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7605A - 충전 케이블과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충전 케이블과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7605A
KR20140027605A KR1020120084111A KR20120084111A KR20140027605A KR 20140027605 A KR20140027605 A KR 20140027605A KR 1020120084111 A KR1020120084111 A KR 1020120084111A KR 20120084111 A KR20120084111 A KR 20120084111A KR 20140027605 A KR20140027605 A KR 20140027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unit
mobile terminal
power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4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7605A/ko
Publication of KR20140027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605A/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원공급부와 연결 시에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공급하는 전력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를 충전하는 충전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케이블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관리부 상기 전원관리부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기 케이블의 단락여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케이블의 단락여부 및 상기 케이블의 단락여부 중 어느 하나를 판단하여 도난신호를 출력하는 출력하는 도난감지회로 및 상기 도난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알람부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충전 케이블과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CONNECTED WITH CABLE FOR CHARGING}
본 발명은 도난방지기능을 수행하는 케이블 및 이와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발명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ㅇ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및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멀티 미디어 기기의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는 전원에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된다. 최근에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함으로 인하여 빠르게 방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잦은 충전이 필요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 케이블은 전력이 공급되는 콘센트뿐만 아니라 컴퓨터 등에도 연결되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최근에는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배터리를 분리하지 않고, 단말기 본체를 충전 케이블에 연결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한편, 분리형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의 경우에도 배터리를 장착한 상태에서 단말기 본체를 케이블과 연결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하는 전원으로부터 단말기 본체까지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의 어느 한 영역이 단락 되어 배터리를 충전하는 동안 이동 단말기가 도난 될 우려가 있어, 사용자가 배터리를 충전하는 동안 불편을 겪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동안 배터리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를 포함하고, 충전용 케이블과 연결된다, 상기 충전 케이블은 상기 단말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원공급부와 연결 시에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공급하는 전력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를 충전한다. 상기 충전 케이블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관리부, 상기 전원관리부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기 케이블의 단락여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케이블의 단락여부 및 상기 케이블의 단락여부 중 어느 하나를 판단하여 도난신호를 출력하는 도난감지회로, 상기 도난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알람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면에 탈부착됨에 따라 물리적으로 스위칭 되도록 형성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을 감지하여 도난감지회로에 신호를 송신하는 스위칭감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이 단락된 경우 및 상기 케이블과 단말기 본체가 단락된 경우 이동 단말기가 충전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단락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도난감지회로에 신호를 송신하는 충전전원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케이블이 단락된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단말기 본체로부터 상기 케이블이 단락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인식하도록 기설정된 저항값을 갖는 ID핀을 구비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정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에 의하여 도난방지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기 케이블의 단락을 감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경고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피커가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함과 동시에 케이블의 단락을 감지하여 도난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도난방지용 구성이 불필요하다. 또한, 상기 케이블은 데이터의 송수신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등에 연결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도난방지기능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설정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도난방지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경우 다시 도난방지기능이 활성화되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된다.
도 1은 충전 케이블과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충전 케이블의 제1 연결부와 스위치부의 개념도.
도 3은 이동 단말기 및 전원부에 연결된 충전 케이블의 단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충전 케이블의 구성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의 도난방지기능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a 내지 도 7c는 도 5의 도난방지기능의 해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충전 케이블 및 이에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ㅇ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ㅇ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충전 케이블과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본체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카메라 및 플래시를 갖는 임의의 휴대 전자 장치,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O(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으로 불릴 수 있다)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반대되는 면을 덮는 리어 케이스(102) 및 상기 리어 케이스(102) 덮고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관을 구성하는 배터리 커버(103)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 및 상기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 부품들이 내장된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11), 신호입력부(117), 전면 카메라부(116) 및 근접센서(112)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이페이퍼(e-paper)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게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한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스크린'으로 칭하기로 한다. 터치스크린(151) 상의 어느 한 곳에 대하여 터치가 있으면 그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내용이 입력된다.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터치감지수단은 디스플레이부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밝은 곳에서 터치스크린의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출력부(111)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 또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카메라부(116)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카메라(116)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카메라(116)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신호입력부(117)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입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키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지며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신호입력부(117)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작, 종료, 스크롤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112)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12)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12)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12)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의 측면에는 사이드키(114), 인터페이스부(125) 및 음향입력부(113) 등이 배치된다.
