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2502A -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2502A
KR20140022502A KR1020120088314A KR20120088314A KR20140022502A KR 20140022502 A KR20140022502 A KR 20140022502A KR 1020120088314 A KR1020120088314 A KR 1020120088314A KR 20120088314 A KR20120088314 A KR 20120088314A KR 20140022502 A KR20140022502 A KR 20140022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teel
area
width
ne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곤
윤세진
김성철
임승필
문진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8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2502A/ko
Publication of KR20140022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5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자재의 폭과 길이값을 포함하는 속성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상기 속성정보로부터 상기 원자재의 넓이에 대응하는 베이스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제1 강재의 폭과 길이값을 포함하는 제1 네스팅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제1 네스팅정보로부터 상기 제1 강재의 넓이에 대응하는 제1 작업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영역에서 상기 제1 작업영역을 제외하여, 상기 베이스영역의 상기 제1 작업영역에 대한 나머지 영역에 대응하는 잔재에 대한 잔재영역을 산출하여 설정하는 단계; 제2 강재의 폭과 길이값을 포함하는 제2 네스팅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잔재영역과 상기 제2 네스팅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잔재영역의 넓이에 포함되는 상기 제2 강재의 제2 작업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작업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강재의 출고가능한 강판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잔재의 현황 파악 및 주문될 강재와의 비교대조가 용이하여 잔재의 활용이 향상될 수 있고, 선박 건조의 전체 제조비가 절감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METHOD FOR MANAGING EXTRA STEEL DATA OF SHIP CONSTRUCTION}
본 발명은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전세계 물자수송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운송수단으로서, 일반적으로 선박을 건조함에 있어서는, 강판이나 형강 등과 같은 소재로 부품을 조립하고 이들 부품으로부터 블록을 조립한 후에 블록을 선대 위에 탑재하여 조립하는 블록건조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때, 선박을 건조하는 발주처에서는, 길게 형성되는 강판이 둥글게 말아진 형태의 열연강판을 발주하여, 열연강판을 부품에 맞게 절단하고 벤딩(bending)하여 이용한다. 또한, 발주처는 열연강판을 주문하여 사용하는 것 이외에도, 수주처에서 생산성을 위해 규격화하여 제조하여 출하하고 난 후의 잔재를 발주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여러 조각의 단위로 생산하는 것에 비하여 규격사이즈를 두고 상대적으로 크게 제조하여 하나의 발주처에서 발주하고, 다른 발주처에서 남은 자재인 잔재를 발주하는 것이, 열연강판 등 정상적으로 주문하는 것보다 가격이 저렴하여, 잔재를 사용하여 자재비를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잔재는 일반적으로 정상주문하는 자재에 대비하여 20%가 저렴하다. 따라서, 잔재가 선박의 건조시 필요한 강재의 길이보다 10%정도 더 크더라도, 강재보다 큰 잔재를 구입하는 것이 저렴하며, 잔재를 이용하는 것이 비용절감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인력의 수는 제한되고 잔재의 현황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현황 파악이 용이하지 않으며, 수작업으로 잔재를 비교대조하여야 함에 따라, 작업이 번거로워 잔재 사용률이 저조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잔재의 현황 파악 및 주문될 강재와의 비교대조가 용이할 수 있는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은, 원자재의 폭과 길이값을 포함하는 속성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상기 속성정보로부터 상기 원자재의 넓이에 대응하는 베이스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제1 강재의 폭과 길이값을 포함하는 제1 네스팅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제1 네스팅정보로부터 상기 제1 강재의 넓이에 대응하는 제1 작업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영역에서 상기 제1 작업영역을 제외하여, 상기 베이스영역의 상기 제1 작업영역에 대한 나머지 영역에 대응하는 잔재에 대한 잔재영역을 산출하여 설정하는 단계; 제2 강재의 폭과 길이값을 포함하는 제2 네스팅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잔재영역과 상기 제2 네스팅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잔재영역의 넓이에 포함되는 상기 제2 강재의 제2 작업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작업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강재의 출고가능한 강판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속성정보는 상기 원자재 및 상기 잔재 각각의 작업장정보와 두께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네스팅정보는 