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6459A - 셀프 디밍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셀프 디밍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 시스템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6459A
KR20140026459A KR1020137029342A KR20137029342A KR20140026459A KR 20140026459 A KR20140026459 A KR 20140026459A KR 1020137029342 A KR1020137029342 A KR 1020137029342A KR 20137029342 A KR20137029342 A KR 20137029342A KR 20140026459 A KR20140026459 A KR 20140026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ed
output
driver
lighting device
optica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9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9006B1 (ko
Inventor
디더 오롱접
브루스 리차드 로버츠
요십 브르나다
Original Assignee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filed Critical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40026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6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EDs comprising organic material, e.g. for operat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조명 디바이스 및 동작 방법이 제안되며, 사용자가 OLED를 가압함으로써 야기된 OLED의 전압 또는 전류 변화는 OLED가 전반 조명을 제공하는 동안 모니터링되고 하나 이상의 조명 제어 신호가 감지된 변화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Description

셀프 디밍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 시스템 및 제어 방법{SELF-DIMMING OLED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셀프 디밍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기술은 최근 많은 양의 새로운 제품 개발 활동의 주제가 되어왔다. OLED는, 매우 얇고 플렉서블한 폼 팩터, 고효율성, 높은 광 출력 등과 같은 기술적 장점으로 인해 인기를 얻어 왔다. 더욱이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실내 및 실외 설치 모두에서의 사용을 위해 채택될 수 있고, 작은 영역 및/또는 넓은 영역의 조명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전반 조명의 다른 소스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전형적으로 원하는 광 출력을 설정하기 위해 벽 또는 테이블-장착 스위치 및/또는 디머 제어를 사용하여 OLED 기반 디바이스를 동작시킨다. 하지만, 그러한 외부 제어 스위치/디머는 비용이 많이 들고 전형적으로 벽, 테이블 표면 등에 영구적인 설치를 요구한다. 따라서, 개선된 조명 디바이스 및 이러한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장치가 여전히 필요하다.
본 개시물은 조명 및 다른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및 조명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여기서 사용자는 OLED 패널 또는 이의 특정 부분을 가압하여(press) 디밍, 온/오프 제어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조명 제어 기능 및/또는 다른 타입의 디바이스 및 시스템에 관한 제어 동작을 개시한다. 본원 발명자는 유기 재료가 외부 스트레스에 민감하고 플렉서블하다는 것을 고려해 왔다. 따라서, OLED 패널을 누르면, OLED 저항률 및 커패시턴스는 감소된 분자간 거리 및 증가한 오비탈 오버랩(orbital overlap)으로 인해 변할 수 있다. 이는 이웃 분자들 사이의 높은 전자 이동 속도로 이어질 수 있고, 구동된 OLED 또는 이의 어레이에 걸쳐 측정된 전압 또는 OLED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서의 변화(perturbations) 또는 외란(disturbances)으로 귀결된다. 본 개시물은 그러한 사용자 개시된 전압 또는 전류 변화(user initiated voltage or current perturbations)가 검출될 수 있고 조명 제어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장치 및 기술을 제공한다. 이는, 차례로, 최신 기술에 대하여 다양한 진보를 가능하게 하며, 작동된 디바이스의 디밍 제어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을 제공하는 외부 디바이스 및 다른 조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다른 접속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광 패널을 단지 가압하는 OLED 디바이스가 셀프 디밍이 되는 능력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는 벽 장착 OLED 조명 디바이스를 가압하여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천장에 장착된 조명)를 온이나 오프로 전환시키는 것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를 선택적으로 디밍하도록하는 것을 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 작동가능 OLED 조명 디바이스는, 천장 팬, 홈 어플라이언스 등과 같은 많은 다른 제어가능 디바이스 및 시스템의 제어를 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드라이버로부터 DC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한 쌍의 전력 접속부를 가진 광 패널, 뿐만 아니라 드라이버로부터의 전류를 사용하여 전반 조명(general lighting)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OLED을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조명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OLED가 전반 조명을 제공하는 동안 사용자에 의한 OLED의 물리적 작동에 의해 야기되는, 적어도 하나의 OLED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서의 변화 또는 광 패널 전력 접속부에 걸친 전압에서의 변화를 감지하는 작동 검출 회로(an actuation detect circuit)를 더 포함한다. 