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7317A - 네뷸라이저 및 포장 용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뷸라이저 및 포장 용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7317A
KR20140027317A KR1020137031108A KR20137031108A KR20140027317A KR 20140027317 A KR20140027317 A KR 20140027317A KR 1020137031108 A KR1020137031108 A KR 1020137031108A KR 20137031108 A KR20137031108 A KR 20137031108A KR 20140027317 A KR20140027317 A KR 20140027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nebulizer
packaging container
packaging
transpor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1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홀거 홀라코브스키
멜라니 헤르츠바흐
홀거 크렌츠
하이크 라스
Original Assignee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27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3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8Details of the container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ir or other gas pressure applied to the liquid or other product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5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with stepwise advancement of the piston, e.g. for spraying a predetermined quantity of cont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with a mechanical means to disable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with a mechanical means to disable actuation
    • B65D83/224Tamper indicating means obstructing initial actuation, e.g. removable
    • B65D83/226Tamper indicating means obstructing initial actuation, e.g. removable preventing initial depression of th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5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with means for preventing delivery, e.g. shut-off when inve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unwanted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6Packaging for specific medical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2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in shrink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5Containers having parallel or coaxial compartments, provided with a piston or a movable bottom for discharging contents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2)용 네뷸라이저(1), 바람직하게는 흡입기를 형성하는 네뷸라이저(1), 및 운송 상태의 상기 네뷸라이저(1)를 수용 및 홀딩하기 위한 포장 용기(3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네뷸라이저(1)는 상기 유체(2)를 포함하는 컨테이너(3)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3)는 상기 네뷸라이저(1) 내에 미리 설치되며,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운송 상태의 상기 네뷸라이저(1)에 유체 연결되지 않고, 상기 포장 용기(30)는 적어도 하나의 면 위에서 상기 네뷸라이저(1)를 커버하고, 상기 포장 용기(30)는 상기 운송 상태에서 상기 컨테이너(3)의 유체 연결 또는 개방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네뷸라이저 및 포장 용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SYSTEM COMPRISING A NEBULIZER AND A PACKAGING}
본 발명은, 네뷸라이저(nebulizer), 특히 흡입기(inhaler), 및 포장 용기(packaging)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또한, 및 운송 상태(delivery state)에서의, 컨테이너의 유체(fluid) 연결 또는 개방 및/또는 상기 네뷸라이저의 완전한 밀폐 및/또는 상기 네뷸라이저의 완전한 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네뷸라이저용 포장 용기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WO 2006/125577 A2는, 분무될(atomized) 유체에 대한 저장소로서, 상기 유체를 포함하는 내부 백(bag)을 갖는 삽입형 경질 컨테이너와, 상기 유체를 운송(deliverying) 및 분무하기 위한 구동 스프링을 갖는 압력 발생기를 갖는 네뷸라이저를 기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테이너는 운송 상태의 네뷸라이저 내에 미리 설치된다. 처음 사용하기 전에 상기 네뷸라이저의 고박 부재(securing member), 예를 들면, 밴더롤이, 상기 네뷸라이저의 하우징이 완전하게 밀폐될 수 있도록 개방 또는 제거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미리 설치된 컨테이너는, 상기 컨테이너의 상기 내부 백에 유체 연결시키기 위해 밀봉부 및 격막을 천공하는 운송 튜브에 의해 개방된다. 상기 네뷸라이저의 상기 하우징의 하부 하우징 부품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구동 스프링을 장력하에 둘 수 있고, 유체가 상기 압력 발생기의 압축 챔버 내로 흡인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네뷸라이저 내의 스트로크 운동으로 상기 하부 하우징 부품 내로 이동되며, 최초에 텐셔닝(tensioning)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하부 하우징 내에서 천공 소자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의 기저부를 관통하여 천공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통기를 허용할 수 있다. 고정해제 소자의 수동 조작 후, 상기 구동 스프링이 고정해제되고, 상기 가압 챔버 내의 유체는 상기 구동 스프링에 의해 가압하에 있으며, 추진제 기체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에어로졸로서 노즐을 통해 마우스피스 내로 운송 또는 분무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네뷸라이저 및 포장 용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 그리고 최적화되거나 용이한 핸들링이 가능한 네뷸라이저용 포장 용기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르는 시스템 또는 청구항 16에 따르는 용도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양태들은 종속항들의 주제이다.
상기 컨테이너는 운송 상태의 상기 네뷸라이저 내에 미리 설치되며, 특히 상기 네뷸라이저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지만 여전히 밀폐되어 있고, 즉, 아직은 상기 네뷸라이저에 유체 연결되지 않는다. 상기 포장 용기는, 운송 상태에서 상기 컨테이너의 유체 연결 또는 개방을 방지하고/하거나 상기 네뷸라이저, 특히 상기 네뷸라이저의 하우징의 완전 밀폐를 방지하고/하거나, 운송 상태에서 상기 네뷸라이저 내로의 상기 컨테이너의 완전한 삽입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컨테이너의 유체 연결 또는 개방을 허용하고/하거나 상기 네뷸라이저, 특히 상기 네뷸라이저의 상기 하우징의 완전 밀폐 및/또는 상기 네뷸라이저 내로의 상기 컨테이너의 완전한 삽입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포장 용기는 상기 네뷸라이저로부터 탈착될 수 있거나 상기 네뷸라이저가 상기 포장 용기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네뷸라이저의 핸들링 또는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특히, 상기 포장 용기의 탈착은, 상기 네뷸라이저를 사용하기 위해 네뷸라이저를 해체(unpacking)하거나 상기 포장 용기를 개방할 때, 바람직하게는 직관적이거나 자동이다. 따라서, 사용하기 용이한 핸들링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장 용기는 상호 체결(interlocking) 또는 형태 맞춤(form-fit) 맞물림(engagement), 즉, 형태 맞춤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의 완전한 삽입 및/또는 상기 네뷸라이저, 특히 상기 네뷸라이저의 하우징의 밀폐, 또는 상기 네뷸라이저의 하우징 부품의 푸싱온(pushing on) 또는 푸싱인(pushing in)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의 바람직하지 않은 개방은, 상기 네뷸라이저의 운송 상태에서 매우 안정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뷸라이저는 운송 상태에서 네뷸라이저 내부의 컨테이너가 축 방향 이동 및/또는 개방되지 않도록 고박 또는 고정(fixing)시키기 위한 고박 수단(securing means) 또는 이송 잠금장치(transportation lock)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박 수단 또는 이송 잠금장치는, 상기 컨테이너를 개방하는 동안에 또는 개방한 후에 및/또는 상기 네뷸라이저를 완전하게 밀폐하는 동안에 또는 완전하게 밀폐한 후에, 특히 하우징 부품이 푸싱온 또는 푸싱인되는 밀폐 운동 종료시에, 무기력화, 고정해제 또는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고박 수단 또는 이송 잠금장치는 상기 포장 용기와 협력하여 (추가로) 상기 컨테이너의 바람직하지 않은 개방/유체 연결을 방지하고/하거나 운송 상태에서 상기 고박 수단 또는 이송 잠금장치의 바람직하지 않은 무기력화 또는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뷸라이저는 상기 미리 설치된 컨테이너를 홀딩(holding)하기 위한 고박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네뷸라이저로부터 분리될 수 없고/없거나 상기 운송 상태에서 이동할 수 없게 홀딩된다. 특히, 상기 고박 수단은 환형이고/이거나, 상기 컨테이너 위에 형성된 주름(corrugation)들과 협력하는 손가락형이고/이거나 편향된(biased) 홀딩 소자를 포함한다. 이는 매우 간단한 실현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상기 네뷸라이저가 이의 운송 상태에서도,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에 제공된, 밀폐된 컨테이너를 갖는다는 점과, 상기 네뷸라이저가 상기 네뷸라이저의 최초 사용 전에 또는 최초 사용 동안에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네뷸라이저 내에서 개방되도록 구성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본 발명에서 "미리 설치된 컨테이너"로도 지칭된다. 이는, 상기 네뷸라이저를 개방하여 컨테이너를 삽입하고 상기 네뷸라이저를 밀폐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더욱이, 상기 컨테이너의 삽입시 최종 사용자의 부정확한 핸들링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네뷸라이저의 바람직하지 않은 오염 또는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가 잘못 삽입되는 것 또는 삽입하는 동안에 다른 방식으로 오용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조작 안전성이 더욱 우수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테이너는 대체될 수 없으며 특히 제거될 수 없다. 이는 다시, 조작을 더욱 용이하게 하여 조작 신뢰성을 개선시킨다. 이는 또한 상기 네뷸라이저가 바람직하지 않거나 인증되지 않은 방식으로 사용 또는 재사용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상기 네뷸라이저는 개방될 수 없으며, 하부 하우징 부품은 빈 컨테이너를 채워진 컨테이너로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으로 대체시키기 위해 제거될 수 없다.
상기 미리 설치된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를 대체 불가능하게 하는 구성품의 조합으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컨테이너가 비어질 때까지 상기 네뷸라이저를 1회용품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조작이 특히 용이하고 조작 신뢰성이 높으며, 상기 컨테이너가 대체될 수 없다는 사실로 인해, 상기 네뷸라이저의 바람직하지 않거나 인증되지 않은 추가 사용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추가 이점들, 특성들, 특징들 및 측면들은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을 참조로 한 바람직한 양태들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텐셔닝되지 않은 상태(non-tensioned state)에서의 공지된 네뷸라이저의 도식도이다;
도 2는 텐셔닝된 상태에서의 공지된 네뷸라이저의 도식도이며, 도 1에 비해 90° 회전되어 있다.
도 3은 부분적으로 밀폐된 하우징과 미리 설치된 밀폐된 컨테이너를 갖는, 운송 상태의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는 네뷸라이저 및 포장 용기를 갖는 시스템의 도식도이다.
도 4는 완전하게 밀폐된 하우징 및 개방된 컨테이너를 갖는, 활성화되거나 텐셔닝된 상태에 있는 포장 용기가 없는 도 3에 따르는 네뷸라이저의 도식도이다.
도 5는 텐셔닝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도 4에 따르는 네뷸라이저의 도식도이다.
도 6은 변형된 양태에 따르는 네뷸라이저와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는 포장 용기를 갖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는 시스템의 도식도이다.
도 7은 고박 수단에 의해 홀딩된 미리 설치된 컨테이너를 갖지만 하부 하우징 부품은 갖지 않는 도 6에 도시된 네뷸라이저의 도식도이다.
