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668A -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668A
KR20140029668A KR1020120094860A KR20120094860A KR20140029668A KR 20140029668 A KR20140029668 A KR 20140029668A KR 1020120094860 A KR1020120094860 A KR 1020120094860A KR 20120094860 A KR20120094860 A KR 20120094860A KR 20140029668 A KR20140029668 A KR 20140029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frame
disinfectant
disinf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순기
Original Assignee
서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순기 filed Critical 서순기
Priority to KR1020120094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9668A/ko
Publication of KR20140029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6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6Water distributors either inside a treatment tank or directing the water to several treatment tanks; Water treatment plants incorporating these distributors, with or without chemical or biological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5Tim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4Tim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물탱크 내에 전해전극 유니트를 설치하여 물과 첨가제를 전해 반응시켜 소독수의 직접 생성이 가능하고, 이동이 용이하도록 휠을 구비하며, 펌프와 스프레이 건을 통해 소독수를 가압 분사할 수 있고, 조작 패널을 통해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반응 시간을 조절하여 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축사, 식당, 병원, 가정, 미장원, 식품가공공장, 육가공공장, 공중위생을 위한 공공장소, 화장실의 타일 청소 등의 필요로 하는 장소에서 스프레이하여 살균 소독, 악취 제거, 청소, 세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MOVABLE MULTIPURPOSE DISINFECTANT GENERATION SPRAYER}
본 발명은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물탱크 내에 전해전극 유니트를 설치하여 물과 첨가제를 전해 반응시켜 소독수의 직접 생성이 가능하고, 이동이 용이하도록 휠을 구비하며, 펌프와 스프레이 건을 통해 소독수를 가압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주변에서 발생하는 악취 등은 세균에 의해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악취와, 미장원 등에서 파마 및 염색약을 사용하므로서 발생하는 화학적 냄새가 있다. 이러한 것들의 해결책으로 여러 가지 방법이 구사 되어 왔으나 그 효과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있고 그 효과 또한 미미하다. 특히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부패취는 악취 외에도 많은 세균성 문제 예를 들면 식중독 등과 같은 문제를 야기 시키거나 또는 병원균을 전염 및 오염시키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식품공장 등에서는 식품의 변형을 유발시키거나 변질시켜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상실시키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식품생산 가공시에 반드시 위생적 관리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식품공장에서의 작업후 다음날의 작업을 준비해야 하는데 반드시 세균오염 번식을 방지하는 청소가 필요하다. 지금까지는 주로 화학적 세제의 사용으로 가공기기의 표면에서부터 내부에 이르기까지 세척하거나 청소를 하였으나 이를 위하여 다량의 화학적 세제 사용이 불가피한 것이었다. 특히 이와 같은 화학적 세제는 인체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냄새가 독하거나 역겨워 사용자의 건강은 물론이고 사용시에도 강한 거부감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처럼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지 않음으로서 식중독균을 배양하는 결과를 나타내고 이로 인해 가공식품의 변질과 소비자들에게까지 세균감염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 다른 예로 축사 등에서 그리고 젖을 짜야하는 축산업 분야 에서도 젖소의 젖을 짜기위해 분뇨 등에 오염된 유두의 오염을 씻어 내거나 약품으로 소독을 해야 하는데 지금 까지는 화학 약품에 의한 소독 및 세척을 하여 왔다. 이로 인해 젖소의 심한 유두세척으로 피부의 손상이 일어나 젖을 짤 때 피가 나거나 하는 문제를 해결 할 수 없었다. 이러한 이유는 농민들이 고가의 약품비용을 줄이기 위해 적은 량의 약으로 과도하게 닦아 냄으로서 발생하는 문제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10-0730612호(물청소용 살균소독수 생성 및 분사 장치)가 개발되었다.
