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662B1 -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662B1
KR101548662B1 KR1020130154464A KR20130154464A KR101548662B1 KR 101548662 B1 KR101548662 B1 KR 101548662B1 KR 1020130154464 A KR1020130154464 A KR 1020130154464A KR 20130154464 A KR20130154464 A KR 20130154464A KR 101548662 B1 KR101548662 B1 KR 101548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nformation
rectangular area
vertex
arran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8615A (ko
Inventor
장석민
강태선
임병석
유지헌
임래수
김호경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4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662B1/ko
Publication of KR20150068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재에 마킹될 외곽 절단선의 배치정보인 외곽 절단선 정보와, 상기 외곽 절단선 내 홀 절단선들의 배치정보인 홀 절단선 정보와, 상기 외곽 절단선 및 홀 절단선의 절단으로 형성될 부재들의 부재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부재정보가 배치될 부재정보 배치영역을 상기 외곽 절단선 정보 및 상기 홀 절단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부재들 각각에 대하여 선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홀 절단선들에 외접하는 외접 사각형들의 변들과 동일 선상에 놓인 가로 수선들 및 세로 수선들이 만나는 교점들 중 상기 외곽 절단선 내 어느 한 교점을 기준 꼭지점으로 하면서 상기 기준 꼭지점과 대각하는 한 교점을 대각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 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사각형 영역이 상기 부재정보를 내포할 수 있는 크기의 내포 가능 영역이자 상기 외접 사각형들 및 상기 외곽 절단선과 겹치지 않는 비겹침 영역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사각형 영역을 상기 부재정보 배치영역으로 설정한다.

Description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ART DATA ARRANGEMENT}
본 발명은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재(steel material)가 여러 부재들로 절단되기 이전에 상기 강재에 마킹될 부재정보가 상기 강재의 어느 영역에 배치되어야 하는지를 선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제조 공정은 강재(steel material)가 입고되는 입고 과정, 입고된 강재가 전처리되는 전처리 과정, 전처리된 강재에 마킹 정보(각종 절단선, 작업기호, 부재정보들)가 마킹되는 마킹 과정, 마킹된 강재가 부재들로 절단되는 절단 과정, 절단된 부재들의 조립을 통해 블록이 제조되는 블록 제조 과정, 제조된 블록들이 서로 조립되는 블록 조립 과정 등을 포함한다.
과거에는, 선박의 제조 공정에서 이루어지는 이러한 과정들 중 마킹 과정이 수작업으로 진행되었다. 즉, 작업자가 도면을 확인한 후 도면에 기록된 마킹 정보를 직접 강재에 마킹하였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마킹 과정이 자동화되어 있다.
자동화된 마킹 과정은 상기 마킹 정보(각종 절단선, 작업기호, 부재정보들)를 담은 도면을 작성하는 설계 과정 및 작성된 도면에 담긴 마킹 정보대로 강재에 마킹을 수행하는 마킹 수행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두 과정들 중 설계 과정은 다시 아래와 같은 세 단계를 포함한다.
설계 과정의 첫 번째 단계에서는 마킹 정보의 일부인 절단선 및 작업기호가 CAD와 같은 설계 프로그램에 의해 도면으로 작성된다. 상기 절단선은 강재가 절단될 부위를 표시하는 직선 및/또는 곡선으로서, 강재가 이 절단선 대로 절단되면 여러 부재들로 된다. 상기 절단선은 부재들의 외곽을 표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부재들의 내부에 형성될 홀들의 외곽을 표시하는 것들도 포함한다. 상기 작업기호는 후행 공정의 작업자가 참고하거나 유의해야할 사항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설계 과정의 두 번째 단계에서는 강재가 상기 절단선에 따라 절단되었을 때 만들어지는 부재들 각각과 1:1로 매칭하는 부재정보들이 생성된다. 이러한 부재정보들은 부재가 어떠한 선박의 어느 블록에서 어떠한 용도로 사용될지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한다. 상기 부재정보들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식별인자들이 조합되어 자동으로 생성된다.