도 8은 도 6에 따르는 컨테이너 및 고박 수단의 투시도이다.
도 9는 완전하게 삽입된 컨테이너를 갖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네뷸라이저의 도식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6의 라인 XI-XI를 따르는 시스템의 도식도이다.
도 12는 변형된 양태에 따르는 시스템의 도 11과 유사한 도식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들에 대해 사용되었으며, 관련 설명이 반복되지 않은 경우에도 상응하거나 필적하는 특성들 및 이점들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유체(2)를, 특히 매우 효과적인 약제학적 조성물 및 약제 등을 분무하기 위한 공지된 네뷸라이저(1)를 텐셔닝되지 않은 상태로(도 1) 그리고 텐셔닝된 상태로(도 2)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네뷸라이저(1)는 특히 휴대용 흡입기로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오직 기계적으로 및/또는 추진제 기체 없이 조작한다.
유체(2), 바람직하게는 액체, 보다 특히 약제학적 조성물이 분무되는 경우, 에어로졸(14)(도 1)이 형성되며, 이는 사용자에 의해 호흡 또는 흡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흡입이 하루에 적어도 1회, 더욱 특히 하루에 수 회 수행되며, 바람직하게는 환자가 겪고 있는 불편 또는 질병에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수행된다.
네뷸라이저(1)는 유체(2)를 포함하는 삽입 가능한 또는 대체 가능한 컨테이너(3)를 구비하거나 포함한다. 따라서, 컨테이너(3)는 분무될 유체(2)에 대한 저장소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3)는 유체(2) 또는 활성 물질의 다회 투여량을, 특히 200개 이하의 투여 단위 또는 투여량을 제공하기에, 즉, 예를 들어 200회까지 분무 또는 투여하기에 충분한 다회 투여량을 함유한다. WO 96/06011 A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통상의 컨테이너(3)는, 예를 들면, 약 2 내지 10ml의 용적을 보유한다.
상기 투여량은 특히 유체(2) 또는 약제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네뷸라이저(1)는 각각 조정될 수 있다.
추가로, 컨테이너(3)에 포함된 투여량의 개수 및/또는 컨테이너(3)에 포함된 유체(2)의 총 용적은 유체(2) 또는 각각의 약제에 따라 및/또는 컨테이너(3)에 따라 및/또는 필요한 약제 등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컨테이너(3)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또는 카트릿지형이고, 일단 네뷸라이저(1)가 개방되면 컨테이너(3)는 바람직하게는 하부로부터 내뷸라이저 내에 삽입되고 경우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강성 구조이고, 특히 유체(2)는 컨테이너(3) 내의 접이식 백(4) 내에 홀딩된다.
네뷸라이저(1)는 바람직하게는, 유체(2)를 특히 미리 설정되고 임의로 조절 가능한 투여량으로 전달 및 분무하기 위한 압력 발생기(5)를 포함한다. 압력 발생기(5)는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3)를 고정해제 가능하게 홀딩하는 홀더(6), 홀더(3)와 관련된 구동 스프링(7)(이는 부분적으로만 도시됨), 홀더(6)를 잡아서 차단할 수 있고 홀더(6)를 고정해제하여 구동 스프링(7)이 팽창하도록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는 잠금 소자(8), 전달 구성요소(예를 들면, 전달 튜브(9)), 역류 방지 밸브(10), 가압 챔버(11), 및/또는 유체(2)를 마우스피스(13) 내로 분무하기 위한 노즐(12)를 포함한다. 상기 완전하게 삽입된 컨테이너(3)는 홀더(6)를 통해 네뷸라이저(1) 내에 고정 또는 홀딩되어, 전달 튜브(9)가 컨테이너(3) 내로 침투하도록 한다. 홀더(6)는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3)가 교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텐셔닝 과정에서 구동 스프링(7)이 컨테이너(3)에 대해 홀더(6)를 축 방향으로 텐셔닝하는 경우, 전달 튜브(9)는 상기 도면들에서 하향 이동하고, 유체(2)는, 컨테이너(3)로부터, 역류 방지 밸브(10)을 통해 압력 발생기(5)의 가압 챔버(11) 내로 흡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홀더(6)는 잠금 소자(8)에 의해 잡혀서 구동 스프링(7)이 압축되어 있게 한다. 그러면, 네뷸라이저(1)는 소위 활성화되거나 텐셔닝된 상태 하에 있다.
잠금 소자(8)의 작동(actuation) 또는 프레싱 후의 분무 과정에서 후속 이완되는 동안, 가압 챔버(11) 내의 유체(2)는, 이제 밀폐된 역류 방지 밸브(10)를 갖는 전달 튜브(9)가 가압 챔버(11) 내에서 구동 스프링(7)의 이완 또는 가압에 의해 뒤로 (도면에서는 상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압하에 있으며, 이제 가압 램(pressing ram) 또는 피스톤으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압력은 유체(2)를 노즐(12)을 통해 가압하고, 이때 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로졸(14) 내로 분무된다.
일반적으로, 네뷸라이저(1)는 유체(2)에 대해 스프링 압력을 50 내지 200MPa,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MPa로 하여 그리고/또는 스트로크당 운송된 유체(2)의 용적을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로 하여 조작한다. 유체(2)는, 에어로졸(14)(이의 액적은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의 공기역학적 직경을 갖는다)로 전환되거나 상기 에어로졸(14)로서 분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성된 제트 분무는 20°내지 160°, 바람직하게는 80°내지 100°의 각을 갖는다. 이들 값은 또한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특히 바람직한 값으로서 네뷸라이저(1)에 적용된다.
사용자 또는 환자(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에어로졸(14)를 흡입할 수 있으며, 이때 바람직하게는 공기 공급은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공기 공급 개구(15)를 통해 마우스피스(13) 내로 흡인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네뷸라이저(1) 또는 구동 스프링(7)은, 특히 작동 부재의 작동에 의해 수동으로 활성화되거나 텐셔닝될 수 있다. 네뷸라이저(1)는 상부 하우징 부품(16)과 이에 대해 회전 가능한 내부 부품(17)(도 2)을 포함하며, 내부 부품(17)은 상부 부품(17a)과 하부 부품(17b)을 갖고(도 1), 한편 특히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하부) 하우징 부품(18)은 고정해제 가능하게 고정되고, 이는 특히 내부 부품(17) 위로, 바람직하게는 유지 소자(retaining element)(19)에 의해 맞춰지거나 홀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부품들(16, 18)은 네뷸라이저(1)의 하우징을 형성한다. 컨테이너(3)를 삽입 및/또는 대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은 개방될 수 있고/있거나 하우징 부품(18)은 네뷸라이저(1) 또는 이의 하우징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상기 작동 부재,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부품(18)은 작동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부 하우징 부품(16)에 대해 회전하여 내부 부품(17)을 구동시킨다. 결과적으로, 구동 스프링(7)은 내부 부품(17), 특히 이의 상부 부품(17a)과 홀더(6) 사이에 형성된 기어 또는 변속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축 방향으로 텐셔닝하며 홀더(6)에 대해 작용한다. 텐셔닝하는 동안, 컨테이너(3)는, 컨테이너(3)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말단 위치를 맡을 때까지 축 방향으로 하향 이동된다. 이러한 활성화된 또는 텐셔닝된 상태에서, 구동 스프링(7)은 장력하에 있으며, 상기 잠금 소자(8)에 의해 잡히거나 홀딩될 수 있다. 상기 분무 공정 동안, 컨테이너(3)는 구동 스프링(7)에 의해 이의 원래 위치(도 1에 도시된 텐셔닝되지 않은 위치 또는 상태)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컨테이너(3)는 유체(2)의 텐셔닝 공정 또는 전달 동안에 및/또는 압력 생성 또는 분무(공정) 동안에 리프트(lifting) 또는 스트로크 또는 선형 운동 또는 상하 운동을 수행한다.
하우징 부품(18)은 바람직하게는 캡형 하부 하우징 부품을 형성하고, 컨테이너(3)의 하부 자유 말단 부분에 맞춘다. 구동 스프링(7)이 텐셔닝됨에 따라, 컨테이너(3)는 (추가로) 하우징 부품(18) 내로 이의 말단 부분이 이동하거나 이의 말단면을 향해 이동하면서, 하우징 부품(18)에 배열된 축 방향 작용 스프링(20)과 같은 통기 수단이 컨테이너(3)의 기저부(21)과 접촉하여, 컨테이너(3)가 처음 천공 소자(22)와 접촉할 때 컨테이너(3) 또는 그 위의 기본 밀봉부를 천공 소자(22)로 천공하여, 공기 유입 또는 통기를 허용한다.
네뷸라이저(1)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 부품(16)에 대한 내부 부품(17)의 회전을 검측함으로써, 네뷸라이저(1)의 작동을 계수하는 모니터링 장치(23)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23)는 네뷸라이저(1)의 (추가) 작동 또는 사용을 차단하며, 예를 들면, 작동 또는 방출 투여량의 특정 갯수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는 경우 상기 고정해제 소자(8)의 작동을 차단한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는 시스템(100)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는 네뷸라이저(1) 및 포장 용기(30)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형성된다.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네뷸라이저(1)는 도 1 및 도 2에 따르는 네뷸라이저(1)와 상이하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에 따르는 네뷸라이저(1)와의 본질적인 차이들만이 강조되거나 논의될 것이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관한 설명은 바람직하게는 상응하게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되며, 한편으로 도 1 및 도 2에 따르는 네뷸라이저(1)와 이후 기술되는 네뷸라이저(1)의 특징들의 임의의 바람직한 조합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3)는 미리 설치된다. 이는 특히 WO 2006/125577 A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실현될 수 있다. 특히, 네뷸라이저(1)는 구성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3)는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미리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기타 구성상의 해법들이 또한 이후 설명된 바와 같이 가능하다.
도 3은 운송 상태의, 포장 용기(30) 내에 네뷸라이저(1)를 갖는, 즉, 아직 밀폐된 미리 설치된 컨테이너(3)를 갖는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네뷸라이저(1)의 하우징은 완전하게 밀폐되지 않으며, 특히 하우징 부품(18)은 내부 부품(17)이 완전하게 푸싱온되지 않는다. 도 4 및 5는 완전하게 밀폐된 하우징과 개방된 컨테이너(3)를 갖는, 활성화된 상태에서의 네뷸라이저(1)를 도시한다. 도 4에서, 네뷸라이저(1) 또는 구동 스프링(7)은 텐셔닝되며, 즉, 컨테이너(3)는 이의 하부 위치에 있다. 도 5는 텐셔닝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예를 들면, 유체(2)의 1회 투여량을 분배 또는 분무한 후의 네뷸라이저(1)를 도시하며, 컨테이너(3)는 이의 상부 위치에 있다.
