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1542A - 차량용 발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발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1542A
KR20140031542A KR1020120097638A KR20120097638A KR20140031542A KR 20140031542 A KR20140031542 A KR 20140031542A KR 1020120097638 A KR1020120097638 A KR 1020120097638A KR 20120097638 A KR20120097638 A KR 20120097638A KR 20140031542 A KR20140031542 A KR 20140031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seating member
vehicle
foot seating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옥
정선경
Original Assignee
실버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버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실버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7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1542A/ko
Publication of KR20140031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5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7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715Suction; Vacuum treatment; Degassing; Blow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05B3/34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발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에 온열을 제공하는 기능은 물론이고 발을 쾌적하고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발에 온열을 제공하는 기능과 냉기를 제공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계절에 상관없이 전천후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이 가능하고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서 청결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발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는 차량용 발매트에 있어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면상 구조로 형성된 발안착부재; 상기 발안착부재가 설치되도록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통풍공간부가 마련된 발매트케이스; 및 전원공급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발안착부재에 안착된 발에 열기를 제공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에 의하면, 발안착부재가 통풍성을 갖는 직물지로 형성되어 있고, 이 발안착부재가 통풍공간부를 갖는 발매트케이스에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가열수단에 의해 발에 온열작용을 수행됨과 동시에 통풍성이 확보되므로 발을 쾌적하고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는 송풍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가열수단으로서 열전모듈을 채용할 경우, 발에 온열을 제공하는 기능과 냉기를 제공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서 계절에 상관없이 전천후 발매트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는 발매트케이스에 이물질이 수집되므로 수시로 발안착부재를 분리한 후 제거 및 세척할 수 있으므로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안착부재는 발열체로서 섬유기반의 가는 발열선을 박음질이나 제직방식으로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발매트의 구조가 간결, 단순할 뿐만 아니라 전력의 소비량이 저감되므로 상품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발매트{FOOT-M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발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에 온열을 제공하는 기능은 물론이고 발을 쾌적하고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발에 온열을 제공하는 기능과 냉기를 제공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계절에 상관없이 전천후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이 가능하고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서 청결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발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 차량 실내를 가온하기 위해 히터와 같은 난방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난방장치는 히터에 의해 가온된 공기를 송풍팬에 의해 압송하게 되면 통풍구를 통해 방출되므로 실내 온도가 상승되게 된다.
하지만, 전술한 차량용 난방장치는 통풍구로 배출되는 공기가 온도는 높지만 매우 건조하므로 탑승자의 피부건조를 유발시켜 피부 트러블을 유발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차량용 난방장치는 실내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는 있지만 차량의 바닥 온도를 상승시킬 수 없으므로 동절기의 경우 발이 시려 불편하고, 운전자가 추위로 움추릴 경우 안전사고의 발생 우려가 높은 단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차량용 난방장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10-0003720호에는 화물차량용 온열매트가 개시되어 있다.
화물차량용 온열매트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전열선을 포함하는 매트(10)와, 상기 매트(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20)로 구성된다. 상기 매트(10)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의자 각도조절에 따른 간섭현상을 받지 않도록 양측부분에는 공간부(11, 11')가 형성되고, 중간부분에는 전원 케이블(20)을 연결되는 플러그(12)가 설치되고, 상부면 에는 옥 또는 맥반석 등으로 이루어진 기능성 돌(13)이 설치된다.
상기 전원 케이블(20)은 매트(1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매트(10)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스위치(21)가 설치되고, 일단부는 매트(10)의 플러그(12)와 연결되는 잭(22)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차량의 전원과 연결되는 시가잭(23)이 형성된다.
