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5992A - 하중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 및 이를 이용한 선박진수용 설비 - Google Patents

하중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 및 이를 이용한 선박진수용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5992A
KR20140015992A KR1020120082772A KR20120082772A KR20140015992A KR 20140015992 A KR20140015992 A KR 20140015992A KR 1020120082772 A KR1020120082772 A KR 1020120082772A KR 20120082772 A KR20120082772 A KR 20120082772A KR 20140015992 A KR20140015992 A KR 20140015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load
measuring means
vessel
de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진
양정식
이길종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2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5992A/ko
Publication of KR20140015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9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5/04Bilge or keel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4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measuring variations of electrical resistance
    • G01G3/1402Special supports with preselected places to mount the resistance strain gauges; Mounting of suppor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력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선반건조용 반목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의 저면을 지지하는 반목; 및 상기 반목과 상기 선박의 저면 사이에 구비되며, 도크에 해수를 채우는 선박진수작업 시 선박의 반력을 측정하는 측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로 본 발명에 따른 하중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은 선박의 저면과 선박용 반목 사이에 측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편리하게 작업자가 선체의 평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작업편의성과 작업성의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박의 진수시 정확한 선박 저면의 하중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중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 및 이를 이용한 선박진수용 설비{SUPPORT OF SHIP HAVING A MEASUREMENT DEVICE OF WEIGHT AND EQUIPMENT FOR LAUNCHING A SHIP}
본 발명은 하중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형상을 갖는 프레임에 방수 처리되는 측정센서를 부착한 측정수단을 반목에 구비하여 선박진수 시 선박부위별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 및 이를 이용한 선박진수용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건조는 도크 내에서 건조를 완료시킨 후, 도크 내에 해수를 유입시킨 후, 도크 게이트를 개방함으로써, 도크 내로 해수를 유입하여 건조 완료된 선박을 진수시키게 된다.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크(D) 내에서 건조되는 선박(30)은 도크(D) 바닥면에서부터 일정높이를 갖는 다수개의 반목(20)에 의해 지지 된다.
도크(D)의 개수와 길이가 제한되는 경우, 도 2에서와 같이 도크의 건조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도크 길이 방향으로 2척 이상의 선박(30a, 30b)을 동시에 건조하는 탠덤(Tandem)건조 공법이 사용된다.
상기한 탠덤 공법은 도크 회전율을 높이기 위해 모든 선각 블록의 조립이 완성된 완전건조(Full ship) 선박과 블록의 일부가 조립되지 않은 부분건조 (Partial ship) 선박을 동시에 진수하고, Full ship은 도크에서 안벽으로 이동시키는 공정을 거친다.
완전건조 선박의 안벽이동을 위해서는 부분건조 선박 역시 동시에 진수하였다가 도크에 다시 가라앉혀야 하며, 진수 선박이 뜨거나 다시 도크에 가라앉을 때 평행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선체의 편심 및 충격으로 인한 선체 하부 파손 또는 내부의 부품파손이 발생한다.
컨테이너선 등 대형선박의 경우, 비교적 무거운 대형엔진과 같은 부품들은 선미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진수시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선수 부분이 부력에 의해 먼저 뜨게 된다.
이때, 상기 반목(20)의 윗면을 기준으로 상기 선박의 저면은 일정각도(a)를 갖게 되며 선체의 편심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 각도(a)가 클수록 선체의 편심이 크기 때문에 해수유입을 차단 또는 기타 방법을 적용해 선박의 평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후속조치를 취해야 한다.
진수시 선체의 평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선체의 외부표면에 눈금선을 표기하여 육안으로 평행 여부를 확인하기도 하지만, 상기와 같은 탠덤 공법을 적용하는 경우, 선박과 선박 사이의 좁은 간격으로 인해 작업자가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야간이나 우천시와 같이 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는 작업자의 육안확인의 정확성이 떨어진다.
