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0470A - 하중계측이 가능한 반목 및 이를 이용한 선박진수용 계측설비 - Google Patents

하중계측이 가능한 반목 및 이를 이용한 선박진수용 계측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470A
KR20140030470A KR1020120095370A KR20120095370A KR20140030470A KR 20140030470 A KR20140030470 A KR 20140030470A KR 1020120095370 A KR1020120095370 A KR 1020120095370A KR 20120095370 A KR20120095370 A KR 20120095370A KR 20140030470 A KR20140030470 A KR 20140030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load
measuring
support
measur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종
김현진
양정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5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0470A/ko
Publication of KR20140030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4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중계측이 가능한 반목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높이를 갖는 몸체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윗면에 구비되어 선박의 저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선박받침대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도크에 해수를 채우는 선박진수작업 시 선박의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계측이 가능한 반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로 진수 작업 시 작업자는 편리하게 선박의 평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작업편의성과 작업성의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박의 진수 시 정확한 선박 저면의 하중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중계측이 가능한 반목 및 이를 이용한 선박진수용 계측설비{A SUPPORT OF SHIP MEASURABLE WEIGHT AND EUIPMENT FOR LAUNCHING A SHIP}
본 발명은 하중계측이 가능한 반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을 지지하는 몸체의 하부에 하중 측정센서가 구비되는 측정수단을 구성하여 선박의 진수 시 선박의 부분별 하중을 측정할 수 있는 하중계측이 가능한 반목 및 이를 이용한 선박진수용 계측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건조는 도크 내에서 건조를 완료시킨 후, 도크 내에 해수를 유입시킨 후, 도크 게이트를 개방함으로써, 도크 내로 해수를 유입하여 건조 완료된 선박을 진수시키게 된다.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크(D) 내에서 건조되는 선박(30)은 도크(D) 바닥면에서부터 일정높이를 갖는 다수개의 몸체(20)에 의해 지지 된다.
도크(D)의 개수와 길이가 제한되는 경우, 도 2에서와 같이 도크의 건조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도크 길이 방향으로 2척 이상의 선박(30a, 30b)을 동시에 건조하는 탠덤(Tandem)건조 공법이 사용된다.
상기한 탠덤 공법은 도크 회전율을 높이기 위해 모든 선각 블록의 조립이 완성된 완전건조(Full ship) 선박과 블록의 일부가 조립되지 않은 부분건조 (Partial ship) 선박을 동시에 진수하고, Full ship은 도크에서 안벽으로 이동시키는 공정을 거친다.
완전건조 선박의 안벽이동을 위해서는 부분건조 선박 역시 동시에 진수하였다가 도크에 다시 가라앉혀야 하며, 진수 선박이 뜨거나 다시 도크에 가라앉을 때 평행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선체의 편심 및 충격으로 인한 선체 하부 파손 또는 내부의 부품파손이 발생한다.
컨테이너선 등 대형선박의 경우, 비교적 무거운 대형엔진과 같은 부품들은 선미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진수 시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선수 부분이 부력에 의해 먼저 뜨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20)의 윗면을 기준으로 상기 선박의 저면은 일정각도(a)를 갖게 되며 선체의 편심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 각도(a)가 클수록 선체의 편심이 크기 때문에 해수유입을 차단 또는 기타 방법을 적용해 선박의 평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후속조치를 취해야 한다.
진수 시 선체의 평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선체의 외부표면에 눈금선을 표기하여 육안으로 평행 여부를 확인하기도 하지만, 상기와 같은 탠덤 공법을 적용하는 경우, 선박과 선박 사이의 좁은 간격으로 인해 작업자가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야간이나 우천시와 같이 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는 작업자의 육안확인의 정확성이 떨어진다.
