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8423A - 카메라의 이미지 저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의 이미지 저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8423A
KR20140028423A KR1020120094645A KR20120094645A KR20140028423A KR 20140028423 A KR20140028423 A KR 20140028423A KR 1020120094645 A KR1020120094645 A KR 1020120094645A KR 20120094645 A KR20120094645 A KR 20120094645A KR 20140028423 A KR20140028423 A KR 20140028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humbnail image
displaying
camera
thumb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6170B1 (ko
Inventor
이재명
이성식
이호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4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170B1/ko
Priority to US14/012,555 priority patent/US10033929B2/en
Publication of KR20140028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장치의 이미지 저장 방법은, 프리뷰모드에서 라이브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과, 프리뷰모드에서 캡쳐 요구시 이미지를 캡쳐하며, 설정 이미지를 애니메이션 이미지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캡쳐 이미지 저장완료시 애니메이션 이미지의 표시를 종료하면서 캡쳐이미지의 섬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카메라의 이미지 저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AN IMAGE OF CAMERA DEVICE AND TERMINAL EQUIPMENT HAVING A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의 이미지 저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장치에서 이미지의 저장을 라이브 뷰 이미지와 함께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장치는 카메라 구동시 프리뷰 모드(preview mode)를 수행하면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라이브 이미지를 표시(live view)한다. 상기 프리뷰 모드에서 카메라장치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이미지를 적절한 형태로 이미지 사이즈 및 색변환 동작을 수행하여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리뷰모드에서 사용자가 셔터를 누르면(shutter on, shutter release), 카메라장치는 포커싱 동작을 수행하며, 설정된 메터 값으로 포커싱된 이미지를 획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획득된 이미지는 정지 이미지(still image)로 이미지처리 및 압축된 후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프리뷰 모드에서 정지 이미지를 캡쳐하여 저장하는 경우, 카메라장치는 카메라의 포커싱 등의 동작 및 이미지 처리(예를들면 아날로그를 디지털 신호를 변환 등), 그리고 카메라장치의 제어부에서 이미지를 처리하는 시간 및 메모리에 저장하는 시간에 따른 지연이 발생된다. 그러나 사용자는 카메라장치가 이미지를 캡쳐하여 저장하는 동안은 카메라 동작을 확인할 수 없다. 또한 상기와 같이 프리뷰모드에서 이미지를 캡쳐하여 저장하는 시간을 알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연속촬영을 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셔터버튼을 누를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카메라장치는 정지이미지를 획득하지 못할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카메라장치 및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장치에서 라이브 뷰를 수행하는 중에 캡쳐요구시 캡쳐되는 정지이미지를 저장하는 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이미지 저장 방법은, 프리뷰모드에서 라이브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뷰모드에서 캡쳐 요구시 상기 이미지를 캡쳐하며, 상기 설정 이미지를 애니메이션 이미지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캡쳐 이미지 저장완료시 상기 애니메이션 이미지의 표시를 종료하면서 상기 캡쳐이미지의 섬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와,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프리뷰모드에서 상기 카메라에 획득되는 라이브뷰 이미지를 표시하며, 캡쳐 요구시 캡쳐되는 정지 이미지를 처리하는 동시에 설정된 이미지를 애니메이션 이미지로 생성 및 표시하고, 상기 정지이미지의 저장완료시 상기 애니메이션 이미지의 표시를 종료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장치 및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에서 라이브뷰를 수행하는 중에 정지 이미지를 캡쳐하여 저장할 때,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시간을 설정된 애니메이션 동작으로 표현하여 사용자가 상기 저장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프리뷰모드에서 이미지를 캡쳐하여 저장하는 시간을 알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동안 불필요한 셔터 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에서 프리뷰모드에서 정지이미지를 캡쳐하여 저장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a - 도 4e는 도 3에서 캡쳐 요구시 정지이미지를 캡쳐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시간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에서 캡쳐 이미지를 저장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카메라장치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부120은 센서를 구비하며, 카메라 구동시 센서를 통해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0은 카메라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프리뷰모드에서 캡쳐요구시 캡쳐되는 정지이미지를 저장할 때까지 정지이미지를 소이미지로 생성하여 애니메이션 형태로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카메라120에서 획득되는 이미지를 처리하는 이미지처리부, 이미지를 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코덱, 이미지를 소 이미지(이하 섬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라 한다)를 생성하는 섬네일 생성부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110은 카메라장치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테이블들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13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촬영되는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30은 LCD 또는 OLED가 될 수 있다. 입력부140은 카메라장치의 입력을 발생한다. 상기 입력부140은 터치패널 및 외부 동작 버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30 및 입력부140은 일체형의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할 수 있다.