상기한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0-0003720호에 나타난 온열매트는 통풍구로 방출되는 건조한 온열공기에 의해 난방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전열선의 직접적인 열기로 난방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피부트러블을 유발하지 않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온열매트는 차량용 발매트로 적용할 경우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다양한 문제점과 불편한 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종래 온열매트는 온열작용을 수행할 수 있지만 두꺼운 면상 매트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통풍성이 결여되어 땀을 유발하거나 발 냄새와 같은 악취를 유발하는 등 발의 위생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온열매트는 온열작용을 수행할 수 있어서 동절기에 발의 온열장치로 사용할 수는 있지만, 하절기에는 아무런 효용도가 없이 차량 실내공간만을 점유하게 되므로 활용도가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온열매트는 매트 표면에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될 경우 전체적으로 세척하여야 하지만 내부에 전열선이 배치되어 있어 세척 자체가 불가능하므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종래 온열매트는 매트본체를 제작한 후 굵은 전열선을 일정 경로로 배치하고, 전열선을 접착제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일일이 고정하여야 하므로 제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발에 온열을 제공하는 기능은 물론이고 발을 쾌적하고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발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에 온열을 제공하는 기능과 냉기를 제공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계절에 상관없이 전천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발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이 가능하고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서 청결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발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는 차량용 발매트에 있어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면상 구조로 형성된 발안착부재; 상기 발안착부재가 설치되도록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통풍공간부가 마련된 발매트케이스; 및 전원공급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발안착부재에 안착된 발에 열기를 제공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는 차량용 발매트에 있어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면상 구조로 형성된 발안착부재; 상기 발안착부재가 설치되도록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통풍공간부가 마련된 발매트케이스; 전원공급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발안착부재에 안착된 발에 열기를 제공하는 가열수단; 및 송풍을 위해 상기 발매트케이스에 설치되는 송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송풍수단에 의한 송풍과정에서 이물질을 여과하고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발안착부재의 저부에 배치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는 차량용 발매트에 있어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면상 구조로 형성된 발안착부재; 상기 발안착부재가 설치되도록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통풍공간부가 마련된 발매트케이스; 상기 발안착부재의 저부에 배치되고 보냉 및 보온을 위한 물질이 수용된 온도유지팩; 및 전원공급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온도유지팩의 저부에 배치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열수단은 열전소자의 일측 및 타측에 기판이 설치된 복수의 열전모듈로 이루어져 일측 기판이 상기 온도유지팩의 저부에 밀착, 설치되고, 상기 발매트케이스는 상기 열전모듈의 타측 기판이 삽입되는 복수의 끼움공이 형성된 모듈설치판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모듈설치판과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는 차량용 발매트에 있어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면상 구조로 형성된 발안착부재; 상기 발안착부재가 설치되도록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통풍공간부가 마련된 발매트케이스; 상기 발안착부재의 상부에 덧씌워지고 발의 삽입을 위한 발삽입구가 형성된 밀폐커버; 전원공급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발안착부재에 안착된 발에 열기를 제공하는 가열수단;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발매트케이스에 설치되는 송풍수단; 및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상기 발안착부재와 상기 밀폐커버 사이에 마련되는 발수납공간으로 유도하기 위한 공기순환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송풍수단의 흡입측 또는 배기측에 배치되어 송풍과정에서 이물질의 여과작용과 악취의 제거작용을 수행하는 필터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안착부재는 위사 및 경사로 공급되는 섬유사에 의해 면상체로 제직된 직물지로 구성되고,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발안착부재의 제직시에 위사 또는 경사의 일부로 공급되어 파형구조로 함께 제직, 배치되는 발열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발열선은 중심에 배치되는 중심사와, 이 중심사에 엮어지는 복수 가닥의 도전사, 및 상기 도전사의 외면에 감겨지는 복수 가닥의 외피사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사 및 상기 외피사는 섬유사로 구성되고, 상기 도전사는 1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직경을 갖는 절연피복된 금속사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열수단은 발 부분에 광선을 조사하는 동시에 열기를 방출하는 가열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는 발 부분에 진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진동장치, 저주파 전기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저주파발생기, 및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장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에 의하면, 발안착부재가 통풍성을 갖는 직물지로 형성되어 있고, 이 발안착부재가 통풍공간부를 갖는 발매트케이스에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가열수단에 의해 발에 온열작용을 수행됨과 동시에 통풍성이 확보되므로 발을 쾌적하고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는 송풍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가열수단으로서 열전모듈을 채용할 경우, 발에 온열을 제공하는 기능과 냉기를 제공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서 계절에 상관없이 전천후 발매트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는 발매트케이스에 이물질이 수집되므로 수시로 발안착부재를 분리한 후 제거 및 세척할 수 있으므로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안착부재는 발열체로서 섬유기반의 가는 발열선을 박음질이나 제직방식으로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발매트의 구조가 간결, 단순할 뿐만 아니라 전력의 소비량이 저감되므로 상품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는 온열작용 외에도 진동장치에 의한 마사지 기능이 수행되고, 보조램프 및 음이온 발생장치에 의한 살균작용이 수행되어 발을 보다 쾌적하고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 차량용 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2 내지 도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2 내지 도5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는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차량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발안착부재(1), 발매트케이스(2), 및 가열수단(3)이 구비되어 있다.
