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763A - 디스케일러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케일러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763A
KR20140029763A KR1020120095377A KR20120095377A KR20140029763A KR 20140029763 A KR20140029763 A KR 20140029763A KR 1020120095377 A KR1020120095377 A KR 1020120095377A KR 20120095377 A KR20120095377 A KR 20120095377A KR 20140029763 A KR20140029763 A KR 20140029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caler
nozzles
injection
spraying
rolled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4448B1 (ko
Inventor
조승한
박영국
임성혁
임종협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5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448B1/ko
Publication of KR20140029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4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 B21B45/08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hydrau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4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 B21B45/06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of strip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케일러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어부가 복수 열의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디스케일러에 압연소재가 진입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압연소재가 진입되면, 제어부가 압연소재에 대한 디스케일링 정보 및 이전에 수행된 분사 이력에 기초하여 복수 열의 분사노즐 중에서 스케일 제거에 사용될 분사노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선택된 분사노즐을 통해 압연소재에 물을 분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케일러에 복수 열의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경우, 각 열의 분사노즐을 균등하게 사용함으로써 압연 롤의 마모 특성을 개선할 수 있고, 디스케일러의 효과적인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디스케일러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DESCALER}
본 발명은 디스케일러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케일러에 복수 열의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경우, 각 열의 분사노즐을 균등하게 사용하는 디스케일러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연공장에서는 슬라브(Slab) 등의 압연소재를 가열로에서 일정 온도로 가열한 후 폭 압연기 및 조압연기를 통과시켜 폭 압연 및 두께압연을 실시하고, 사상압연기를 통과시켜 얇게 압연한 다음, 코일형태로 권취하여 수요자가 원하는 제품 또는 후공정인 냉연공정의 소재가 되는 열연코일을 생산한다.
이러한 열연공정의 주요설비는 가열로, 폭 압연기, 조압연기, 사상압연기, 권취기 등이 있으며, 특히 사상압연공정은 조압연기에서 압연된 압연소재를 다수 개의 텐덤(Tandem) 사상압연기로 압연하여 수요자가 원하는 두께의 제품을 생산하는 핵심 공정이다.
한편, 고온의 압연소재를 압연하는 과정에서 주변 산소와의 접촉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며, 이로 인해 압연소재의 표면에는 산화반응에 의한 스케일이 생성된다. 이러한 스케일은 열연코일의 상품성을 저해하므로 압연공정의 중간에 압연소재에 고압수를 분사하여 스케일을 제거하는 디스케일러(Descaler)가 위치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8050호(2011.09.01 공개, 발명의 명칭 : 디스케일러 장치)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케일러에 복수 열의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경우, 각 열의 분사노즐을 균등하게 사용함으로써 디스케일러의 효과적인 유지 보수가 가능하도록 하고, 압연 롤의 마모 특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케일러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케일러의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복수 열의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디스케일러에 압연소재가 진입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압연소재가 진입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압연소재에 대한 디스케일링 정보 및 이전에 수행된 분사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열의 분사노즐 중에서 스케일 제거에 사용될 분사노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선택된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압연소재에 물을 분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스케일 제거에 사용될 분사노즐을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열의 분사노즐이 균등하게 사용되도록 상기 스케일 제거에 사용될 분사노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열의 분사노즐 중에서 누적 분사 횟수가 가장 적은 분사노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열의 분사노즐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케일러에 복수 열의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경우, 각 열의 분사노즐을 균등하게 사용하기 때문에 분사노즐의 교체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고, 분사노즐의 막힘 현상을 저감할 수 있어 디스케일러의 효과적인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사노즐을 교차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압연 롤에서 특정 지점의 마모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압연 롤의 마모 특성을 개선할 수 있고 압연 롤의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케일러의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케일러의 제어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케일러의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케일러의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케일러의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장치는 모드설정 입력부(10), 압연소재 감지부(20), 상위제어부(30), 제어부(40), 메모리부(50) 및 분사노즐부(60)를 포함한다.
모드설정 입력부(10)는 조업자로부터 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를 설정받아 제어부(40)에 전달한다.
자동모드는 복수 열의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디스케일러(Descaler, 미도시)에서 분사노즐의 선택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모드를 의미하며, 수동모드는 조업자가 직접 분사노즐을 선택하여 동작시키는 모드를 의미한다.
압연소재 감지부(20)는 디스케일러에 진입하는 압연소재(미도시)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이러한 압연소재 감지부(20)는 카메라(미도시)를 구비하여 압연소재를 감지할 수 있고, 압연소재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센서(미도시)나 적외선 수,발신 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압연소재를 감지할 수도 있다.
상위제어부(30)는 디스케일러에 진입하는 압연소재에 대한 디스케일링 정보를 제어부(40)에 제공한다. 이러한 디스케일링 정보는 디스케일러에 구비된 복수 열의 분사노즐 중에서 스케일 제거에 사용되는 분사노즐의 열 정보를 포함하며, 압연소재의 강종이나 크기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예를 들어, 디스케일러에 두 열의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경우, 연속적으로 진입되는 압연소재에 대한 디스케일링 정보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주어질 수 있다.