때문에 선체의 편심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선체 하부의 충격 및 선체표면의 변형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34918 호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표면에 진수 시 선체의 평행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눈금을 표시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선체의 평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중계측이 가능한 반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수 시 정확한 선박의 하중 데이터를 제공하여 신속한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는 선박진수용 계측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선박의 수평을 유지하는 높이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윗면에 구비되어 선박의 저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선박받침대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도크에 해수를 채우는 선박진수작업 시 선박의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수단은, 선박의 하중을 검출하는 측정센서;와 상기 측정센서의 하단부를 고정 및 지지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몸체의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측정센서의 상단부가 고정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측정수단 평면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센터 선상에 일치되게 배치되며, 상기 측정수단의 좌우 양측으로 구비되어 지지선박의 평행변형 발생시 양방향에서 선박의 하중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측정수단의 각 모서리에 구비되어 지지선박의 평행변형 발생시 복수의 지지점에서 각각 선박의 하중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크의 바닥면에서 선박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복수개의 반목과 상기 반목중 선박의 선수측, 선미측, 좌현, 우현 중 적어도 하나의 반목은 선박의 수평을 유지하는 높이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윗면에 구비되어 선박의 저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선박받침대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도크에 해수를 채우는 선박진수작업 시 선박의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포함하는 하중 계측이 가능한 반목이며, 상기 하중 계측이 가능한 반목의 측정값을 비교 연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연산 되는 표시 값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 계측이 가능한 반목은 선박의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발생하는 선박의 평행변형을 측정하는 선박진수용 계측설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 계측이 가능한 반목에서 검출되어 연산 되는 전후 또는 좌우방향의 하중 비교 값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값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중계측이 가능한 반목은 선박을 지지하는 몸체의 하부에 하중 측정센서가 설치된 측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편리하게 작업자가 선체의 평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편의성과 작업성의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박의 진수시 정확한 선박 저면의 하중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의 건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탠덤건조공법에 따른 선박의 건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진수시 선박에 발생하는 선체 편심 현상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의 A-A'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진수용 계측설비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진수용 계측설비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 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도면과 설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구조의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인 하중계측이 가능한 반목(10)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의 구성을 첨부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의 A-A'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일정높이(h)를 갖는 몸체로 이루어진 몸체(100)과 몸체의 윗면에 구비되어 선박의 저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선박받침대(200)와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측정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몸체(100)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육면체로 구성하였다.
상기 몸체(100)의 하부 단면적은 몸체(100)의 윗면보다 넓게 구성함으로써, 선박의 수직하중(F)을 보다 안정적으로 분포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의 재질은 금속재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몸체(100)의 형상은 육면체가 아닌 원기둥형 등 다양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선박받침대(200)는 도면에서와 같이 한 쌍의 하부쐐기(220)와 상부쐐기(240)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하부쐐기(220)와 상부쐐기(240)는 서로 마주보게 겹쳐지며, 서로 겹쳐지는 접촉면은 일정각도를 갖는 경사면으로 구성한다.
즉, 상기 하부쐐기(220)와 상부쐐기(240)가 맞물려 선박받침대(200) 전체의 폭이 좁아질수록 선박받침대(200)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태로 구성한다.
따라서, 선박받침대(200)의 윗면과 선박의 저면이 밀착되지 않고 이격공간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하부쐐기(220)와 상부쐐기(240)를 서로 좌우 양측에서 압입하여 이격공간을 없앨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하부쐐기(220)와 상부쐐기(240)가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돌기부(미도시)를 더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돌기부(미도시)의 형성시 상부쐐기(240)와 하부쐐기(220)의 맞물림 면적의 증대와 마찰력의 향상으로 선박의 하중(F)으로 인한 상부쐐기(240)와 하부쐐기(220)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선박받침대(200)는 가벼우면서도 작업시 선체 표면에 찍힘이나 긁힘을 방지할 수 있는 목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경우에 따라서 상기 선박받침대(200)는 마찰방지용 폴리우레탄 코팅층을 갖는 합금재로 구성하는 등 다양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측정수단(300)은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수직하중(F)을 검출하는 측정센서(320)와 측정센서의 하단부를 고정 및 지지하는 베이스부재(360)와 상기 측정센서(320)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커버부재(340)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상기 측정센서(320)는 미량의 무게에서 수톤에 달하는 중량물의 무게까지 간편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로드셀(load cell)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드 셀은 하중에 따라 응력에 비례한 변형, 예컨대 비틀림이나 휨을 발생시키는 로드 셀 엘리먼트(Load cell element)를 가진다.
상기한 로드 셀 엘리먼트(미도시)는 측정대상물에서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며, 이때 발생하는 변형량을 전기 저항으로 변환시키는 스트레인게이지(Strain gauge)로 측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측정대상물의 하중을 측정한다.
로드 셀은 부과되는 하중의 방향에 따라 인장형, 압축형, 압축,인장형 및 편심형으로 분류되며, 본 발명에서는 압축형 로드 셀을 적용한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로드 셀의 경우, 로드 셀의 표면과 로드 셀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은 선박진수작업시 유입되는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수층(미도시)을 형성하여 실시한다.
상기 베이스부재(360)는 바닥면과 일정한 높이를 갖는 측벽으로 구성되며, 윗면이 개방되는 형태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재(360) 바닥면의 중심에는 상기 측정센서(320)의 하단부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안착홈(365)을 형성한다.
상기 커버부재(340)는 하부가 개방되는 박스모양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커버부재(340) 측면부(345)의 내주면은 상기 베이스부재(360)의 측벽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베이스부재(360) 측벽의 외측 너비보다 상기 커버부재(340)의 측벽의 내측 너비를 더 넓게 구성하여 선박(400)의 수직하중(F)을 마찰간섭 없이 상기 측정센서(320)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340)의 저면 중심부에는 상기 측정센서(320)의 상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부(342)를 형성하여 실시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커버부재(340)의 표면 면적을 상기 몸체(100)의 바닥면과 동일한 크기로 구성한다.
