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636A - 선박용 블록의 부재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용 블록의 부재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636A
KR20140029636A KR1020120094721A KR20120094721A KR20140029636A KR 20140029636 A KR20140029636 A KR 20140029636A KR 1020120094721 A KR1020120094721 A KR 1020120094721A KR 20120094721 A KR20120094721 A KR 20120094721A KR 20140029636 A KR20140029636 A KR 20140029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hip
name
pallet number
m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김상수
김인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4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9636A/ko
Publication of KR20140029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6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7/00Marking-out or setting-out work
    • B25H7/04Devices, e.g. scribers, for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05Computer numerical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07Control means comprising cameras, vision or image process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블록의 부재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부재명을 기호화한 소조기호를 포함하는 부재의 형상도면을 준비하여 절단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 소조단위로 배치되는 상기 부재의 작업위치를 기호화한 소조 팰릿 넘버(pallet numer)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소조 팰릿 넘버와 상기 절단데이터를 강판에 마킹하는 단계; 및 상기 마킹을 따라 상기 강판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용 블록의 부재 형성방법{Steel producing method for block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블록의 부재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주문으로 시작하여 설계, 건조, 인도로 이루어지는 조선공업은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영업상의 채산성에 의해 그 산업의 생존 및 성공이 판가름 지어진다.
이와 같은 채산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 한가지는 선박의 건조 방식에서 나타나는 생산성이며, 모든 조선공업은 선박 건조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블록건조법이 등장하게 되었다.
블록건조법은 우선 선체를 수십 개 혹은 수백 개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개개의 블록들을 지상에서 조립하여 제작하고, 그 제작된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선대 위에 탑재하여 하나의 선체로 조립해 내는 방법이다. 이와 같이, 선박은 다수의 부재가 서로 연결된 수십 또는 수백 톤의 무게를 이루는 블록 단위로 만들어져 도크(dock)에서 탑재 및 조립되어 완성된다.
이때, 블록은 가공, 소조립, 대조립의 공정을 거쳐 조립 순서에 맞추어 제작된다. 여기서, 블록을 이루는 부재의 가공단계와 소조립 단계는 제작도(공작도)를 이용하나, 부재에는 부재를 작업하기 위한 작업장 및 호선명, 블록명, 소조명 등에 대한 정보가 형성되지 않아 작업시마다 정보를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계도 등을 별도로 파악할 필요없이 부재를 통해 작업장 및 호선명 등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선박용 블록의 부재 형성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블록의 부재 형성방법은, 부재명을 기호화한 소조기호를 포함하는 부재의 형상도면을 준비하여 절단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 소조단위로 배치되는 상기 부재의 작업위치를 기호화한 소조 팰릿 넘버(pallet numer)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소조 팰릿 넘버와 상기 절단데이터를 강판에 마킹하는 단계; 및 상기 마킹을 따라 상기 강판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절단데이터는 호선명, 블록명, 소조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재에 대한 소조 팰릿 넘버는 상기 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상기 부재의 조립순서 및 용접방법에 대응하는 기호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블록의 부재 형성방법은 설계도 등을 별도로 파악할 필요없이 부재를 통해 작업장 및 호선명 등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어, 작업을 신속하게 하여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블록의 부재 형성방법을 순차적으로 나열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블록의 부재 형성방법을 순차적으로 나열한 순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블록의 부재 형성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부재명을 기호화한 소조기호를 포함하는 부재의 형상도면을 준비하여 절단데이터를 형성한다(S110). 이는 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준비하는 단계로서, 부재의 형상도면은 필요한 부재의 형상이 데이터화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 및 저장될 수 있으며, 부재의 형상도면을 이용할 수 있도록 작업자의 필요에 의해 호출되어 준비된다. 여기서, 형상도면은 블록 제작을 위해 조립순서 및 용접방법을 결정하는 제작도(공작도) 또는 부재의 형상을 모델링하여 나타낸 일품도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도면은 예를 들어 캐드파일에 의해 수치와 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절단데이터는 작업자가 작업물인 부재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호선명, 블록명, 소조명을 기호화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선 및 블록에 따라 부재가 조립되는 작업장이 구별되어, 각각의 부재가 운반될 작업장이 달리 설정됨으로써, 호선명, 블록명 또는 소조기호에 의해 작업장을 구별하여 선별 및 운반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여기서, 호선명은 선박의 명칭을 의미하고, 블록명은 선박의 구성이 되는 각각의 블록에 대한 명칭을 의미하며, 소조명은 복수의 부재가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부재 별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부재에 해당하는 명칭을 의미할 수 있다.
게다가, 소조기호, 호선명, 블록명, 소조명은 작업자와 설계자가 약속(설정)한 숫자와 알파벳과 같은 기호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소조단위로 배치되는 부재의 작업위치를 기호화한 소조 팰릿 넘버(pallet numer)를 설정한다(S120). 여기서, 소조 팰릿 넘버는 부재의 작업범위정보와 부재선별정보 및 배제(자재를 분배하는 것을 의미)를 인식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개별 작업장으로 운반된 복수의 부재 중, 동일한 작업장으로 운반된 부재는 작업 분업화를 위해 다시 세분화되어 배치구역 별로 적재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장은 배치구역을 구분하기 위해 구획되며, 소조 팰릿 넘버에 의해 각 부재별로 배치구역을 식별하여 배치작업을 함으로써, 조립작업을 분업화하여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부재에 대한 소조 팰릿 넘버는 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부재의 조립순서 및 용접방법에 대응하는 기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설정된 조립순서 및 용접 방법에 의해 설계도를 별도로 파악할 필요없이 부재를 통해 인식하여 용접 및 조립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소조 팰릿 넘버와 절단데이터를 강판에 마킹한다(S130). 이때, 소조 팰릿 넘버와 절단데이터는 부재가 형성될 형상의 내측에 표시되도록 하여, 강판이 절단된 후에도 부재 상에 소조 팰릿 넘버와 절단데이터가 표시되어 작업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마킹은 강재가 절단될 형상에 대응하는 선을 포함하여 절단작업에 이용된다.
다음으로, 마킹을 따라 강판을 절단한다(S140). 절단작업은 절단장치에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마킹을 따라 절단장치의 토치가 이동하여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3)