통신부150은 기지국 또는 다른 장치와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50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frequency up converter) 및 전력 증폭하는 송신부와,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주파수를 하강변환(frequency down converter)하는 수신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50은 변조부 및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변조부는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송신부에 전달하며, 복조부는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한다. 이런 경우, 상기 변복조부는 LTE, WCDMA, GSM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WIFI, WIBRO 등이 될 수 있고, NFC, Bluetooth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부120이 3G 및/또는 4G통신부, WIFI, bluetooh 통신부들을 구비한다고 가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구동명령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카메라부120에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이미지 촬영시 상기 제어부100은 모터240을 구동하며, 상기 모터240의 구동에 의해 액츄에이터250이 상기 광학부210의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광학부210은 상기 액츄에이터250에 의해 줌, 포커싱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광학부210은 주변의 이미지를 촬상하며, 이미지센서220은 상기 광학부220에 의해 촬상되는 이미지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센서220은 풀 HD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이미지 센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센서220에서 감지되는 이미지는 AD변환부230을 통해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되어 제어부100에 전달된다. 또한 플래시260은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데이터는 제어부100에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카메라12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이미지처리부, 코덱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처리부는 전처리부, 스케일러 및 후처리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처리부의 동작을 살펴보면, 전처리부는 상기 카메라12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전처리한다. 여기서 전처리 기능은 3A(AWB(auto white balance), AE(auto exposure), AF(Auto focusing)) 추출 및 처리, 렌즈 셰이딩 보상(lens shading correction), 데드픽셀 보정(dead pixel correction), knee 보정 등이 될 수 있다. tm케일러(image scaler)는 상기 전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카메라120의 풀해상도 이미지를 표시부130에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 크기로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스케일러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는 표시이미지가 될 수 있다. 후처리부는 상기 이미지 스케일링되는 스케일러 및 상기 전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카메라120의 풀해상도 이미지를 후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후처리 기능은 이미지를 색보간(color interpolation) 및 잡음제거, 색보정등을 처리하고, 색변환(image conversion)하여 YUV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들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스케일러는 상기 전처리부와 후처리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전처리부의 전단 또는 상기 후처리부의 후단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코덱은 상기 후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정지이미지를 압축 부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섬네일 이미지는 상기 코덱에서 정지 이미지를 부호화할 때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독립적인 섬네일 이미지 생성부를 구비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에서 프리뷰모드에서 정지이미지를 캡쳐하여 저장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4a - 도 4e는 도 3에서 캡쳐 요구시 정지이미지를 캡쳐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하는 시간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3 - 도 4e를 참조하면, 입력부140으로부터 카메라 구동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3단계에서 카메라120을 구동하면서 프리뷰모드를 수행하여 라이브뷰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120은 상기 도 2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액츄에이터에 의해 광학부를 제어하면서 이미지들을 획득한다. 