때문에 선체의 편심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선체 하부의 충격 및 선체표면의 변형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36192 호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표면에 진수 시 선체의 평행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눈금을 표시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선체의 평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하중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수 시 정확한 선박의 하중 데이터를 제공하여 신속한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는 선박진수용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선박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높이를 갖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윗면에 구비되어 선박의 저면을 지지하며, 도크에 해수를 채우는 선박진수작업 시 선박의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측정수단은, 선박의 부하 하중에 따라 변형되는 프레임; 과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며, 선박진수시 상기 프레임의 변형량을 감지하여 선박의 위치별 반력을 측정하는 측정센서;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프레임은, 선박의 저면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양끝단에서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측부;와 상기 측부의 끝단에 연결되며, 내측으로 마주하여 돌출되는 변형부와 상기 변형부의 끝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반목의 윗면에 접촉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선박의 하중에 의해 상기 접촉부가 변형되고, 상기 접촉부의 변형량에 따라 상기 변형부에 신축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측정센서는, 측정센서의 표면을 감싸는 방수층을 포함하며, 측정센서 부착면의 길이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 되는 스트레인게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프레임의 변형부에 구비되며, 상기 변형부의 저면과 윗면에 부착되어 상기 변형부의 양면에서 변형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반목은, 반목의 윗면에 형성되며, 상기 측정수단에 구비되는 지지부가 안착되어 상기 측정수단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착홈을 더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크의 바닥면에서 선박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복수개의 반목과 상기 반목중 선박의 선수측, 선미측, 좌현, 우현 중 적어도 하나의 반목은 선박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높이를 갖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윗면에 구비되어 선박의 저면을 지지하며, 도크에 해수를 채우는 선박진수작업 시 선박의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포함하는 하중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이며, 상기 하중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의 측정값을 비교 연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연산 되는 표시 값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 계측이 가능한 반목은 선박의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발생하는 선박의 평행변형을 측정하는 선박진수용 계측설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에서 검출되어 연산 되는 전후 또는 좌우방향의 하중 비교 값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값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중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은 선박의 저면과 선박용 반목 사이에 측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편리하게 작업자가 선체의 평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편의성과 작업효율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박의 진수 시 정확한 선박 저면의 하중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어 신속한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의 건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탠덤건조공법에 따른 선박의 건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진수시 선박에 발생하는 선체 편심 현상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하중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하중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접촉부 전체에 수직하중이 가해질 때 발생하는 하중분포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선박진수용 설비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선박진수용 설비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 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도면과 설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구조의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인 하중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인 하중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10)은 선박(30)의 저면을 지지하는 몸체(100) 및 상기 몸체(100)과 상기 선박(30)의 저면 사이에 구비되며, 도크(D)에 해수를 채워 넣는 선박진수 작업 시 선박(30)의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수단(200)으로 구성하여 실시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몸체(100)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높이(h)를 갖는 육면체모양으로 구성하여 실시한다.
상기 몸체(100)는 지지안정성을 위해 몸체(100)의 바닥면 면적은 몸체(100)의 윗면보다 크게 형성하여 실시한다.
상기 몸체(100)의 재질은 금속재로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경우에 따라서는 H빔, 금속파이프 또는 내부에 보강철근이 삽입되는 콘크리트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등 상기 몸체(100)의 구성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측정수단(200)은, 선박의 부하 하중(F)에 따라 변형되는 프레임(220)과 상기 프레임(220)에 부착되며, 선박진수 시 상기 프레임(220)의 변형량을 감지하여 선박의 각 위치별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센서(24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2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222)와 상기 접촉부(222)의 양끝단에서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측부(224)와 상기 측부(224)의 끝단에 연결되며, 내측으로 마주하여 연장 돌출되는 변형부(226)와 상기 변형부(226)의 끝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부(228)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220)의 지지부(228)의 양끝단은 상기 몸체(100)의 윗면에 걸쳐진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222)의 윗면은 선박(30)의 저면이 직접적으로 걸쳐지게 된다. 그러나, 실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접촉부(222)의 윗면과 선박(30)의 저면 사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수단을 추가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프레임(22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재를 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220)의 접촉부(222)와 측부(224) 및 변형부(226)와 지지부(228)는 모두 신축량이 동일하도록 하나의 금속재질로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몸체(100)에는 몸체(100)의 윗면에 형성되며, 상기 측정수단(200)에 구비되는 상기 지지부(228)가 안착되어 상기 측정수단(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착홈(120)을 더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홈(120)의 폭은 상기 지지부(228)의 두께에 대응하게 형성하며, 안착홈(120)의 깊이는 상기 지지부(228)의 돌출길이보다는 작게 형성하여 실시한다.