상기 물청소용 살균소독수 생성 및 분사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10)와, 전해반응조(30)와, 모터펌프(50)와, 그리고 스프레이건(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물청소용 살균소독수 생성 및 분사 장치는 전해반응조와 물탱크가 분리되어 있고 물탱크에 저장된 물에 첨가제, 즉 소금, 염산 등을 첨가하여 장치를 동작시키면 물탱크의 첨가제가 미량 포함된 물이 전해반응조내로 흘러 들어가서 짧은 시간동안 반응되어 모터펌프에 의해서 스프레이건을 통해서 분사된다.
그러나,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서는 상당히 긴 시간을 전해해야 하는 것도 있고, 또 농도를 높이기 위해서 충분히 전해를 해야만 하는 것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전해전류를 높이거나 첨가제의 양을 늘리거나 혹은 시간을 더 늘려주거나 하는 기계적인 일을 필요로 하는데 상기 물청소용 살균소독수 생성 및 분사 장치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데 어렵거나 불가능한 부분이 있었다.
다시 말하면 필요한 여러 팩터(factor)에 부합하는 기계의 구성에 한계가 있고 설사있다고 해도 장치가 매우 복잡해지는 문제와 그리고 구성 부품의 가지 수 가 매우 많아져 사실상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는 데는 불가능한 부분이 많았다.
그리고 실제로 전해시간을 더 늘리고자 하여도 물이 전해반응조를 거처서 흘러 나가는 수초 동안의 시간으로는 전해에 한계가 있었다.
국내 특허등록공보 10-073061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탱크 내에 전해전극 유니트를 설치하여 소독수의 직접 생성이 가능하고, 이동이 용이하도록 휠을 구비하며, 펌프와 스프레이 건을 통해 소독수를 단독 또는 소독수와 세제를 함께 가압 분사할 수 있고, 조작 패널을 통해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반응 시간을 조절하여 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축사, 식당, 병원, 가정, 미장원, 식품가공공장, 육가공공장, 공중위생을 위한 공공장소, 화장실의 타일 청소 등의 필요로 하는 장소에서 스프레이하여 살균 소독, 악취 제거, 청소, 세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상면에 입수구가 각각 형성되어 뚜껑에 의해 밀폐되고, 저면에 소독수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소독수가 저장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가 안착 고정되고, 하단에 휠이 구비되며, 상단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유니트와; 상기 물탱크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 유니트로부터 전극 스크류 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물탱크 내로 충진된 물과 첨가제를 전해 반응시켜 소독수 또는 청소용 세제를 직접 생성하는 전해전극 유니트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물탱크의 소독수 배출구와 연결되며, 상기 전원공급 유니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물탱크의 소독수를 가압 배출하는 가압 펌프와; 상기 가압 펌프와 일단이 연결되는 고압 호스와; 상기 고압 호스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가압 펌프로부터 배출되는 소독수를 분사하는 스프레이 건; 및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는 상기 물탱크의 입수구 일측에 설치되는 스위치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기울기 센서; 및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물탱크는 상기 프레임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해당 위치에 볼트 또는 너트가 인서트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물탱크는 저면에 상기 전해전극 유니트의 수납홈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의 일측에 상기 전해전극 유니트의 전극 스크류 단자가 배출되어 고정되도록 패킹이 설치된 단자 배출홀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홈의 타측에 상기 소독수 배출구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프레임은 배면에 상기 물탱크와 이격되는 베이스 패널이 고정 설치되고, 후면에 전면 커버가 결합되며, 저면에 상기 물탱크의 수납홈을 보호하고, 상기 가압 펌프가 고정되는 보호 커버가 결합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프레임의 전면 커버에 상기 고압 호스와, 스프레이 건 및 상기 전원공급 유니트의 전원선을 거치할 수 있는 수납용 걸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또, 상기 프레임은 상기 물탱크와 별도로 형성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된다. 