컨테이너(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송 상태의 네뷸라이저(1)에 이미 탑재되거나 미리 설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컨테이너(3)는 여전히 밀폐되어 있고, 즉, 한편으로는 컨테이너(3) 또는 이의 백(4)과 다른 한편으로는 네뷸라이저(1) 또는 이의 압력 발생기(5) 또는 전달 구성요소 사이에 어떠한 유체 연결도 없다.
컨테이너(3)는 분배될 유체(2)를 배출하기 위한 유체 배출구(24)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유체 배출구(24)는 한편으로는 컨테이너(3) 또는 이의 백(4)과 다른 한편으로는 네뷸라이저(1), 이의 압력 발생기(5) 또는 전달 구성요소 사이의 유체 연결을 허용한다.
컨테이너(3)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즉, 네뷸라이저(1) 내에 컨테이너(3)가 탑재되거나 미리 설치되기 전에, 상기 유체 배출구(24)는 임의로 제1 또는 외부 마개(25)에 의해 밀폐되고 바람직하게는 제2 또는 내부 마개(26)에 의해 밀폐된다. 특히, 제1 마개(25)는 제2 마개(26)을 커버한다.
제2 또는 내부 마개(26)는 바람직하게는 격막, 멤브레인, 플라스틱 밀봉부 등에 의해 형성되고/되거나 컨테이너(3) 내부에 제공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제1의 추가의 또는 임의의 제1 마개(25)는 바람직하게는 밀봉부, 호일, 캡 등에 의해, 특히, 금속성 및/또는 복합성 호일 등에 의해 형성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3)의 헤드 말단 또는 축 방향 말단에 대해 임의의 기타 적합한 방식으로 열 밀봉되거나 부착된다. 상기 도시된 양태에서, 제1 마개(25)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층을 갖는 열 밀봉된 호일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개(25, 26)는 별도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특히 제1 마개(25)가 제2 마개(26)로부터 독립적으로 개방될 수 있고/있거나 상기 제2 마개(26)보다 먼저 개방되도록 고안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개(25, 26)는 연속적인 개구가 하나의 일반적인 소자, 특히 전달 구성요소 또는 전달 튜브(9) 등에 의해 가능하도록 그리고/또는 천공에 의해 가능하도록 고안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제1 마개(25) 및 제2 마개(26)는 교대로 배열되고/되거나 축 방향 또는 컨테이너(3)의 스트로크 운동 방향 또는 유체(2)의 주요 배출 방향으로 이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또는 내부 마개(26)는 컨테이너(3)의 배출구 또는 헤드 말단으로부터 컨테이너(3) 또는 백(4) 내로 연장되는 마개 부품(27)에 의해 형성되거나 지지된다. 제1 또는 외부 마개(25)는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3)의 헤드 또는 축 말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되거나 플랜지(28)에 홀딩 또는 연결되며, 상기 플랜지(28)는 마개 부품(27)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부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기타 구성상의 해법들이 가능하다.
도 3에 따르는 운송 상태에서, 컨테이너(3)는 미리 설치된다. 즉, 네뷸라이저(1) 내로 삽입된다. 그러나, 컨테이너(3) 또는 이의 유체 배출구(24)는 아직 개방되지 않는다. 특히, 제1 마개(25)는 이미 개방되지만, 제2 마개(26)는 개방되지 않는다. 이는, 특히, 컨테이너(3)가 네뷸라이저(1) 내로 완전하게 삽입되어 있지 않고/않거나 네뷸라이저(1)의 하우징이 부분적으로만 밀폐된다는 점, 즉, 바람직하게는 제시된 양태에서의 하우징 부품(18)에 대한 완전하지 않은 밀폐 또는 푸싱에 의해 운송 상태에서 완전하게 밀폐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3), 유체 배출구(24) 또는 마개(25, 26)는 전달 튜브(9)와 같은 전달 구성요소 등에 의해 및/또는 천공에 의해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방식으로 개방된다. 특히, 상기 개방은 네뷸라이저(1) 또는 전달 구성요소 또는 튜브(9) 등에 대한 컨테이너(3)의 운동 및/또는 종 방향 또는 축 방향 운동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도시된 양태에 따라, 제1 마개(25)는 운송 상태에서 미리 개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특히, 컨테이너(3)를 미리 설치하는 동안에 또는 미리 설치함으로써, 즉, 컨테이너(3)를 네뷸라이저(1) 내로 부분적으로 삽입하고/하거나 네뷸라이저(1)의 하우징 또는 하우징 부품(18)을 부분적으로 밀폐시킴으로써, 네뷸라이저(1) 또는 전달 구성요소 또는 튜브(9)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특히, 제1 마개(25)는, 바람직하게는 부분적으로만, 컨테이너(3)를 삽입하는 동안, 삽입함으로써 또는 삽입할 때에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부분적으로, 네뷸라이저(1)의 하우징 또는 하우징 부품(18)을 밀폐하는 동안, 밀폐함으로써 또는 밀폐할 때에 개방된다. 그러나, 격막과 같은 제2 마개(26)는 운송 상태 및/또는 미리 설치된 상태에서 여전히 밀폐된 상태로 남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개(25, 26)는 둘 다, 상기 전달 구성요소가 마개(25, 26)를 천공 또는 개방하는 경우 어떠한 물질도 유체(2) 내에 떨어지지 않지만 상기 마개 부분(27) 등에 연결되고/되거나 옆으로 피보팅(pivoting)되도록 고안될 것이다.
운송 상태에서, 제2 마개(26)가 밀폐된 상태로 있으므로, 컨테이너(3) 및 유체 배출구(24)도 밀폐된 채로 남아 있다.
상기 도시된 양태에서, 컨테이너(3)는 바람직하게는 미리 설치된 상태 및/또는 운송 상태에서 하우징 부품(18)에서 고박 수단 또는 이송 잠금장치(29)에 의해 홀딩되어, 특히 컨테이너(3)가 이러한 상태에서 축 방향 이동할 수 없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송 상태에서, 네뷸라이저(1) 또는 하우징 부품(18)은 포장 용기(30)에 의해 고박되어,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3) 및/또는 하우징 부품(18)은 네뷸라이저(1) 또는 상부 하우징 부품(16)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되어 홀딩되고/되거나 전달 구성요소 또는 튜브(9), 하우징 또는 내부 하우징 부품(17) 등이 완전하게 삽입되거나 푸싱온되는 것을 방지하고/하거나 컨테이너(3)의 (완전한) 개방, 즉, 제2 마개(26)의 개방이 방지되고/되거나 네뷸라이저(1) 또는 이의 하우징의 완전한 밀폐가 방지된다.
상기 운송 상태에서, 포장 용기(30) 또는 이의 일부분(47)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부품들(16, 18)과 맞물려 있거나 또는 이들 사이에 맞물려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품 또는 하부 부품(18)은 축 방향으로 고박되거나, 상부 하우징 부품(16)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있거나 홀딩되거나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의 (완전한) 밀폐 및/또는 컨테이너(3)의 개방이 방지되고/되거나 상기 (여전히) 밀폐된 컨테이너(3) 또는 제2 마개(26)가 전달 튜브(9)로부터 떨어져 홀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장 용기(30) 또는 이의 일부분(47)은 네뷸라이저(1)의 완전 밀폐를 형태 맞춤 방식으로 또는 상호 체결 맞물림에 의해 차단하며, 즉, 운송 상태에서 컨테이너(3)의 유체 연결 또는 개방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포장 용기(30) 또는 이의 일부분(47)은 운송 상태에서 하우징 부품들(16, 18) 사이에 돌출(protrusion) 또는 압입(indention) 맞물림부를 포함하거나 형성한다. 상기 돌출 또는 압입 맞물림부는 바람직하게는 환형(ring-like)이다.
특히, 포장 용기(30)는 운송 상태에서 적어도 본질적으로 완전하게 네뷸라이저(1)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3은, 부분적으로 개방되고/되거나 단면도로 도시한, 관련 포장 용기(30) 내부의 네뷸라이저(1)를 도시한다.
특히, 포장 용기(30)는 운송 상태에서 적어도 본질적으로 완전히, 적어도 하나의 면(side)에서, 바람직하게는 종축 면에서 네뷸라이저(1)를 커버한다. 예를 들면, 포장 용기(30)는 포장된 상태에서, 즉, 운송 상태의 네뷸라이저(1)를 수용하기 위한 2개 내외의 보충적인 반편(half)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포장 용기(30)의 단 하나의 반편 또는 포장 용기(30)의 하나의 부품이, 운송 상태에서 컨테이너(3)의 유체 연결 개방 및/또는 네뷸라이저(1)의 완전한 밀폐를 방지하는 고박 수단을 형성할 수도 있다. 포장 용기(30)의 다른 하나의 부품 또는 반편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상기 고박 기능을 제공해야 하거나 본 발명의 견지에서 상기 고박 수단을 형성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포장 용기(30)는 네뷸라이저(1)를 수용하기 위한 포장 용기의 내부 부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포장 용기는 외부 케이스, 커버, 탭 등도 포함할 수 있다.
포장 용기(30)는 임의의 적합한 물질, 특히 호일, 플라스틱 또는 임의의 복합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로, 포장 용기(30)는 종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장 용기(30)는 성형된 또는 열성형된 플라스틱 부품을 포함하거나 상기 부품에 의해 형성된다. 추가로, 포장 용기(30)는 블리스터(blister) 등을 포함하거나 상기 블리스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포장 용기(30)는 수축 필름, 호일 등을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포장 용기(30)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쉘, 하우징, 팩키지(예를 들면, 박스) 등과 조합되거나 이들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네뷸라이저(1)가 포장 용기(30)로부터 해체 또는 제거되는 경우, 컨테이너(3)의 유체 연결 또는 개방을 허용하고/하거나 네뷸라이저(1)의 완전한 밀폐를 허용하기 위해, 포장 용기(30)는 네뷸라이저(1)로부터 탈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체 또는 제거되는 동안, 포장 용기(30)는 파괴 또는 파손될 수 있다. 또는, 포장 용기(30)는 파손되지 않으면서 개방될 수 있도록 고안될 수 있다.
