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0526A -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 - Google Patents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526A
KR20140030526A KR1020120096381A KR20120096381A KR20140030526A KR 20140030526 A KR20140030526 A KR 20140030526A KR 1020120096381 A KR1020120096381 A KR 1020120096381A KR 20120096381 A KR20120096381 A KR 20120096381A KR 20140030526 A KR20140030526 A KR 20140030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coadhesive
erosive
agent
layer
swe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훈
최두형
박은석
신범수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96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0526A/ko
Priority to PCT/KR2013/007901 priority patent/WO2014035219A1/ko
Publication of KR20140030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5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5Forms with gastric retention, e.g. floating on gastric juice, adhering to gastric mucosa, expanding to prevent passage through the pylo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약리학적 활성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 침식성 고분자 층 및 팽윤성 고분자 층 사이에 점막 부착성 침을 포함하는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은 원하는 침식성 및 팽윤성 고분자의 조합을 통하여 약리학적 활성물질의 체내 방출 및 흡수성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약물의 혈중 농도 조절이 용이하고, 침식성 층 및 팽윤성 층 각각에 약리학적 활성물질을 포함하게 하여 약리학적 상승효과를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침식성 층의 침식으로 노출된 점막 부착성 침이 위장관 점막에 부착되어 기존의 지오매트릭스 제형 및 점막부착성 제형보다 점막부착성 및 약효의 지속성이 뛰어나므로, 경구용 약효 지속성 약물전달시스템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Flexible gastro-intestinal tract mucoadhesive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본 발명은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에 관한 것이다.
경구용 약물전달제제는 복용의 편의성, 제조의 장점 등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약물 복용 제형으로, 약물이 체내에서 즉시 방출되어 짧은 시간 내에 혈액 내 약물농도를 상승시키므로 혈중 약물 농도를 신속하게 일정수준의 최소 약효발현농도 이상으로 도달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경구용 제제는 투여 후 약효가 발휘되기까지의 시간을 임의로 조절하기가 어렵고, 약리학적 활성물질들 마다 체내 고유의 흡수부위 (absorption window)가 상이하며, 반감기에 따라 약리학적 활성물질의 약효감소정도도 다르기 때문에 제형의 설계시에는 약리학적 활성물질의 특징을 고려하여야 한다.
대표적으로 체내 반감기가 길고 약효 발현이 지속적인 약리학적 활성물질을 포함하며, 시간이 제어인자로 작용하는 경구용 서방성 제제가 발달 되었다.
경구용 서방성 제제는 미리 설계된 정도로 약리학적 활성물질 방출을 제어하여 생체 내에서 최적의 혈중농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제제로서 이러한 경구용 서방성 제제의 목적은 약리학적 활성물질의 혈중농도를 유효 혈중농도 범위 내에서 지속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약리학적 활성물질의 투여횟수를 감소,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높이고, 약리학적 활성물질의 독성 등, 부작용을 방지하는데 있다.
약물의 부작용을 줄이고 효능 및 효과를 극대화시켜 필요한 양의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한 제형을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약물전달시스템은 흡수를 촉진하는 “흡수 촉진형 DDS”, “약효 지속형 DDS”, “표적부위 집중형 DDS”, “인공지능 DDS”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약효 지속형 DDS”란, 복용 후에 체내로부터 소실이 큰 약물의 혈중의 유효 혈중 농도 및 약효를 오랫동안 유지하기 위한 DDS로 서방출성을 이용하여 약효를 지속시킨다.
약효 지속형 DDS에는 삼투압 제어 시스템, 펄스(Pulse) 방출 시스템, 지오매트릭스 시스템(Geomatrix system), 대장 표적제제, 이온수지 방출 제어 시스템, SODAS 등이 있는데, 특히 약리 활성 물질의 확산 또는 고분자의 침식에 의해 약리 활성물질의 방출이 조절되는 매트릭스 제형은 조성이 단순하고 제조방법도 용이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매트릭스 제제의 제조시에는 HPMC, PEO, 소듐 알지네이트 등 다양한 수용성 고분자 물질들이 사용되며, 이들의 분자량(점도)에 따라 약리학적 활성물질의 방출 정도도 조절이 가능하다. 그러나, 약리학적 활성물질의 방출 정도가 어느 정도 조절 가능하더라도,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형은 약리학적 활성물질 방출이 확산의 법칙을 따르게 되어, 투여 초기에 대량방출(initial burst)이 발생하며, 약효 지속형 DDS일지라도 약물은 체내에서 약 24시간이면 대사가 완료되므로, 약리학적 활성물질의 체내 방출시간 또한 약 24시간 이내로 제한된다는 한계가 있다.