설계 과정의 세 번째 단계에서는 첫 번째 단계에서 작성된 도면에 두 번째 단계에서 생성된 부재정보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부재정보는 첫 번째 단계에서 작성된 도면의 미리 정해진 영역(예컨대, 부재의 중앙 영역)에 수작업이나 자동화프로그램을 통해 배치된다. 한편, 부재정보가 배치된 도면은 상기 마킹 수행 과정의 진행에 사용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38923호(강재 상면 자동 마킹 시스템)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62481호(자동마킹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선용 부재 관리 시스템)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43254호(강재에 대한 고속 마킹 장치 및 방법)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설계 과정의 두 번째 단계에서 생성된 부재정보가 설계 과정의 첫 번째 과정에서 작성된 도면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수작업이나 자동화프로그램을 통해 배치된다.
그런데 설계 과정의 첫 번째 과정에서 작성된 도면에는 부재들의 외곽을 표시하는 절단선, 부재들의 내부에 형성될 홀들의 외곽을 표시하는 절단선, 그리고 작업기호가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부재정보가 미리 정해진 영역에 자동화프로그램을 통해 배치되면, 첫째, 강재가 절단되는 과정에서 상기 부재정보의 일부가 소실될 수 있고, 둘째, 상기 부재정보가 상기 작업기호와 겹쳐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부재정보가 매번 수작업으로 배치되면, 부재정보의 소실 내지 겹침과 같은 문제는 없으나 부재정보 배치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강재에 마킹될 외곽 절단선의 배치정보인 외곽 절단선 정보와, 상기 외곽 절단선 내 홀 절단선들의 배치정보인 홀 절단선 정보와, 상기 외곽 절단선 및 홀 절단선의 절단으로 형성될 부재들의 부재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부재정보가 배치될 부재정보 배치영역을 상기 외곽 절단선 정보 및 상기 홀 절단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부재들 각각에 대하여 선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홀 절단선들에 외접하는 외접 사각형들의 변들과 동일 선상에 놓인 가로 수선들 및 세로 수선들이 만나는 교점들 중 상기 외곽 절단선 내 어느 한 교점을 기준 꼭지점으로 하면서 상기 기준 꼭지점과 대각하는 한 교점을 대각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 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사각형 영역이 상기 부재정보를 내포할 수 있는 크기의 내포 가능 영역이자 상기 외접 사각형들 및 상기 외곽 절단선과 겹치지 않는 비겹침 영역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사각형 영역을 상기 부재정보 배치영역으로 설정한다.
본 발명은, 강재에 마킹될 외곽 절단선의 배치정보인 외곽 절단선 정보와, 상기 외곽 절단선 내 홀 절단선들의 배치정보인 홀 절단선 정보와, 상기 외곽 절단선 및 홀 절단선의 절단으로 형성될 부재들의 부재정보를 이용하여 제어기가 수행하는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방법은, (A) 상기 홀 절단선들에 외접하는 외접 사각형들의 변들과 동일선상에 놓인 가로 수선들 및 세로 수선들이 만나는 교점들을 찾는 단계; (B) 상기 교점들 중 상기 외곽 절단선 내의 어느 한 교점을 기준 꼭지점으로 하면서 상기 기준 꼭지점과 대각하는 한 교점을 대각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 영역을 선정하는 단계; (C) 상기 사각형 영역이 상기 부재정보를 내포할 수 있는 크기의 내포 가능 영역인지를, 그리고 상기 외접 사각형들 및 상기 외곽 절단선과 겹치지 않는 비겹침 영역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각형 영역이 상기 내포 가능 영역이자 상기 비겹침 영역이면, 상기 사각형 영역을 부재정보 배치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재정보를 내포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면서 부재의 절단선들 및 작업기호과 겹치지 않는 부재정보 배치영역이 자동으로 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부재의 외곽 절단선과, 홀 절단선과, 부재 내부의 부위가 비교적 적은 수의 점 좌표들로 단순화되기 때문에 부재정보 배치영역의 선정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가지 형태의 부재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정보만을 내포할 수 있으면 부재정보 배치영역으로 될 수 있기 때문에 부재정보 배치영역을 부재 내에서 찾을 확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부재정보 배치영역의 선정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부재정보가 부재의 절단선들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으로 떨어져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절단선들 대로 부재가 절단될 때 부재정보가 소실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이 사용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방법의 제1단계 및 제2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재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방법에 의해 부재에 배치될 부재정보를 예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방법의 제5단계 제1과정 및 제2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재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방법의 제5단계 제3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재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발명에 다른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내 통신망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된 제어부(110)와, 데이터 베이스(120)와, 작업자 단말기(13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120)는 부재정보 DB(122)와, 도면 DB(124)와, 마킹정보 DB(126)를 포함한다.