작동 검출 회로는, 감지된 변화에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 또는 연관 드라이버에 하나 이상의 작동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작동 검출 회로는 변화의 진폭을 하나 이상의 임계값과 비교하고, 임계값 비교(들)에 따라 하나 이상의 작동 신호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얼마나 세게 사용자가 OLED를 가압하였는지 및/또는 OLED의 어느 부분이 가압되었는지에 따라 상이한 제어 조치가 취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의 동작 파라미터 및/또는 조명 상태에 관한 더 많은 세부적인 사용자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특정 실시예들에서, 조명 디바이스는 의도치 않은 작동(accidential actuations)과 조명 제어를 위해 의도된 조치를 서로 분별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조명 디바이스는, 복수의 변화가 비-제로인 사전결정된 시간(a non-zero predetermined time) 내에서 검출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작동 신호 또는 값을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OLED를 두 번 이상 가압한 경우 제어 조치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OLED가 한 번만 가압된 경우 조치 취하는 것을 삼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제공되고, 프로세서 또는 작동 검출 회로는 OLED의 작동에 응답하는 전송을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신호 또는 값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조명 디바이스는 사용자 작동가능 광 패널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내부 드라이버 회로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작동 검출 회로는, 수신된 작동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광 패널에 제공된 전력 양을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드라이버와 함께, 작동된 OLED의 셀프 디밍을 위해 온보드 드라이버로 작동 신호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작동 검출 회로는, 이의 제어를 위해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로 작동 신호를 직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작동 신호 또는 값은 온보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러한 외부 디바이스로 제공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작동 검출 회로는 AC 커플링된 신호를 광 패널 전력 접속부 중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증폭기뿐만 아니라 증폭된 신호를 하나 이상의 임계값과 비교하는 비교기를 포함한다. 펄스 검출기 회로는, 비교기의 출력을 검출하고 작동 신호(들)를 제공하는 래치(latch)로 출력을 제공한다.
작동 검출 회로는 하나 이상의 OLED의 물리적 작동의 검출을 위해 제공된다. 이 회로는 OLED(들)와 연관된 전류 또는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접속부, 뿐만 아니라 OLED가 전반 조명을 제공하도록 전력 공급되는 동안 OLED(들)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서의 변화 또는 OLED(들)에 걸친 전압에서의 변화를 감지하는 검출 회로를 포함한다.
전력 소스는 조명 시스템을 위해 제공되고, 조명 시스템은 전반 조명을 위한 접속된 광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OLED에 DC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출력을 가진 드라이버 회로를 포함한다. 전력 소스는 또한, 드라이버 회로가 OLED에 전력을 제공하는 동안 사용자에 의한 OLED의 물리적 작동에 의해 야기되는, 접속 광 패널과 연관된 전류 또는 전압에서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접속 광 패널과 연결된 작동 검출 회로를 포함한다. 작동 검출 회로는 감지된 변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작동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작동 신호는, 작동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따라서 OLED에 제공되는 전력 양을 선택적으로 조정하는 드라이버에 제공된다. 더욱이, 특정 실시예들에서, 전력 소스는 신호 출력을 포함하며 작동 검출 회로는 신호 출력에 작동 신호 또는 신호들을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이는 전반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OLED를 포함하는 광 패널에 DC 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OLED의 물리적 작동에 의해 야기되는 변화는, OLED가 전반 조명을 제공하는 동안 OLED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서 또는 광 패널 전력 접속부에 걸친 전압에서 감지된다. 방법은 또한 감지된 변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명 디바이스 또는 다른 타입의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동작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서 개시된다.