발안착부재(1)는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면상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통풍성을 갖도록 도2의 확대부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섬유사를 위사(a) 및 경사(b)로 공급하여 제직한 직물지로 구성된다.
그리고, 발안착부재(1)는 발매트케이스(2)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그 가장자리 부분에 스냅단추나 벨크로화스너와 같은 결속부재(11)가 결합되어 있다.
발매트케이스(2)는 발안착부재(2)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통풍공간부가 마련되도록 상측 부분이 개구(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통풍공간부가 마련되는 구조라면 제한없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발매트케이스(2)는 발안착부재(1)로부터 낙하하는 이물질을 보관하는 기능과 함께 통풍을 위한 공기저장실의 기능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측벽(22)에 공기 유동공(2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벽(22)에는 발안착부재(1)측의 결속부재(11)가 탈부착되는 결속부재(21)가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안착부재(1)에 결속부재(11)로서 복수의 암 스냅단추(원형몸체에 훅이 돌출된 스냅단추)가 설치되어 있다면 대응하는 측벽(22)에 수 스냅단추(원형몸체에 훅이 삽입되는 결합홀이 요입된 스냅단추)가 설치되고, 발안착부재(1)에 결속부재(11)로서 복수의 암 벨크로화스너(기재에 다수의 고리가 형성된 벨크로화스너)가 설치되어 있다면 대응하는 측벽에 수 벨크로화스너(기재에 고리에 걸림되는 다수의 걸림훅이 형성된 벨크로화스너)가 설치된다.
가열수단(3)은 전원공급선(4)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고 발안착부재(1)에 안착된 발에 열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가열램프로도 구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발열선(31)으로 구성되어 있다.
발열선(31)은 선형부재로서 도전성을 가지고 있어서 전원의 공급시에 전기저항에 의해 가열되는 동선, 탄소사, 도전성물질을 포함하는 섬유사 등을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2의 확대부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심에 배치되는 중심사(311)와, 이 중심사(311)에 엮어지는 도전사(312)를 구비한다.
중심사(311)는 다양한 종류의 천연 및 인조 섬유사가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중심사(311)는 절연 특성이 뛰어나고 내열특성을 갖는 고장력 섬유사, 세라믹 섬유사, 유리섬유사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고장력 섬유사가 선택, 적용될 경우에는 내열 특성이 뛰어나고 인장강도가 큰 것으로 알려진 아라미드사(상품명)나 케브라사(상품명)가 적용된다.
도전사(312)는 저항열에 의해 발열될 수 있는 다양한 소재와 직경을 갖는 것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수십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정도의 직경을 갖는 금속사로 구성하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정도의 직경을 갖는 스텐레스선, 티타늄선, 동선 등에 절연 피복층이 형성된 금속사 중에서 선택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발열선(31)을 구성하는 도전사(312)의 가닥 수는 희망하는 발열량, 면상체의 소재,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값에 따라 5 내지 50 가닥을 배치하여 구성한다.
아울러, 발열선(31)은 도전사(312)의 외주에 감겨져 절연기능이나 보호용 외피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가닥의 외피사(313)가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발열선(31)은 기 제작된 발안착부재(1)에 바느질 방식이나 자수 방식으로 꿰어 배치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발안착부재(1)의 제직시에 위사(a) 또는 경사(b)의 일부로 발열선(31)을 공급하여 함께 제직한다. 이때, 발열선(31)은 파형구조로 배치되도록 제직하고, 발열선의 직경은 제직시 직기의 바늘에 꿰어질 수 있도록 1mm 이하가 되도록 구성한 것을 적용하되, 100 내지 500마이크로미터(㎛) 범위의 직경을 갖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발안착부재(1)의 일측에는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선(2)이 발열선(31)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전원공급선(4)의 타측은 차량에 구비된 전원공급측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별도의 전기커넥터(41)가 구비되어 전원공급측에 접속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는 가열수단(3)이 섬유사로 이루어진 중심사(311) 및 외피사(313)와,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미세한 도전사(312)로 이루어진 섬유기반의 발열선(31)을 발안착부재(1)에 제직 또는 박음질하여 설치하는 것이므로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가열수단(3)이 섬유기반의 발열선(31)으로 선택, 적용되므로 가요성(flexibility)이 있을 뿐만 아니라 두께가 얇아져 사용상의 편의성과 상품성이 향상되고, 이물감이 발생되지 않으며, 세탁이 가능하여 주기적으로 세척할 수 있으므로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도전사(312)는 직경이 수십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 단위 정도로 가늘어 열기의 확산 특성이 우수하므로 적절한 발열효과를 발휘하면서도 저항체의 전체적인 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상대적으로 전력소비량이 감소된 발열선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를 전기자동차에 적용할 경우 전력소비량의 절감으로 차량의 전체 주행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발안착부재(1)에는 표면에 전기석(토르마린)과 같이 음이온이 방출되는 광석이나, 옥, 맥반석과 같이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광석을 작은 조각이나 입자 형상으로 가공하여 부착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는 발안착부재(1), 발매트케이스(2), 가열수단(3), 송풍수단(5), 필터부재(6)를 구비한다.
