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0862A - 프로사포게닌 성분을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홍삼 추출물 - Google Patents

프로사포게닌 성분을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홍삼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862A
KR20140030862A KR1020120097554A KR20120097554A KR20140030862A KR 20140030862 A KR20140030862 A KR 20140030862A KR 1020120097554 A KR1020120097554 A KR 1020120097554A KR 20120097554 A KR20120097554 A KR 20120097554A KR 20140030862 A KR20140030862 A KR 20140030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ginsenoside
extract
ginseng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성권
Original Assignee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충북인삼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충북인삼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97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0862A/ko
Publication of KR20140030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8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사포게닌 성분을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홍삼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홍삼을 물에 넣고 12~36 범위 내의 시간 동안 80℃~120℃ 범위 내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한 홍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진세노사이드 Rg3(ginsenoside Rg3) 를 포함한 프로사포게닌 성분이 현저히 높은 비율로 함유된 홍삼 추출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프로사포게닌 성분을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홍삼 추출물{Preparation method for extract of a red ginseng and extract of a red ginse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특히 홍삼을 특정 온도와 시간으로 추출함으로써, 홍삼 추출물 제조시 소량 생산되는 기능성 물질인 프로사포게닌 성분의 함량을 늘일 수 있는 것이다.
고려인삼(Panax ginseng)은 신농본초경의 상품에 수재되어 있고, 맛이 달고 약간 따뜻하며, 상중초, 즉 폐와 비에 작용하는 대보원기요약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특산물이다. 고려인삼은 생리활성 물질로서 항당뇨 작용을 갖는 진세노사이드 Rb2를 비롯한 30 여종의 인삼 사포닌(saponins), 항암 작용을 갖는 폴리아세틸렌, 항산화 작용을 갖는 페놀계 화합물, 방사선 방어 작용을 갖는 인삼 단백질, 면역조절 작용을 갖는 산성 다당체 등을 함유하고 있다. 특히, 고려인삼은 서양삼(Panax quinquefolium)에 비해 다량의 페놀계 화합물, 폴리아세틸렌 및 산성 다당체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보다 강한 생리활성이 기대된다. 고려인삼의 주된 약리성분으로 알려진 인삼 사포닌은 진세노사이드라 불리는데, 동경대학의 시바타(Shibata) 그룹에 의해 그 화학구조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고려인삼에 함유되어 있는 인삼 사포닌은 30 여종으로 서양삼 14 종과 삼칠삼(Panax notoginseng) 15 종에 비해 월등히 많다. 진세노사이드는 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diol) 그룹과 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triol) 그룹으로 크게 나누어지는데, 프로토파낙사디올 그룹의 주요 성분은 진세노사이드 Rb1이고, 이는 중추신경 억제작용을 나타내며, 프로토파낙사트리올 그룹의 주요 성분은 진세노사이드 Rg1으로 중추신경 흥분작용을 나타내고, 고려인삼의 어댑토젠(adaptogen) 활성에 주요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려인삼은 프로토파낙사디올 그룹과 프로토파낙사트리올 그룹의 함량비(디올/트리올)와 진세노사이드 Rb1과 진세노사이드 Rg1의 함량비(Rb1/Rg1)가 각각 1.96과 3.14를 나타내므로, 지나친 중추신경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서양삼의 2.48 및 25.96에 비해 균형적이면서도, 흥분적이기 보다는 진정적인 보기작용을 나타낸다. 따라서 고려인삼은 한방 약리학적인 효능으로 보원기와 더불어 안정신(安精神) 작용의 진세노사이드 Rb1과 익지(益智)의 진세노사이드 Rg1이 균형적이면서도 안정신 작용이 강화된, 진정한 의미에서의 현대인들의 최고의 강장제라고 사료된다.