즉, 물탱크에 고정너트가 인서트됨으로서 가격이 상승하는 요인을 없애기 위하여 고정너트를 인서트하지 않고 물탱크에 손잡이가 구비된 프레임을 일체로 형성하고, 물탱크 하부에 전원공급 유니트와, 전해전극 유니트와, 제어 유니트가 설치되도록 구성하거나, 밴드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한 방법이나 일실시예로서 프레임을 물탱크에 직접 결합하기 위해서 너트를 인서트하고 프레임을 물탱크와 직접 결합하게 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프레임은 저면 후단부 양측에 한쌍의 상기 휠이 구비되고, 상기 보호 커버의 저면 전단부에 상기 휠과 동일 높이로 스프링 또는 높이 맞춤 지지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제어 유니트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전해전극 유니트의 동작 시간을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 커버 상단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전해전극 유니트의 동작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버튼과, 부저 및 디스플레이창을 구비하고,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상기 부저 또는 디스플레이창을 통해 이를 외부로 알리는 조작 패널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마이컴은 상기 물탱크의 입수구에 뚜껑이 미결합되어 상기 스위치가 온 또는 오프되거나 또는 상기 기울기 센서를 통해 이동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기울기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거나 또는 첨가제의 농도가 기준 농도 범위를 벗어나 상기 전해전극 유니트의 전류량이 기준 전류량 범위를 벗어나거나 또는 상기 수위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물탱크의 내부의 소독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가 일정 레벨 미만이면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정지하고, 해당 메시지를 상기 부저 또는 디스플레이창을 통해 표출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또, 상기 스프레이 건은 권총 타입 또는 장총 타입으로 상기 고압 호스와 원터치 방식으로 탈부착되고, 세척 세재를 소독수와 함께 분사가 가능하도록 세재가 저장되는 세재통이 일측에 결합된다. 이것은 통상의 경우에는 물탱크내의 소독수가 생성된 후에 세제를 적당량 물탱크에 직접 넣어 혼합하여 사용하므로서 별도의 세제통의 결합없이 곧바로 세제가 포함된 소독수를 사용할 수 있으나 특별한 경우, 예를 들면 세제의 종류가 소독수와 결합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그 성질이 변하는 것 등을 사용할 경우에 소독수가 분사될 때 순간적으로 동시에 분사 되게 하기 위하여 세제통을 스프레이 건의 끝단에 결합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만약 세제통의 부착 없이 세제를 바로 물탱크 속에 넣어 소독수와 혼합하여 분사할 경우에는 반드시 전해하여 소독수가 생성된 후에 세제를 물탱크에 넣어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전해 전에 넣고 소독수와 같이 전해하는 경우에는 세제에 따라, 즉 전해되는 물질에 따라서 이상 현상을 나타내거나 또는 살균효과를 떨어트리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에 따르면, 물탱크 내에 전해전극 유니트를 설치하여 소독수의 직접 생성이 가능하고, 이동이 용이하도록 휠을 구비하며, 펌프와 스프레이 건을 통해 소독수를 단독 또는 소독수와 세재를 함께 가압 분사할 수 있고, 조작 패널을 통해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반응 시간을 조절하여 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축사, 식당, 병원, 가정, 미장원, 식품가공공장, 육가공공장, 공중위생을 위한 공공장소, 화장실의 타일 청소 등의 필요로 하는 장소에서 스프레이하여 살균 소독, 악취 제거, 청소, 세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물청소용 살균소독수 생성 및 분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100)는, 물탱크(110)와, 프레임(120)과, 전원공급 유니트(130)와, 전해전극 유니트(140)와, 가압 펌프(150)와, 고압 호스(160)와, 스프레이 건(170)과, 제어 유니트(180)로 구성된다.