기존의 점막 부착성 제형은 위장관 점막에 부착되는 점막부착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위장관 점막에 부착됨으로써 위내 체류시간이 연장되어 지속적인 약물의 방출을 가능하게 하였으나, 점막부착성 고분자는 pH, 위장관점막의 점액교환(mucin turns over), 초기접촉시간 등, 점막에의 부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매우 다양하여 효율적인 제형의 체류시간의 연장 및 약물의 전달을 담보할 수 없었으므로 새로운 방식의 점막부착성 제형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경구용 약효 지속성 제제로서 약리학적 활성물질의 체내 방출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약효가 24시간 이상 지속될 수 있는 약효지속성 제제를 개발하던 중, 침식성 고분자 층 및 팽윤성 고분자 층 사이에 점막 부착성 침을 포함하는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은 원하는 침식성 및 팽윤성 고분자의 조합을 통하여 약리학적 활성물질의 체내 방출 및 흡수성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약물의 혈중 농도 조절이 용이하고, 침식성 층 및 팽윤성 층 각각에 약리학적 활성물질을 포함하게 하여 약리학적 상승효과를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침식성 층의 침식으로 노출된 점막 부착성 침이 위장관 점막에 부착되어 기존의 지오매트릭스 제형 및 점막부착성 제형보다 점막부착성 및 약효의 지속성이 뛰어나므로, 경구용 약효 지속성 약물전달시스템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약리학적 활성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
침식성 고분자 층;
팽윤성 고분자 층; 및
상기 두 층 사이에 위치하며 침의 예리한 면은 침식성 층을 향하고, 예리한 면의 반대편 면은 팽윤성 고분자 층에 결합되는 점막 부착성 침; 을 포함하는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은 침식성 고분자 층 및 팽윤성 고분자 층 사이에 점막 부착성 침을 포함하여, 상기 제형이 수용성 매질에 노출시, 침식성 고분자 층은 침식되어 점막 부착성 침을 노출시키고, 수용성 매질에 노출된 상기 점막 부착성 침은 위장관점막에 부착되며, 상기 팽윤성 고분자 층은 팽윤되어 점막 부착성 침을 감싸게 됨으로써 이를 위장관 점막으로부터 탈락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이 수용성 매질에 노출될 경우, 침식성 고분자 층은 내부에 포함된 약리학적 활성물질을 방출하면서 침식되어, 점막 부착성 침을 노출시킴으로써 본 제형이 위장관의 점막과 접촉하여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점막 부착성 침은 기존의 점막 부착성 고분자를 이용한 약효지속성 DDS에 비하여 점막 부착력이 뛰어나 약효가 오랜 시간 동안 방출될 수 있어 약효의 지속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약리학적 활성물질의 방출이 완료된 후에는 팽윤성 고분자 층이 팽윤하여 점막 부착성 침을 감싸게 됨으로써 점막으로부터 본 제형을 탈락시키게 되므로 약효의 지속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은 상기 점막 부착성 침의 예리한 부분이 침식성 고분자 층을 향하도록 제조되어야만, 수용성 매질과의 접촉으로 인해 침식성 고분자가 침식될 경우, 노출된 점막 부착성 침의 예리한 부분이 수용성 매질 및 위장관 점막 측으로 노출되어 위장관 점막에 부착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막 부착성 침은 위장관점막에 부착이 용이한 모양이면 충분하며, 바람직하게는 톱니 모양일 수 있다. 상기 점막 부착성 침은 스테인레스, 금, 백금, 티타늄 등, 인체에 경구 투여 되어도 무해한 재질로 제조되거나 침의 형상을 가진 소재를 상기 재질로 도금 또는 코팅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약리학적 활성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 침식성 고분자 층 및 팽윤성 고분자 층 사이에 점막 부착성 침을 포함하는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으로서, 매트릭스 구조로 각각의 약리학적 활성물질이 수용성 매질에 노출되기 전까지는 각각의 독립된 정제로 존재하기 때문에 물리화학적 안정성이 유지되므로 보존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을 이용하면, 각각의 약리학적 활성물질을 따로, 반복하여 복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적이고, 환자의 복약순응도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제형은 상기 침식성 및 팽윤성 고분자 층의 고분자와 부형제의 종류, 혼합비율, 두께 등의 조합을 통하여 고분자 층의 겔화도(팽윤성), 침식성을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약리학적 활성물질의 혈중 농도 및 약효 지속 시간을 보다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고 부착성 침의 노출 시간도 조절 할 수 있어 약물의 흡수 부위(absorption window)가 좁은 약물들에 적용해서 장시간 원하는 양의 약물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침식성 