지금까지 확인된 고려인삼의 약리 활성으로는 심장과 혈관의 보강, 혈액기능의 회복, 혈류 개선, 동맥경화 및 고혈압의 예방, 위장의 조절기능 강화, 간기능 촉진 및 숙취 제거 효과, 항피로 및 항스트레스 작용, 노화방지 작용, 두뇌활동 촉진 작용, 항염 활성, 알레르기성 질환 치료, 부인병, 당뇨병, 항방사선 작용, 정력 증강, 항종양 작용, 학습능력의 향상, 산화지질의 생성 억제, 창상치료 촉진, 면역능력 향상, AIDS 바이러스 증식 억제효과 및 단백질 합성능력의 촉진 등이 보고되었다.
또한, 밭에서 채굴한 수삼을 증건한 것을 홍삼, 껍질과 잔뿌리를 제거한 후 일광에 자연 건조한 것을 백삼, 잔뿌리를 자연 건조한 것을 미삼이라고 한다. 특히 홍삼은 열에 의해 생성되어 소량 존재하는 진세노사이드 Rg3 , Rg5 , Rh1와 같은 특이성분이 암 예방 및 암전이 억제작용, 혈압강하 작용 및 항산화 작용이 있다고 하여 홍삼만의 특장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고려인삼은 오랜 기간 최고의 브랜드로 인식되어 왔지만, 현재는 세계 인삼시장에서 3% 정도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인데, 이와 같은 인삼산업의 혁신을 위해서는 고부가가치 인삼 제품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진세노사이드 Rg3 같은 기능성 물질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원형 홍삼을 제조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해 오던 중, 종래와 같이 수증기로 수삼을 2~4시간 찐 후, 60℃~70℃의 열풍 건조기에서 3일~7일 고열 건조하는 홍삼 가공방법과는 달리, 홍삼을 특정 온도와 시간으로 추출함으로써 홍삼 제조시 소량 생산되는 기능성 물질인 프로사포게닌 성분의 함량을 늘이고자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홍삼 보다 월등히 약효가 증강된 홍삼 특유 프로사포게닌 성분(예를 들어, 진세노사이드 Rg3, 진세노사이드 Rk1 + Rg5)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과 이를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사포게닌 성분을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홍삼을 물에 넣고 12~36 범위 내의 시간 동안 80℃~120℃ 범위 내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한 홍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열하는 것은, 20~28 범위 내의 시간 동안 90℃~110℃ 범위 내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홍삼을 물에 넣는 것은, 홍삼의 주근 및 미근 각각 1중량부를 증류수 10~30중량부에 넣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프로사포게닌 성분이 전체 성분에 대하여 8.900중량%~10.700중량% 범위 내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사포게닌 성분을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프로사포게닌 성분이 전체 성분에 대하여 10.000중량%~10.500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고, 진세노사이드 Rg3(ginsenoside Rg3) 성분이 전체 성분에 대하여 3.000중량%~3.500중량% 범위 내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사포게닌 성분을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도 가능하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홍삼을 특정 온도와 시간으로 추출하는 방법에 의해, 홍삼 추출물 제조시 소량 생산되는 기능성 물질인 프로사포게닌 성분의 함량을 늘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홍삼을 특정 온도와 시간으로 추출함으로써, 홍삼 특유 프로사포게닌 성분(예를 들어, 진세노사이드 Rg3, 진세노사이드 Rk1 + Rg5)이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홍삼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비교예(비교예 1)에 따라 12시간 동안 2차 추출하여 제조된 홍삼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HPLC 크로마토그램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비교예(비교예 2)에 따라 24시간 동안 2차 추출하여 제조된 홍삼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HPLC 크로마토그램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비교예(비교예 3)에 따라 36시간 동안 2차 추출하여 제조된 홍삼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HPLC 크로마토그램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비교예(비교예 4)에 따라 48시간 동안 2차 추출하여 제조된 홍삼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HPLC 크로마토그램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비교예(비교예 5)에 따라 60시간 동안 2차 추출하여 제조된 홍삼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HPLC 크로마토그램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비교예(비교예 6)에 따라 72시간 동안 2차 추출하여 제조된 