네뷸라이저(1)가 포장 용기(30)로부터 분리 또는 제거되거나 포장 용기(30)가 네뷸라이저(1)로부터 분리 또는 제거되는 경우, 컨테이너(3)는 (네뷸라이저(1) 내부에서) 개방될 수 있고/있거나, 네뷸라이저(1) 또는 이의 하우징은 특히 하우징 부품(18)을 완전하게 푸싱인 또는 푸싱온함으로써 완전하게 밀폐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전한 밀폐는, 컨테이너(3)가 유체 연결되거나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한다. 추가로, 밀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박 수단 또는 이송 잠금장치(29)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3) 및/또는 하우징 부품(18)은 운송 상태에서 포지티브하게(positively) 또는 형태 맞춤 또는 상호 체결 방식으로 홀딩된다. 이는 특히 컨테이너(3)와 하우징 부품(18) 사이에서 작용하는 이송 잠금장치(29)와, 하우징 부품(18)과 네뷸라이저(1)의 하우징 또는 상부 하우징 부품(16) 사이에서 작용하는 포장 용기(30) 등에 의해, 본 발명의 양태에서 달성된다. 그러나, 포장 용기(30)는, 특히 도 6 내지 12를 참조로 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한편으로는 컨테이너(3)와, 다른 한편으로는 네뷸라이저(1), 이의 하우징, 상부 하우징 부품(16), 내부 하우징 부품(17) 또는 홀더(6) 사이에서 직접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치된 컨테이너(3), 즉, 이의 제1 마개(25)는 운송 상태, 즉,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미리 설치된 컨테이너(3)로 여전히 밀폐된다. 이러한 활성화되지 않은 위치에서, 하우징 부품(18)은 바람직하게는 고박되어, 손실될 수 없으며, 특히 고정해제될 수 없다. 이어서, 네뷸라이저(1)의 하우징 부품 또는 하부 부품(18)은 처음에 (부분적으로) 축 방향으로 푸싱온된 후 네뷸라이저(1)로부터 더 이상 탈착될 수 없으며, 즉, 네뷸라이저(1)는 더 이상 개방될 수 없어서, 컨테이너(3)는 변화될 수 없으며, 즉, 다시 제거될 수 없다.
운송 상태에서 또는 탈착되지 않도록 부분적으로 푸싱온되는 상태에서 하우징 부품(18)을 고박하기 위해, 포지티브하게 또는 상호 체결 또는 형태 맞춤 방식으로 홀딩되거나 래칭(latching)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부품(18)은, 특히, 하우징 부품(18) 등에서 관련 래칭 리세스(32)와 맞물려 있는 네뷸라이저(1)의 적어도 하나의 래칭 러그(latching lug)(31), 돌출부 또는 노즈(nose) 등을 포함하는 래칭 수단(43)에 의해 고박되며, 이로써, 하우징 부품(18)은 상호 체결 맞물림에 의해 축 방향 제거되지 않도록 고박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래칭 러그(31)는 바람직하게는 굴곡될 수 있는 래칭 암(latching arm)(33)에 의해 또는 래칭 암(33)에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부품(18)을 네뷸라이저(1) 또는 이의 하우징 또는 상부 하우징 부품(16)에 고박하기 위한 래칫(ratchet)형 또는 그 반대의 래칭 수단(43)이 형성된다. 그러나, 기타 구성상의 해법들이 또한 가능하다.
일단 포장 용기(30)가 제거되면, 사용자(도시되지 않음)는 축 방향으로 하우징 부품(18)을 완전하게 푸싱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전달 구성요소 또는 전달 튜브(9)를 삽입함으로써 컨테이너(3), 즉, 제2 마개(26)를 개방할 수 있다. 도 4 및 5는 하우징 부품(18)이 완전하게 푸싱온되고/되거나 컨테이너(3)가 개방된(네뷸라이저(1) 또는 이의 압력 발생기(5) 또는 전달 구성요소 또는 튜브(9)에 유체 연결된) 활성화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푸싱온되거나 활성화된 상태에서, 하우징 부품(18)은 바람직하게는 상호 체결 맞물림에 의해, 즉, 축 방향 형태 맞춤 방식에 의해, 특히 래칭 수단(43)의 추가의 맞물림에 의해 또는 몇몇 기타 기계적 고박 장치에 의해 고박되거나 축 방향으로 고정된다.
도 4는 또한 활성화된 상태에 있는 네뷸라이저(1) 또는 컨테이너(3)를 도시하며, 컨테이너(3), 즉, 제2 마개(26)는 개방되며, 즉, 컨테이너(3) 또는 이의 유체(2)는 네뷸라이저(1) 또는 이의 압력 발생기(5)에서 유체 연결되고, 하우징 부품(18)은 축 방향으로 완전하게 푸싱온되었다. 헤드 말단에서 홀더(6)를 컨테이너(3)와 맞물려 있게 한 다음, 흡인/텐셔닝 및 프레싱 스트로크를 위해 컨테이너(3)를 앞 및/또는 뒤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최초에 네뷸라이저(1) 또는 이의 구동 스프링(7)을 텐셔닝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텐셔닝 공정 동안, 홀더(6)는 하우징 부품(18)을 향해 또는 하우징 부품(18) 내로 전달 튜브(9)를 축 방향으로 함께 이동시켜 홀더(6)를 컨테이너(3)와 (완전히) 맞물리게 하고, 바람직하게는 또한 하우징 부품(18)의 기저부의 영역에서 천공 소자(22)에 대해 컨테이너(3)를 이동 또는 프레싱하여 이로써 컨테이너 기저부(21)에서 통기 개구부(34)를 천공 또는 개방한다. 도 4는 텐셔닝되고 활성화된 상태에서의 네뷸라이저(1)를 도시한다. 홀더(6)는 컨테이너(3)와 맞물려 있고, 전달 튜브(9)는 컨테이너(3) 내로 완전하게 삽입되었다.
도 5는 이완되고 텐셔닝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즉, 특정 투여량의 유체(2)를 분무 또는 방출시킨 후의 네뷸라이저(1)를 도시한다. 홀더(6) 및 컨테이너(3)는 상부 위치에 있다. 홀더(6)는 여전히 컨테이너(3)와 맞물려 있고, 네뷸라이저(1)의 추가 사용 동안에 맞물려 있는 상태로 남아 있다. 추가로, 컨테이너(3)는 여전히 개방되어 있고 유체 연결되며, 즉, 네뷸라이저(1)는 활성화된 채로 남아 있다.
도 3에 도시된, 즉, 컨테이너(3)를 갖는, 즉, 제2 마개(26)가 (아직) 밀폐되어 있는 운송 상태에서, 네뷸라이저(1)는 선적되거나 사용자에게 배송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는 미리 설치된 컨테이너(3)를 갖는 네뷸라이저(1)를 저장할 수 있다. 컨테이너(3)는 이후, 네뷸라이저(1)를 처음 사용하기 전에 또는 처음 사용하는 동안에, 즉, 포장 용기(30)를 제거하고 네뷸라이저(1) 또는 하우징 또는 하우징 부품(18)을 완전하게 밀폐시킬 때 개방될 것이다.
컨테이너(3)의 개방이 바람직하게는 기계적 수단 및/또는 수동 작동에 의해서만 수행됨을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를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면, 화학적, 전기적, 자기적, 공압식, 수압식 또는 유사한 수단에 의해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안된 네뷸라이저(1)는 포장 용기(30)를 제거하고 하우징 부품(18)을 (전체) 축 방향 푸싱온한 후에 활성화되며,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네뷸라이저(1)와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컨테이너(3)를 미리 설치하면, 잘못된 컨테이너(3) 또는 사용된 컨테이너(3)가 사용자에 의해 네뷸라이저(1) 내로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추가로, 별도로 공급된 컨테이너(3)는 네뷸라이저(1) 내에 삽입되기 전에 의도치 않게 개방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추가로, 상기 제안된 해법은, 네뷸라이저(1)가 개방되고 컨테이너(3)가 부적절하게 사용되는 경우 네뷸라이저(1), 예를 들면, 전달 튜브(9) 등이 오염 또는 손상될 가능성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3)가 제거될 수 없으므로, 특히 네뷸라이저(1)가 개방될 수 없고 하우징 부품(18)이 다시 제거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컨테이너(3)의 바람직하지 못한 대체 및 특히 사용자에 의한 네뷸라이저(1)의 바람직하지 못한 잠정적인 또는 후속적인 개방이 방지될 수 있다.
네뷸라이저(1)의 운송 상태에서 컨테이너(3), 특히 제2 마개(26)의 원치 않는 개방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이송 잠금장치(29)가 제공된다. 마찰에 의한, 물리력에 의한 또는 상호 체결에 의한 맞물림에 의해, 예를 들면, 이송 잠금장치(29)는, 컨테이너(3)가, 예를 들면, 이송하는 동안에 네뷸라이저(1)의 돌발적인 낙하 등과 같은 경우에 네뷸라이저(1)에서 바람직하지 않게 축 방향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추가로, 이송 잠금장치(29)는, 컨테이너(3)의 유체 연결 또는 이의 완전한 삽입을 위해 및/또는 컨테이너(3)를 홀더(6)에 (완전히) 연결하기 위해 활성화하는 동안에, 컨테이너(3)를 지지 또는 홀딩할 수 있다.
아래에는, 이송 잠금장치(29)의 바람직한 실현이 설명될 것이다. 이송 잠금장치(29)는 운송 상태에서의 컨테이너(3)의 바람직한 부분적인 개방 또는 천공, 특히, 즉, 제1 마개(25)의 개방과는 무관하게 실현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특히, 이송 잠금장치(29)의 상기 제안된 기능 및 구성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특징과는 무관하게 실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이송 잠금장치(29)는,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이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기저부(21) 또는 엣지(36) 둘레에 (방사상으로) 맞물림으로써 운송 상태에서 컨테이너(3)를 축 방향으로 홀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그리핑 암(gripping arm)(35),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그리핑 암들(35)을 포함한다.
그리핑 암들(35)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부품(18)의 바닥 또는 기저부 또는 말단면을 형성할 수 있는 부재(37)에 의해 홀딩 또는 형성되거나 상기 부재(37)에 부착되거나 상기 부재(37)와 일체형으로 성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재(37) 또는 바닥은 그리핑 암들(35)을 홀딩하여 그리핑 암들(35)이 굴곡되거나 피보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공 소자(22)는 또한 상기 부재(37)에 의해 형성되거나 상기 부재(37)에 의해 홀딩된다.