도면 DB(124)에는 도면정보가 강재별로 저장되어 있다. 상기 도면정보는 강재(steel material)에 마킹될 외곽 절단선들의 배치정보(외곽 절단선들의 형태, 외곽 절단선들의 배치영역 등)인 외곽 절단선 정보를 포함한다. 강재가 상기 외곽 절단선들 대로 절단되면 여러 부재들로 된다. 또한, 도면정보는 강재에 마킹될 홀 절단선들의 배치정보(홀 절단선들의 형태, 홀 절단선들의 배치영역 등)인 홀 절단선 정보도 포함한다. 강재가 상기 홀 절단선들 대로 절단되면 상기 부재들에 홀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도면정보는 강재에 마킹될 작업기호 배치정보(작업기호의 내용, 배치영역 등)도 포함한다. 상기 작업기호는 후행 공정 작업자가 유의해야 할 사항을 기호나 문자로 표현해 놓은 것이다.
이와 같은 도면정보는 상기 통신망에 연결된 CAD 시스템(20)에서 강재별로 작성되어 상기 도면 DB(124)에 저장된다.
부재정보 DB(122)에는 부재들의 부재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 부재정보는 문자 및/또는 숫자의 조합으로서, 부재들을 관리함에 있어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각 조선소는 자사 고유의 규칙에 따라 생성된 부재정보들을 부재정보 DB(122)에 저장하고 있다.
상기 마킹정보 DB(126)는 마킹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마킹정보는 도면정보에다가 상기 부재정보 및 이 부재정보 배치영역 정보까지 결합되어 생성된 정보로서, 상기 제어기(110)에 의해 생성된 후 마킹정보 DB(126)에 저장된다. 마킹정보 DB(126)에 저장된 마킹정보는 마킹 장치(미도시)가 외곽 절단선들, 홀 절단선들, 작업기호 및 부재정보를 강재에 마킹할 때 사용된다.
상기 제어기(110)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탑재한 컴퓨터로서, 마킹정보 생성/저장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제어기(110)가 마킹정보 생성/저장 기능을 수행하는과정을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기(110)로 하여금 마킹정보 생성/저장 기능을 수행케 하려는 작업자는 우선 작업자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망에 연결된 일정 시스템(10)에 접속한 후 작업 일정을 확인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현재의 일정에 맞는 강재를 선택한다. 그러면 작업자 단말기(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강재의 고유정보를 제어기(110)로 송신하면서 마킹정보의 생성을 요청한다(S10). 상기 고유정보는 강재가 사용될 호선 및 블록에 대한 정보와, 도면번호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일정 시스템(10)에서 강재별로 부여된 것이다.
마킹정보 생성 요청을 받은 제어기(110)는 상기 고유정보의 도면번호에 해당하는 도면정보를 호출한 후, 이 도면정보를 이용하여 선택 강재의 2D 도면을 생성한다(S20). 이렇게 생성된 2D 도면에는 외곽 절단선들과, 홀 절단선들과, 작업기호들이 표현되게 된다. 또한, 마킹정보 생성 요청을 받은 제어기(110)는 상기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2D 도면상 부재들 각각의 부재정보를 호출한다(S20).