  1. 부재명을 기호화한 소조기호를 포함하는 부재의 형상도면을 준비하여 절단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
    소조단위로 배치되는 상기 부재의 작업위치를 기호화한 소조 팰릿 넘버(pallet numer)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소조 팰릿 넘버와 상기 절단데이터를 강판에 마킹하는 단계; 및
    상기 마킹을 따라 상기 강판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용 블록의 부재 형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데이터는 호선명, 블록명, 소조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블록의 부재 형성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에 대한 소조 팰릿 넘버는
    상기 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상기 부재의 조립순서 및 용접방법에 대응하는 기호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블록의 부재 형성방법.
KR1020120094721A 2012-08-29 2012-08-29 선박용 블록의 부재 형성방법 KR201400296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721A KR20140029636A (ko) 2012-08-29 2012-08-29 선박용 블록의 부재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721A KR20140029636A (ko) 2012-08-29 2012-08-29 선박용 블록의 부재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636A true KR20140029636A (ko) 2014-03-11

Family

ID=50642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721A KR20140029636A (ko) 2012-08-29 2012-08-29 선박용 블록의 부재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96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5847A (ko) 2022-09-30 2024-04-08 한화오션 주식회사 지오미트리기반 조선 선체부재 네스팅 알고리즘 및 동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5847A (ko) 2022-09-30 2024-04-08 한화오션 주식회사 지오미트리기반 조선 선체부재 네스팅 알고리즘 및 동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6461B2 (en) Method and means for facilitating material handling
CN205029958U (zh) V-cut防呆图形结构
JP2022505352A (ja) 板金加工片の製造中に工程情報を視覚化するための方法
JP2013202667A (ja) 棚装置及び棚装置に使用する投影装置
CN106707966B (zh) 与工具目录数据库协作的数值控制系统
CN113910612A (zh) 后处理3d打印部件
WO2015080179A1 (ja) レーザ切断加工方法及び装置並びに自動プログラミング装置
KR20140029636A (ko) 선박용 블록의 부재 형성방법
CN205540823U (zh) 一种基于rfid的电极坯料重复利用系统
KR20140029637A (ko) 선박용 블록의 부재 형성방법
JP2012243045A (ja) 板金工程作業支援システム
KR102552438B1 (ko) 트러스 구조물의 조립을 위한 공정처리 방법
EP3264336A1 (en) Identification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5404240B (zh) 一种AutoCAD图档自动生成并快速排序点位坐标的方法
CN114066103A (zh) 一种对二维不规则零件排样图的切割路径规划方法及系统
Permana et al.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Six Sigma Implementation’s Benefit to the Organization
US20130145910A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machining a hole in metallic member
US20220004952A1 (en) Method for supporting the configuration changeover of an operating area of a machine for packaging products in general
KR20140093343A (ko) 부재 네스팅 방법
CN202846625U (zh) 一种使pcba板迅速定位的分板模结构
Debnárová et al. Group technology in context of the product classification
JP5467988B2 (ja) 部品配膳・組み立てシステム
KR101548662B1 (ko)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22502A (ko)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
US20150328794A1 (en) Method of automatic tool identification and tool identifi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