이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풀리-허브 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held in close contact between a rear surface of the side extension and a front surface of the central extens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풀리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제1 평편부와,
상기 제1 평편부의 단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상향경사지는 상향경사부와,
상기 상향경사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 평편부와 나란하게 형성된 제2 평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풀리-허브 조립체.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first flat portion which is fixedly attached to the pulley,
An upward inclined portion that is inclined upward from the end of the first flat portion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second flat portion bent from the upward inclined portion and form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flat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구동축과 동심을 가지는 원호형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풀리-허브 조립체.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comprises an arcuate member concentric with the drive shaft when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평편부는,
상기 풀리의 고정 면에 결합 시에 제1 평편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풀리의 고정 면으로부터 분리 시에 제1 평편부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풀리-허브 조립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flat portion
A second flat portion formed parallel to the first flat portion at the time of engagement with the fixing surface of the pulley,
And is configured to be folded in a direction of the first flat portion upon detachment from the fixing surface of the pulle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와 허브 플레이트는 서로 고정 설치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풀리-허브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ub and the hub plate are fixedly or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KR1020120097834A 2012-09-04 2012-09-04 A pully-hub assembly for compressor KR1019708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834A KR101970833B1 (en) 2012-09-04 2012-09-04 A pully-hub assembly for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834A KR101970833B1 (en) 2012-09-04 2012-09-04 A pully-hub assembly for compres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558A true KR20140031558A (en) 2014-03-13
KR101970833B1 KR101970833B1 (en) 2019-04-22

Family

ID=50643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834A KR101970833B1 (en) 2012-09-04 2012-09-04 A pully-hub assembly for compres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83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9165A (en) * 2014-05-08 2015-11-19 학교법인 두원학원 A pully-hub assembly for compressor
KR20170121776A (en) * 2016-04-25 2017-11-03 학교법인 두원학원 A pully-hub assembly for compress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2492A (en) * 1998-12-11 2001-01-16 Ogura Clutch Co Ltd Power transmission
KR20050074933A (en) * 2005-04-20 2005-07-19 주식회사 피이케이 Coilless clutch of airconditioner compressor for automobile
KR20060031529A (en) 2004-10-08 2006-04-12 한라공조주식회사 Power transmit device of clutchless compressor
JP2008008359A (en) * 2006-06-28 2008-01-17 Sanden Corp Torque transmiss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2492A (en) * 1998-12-11 2001-01-16 Ogura Clutch Co Ltd Power transmission
KR20060031529A (en) 2004-10-08 2006-04-12 한라공조주식회사 Power transmit device of clutchless compressor
KR20050074933A (en) * 2005-04-20 2005-07-19 주식회사 피이케이 Coilless clutch of airconditioner compressor for automobile
JP2008008359A (en) * 2006-06-28 2008-01-17 Sanden Corp Torque transmission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9165A (en) * 2014-05-08 2015-11-19 학교법인 두원학원 A pully-hub assembly for compressor
KR20170121776A (en) * 2016-04-25 2017-11-03 학교법인 두원학원 A pully-hub assembly for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833B1 (en) 201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35832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clutchless compressor
WO2007043444A1 (en) Compressor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US20120312654A1 (en) Double clutch for vehicle compressor
KR101970833B1 (en) A pully-hub assembly for compressor
KR101927539B1 (en) A pully-hub assembly for compressor
US6910969B2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clutchless compressor
KR101099116B1 (en) Electromagnetic clutch for compressor
KR102037534B1 (en) A pully-hub assembly for compressor
KR101961492B1 (en) A pully-hub assembly for compressor
KR102556978B1 (en) A pully-hub assembly for compressor
KR102220422B1 (en) A pully-hub assembly for compressor
KR101629427B1 (en) Disc and hub assembly of electromagnetic clutch
JP4664183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KR20150102257A (en) Electromagnetic clutch
KR102236691B1 (en) Self-energizing clutch of compressor for vehicle
KR100837328B1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clutchless compressor
KR101422331B1 (en) disk and hub assembly of electromagnetic clutch for compressor
KR100963938B1 (en) A clutchless pully-hub assembly for compressor
KR100926933B1 (en) Electronic clutch
KR100885377B1 (en) Clutchless Compressor with Parting Part
KR101902772B1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KR101079127B1 (en) A clutchless pully-hub assembly for compressor
KR101625690B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water pump
KR101841280B1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compressor
KR101463253B1 (en) A disc and hub assembly for a com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