선택된 강재의 2D 도면 생성 및 이 2D 도면상 부재들의 부재정보를 호출한 제어기(110)는 상기 부재정보가 배치될 부재정보 배치영역을 선정한다(S100). 그리고 부재정보 배치영역의 선정이 완료되면 제어기(110)는 부재정보 배치영역에 대한 정보와, 이 부재정보 배치영역에 배치될 부재정보와, 상기 도면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마킹정보를 마킹정보 DB(126)에 저장한다(S30). 마킹정보 DB(126)에 저장된 마킹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마킹 장치(미도시)가 외곽 절단선들, 홀 절단선들, 작업기호 및 부재정보를 강재에 마킹할 때 사용된다.
상기 부재정보 배치영역을 선정하는 단계(S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계(110), 제2단계(S120), 제3단계(S130-1, S130-2), 제4단계(S140) 및 제5단계(S150-1, S150-2, S150-3)를 포함한다. 이하, 반원 형태의 외곽 절단선(212) 및 6개의 홀 절단선들(214)을 갖는 도 4의 부재를 예로 들어 부재정보 배치영역을 선정하는 단계(S1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단계(S110)에서 제어기(110)는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절단선들(214) 각각에 외접하는 외접 사각형의 네 꼭지점들 중 대각하는 두 꼭지점(220)의 좌표를 홀 절단선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기(110)는 상기 두 꼭지점(220)을 통과하면서 가로로 연장하는 가로 수선들(232) 및 세로로 연장하는 세로 수선들(234)이 서로 만나는 교점들(222)의 좌표를 산출한다. 이때, 제어기(110)는 외곽 절단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선들(232, 234)이 외곽 절단선(212)과 만나는 교점들(224)의 좌표도 함께 산출한다.
위와 같은 제1단계(S110)가 수행되면, 외곽 절단선 정보가 상기 교점들(224)의 좌표로 단순화되고, 홀 절단선 정보도 상기 꼭지점(220)의 좌표로 단순화되며, 부재 내부의 부위 중 홀들이 위치하지 않는 부위도 상기 교점들(222)의 좌표로 단순화된다. 따라서 부재정보 배치영역의 선정 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단계(S120)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110)가 임의의 사각형 영역(240)을 선정한다. 이를 위해 제어기(110)는 외곽 절단선(212) 내 임의의 한 교점을 선정하여 사각형 영역(240)의 좌상단 꼭지점(242)으로 하고, 상기 좌상단 꼭지점(242)과 가장 가깝게 대각하는 한 교점을 선정하여 사각형 영역(240)의 우하단 꼭지점(244)으로 한다. 물론, 우하단 꼭지점(244)의 선정은 좌상단 꼭지점(242)과 가장 가깝지 않게 선정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3단계(S130-1, S130-2)는 제1과정(S130-1) 및 제2과정(S130-2)으로 나뉘어 수행되는데, 제1과정(S130-1)에서는 상기 사각형 영역(240)이 상기 외접 사각형들 및 외곽 절단선과 겹치지 않는 비겹침 영역인지를 제어기(110)가 판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접 사각형들은 대각하는 두 꼭지점(220)으로 단순화되어 있고 외곽 절단선은 수선들(232, 234)과 외곽 절단선 간 교점(224)으로 단순화되어 있으므로, 제어기(110)는 이 점들(220, 224)의 좌표와 상기 사각형 영역(240)의 좌상단 꼭지점(242) 및 우하단 꼭지점(244)의 좌표를 서로 비교하여 제3단계의 제1과정(S130-1)을 수행하게 된다.
제3단계의 제1과정(S130-1)을 수행할 때, 제어기(110)는 사각형 영역(240)이 작업기호 배치영역(미도시)과도 겹치는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작업기호 배치영역의 꼭지점들의 좌표와 사각형 영역(240)의 좌상단 꼭지점(242) 및 우하단 꼭지점(244)의 좌표를 서로 비교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어기(110)는 사각형 영역(240)이 작업기호 배치영역과도 겹치지 않아야 제3단계의 제1과정(S130-1)에서 사각형 영역(240)을 비겹침 영역으로 판단한다.