홍삼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HPLC 크로마토그램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에 따라 12시간 동안 1차 추출하여 제조된 홍삼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HPLC 크로마토그램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2)에 따라 24시간 동안 1차 추출하여 제조된 홍삼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HPLC 크로마토그램 그래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실시예 3)에 따라 36시간 동안 1차 추출하여 제조된 홍삼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HPLC 크로마토그램 그래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실시예 4)에 따라 48시간 동안 1차 추출하여 제조된 홍삼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HPLC 크로마토그램 그래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실시예 5)에 따라 60시간 동안 1차 추출하여 제조된 홍삼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HPLC 크로마토그램 그래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실시예 6)에 따라 72시간 동안 1차 추출하여 제조된 홍삼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HPLC 크로마토그램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현재, 홍삼정(홍삼농축엑기스) 가공회사에서는 대부분 1회 증숙한 홍삼을 사용하는데, 이것은 홍삼특유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g3(ginsenoside Rg3)가 0.03%이하 함유된 원료이다. 그래서, 주정 및 증류수를 이용한 단순한 추출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진세노사이드 Rg3 가 0.6%이하인 저기능성 홍삼정을 제조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홍삼을 대상으로 추출 조건을 최적화하여 홍삼특유성분(ginsenoside Rg3)을 고농도(ginsenoside Rg3 3%이상)로 함유하는 차별화된 기능성 강화 홍삼정(홍삼농축엑기스)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홍삼을 물에 넣고 12~36 범위 내의 시간 동안 80℃~120℃ 범위 내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한 홍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사포게닌 성분을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이다.
즉,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을 얻기 위한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온도와 시간으로 홍삼을 추출함으로써, 기능성 물질인 인삼 프로사포게닌 성분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새로운 개념의 홍삼 또는 그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추출조건을 최적화함으로써, 인삼 지하부 내의 유효성분의 변화 및 인삼 희귀성분의 함량을 극대화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홍삼을 물에 넣고 12~36 범위 내의 시간 동안 80℃~120℃ 범위 내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홍삼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모든 종류의 인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인삼은 고려인삼(Panax ginseng)을 비롯한 서양삼(Panax quinquefolium), 삼칠삼(Panax notoginseng), 죽절삼(Panax japonicum) 또는 파낙스 베트남엔시스(Panax vietnamensis)와 같은 파낙스(Panax) 속 식물의 지하부 생약, 예를 들어, 미삼, 백삼, 홍미삼, 홍삼, 흑미삼, 흑삼, 태극삼, 수삼 및 이들을 가공 처리한 경우도 포함하는 것이며, 이는 인삼과 관련된 반복적인 실험으로부터 확인된 사실에 기초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홍삼의 주근 및/또는 미근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홍삼을 물을 이용하여 열수 추출함에 있어서, 12~36 범위 내의 시간 동안 80℃~120℃ 범위 내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물은 모든 종류의 물을 포함하고, 그 중에서도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이 추출 처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하는 시간은 12~36 범위 내의 시간, 바람직하게는 20~28 범위 내의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22~26 범위 내의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추출정도가 미약하여 홍삼 특유 프로사포게닌(예를 들어, 진세노사이드 Rg3, 진세노사이드 Rk1 + Rg5)과 같은 유용성분의 추출함량이 높지 않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에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유용성분의 함량이 오히려 감소하였다.