상기 제1 강재의 작업장정보와 두께값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네스팅정보는 상기 제2 강재의 작업장정보와 두께값을 포함하고, 상기 잔재영역과 상기 제2 네스팅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잔재의 작업장정보와 상기 제2 강재의 작업장정보가 동일한 것을 선순위로 비교하며, 상기 제2 강재의 두께값이 상기 잔재의 두께값 보다 -1mm 이상 내지 1mm이하의 범위인 경우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속성정보는 상기 원자재 및 상기 잔재 각각의 재질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네스팅정보는 상기 제1 강재의 재질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네스팅정보는 상기 제2 강재의 재질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원자재 및 상기 잔재 각각의 재질정보와, 상기 제1 강재의 재질정보 및 상기 제2 강재의 재질정보는 재질등급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잔재영역과 상기 제2 네스팅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강재의 재질등급이 상기 잔재의 재질등급보다 한 단계 아래 내지 한 단계 위인 경우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은 잔재의 현황 파악 및 주문될 강재와의 비교대조가 용이하여 잔재의 활용이 향상될 수 있고, 선박 건조의 전체 제조비가 절감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에 의해 입력될 속성정보에 대한 아이콘을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에 의해 입력될 조건값에 대한 아이콘을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에 의해 잔재와 미출고된 제2 강재를 조회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에 의해 잔재와 미출고된 제2 강재를 대치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2는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에 의해 입력될 속성정보에 대한 아이콘을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에 의해 입력될 조건값에 대한 아이콘을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에 의해 잔재와 미출고된 제2 강재를 조회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에 의해 잔재와 미출고된 제2 강재를 대치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원자재의 폭과 길이값을 포함하는 속성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110).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일 예로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속성정보 등을 데이터화하여 저장, 갱신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속성정보는 원자재 및 원자재로부터 발생된 잔재 각각의 작업장정보와 두께값(mm 단위로 저장될 수 있음)을 포함할 수 있고, 원자재 및 잔재 각각의 재질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후술되는 과정에서 제1 강재를 주문 및 생산하며, 원자재로부터 발생된 잔재를 제2 강재 등과 대치 및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작업장정보는 동일 또는 유사한 선종인 경우 동일한 작업장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동일한 선종을 선순위로 비교하여 대치하도록 함으로써 자재의 이동 및 운반을 감소시켜 물량로스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되는 과정을 통해 잔재에 대한 정보와 대치될 수 있도록, 원자재의 속성정보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입력 및 저장할 수 있도록 아이콘으로 구분되어 기기(컴퓨터 모니터 및 스마트폰의 화면 등)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저장된 속성정보로부터 원자재의 넓이에 대응하는 베이스영역을 설정한다(S120). 이는, 원자재의 폭과 길이를 산정하고 제1 강재를 주문 및 생산할 수 있도록 출고가능한 자재를 원자재 상에 배치할 수 있도록 데이터화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베이스영역은 제1 강재가 작업될 원자재의 넓이가 된다.
다음으로, 제1 강재의 폭과 길이값을 포함하는 제1 네스팅정보를 입력한다(S130). 이때, 제1 네스팅정보는 제1 강재의 작업장정보와 두께값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강재의 재질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후술되는 과정에서 사용가능한 자재인 잔재와 제2 강재를 대치 및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제1 강재가 다양한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부품을 포함하여, 원자재 상에 배치됨으로써 원자재를 마킹 및 절단하여 제1 강재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부품이 원자재 상에 나열된 것을 네스팅이라 하고, 제1 네스팅정보는 네스팅된 제1 강재의 정보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제1 네스팅정보로부터 제1 강재의 넓이에 대응하는 제1 작업영역을 설정한다(S140). 이는, 원자재에서 제1 강재를 생산할 수 있도록 작업 주문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원자재에 해당하는 베이스영역에 제1 강재에 해당하는 제1 작업영역을 대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제1 작업영역은 네스팅된 제1 강재의 넓이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베이스영역에서 제1 작업영역을 제외하여, 베이스영역의 제1 작업영역에 대한 나머지 영역에 대응하는 잔재에 대한 잔재영역을 산출하여 설정한다(S150).