고분자란 수용성 매질과 접촉시 침식되는 성질을 나타내는 고분자로서, 팽윤성 고분자와는 절대적인 침식성의 기준 값에 의하여 나누어지는 것은 아니고, 상대적인 침식성의 차이에 의하여 나누어지는 것으로, 침식성이 서로 다른 두 고분자에 있어서 침식성이 상대적으로 큰 고분자를 침식성 고분자라고 정의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팽윤성 고분자란 수용성 매질과 접촉시 팽윤하는 성질을 나타내는 고분자로서, 약제학 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의 팽윤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침식성 고분자 및 팽윤성 고분자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카보머, 미결정질셀룰로오스(MCC, microcrystalline celluose), 락토오스(lactos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로는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폴리옥스WSR(POLYOX Water-Soluble Resins) 예컨대, POLYOX WSR N-10, N-80, N-750, POLYOX WSR-205, WSR-1105, WSR-301, WSR-303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로는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메토셀 K4M CR Premium (Methocel K4M CRPremium, 다우케미칼, 미국)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들은 일반적으로 분자량이 작을수록 침식성이 강하며, 침식성 고분자와 팽윤성 고분자가 동일한 종류의 고분자,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일 경우, 분자량이 더 작은 고분자(PEG 1000)가 침식성 고분자가 되고, 분자량이 더 큰 고분자(PEG 20000)가 팽윤성 고분자가 된다.
상기 팽윤성 고분자의 함량은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제형의 총 중량대비 40 내지 99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팽윤성 고분자 층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유당,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덱스트레이트, 만니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 인산수소칼슘, 구연산, 미결정셀룰로오스 등), 결합제(예를 들어, 코포비돈,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 붕해제(예를 들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 크로스포비돈,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활택제(예를 들어,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스테아릴 푸마르산 나트륨, 경질무수규산 등)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약리학적 활성물질은 경구용 약리학적 활성물질이면 충분하고, 공지의 경구용 약리활성 물질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약리활성 물질로는 예컨대, 항진균제, 항고지혈증제, 순환기관용제, 항종양제, 해열제, 진통제, 소염제, 진핵거담제, 진정제, 항알레르기제, 혈관확장제, 강압이뇨제, 당뇨병치료제, 호르몬제, 혈관신생저해제 등이 있고, 구체적으로는 고혈압 치료제인 독사조신, 테라조신,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인 탐술로신, 고지혈증 치료제인 심바스타틴, 로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비-스테로이드 성 소염제인 아세트아미노펜, 잘토프로펜 및 진통제인 트라마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리학적 활성물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은 정제의 형태로 직접 사용되거나, 또는 이를 캡슐에 충전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캡슐은 젤라틴 및/또는 백당을 원료로, 글리세린, 아라비아고무, 한천 등의 가소제로, 그 외 착색제, 차광제 및 보존제로 구성된 캡슐로서, 상기 원료를 이용하여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하거나, 또는 시판되는 캡슐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팽윤성 고분자 층의 겔화도(팽윤성)의 측정
본 발명의 팽윤성 고분자 층의 겔화도(팽윤성)를 시험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1. 팽윤성 고분자 정제의 제조( Preparation of test tablet )
제조하기 전 부형제를 포함한 모든 원료는 제20호의 체를 이용하여 분체간의 응집을 방지하였다. 하기 표 1에 나타낸 고분자 및 활택제를 정확하게 칭량한 뒤, 5분간 고루 혼합하였다. 혼합된 분말은 평평한 면으로 된 둥근 모양의 지름 9.0mm의 펀치를 이용하여 15MPa 의 압력으로 single-punch hydraulic laboratory press를 이용하여 타정하고 실험 샘플로 사용하였다.