또한, 상기 가열하는 온도는 80℃~120℃ 범위 내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90℃~110℃ 범위 내의 온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95℃~105℃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추출정도가 미약하여 홍삼 특유 프로사포게닌과 같은 유용성분의 추출함량이 높지 않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에는 인삼 지하부 내의 유효성분이 구조적 및/또는 화학적으로 변화되버리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와 함께, 상기 홍삼을 물에 넣는 것은, 증류수 10~30중량부에 대하여 홍삼의 주근 및 미근을 각각 1중량부 넣는 것이 바람직한데, 홍삼의 양이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추출되는 유용성분의 함량이 미약하고, 상기 범위를 넘더라도 동일한 증류수에서 얻을 수 있는 유용성분의 임계치를 초과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추출 횟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추출처리 전 또는 후에 물이나 알코올 등에 의한 1회 이상의 추가 추출을 더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1번의 추출로써 보다 많은 유용성분을 얻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을 먼저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후 추가 추출에 의해 동일한 원료로부터 유용성분을 더 많이 추출할 수도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추출처리를 반복하는 것도 더욱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본 발명은 상기 가열한 홍삼을 여과하는 단계;를 거친다. 여과하는 방법이나 조건, 시간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모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원심분리에 의해 목적하는 고형성분만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후 가공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공처리는 필요에 따라 공지의 방법에 의해 가공 인삼 추출물 및/또는 조성물로 만들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얻은 홍삼 추출물을 진공 건조기에서 1일~3일 범위 내의 시간 동안 30℃~50℃ 범위 내의 온도로 건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인삼류를 물, 저급알콜(예: 메탄올, 에탄올등), 저급케톤(예: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 초임계유체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에 농축시키거나 또는 농축된 액을 건조시킴으로써 용매를 제거하여 건조된 분말상의 가공인삼 추출물, 즉 인삼을 연조 또는 건조 엑스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 가공처리의 일례로써 식초를 이용해서 추가 추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1차 추출시 100℃로 24시간 추출한 엑스는 ginsenoside Rg3의 함량이 3.169%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이는 일반 홍삼 엑스의 약 6배 높은 함량이다. 또한, 일반 홍삼에는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는 ginsenoside Rg5 + ginsenoside Rk1 도 2.651% 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어, 1차 추출시 100℃로 24시간 추출한 엑스가 기능성(ginsenoside Rg3) 성분 고농도 함유 홍삼 엑스라는 것을 확인한 후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와 같이, 일반 홍삼보다 ginsenoside Rg3의 함량이 약 6-10배 높은 차별성 있는 고기능성 홍삼 및 홍삼엑스의 개발은 국내외 매출액 증가에서 현저히 우수한 상업적 성공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와 같이 얻어지는 홍삼정은 기능성(항암, 항당뇨작용) 강화 홍삼제품(파우치, 캡슐, 정제)을 개발하는 기초 원료 엑스를 제공하여 우리 인삼산업의 세계화에 기여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12~36 범위 내의 시간 동안 80℃~120℃ 범위 내의 온도로 가열)에 의해 제조되어, 프로사포게닌 성분이 전체 성분에 대하여 8.900중량%~10.700중량% 범위 내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사포게닌 성분을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20~28 범위 내의 시간 동안 90℃~110℃ 범위 내의 온도)에 의해 제조되어, 프로사포게닌 성분이 전체 성분에 대하여 10.000중량%~10.500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고, 진세노사이드 Rg3(ginsenoside Rg3) 성분이 전체 성분에 대하여 3.000중량%~3.500중량% 범위 내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사포게닌 성분을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홍삼 특유 프로사포게닌 성분을 높은 농도로 함유하는 홍삼은 항당뇨. 