도 1은 본 개시물에 따라 광 패널의 하나 이상의 OLED를 가압함으로써 사용자 개시된 디밍 제어 조치를 검출하기 위한 작동 검출 회로 및 온보드 드라이버를 가진 예시적인 셀프 디밍 OLED 기반 조명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작동 검출 회로를 가지는 다른 조명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이는 작동 검출 회로에 의해 제공된 작동 신호에 따라 디밍 레벨을 제어하는 드라이버를 가진 외부 드라이버에 의해 구동된다.
도 3은 하나 이상의 외부 광 패널 또는 다른 타입의 외부 디바이스(들)를 디밍하는 것뿐만 아니라 온보더 OLED 어레이 또는 광 패널을 위한 셀프 디밍 제어를 제공하는 온보드 드라이버를 가진 사용자 작동가능 OLED 기반 조명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에 전력을 제공하는 외부 드라이버에 의한 디밍 제어를 위해 작동 신호를 제공하는 사용자 작동가능 OLED 기반 조명 디바이스를 가진 다른 조명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가 사용자 작동가능 OLED 기반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작동 신호에 따라 디밍되는 추가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9는 사용자 작동가능 OLED 기반 조명 디바이스 내 예시적인 작동 검출 회로에 관한 추가적인 세부사항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여기서 AC-커플링된 신호는 증폭되고 복수의 임계 전압과 비교되어 조명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작동 신호를 생성한다.
도 10은 사용자가 OLED 패널을 가압하는 것에 따른 2레벨 제어를 갖는 예시적인 셀프 디밍 OLED 기반 조명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프로세서가 OLED 패널의 사용자 작동에 의해 야기된 감지된 전압 변화에 기초하여 작동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관 드라이버 및/또는 하나 이상의 외부 조명 디바이스에 하나 이상의 작동 제어 신호 또는 값을 직접 제공하는 다른 예시적인 작동 검출 회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드라이버가, 작동 검출 회로로부터 작동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및/또는 드라이버 레벨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 신호 또는 값을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복수의 비교기 임계값을 사용하여 OLED 패널의 상이한 부분을 가압하는 사용자에 의해 야기된 전압 변화 사이의 차이 및 검출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5 및 도 16은 온보드 드라이버 및 외부 드라이버를 가진 예시적인 셀프 디밍 OLED 기반 조명 디바이스를 각각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이는 본 개시물에 따라 광 패널의 하나 이상의 OLED를 가압하는 사용자에 의해 야기된 전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작동 검출 회로를 포함한다.
도 17 및 도 18은 복수의 비교기 임계값을 사용하여 OLED 패널의 상이한 부분을 가압하는 사용자에 의해 야기된 전압 변화 사이의 차이 및 검출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9 및 도 20은 접속된 광 패널의 물리적 작동을 구동하고 검출하기 위한 작동 검출 회로 및 AC-DC 컨버터를 가진 드라이버 회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면, 유사한 참조 번호는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유사한 요소를 지칭하는데 사용되고 다양한 피쳐들은 반드시 축적에 따라 도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입력 단자(T1 및 T2)를 통해 소스(104)로부터 AC 입력 전력을 수신하는 예시적인 OLED 기반 조명 디바이스(11)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102)을 도시한다. 2단자 디바이스(110)는 셀프 디밍 디바이스이고, 여기서 사용자는 디바이스의 조사 부분(an illuminated portion)을 가압함으로써 전반 조사 (디밍) 레벨(general illumination dimming level)을 제어하기 위해 디바이스(110)를 물리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온보드 드라이버(120)는, 소스(104)로부터 AC 입력 전력을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OLED(131)를 가지는 OLED 기반 광 패널(130)에 조절된 DC 출력 전류(a regulated DC output current)를 제공한다. 드라이버(120)는 레벨 제어 회로(122)를 통해 전반적으로 일정한 출력 전류로 조절하는 정전류 소스이며, 이로써 전반적으로 일정한 전류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정상 상태 동작에서 전반적으로 일정한 광 출력을 제공한다. 레벨 제어 회로(122)는 드라이버(120)의 전류 조절기(a current regulator)에 설정 값(a setpoint value)을 제공하고, 수신된 작동 신호 입력(142)에 따라 이 드라이버 설정 값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전류 변화(222)를 검출하는 작동 검출 회로(140)와 함께, 정전압 드라이버 회로(120)가 사용되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아래에서 예증한다.