사각형 영역(240)이 비겹침 영역이라고 판단하면, 제어기(110)는 제3단계의 제2과정(S130-2)을 수행한다. 제3단계의 제2과정(S130-2)에서는 제어기(110)가 상기 사각형 영역(240)이 내포 가능 영역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내포 가능 영역은 부재정보(250)를 내포할 수 있는 크기의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부재정보(250)는 정보의 내용 및 정보가 차지하는 영역의 가로/세로 길이를 포함하고 있는데, 제어기(110)는 이 가로/세로 길이 및 사각형 영역(240)의 가로/세로 길이를 비교함으로써 제3단계의 제2과정(S130-2)을 수행하게 된다.
제3단계의 제2과정(S130-2)은 사각형 영역(240)의 가로가 세로보다 긴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수행된다. 사각형 영역(240)의 가로가 세로보다 길 경우, 제어기(110)는 한 줄 형태 부재정보(도 5의 (a)) 및 여러 줄 형태 부재정보(도 5의 (c)) 중 적어도 하나가 사각형 영역(240)에 내포될 수 있으면 상기 사각형 영역(240)을 내포 가능 영역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사격형 영역(240)의 가로보다 세로가 길 경우, 제어기(110)는 한 줄 형태 부재정보를 90도 회전한 것(도 5의 (b)) 및 여러 줄 형태 부재정보를 90도 회전한 것(도 5의 (d)) 중 적어도 하나가 사각형 영역(240)에 내포될 수 있으면 상기 사각형 영역(240)을 내포 가능 영역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경우, 첫째, 한 줄 형태 부재정보가 내포될 수 있는 공간이 없는 부재에서도 내포 가능 영역이 찾아질 수 있고, 둘째, 내포 가능 영역의 발견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재정보의 여러 형태들은 제3단계의 제2과정(S130-2) 수행 시 제어기(110)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어 활용되거나, 미리 생성되어 부재정보 DB(126)에 저장된 후 제3단계의 제2과정(S130-2) 수행 시 활용된다.
제3단계의 제2과정(S130-2)에서 상기 사각형 영역(240)이 내포 가능 영역이라고 판단하면, 제어기(110)는 제4단계(S140)를 수행한다. 제4단계(S140)에서는 제어기(110)가 상기 사각형 영역(240)을 부재정보 배치영역으로 선정한다. 이때, 상기 사각형 영역(240)은 좌상단 꼭지점(242) 및 우하단 꼭지점(244)으로 단순화되어 있는바, 선정된 부재정보 배치영역은 이 두 꼭지점(242, 244)의 좌표로 표현된다.
한편, 제3단계의 제2과정(S130-1)에서 사각형 영역(240)이 내포 가능 영역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제어기(110)는 제5단계의 제1과정(S150-1)을 수행한다. 제5단계의 제1과정(S150-1)에서 제어기(110)는 사각형 영역(240)의 기준 꼭지점은 그대로 둔 채 상기 기준 꼭지점에 대각하는 대각 꼭지점을 다른 교점으로 교체하여 사각형 영역(240)을 확장한다. 이러한 대각 꼭지점 교체 작업에서 기준 꼭지점은 사각형 영역(240)의 좌상단 꼭지점(242) 및 우하단 꼭지점(244) 중 어느 하나이고, 대각 꼭지점은 나머지 하나이다. 상기 제어기(110)는 제5단계의 제1과정(S150-1)을 수행한 후 다시 제3단계의 제1과정(S130-1)을 수행하여, 확장된 사각형 영역이 비겸침 영역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대각 꼭지점 교체 작업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사각형 영역(240)의 우하단 꼭지점(244)이 대각 꼭지점인 경우, 대각 꼭지점 교체 작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하단 꼭지점(244)을 우측 이웃 교점으로, 그 다음엔 상기 우측 이웃 교점의 아래 이웃 교점으로 이동하여 가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대각 꼭지점 교체 작업은 우하단 꼭지점(244)을 아래 이웃 교점으로, 그 다음엔 상기 아래 이웃 교점의 우측 이웃 교점으로 이동하여 가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3단계의 제1과정(S130-1)에서 사각형 영역(240)이 비겹침 영역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제어기(110)는 제5단계의 제2과정(S150-2)을 수행한다. 제5단계의 제2과정(S150-2)에서 제어기(110)는 사각형 영역(240)의 기준 꼭지점을 다른 교점으로 교체하는 기준 꼭지점 교체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대각 꼭지점은 비겹침 영역이 아니라고 판단되기 직전의 교점으로 유지된다. 예컨대, 도 6에서 사각형 영역(242)의 우하단 꼭지점(244)이 우측 이웃 교점으로 이동하였을 때는 확장된 사각형 영역이 비겹침 영역이었으나 이를 다시 우측 이웃 교점의 아래 이웃 교점으로 이동하였을 때는 확장된 사각형 영역이 비겹침 영역이 아니라면, 제어기(110)는 기준 꼭지점 교체 작업 시 우하단 꼭지점(244)을 상기 우측 이웃 교점으로 유지시킨다.