발안착부재(1)는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면상 구조로 형성된 것이고, 발매트케이스(2)는 발안착부재(1)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통풍공간부가 마련된 것으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가열수단(3)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발열선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가열램프(32)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가열램프(32)는 점등시에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동시에 열기를 방출하는 적외선 파장대의 광에너지를 조사하는 원적외선 램프로 구성된다. 이때, 원적외선 램프는 원적외선 전구로도 구성될 수 있지만 원적외선 LED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열램프(32)는 발매트케이스(2)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램프하우징(33)에 다수 개가 배열, 설치된다. 그리고 램프하우징(33)에는 열기를 방출하는 가열램프(32) 외에 발의 살균작용이나 냄새제거작용을 수행하는 보조램프(3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보조램프(34)는 곰팡이, 세균 등의 유해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는 자외선 파장대(대략 300 ~ 400nm)의 광에너지를 조사하는 UV LED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램프(34)에 의한 효과적인 살균 및 냄새 제거작용을 위해 발안착부재(1)에는 UV LED로부터 조사되는 UV광선에 의한 광촉매작용을 통해 발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광촉매물질이 도포되거나, 발안착부재(1)의 제직시에 광촉매물질이 포함된 섬유사를 공급하여 제작한다. 이때, 광촉매물질은 대표적으로 TiO2(Titanium dioxide)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안착부재(1)에 광촉매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상태에서 UV LED로부터 광선을 조사하게 되면, 전자들이 전도대에 전이되어 전자와 정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전자와 정공은 매우 강한 산화력과 환원력이 있으므로 공기 중의 수증기(H2O)나 산소(O2) 등과 반응하여 강한 OH라디칼, H라디칼(radical), 등을 발생시켜 모든 유기물이나, 오염물질을 산화, 분해하는 기능으로, 공기 중의 가스상 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 탄화수소, 일산화탄소, 황산화물, 오존 등과, VOC물질인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크실렌, 벤젠, 라돈 등과 담배연기와 그 냄새, 기타 암모니아 등의 악취를 산화 분해시켜 공기를 정화하고, 집먼지 진드기,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세균 등 유해생물 세균을 사멸시키는 작용을 수행한다.
송풍수단(5)은 송풍을 통해 발안착부재(1)에 올려진 발을 건조시키거나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작용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발매트케이스(2)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송풍팬으로 구성된다. 이때, 송풍팬은 발안착부재(1)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설치하거나 발안착부재(1)측 공기를 흡인하도록 설치할 수 있고, 송풍팬이 설치되는 발매트케이스(2)의 바닥면에는 공기의 배출을 위한 유통공(미도시, 송풍팬의 저면에 해당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천공되어 있다.
필터부재(6)는 송풍수단(5)에 의한 송풍과정에서 이물질을 여과하고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발안착부재(1)의 저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필터부재(6)는 공지된 면상 구조의 패드형 필터 중에서 이물질의 여과기능과 악취의 제거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선택(예컨대, 광촉매물질이 코팅된 다겹 망(mash)을 적용할 수 있음)하여 발매트케이스(2)의 개구부 형상에 맞게 재단하여 설치한다.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는 송풍수단(5)에 의해 발바닥 부분으로 공기를 분사하거나 발바닥 부분의 공기를 흡입하여 통풍작용을 수행함으로써 발의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송풍수단(5)은 하절기에 공기를 분사 또는 흡입하는 동작을 통해 통풍작용을 수행하여 발을 건조한 상태로 유지시키게 되므로 발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고 땀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재(6)가 구비되어 이물질을 여과함으로써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비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서 차량 실내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악취를 제거함으로써 차량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는 발안착부재(1), 발매트케이스(2), 가열수단(3), 및 온도유지팩(7)을 구비한다.