먼저, 물탱크(110)는 합성수지 또는 적당한 재료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상면에 입수구(111)가 형성되어 뚜껑(113)에 의해 밀폐되고, 저면에 소독수 배출구(115)가 형성되며, 내부에 소독수가 생성되어 저장된다. 여기에서 물탱크(110)는 하기에서 설명할 프레임(120)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해당 위치에 볼트 또는 너트가 인서트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면에 하기에서 설명할 전해전극 유니트(140)가 수납되는 수납홈(117)이 돌출 형성되고, 수납홈(117)의 일측에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118)이 설치된 단자 배출홀(119)이 구비되고, 수납홈(117)의 타측에 소독수 배출구(115)가 형성된다. 이때, 소독수 배출구(115)에도 패킹(118)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납홈(117)은 일 실시예이며 수납홈이 없이 물탱크(110)의 저면 바닥에 기타의 방법으로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프레임(120)은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물탱크(110)가 안착 고정되도록 한쌍이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되, 물탱크(110)의 볼트 또는 너트가 인서트된 위치와 대응되도록 체결판(121)이 돌출 형성되고, 기울인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저면 선단부 양측에 휠(122)이 구비되며, 상단에 횡방향으로 손잡이(123)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프레임(120)은 배면에 물탱크(110)와 이격되는 베이스 패널(124)이 고정 설치되고, 후면에 전면 커버(125)가 결합되며, 저면에 물탱크(110)의 수납홈(117)을 보호하고, 하기에서 설명할 가압 펌프(150)가 고정되는 보호 커버(126)가 결합된다. 또한, 후면의 전면 커버(125)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고압 호스(160)와, 스프레이 건(170) 및 전원공급 유니트(130)의 전원선(131)을 거치할 수 있는 수납용 걸이(127)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프레임(120)은 수직으로 세울시 지면에 고정되고, 충격을 흡수하도록 저면 후단부에 휠(122)과 동일 높이의 코일 스프링(128)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코일 스프링(128)을 대신하여 높이 맞춤 지지구와 같은 지지 수단이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원공급 유니트(130)는 물탱크(110)의 물에 의해 누전이 발생하여 감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물탱크(110)와 이격되어 설치된 프레임(120)의 전면 커버(125) 내에 고정 설치되고, 전원선(131)을 통해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상, 하부의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 전해전극 유니트(140)는 물탱크(110)의 수납홈(117)에 설치되고, 전원공급 유니트(130)로부터 전극 스크류 단자(141)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물탱크(110) 내로 충진된 물과 첨가제를 전해 반응시켜 소독수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전해전극 유니트(140)의 전극 스크류 단자(141)는 물탱크(110)의 단자 배출홀(11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전해전극 유니트(140)는 음극(142)과 양극(143)이 복수개 교대로 설치되며 양극(143)의 경우에는 전해 중에 산화현상에 의한 여러가지 발생하는 문제 극복을 위해 내산화성을 갖는 원소, 즉 백금족 원소를 코팅하여 보호하고 음극(142)의 경우는 굳이 비싼 백금족 원소를 코팅하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압의 극성을 교대로 바꾸어 가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음극(143)도 백금족 코팅을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첨가제로는 소금, 염산, 구연산, 가성소다, 가성가리, 탄산수소나트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가압 펌프(150)는 프레임(120)의 보호 커버(126) 내에 고정 설치되고, 물탱크(110)의 수납홈(117)에 형성된 소독수 배출구(115)와 연결되며, 전원공급 유니트(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물탱크(110)의 소독수를 가압 배출한다.
그리고, 고압 호스(160)는 가압 펌프(150)와 일단이 연결된다. 여기에서, 고압 호스(160) 양단에는 원터치 타입의 커플러(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프레이 건(170)은 권총 타입 또는 장총 타입으로서, 고압 호스(160)의 타단과 원터치 방식으로 탈부착되고, 가압 펌프(150)로부터 배출되는 소독수를 분사한다. 여기에서, 스프레이 건(170)은 세척 세재를 소독수와 함께 분사가 가능하도록 세재가 저장되는 세재통(171)이 일측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어 유니트(180)는 마이컴(181)과, 조작 패널(182)로 구성된다.