상기 프리뷰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처리되는 이미지를 표시부130에 출력하여 라이브뷰로 표시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처리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이미지의 전처리 동작을 수행하여 3A(AWB(auto white balance), AE(auto exposure), AF(Auto focusing)) 추출 및 처리, 렌즈 셰이딩 보상(lens shading correction), 데드픽셀 보정(dead pixel correction), knee 보정 등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전처리된 이미지의 사이즈를 상기 표시부130에서 표시할 수 있는 사이즈로 조절하여 표시이미지로 스케일링하며, 상기 표시이미지를 색보간(color interpolation) 및 잡음제거, 색보정 등을 수행하고 또한 상기 표시부130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YUV 데이터로 색변환하는 후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후처리된 이미지를 표시부130에 출력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프리뷰모드를 수행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카메라120에서 획득되는 이미지를 처리하여 표시부130에 출력하며, 표시부130은 이를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프리뷰를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가 입력부140을 통해 셔터를 온시키면, 상기 제어부100은 3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7단계에서 셔터온 시점의 이미지를 캡쳐하여 정지이미지로 처리하며, 처리된 정지이미지를 압축하여 메모리10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의 이미지처리부는 프리뷰 이미지 및 정지이미지를 함께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317단계에서 상기 프리뷰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130에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정지이미지가 처리되어 저장되고 있음을 표현하기 위한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생성하여 표시부13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317단계에서 상기 표시부130은 상기 프리뷰 이미지와 함께 캡쳐된 이미지가 처리되어 저장되는 중임을 나타내는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함께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캡쳐된 정지이미지는 카메라120의 풀 해상도 이미지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표시이미지보다 큰 사이즈를 가진다. 상기 셔터 온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카메라120에서 출력되는 셔터 온시점의 풀해상도 이미지를 입력하여 처리한다. 이때 상기 정지이미지의 처리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정지이미지를 전처리 및 후처리하며, 상기와 처리된 정지이미지를 압축하여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캡쳐 요구된 이미지의 사이즈가 풀해상도 이미지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이미지처리시 스케일링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처리하여 저장하는 시간은 셔터 온 시점 이후 일정 프레임 지연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카메라120에서 캡쳐 요구시점의 풀해상도 이미지를 획득하는 시간과, 상기 제어부100의 이미지처리부에서 캡쳐된 이미지를 처리하는 시간, 상기 처리된 이미지를 압축하는 시간, 그리고 상기 압축된 정지이미지를 메모리110에 저장하는 시간 동안의 지연이 발생된다. 그러나 사용자는 캡쳐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시간을 알 수 없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캡쳐 이미지의 저장 동작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셔터온 시점에서 캡쳐이미지가 저장될 때 까지 설정된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130에 출력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애니메이션 이미지는 더미 이미지(dummy image)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섬네일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처리하는 시점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애니메이션 이미지로 생성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더미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성하고, 애니메이션을 종료하는 시점(즉, 캡쳐된 이미지를 저장 완료하여 섬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시점)에서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섬네일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더미이미지는 단순한 더미 이미지가 될 수 있으며, 또는 표시되고 있는 프리뷰 이미지를 섬네일 이미지 형태로 생성할 수도 있다.
두 번째로 상기 애니미에선 이미지는 촬영된 이미지의 섬네일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바로 섬네일 이미지로 만들어 애니메이션 이미지로 생성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섬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셔터 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17단계에서 정지이미지 및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정지이미지가 처리되어 저장될 때까지 상기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프리뷰 이미지와 함께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애니메이션 표현 방법은 상기 캡쳐 이미지를 섬네일 이미지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섬네일 이미지를 롤 형태로 변형하면서 상기 정지이미지가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loading)될 때까지 회전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이후 상기 캡쳐된 정지이미지를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1단계에서 상기 애니메이션으로 표시되는 섬네일 이미지를 라이브 뷰 화면의 특정 위치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상기 313단계로 되돌아가 프리뷰 모드를 다시 수행하면서 라이브 뷰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사용자가 카메라120의 구동을 오프시킬때까지 반복 수행되며,상기 카메라120의 구동오프가 요구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2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카메라120의 동작을 종료시킨다.