여기서, 잔재는 원자재로부터 제1 강재를 생산하고 남은 사용가능한 자재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잔재는 미출고된 제2 강재를 생산하기 위해, 제2 강재의 주문이 발행된 대상 중 대치가능한 자재를 대비함으로써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잔재영역이 산출되어 잔재영역에 대한 정보는 잔재번호, 호선, 두께, 폭 및 길이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잔재에 대한 조건값을 입력하여 대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강재의 폭과 길이값을 포함하는 제2 네스팅정보를 입력한다(S160). 여기서, 제2 네스팅정보는 제2 강재의 작업장정보와 두께값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강재의 재질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원자재 및 잔재 각각의 재질정보와, 제1 강재의 재질정보 및 제2 강재의 재질정보는 재질등급별 정보를 포함하여, 후술되는 과정에서 재질등급이 비교될 수 있다. 이는 사용가능한 자재인 잔재로부터 미출고된 제2 강재를 옵션(작업장정보, 두께값과 같은 선택목록) 및 대치대상 조건에 만족하는지 여부를 조회 및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출고되어 생산하여야 하는 제2 강재에 대한 입력값(작업장정보, 두께, 길이 등에 해당하며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값으로 할 수 있음)을 터치스크린 또는 키보드 등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여 비교하여 주문할 수 있는 잔재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잔재영역과 제2 네스팅정보를 비교한다(S170). 여기서, 잔재의 작업장정보와 제2 강재의 작업장정보가 동일한 것을 선순위로 비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 작업장에서 주문 및 생산하도록 하여 잔재를 이동 및 운반함에 따른 물량로스를 줄이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제2 강재의 두께값이 잔재의 두께값 보다 -1mm 이상 내지 1mm이하의 범위인 경우 후술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제2 강재의 재질등급이 잔재의 재질등급보다 한 단계 아래 내지 한 단계 위인 경우 후술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잔재를 이용하여 제2 강재를 주문 및 생산할 수 있도록, 제2 강재에 대한 제2 네스팅정보를 잔재영역에 프로그래밍화하여 대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출고된 잔재에 대한 정보가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어 제2 강재와 비교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잔재영역의 넓이에 포함되는 제2 강재의 제2 작업영역을 설정한다(S180). 이는, 앞서 수행한 제2 강재의 두께값이 잔재의 두께값 보다 -1mm 이상 내지 1mm이하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2 작업영역을 설정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수행한 제2 강재의 재질등급이 잔재의 재질등급보다 한 단계 아래 내지 한 단계 위인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2 작업영역을 설정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잔재영역으로부터 제2 작업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제1 작업영역을 설정하는 것과 유사하게 잔재로부터 제2 강재를 생산할 수 있도록 작업 주문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작업영역의 설정은 제1 작업영역과 달리, 원자재가 아닌 잔재에 대치하는 것이 다르다.