즉, 상기 반목의 윗면과 상기 변형부(226) 사이에는 상기 변형부(226) 수축변형 발생시 간섭되지 않도록 일정거리 이상의 이격공간이 마련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몸체(100)와 상기 측정수단(200)의 결합은 상기 안착홈(120)에 상기 지지부(228)를 끼워 맞춤 한 후 용접작업을 통해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몸체(100)의 윗면에 돌출부(미도시)를 형성하여 돌출부에 상기 안착홈(120)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228)의 측면에 관통홀(미도시)을 형성한 후 나사 결합하여 사용하는 등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측정센서(240)는 외부로부터 변형이 가해짐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 되는 스트레인게이지(Strain gauge)로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레인게이지는 일반적으로 금속 스트레인게이지와 반도체 스트레인게이지로 구분된다.
금속 스트레인게이지의 경우, 절연체 기판 위에 저향률이 높은 금속저항선을 접착제로 고정시키고, 단말에 인출선이 연결된다.
상기 금속저항선 대신 같은 종류의 합금으로 저항박(diaphragm)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금속 저항박 스트레인 게이지라고 한다.
반도체 스트레인게이지의 경우, 반도체 재료인 실리콘이 통상적으로 이용되며, 단결정 벌크게이지, 박막 스트레인 게이지, 확산형 게이지, p-n 접합 게이지 등 다양한 종류로 구성된다.
상기한 스트레인게이지는 피측정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피측정물에 발생하는 신축량의 변위값을 검출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프레임(220)의 변형부(226)에 상기한 스트레인게이지를 부착하여 실시한다.
이때,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는 서로 마주보게 돌출되는 상기 변형부(226)의 양측에 모두 구비되며, 상기 변형부(226)의 저면과 윗면에 부착하여 양면에서 수축량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인 하중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윗면에 상기 측정수단(20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수단(200)의 프레임(220)에 형성되는 접촉부(222)는 선박(30)의 저면이 걸쳐진다.
상기 측정수단(200)에 구비되는 측정센서(240)는 사용 중 해수의 침수방지를 위한 방수층(245)이 구비된다. 방수층의 구성은 방수성과 기밀성이 뛰어난 실리콘재를 이용한 코팅 등 실시 경우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선박(30)의 하중(F)은 상기 접촉부(222)에 수직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측정수단(200)의 양측단에는 상기 하중(F)에 비례하는 상향반력(R₁)이 발생한다.
이때, 상기 접촉부(222)의 양쪽 끝단에 형성되는 측부(224)에 의해 상기 상향반력(R₁)은 상기 변형부(226)에서는 프레임(220)의 양측면으로 향하는 측향반력(R₂)으로 전환된다.
상기 지지부(228)는 상기 선박(30)의 하중(F)에 의해 상기 몸체(100)의 윗면에 고정 지지 됨과 동시에 상기 측향반력(R₂)을 지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선박(30)의 저면이 상기 측정수단(200)의 접촉부(222)에 걸쳐지게 되면 상기 측향반력(R₂)에 의해 프레임(220)의 변형부(226)는 인장변형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크(D)의 게이트를 개방하여 해수가 유입되면 선박(30)은 부력에 의해 수면으로 부유하게 되며, 상기 접촉부(222)에 가해지는 하중(F) 값도 서서히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측향반력(R₂)도 따라서 감소하게 되며, 상기 변형부(226)의 인장변형도 서서히 축소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변형부(226)의 이러한 미세 변화량을 상기 측정센서(240)를 통해 원래 길이의 100만 분의 1까지 검출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6은 상기 접촉부(222) 표면 전체에 선박의 수직하중(F)이 가해질 때 발생하는 하중분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접촉부(222)에 부분적인 선박의 하중(F)이 가해질 때에는 상기 프레임(220)의 양측단에 상향반력(R₁)이 발생하지만, 선박의 저면이 넓고 평탄한 경우, 도 6에서와 같이 접촉부(222)표면 전체에 걸쳐지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선박의 하중(F)이 접촉부(222)의 표면 전체에 부과되며, 이때 발생하는 수직하중에 대응하는 상향반력(R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28)에서 상향으로 발생한다.