사이드키(114)는 조작유닛으로 통칭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사이드키(114)는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사이드키(114)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키(114)에 의하여, 영상입력부(116)의 제어, 음향출력부(111)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음향입력부(11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2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2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215, 125)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포트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배터리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는 내장형 배터리이거나, 단말기 본체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 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케이블(300)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부(12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충전 케이블(300)의 일 단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에 연결되어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충전 케이블(300)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충전 케이블(300)의 구체적인 구조를 살펴본다.
도 2는 충전 케이블의 제1 연결부와 스위치부의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충전 케이블(30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10)와 제1 연결부(320), 제2 연결부(340) 및 스위치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310)는 전력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고, 전선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연결부(320)는 상기 연장부(310)의 일단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연결부(32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포트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부(320)는 제1 바디부(331)에 형성되는 발광부(3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322)는 발광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322)는 상기 제2 연결부(320)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경우 및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상태에 따라서 발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330)는 상기 연장부(310)에서 분파(分派)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부(330)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관에 부착가능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연결부(320)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스위치부(330)는 스위치바디(331), 접착부(332)와 누름스위치(333)를 포함한다.
상기 누름스위치(333)는 상기 스위치바디(33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누름스위치(333)는 상기 스위치부(330)가 상기 단말기 본체에 부착되면, 눌려 신호가 발생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단말기 본체에 상기 스위치부(330)가 부착 또는 해지 됨에 따라 상기 누름스위치(333)가 스위칭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접착부(332)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 본체의 일면에 상기 스위치부(33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332)는 양면 테이프 등 접착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접착부(332)는 누름스위치(333)가 스위칭되도록 상기 스위치부(330)를 상기 단말기 본체에 부착할 수 있는 부재로 형성된다.
즉, 상기 단말기 본체로부터 상기 스위치부(330)가 분리되면, 상기 누름스위치(333)가 스위칭 되어 신호를 생성하므로, 상기 누름스위치(333)의 스위칭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300)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321)에 걸림돌기(323)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323)에 대응되도록 상기 스위치바디(331)의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걸림홈(334)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300)을 사용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기 본체에 상기 스위치부(330)를 부착하지 아니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걸림돌기(323)와 상기 걸림홈(334)를 결합시켜 상기 제1 연결부(320)와 상기 스위치부(330)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부(330)를 포함하는 케이블(300)의 사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340)는 상기 케이블(300)의 연장부(310)의 타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연결부(340)는 전력이 제공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100)방향으로 전달되는 영역이다. 상기 제2 연결부(340)는 정보 등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하여 컴퓨터 등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핀(pin)을 구비하는 포트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결부(340)가 전력을 제공하는 콘센트에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제2 연결부(340)와 상기 콘센트를 연결하는 플러그(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결부(340)는 상기 케이블(300)의 상기 제1 연결부(320)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단락되는 경우, 상기 연장부(310)가 단락되는 경우, 상기 제2 연결부(34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이 차단되는 경우 및 상기 누름스위치(333)가 스위칭 되는 경우에 이를 소리로 알려주는 알람부(341, 도 3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블(300)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로 전력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도난을 알려주는 도난방지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도난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케이블(3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이동 단말기 및 전원부에 연결된 충전 케이블의 단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4는 충전 케이블의 구성도이다.
상기 케이블(300)의 일단부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전력을 제공하는 상기 전원공급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를 충전한다.
한편, 상기 케이블(300)의 타단부는 컴퓨터 등 전력을 공급하는 동시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자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300)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버스라인(V.BU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300)로부터 분리되는 스위칭부(333)과 알람부(34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부(333)와 상기 알람부(341) 사이에는 상기 케이블(300)로 흐르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측정부(342)가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전압측정부(342)가 형성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케이블의 단락이 이루어지면, 상기 알람부(341)과 상기 이동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경고음이 출력된다. 상기 경고음이 출력되는 케이블의 단락은 이동 단말기(100)와 케이블(300)의 연결이 해지되는 경우(A) 즉, 이동 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부(125)로부터 상기 케이블(300)의 제1 연결부(320)가 분리되는 경우, 케이블(300) 자체가 절단되어 단락되는 경우(B), 전원공급부(100')로부터 케이블(300)의 연결이 해지되는 경우(C) 및 스위칭부(330)가 스위칭되는 경우(D)에 발생된다. 이하, 이동 단말기(100)와 케이블(300) 및 전원공급부(100')의 구성에 따른 경고음 발생을 설명한다.