도 4a - 도 4e는 상기 도 3의 317단계 - 321 단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4a는 캡쳐된 정지이미지를 처리 및 저장하는 동안의 라이브 뷰 이미지들이 될 수 있으며, 도 4b는 캡쳐된 정지이미지를 처리 및 저장하는 동안에 정지이미지가 저장 중임을 사용자에 알리기 위한 애니메이션 이미지가 될 수 있고, 도 4c는 캡쳐가 요구된 시점에서 캡쳐 이미지를 섬네일 이미지로 생성하고 생성된 섬네일 이미지를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설정된 모양(여기서는 섬네일 이미지를 원통형으로 만드는 과정)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d는 캡쳐이미지를 저장 완료하는 시점에서 애니메이션 표현 중인 이미지를 섬네일 이미지로 변환하여 화면의 특정 위치에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e는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애니메이션 이미지로써, 상기 도 4a와 같은 프리뷰 이미지 및 상기 도 4b와 같은 애니메이션 이미지가 합성된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4a, 4b 및 4e에서 참조번호 411, 421 및 451의 화면은 프리뷰 모드에서의 화면 이미지이며, 참조번호 412, 422 및 452의 화면은 프리뷰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캡쳐가 요구된 시점에서의 화면 이미지이고, 참조번호 413, 423 및 453의 화면은 캡쳐 요구에 의해 캡쳐 이미지의 섬네일 이미지를 생성하여 원통형으로 생성한 후 애니메이션 이미지로 표시하는 과정의 이미지이며, 참조번호 414, 424 및 454 화면은 애니메이션을 표현하는 과정의 이미지이고, 참조번호 415, 425 및 455 화면은 캡쳐된 이미지를 저장 완료한 후 원통형의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펼쳐 섬네일 이미지를 생성한 후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의 이미지이며, 참조번호 416, 426 및 456 화면은 캡쳐된 이미지를 저장 완료한 후 애니메이션이 종료된 상태에서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먼저 프리뷰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표시부130에 도 4a의 411과 같은 라이브뷰 화면 이미지를 출력하며, 이때 애니메이션 이미지는 생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화면 이미지는 도 4e의 451과 같이 상기 카메라120에서 획득되는 411과 같은 이미지가 된다. 상기와 같이 프리뷰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셔터가 온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생성 및 표시한다. 이런 경우 상기 애니메이션 이미지는 도 4e의 452와 같은 정지이미지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정지이미지를 설정된 크기의 섬네일 이미지로 생성한다. 이때에도 상기 표시부130은 도 4e의 452와 같은 프리뷰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생성할 때 상기한 바와 같이 더미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셔터가 온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더미 이미지를 애니메이션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더미 이미지는 이전 프리뷰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또는 단순 더미 이미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캡쳐 이미지를 이용하여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은 도 4c와 같은 절차로 수행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431과 같은 캡쳐이미지를 리사이징(또는 스케일링)하여 432와 같은 섬네일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섬네일 이미지433(즉, 432와 같이 생성된 이미지)을 434-437과 같이 감으면서 도 4b의 423과 같이 화면의 설정된 위치(여기서는 중앙 위치가 될 수 있음)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캡쳐 요구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카메라120에서 획득되는 라이브뷰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130에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도 4c와 같이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생성하여 화면의 중앙으로 위치시킨 후, 상기 원통형의 이미지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도 4b의 423과 같은 이미지는 상기 도 4c와 같은 절차로 생성되어 화면의 중앙으로 이동되며, 상기 도 4b의 423은 상기 도 4c와 같은 애니메이션 동작을 수행한 후 원통형 이미지를 회전하는 애니메이션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이런 애니메이션 이미지는 상기 도 4a의 413과 같은 이미지와 합성되어 도 4e의 453과 같이 표현된다.
또한 상기 더미 이미지를 이용하여 애니메이션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설정된 더미이미지를 리사이징하여 섬네일 이미지로 변환되는 애니메이션을 수행하며, 상기 섬네일 이미지를 설정된 형태로 변환(여기서는 원통 형태)하여 애니메이션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더미 이미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전 프리뷰 상태의 이미지 또는 단순 더미 이미지가 도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도 3의 317단계에서 캡쳐한 정지이미지를 처리, 압축부호화 및 저장하는 시간 동안 상기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동작시키며, 이때 상기 카메라130에서 획득되는 라이브뷰 이미지는 피사체 이동 및/또는 카메라120의 이동에 따라 다른 이미지들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캡쳐 요구를 한 후, 상기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보고 현재 캡쳐된 이미지가 처리 및 저장 중인 상태를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캡쳐 이미지의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도 4d와 같은 애니메이션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이미지의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도 4b의 424 화면에 표시되는 원통형의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441-445와 같이 원래의 섬네일 이미지로 풀어내는 동작을 수행하며, 이런 애니메이션 동작은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445와 같이 원통형에서 본래의 섬네일 이미지 형태로 변환된 이미지는 446과 같이 화면의 중앙에서 화면의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화면의 설정된 위치에는 상기 도 4b의 423-425와 이전에서 캡쳐된 이미지의 섬네일 이미지가 표시되며, 현재 캡쳐된 이미지의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도 4b의 425와 같이 이동되어 최종적으로 도 4b의 426과 같이 현재의 캡쳐 이미지로 대체된다.