다음으로, 제2 작업영역으로부터 제2 강재의 출고가능한 강판을 산출한다(S190). 앞서 설명한 단계를 수행하여 잔재로부터 제2 강재를 생산할 수 있도록 작업 주문을 설정함으로써, 제2 작업영역에 대하여 제2 강재에 대한 네스팅을 수행하여 제2 강재를 생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은 잔재의 현황 파악 및 주문될 강재와의 비교대조가 용이하여 잔재의 활용이 향상될 수 있고, 선박 건조의 전체 제조비가 절감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3)

  1. 원자재의 폭과 길이값을 포함하는 속성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상기 속성정보로부터 상기 원자재의 넓이에 대응하는 베이스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제1 강재의 폭과 길이값을 포함하는 제1 네스팅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제1 네스팅정보로부터 상기 제1 강재의 넓이에 대응하는 제1 작업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영역에서 상기 제1 작업영역을 제외하여, 상기 베이스영역의 상기 제1 작업영역에 대한 나머지 영역에 대응하는 잔재에 대한 잔재영역을 산출하여 설정하는 단계;
    제2 강재의 폭과 길이값을 포함하는 제2 네스팅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잔재영역과 상기 제2 네스팅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잔재영역의 넓이에 포함되는 상기 제2 강재의 제2 작업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작업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강재의 출고가능한 강판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정보는 상기 원자재 및 상기 잔재 각각의 작업장정보와 두께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네스팅정보는 상기 제1 강재의 작업장정보와 두께값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네스팅정보는 상기 제2 강재의 작업장정보와 두께값을 포함하고,
    상기 잔재영역과 상기 제2 네스팅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잔재의 작업장정보와 상기 제2 강재의 작업장정보가 동일한 것을 선순위로 비교하며,
    상기 제2 강재의 두께값이 상기 잔재의 두께값 보다 -1mm 이상 내지 1mm이하의 범위인 경우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정보는 상기 원자재 및 상기 잔재 각각의 재질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네스팅정보는 상기 제1 강재의 재질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네스팅정보는 상기 제2 강재의 재질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원자재 및 상기 잔재 각각의 재질정보와, 상기 제1 강재의 재질정보 및 상기 제2 강재의 재질정보는 재질등급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잔재영역과 상기 제2 네스팅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강재의 재질등급이 상기 잔재의 재질등급보다 한 단계 아래 내지 한 단계 위인 경우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
KR1020120088314A 2012-08-13 2012-08-13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 KR201400225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314A KR20140022502A (ko) 2012-08-13 2012-08-13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314A KR20140022502A (ko) 2012-08-13 2012-08-13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502A true KR20140022502A (ko) 2014-02-25

Family

ID=50268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314A KR20140022502A (ko) 2012-08-13 2012-08-13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25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685A (ko) 2014-07-25 2016-02-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잔재 관리 방법
KR20230006178A (ko) * 2021-07-02 2023-01-10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절단공정에 따른 잔여 원자재 관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685A (ko) 2014-07-25 2016-02-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잔재 관리 방법
KR20230006178A (ko) * 2021-07-02 2023-01-10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절단공정에 따른 잔여 원자재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43711A (zh) 一种钢板余料监控方法和系统
KR20140022502A (ko) 선박건조용 잔재관리방법
Abbasi et al. Development of optimal cutting plan using linear programming tools and MATLAB algorithm
Huhtala et al. The role of Product Data Management (PDM) in engineering design and the key differences between PDM and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PLM)
JP4867873B2 (ja) キット生産板材加工のキット生産順決定装置
Kreitlein et al. E| Benchmark-a pioneering method for energy efficient process planning and assessment along the life cycle process
Buchmeister et al. MANUFACTURING SCHEDULING PERFORMANCE–A CASE STUDY.
JPWO2018079647A1 (ja) 工程管理装置、工程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70091802A (ko) 측정 정도 통합 관리시스템
JP2005063084A (ja) マルチ・ビューア・ガントチャートによる工程計画・進捗実績・生産性管理の方法とシステム
KR101667742B1 (ko)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잔재 관리 방법
CN111062585A (zh) 一种基于大数据平台的科技产品评估方法及系统
JP6688616B2 (ja)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KR102462840B1 (ko) 철근의 재고관리 시스템
JP2013254261A (ja) 作業支援方法等
KR20120137673A (ko) 용접 변형에 대한 역 변형이 적용된 용접 방법
JP4930152B2 (ja) 条鋼製品の生産計画方法、その製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645485B2 (en) Facade element tracking systems and related techniques
JP2011191831A (ja) 被切断材及び端材の管理方法
KR20120065630A (ko) 알에프아이디 태그 라벨을 이용한 케이블 검수 자동화 방법
KR20130093858A (ko) 적재 리스트 관리 시스템
KR20150094342A (ko) 생산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193266B1 (ko) 잉여강재 발주대치 관리시스템 및 방법
CN116862385A (zh) 生产数据的差异调整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20150019924A (ko) 자재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소요 자재 검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