No. Input factors
St-Mg X1 X2 X3 X4 X5 X6 X7 X8
PEG 6000 PEO N-10 PEO
301
PEO Coagulant PEO 303 HPMC 100SR HPMC 4000SR HPMC 105SR
1 2.5 25 210
2 2.5 50 185
3 2.5 25 210
4 2.5 25 210
5 2.5 25 210
6 2.5 25 210
7 2.5 25 210
8 2.5 25 210
9 2.5 50 185
10 2.5 50 185
11 2.5 50 185
12 2.5 50 185
13 2.5 50 185
14 2.5 50 185
PEG: polyethyleneglycol
PEO: polyethylene oxide
HPMC: hydroxypropy methylcellulose
St-Mg: Stearate Magnesium
1-2. 정제의 겔화도 평가( Evaluation of tablet gelation )
먼저, 상기 1-1에서 제조한 실험 샘플을 두개의 폴리아크릴판 (5cm × 5cm) 사이에 넣고 고무 밴드를 이용해서 고정시켜 준 다음, 900 mL, pH 6.8, 37ºC 용출액에 넣고 300 rpm/min로 마그네틱 교반봉을 이용해서 교반시켰다. 각각의 샘플은 정해진 시간에 꺼내어 캘리퍼를 이용해서 실험 정제의 전체 지름, 겔화된 부분의 지름 및 비겔화 부분의 지름을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겔화도(Gelation Index)를 측정하였다 (Sako et al., 1996).
[수학식 1]
Figure pat00001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No. 겔화도(팽윤성) (%)
Y1 Y2 Y3 Y4 Y5 Y6 Y7 Y8
0.5h 1h 1.5h 2h 2.5h 3h 4h 5h
1 34.19 50.48 66.28 67.29 72.76 80.72 88.62 90.21
2 35.19 56.43 67.00 69.94 70.88 83.72 92.47 94.48
3 - - - - - - - -
4 38.60 62.98 72.08 79.83 83.13 87.88 92.11 95.36
5 28.04 38.00 48.22 54.68 59.89 67.82 70.81 74.92
6 30.77 55.46 68.21 73.72 84.32 87.79 92.65 95.81
7 - - - - - - - -
8 21.99 44.67 55.65 63.27 75.59 79.17 82.38 84.79
9 - - - - - - - -
10 19.06 41.27 59.35 64.71 71.66 78.86 82.63 85.16
11 21.81 49.68 65.02 68.20 73.41 80.46 83.00 86.08
12 20.29 47.28 55.63 61.10 67.97 72.57 77.96 82.05
13 41.93 57.96 74.22 83.66 89.59 92.16 94.08 94.99
14 53.52 75.17 80.87 87.69 92.06 91.75 97.33 96.41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활택제와 고분자의 종류 및 중량비율의 조합을 달리하면 시간에 따라 다양한 속도로 고분자가 팽윤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팽윤성 고분자 층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침식성 고분자 층이 침식되고 난 뒤, 시간에 따라 겔화가 진행되며 팽윤이 일어나므로, 점막 부착성 침을 감싸게되어 위장관점막에 부착된 침을 탈락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8)

  1. 서로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약리학적 활성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
    침식성 고분자 층;
    팽윤성 고분자 층; 및
    상기 두 층 사이에 위치하며 침의 예리한 면은 침식성 층을 향하고, 예리한 면의 반대편 면은 팽윤성 고분자 층에 결합되는 점막 부착성 침; 을 포함하는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이 수용성 매질에 노출시, 침식성 고분자 층은 침식되어 점막 부착성 침을 노출시키고, 수용성 매질에 노출된 상기 점막 부착성 침은 위장관점막에 부착되며, 상기 팽윤성 고분자 층은 팽윤되어 점막 부착성 침을 감싸게 됨으로써 이를 위장관 점막으로부터 탈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식성 고분자 및 팽윤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카보머, 미결정질셀룰로오스(MCC, microcrystalline celluose), 락토오스(lact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식성 고분자 층 및 팽윤성 고분자 층 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또는 활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막 부착성 침은 스테인레스, 금, 백금, 및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재질로 제조되거나, 코팅, 또는 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적 위장관 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막 부착성 침은 톱니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리학적 활성물질은 항진균제, 항고지혈증제, 순환기관용제, 항종양제, 해열제, 진통제, 소염제, 진해거담제, 진정제, 항알레르기제, 혈관확장제, 강압이뇨제, 당뇨병치료제, 호르몬제, 혈관신행저해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약리학적 활성물질은 독사조신, 테라조신, 탐술로신, 심바스타틴, 로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아세트아미노펜, 잘토프로펜 및 트라마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