상기 제어기(110)는 이러한 제5단계의 제2과정(S150-2)을 수행한 후 다시 제3단계의 제1과정(S130-1)을 수행하여, 새로 선정된 사각형 영역이 비겹침 영역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기준 꼭지점 교체 작업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선 예에서와 같이 사각형 영역(240)의 좌상단 꼭지점(242)이 기준 꼭지점인 경우, 기준 꼭지점 교체 작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상단 꼭지점(242)을 상측 이웃 교점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기준 꼭지점 교체 작업은 좌상단 꼭지점(242)을 좌측 이웃 교점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대각 꼭지점 교체 작업 및 기준 꼭지점 교체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가다 보면, 제어기(110)는 비겹침 영역이자 내포 가능 영역인 사각형 영역(240)을 발견하게 된다. 그런데, 발견된 사각형 영역(240)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 내 홀들 중 어느 하나와 매우 근접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홀 절단선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부재정보가 손실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기(110)는 제3단계의 제1과정(S130-1)에서 상기 사각형 영역(240)이 외접 사각형들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상으로 떨어져 있어야 상기 사각형 영역을 비겹침 영역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은 외접 사각형의 대각하는 두 꼭지점(220)의 좌표와 사각형 영역(240)의 대각하는 두 꼭지점(242, 244)의 좌표를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사각형 영역(240)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접 사각형들 중 일부인 최근접 외접 사각형으로부터 기준 거리 미만으로 떨어져 있다고 판단하면, 제어기(110)는 제5단계의 제3과정(S150-3)을 수행한다. 제5단계의 제3과정(S150-1)에서 제어기(110)는 사각형 영역(240)이 최근접 외접 사각형으로부터 기준 거리만큼 또는 그 이상으로 떨어지도록 상기 사각형 영역(240)을 최근접 외접 사각형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킨다(도 8 참조).