그러므로, 상기 접촉부(222)에 부가되는 선박의 하중(F)은 상기 측부(224)에 양분되며, 상기 지지부(228)에 발생하는 상향반력(R₁)에 의해 상기 변형부(226)에는 측정수단(200)의 양방향으로 인장되는 측향반력(R₂)이 발생한다.
이때, 발생하는 미세 거리 변화량을 상기 측정센서(240)가 측정함으로써, 선박의 부분별 하중(F)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인 선박진수용 설비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크(D)의 바닥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선박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반목(20)이 구비된다.
상기 반목 중 선박(30)의 선수측, 선미측, 좌현측, 우현측 중 적어도 하나에는 선박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높이를 갖는 몸체(100) 및 상기 몸체(100)의 윗면에 구비되어 선박의 저면을 지지하며, 선박의 하중(F)을 측정하는 측정수단(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중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10)을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하중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10)의 측정값을 비교 연산하는 제어부(500); 및 상기 제어부(500)에서 연산 되는 표시 값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600)를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선박(30)의 선수측, 선미측에 배치되는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10)에서 검출되는 각각의 하중변화 값을 비교연산하는 경우, 선박(30)의 전후방향으로 발생하는 평행변형 각도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가 선박(30)의 좌현측, 우현측으로 배치되는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10)에서 검출되는 각각의 하중변화 값을 비교연산하는 경우, 선박(30)의 좌우방향으로 발생하는 기울기 각도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상기 제어부(500)는 선박(30)의 선수측, 선미측, 좌현측, 우현측에 배치되는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10)에서 검출되는 각각의 하중변화 값을 서로 비교 연산할 수 있어, 다양한 방향으로 발생하는 선체 편심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600)는 상기 제어부(500)에서 비교 연산되는 선박의 각 부위별 하중변화 값과 평행변형 각도 및 기울기 방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인 선박진수용 설비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선박의 선수측, 선미측, 좌현측, 우현측에 배치되며, 하중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10)과 제어부(500) 및 상기 제어부(500)에서 비교 연산 되는 표시 값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60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0)에는 경보음 출력부(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하중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10)에서 검출되어 연산 되는 전후 또는 좌우방향의 하중 비교 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경보울림신호를 상기 경보음 출력부(700)에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500)에서 발생하는 경보울림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경보음 출력부(700)는 작업자에게 진수선박에 평행변형의 발생을 알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지 않고도 선체의 평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작업편의성과 작업성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선박의 진수시 정확한 선박 저면의 하중(F)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 등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D : 도크
10; 하중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
20; 반목
30 : 선박
100; 몸체 120; 안착홈
200; 측정수단
220; 프레임 222; 접촉부
224; 측부 226; 변형부
228; 지지부
240; 측정센서 245; 방수층
500; 제어부
600; 표시부
700; 경보음 출력부

Claims (8)

  1. 선박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높이를 갖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윗면에 구비되어 선박의 저면을 지지하며, 도크에 해수를 채우는 선박진수작업 시 선박의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은,
    선박의 부과 하중에 따라 변형되는 프레임; 과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며, 선박진수시 상기 프레임의 변형량을 감지하여 선박의 위치별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센서;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선박의 저면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양끝단에서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측부;와 상기 측부의 끝단에 연결되며, 내측으로 마주하여 돌출되는 변형부;와 상기 변형부의 끝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반목의 윗면에 접촉되는 지지부; 를 포함하며,
    선박의 하중에 의해 상기 접촉부가 변형되고, 상기 접촉부의 변형량에 따라 상기 변형부에 신축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센서는,
    측정센서의 표면을 감싸는 방수층을 포함하며, 측정센서 부착면의 미세거리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 되는 스트레인게이지(Strain gaug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프레임의 변형부에 구비되며, 상기 변형부의 저면과 윗면에 부착되어 상기 변형부의 양면에서 변형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윗면에 형성되며, 상기 측정수단에 구비되는 지지부가 안착되어 상기 측정수단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착홈; 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
  7. 도크의 바닥면에서 선박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복수개의 반목;
    상기 반목중 선박의 선수측, 선미측, 좌현측, 우현측 중 적어도 하나의 반목은 선박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높이를 갖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윗면에 구비되어 선박의 저면을 지지하며, 도크에 해수를 채우는 선박진수작업 시 선박의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수단; 을 포함하는 하중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이며,
    상기 하중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의 측정값을 비교 연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연산 되는 표시 값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은 선박의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발생하는 선박의 평행변형을 측정하는 선박진수용 계측설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 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에서 검출되어 연산 되는 하중 비교 값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값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진수용 계측설비.