마이컴(181)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전해전극 유니트(140)의 동작 시간을 제어하고, 전해전극 유니트(140)의 전류량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첨가제의 농도가 기준 농도 범위를 벗어나 전해전극 유니트(140)의 전류량이 기준 전류량 범위를 벗어나면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정지하고, 해당 메시지를 조작 패널(182)의 부저(182b) 또는 디스플레이창(182c) 또는 이들을 통해 표출한다. 이때, 마이컴(181)은 별도의 회로기판에 실장되어 프레임(120)의 프레임(120)의 전면 커버(125) 내에 고정 설치되거나 조작 패널(182)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조작 패널(182)은 직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조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후면 커버(125)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사용자가 전해전극 유니트(140)의 동작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버튼(182a)과, 부저(182b) 및 디스플레이창(182c)을 구비하고, 마이컴(181)의 제어에 따라 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부저(182b) 또는 디스플레이창(182c) 또는 이들을 통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때, 복수의 버튼(182a)에는 전원 온/오프 버튼과 전해전극 유니트(140) 및 가압 펌프(150)를 온오프시키는 버튼 등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버튼을 미구비하고, 마이컴(181)에서 자동으로 각 구성부를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100)는 다른 실시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110)의 입수구(111) 일측에 설치되는 스위치(SW1)와, 프레임(120)의 일측에 설치되는 기울기 센서(S1)와, 물탱크(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위 감지 센서(S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위치(SW1)는 푸쉬 버튼 스위치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대신하여 근접 센서나 광 센서 등을 사용할 수도 있고, 기울기 센서(S1)를 대신하여 자이로 센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마이컴(181)은 물탱크(110)의 입수구(111)에 뚜껑(113)이 미결합되어 스위치(SW1)가 온(또는 오프)되거나 또는 기울기 센서(S1)를 통해 이동에 의해 프레임(120)의 기울기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거나 또는 수위 감지 센서(S2)를 통해 물탱크(100)의 내부의 소독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가 일정 레벨 미만이면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정지하고, 해당 메시지를 조작 패널(182)의 부저(182b) 또는 디스플레이창(182c) 또는 이들을 통해 표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100)는 다른 실시예로 생산 단가를 낮추기 위하여 별도의 프레임이 없이 물탱크(110)의 상부에 손잡이(123)가 형성된 프레임(120)을 일체로 동일 재질로 형성하고, 물탱크(110) 내부에 전해전극 유니트(140)를 설치하며, 물탱크(110) 바깥 하부에 전원공급 유니트(130)와, 가압 펌프(150) 및 제어 유니트(180)를 직접 조립하고, 분사할 때에는 들어서 이동하거나 또는 휠(122)을 달아서 이동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축사, 식당, 병원, 가정, 미장원, 식품가공공장, 육가공공장, 공중위생을 위한 공공장소, 화장실의 타일 청소 등의 필요로 하는 장소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100)를 프레임(110)에 설치된 손잡이(123)를 잡고, 후방으로 당겨 기울인 다음 휠(122)을 통해 이동시킨다. 이때, 고압 호스(160)와, 스프레이 건(170) 및 전원공급 유니트(130)의 전원선(131)이 프레임(120)의 수납용 걸이(127)에 거치되어 있어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물탱크(110)의 입수구(111)에 물을 일정량 투입하고, 첨가제를 투입한 후 뚜껑(113)으로 입수구(111)를 밀폐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원공급 유니트(130)의 전원선(131)을 프레임(120)의 수납용 걸이(127)에서 풀어 콘센트(미도시)에 꽂아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이 공급되면, 사용자는 제어 유니트(180)의 조작 패널(182)에 구비된 버튼(182a)을 조작하여 첨가제의 종류와 투입량에 따라 전해전극 유니트(140)의 동작 시간을 설정(예를 들어, 5분/10분/15분 등)한다.