그러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커버부재(340)의 윗면 면적은 상기 몸체(100)의 바닥면보다 더 크거나 작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인 하중계측이 가능한 반목(10)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 6a 와 도 6b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측정수단(300)에 한 쌍의 측정센서(320)를 결합하는 구성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측정센서(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수단(300)의 중심을 지나는 센터 선(C)상에 일치하게 구비되며, 상기 측정수단(300)의 좌우 양측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첨부된 도 6b 와 같이 선박(400)의 진수작업 시 지지선박에 평행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측정수단(300)의 좌 우측 측정센서(320)를 통해 양방향에서 선박(400)의 하중 변화량을 검출할 수 있게 되며, 이때 발생하는 하중 값의 차이를 통해 작업자는 선체의 기울어짐 정도를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측정수단(300)의 각 모서리에 측정센서(320)를 부착하는 구성으로 실시하였다.
도 7에서와 같은 구성의 실시로 선박(400)의 진수작업 시 상기 측정수단(300)은 상기 측정수단(300)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점에서 선박(400)의 기울어짐 즉, 선체의 편심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는 네 모서리에 측정센서(320)를 구비함으로써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기울어짐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상기 측정수단(300)의 각 모서리에 구비되는 측정센서(320)는 각각의 방향에서 개별적으로 선박(400)으로부터 가중되는 부위별 하중(F)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상기 측정수단(300)의 구성은 상기 몸체(100)의 저면 크기에 대응하는 커버부재(340)와 상기 커버부재(340)의 모서리마다 상기 측정센서(320)를 고정하는 복수의 베이스부재(360)를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재(360)가 상기 커버부재(340)의 각 모서리에서 각각 지지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측정수단(300)은 복수의 지지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340)의 모서리에는 상기 각각의 베이스부재(360)의 측벽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측면부(345)를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커버부재(340)와 측면부(345)의 세부 구성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인 선박진수용 계측설비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크(500)의 바닥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선박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반목(20)이 구비된다.
상기 반목 중 선박(300)의 선수측, 선미측, 좌현측, 우현측 중 적어도 하나에는 선박(40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높이(h)를 갖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윗면에서 선박(400)을 지지하는 선박 받침대(200)와 상기 몸체(100)의 저면에 구비되어 선박의 하중(F)을 측정하는 측정수단(300)을 포함하는 하중계측이 가능한 반목(10)을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하중계측이 가능한 반목(10)의 측정값을 비교 연산하는 제어부(600) 및 상기 제어부(600)에서 연산 되는 표시 값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700)를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선박(300)의 선수측, 선미측에 배치되는 하중계측이 가능한 반목(10)에서 검출되는 각각의 하중변화 값을 비교 연산하는 경우, 선박(300)의 전후방향으로 발생하는 평행변형 각도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가 선박(300)의 좌현측, 우현측으로 배치되는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10)에서 검출되는 각각의 하중변화 값을 비교연산하는 경우, 선박(300)의 좌우방향으로 발생하는 평행변형 각도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상기 제어부(600)는 선박(300)의 선수측, 선미측, 좌현측, 우현측에 배치되는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10)에서 검출되는 각각의 하중변화 값을 서로 비교 연산할 수 있어, 다양한 방향으로 발생하는 선체 편심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700)는 상기 제어부(600)에서 비교 연산되는 선박의 각 부위별 하중변화 값과 평행변형 각도 및 기울기 방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인 선박진수용 계측설비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선박의 선수측, 선미측, 좌현측, 우현측에 배치되는 하중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10)과 제어부(600) 및 상기 제어부(600)에서 비교 연산 되는 표시 값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70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에는 경보음 출력부(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하중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10)에서 검출되어 연산 되는 전후 또는 좌우방향의 하중 비교 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경보신호를 상기 경보음 출력부(800)에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600)에서 발생하는 경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경보음 출력부(800)는 작업자에게 진수선박에 평행변형의 발생을 알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지 않고도 선체의 평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편의성과 작업효율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선박의 진수시 정확한 선박 저면의 하중(F)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 등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D; 도크
10; 하중계측이 가능한 반목
20; 반목
30 : 선박
100; 몸체
200; 선박받침대 220; 하부쐐기
240; 상부쐐기
300; 측정수단
320; 측정센서 340; 커버부재
342; 고정부 345; 측면부
360; 베이스부재 365; 안착홈
600; 제어부
700; 표시부 800; 경보음 출력부

Claims (6)

  1. 선박의 수평을 유지하는 높이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윗면에 구비되어 선박의 저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선박받침대;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도크에 해수를 채우는 선박진수작업 시 선박의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계측이 가능한 반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은,
    선박의 하중을 검출하는 측정센서;
    상기 측정센서의 하단부를 고정 및 지지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몸체의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측정센서의 상단부가 고정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계측이 가능한 반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측정수단 평면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센터 선상에 일치되게 배치되며, 상기 측정수단의 좌우 양측으로 구비되어 지지선박의 평행변형 발생시 양방향에서 선박의 하중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계측이 가능한 반목.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측정수단의 각 모서리에 구비되어 지지선박의 평행변형 발생시 복수의 지지점에서 각각 선박의 하중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계측이 가능한 반목.