또한 상기 애니메이션 이미지가 더미 이미지인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애니메이션을 종료하는 시점(즉, 캡쳐된 이미지를 저장 완료하여 섬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시점)에서 상기 애니메이션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섬네일이미지를 표시한다.
따라서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요구시 캡쳐 이미지를 저장 완료할 때 까지 상기 카메라120에서는 상기 도 4a와 같은 라이브뷰 이미지들을 획득하며, 상기 제어부100은 도 4b - 도 4d와 같이 캡쳐 이미지를 섬네일 이미지로 생성한 후 이를 애니메이션 표현하며, 표시부130은 상기 도 4a - 도 4d와 같은 이미지들이 합성되어 표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에서 캡쳐 이미지를 저장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는 상기 도 3과 같은 절차를 수행할 때 동작 순서 및 이에 대응되는 화면의 표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50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프리뷰 모드의 동작을 수행한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카메라120에서 획득되는 511과 같은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120에 출력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프리뷰 모드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40을 통해 캡쳐 요구를 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이를 감지하고 503단계에서 521과 같은 캡쳐 이미지를 섬네일 이미지로 생성하여 522와 같이 원통으로 감는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표시부130의 화면에 523과 같이 이전 상태에서 캡쳐된 이미지의 섬네일 이미지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505단계에서 상기 캡쳐 이미지가 처리 완료(이미지 전처리, 후처리, 압축 부호화, 저장 등)되는 시간까지 저장 중임을 알리기 위기 위하여 원통형태로 감긴 섬네일 이미지532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캡쳐 이미지가 처리중임을 나타내는 정보(여기서는 loading으로 표시하고 있음)를 표시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317단계에서 정지 이미지가 저장 완료될 때까지 원통형태의 섬네일 이미지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화면에는 이전 캡쳐 이미지의 섬네일 이미지533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정지이미지의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07단계에서 상기 도 4d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원통형의 섬네일 이미지를 542와 같은 섬네일 이미지로 변경하며, 상기 섬네일이미지542를 이전 섬네일 이미지543 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507단계에서 저장된 캡쳐 이미지의 섬네일 이미지를 원통 형태에서 갤러리 섬네일 형태로 변경하면서 이동시킨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509단계에서 상기 542와 같은 섬네일 이미지를 552와 같이 화면의 설정된 위칭에 이동시켜 페이지 효과를 구현한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뷰모드에서 캡쳐 요구시 카메라120으로부터 획득되는 라이브뷰 이미지는 511-551과 같이 카메라 및/또는 피사체의 이동에 따라 변경되며, 캡쳐 요구시점의 정지이미지는 섬네일 이미지로 변경된 후 캡쳐 이미지의 저장될 때까지 522 -552와 같이 애니메이션 동작을 수행한다.

Claims (18)

  1. 카메라장치의 이미지 저장 방법에 있어서,
    프리뷰모드에서 라이브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뷰모드에서 캡쳐 요구시 상기 이미지를 캡쳐하며, 설정 이미지를 애니메이션 이미지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캡쳐 이미지 저장완료시 상기 애니메이션 이미지의 표시를 종료하면서 상기 캡쳐이미지의 섬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설정 이미지를 섬네일 이미지로 변환 및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섬네일 이미지를 설정된 모양으로 변환 및 표시하는 과정과,
    변환된 섬네일 이미지를 애니메이션으로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애니메이션 이미지는 상기 라이브뷰 이미지와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이미지는 캡쳐된 이미지인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이미지는 더미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네일 이미지를 설정된 모양으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된 섬네일 이미지를 화면의 설정된 위치로 이동 및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섬네일 이미지의 이동 및 표시하는 과정에서 변환된 섬네일 이미지의 위치는 화면의 중앙에 인접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섬네일 이미지를 애니메이션으로 표시하는 과정은 변환된 섬네일이미지를 회전시키며 저장중임을 나타내는 문자 데이터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섬네일 이미지는 원통 모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애니메이션 표시를 종료하는 과정은 상기 회전되는 변환된 섬네일이미지를 원래의 섬네일 이미지로 변환하며, 변환된 상기 섬네일 이미지를 화면의 설정된 위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카메라장치에 있어서,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와,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프리뷰모드에서 상기 카메라에 획득되는 라이브뷰 이미지를 표시하며, 캡쳐 요구시 캡쳐되는 정지 이미지를 처리하는 동시에 설정된 이미지를 애니메이션 이미지로 생성 및 표시하고, 상기 정지이미지의 저장완료시 상기 애니메이션 이미지의 표시를 종료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설정된 이미지를 섬네일 이미지로 변환하고, 상기 섬네일 이미지를 설정된 모양으로 변환한 후 변환된 섬네일 이미지를 상기 라이브뷰 이미지와 함께 애니메이션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이미지는 캡쳐된 이미지인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이미지는 더미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섬네일 이미지를 화면의 설정된 위치로 이동 및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섬네일 이미지의 위치는 화면의 중앙에 인접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섬네일이미지를 회전시키며 저장중임을 나타내는 문자 데이터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섬네일 이미지는 원통 모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되는 변환된 섬네일이미지를 원래의 섬네일 이미지로 변환하며, 변환된 상기 섬네일 이미지를 화면의 설정된 위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20094645A 2012-08-29 2012-08-29 카메라의 이미지 저장 장치 및 방법 KR101956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645A KR101956170B1 (ko) 2012-08-29 2012-08-29 카메라의 이미지 저장 장치 및 방법