발안착부재(1)는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면상 구조로 형성된 것이고, 발매트케이스(2)는 발안착부재(1)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통풍공간부가 마련된 것으로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가열수단(3)은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나타난 발열선(31) 및 가열램프(32)로도 구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 온도유지팩(7)의 저부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열전모듈(35)로 이루어진다.
열전모듈(35)은 열전소자(351)와, 이 열전소자(351)에 연결되는 전극(미도시), 및 전극의 일측 및 타측에 접합되는 기판(352,353)으로 구성된 것으로, 열전소자(351)는 물질 a와 b의 접합회로에 직류를 흘려주면 한쪽의 접합부에서는 열을 흡수하고 다른 쪽의 접합부에서는 열을 발생하는 펠티어(Peltier) 효과를 이용한 소자이고, 주로 펠티어 효과가 뛰어난 Bi-Te계 열전재료 형성된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로 구성된다.
상기한 열전모듈(35)은 가열수단(3)으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류의 공급방향을 변경할 경우 동일한 기판으로 냉기를 방출하므로 냉각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온도유지팩(7)은 발안착부재(1)의 저부에 배치되고 팩의 내부에 보냉 및 보온을 위한 물질이 수용된 것으로 이러한 온도유지팩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발매트케이스(2)는 다수의 열전모듈(35)을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모듈설치판(24)이 구비되어 있다. 이 모듈설치판(24)은 발매트케이스(2)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판상의 부재로서 열전모듈(35)의 타측 기판(353)이 삽입되는 복수의 끼움공(24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모듈설치판(24)과 발매트케이스(2)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t)은 열전모듈의 냉각성능 향상을 위한 열교환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열전모듈(35)의 일측 기판(352)이 온도유지팩(7)에 밀착되어 발바닥의 냉각을 위한 냉기를 방출할 경우 펠티어 효과에 따라 타측 기판(353)으로는 열기가 방출되는데, 이때 열기에 의해 타측 기판이 과도하게 가열되면 냉각효율이 저하될 수 있지만 별도의 이격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이격공간상에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한 열교환으로 타측 기판(353)이 냉각되면서 일측 기판(352)의 냉각효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발매트케이스(2)에는 열전모듈(35)의 효과적인 냉각을 위해 이격공간(t)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25)이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는 가열수단으로서 전류의 공급방향을 변경할 경우 냉기를 방출하는 열전모듈(35)로 구성됨에 따라 동절기에는 온열을 제공하는 발매트로 사용하고 하절기에는 발을 시원하게 할 수 있는 냉방 발매트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는 발안착부재(1), 발매트케이스(2), 가열수단(3), 송풍수단(5), 밀폐커버(8) 및 공기순환통로(9)를 구비한다.
발안착부재(1)는 발을 을려놓을 수 있도록 면상 구조로 형성된 것이고, 발매트케이스(2)는 발안착부재(1)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통풍공간부가 마련된 것으로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가열수단(3)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발열선(31)을 발안착부재(1)에 파형 구조로 배치하여 구성한다.
송풍수단(5)은 발안착부재(1) 부분의 공기를 흡인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발매트케이스(2)에 송풍팬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밀폐커버(8)는 발을 감싸도록 발안착부재(1)의 상부에 덧씌워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부재로서, 기밀 특성을 갖는 면상부재를 이용하여 제작, 설치하되 발의 삽입을 위한 한 쌍의 발삽입부(81)를 구비한다.
그리고, 발삽입부(81)는 발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면 형태나 구조에 제한은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에 발수납공간이 마련되도록 발 형상의 돌출부로 형성되고 발이 삽입되는 입구에는 내부 공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밀커튼(811)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순환통로(9)는 송풍수단(5)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밀폐커버(8)와 발안착부재(1) 사이에 마련된 발수납공간으로 유도하기 위한 부재로서, 후술되는 필터부재(61)에 일단이 접속되는 메인공기호스(91), 이 메인공기호스(91)의 타단에 접속되는 연결구(94)에 일단이 접속되어 발안착부재(1) 내부로 배치되는 한 쌍의 분기호스(92), 이 분기호스(92)의 타단에 접속되어 발 부위로 공기를 분출하는 분출부재(93)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는 송풍수단(5)의 송풍과정에서 이물질을 여과하고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재(61)가 더 구비되어 있다.