상기 케이블(300)은 전원관리부(301), 도난감지부(302), 알람부(341) 및 스위치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관리부(301)는 알람충전부, 예비입력부, 충전전원입력부 및 충전전원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난감지부(302)는 도난감지회로, 입력전원감지부, 충전전원공급부, 충전전원감지부 및 스위치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알람충전부는 상기 알람부(341)와 연결되어 상기 알람부에 전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하는 케이블(300)의 일영역이 단락 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알람부(341)에 전력이 전달되므로 도난에 의한 알람을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알람충전부와 상기 알람부(341)가 단락되는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케이블이 상기 전원공급부(10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알람부(341)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알람부(341)는 자체적으로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예비입력부는 전원공급부(100')로 제공받은 전력의 일부를 상기 알람충전부에 공급하고, 나머지를 예비입력부에 공급한다. 상기 예비입력부는 상기 도난감지부(302)의 상기 입력전원감지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예비입력부는 약 5V의 전력을 상기 입력전원감지부에 공급하고, 상기 입력전원감지부는 상기 약 5V의 전력이 제공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정상적으로 제공되었으면 정상신호를 상기 충전전원공급부에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100')로부터 케이블(300)의 연결이 해지되는 경우(C) 상기 예비입력부로 전력이 공급되지 아니하고, 이에 따라 상기 입력전원감지부에도 전력이 공급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입력전원감지부는 이상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도난감지회로에 송신한다.
상기 도난감지회로는 상기 이상신호에 따라서 알람신호를 상기 알람부(341)에 송신한다,
상기 알람부(341)는 증폭회로와 스피커를 포함한다. 상기 알람부(341)는 상기 알람신호를 입력 받으면 구동되고, 증폭회로를 통하여 상기 스피커에서 경고음이 출력된다.
한편, 상기 플러그(300)가 상기 전원공급부(10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C)에도 상기 알람부(341)에서 경고음이 출력된다.
예를 들어, 상기 플러그(300)가 상기 전원공급부(10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예비 입력부와 상기 입력전원감지부가 단락되기 때문에 상기 입력전원감지부에 전력이 공급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상기 입력전원감지부는 상기 이상신호를 상기 도난감지회로로 전달하고 이에 따라 알람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경고음이 출력된다.
두 번째로, 케이블(300) 자체가 절단되어 단락되는 경우(B)에도 알람부(341)에서 경고음이 출력된다.
상기 정상신호를 수신한 상기 충전전원공급부는 상기 전원관리부(301)의 상기 충전전원입력부에 일전 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전력은 약 5V정도이다. 상기 충전전원입력부는 상기 일전 전력을 상기 충전전원출력부에 제공하고, 상기 충전전원출력부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에 전력이 공급되어 배터리가 충전된다. 상기 충전전원출력부는 상기 일정 전력을 상기 충전전원감지부에 제공한다. 상기 충전전원감지부는 상기 제공되는 상기 일정 전력을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가 정상적으로 충전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도난감지회로에 전달한다.
이 경우, 상기 케이블(300) 자체가 절단되어 단락되는 경우(B)에 상기 예비입력부와 입력전원감지부 사이, 상기 충전전원입력부와 충전전원공급부 사이 및 상기 충전전원출력부와 상기 충전전원감지부 사이 중 적어도 하나가 단락되기 때문에, 상기 입력전원감지부 또는 상기 충전전원감지부가 단락을 판단하여, 이상신호를 상기 도난감지회로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도난감지회로는 알람신호를 상기 알람부에 송신하고, 알람부는 경고음을 출력한다.
세 번째로, 상기 스위칭부(330)가 스위칭되는 경우(D)에도 알람부에서 경고음이 출력된다.
상기 단말기 본체로부터 상기 스위치부(330)가 분리되는 경우, 상기 누름스위치(333)의 물리적인 눌림이 해지되므로, 상기 누름스위치(333)가 스위칭된다.
상기 누름스위치(333)가 해지되면 케이블(300)의 일영역이 단락되는 것과 동일한 현상이 발생하고, 상기 전압측정부(342)에 의하여 전압의 변화가 측정되고, 스위치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되어 이상신호가 상기 도난감지회로로 송신된다.