그러면, 제어 유니트(180)의 마이컴(181)은 전원공급 유니트(130)를 제어하여 전해전극 유니트(140)로 전원을 공급하여 물과 첨가제를 전해 반응시켜 소독수를 생성한다. 이때, 마이컴(181)은 전해전극 유니트(140)의 전류량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첨가제의 농도가 기준 농도 범위를 벗어나 전해전극 유니트(140)의 전류량이 기준 전류량 범위를 벗어나면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정지하고, 해당 메시지를 조작 패널(182)의 부저(182b) 또는 디스플레이창(182c) 또는 이들을 통해 표출한다. 또한, 마이컴(181)은 물탱크(110)의 입수구(111)에 뚜껑(113)이 미결합되어 스위치(SW1)가 온(또는 오프)되거나 또는 기울기 센서(S1)를 통해 이동에 의해 프레임(120)의 기울기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거나 또는 수위 감지 센서(S2)를 통해 물탱크(100)의 내부의 소독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가 일정 레벨 미만이면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정지하고, 해당 메시지를 조작 패널(182)의 부저(182b) 또는 디스플레이창(182c) 또는 이들을 통해 표출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 그것은 전해도중에 뚜껑을 열어 손을 넣거나 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필요할 수 있다.
첨가제로 소금을 사용한 경우 소독수의 생성 원리를 설명하면, 물탱크(110)로 물과 첨가제인 소금이 각각 투입되면, 음극(142)과 양극(143)에서 다음과 같은 전해반응이 일어난다.
즉, 양극반응=CL2+2e와, 음극반응=2Na+2H2O+2e 2NaOH+H2로 되고, 전체반응은 Cl2+2NaOH+NaOCl+NaCl+H2O가 되므로 수중의 차아염소산나트륨에 의해 살균소독수가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아염소산나트륨이 포함된 살균소독수는 대단히 높은 살균력과 분해능력 및 안전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이 종료되면, 마이컴(181)은 소독수가 생성 완료되었음을 조작 패널(182)의 부저(182b) 또는 디스플레이창(182c) 또는 이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린다.
즉 소독수의 생성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제어 유니트(180)의 조작 패널(182)에 구비된 버튼(182a)을 조작하여 전원공급 유니트(130)에서 전해전극 유니트(14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가압 펌프(150)를 동작시킨다. 이때, 마이컴(161)은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이 종료되면 자동으로 전원공급 유니트(130)에서 전해전극 유니트(14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가압 펌프(150)를 동작시켜 스프레인 건(170)을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 시킬 수도 있다.
가압 펌프(150)가 동작되는 상태에서 스프레이 건(170)의 방아쇠를 당기면 물탱크(110)의 소독수 배출구(114)를 통해 소독수가 가압 펌프(150)에서 가압되어 고압 호스(160)를 통해 스프레이 건(170)의 노즐을 통해 전방으로 분사되고, 소독수를 이용하여 살균, 악취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프레이 건(170)에 세척 세재가 담긴 세재통(171)을 결합하면, 소독수와 함께 세재가 분사되어 기름기 등을 제거하여 청소를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또, 물탱크(110)에 물만 채워넣고, 스프레이 건(170)을 통해 물청소를 실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이 종료되면, 사용자가 전원공급 유니트(130)의 전원선(131)과, 고압 호스(160) 및 스프레이 건(170)을 수납용 걸이(127)에서 걸어 보관하고, 필요(보관, 청소 등)에 따라 가압 펌프(150)를 동작시켜 물탱크(110) 내부의 소독수를 외부로 완전 배출시킨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 물탱크 120 : 프레임
130 : 전원공급 유니트 140 : 전해전극 유니트
150 : 가압 펌프 160 : 고압 호스
170 : 스프레이 건 180 : 제어 유니트

Claims (6)

  1. 상면에 입수구가 각각 형성되어 뚜껑에 의해 밀폐되고, 저면에 소독수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소독수가 저장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가 안착 고정되고, 하단에 휠이 구비되며, 상단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유니트와;
    상기 물탱크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 유니트로부터 전극 스크류 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물탱크 내로 충진된 물과 첨가제를 전해 반응시켜 소독수 또는 청소용 세제를 직접생성 하는 전해전극 유니트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물탱크의 소독수 배출구와 연결되며, 상기 전원공급 유니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물탱크의 소독수를 가압 배출하는 가압 펌프와;
    상기 가압 펌프와 일단이 연결되는 고압 호스와;