대사증후군 개선, 항암, 혈압강하, 성기능 개선, 간기능 개선, 뇌인지기능 개선, ADHD 개선, 아토피 및 알레르기 개선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삼 제제를 임상적인 목적으로 투여시에 단일용량 또는 2 내지 3회의 분리용량으로 숙주에게 투여될 총 일일용량은 체중 1 ㎏ 당 1 내지 50 ㎎의 범위가 바람직하나, 특정 환자에 대한 특이 용량 수준은 사용될 특정 화합물, 체중, 연령, 성,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약제혼합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주사용 제제 및 경구용 제제로 투여할 수 있다. 주사용 제제, 예를 들면 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은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적합한 분산제, 습윤제 또는 현탁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될 수 있는 용매에는 물, 링거액 및 등장성 NaCl 용액이 있으며, 멸균 고정 오일은 통상적으로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사용한다. 모노-,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어떠한 무자극성 고정오일도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은 주사용 제제에 사용할 수 있다. 경구투여용 투여 형태는 캅셀제,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액제가 가능하고, 특히 캅셀제와 정제, 액제가 유용하다. 정제 및 환제는 장피제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체 및 액체투여 형태는 활성성분을 슈크로오즈, 락토오즈, 전분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불활성 희석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와 같은 윤활제, 칼슘 씨엠씨와 같은 붕해보조제, 결합제, 방향제, 소듐벤조에이트와 같은 방부제, 설탕 또는 과당과 같은 감미제 및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담체와 혼합시킴으로써 제조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활성성분 이외에 부형제로서 전분과 유당을 7:3의 비율로 넣고 유동성 증대를 위하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탈크를 3% 이내로 가하여 충진시킴으로써 캅셀제를 제조할 수 있고, 부형제로서 전분과 유당을 7:3의 비율로 넣고 결합제, 그리고 붕해보조제로 칼슘 씨엠씨를 가하여 타정함으로써 정제를 제조할 수 있으며, 방향제로 과일향, 방부제로 소듐벤조에이트, 감미제로 설탕 또는 과당 및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액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 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 알코올 1차 + 증류수 2차 추출에 의한 홍삼 추출물 제조
기존 추출 방법에 따라, 홍삼의 주근, 미근을 10g씩 담고 20% ethyl acohol 200ml를 넣은 후, waterbath를 65℃로 맞추고 48시간동안 1차추출을 하였다.
이어서, 1차추출한 시료를 각각 여과한 뒤 증류수 200ml씩을 넣고 waterbath를 100℃로 맞춘 다음, 시간을 12h(비교예 1), 24h(비교예 2), 36h(비교예 3), 48h(비교예 4), 60h(비교예 5), 72h(비교예 6)로 각각 달리해서 2차추출한 후, 여과하여 각각의 홍삼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 증류수 1차 추출에 의한 홍삼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홍삼의 주근, 미근을 10g씩 담고 증류수 200ml씩을 넣은 다음, waterbath를 100℃로 맞추고, 시간을 12h(실시예 1), 24h(실시예 2), 36h(실시예 3), 48h(실시예 4), 60h(실시예 5), 72h(실시예 6)로 각각 달리해서 1차 추출한 후, 여과하여 각각의 홍삼 추출물을 얻었다.
한편, 상기 얻은 각각의 홍삼 추출물에 20% ethyl acohol 200ml를 넣은 후, waterbath를 65℃로 맞추고 48시간동안 2차추출을 하였다.
실험예 : HPLC 법을 통한 진세노사이드 성분 분석
① 실험방법
상기 비교예 1~6 및 실시예 1~6에 의해 얻은 홍삼 추출물 제제 각 2g에 diethylether 50㎖를 가하고, 1시간씩 3회 초음파 세정기(고도기업, 4020P, 한국)로 추출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그런 다음, 얻은 잔사에 수포화 butanol 50㎖를 가하여 2시간씩 3회 추출하고,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한 후 여과하였으며, 이를 감압농축을 하여 조사포닌을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조 사포닌을 HPLC법에 의하여 정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② HPLC 분석조건
즉, 인삼사포닌의 함량 및 조성을 각 시료당 3회 반복 실험해서 결과의 재현성을 확인하여 분석하였다. 표품은 Chromadex (U.S.A.)로부터 구입한 순도 99% 이상의 ginsenoside를 사용하였다.
사용한 HPLC 장치는 Waters 1525 binary HPLC system (Waters, 미국)이며, 컬럼은 Eurospher 100-5 C18 (250*3mm)을 사용하였다.