압연소재 번호 사용되는 분사노즐의 열 정보
1 두 열 모두 사용
2 하나의 열만 사용
3 하나의 열만 사용
4 두 열 모두 미사용
5 하나의 열만 사용
이때, 1,4번 압연소재의 경우 두 열의 분사노즐을 모두 사용하거나, 두 열의 분사노즐을 모두 사용하지 않는 경우이기 때문에, 각 열의 분사노즐이 균등하게 사용되는 경우에 해당하지만, 2,3,5번 압연소재의 경우 어느 특정 열의 분사노즐이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열의 분사노즐이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자주 사용되는 분사노즐의 교체 주기가 감소하고, 자주 사용되지 않는 분사노즐의 막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현실적으로 각 열에 구비된 각 분사노즐의 오버랩(Overlap) 길이나 분사압력이 완전히 균등할 수 없기 때문에, 폭 방향의 분사패턴이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특정 열의 분사노즐이 반복적으로 사용될 경우, 압연소재의 폭 방향 온도 편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압연소재가 반복적으로 압연 롤을 통과하면 압연 롤의 특정 지점에 대한 마모가 집중되어 압연 롤의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모드설정 입력부(10)로부터 자동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압연소재 감지부(20)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위제어부(30)로부터 제공받은 디스케일링 정보 및 메모리부(50)에 저장된 분사 이력에 기초하여 복수 열의 분사노즐 중에서 스케일 제거에 사용될 분사노즐을 선택한다.
이때, 제어부(40)는 복수 열의 분사노즐이 균등하게 사용되도록 스케일 제거에 사용될 분사노즐을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표 1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2,3,5번 압연소재에 대해서 제어부(40)는 아래의 표 2와 같이 두 열의 분사노즐을 교차하여 선택할 수 있다.
압연 소재 번호 제1열 분사노즐 제2열 분사노즐
1 사용 사용
2 사용 미사용
3 미사용 사용
4 미사용 미사용
5 사용 미사용
또한, 제어부(40)는 각 열의 분사노즐이 사용된 누적 분사 횟수에 기초하여 누적 분사 횟수가 가장 적은 열의 분사노즐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 열의 분사노즐을 균등하게 사용하면, 분사노즐의 교체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고, 분사노즐의 막힘 현상을 저감할 수 있어 디스케일러의 효과적인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
메모리부(50)에는 디스케일러의 분사 이력이 저장된다.
여기서, 분사 이력은 디스케일러에 구비된 복수 열의 분사노즐이 사용된 내역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각 열의 누적 분사 횟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노즐부(60)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압연소재의 상부에 고압수를 분사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열의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케일러의 제어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로, 이를 참조하여 복수 열의 분사노즐이 구비된 디스케일러에 있어서, 스케일 제거에 사용될 분사노즐을 선택하는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어부(40)는 압연소재 감지부(20)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어 압연소재가 디스케일러에 진입하는지 확인한다(S100).
압연소재 감지부(20)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40)는 모드설정 입력부(10)로부터 자동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110).
만약, 자동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어부(40)는 상위제어부(20)로부터 해당 압연소재에 대한 디스케일링 정보를 입력받는다(S120).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케일링 정보는 디스케일러에 구비된 복수 열의 분사노즐 중에서 스케일 제거에 사용될 분사노즐의 열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제어부(40)는 상위제어부(20)로부터 입력된 디스케일링 정보 및 메모리부(50)에 저장된 분사 이력에 기초하여 복수 열의 분사노즐 중에서 스케일 제거에 사용할 분사노즐을 선택한다(S130).
이때, 제어부(40)는 복수 열의 분사노즐이 균등하게 사용되도록 상기 스케일 제거에 사용될 분사노즐을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복수 열의 분사노즐이 균등하게 사용되도록 각 열의 누적 분사 횟수에 기초하여 누적 분사 횟수가 가장 적은 열의 분사노즐을 선택할 수도 있다.
그러고 나서, 제어부(40)는 선택된 분사노즐을 통해 압연소재에 고압수를 분사하고(S140), 분사 이력을 갱신하여 메모리부(50)에 저장한다(S150).
한편, 자동모드의 설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0)에서 자동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수동모드가 설정된 것이므로 조업자에 의한 분사노즐 선택 및 구동이 이루어진다(S16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케일러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디스케일러에 복수 열의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경우, 각 열의 분사노즐을 균등하게 사용하기 때문에 분사노즐의 교체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고, 분사노즐의 막힘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어 디스케일러의 효과적인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
또한, 분사노즐을 교차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압연 롤에서 특정 지점의 마모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압연 롤의 마모 특성을 개선할 수 있고 압연 롤의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열 단위로 선택이 이루어짐에 따라 동일한 열에 구비된 분사노즐이 동시에 선택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아래의 표 3과 같이 열 단위가 아닌 개별 분사노즐 단위로 선택될 수도 있다고 할 것이다.