따라서 도난방지회로가 출력하는 알람신호에 의하여 상기 알람부는 경고음을 출력하게 된다.
네 번째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케이블(300)이 분리되는 경우(A)에 알람부(341)가 작동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음향출력부로부터 경고음이 출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도난이 일어나는 경우에, 상기 스위치부가 동시에 단말기 본체에서 분리되게 되나, 스위치부의 분리와는 별도로 제1 연결부(320, 도 1참조)가 상기 인터페이스부(125, 도 1참조)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도 경고음이 울릴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충전입력부, 충전감지부, 데이터입출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입력부는 상기 케이블(300)의 충전전원감지부와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입출력부는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경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알람부(341)가 작동하는 경우는 상기 케이블(300)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분리되면, 전원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의 흐름이 차단된다. 상기 충전입력부에 제공되는 전력이 차단되고, 이에 따라 상기 충전전원감지부가 감지하여 이상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이상신호에 의하여 도난감지회로에서 출력되는 알람신호에 의하여 상기 알람부(341)가 동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케이블(300)이 분리되면, 이동 단말기 자체의 도난경고가 활성화되어 음향출력부로부터 경고음이 출력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충전감지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감지한다. 상기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충전감지부는 상기 제어부에 도난경고의 활성화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300)은 이동 단말기가 인식할 수 있는 기 설정된 저항값을 갖는 ID핀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ID핀이 분리되면, 상기 제어부는 이를 인식하여 도난경고를 활성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를 충전함과 동시에 케이블의 단락을 감지하여 도난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도난방지용 구성이 불필요하다. 또한, 상기 케이블(300)은 데이터의 송수신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등에 연결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도난방지기능을 설정 또는 해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이동 단말기 상에서 도난방지기능이 실행되는 과정을 검토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의 도난방지기능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난경보기능을 설정하고, 도난경보기능을 해지하는 경우 사용자 본인임을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의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케이블(300)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300)이 전원공급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도난방지기능의 설정창(410)에서 기능이 온(ON)된다. 상기 도난방지기능의 설정 시에 사용자의 이름을 입력창(411)에 입력하고, 해제 비밀번호 입력창(412)에 입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본인의 이름인 "김철수"와 비밀번호인 "1234"를 입력한다. 상기 입력들이 완료되어 도난방지기능이 활성화되고, 동시에 배터리의 충전이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도난방지기능의 옵션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인식후 자동실행여부(421)가 선택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블(300)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되는 경우, 별도의 사용자의 재설정 없이 도난방지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난방지기능을 해제한 후 다시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때까지의 해제유지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사용이 없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케이블(300)에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가 다시 재설정하지 않더라도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다시 도난방지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1분, 3분 또는 5분이 지나면 도난방지기능이 재실행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 안 함을 선택하여 한번 해제되면, 다시 실행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분리되어 경고음이 울리는 경우, 경고음이 기 설정된 간격으로 울리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하여 알람 발생 주기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10초, 30초, 1분, 3분 또는 5분의 주기로 경고음이 울리도록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난방지기능을 설정한 후, 케이블(300)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분리되면, 도난경보가 활성화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5의 도난방지기능의 해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설정된 도난방지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케이블(300)이 분리되면, 경고음이 출력됨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도난방지기능이 동작 중 입니다." 라는 문구의 경고창(451)을 출력한다. 이와 함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현재 휴대폰은 주인이 찾고 계십니다." 라는 문구 또는 사용자의 사진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도난방지기능을 해제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도난방지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입력창(441)을 표시한다.
사용자에 의한 이름과 비밀번호의 입력이 기설정된 이름과 비밀번호가 불일치하는 경우, 도난방지기능은 해제되지 않으며, 경고음이 출력된다. 또한, 상기 이름과 비밀번호를 재입력할 수 있는 회수가 제한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수를 초과하여 설정된 이름 및 비밀번호와 불일치하도록 입력되면 도난방지기능을 해제할 수 없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이름 및 비밀번호와 다른 "김영희"와 "1333"을 입력하는 경우 도난방지기능이 해제되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경고음이 울리지 않도록 제어하거나,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동안에도 경고음이 울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5회 이상 틀린 이름 및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도난방지기능을 해제할 수 없도록 제어한다. 다만, 기 설정된 시간이 흐르면 도난방지기능을 해제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하여 기 설정된 이름 및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이름 및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정상적으로 해제되었습니다"라는 문구를 포함하는 해제알림창(452)가 표시되고, 도난방지기능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경고음이 출력되고 있는 경우에는 경고음의 출력도 중단된다.