이동상은 acetonitrile(HPLC급, Sigma, 미국)과 HPLC용 증류수이며, acetonitrile의 비율을 17 %(0 min)에서 30 %(55 min), 40 %(80 min), 60%(135 min) 그리고 100 %(140 min)로 순차적으로 늘려주고 마지막으로 다시 17%로 조절하였다. 전개온도는 실온, 유속은 분당 0.8 ml, 크로마토그램은 uv/vis Waters 2487 Dual λ Absorbance Detector (Waters, U.S.A.) 검출기를 이용하여 203nm에서 검출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비교예(비교예 1)에 따라 12시간 동안 2차 추출하여 제조된 홍삼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HPLC 크로마토그램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비교예(비교예 2)에 따라 24시간 동안 2차 추출하여 제조된 홍삼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HPLC 크로마토그램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비교예(비교예 3)에 따라 36시간 동안 2차 추출하여 제조된 홍삼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HPLC 크로마토그램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비교예(비교예 4)에 따라 48시간 동안 2차 추출하여 제조된 홍삼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HPLC 크로마토그램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비교예(비교예 5)에 따라 60시간 동안 2차 추출하여 제조된 홍삼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HPLC 크로마토그램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비교예(비교예 6)에 따라 72시간 동안 2차 추출하여 제조된 홍삼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HPLC 크로마토그램 그래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HPLC를 통하여 표품과 직접 비교해서 확인하고, 평균을 통계 처리하여 계산하였다.
하기 표 1은 상술한 비교예 1~6에 의해 얻은 홍삼 추출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결과이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총사포닌에 있어서는 2차 추출시 100℃로 12시간 추출한 엑스(RGEE-12)가 6.228%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60시간 추출한 엑스(RGEE-60, 4.379%), 24시간 추출한 엑스(RGEE-24, 3.866%)의 순이었다.
홍삼 특유성분으로 항암, 항당뇨, 혈압강하 약리효능을 나타내는 ginsenoside Rg3의 함량에 있어서는 100℃로 60시간 추출한 엑스(RGEE-60)가 0.610%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12시간 추출한 엑스(RGEE-12, 0.583%), 48시간 추출한 엑스(RGEE-48, 0.337%)의 순이었다.
또한, 일반 홍삼에는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는 흑삼 특유성분인 ginsenoside Rg5, ginsenoside Rk1의 함량에 있어서는 100℃로 60시간 추출한 엑스(RGEE-60)가 0.214%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12시간 추출한 엑스(RGEE-12, 0.167%), 24시간 추출한 엑스(RGEE-24, 0.106%)의 순이었다.
하지만, 생리활성이 좋은 기능성분인 ginsenoside Rg3, ginsenoside Rg5, ginsenoside Rk1 등의 함량이 고농도의 함량을 나타내지는 못하였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에 따라 12시간 동안 1차 추출하여 제조된 홍삼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HPLC 크로마토그램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2)에 따라 24시간 동안 1차 추출하여 제조된 홍삼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HPLC 크로마토그램 그래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실시예 3)에 따라 36시간 동안 1차 추출하여 제조된 홍삼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HPLC 크로마토그램 그래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실시예 4)에 따라 48시간 동안 1차 추출하여 제조된 홍삼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HPLC 크로마토그램 그래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실시예 5)에 따라 60시간 동안 1차 추출하여 제조된 홍삼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HPLC 크로마토그램 그래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실시예 6)에 따라 72시간 동안 1차 추출하여 제조된 홍삼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HPLC 크로마토그램 그래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HPLC를 통하여 표품과 직접 비교해서 확인하고, 평균을 통계 처리하여 계산하였다.
하기 표 2는 상술한 실시예 1~6에 의해 얻은 홍삼 추출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결과이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총사포닌에 있어서는 1차 추출시 100℃로 12시간 추출한 엑스(RGWE-12)가 10.694%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24시간 추출한 엑스(RGWE-24, 10.317%), 36시간 추출한 엑스(RGWE-36, 8.924%)의 순이었다.
홍삼 특유성분으로 항암, 항당뇨, 혈압강하 약리효능을 나타내는 ginsenoside Rg3의 함량에 있어서는 100℃로 24시간 추출한 엑스(RGWE-24)가 3.169%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36시간 추출한 엑스(RGWE-36, 3.150%), 72시간 추출한 엑스(RGWE-72, 2.825%)의 순이었다.