표 3은 압연소재에 대한 디스케일링 정보가 표 1과 같은 경우에 대한 분사노즐 선택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압연 소재 번호 제1열 분사노즐 제2열 분사노즐
1 사용 사용
2 홀수번 분사노즐 사용 짝수번 분사노즐 사용
3 짝수번 분사노즐 사용 홀수번 분사노즐 사용
4 미사용 미사용
5 홀수번 분사노즐 사용 짝수번 분사노즐 사용
즉, 하나의 열의 분사노즐만 사용하도록 설정된 2,3,5번 압연소재에 대해서 두 열의 분사노즐을 모두 사용하되, 각 열에 구비된 분사노즐을 반반씩 교대하여 사용하여 스케일 제거를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모드설정 입력부
20 : 압연소재 감지부
30 : 상위제어부
40 : 제어부
50 : 분사노즐부

Claims (4)

  1. 제어부가 복수 열의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디스케일러에 압연소재가 진입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압연소재가 진입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압연소재에 대한 디스케일링 정보 및 이전에 수행된 분사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열의 분사노즐 중에서 스케일 제거에 사용될 분사노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선택된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압연소재에 물을 분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케일러의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 제거에 사용될 분사노즐을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열의 분사노즐이 균등하게 사용되도록 상기 스케일 제거에 사용될 분사노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케일러의 제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열의 분사노즐 중에서 누적 분사 횟수가 가장 적은 분사노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케일러의 제어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열의 분사노즐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케일러의 제어방법.
KR1020120095377A 2012-08-30 2012-08-30 디스케일러의 제어방법 KR101424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377A KR101424448B1 (ko) 2012-08-30 2012-08-30 디스케일러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377A KR101424448B1 (ko) 2012-08-30 2012-08-30 디스케일러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763A true KR20140029763A (ko) 2014-03-11
KR101424448B1 KR101424448B1 (ko) 2014-07-31

Family

ID=50642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377A KR101424448B1 (ko) 2012-08-30 2012-08-30 디스케일러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4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4482A (zh) * 2017-03-28 2017-07-14 首钢京唐钢铁联合有限责任公司 一种粗轧除鳞的控制方法
KR20200042743A (ko) * 2018-10-16 2020-04-24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슬라브 이미지 기반의 디스케일링 타입 결정 장치 및 방법
CN113305160A (zh) * 2021-04-29 2021-08-27 首钢京唐钢铁联合有限责任公司 一种除鳞机夹送辊控制方法、装置及带钢除鳞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2509A (ja) * 1994-08-11 1996-02-27 Sumitomo Metal Ind Ltd 高温鋼板の圧延方法
JP3287254B2 (ja) * 1997-01-30 2002-06-04 日本鋼管株式会社 高温鋼板の冷却方法および装置
JP2002102915A (ja) 2000-09-27 2002-04-09 Kawasaki Steel Corp デスケーリング水噴射方法
JP5685799B2 (ja) 2009-03-16 2015-03-1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材のデスケーリング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4482A (zh) * 2017-03-28 2017-07-14 首钢京唐钢铁联合有限责任公司 一种粗轧除鳞的控制方法
KR20200042743A (ko) * 2018-10-16 2020-04-24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슬라브 이미지 기반의 디스케일링 타입 결정 장치 및 방법
CN113305160A (zh) * 2021-04-29 2021-08-27 首钢京唐钢铁联合有限责任公司 一种除鳞机夹送辊控制方法、装置及带钢除鳞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4448B1 (ko)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448B1 (ko) 디스케일러의 제어방법
KR101467724B1 (ko) 열연 강판 냉각 방법
KR20110022322A (ko) 사상 압연기의 온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779683B1 (ko) 헤더 높이 및 수압 조정이 가능한 디스케일링 방법 및 장치
TW201114512A (en) Control setting device and control setting method
KR102207709B1 (ko) 피처리물 처리방법 및 피처리물 처리장치
JP2008264786A (ja) 厚鋼板の製造方法
JP5673370B2 (ja) 熱延鋼板の冷却方法
KR101290366B1 (ko) 열연강판 표면 냉각수 제거 장치
KR20130070712A (ko) 디스케일링 분사 횟수 가감을 이용한 조압연 후면 온도 제어방법
JP2002126814A (ja) 熱間圧延方法
TWI477328B (zh) 熱軋鋼板冷卻裝置
KR101999008B1 (ko) 바히터 보호장치
KR101819288B1 (ko) 처리수 제거장치
KR101776789B1 (ko) 열간압연장치
KR101424474B1 (ko) 사상압연기의 압연 제어 방법
KR20090091980A (ko) 열간압연기의 냉각수 분사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N112739469B (zh) 用于制造金属物品的方法
KR101657826B1 (ko) 조압연기의 역장입 제어 방법
KR101372737B1 (ko) 압연 공정별 압연재의 스케일 저감 장치 및 방법
KR101105062B1 (ko) 압연 소재의 표면 결함 저감 방법
KR101224985B1 (ko) 열간압연의 소재 진입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478562B1 (ko) 열연강판의 스탠드간 냉각 방법
JP2008212956A (ja) 熱間圧延における脱スケール装置の使用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熱間圧延方法
KR20110010457A (ko) 압연기의 디스케일러용 오작동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