상기 부재(37) 및/또는 이송 잠금장치(29)가 하우징 부품(18) 내로 삽입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이송 잠금장치(29) 또는 이의 부품은 또한 하우징 부품(18)에 의해 또는 상기 부품(18)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송 잠금장치(29)는 다수의 또는 단지 2개의 상이한 부품들(여기서는, 아래에 설명될 그리핑 암(들)(35) 및 제어 부재(39))에 의해 형성된다.
이송 잠금장치(29), 특히 그리핑 암(35)은 운송 상태(밀폐된 이송 잠금장치(29))에서 컨테이너(3)를 홀딩하여,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 기저부(21) 또는 통기 개구부(3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공 소자(22)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된다.
이송 잠금장치(29)를 개방하기 위해, 그리핑 암들(35)은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굴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송 잠금장치(29)의 개방 또는 그리핑 암들(35)의 굴곡은, 네뷸라이저(1) 또는 이의 하우징을 완전하게 밀폐시키는 경우에, 즉, 상부 하우징 부품(16)을 향해 하우징 부품(18)을 완전하게 스내핑 또는 푸싱온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발생한다. 이러한(축 방향 또는 접이식) 밀폐 이동 동안, 이송 잠금장치(29)는 개방되고, 컨테이너(3)는 축 방향에서(바람직하게는 오직 상기 운동의 최종 부분에서, 및/또는 최종의 완전하게 밀폐된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또는 최종의 완전하게 밀폐된 위치에 도달하는 바로 그 시점에서) 고정해제된다.
네뷸라이저(1)의 밀폐 운동은 이송 잠금장치(29)를 바람직하게는 자동으로 개방한다. 특히, 이송 잠금장치(29)는, 네뷸라이저(1)의 하우징, 내부 부품(17) 또는 이의 하부 부품(17b), 스프링(7)을 갖는 홀딩 링(38) 등과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또는 상기 부품들에 의한 작동에 의해 개방된다.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3) 및/또는 제1 마개(25) 및 이송 잠금장치(29)는, 일반적인 작동, 여기서는 네뷸라이저(1) 또는 이의 하우징 또는 바닥 부품(18)의 밀폐 운동에 의해 개방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이송 잠금장치(29)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모든 그리핑 암들(35)을 동시에 작동시키거나 개방하거나 맞물려 있게 하거나 피보팅하기 위한 제어 부재(39)를, 특히 링 등을 포함한다. 특히, 제어 부재(39) 또는 이송 잠금장치(29)는 선형 또는 축 방향 운동을 그리핑 암(35)의 피봇 또는 방사상 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제어 부재(39)는, 이송 잠금장치(29)가 밀폐된 경우 도 3에서 상부 위치에 도시된다. 상기 위치에서, 제어 부재(39)는 밀폐된 위치에서, 특히 형태-맞춤 방식으로, 예를 들면, 제어 부재(39)의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인접한 부분들(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 그리핑 암(35)을 고박할 수 있다.
제어 부재(39)는 이송 잠금장치(29)를 개방하기 위해 축 방향 이동 가능하거나 변위 가능(shiftable)하다. 특히, 제어 부재(39)는, 네뷸라이저(1) 또는 이의 하우징을 완전하게 밀폐시키거나 하우징 부품(18)에 대해 완전하게 푸싱 또는 스내핑하는 경우에 하향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부품(17) 또는 링(38)은 그리핑 암들(35)에 대해 하향으로 또는 상대적으로 제어 부재(39)를 푸싱하여, 그리핑 암(35)이 고정해제되고, 특히 능동적으로 또는 포지티브하게 개방 또는 피보팅되거나 굴곡되어, 이송 잠금장치(29)를 개방하고/하거나 컨테이너(3)를 고정해제시킨다. 상기 도시된 양태에서, 제어 부재(39)는 이의 축방향 말단과 또는 그리핑 암들(35)의 작동 부분들(41)을 갖는 축 방향 컬러 또는 고리상 링 부분(40)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작동 부분들(41)의 축 방향 하향 운동이 그리핑 암들(35)을 피보팅시키고 그리핑 암들(35)이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굴곡되게 한다. 그리핑 암들(35)의 굴곡 특성은, 상기 부재(37) 등과 관련된 상기 사용된 물질에 따라 좌우된다.
제어 부재(39)는 바람직하게는 이송 잠금장치(29) 또는 그리핑 암들(35)을 포지티브하게 개방한다.
도 4 및 도 5는 개방된 위치에서의, 즉, 컨테이너(3)가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위치에서의 이송 잠금장치(29) 및 그리핑 암(35)을 도시한다. 특히, 제어 부재(39)는 이의 하향 말단 위치에 도시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제어 부재(39)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압력 맞춤(force-fit) 또는 형태 맞춤(form-fit)에 의해 또는 스냅-연결에 의해 바닥 부품(18) 내에 잠기거나 고박되어, 이송 잠금장치(29) 및 그리핑 암(35)은 영구적으로 개방되어 있다.
그러나, 이송 잠금장치(29)의 기타 구성상의 해법들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마찬가지로 실현될 수 있는 몇몇 기타 구성상의 해법들을 나타내는 WO 2006/125577 A2를 참조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마우스피스(13)을 커버하는 마우스피스 커버(42)를 갖는 네뷸라이저(1)를 도시한다.
상기 나타낸 양태에서, 래칭 수단(43) 또는 하우징 부품(18)은 각각의 래칭 리세스(32)에 관련된 제1 언더컷 또는 숄더(44)를 포함하여, 상기 맞물려 있거나 인접한 래칭 러그(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송 상태에서 탈착될 수 없는 또는 분리될 수 없는 방식으로 하우징 부품(18)을 홀딩한다. 이는 제1 형태 맞춤 맞물림 또는 홀딩을 형성한다.
래칭 수단(43)은 바람직하게는, 활성화된 상태에서 하우징 부품(18)의 제2의 형태 맞춤 맞물림 또는 홀딩을 형성하거나 이를 가능하게 한다. 이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칭 러그(31)가 추가의 래칭 리세스(45) 내로 및/또는 제2의 언더컷 또는 숄더(46) 뒤로 맞물려 있다는 점에서, 상기 제시된 양태로 실현된다. 래칭 수단(43)의 제2 맞물림은 바람직하게는 네뷸라이저(1)의 하우징 또는 하우징 부품(18)을 완전하게 밀폐시킴으로써 달성한다.
래칭 수단(43)은 필요한 경우, 예를 들면, 오직 하나의 래칭 러그(31), 돌출부, 노즈, 고정해제 소자 등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설명은 바람직하게는 마찬가지로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시스템(100)의 제2 양태를 도시한다. 시스템(100)은 변형된 양태에 따르는 네뷸라이저(1) 및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는 포장 용기(30)를 포함한다.
확대된 단면도인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상기 변형된 양태에 따르는 네뷸라이저(1)는 도 1 내지 5를 참조로 하여 기술된 네뷸라이저(1)와 매우 유사하게 구성된다. 특히, 상기 변형된 양태에 따르는 네뷸라이저(1)는 도 3 내지 5를 참조로 하여 기술된 양태와 유사한 운송 상태에서 미리 설치된 컨테이너(3)를 포함하거나 수용 가능하다. 하기 설명은 본질적인 차이점들과 새로운 측면들에 초점을 맞추므로, 특히 도 1 내지 5에 관한 이전의 모든 설명들은 상기 개선된 양태에 특히 추가로 및/또는 상응하는 방식으로 적용된다.
상기 변형된 양태에 따르는 네뷸라이저(1)는 컨테이너(3)를 홀딩하기 위한 고박 수단(48)을 포함하여, 컨테이너(3)가 유체(2)의 전달, 압력 생성 및/또는 활성화된 상태에서의 분무를 위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지만, 네뷸라이저(1) 또는 이의 내부 부품(17)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고/없거나 운송 상태에서 이동하지 못하게 홀딩된다. 특히, 고박 수단(48)은 상술한 의미에서 이송 잠금장치(29)를 형성한다.
전술한 양태와는 달리, 컨테이너(3)는 운송 상태에서 미리 설치되어 있으며, 특히 하우징 부품(18)과는 무관하게 네뷸라이저(1)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특히 네뷸라이저(1)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즉, 특히 컨테이너(3)를 네뷸라이저(1) 또는 이의 내부 부품(17) 내로 완전하게 푸싱함으로써 네뷸라이저(1)를 완전하게 밀폐시키고 컨테이너(3)를 개방시키기 위해, 하우징 부품(18)은 이후에 또는 별도로 네뷸라이저(1)에 연결된다. 이와 관련해서, 컨테이너(3)는, 도 9에 따르는 단면도에서 도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완전하게 삽입되거나 활성화된 상태에서조차, 한쪽 말단 또는 이의 기저부(21)에 의해 네뷸라이저(1) 또는 내부 부품(17) 밖으로 연장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하우징 부품(18)은 여전히 설명을 위해 도 9에서 생략된다).
바람직하게는, 고박 수단(48)은 금속 및/또는 스탬핑(stamping) 부품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지고/이루어지거나 도 8에 도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단일한 일체형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고박 수단(48)은 스틸, 특히 스프링 철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고박 수단(48)은 절단, 스탬핑 등에 의해 및/또는 벤딩에 의해 시트 물질로부터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고박 수단(48)은 네뷸라이저(1) 또는 상기 하우징 또는 네뷸라이저(1)의 탈착될 수 없는 부품에 또는 이의 내부에, 특히 상부 부품(16) 또는 내부 부품(17)에 또는 이의 내부에 배열 또는 배치된다. 특히, 고박 수단(48)은 링(38)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구성품에 의해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구성품 내에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내부 부품(17)의 하부 말단에 배치되거나 탑재된다. 상기 나타낸 양태에서, 고박 수단(48)은 도 9에 따르는 단면의 부분 확대도인 도 10에 특별히 나타낸 바와 같이 링(38)과 컨테이너(3) 사이에 적어도 주로 배열된다.
도 8은 운송 상태의 컨테이너(3) 및 관련된 고박 수단(48)의 투시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시된 양태에서, 고박 수단(48)은 바람직하게는 손가락형 또는 엽상의 여러 개의 홀딩 소자(49)의 배열을 형성한다. 특히, 홀딩 소자(49)는 컨테이너(3)를 향해 편향되고/되거나 기울어진다.