위와 같은 제5단계의 제3과정(S150-3)을 수행한 제어기(110)는 다시 제3단계의 제1과정(S130-1)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시스템
110 : 제어기 120 : 데이터 베이스
130 : 작업자 단말기 212 : 부재 외곽 절단선
214 : 부재 홀 절단선 222 : 수선들 간 교점
232 : 가로 수선 234 : 세로 수선
240 : 사각형 영역 242 : 좌상단 꼭지점(기준 꼭지점)
244 : 우하단 꼭지점(대각 꼭지점) 250 : 부재정보
S100 :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방법
S110 : 제1단계 S120 : 제2단계
S130-1 : 제3단계 제1과정 S130-2 : 제3단계 제2과정
S140 : 제4단계 S150-1 : 제5단계 제1과정
S150-2 : 제5단계 제2과정 S150-3 : 제5단계 제3과정

Claims (15)

  1. 강재에 마킹될 외곽 절단선의 배치정보인 외곽 절단선 정보와, 상기 외곽 절단선 내 홀 절단선들의 배치정보인 홀 절단선 정보와, 상기 외곽 절단선 및 홀 절단선의 절단으로 형성될 부재들의 부재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부재정보가 배치될 부재정보 배치영역을 상기 외곽 절단선 정보 및 상기 홀 절단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부재들 각각에 대하여 선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홀 절단선들에 외접하는 외접 사각형들의 변들과 동일 선상에 놓인 가로 수선들 및 세로 수선들이 만나는 교점들 중 상기 외곽 절단선 내 어느 한 교점을 기준 꼭지점으로 하면서 상기 기준 꼭지점과 대각하는 한 교점을 대각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 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사각형 영역이 상기 부재정보를 내포할 수 있는 크기의 내포 가능 영역이자 상기 외접 사각형들 및 상기 외곽 절단선과 겹치지 않는 비겹침 영역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사각형 영역을 상기 부재정보 배치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사각형 영역이 상기 부재정보의 한 줄 형태, 이 한 줄 형태를 90도 회전시킨 것, 상기 부재정보의 여러 줄 형태 및 이 여러 줄 형태를 90도 회전시킨 것 중 적어도 하나를 내포할 수 있으면, 상기 제어기는 사각형 영역을 상기 내포 가능 영역으로 판단하는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 영역이 상기 내포 가능 영역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대각 꼭지점을 다른 교점들로 바꾸는 대각 꼭지점 교체 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사각형 영역을 확장시키고, 확장된 사각형 영역이 상기 내포 가능 영역인지를 상기 대각 꼭지점 교체 작업을 수행할 때마다 판단하는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각 꼭지점 교체 작업의 수행 도중 상기 사각형 영역이 상기 비겹침 영역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기준 꼭지점을 다른 교점으로 바꾸는 기준 꼭지점 교체 작업을 수행한 후 상기 대각 꼭지점 교체 작업을 수행하는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에 마킹될 작업기호의 배치영역이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각형 영역이 상기 작업기호의 배치영역과도 겹치지 않아야 상기 사각형 영역을 상기 비겹침 영역으로 판단하는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각형 영역이 상기 외접 사각형들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상으로 떨어져 있어야 상기 사각형 영역을 상기 비겹침 영역으로 판단하는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 영역과 상기 기준 거리 미만으로 떨어져 위치하는 최근접 외접 사각형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각형 영역을 상기 최근접 외접 사각형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고, 이동된 사각형 영역이 상기 내포 가능 영역 및 상기 비겹침 영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시스템.
  8. 강재에 마킹될 외곽 절단선의 배치정보인 외곽 절단선 정보와, 상기 외곽 절단선 내 홀 절단선들의 배치정보인 홀 절단선 정보와, 상기 외곽 절단선 및 홀 절단선의 절단으로 형성될 부재들의 부재정보를 이용하여 제어기가 수행하는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방법으로서,
    (A) 상기 홀 절단선들에 외접하는 외접 사각형들의 변들과 동일선상에 놓인 가로 수선들 및 세로 수선들이 만나는 교점들을 찾는 단계;
    (B) 상기 교점들 중 상기 외곽 절단선 내의 어느 한 교점을 기준 꼭지점으로 하면서 상기 기준 꼭지점과 대각하는 한 교점을 대각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 영역을 선정하는 단계;
    (C) 상기 사각형 영역이 상기 부재정보를 내포할 수 있는 크기의 내포 가능 영역인지를, 그리고 상기 외접 사각형들 및 상기 외곽 절단선과 겹치지 않는 비겹침 영역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각형 영역이 상기 내포 가능 영역이자 상기 비겹침 영역이면, 상기 사각형 영역을 부재정보 배치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각형 영역이 상기 부재정보의 한 줄 형태, 이 한 줄 형태를 90도 회전시킨 것, 상기 부재정보의 여러 줄 형태 및 이 여러 줄 형태를 90도 회전시킨 것 중 적어도 하나를 내포할 수 있으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사각형 영역을 상기 내포 가능 영역으로 판단하는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사각형 영역이 상기 비겹침 영역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2) 상기 사각형 영역이 비겹침 영역이면, 상기 사각형 영역이 상기 내포 가능 영역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1) 단계에서 상기 사각형 영역이 상기 비겹침 영역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기준 꼭지점을 다른 교점으로 바꾸는 기준 꼭지점 교체 작업을 수행한 후 상기 (C-1)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에서 상기 사각형 영역이 상기 내포 가능 영역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대각 꼭지점을 다른 교점으로 바꾸는 대각 꼭지점 교체 작업을 수행하여 상기 사각형 영역을 확장시킨 후, 상기 (C-1)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방법.