  5. 도크의 바닥면에서 선박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복수개의 반목;
    상기 반목중 선박의 선수측, 선미측, 좌현측, 우현측 중 적어도 하나의 반목은 선박의 수평을 유지하는 높이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윗면에 구비되어 선박의 저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선박받침대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도크에 해수를 채우는 선박진수작업 시 선박의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포함하는 하중 계측이 가능한 반목이며,
    상기 하중 계측이 가능한 반목의 측정값을 비교 연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연산 되는 표시 값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 계측이 가능한 반목은 선박의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발생하는 선박의 평행변형을 측정하는 선박진수용 계측설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 계측이 가능한 반목에서 검출되어 연산 되는 하중 비교 값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값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진수용 계측설비.
KR1020120095370A 2012-08-30 2012-08-30 하중계측이 가능한 반목 및 이를 이용한 선박진수용 계측설비 KR201400304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370A KR20140030470A (ko) 2012-08-30 2012-08-30 하중계측이 가능한 반목 및 이를 이용한 선박진수용 계측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370A KR20140030470A (ko) 2012-08-30 2012-08-30 하중계측이 가능한 반목 및 이를 이용한 선박진수용 계측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470A true KR20140030470A (ko) 2014-03-12

Family

ID=50642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370A KR20140030470A (ko) 2012-08-30 2012-08-30 하중계측이 가능한 반목 및 이를 이용한 선박진수용 계측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04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195A (ko) * 2014-09-12 2016-03-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체의 정위치 안착을 위한 안내 반목 시스템
CN114414015A (zh) * 2022-01-19 2022-04-29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舶用称重工装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195A (ko) * 2014-09-12 2016-03-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체의 정위치 안착을 위한 안내 반목 시스템
CN114414015A (zh) * 2022-01-19 2022-04-29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舶用称重工装
CN114414015B (zh) * 2022-01-19 2024-05-03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舶用称重工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ou et al. A nonlinear 3-D approach to simulate green water dynamics on deck
Kim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n extreme bow-flare slamming loads of 10,000-TEU containership
KR20140030470A (ko) 하중계측이 가능한 반목 및 이를 이용한 선박진수용 계측설비
Qiu et al. Benchmark data and comprehensive uncertainty analysis of two-body interaction model tests in a towing tank
Bennett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influence of floodwater due to ship grounding on motions and global loads
Vidic-Perunovic et al. Parametric roll due to hull instantaneous volumetric changes and speed variations
KR20140031511A (ko) 선박의 평형감지가 가능한 반목 및 이를 이용한 진수선박 자세 모니터링 장치
JP2009061901A (ja) モニタリング方法、その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271042B1 (ko) 선박의 경하중량 산정을 위한 수정 계수 결정방법
KR20140015992A (ko) 하중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 및 이를 이용한 선박진수용 설비
KR20180127976A (ko) 선박의 해치 커버(hatch cover)의 중량 및 컨테이너와 같은 그 위의 부하의 중량을 결정하기 위한 배열과, 지지 부재(a support member)
Jensen et al. Measurement of global loads on a full-scale SES vessel using networks of fiber optic sensors
Horel et al. Experimental assessment of vertical shear force and bending moment in severe sea conditions
RU2647357C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остойчивости судна в условиях экстремального волнения
KR200449907Y1 (ko) 플로팅 도크에서 선체의 이동 방지를 위한 스토퍼 장치
Ikoma et al. Response reduction of motion and steady wave drifting forces of floating bodies supported by aircushions in regular waves
Neugebauer et al. Sloshing-Induced Impact Loads and Free Surface Elevation in a Pool in Waves
RU277025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определения направления и амплитуды усилия, действующего на движительный отсек судна
Igbadumhe et al. Equivalent linear roll damping of a FPSO coupled with liquid sloshing in a pair of two-row tanks
KR101792704B1 (ko) 모형선박
KR101122056B1 (ko) 부유식 구조물용 기준면 설정 장치
Kannah et al. Effect of turret location on the dynamic behaviour of an internal turret moored FPSO system
KR20160085056A (ko) 선체 기준 해상상태 계측시스템 및 그 방법
Costa et al. Instantaneous center of rotation in pitch response of a FPSO submitted to head waves
KR20140000636U (ko) 선체의 흘수 계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