홀딩 소자(49)는 컨테이너(3)의 원주 둘레에 고리 모양으로 배열되고/되거나 고박 수단(48)의 링 부분(50)과 연결된다. 특히, 홀딩 소자(49)는, 바람직하게는 플랜지형이고/이거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링 부분(50)의 내부 엣지와 연결되고/되거나, 축 방향 상향으로, 즉, 컨테이너(3)가 네뷸라이저(1) 내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홀딩 소자(49)는 컨테이너(3)에 대해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및/또는 상향으로 기울어진다.
링 부분(50) 및 관련된 홀딩 소자(49)에 의해 형성된 고박 수단(48) 또는 고박 링(securing ring)은 바람직하게는, 네뷸라이저(1), 이의 하우징 또는 내부 부품(17)에서, 특히 링(38) 카운터 베어링 구동 스프링(7)에서 고박 수단(48)을 고정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부분(51)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부분(51)은 바람직하게는 링 부분(50)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의 자유 말단에서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각을 이루어, 형태 맞춤 맞물림이 링(38)에 의해 가능하다(바람직한 양태에서 링(38)은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고정 부분(51)의 자유 말단 및 링 부분(50)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홀딩된다). 따라서, 고박 수단(48) 또는 고박 링은 상기 링(38)에서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기타 구성상의 해법들 또한 가능하다.
고박 수단(48) 또는 고박 링의 홀딩 소자(49)는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3) 상에 또는 컨테이너(3)에 의해 형성된 맞물림 수단과 협력하여, 컨테이너(3)는 상하 운동할 수 있지만, 상기 하우징 또는 네뷸라이저(1)로부터 분리될 수 없고/없거나, 이송 잠금장치(29)가 형성되고/되거나 컨테이너(3)가 운송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홀딩된다.
상기 제시된 양태에서, 컨테이너(3)는 적어도 하나, 여기서는 2개의 방사상 숄더들, 돌출부들 또는 주름들(52)을 맞물림 수단으로서 포함한다. 상기 주름들(52)은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3)의 바깥쪽 주변부에 환형 립(rib)들 등을 형성하고/하거나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특히 홀딩 소자(49)가 주름들(52) 사이에 맞물려 있을 수 있다.
상기 맞물림 수단 또는 주름들(52)은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3) 상에 배열되거나 형성되어, 홀딩 소자(49)는 운송 상태에서, 특히 도 7 및 도 8에 도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주름들(52) 사이에 맞물려 있어서, 컨테이너(3)는, 컨테이너(3)의 완전한 삽입 및/또는 컨테이너(3) 또는 이의 제2 마개(26)의 바람직하지 않은 개방을 방지하기 위해 축 방향으로 홀딩된다.
특히, 상부 주름(52)은 컨테이너(3)가 네뷸라이저(1)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이유는, 홀딩 소자(49)가 상기 주름(52)을 넘어서지 못하거나 상기 주름(52) 위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박 수단(48)은 컨테이너(3)의 대체를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반대 방향에서, 하부 주름(52)은 홀딩 소자(49)에 대한 장애물 또는 저항을 형성하여, 컨테이너(3)는 운송 상태에서 추가로 삽입되지 않도록 고박되며, 즉, 상기 주름(52)은 고박 수단(48) 또는 이의 홀딩 소자(49)와 함께 이송 잠금장치(29)를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 장애물 또는 저항은 무기력화될 수 있으며, 즉, 이송 잠금장치(29)는 충분히 큰 힘에 의해,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을 수동으로 밀폐(네뷸라이저(1) 또는 이의 내부 부품(17)에 대한 하우징 부품(18)을 부착)시키거나 컨테이너(3)를 수동으로 삽입시킴으로써 개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홀딩 소자(49)가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굴곡될 수 있어, 하부 주름(52)을 통과할 수 있고 컨테이너(3)가 추가로 삽입될 수 있기 때문, 즉, 도 7에서와 같이 상향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9는 컨테이너(3)가 완전하게 삽입되어 있고, 즉, 네뷸라이저(1)가 활성화된 상태가 되고(이송 잠금장치(29)가 개방됨) 컨테이너(3)가 완전하게 개방된 상황을 도시한다. 컨테이너(3)는 홀더(6)와 연결된다. 구동 스프링(7)은 텐셔닝되지 않으며, 즉, 도 9는 텐셔닝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네뷸라이저(1)를 도시한다. 도 10은 고박 수단(48)의 영역에서의 도 9의 부분 확대도를 도시한다.
상기 활성화된 상태에서, 컨테이너(3)는 네뷸라이저(1)를 사용하는 동안에 고박 수단(48)에 대해 축 방향으로 상하로 본질적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홀딩 소자(49)는 상기 맞물림 수단과 맞물려 있을 것이며, 여기서는 컨테이너(3)를 네뷸라이저(1)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우선 하부 주름(52)과 맞물려 있을 것이다. 상기 2개의 주름들(52)은, 컨테이너(3)가 완전하게 삽입된 후에 또는 고박 수단(48) 또는 홀딩 소자(48)가 하부 주름(52)을 통과한 후에 컨테이너(3)가 분리되지 않도록 2중 안전성(security)을 제공할 수 있다.
포장 용기(30)는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기저부 부품(53)을 포함한다.
기저부 부품(53)은 네뷸라이저(1)를 수용하기 위한 팩키지 또는 포장 용기(30)의 내부 부품을 형성할 수 있다.
기저부 부품(53)은 임의의 적합한 물질, 특히 호일, 플라스틱, 종이, 임의의 복합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장 용기(30) 또는 기저부 부품(53)은 운송 상태의 네뷸라이저(1)의 외부 윤곽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정되고/되거나 운송 상태의 네뷸라이저(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 홀딩, 지지, 커버, 포함 및/또는 밀봉하도록 조정된다.
제2 양태에서, 포장 용기(30) 또는 기저부 부품(53)은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3)와 맞물려 있거나 컨테이너(3)를 홀딩하고/하거나 컨테이너(3)와 네뷸라이저(1) 또는 이의 내부 부품(17) 사이에 맞물려 있게 하기 위한 (돌출 또는 맞물림) 부분(53A)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부분(53A)은 한편으로는 네뷸라이저(1) 또는 내부 부품(17)의 하부 말단 또는 자유 말단과 다른 한편으로는 컨테이너(3)의 방사상 또는 횡단 돌출부, 숄더 또는 정지턱(stop), 특히 컨테이너(3)의 컨테이너 기저부(21) 또는 엣지(36)와 맞물려 있다.
상기 부분(53A)은 컨테이너(3)를 축 방향에서 내부 부품(17) 또는 링(38)으로부터 컨테이너(3)의 자유 말단 또는 엣지(36)까지 연속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포장 용기(30), 기저부 부품(53) 및/또는 부분(53A)는 컨테이너(3)를, (특히, 바람직하게는, 운송 상태에서의 네뷸라이저(1) 또는 내부 부품(17)로부터 밖으로 연장되는 이의 원통 부분에서, 또는 내부 부품(17)/링(38)과 컨테이너(3)의 엣지(36) 또는 기저부(21)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거나 접촉할 수 있다. 특히, 포장 용기(30), 기저부 부품(53) 및/또는 부분(53A)은 컨테이너(3)를 둘러싸는 적어도 원통형의 쉘 또는 커버 또는 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장 용기(30) 및/또는 기저부 부품(53)은, 부분(53A)에 추가해서 또는 이의 대안으로서, 특히 형태 맞춤 맞물림 및/또는 숄더, 정지턱, 돌출부, 압입부, 주름 등과의 맞물림에 의해, 여기서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특히 도 6에 도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형태 맞춤 맞물림 또는 인접에 의해 엣지(36)(바람직하게는 상기 엣지(36)는 컨테이너(3)의 기본적으로 원통형인 외부 윤곽에 대해 축 방향으로 돌출된다)와의 맞물림에 의해 및/또는 네뷸라이저(1) 또는 상부 부품(16)을 (축 방향으로) 홀딩, 고박 또는 카운터 베어링하기 위한 (고박) 부분(53C)과의 맞물림에 의해, 컨테이너(3)를 (축 방향으로) 홀딩 또는 고박하기 위한 (홀딩) 부분(53B)를 포함하거나 형성한다.
따라서, 포장 용기(30), 기저부 부품(53), 부분(53A), 부분(53B) 및/또는 부분(53C)는 운송 상태의 네뷸라이저(1) 및/또는 컨테이너(3)를 홀딩할 수 있어서, 컨테이너(3)는, 특히 네뷸라이저(1)에 대한 컨테이너(3)의 개별적인 축 방향 운동을 방지하는 형태-맞춤 맞물림에 의해, 컨테이너(3)의 유체 연결 또는 개방 및/또는 컨테이너(3)의 완전한 삽입으로부터 고박되거나 이들이 방지된다. 그러나, 포장 용기(30) 또는 기저부 부품(53)은, 네뷸라이저(1)에 대해 컨테이너(3)의 축 방향 운동을 막도록, 즉, 컨테이너(3)의 개방 또는 컨테이너(3)의 완전한 삽입을 막도록,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압력 맞춤 또는 마찰력에 의해 운송 상태에서 네뷸라이저(1)를 컨테이너(3)로 홀딩 또는 고박시킬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포장 용기(30) 또는 기저부 부품(53)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2 양태에 따라 운송 상태의 네뷸라이저(1) 및/또는 컨테이너(3)로부터 분리된 하우징 부품(18)을 수용 또는 홀딩하기 위해 조정된다. 이를 위해, 포장 용기(30) 또는 기저부 부품(53)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부품(18)을 수용 또는 홀딩하기 위한 (수용) 부분(53D)을 포함한다. 그러나, 기타 구성상의 해법들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양태에서, 포장 용기(30) 또는 기저부 부품(53)은 바람직하게는 시스템(100) 또는 네뷸라이저(1)의 임의의 지시서(60)를 수용 또는 보유하기 위한 (포켓) 부분(53E)을 포함한다. 상기 지시서(60)는 바람직하게는 네뷸라이저(1) 또는 시스템(100)의 용도를 설명하기 위함이다.
제2 양태에서, 포장 용기(30) 또는 기저부 부품(53)은, 네뷸라이저(1) 및/또는 컨테이너(3)에 대해 횡단으로 또는 방사상으로 및/또는 네뷸라이저(1) 또는 컨테이너(3)의 종축 평면으로 및/또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하나의 평면으로 연장되는 (편평한) 부분(53F)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분(53F)은 본질적으로 편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분(53F)은 기타 부분들(53A 내지 53D)을 상호연결한다.