US14/012,555 US10033929B2 (en) 2012-08-29 2013-08-28 Camera device and image storag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645A KR101956170B1 (ko) 2012-08-29 2012-08-29 카메라의 이미지 저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423A true KR20140028423A (ko) 2014-03-10
KR101956170B1 KR101956170B1 (ko) 2019-03-08

Family

ID=50187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645A KR101956170B1 (ko) 2012-08-29 2012-08-29 카메라의 이미지 저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33929B2 (ko)
KR (1) KR101956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WO2013169845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crolling nested regions
WO2013169842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object within a group of objects
DE202013012233U1 (de) 2012-05-09 2016-01-18 Apple Inc. Vorrichtung und grafische Benutzerschnittstelle zum Anzeigen zusätzlicher Informationen in Antwort auf einen Benutzerkontakt
KR101823288B1 (ko) 2012-05-09 2018-01-29 애플 인크. 제스처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상태들 사이를 전이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WO201316986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WO2013169849A2 (en) 2012-05-09 2013-11-14 Industries Llc Yknots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KR101956082B1 (ko) 2012-05-09 2019-03-11 애플 인크.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선택하는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DE112013002387T5 (de) 2012-05-09 2015-02-12 Apple Inc. Vorrichtung, Verfahren und grafische Benutzeroberfläche für die Bereitstellung taktiler Rückkopplung für Operationen in einer Benutzerschnittstelle
CN104471521B (zh) 2012-05-09 2018-10-23 苹果公司 用于针对改变用户界面对象的激活状态来提供反馈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WO201316987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content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affordance
WO2013169843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framed graphical objects
WO2013169851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user interaction with controls in a user interface
WO2013169882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nd dropping a user interface object
JP6158947B2 (ja) 2012-12-29 2017-07-0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タッチ入力からディスプレイ出力への関係間を遷移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KR102301592B1 (ko) 2012-12-29 2021-09-10 애플 인크. 사용자 인터페이스 계층을 내비게이션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AU2013368441B2 (en) 2012-12-29 2016-04-1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orgoing generation of tactile output for a multi-contact gesture
WO2014105279A1 (en) 2012-12-29 2014-07-03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between user interfaces
CN107832003B (zh) 2012-12-29 2021-01-22 苹果公司 用于放大内容的方法和设备、电子设备和介质
WO2014105277A2 (en) 2012-12-29 2014-07-03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ursor according to a change in an appearance of a control icon with simulated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JP5725049B2 (ja) * 2013-01-24 2015-05-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210321B2 (en) * 2013-12-05 2015-12-08 Here Global B.V. Method and apparatus for a shutter animation for image capture
US9467396B2 (en) 2014-04-11 2016-10-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multaneous transfers from a single input link to multiple output links with a timesliced crossbar
US9754399B2 (en) * 2014-07-17 2017-09-05 Crayola, Llc Customized augmented reality animation generator
US10048757B2 (en) 2015-03-08 2018-08-14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presentation