도 7c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정확한 이름 및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도난방지기능이 해제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창(441)에 김영희와 1333이 각각 입력되면, "정상적으로 해제되었습니다." 라는 알림창(452)이 표시된다. 따라서, 경고음의 출력이 중단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은 상기 케이블(300)을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분리한 후에 진행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케이블(300)과 이동 단말기(100)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도난방지기능 해제명령에 의하여 상기 도난방지기능이 해제되고, 그 후 케이블(300)과 이동 단말기(100)를 분리할 수도 있다.
기 설정된 시간, 즉 사용자가 도난방지기능의 설정시에 지정한 시간이 흐르면, 사용자의 명령 없이 상기 도난방지기능이 재설정된다.
이동 단말기의 도난방지기능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설정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도난방지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경우 다시 도난방지기능이 활성화되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도난방지용 장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충전 케이블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도난방지기능이 제어되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충전용 케이블과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5)

  1.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원공급부와 연결 시에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공급하는 전력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를 충전하는 충전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케이블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관리부;
    상기 전원관리부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기 케이블의 단락여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케이블의 단락여부 및 상기 케이블의 단락여부 중 어느 하나를 판단하여 도난신호를 출력하는 출력하는 도난감지회로; 및
    상기 도난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면에 탈부착됨에 따라 물리적으로 스위칭 되도록 형성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을 감지하여 도난감지회로에 신호를 송신하는 스위칭감지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단락된 경우 및 상기 케이블과 단말기 본체가 단락된 경우 이동 단말기가 충전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단락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도난감지회로에 신호를 송신하는 충전전원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단락된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단말기 본체로부터 상기 케이블이 단락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인식하도록 기설정된 저항값을 갖는 ID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정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에 의하여 도난방지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기 케이블의 단락을 감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경고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피커가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20084111A 2012-07-31 2012-07-31 충전 케이블과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KR20140027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111A KR20140027605A (ko) 2012-07-31 2012-07-31 충전 케이블과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111A KR20140027605A (ko) 2012-07-31 2012-07-31 충전 케이블과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605A true KR20140027605A (ko) 2014-03-07

Family

ID=5064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111A KR20140027605A (ko) 2012-07-31 2012-07-31 충전 케이블과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76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131A1 (ko) * 2018-02-23 2019-08-29 삼성전자 주식회사 경보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및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US20210218254A1 (en) * 2020-01-13 2021-07-15 Se-Kure Controls, Inc. Security system with usb sens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131A1 (ko) * 2018-02-23 2019-08-29 삼성전자 주식회사 경보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및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190101823A (ko) * 2018-02-23 2019-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경보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및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US11282356B2 (en) 2018-02-23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alert, and system comprising locking device coupled to electronic device
US20210218254A1 (en) * 2020-01-13 2021-07-15 Se-Kure Controls, Inc. Security system with usb sensor
US11876392B2 (en) * 2020-01-13 2024-01-16 Se-Kure Controls, Inc. Security system with USB sen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8728B1 (ko) 휴대 단말기
CN105282313B (zh) 移动终端和用于该移动终端的控制方法
JP6403388B2 (ja) 情報をディスプレイするモバイル装置及び方法
US7620432B2 (en) Mobile terminal for interoperating with a standard or push-button enabled headset
EP2953268B1 (en) Mobile/portable terminal
KR101727495B1 (ko) 이동 단말기
EP2117206A2 (en) Mobile apparatus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US20130225127A1 (en) Proximity tag
US11811963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vely applying security mode in mobile device
CN104243687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15012020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23567A (ko) 이동 단말기의 충전방법
CN105511749A (zh) 设备控制方法及装置
US9509358B1 (en) Behavior adaptive battery control system for mobile device case
KR10156038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KR20140027605A (ko) 충전 케이블과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WO2016113736A1 (en) Keypad flip cover for mobile devices
KR20200013548A (ko) 디지털 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91707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1183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TWI526997B (zh) 警示裝置
KR20200015979A (ko)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 장치의 배터리의 충전을 제공하기 위해 어포던스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511271B1 (ko) 확장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2580884B1 (ko) 식별한 커버들의 종류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210927706U (zh) 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