제1 양태에 따르는 포장 용기(30)는 이러한 편평하거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기저부 부품(53) 또는 부분(53F)을 갖지 않지만, 본질적으로 원통형이고/이거나 네뷸라이저(1)의 외부 윤곽에 따라 조정된다. 이러한 조정 또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형태는 제2 양태에서도 실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편평하거나 평면형인 부분(53F)이 생략될 것이다.
도 6은 어떠한 외부 커버도 없는 제2 양태에 따르는 시스템(100) 및 포장 용기(30)의 상면도이다. 그러나, 시스템(100) 또는 포장 용기(30)는 특히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외부 포장, 커버 또는 박스와 같은 추가의 부품들 또는 구성품들이 제공되거나 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운송 상태 및/또는 포장된 상태에서 네뷸라이저(1)를 갖는 시스템(100) 및 포장 용기(30)를 도 6의 라인 XI-XI을 따라 종축 단면으로 도식화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임의로 실현될 수 있는 시스템(100) 또는 포장 용기(30)의 추가 측면들 또는 특징들을 도시한다.
상기 제시된 양태에서, 시스템(100) 또는 포장 용기(30)는 바람직하게는 기저부 부품(53)을 수용하기 위한 외부 쉘, 하우징 또는 박스를, 미리 설치된 컨테이너(3) 및 (임의로) 하우징 부품(18)을 갖는 네뷸라이저(1)과 함께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시스템(100) 및/또는 포장 용기(30)는 하부 부품(54) 및/또는 커버 또는 상부 부품(55)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부 부품(54) 및 상부 부품(55)은 외부 박스를 형성한다.
상기 외부 박스, 하부 부품(54) 및/또는 상부 부품(55)은 종이 및/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부 부품(54)은 기저부 부품(53)을 수용한다. 특히, 기저부 부품(53)은 네뷸라이저(1) 및 임의로 하우징 부품(18)을 홀딩하는 인서트(insert) 또는 트레이를 형성한다. 기저부 부품(53)은 바람직하게는 하부 부품(54) 중에 삽입되거나 수용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부 부품(54)은 바람직하게는 개방된 상부면을 갖는 박스형이다. 상기 상부면은 상기 제시된 양태에서 바람직하게는 상부 부품(55)에 의해 형성되고/되거나 밀폐된다. 그러나, 하부 부품(54)의 상부면 또는 커버는 플랩, 피보팅 가능한(pivotable) 커버 또는 탭 등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박스 또는 하부 부품(54) 및 상부 부품(55)은 필요한 경우 일체형 구성품 또는 부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용기(30) 또는 기저부 부품(53)은 상기 미리 설치된 컨테이너(3) 및/또는 (분리 또는 이격된) 하우징 부품(18)을 갖는 네뷸라이저(1)를 수용 또는 홀딩하기 위한 하프 쉘(half shell), 여기서는 하부 쉘을 본질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부분들(53A 내지 53D)에 의해 형성된 기저부 부품(53) 또는 각각의 수용 영역들에서 또는 상기 부품 또는 영역들 내에서 네뷸라이저(1), 컨테이너(3) 및/또는 하우징 부품(18)을 고박 및/또는 홀딩하기 위해, 시스템(100) 또는 포장 용기(30)는 보충적인 윤곽 부품(56),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연질 및/또는 탄성인 홀딩 부품(들)(57)을 포함하거나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네뷸라이저(1), 컨테이너(3) 및/또는 하우징 부품(18)은 도 11에 도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부 부품(53) 또는 포장 용기(30)에, 상기 부품 또는 포장 용기 위에, 또는 상기 부품 또는 포장 용기 내에, 라벨, (접착성) 테이프, 블리스터 또는 수축 호일(58) 등에 의해 고박 또는 홀딩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1과 유사한 도식적 단면에서 시스템(100) 또는 포장 용기(30)에 대한 대안적인 또는 변형된 양태를 도시한다. 포장 용기(30)는, 기저부 부품(53)에 또는 상기 부품 위에 네뷸라이저(1), 컨테이너(3) 및 임의로 하우징 부품(18)을 고박 또는 홀딩하기 위한, 상부의 또는 보충적인 부품 또는 커버(59)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커버(59)는 플라스틱, 호일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물질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커버(59) 및 기저부 부품(53)은 함께 블리스터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5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클립싱(clipsing), 용접, 풀칠 등에 의해 기저부 부품(53) 또는 편평한 부분(53)과 연결된다.
포장 용기(30)는 운송 상태의 네뷸라이저(1)를 부분적으로만 또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완전하게 둘러쌀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포장 용기(30) 또는 기저부 부품(53)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송 상태에서, 네뷸라이저(1)를 적어도 하나의 면에서,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면 또는 바닥 면에서 적어도 본질적으로 완전하게 커버할 수 있다.
포장 용기(30) 또는 기저부 부품(53)은 성형된 또는 열성형된 플라스틱 부품에 의해 및/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압입된 인서트 또는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거나 상기 부품 또는 인서트 또는 트레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포장 용기(30) 또는 이의 부품들 또는 부분들은 투명할 수 있어서, 사용자 또는 환자(도시되지 않음)가 네뷸라이저(1) 및/또는 컨테이너(3) 및/또는 이들의 부품을 볼 수 있다.
네뷸라이저(1)를 포장 용기(30) 또는 기저부 부품(53)로부터 탈착 또는 제거한 후 또는 반대로 포장 용기(30) 또는 기저부 부품(53)를 네뷸라이저(1)로부터 탈착 또는 제거한 후, 네뷸라이저(1)는, 특히 컨테이너(3)의 완전한 삽입 및/또는 네뷸라이저(1)의 하우징의 (완전한) 밀폐에 의해, 특히 네뷸라이저(1) 또는 내부 부품(17)에 하우징 부품(18)을 탑재함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다. 이후, 네뷸라이저(1)를 사용할 수 있다.
도 6 내지 12는 임의의 마우스피스 커버(42)가 없는 네뷸라이저(1)를 도시함을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네뷸라이저(1)는 일반적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밀폐된 마우스피스 커버(42)로 포장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포장 용기(30) 또는 이의 임의의 부분 또는 부품은 독창적인 밀봉부를 형성한다.
상기 양태들의 특징들 및 상술한 양태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조합됨을 유의해야 한다.
1 네뷸라이저 34 통기 개구부
2 유체 35 그리핑 암
3 컨테이너 36 엣지
4 백 37 부재
5 압력 발생기 38 링
6 홀더 39 제어 부재
7 구동 스프링 40 링 부분
8 잠금 소자 41 작동 부분
9 전달 튜브 42 마우스피스 커버
10 역류 방지 밸브 43 래칭 수단
11 가압 챔버 44 제1 숄더
12 노즐 45 추가의 래칭 리세스
13 마우스피스 46 제2 숄더
14 에어로졸 47 일부분 (포장 용기)
15 공기 공급 개구부 48 고박 수단
16 상부 하우징 부품 49 홀딩 소자
17 내부 부품 50 링 부분
17a 내부 부품의 상부 부품 51 고정 부분
17b 내부 부품의 하부 부품 52 주름
18 하우징 부품(하부 부품) 53 기저부 부품
19 유지 소자 53A (맞물림) 부분
20 스프링 53B (홀딩) 부분
21 컨테이너 기저부 53C (고박) 부분
22 천공 소자 53D (수용) 부분
23 모니터링 장치 53E (포켓) 부분
24 유체 배출구 53F (편평한) 부분
25 제1 마개 54 하부 부품
26 제2 마개 55 상부 부품
27 마개 부분 56 윤곽 부품
28 플랜지 57 홀딩 부품
29 이송 잠금장치 58 호일
30 고박 부재 59 커버
31 래칭 러그 60 지시서
32 래칭 리세스 100 시스템
33 래칭 암

Claims (16)

  1. 유체(fluid: 2)용 네뷸라이저(nebulizer: 1), 바람직하게는 흡입기(inhaler)를 형성하는 네뷸라이저(1), 및 운송 상태(delivery state)의 상기 네뷸라이저(1)를 수용 및 홀딩(holding)하기 위한 포장 용기(packaging: 3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으로서,
    상기 네뷸라이저(1)는 상기 유체(2)를 포함하는 컨테이너(3)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3)는 상기 네뷸라이저(1) 내에 미리 설치되며,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운송 상태에서 상기 네뷸라이저(1)에 유체 연결되어 있지 않으며, 여기서, 상기 포장 용기(30)가 적어도 하나의 면(side) 위에서 상기 네뷸라이저(1)를 커버하고, 상기 포장 용기(30)가 상기 운송 상태에서 상기 컨테이너(3)의 유체 연결 또는 개방을 방지하는, 시스템(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3)는 상기 운송 상태의 상기 네뷸라이저(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고, 상기 포장 용기(30)는 상기 운송 상태에서 상기 컨테이너(3)의 완전한 삽입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3)의 유체 연결 또는 개방 및/또는 상기 컨테이너(3)의 완전한 삽입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포장 용기(30)가 상기 네뷸라이저(1)로부터 탈착되거나 상기 네뷸라이저(1)가 상기 포장 용기(30)로부터 탈착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용기(30) 또는 이의 일부분(47)이 상기 운송 상태에서 상기 네뷸라이저(1)의 상부 하우징 부품(16)과 상기 네뷸라이저(1)의 하부 하우징 부품(18) 사이에 맞물려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품들(16, 18)이 상기 운송 상태에서 함께 완전하게 푸싱(pushing)될 수 없음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용기(30) 또는 이의 일부분(47)이 상기 운송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부품들(16, 18)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환형(ring-like)인 돌출(protrusion) 또는 압입(indention) 맞물림부를 포함하거나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3)가 상기 운송 상태의 상기 네뷸라이저(1)의 하우징 부품(18)에 홀딩되고, 여기서, 상기 하우징 부품(18)이 상기 운송 상태에서 상기 네뷸라이저(1)에 대해 단지 부분적으로만 푸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용기(30) 또는 이의 일부분(47)은, 상기 컨테이너(3)의 하부 말단 또는 자유 말단과 상기 네뷸라이저(1) 사이에 맞물려 있고/있거나 상기 컨테이너(3) 또는 컨테이너 기저부(2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둘러싸거나 상기 운송 상태에서 형태 맞춤(form-fit)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3)를 홀딩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뷸라이저(1)가 상기 포장 용기(30)로부터 해체(unpacked) 또는 제거되는 경우 상기 포장 용기(30)가 상기 네뷸라이저(1)로부터 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용기(30)가 상기 운송 상태에서 상기 네뷸라이저(1)를 적어도 본질적으로 완전하게 둘러싸고/둘러싸거나 포장 용기(30)가 상기 운송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면(side)에서 상기 네뷸라이저(1)를 적어도 본질적으로 완전하게 커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용기(30)가 수축 호일(58)을 포함하거나 수축 호일(58)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용기(30)가 성형된 또는 열성형된 플라스틱 부품(53) 및/또는 압입된 인서트(insert) 또는 트레이를 포함하거나 성형된 또는 열성형된 부품(53) 및/또는 압입된 인서트 또는 트레이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용기(30)가 블리스터(blister)를 포함하거나 블리스터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용기(30)가 상기 네뷸라이저(1)의 하우징 부품(18)을 홀딩하고/하거나, 상기 컨테이너(3)가 상기 운송 상태의 상기 네뷸라이저(1)로부터 분리 또는 이격되고/되거나 지시서를 보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뷸라이저(1)가, 고박 수단(securing means: 48), 특히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가요성인 홀딩 부분(49)을 포함하여, 상기 운송 상태에서 상기 컨테이너(3)의 유체 연결 또는 개방 및/또는 상기 컨테이너(3)의 완전한 삽입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1)가 고박 수단, 특히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원주형으로 연장되는 주름(corrugation)들을 포함하여, 상기 운송 상태에서 상기 컨테이너(3)의 유체 연결 또는 개방 및/또는 상기 컨테이너(3)의 완전한 삽입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운송 상태에서 컨테이너(3)의 유체 연결 또는 개방 및/또는 컨테이너(3)의 완전한 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네뷸라이저(1)용 포장 용기(30)의 용도로서, 상기 컨테이너(3)가 상기 운송 상태의 상기 네뷸라이저(1) 내에 미리 설치되고, 상기 네뷸라이저(1) 내에서의 상기 컨테이너(3)의 유체 연결 또는 개방을 허용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면(side) 위에서 상기 네뷸라이저(1)를 커버하는 상기 포장 용기(30)가, 상기 네뷸라이저(1)로부터 탈착되거나, 상기 네뷸라이저(1)가 상기 포장 용기(30)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네뷸라이저(1)용 포장 용기(30)의 용도.