광 패널(130)은, 평면 외부에 전반 조명 출력 이미터를 제공하기 위해 보통 패널(130)의 하나의 평면 상에 스트립(strips) 또는 셀로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OLED 디바이스(131)를 가진 박판(a thin panel)과 같이, 임의의 적합한 구성, 모양 및 폼 팩터의 것일 수 있다. 일 예로서, 디바이스(110)는 사용자를 위한 전반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 바깥쪽으로 향하는 하나 이상의 OLED(131)와 함께, 벽면, 테이블 위, 또는 오퍼레이터(사용자)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다른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비-OLED 발광 컴포넌트는, OLED(131)를 가압하는 사용자에 관한 작동 검출 회로(140)에 의한 검출을 허용하도록 DC 전력 단자(132 및 134) 사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작동가능 OLED(131)를 포함하는 패널(130)과 함께, 광 패널(130), 가령, LED 또는 다른 DC 구동 광 컴포넌트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드라이버(120)는, OLED(131)를 통해, 제 1 접속부(132)에 의해 드라이버의 양의 DC 출력으로부터 드라이버 전류를 유도하기 위한 경로를 생성하도록 광 패널 전력 접속부(132 및 134)에 의해 광 패널(130)에 입력 전력을 제공하고, 제 2 전력 접속부(134)를 통해 드라이버(120)의 음의 전환 단자로 전환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정상 상태 동작에서, 패널(130)의 OLED(131)를 통한 DC 드라이버 전류의 유도는 단자(132 및 134)에 걸쳐 전반적 DC 전압을 생성한다. 디바이스(110)는 사용자에 의한 OLED(131)의 물리적 작동에 의해 야기되는 광 패널 단자에 걸친 전압에서의 전압 변화(202)(도 13 및 도 14)를 감지하도록 단자(132 및 134)와 접속하는 작동 검출 회로(140)를 포함한다. 작동 검출 회로(140)는 단자(132 및 134)에 걸친 전압에서 감지된 전압 변화(20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드라이버(120)의 레벨 제어 회로(122)에 작동 신호(들)(142)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서, 드라이버(120)는 조명 디바이스(110)에 통합되고, 작동 신호(142)를 직접 수신한다. 그 결과, 단순한 2단자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이는 사용자가 간단하게 광 패널(130)을 가압하여 레벨 제어(122)가 광 출력 레벨을 변경하도록 하는 자신만의 디밍 제어를 제공한다.
도 2는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조명 디바이스(110)는 외부 드라이버(120)로부터 입력 DC 전력을 수신하기 위해, 광 패널 전력 접속부(132 및134)에 각각 접속된 제 1 및 제 2 단자(T1 및 T2), 및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출력으로서 작동 신호(142)를 제공하기 위한 제 3 단자(T3)를 포함한다. 이 예시에서, 시스템(102)은 AC 입력 소스(104)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외부 DC 드라이버(120)를 포함하며, 여기서 드라이버(120)는 단자(T1 및 T2)를 통해 사용자 작동가능 광 패널(130)에 DC 출력 전류를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서, 더욱이, 드라이버(120)의 레벨 제어 회로(122)는 조명 디바이스(110)의 작동 검출 회로(140)로부터 작동 신호(142)를 수신하기 위해 제 3 단자(T3)에 접속된다. 이 실시예에서 레벨 제어 회로(122)는 또한 수신된 신호(142)에 따라 드라이버(120)의 전력 출력 레벨(예를 들어, 드라이버의 내부 전류 조절기에 대한 설정 값)을 선택적으로 변경하도록 동작한다. 도 1의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는, 단자(132 및 134)에 걸친 전압에서의 초래된 변화(202)를 검출하고 광 패널(130)의 사용자 작동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작동 신호(142)를 생성하는 작동 검출 회로(140)로, 광 패널(130)의 하나 이상의 OLED(131)를 단순히 가압하거나 그렇지 않다면 물리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또한, 외부 스위치나 디밍 제어 디바이스 없이, 사용자가 디바이스(110) 자체를 작동시킴으로써 디바이스(110)의 광 출력 레벨을 설정할 수 있게 한다.