필터부재(61)는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이물질의 여과기능과 악취의 제거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필터가 내장, 구성되는 것으로, 송풍수단(5)에 의해 공기가 유동되는 과정에서 이물질과 악취가 제거되도록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수단(5)의 배기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필터부재(61)는 송풍수단(5) 또는 발매트케이스(2)의 종류나 구조에 따라 송풍수단의 흡입측에도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발매트케이스(2)에는 발 부분에 진동력을 생성, 인가하여 졸음을 방지하거나 안마기능을 수행하는 진동모터(261)를 구비한 진동장치(26)와,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장치(27)와, 곰팡이, 세균 등의 유해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는 자외선 파장대(대략 300 ~ 400nm)의 광에너지를 조사하는 UV LED로 구성된 보조램프(34)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한 진동장치(26)의 진동모터(261)는 공지된 다양한 진동모터를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서는 한정된 공간에서 간결,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코인형으로 형성된 공지의 진동모터을 적용한다. 이 코인형 진동모터(261)는 코인 형상을 갖는 밀봉부재(케이스)의 내부에 마그네트, 유도코일, 바이브레이터, 등이 내장된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내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단자가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 외에도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는 저주파 전기자극을 인가하는 저주파발생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저주파발생기의 전극패드(미도시)는 발바닥이나 발등에 저주파 전기자극을 인가할 수 있도록 발안착부재(1)의 상면 또는 밀폐커버(8)의 내면에 설치되고, 전극패드에 전원선을 매개로 전기를 공급하는 저주파발생기본체(미도시)는 발매트케이스(2)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진동장치(26), 음이온 발생장치(27), 저주파발생기(미도시)는 널리 공지된 장치를 채택하여 적용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는 밀폐커버(8)의 발삽입부(81)에 삽입한 상태에서 가열수단(3)에 의한 온열작용이 수행되므로 열기가 낭비되지 않아 신속하면서도 고르게 발에 온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가열수단(3)에 의한 온열작용과 함께 진동장치(26)에 의한 마사지 작용으로 발의 피로를 해소할 수 있고, 송풍수단(5)에 의해 발바닥 부분으로 공기를 분사하거나 발바닥 부분의 공기를 흡입하여 통풍작용을 수행함으로써 발의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이온 발생장치(27)와 보조램프(34)에 의한 살균작용으로 발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매트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발안착부재 11:결속부재
2:발매트케이스 31:가열수단
31:발열선 311:중심사
312:도전사 313:외피사
32:가열램프 33:램프하우징
34:보조램프 35:열전모듈
351:열전소자 352,353:기판
4:전원공급선 5:송풍수단
6,61:필터부재 7:온도유지팩
8:밀폐커버 9:공기순환통로
91:메인공기호스 92:분기호스
93:분출부재 94:연결구

Claims (11)

  1. 차량용 발매트에 있어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면상 구조로 형성된 발안착부재;
    상기 발안착부재가 설치되도록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통풍공간부가 마련된 발매트케이스; 및
    전원공급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발안착부재에 안착된 발에 열기를 제공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매트.
  2. 차량용 발매트에 있어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면상 구조로 형성된 발안착부재;
    상기 발안착부재가 설치되도록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통풍공간부가 마련된 발매트케이스;
    전원공급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발안착부재에 안착된 발에 열기를 제공하는 가열수단; 및
    송풍을 위해 상기 발매트케이스에 설치되는 송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매트.
  3. 제2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에 의한 송풍과정에서 이물질을 여과하고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발안착부재의 저부에 배치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매트.
  4. 차량용 발매트에 있어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면상 구조로 형성된 발안착부재;
    상기 발안착부재가 설치되도록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통풍공간부가 마련된 발매트케이스;
    상기 발안착부재의 저부에 배치되고 보냉 및 보온을 위한 물질이 수용된 온도유지팩; 및
    전원공급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온도유지팩의 저부에 배치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열전소자의 일측 및 타측에 기판이 설치된 복수의 열전모듈로 이루어져 일측 기판이 상기 온도유지팩의 저부에 밀착, 설치되고
    상기 발매트케이스는 상기 열전모듈의 타측 기판이 삽입되는 복수의 끼움공이 형성된 모듈설치판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모듈설치판과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매트.