US9645732B2 (en) 2015-03-08 2017-05-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9632664B2 (en) 2015-03-08 2017-04-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095396B2 (en) 2015-03-08 2018-10-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US9990107B2 (en) 2015-03-08 2018-06-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9785305B2 (en) 2015-03-19 2017-10-10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9639184B2 (en) 2015-03-19 2017-05-02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20170045981A1 (en) 2015-08-10 2017-02-1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10152208B2 (en) 2015-04-01 2018-12-11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10200598B2 (en) 2015-06-07 2019-02-05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60451B2 (en) 2015-06-07 2018-01-0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674426B2 (en) 2015-06-07 2017-06-0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10346030B2 (en) 2015-06-07 2019-07-09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9830048B2 (en) 2015-06-07 2017-11-28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with instructions in a web page
US9891811B2 (en) 2015-06-07 2018-02-13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10416800B2 (en) 2015-08-10 2019-09-1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djus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0248308B2 (en) 2015-08-10 2019-04-0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with physical gestures
US10235035B2 (en) 2015-08-10 2019-03-1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ontent navigation and manipulation
US9880735B2 (en) 2015-08-10 2018-01-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JP7028189B2 (ja) * 2016-12-19 2022-03-02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10891144B (zh) * 2019-11-28 2021-11-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4943791A (zh) * 2021-02-08 2022-08-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动画播放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23051352A (ja) * 2021-09-30 2023-04-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プリンタ付きデジタルカメ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6375A (ja) * 2000-04-21 2001-11-02 Sony Corp データオブジェクト管理システム
US7136096B1 (en) * 1998-03-11 2006-11-1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2009225280A (ja) * 2008-03-18 2009-10-01 Fujifilm Corp 撮像装置及び撮影画像表示制御方法
KR20110048892A (ko) * 2009-11-03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337B1 (ko) * 2007-12-04 2014-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삼차원적 pip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기기 및 이를 적용한영상표시방법
KR101515859B1 (ko) * 2008-12-05 2015-05-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6096B1 (en) * 1998-03-11 2006-11-1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2001306375A (ja) * 2000-04-21 2001-11-02 Sony Corp データオブジェクト管理システム
JP2009225280A (ja) * 2008-03-18 2009-10-01 Fujifilm Corp 撮像装置及び撮影画像表示制御方法
KR20110048892A (ko) * 2009-11-03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170B1 (ko) 2019-03-08
US20140063316A1 (en) 2014-03-06
US10033929B2 (en) 2018-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170B1 (ko) 카메라의 이미지 저장 장치 및 방법
US9992410B2 (en) Apparatus and method photographing image
KR102156597B1 (ko) 광학 촬영 방법 및 장치
EP2693737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U2013200730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camera
KR102032347B1 (ko) 이미지 센서 위치를 이용한 이미지 영역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1953614B1 (ko) 카메라장치의 이미지처리장치 및 방법
KR101921935B1 (ko) 카메라의 동영상 촬영장치 및 방법.
CN111050062B (zh) 一种拍摄方法及电子设备
KR20140106265A (ko) 이미지 촬영장치 및 방법
KR20130094633A (ko) 카메라의 프레임 이미지 전송 장치 및 방법
JP2014007653A (ja) 撮像装置、撮像方法、撮像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824506B1 (ko) 카메라의 멀티프레임 이미지 촬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894531B1 (ko) 카메라의 연속 촬영 장치 및 방법.
JP2006211321A (ja) 撮像装置、画像効果付与方法および画像効果付与プログラム
KR101995258B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 촬영장치 및 방법
KR20140028410A (ko) 카메라 구동 표시장치 및 방법
JP2009253925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と、撮影制御プログラム
JP2011066828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62029B2 (ja)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撮像方法、及び撮像プログラム
JP2010087646A (ja) カメラ装置及び画像切り出し方法、プログラム
KR102241840B1 (ko) 이미지 촬영장치 및 방법
CN112866560A (zh) 用于景点拍照的方法、终端及存储装置
JP2010271657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