도 3 및 도 4는 조명 시스템(1020)의 일부를 형성하는 예시적인 OLED 기반 사용자 작동가능 조명 디바이스(110)를 도시하며, 여기서 공유 DC 드라이버(120)는 복수의 광 패널(130)에 DC 출력 전력을 제공하고, 복수의 광 패널 중 일부는 조명 디바이스(110) 외부에 있다. 도 3의 예시에서, 공유 DC 드라이버 회로(120)는 사용자 작동가능 조명 디바이스(110)에 통합되는 반면, 도 4에 도시된 예시는 외부 드라이버(120)를 사용한다. 더욱이, 도 3의 조명 디바이스(110)는 두 개의 AC 입력 단자(Ta 및 T2) 뿐만 아니라 두 개의 DC 출력 단자(T3 및 T4)를 가지는 4단자 디바이스인 반면, 도 4의 디바이스(110)는 DC 입력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단자(T1 및 T2) 뿐만 아니라 드라이버(120)의 레벨 제어 회로(122)에 작동 신호 출력(142)을 제공하기 위한 단자(T3)를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작동가능 OLED 기반 조명 디바이스(110)에 의해 제공된 작동 신호(142)는 자신만의 드라이버(120)를 포함하는 외부 디바이스의 동작 설정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작동 신호(142)는, 히팅/에어 컨디셔닝 유닛, 텔레비전, 가전제품 등과 같은 다른 비-조명 디바이스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작동가능 조명 디바이스(110)는 연관 드라이버(120)의 제어 회로(122)를 통해 작동 신호(142)에 따라 디밍될 수 있으며, 여기서 도 5에서는 연관 드라이버(120)는 조명 디바이스(110)에 통합되고 도 6에서는 연관 드라이버(120)는 외부 디바이스이다. 도 5 및 도 6의 예시에서, 사용자는 광 패널(130)의 OLED(131)를 가압함으로써 작동가능 조명 디바이스(110)를 동작시킬 수 있어 작동가능 조명 디바이스 및 외부 조명 디바이스(110)를 일제히 디밍한다.
도 7 및 도 8에서, 사용자 작동가능 OLED 기반 디바이스(110)는 비-디밍 드라이버(120)(드라이버(120)는 도 7의 예시에서는 통합되고 도 8의 예시에서는 외부에 있음)로부터 일정한 DC 전력을 제공받는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작동가능 조명 디바이스(100)는 다시 이들의 디밍 레벨을 변경하기 위한 온보드 레벨 제어 회로(122)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외부 조명 디바이스(110)로 단자(T3)를 경유하여 출력으로서 작동 신호(142)를 제공한다. 이러한 예시들에서, 사용자는, 다른 조명 디바이스(110)에 관한 하나 이상의 제어된 동작(가령 도시된 예시들에서의 디밍 및/또는 다른 실시예들에서의 온/오프 제어)을 수행하기 위해, OLED 광 패널(130)을 가압함으로써 작동가능 조명 디바이스(1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자 작동가능 디바이스(110)는, 가령 주택의 식당에서, 천장에 장착된 다른 디바이스와 함께, 전반 조명을 제공하도록 벽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도면들에 도시된 시스템 구성은 사용자가 벽에 장착된 조명 디바이스(110)를 가압함으로써 천장 조명을 디밍가능하도록 한다.