  6. 차량용 발매트에 있어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면상 구조로 형성된 발안착부재;
    상기 발안착부재가 설치되도록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통풍공간부가 마련된 발매트케이스;
    상기 발안착부재의 상부에 덧씌워지고 발의 삽입을 위한 발삽입구가 형성된 밀폐커버;
    전원공급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발안착부재에 안착된 발에 열기를 제공하는 가열수단;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발매트케이스에 설치되는 송풍수단; 및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상기 발안착부재와 상기 밀폐커버 사이에 마련되는 발수납공간으로 유도하기 위한 공기순환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의 흡입측 또는 배기측에 배치되어 송풍과정에서 이물질의 여과작용과 악취의 제거작용을 수행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매트.
  8.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안착부재는 위사 및 경사로 공급되는 섬유사에 의해 면상체로 제직된 직물지로 구성되고,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발안착부재의 제직시에 위사 또는 경사의 일부로 공급되어 파형구조로 함께 제직, 배치되는 발열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발열선은 중심에 배치되는 중심사와, 이 중심사에 엮어지는 복수 가닥의 도전사, 및 상기 도전사의 외면에 감겨지는 복수 가닥의 외피사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사 및 상기 외피사는 섬유사로 구성되고, 상기 도전사는 1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직경을 갖는 절연피복된 금속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매트.
  9. .
  10.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발 부분에 광선을 조사하는 동시에 열기를 방출하는 가열램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매트.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 부분에 진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진동장치, 저주파 전기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저주파발생기, 및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장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매트.
KR1020120097638A 2012-09-03 2012-09-03 차량용 발매트 KR201400315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638A KR20140031542A (ko) 2012-09-03 2012-09-03 차량용 발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638A KR20140031542A (ko) 2012-09-03 2012-09-03 차량용 발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542A true KR20140031542A (ko) 2014-03-13

Family

ID=50643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638A KR20140031542A (ko) 2012-09-03 2012-09-03 차량용 발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154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01641A1 (de) * 2019-02-08 2020-08-1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kleidungselement für ein Kraftfahrzeug
KR20220055239A (ko) * 2020-10-26 2022-05-03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플로어 카페트 구조
KR20230096478A (ko) * 2021-12-23 2023-06-30 지명국 차량용 매트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593921B1 (ko) * 2022-07-12 2023-10-25 박태운 차량용 복합매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01641A1 (de) * 2019-02-08 2020-08-1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kleidungselement für ein Kraftfahrzeug
KR20220055239A (ko) * 2020-10-26 2022-05-03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플로어 카페트 구조
KR20230096478A (ko) * 2021-12-23 2023-06-30 지명국 차량용 매트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593921B1 (ko) * 2022-07-12 2023-10-25 박태운 차량용 복합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8043B1 (ko) 오염 공기 살균 및 정화 부재가 구비된 천정 부착 복합 기능 선풍기
US8353069B1 (en) Device for heating, cooling and emitting fragrance into bedding on a bed
CN107427133B (zh) 用于暖风及温热、按摩的炕面石床垫床
KR20140031542A (ko) 차량용 발매트
KR20190035432A (ko) 공기청정기
KR101955964B1 (ko) 유아용 쿨앤핫시트
US20070145041A1 (en) Electromagnetically-shielded air heating systems and methods
KR101851522B1 (ko) 쿨앤핫시트용 송풍모듈
JP3169036U (ja) 冷気強制送風式保冷具
KR20050028609A (ko)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숙면 베개
JP2013078518A (ja) 布団乾燥用の袋体、布団乾燥機
KR20150025541A (ko) 쿨 매트
GB2402337A (en) Air Purifier
JP4518491B2 (ja) 温風乾燥機
KR20140022708A (ko) 차량용 발매트
KR20200016023A (ko) 침대용 온열매트리스
KR100822451B1 (ko) 다용도 의자
KR101955968B1 (ko) 유아용 쿨앤핫시트
JP2005261428A (ja) 紫外線によるエチレンガスの改質方法並びに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エチレンガスの改質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生鮮農産物の鮮度保持装置
TWI619526B (zh) 電熱口罩
KR102213115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의류용 발열 통풍 장치
KR20150125219A (ko) 공기정화와 포충용 선풍기
KR20230004023A (ko) 차량용 공기청정기
KR102529945B1 (ko) 플라즈마 기능을 적용한 그래핀과 토르마린를 이용한 온열 매트
KR200341587Y1 (ko)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숙면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