KR1020120082772A 2012-07-27 2012-07-27 하중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 및 이를 이용한 선박진수용 설비 KR201400159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772A KR20140015992A (ko) 2012-07-27 2012-07-27 하중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 및 이를 이용한 선박진수용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772A KR20140015992A (ko) 2012-07-27 2012-07-27 하중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 및 이를 이용한 선박진수용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992A true KR20140015992A (ko) 2014-02-07

Family

ID=50265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772A KR20140015992A (ko) 2012-07-27 2012-07-27 하중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 및 이를 이용한 선박진수용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59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45104A (zh) * 2017-05-17 2017-09-08 中国计量大学 内河船舶载重测量系统及其测量方法
KR102587280B1 (ko) * 2022-10-13 2023-10-12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목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45104A (zh) * 2017-05-17 2017-09-08 中国计量大学 内河船舶载重测量系统及其测量方法
KR102587280B1 (ko) * 2022-10-13 2023-10-12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879B1 (ko) 부유체의 병렬계류 모형시험을 위한 모형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형시험 방법
KR20140015992A (ko) 하중측정수단이 구비되는 반목 및 이를 이용한 선박진수용 설비
KR200481033Y1 (ko) 흘수 측정장치
Rafie Shahraki The influence of hull form on the slamming behaviour of large high-speed catamarans
CN105043704A (zh) 一种横向冲击强化型半潜式浮动冲击平台
KR101378958B1 (ko) 수위 측정 장치
JP2009061901A (ja) モニタリング方法、その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30470A (ko) 하중계측이 가능한 반목 및 이를 이용한 선박진수용 계측설비
KR101271042B1 (ko) 선박의 경하중량 산정을 위한 수정 계수 결정방법
CN109070975A (zh) 用于确定船舶舱盖及其上的诸如货柜之类的负载的重量的装置和支承部件
Dessi et al.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station keeping response of a double-barge float-over system with an elastically scaled physical model
KR20110034918A (ko) 반목장치
JPH08276891A (ja) 緊張係留とバラスト制御を併用した浮体装置
KR101559409B1 (ko) 반잠수식 시추선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과 상기 의장수를 이용하여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
TWI760516B (zh) 水下設置錨之強度測試方法
Ibrahim et al. Development of a Segmented Model for a Medium-Sized Semi-Displacement Vessel
KR101106046B1 (ko) 구조물 중량 측정용 틸트 지그
KR101122056B1 (ko) 부유식 구조물용 기준면 설정 장치
KR20170106011A (ko) 부유체 진수 모니터링 장치
KR101447859B1 (ko) 부유식 도크 상에 탑재된 블록의 위치 계측 시스템 및 그 계측 방법
Heggelund et al. Quasi-static assessment of response to slamming impact on free fall lifeboats
JP7541834B2 (ja) 波浪監視システムおよび波浪監視方法
Murray et al. Model tests on a spar in level ice and ice ridge conditions
KR102455863B1 (ko) 도크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40034404A (ko) 파이프 타워 하중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