    상기 고압 호스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가압 펌프로부터 배출되는 소독수를 분사하는 스프레이 건; 및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상기 프레임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해당 위치에 볼트 또는 너트가 인서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저면에 상기 전해전극 유니트가 수납되는 수납홈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의 일측에 상기 전해전극 유니트의 전극 스크류 단자가 배출되어 고정되도록 패킹이 설치된 단자 배출홀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홈의 타측에 상기 소독수 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배면에 상기 물탱크와 이격되는 베이스 패널이 고정 설치되고, 후면에 전면 커버가 결합되며, 저면에 상기 물탱크의 수납홈을 보호하고, 상기 가압 펌프가 고정되는 보호 커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물탱크와 별도로 형성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니트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전해전극 유니트의 동작 시간을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 커버 상단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전해전극 유니트의 동작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버튼과, 부저 및 디스플레이창을 구비하고,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상기 부저 또는 디스플레이창을 통해 이를 외부로 알리는 조작 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
KR1020120094860A 2012-08-29 2012-08-29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 KR201400296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860A KR20140029668A (ko) 2012-08-29 2012-08-29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860A KR20140029668A (ko) 2012-08-29 2012-08-29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668A true KR20140029668A (ko) 2014-03-11

Family

ID=50642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860A KR20140029668A (ko) 2012-08-29 2012-08-29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96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4562A1 (ko) * 2015-07-21 2017-01-26 탁승호 수소 발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4562A1 (ko) * 2015-07-21 2017-01-26 탁승호 수소 발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189B1 (ko) 전해세척수 생성장치가 구비된 물걸레 청소기
KR101408831B1 (ko) 기능성 제너레이터를 갖춘 세정 장치, 및 전기 화학적으로 활성화된 세정액의 제조 방법
KR101497905B1 (ko) 전기 화학적으로 활성화된 액체의 생성, 적용 및 중화 방법및 장치
US201001477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electrical charge through a liquid to enhance sanitizing properties
US8303905B2 (en) Germ eliminator system
KR20090112242A (ko) 세척소독용 고압 분사장치
KR101938705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123297A (ko) 손 소독기
JP5108085B2 (ja) 局部洗浄機能付き便座、床洗浄機、クーリングタワー、空気洗浄システム、排水処理システム、コンタクトレンズ洗浄器、シャワー装置、ダイアライザー、医療器具洗浄装置、農業向け潅水及び散水システム、除菌マスク、食器洗浄機、食肉等洗浄除菌装置、洗濯システム、排便機消臭システム、食品徐菌洗浄システムおよび浴場・プール除菌システム
KR101206227B1 (ko) 야채 및 과일 세척소독용 버블발생기
CN111466840A (zh) 一种地面消毒机器人
KR20170075554A (ko) 물걸레 청소기
CN112274083A (zh) 一种洗碗机、洗碗机的控制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201108612Y (zh) 一种二氧化氯消毒液雾化消毒装置
KR20020077993A (ko)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KR20100121592A (ko) 세정장치 및 세정수의 소취방법
KR20090004559U (ko) 전해식 손소독기
WO2017103956A1 (en) Disinfection or sterilization device for the oral hygiene toothbrushes
KR20140029668A (ko) 이동이 용이한 다목적 소독수 생성 및 분사장치
KR101330355B1 (ko) 전해수를 이용한 세척 및 소독장치
KR20120008720U (ko) 휴대용 살균기
CN213287796U (zh) 一种医疗设施清洗消毒设备
JP2000152914A (ja) 内視鏡用洗浄装置
JP2000116261A (ja) 乳頭洗浄用カップ及び乳頭洗浄装置
JP2004097174A (ja) 豚舎と豚体(生体)の洗浄消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