또한, 일반 홍삼에는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는 흑삼 특유성분인 ginsenoside Rg5, ginsenoside Rk1의 함량에 있어서는 100℃로 36시간 추출한 엑스(RGWE-36)가 2.935%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72시간 추출한 엑스(RGWE-72, 2.813%), 24시간 추출한 엑스(RGWE-24, 2.651%)의 순이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기능성 성분(ginsenoside Rg3) 고농도 함유 홍삼 엑스는 100℃로 24시간 추출한 엑스(RGWE-24)가 최적 추출 조건의 홍삼 엑스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Claims (5)

  1. 홍삼을 물에 넣고 12~36 범위 내의 시간 동안 80℃~120℃ 범위 내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한 홍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사포게닌 성분을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하는 것은, 20~28 범위 내의 시간 동안 90℃~110℃ 범위 내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사포게닌 성분을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을 물에 넣는 것은, 홍삼의 주근 및 미근 각각 1중량부를 증류수 10~30중량부에 넣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사포게닌 성분을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프로사포게닌 성분이 전체 성분에 대하여 8.900중량%~10.700중량% 범위 내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사포게닌 성분을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
  5. 제2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프로사포게닌 성분이 전체 성분에 대하여 10.000중량%~10.500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고, 진세노사이드 Rg3(ginsenoside Rg3) 성분이 전체 성분에 대하여 3.000중량%~3.500중량% 범위 내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사포게닌 성분을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
KR1020120097554A 2012-09-04 2012-09-04 프로사포게닌 성분을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홍삼 추출물 KR20140030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554A KR20140030862A (ko) 2012-09-04 2012-09-04 프로사포게닌 성분을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홍삼 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554A KR20140030862A (ko) 2012-09-04 2012-09-04 프로사포게닌 성분을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홍삼 추출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862A true KR20140030862A (ko) 2014-03-12

Family

ID=50643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554A KR20140030862A (ko) 2012-09-04 2012-09-04 프로사포게닌 성분을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홍삼 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08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1843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cyclocarya paliurus extract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s thereof
JP4777776B2 (ja) 酢を利用した人参製剤及びこれの製造方法
CN105395919B (zh) 一种含有黑木耳提取物、具有降血脂作用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50109269A (ko) 식초를 이용한 인삼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727205B (zh) 一种具有减肥和降血脂作用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3705594B (zh) 治疗高脂血症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057039A (zh) 一种铁皮石斛多糖和黄精多糖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0893197B (zh) 用于治疗痛风的蔓三七提取物及其制备方法
KR101416671B1 (ko) 초음파 처리를 이용한 인삼 프로사포게닌 고농도 함유 인삼 잎 및 줄기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5483B1 (ko) 초음파 처리를 이용한 인삼 프로사포게닌 고농도 함유 삼칠삼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1507B1 (ko) 초단파를 이용한 원형 홍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16673B1 (ko) 초음파 처리를 이용한 인삼 프로사포게닌 고농도 함유 인삼 화뢰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16669B1 (ko) 초음파 처리를 이용한 인삼 프로사포게인 고농도 함유 인삼 열매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86035B1 (ko) 인삼 지상부에서 초단파를 이용한 인삼 프로사포게닌 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CN101371875B (zh) 一种复方异常黑胆质成熟剂的总皂苷的提取制备方法
CN104055963B (zh) 一种减脂中药组合物及制备方法
CN103505664A (zh) 一种含有决明子的降血脂组合物及制备方法
KR101416668B1 (ko) 초음파 처리를 이용한 인삼 프로사포게닌 고농도 함유 인삼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301356B (zh) 五味子提取物在治疗酒精肝中的应用
KR20140030862A (ko) 프로사포게닌 성분을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홍삼 추출물
CN110201014A (zh) 一种屏边三七总皂苷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04510857B (zh) 一种用于降脂的中药有效部位组合物及其制剂
CN103768116A (zh) 三七粉袋泡型产品gmp生产工艺及其应用方法
CN104547027B (zh) 一种丹参叶三七叶提取物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09394799A (zh) 含灵芝萃取物的天然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