KR1020120096381A 2012-08-31 2012-08-31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 KR2014003052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381A KR20140030526A (ko) 2012-08-31 2012-08-31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
PCT/KR2013/007901 WO2014035219A1 (ko) 2012-08-31 2013-09-02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381A KR20140030526A (ko) 2012-08-31 2012-08-31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526A true KR20140030526A (ko) 2014-03-12

Family

ID=50183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381A KR20140030526A (ko) 2012-08-31 2012-08-31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30526A (ko)
WO (1) WO201403521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2803A (ja) * 2003-10-31 2005-05-26 Ono Pharmaceut Co Ltd 胃内滞留固形剤
KR20070021830A (ko) * 2005-08-20 2007-02-23 한국오츠카제약 주식회사 실로스타졸 및 아스피린 함유 서방정
ES2663777T3 (es) * 2008-06-23 2018-04-17 Biodelivery Sciences International, Inc. Dispositivos de administración mucosa multidireccionales y métodos de uso
EP2329810A4 (en) * 2008-08-18 2012-09-19 Team Academy Of Pharmaceutical Science DRUG DISPENSING SYSTEM WITH MAGNETIC RETENTION, MANUFACTURING PROCESS AND APPLICATION
US9421169B2 (en) * 2009-11-20 2016-08-23 Covidien Lp Oral dosage forms for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5219A1 (ko)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54117B2 (ja) 有効物質を徐々に遊離する、トラマドール塩含有薬剤
CN111405895B (zh) 一种控释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AU2008282900B2 (en) Pulsatile gastric retentive dosage forms
KR0173115B1 (ko) 이중-작용 정제
TWI240637B (en) Oral pharmaceutical pulsed release dosage form
KR100823392B1 (ko) 친수성/친유성 중합체 매트릭스 용량적 제제
US5891474A (en) Time-specific controlled release dosage formulations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Kotreka et al. Gastroretentive floating drug-delivery systems: a critical review
EP2114381B1 (en) An oral sustained-release triple layer tablet
US20040052844A1 (en) Time-controlled, sustained 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water-soluble resins
WO2008008120A1 (en) Solid form
WO2007054976A2 (en) Lipid based controlled 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
KR20030023879A (ko) 알렌드로네이트 및/또는 기타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지연형위 방출을 위한 조성물 및 제형
KR20070036797A (ko) 장용 코팅된 중심정을 갖는 제형
KR101464771B1 (ko) 페닐에프린의 지속 방출용 약제학적 조성물
EP1019029B1 (en) Monolithic system containing one or more drugs, consisting of three layers with different release mechanisms
JP4177227B2 (ja) 薬物の経口投与用徐放性組成物
JP3751287B2 (ja) 小型化されたニフェジピン有核錠剤
KR20070069105A (ko) 서방성 제제
KR20100049695A (ko) 방출 조절 제형
TW200520748A (en) Modafinil modified 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KR20050100710A (ko) 경구 제어 방출 제제
KR20140030526A (ko) 유동적 위장관점막 부착성 경구투여용 제형
KR20130121717A (ko) 위체류 약물전달 시스템을 이용한 서방성 제제
TW201717919A (zh) 雷諾多重壓縮錠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