KR1020137031108A 2011-05-23 2012-05-14 네뷸라이저 및 포장 용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1400273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004238.9 2011-05-23
EP11004238.9A EP2526989B1 (en) 2011-05-23 2011-05-23 System comprising a nebulizer
PCT/EP2012/058905 WO2012159914A1 (en) 2011-05-23 2012-05-14 System comprising a nebulizer and a packag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317A true KR20140027317A (ko) 2014-03-06

Family

ID=44320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1108A KR20140027317A (ko) 2011-05-23 2012-05-14 네뷸라이저 및 포장 용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20130126389A1 (ko)
EP (2) EP2526989B1 (ko)
JP (1) JP2014518718A (ko)
KR (1) KR20140027317A (ko)
CN (1) CN103702704A (ko)
AU (1) AU2012261122A1 (ko)
BR (1) BR112013030019A2 (ko)
CA (1) CA2837166A1 (ko)
CL (1) CL2013003169A1 (ko)
DK (1) DK2526989T3 (ko)
EA (1) EA201301303A1 (ko)
IL (1) IL228788A0 (ko)
MX (1) MX2013013322A (ko)
WO (1) WO20121599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77132A1 (en) 2008-01-02 2009-07-08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Dispensing device,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a formulation
JP5670421B2 (ja) 2009-03-31 2015-02-18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コンポーネント表面のコーティング方法
US9265910B2 (en) 2009-05-18 2016-02-23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Adapter, inhalation device, and nebulizer
WO2011064164A1 (en) 2009-11-25 2011-06-03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WO2011064163A1 (en) 2009-11-25 2011-06-03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US10016568B2 (en) 2009-11-25 2018-07-10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JP5874724B2 (ja) 2010-06-24 2016-03-02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ネブライザ
WO2012130757A1 (de) 2011-04-01 2012-10-04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edizinisches gerät mit behälter
US9827384B2 (en) 2011-05-23 2017-11-28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EP2526989B1 (en) 2011-05-23 2020-02-12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System comprising a nebulizer
WO2013152894A1 (de) 2012-04-13 2013-10-17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Zerstäuber mit kodiermitteln
JP6195617B2 (ja) 2012-07-05 2017-09-13 ピー.シー.オー.エー. デバイシズ エルティーディー.P.C.O.A. Devices Ltd. 薬剤ディスペンサ
KR102074023B1 (ko) 2012-07-30 2020-02-05 피.씨.오.에이. 디바이시스 리미티드 고형 의약용 알약을 수용 및 분배하기 위한 리셉터클
US20150041496A1 (en) * 2013-08-08 2015-02-12 Sungmoon Kim Single use enhancement for dispenser assembly
WO2015018904A1 (en) 2013-08-09 2015-02-12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ES2836977T3 (es) 2013-08-09 2021-06-28 Boehringer Ingelheim Int Nebulizador
EP2893947A1 (de) * 2014-01-10 2015-07-15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Zerstäuber
KR20230018542A (ko) 2014-05-07 2023-02-07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분무기, 표시 디바이스 및 컨테이너
KR102443737B1 (ko) 2014-05-07 2022-09-19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컨테이너, 분무기 및 사용 방법
EP3139984B1 (en) 2014-05-07 2021-04-28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IL233295B (en) 2014-06-22 2019-11-28 Ilan Paz A control pill dispensing system
IL238387B (en) 2015-04-20 2019-01-31 Paz Ilan Drug dispenser release mechanism
US9456956B1 (en) * 2015-09-29 2016-10-04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Aseptic assembling of pharmaceutical containers
EP3362030B1 (en) 2015-10-15 2023-09-06 Dosentrx Ltd. Image recognition-based dosage form dispensers
WO2017077529A1 (en) 2015-11-02 2017-05-11 P.C.O.A. Lockable advanceable oral dosage form dispenser containers
KR102525253B1 (ko) * 2016-04-29 2023-04-26 더 트러스티스 오브 프린세톤 유니버시티 제어되는 약물 기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0481989B (zh) * 2019-08-28 2022-09-16 金华市金椟包装有限公司 一种复合塑料包装盒
US20220348374A1 (en) * 2021-04-30 2022-11-03 Clinigen Healthcare Limited Method of designing packaging
USD983997S1 (en) 2021-07-22 2023-04-18 Kairish Innotech Private Limited Tray for a vial and vial adapter
USD1011552S1 (en) 2021-09-09 2024-01-16 KAIRISH INNOTECH Private Ltd. Tray assembly for a vial and vial adapte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0969A (en) * 1953-12-10 1955-10-18 Becton Dickinson Co Package and mounting for hypodermic syringe assembly
US3802604A (en) * 1972-02-28 1974-04-09 Oreal Device for storing two products separately and dispensing them simultaneously
IT1075249B (it) * 1976-12-10 1985-04-22 Ottina Luigi Dispositivo a due contenitori per la conservazione indipendente di due componenti e la preparazione estemporanea di un prodotto con detti due componenti
US4749082A (en) * 1986-05-05 1988-06-07 Imperial Schrade Corp. Knife transport/display package
FR2673608A1 (fr) * 1991-03-07 1992-09-11 Chanel Distributeur de produit comprenant des moyens d'inviolabilite.
DE4428434A1 (de) 1994-08-11 1996-02-15 Boehringer Ingelheim Kg Verschlußkappe und Verfahren zur gasblasenfreien Füllung von Behältern
CA2295831A1 (en) 1997-07-18 1999-01-28 Vas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cutaneously accessing an implanted port
US6915901B2 (en) * 2000-12-11 2005-07-12 Marc Feinberg Packaging assembly for surgical use
US7396341B2 (en) * 2002-08-28 2008-07-08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Blocking device for a locking stressing mechanism having a spring-actuated output drive device
JP5265346B2 (ja) * 2005-04-22 2013-08-14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予めパッケージ化された医療器具、パッケージ化用トレイおよび方法
DE102005024439A1 (de) * 2005-05-24 2006-12-07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Zerstäuber
PT2436453E (pt) * 2005-08-24 2013-12-13 Boehringer Ingelheim Int Atomizador compreendendo um contador e uma extremidade de bloqueio de operação
GB0518770D0 (en) * 2005-09-14 2005-10-26 Glaxo Group Ltd A closure for a dispensing device
US20090032427A1 (en) * 2005-09-29 2009-02-05 Nektar Therapeutics Receptacles and Kits, Such as for Dry Powder Packaging
US20090308772A1 (en) * 2006-03-17 2009-12-17 Abrams William S Moisture-tight primary packaging for a dry powder inhaler
FR2907435B1 (fr) * 2006-10-20 2009-01-09 Valois Sas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DE102007023012A1 (de) * 2007-05-15 2008-11-20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Zerstäuber und Filter
US8096420B2 (en) * 2008-04-30 2012-01-17 Ethicon Endo-Surgery, Inc. Universal blister package
TW201014623A (en) * 2008-07-08 2010-04-16 Schering Corp Cover for metered dose inhaler aerosol cans
EP2526989B1 (en) 2011-05-23 2020-02-12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System comprising a nebul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14163B1 (en) 2018-07-11
CL2013003169A1 (es) 2014-04-04
CA2837166A1 (en) 2012-11-29
EP2714163A1 (en) 2014-04-09
BR112013030019A2 (pt) 2016-09-13
WO2012159914A1 (en) 2012-11-29
AU2012261122A1 (en) 2013-10-31
EP2526989A1 (en) 2012-11-28
US20140331994A1 (en) 2014-11-13
CN103702704A (zh) 2014-04-02
US20130126389A1 (en) 2013-05-23
EA201301303A1 (ru) 2014-05-30
EP2526989B1 (en) 2020-02-12
MX2013013322A (es) 2014-02-10
US9381311B2 (en) 2016-07-05
IL228788A0 (en) 2013-12-31
JP2014518718A (ja) 2014-08-07
DK2526989T3 (da) 202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7317A (ko) 네뷸라이저 및 포장 용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JP5874724B2 (ja) ネブライザ
EP2504051B1 (en) Nebulizer
JP6643231B2 (ja) ネブライザ
JP6160842B2 (ja) ネブライザ
JP6487916B2 (ja) ネブライザ
US10016568B2 (en) Nebulizer
JP2013511366A (ja) ネブライザ
JP2016525437A (ja) ネブライザ
JP2013512015A (ja) ネブライ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