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에 마킹될 작업기호의 배치영역이 주어질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각형 영역이 상기 작업기호의 배치영역과도 겹치지 않아야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사각형 영역을 상기 비겹침 영역으로 판단하는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각형 영역이 상기 외접 사각형들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상으로 떨어져 있어야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사각형 영역을 상기 비겹침 영역으로 판단하는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 영역과 상기 기준 거리 미만으로 떨어져 위치하는 최근접 외접 사각형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각형 영역을 상기 최근접 외접 사각형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킨 후 상기 (C)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방법.
KR1020130154464A 2013-12-12 2013-12-12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548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464A KR101548662B1 (ko) 2013-12-12 2013-12-12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464A KR101548662B1 (ko) 2013-12-12 2013-12-12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615A KR20150068615A (ko) 2015-06-22
KR101548662B1 true KR101548662B1 (ko) 2015-09-01

Family

ID=53516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464A KR101548662B1 (ko) 2013-12-12 2013-12-12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6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42939B1 (ja) * 2018-03-28 2019-07-10 株式会社アマダホールディングス レーザ加工機、レーザ加工方法、及び加工プログラム作成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창봉 외 1인, '파라메트릭 매크로기법에 의한 부재생성 및 부재배치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추진공학회지 제3권제1호, 1999.03 pp.55-6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615A (ko) 201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5003B1 (en) Photo-shaping method, photo-shaping system, and photo-shaping program
CN110989491B (zh) 柔性材料零间距排版图的自动裁剪轨迹生成方法及装置
US9494930B2 (en) Automatic programming apparatus and automatic programming method
JP5840312B1 (ja) 三次元造形方法
US8805562B2 (en) Numerical control programming method, apparatus therefor, and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KR101548662B1 (ko) 부재정보 배치영역 선정 시스템 및 방법
US9849544B2 (en) Laser processing method and laser processing program creation device
CN108928132A (zh) 雷射打标图形分割编排系统
JP6295010B2 (ja) ネスティング方法、ネスティング装置及びネスティングプログラム
CN102509125B (zh) 用于自动修改图形特征以符合分辨率极限的方法
US7346424B2 (en) Machining configuration drawing apparatus and machining configuration drawing method
CN115170580A (zh) 板材加工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9740189B2 (en) Machining program creating apparatus, machining program creating method, and machining program creating program
EP3778104B1 (en) Laser processing machine, laser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program generation device
EP3797907B1 (en) Method and system of additive manufacturing contour-based hatching
JP4378644B2 (ja) 工具の加工パスデータ生成方法及び加工パス生成プログラム
EP3778105B1 (en) Processing program generation device and processing program generation method
JP6758441B2 (ja) レーザ加工機、レーザ加工方法、及び加工プログラム作成装置
JP2008100337A (ja) 放電加工装置および放電加工方法
US9304505B2 (en) Method of forming a cut-path
KR101021521B1 (ko) 선박 건조 작업장의 정반에 블록 배치 방법
KR101245729B1 (ko) 로봇 작업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2721175A (zh) 一种快速成型设备的扫描路径规划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190050839A (ko) 시임 배치 방법, 시임 배치 장치 및 시임 배치 프로그램
KR20140055490A (ko) 체크 강재 식별을 이용한 네스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