도 9는 작동가능 광 패널(130)의 광 패널 전력 접속부(132 및 134)에 접속되는 작동 검출 회로(140)에 관한 일 실시예에 관한 추가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커패시터(C1)는 접속부(132 및 134)에서 감지된 전압을 AC 커플링하고, 이 경우에서 제 1 하나의 커패시터 단자는 상위 전력 접속부(132)에 접속되고, 제 2 단자는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op amp 회로일 수 있는 증폭기 회로(143)의 입력에 접속된다. 증폭기(143)는 비교기 회로(144)의 제 1 입력에 출력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교기(144)는 복수의 비교기 컴포넌트 또는 증폭기(143)의 출력이 두 개 이상의 임계 전압(145)과 비교되는 다른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비교기 회로(144)는 복수의 비교기 또는 비교 출력을 펄스 검출기 회로(146)에 제공한다. 도 13 및 도 14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임계값은, 사용자가 광 패널(130)의 복수의 상이한 부분 중 하나를 가압했는지 판별하거나, 패널(130)에 인가된 작동 압력의 상이한 레벨을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개별 아날로그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다수의 비교기가 회로(144) 내에 제공될 수 있고, 각 비교기는 증폭기(143)의 출력 접속된 하나의 입력뿐만 아니라 참조 임계 전압(145) 중 대응하는 전압에 접속된 다른 입력 및 대응하는 펄스 검출기(146)를 구동하는 별도의 출력을 갖는다. 펄스 검출기 출력은 그런 다음 대응하는 복수의 래치 회로(148)에 제공되어 작동 신호(142)를 생성한다.
도 10은 단일의 참조 임계 전압(145)과 증폭기(143)의 출력을 비교하기 위한 단일 비교기 회로(140)와 함께 도 9에 관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AC 커플링 커패시터(C1) 및 증폭기(143)를 포함하는 작동 검출 회로(14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비교기의 출력은 펄스 검출기(146)를 구동시키고, 래치(148)는 작동 신호(142)를 제공하여 전력 접속부(132 및 134)에 걸친 전압에서 검출된 전압 외란(disturbance) 또는 변화(perturbation)가, 증폭 이후에 임계값(145) 보다 큰 진폭을 갖는지를 표시한다. 이는, 차례로,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OLED(131)를 작동시켰다는 것을 표시한다.
더욱이, 이 실시예에서, 드라이버(120)는 닫힌 루프 전류 조절을 위해 레벨 제어 회로(122)에 입력을 제공하는 피드백 전압 입력(VF)을 포함한다. 조정가능 피드백 회로는 OLED(131)와 하위 전력 접속부(134) 사이의 전환 경로(return path) 내에 제공되며, 이는 FET(Q1)의 소스-드레인 채널과 제 2 저항(R2)의 직렬 조합과 병렬로 접속된 아주 작은(nominal) 피드백 저항(R1)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하나의 디밍 레벨에 대하여, 작동 신호(142)는 Q1을 오프로 전환하고 이로써 유일한 피드백 저항은 R1이고, 레벨 제어 회로(122)에 제공되는 전압 피드백은 제 1 전압 레벨에서이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OLED(131)을 작동시킨 경우, 래치 회로(148)는 Q1을 온으로 전환하도록 작동 신호(142)를 제공하고, 이로써 전환 경로 내 피드백 저항은 (Q1의 RDSON과 직렬인)R2와 R1의 병렬 조합이며, 이는 차례로 레벨 제어 회로(122)에 제공되는 전압 피드백의 레벨의 변경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시 임의의 외부 디밍 제어 디바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작동가능 OLED(들)(131)을 단지 가압함으로써 두 개의 별개 값 사이에서 광 출력 레벨을 토글링(toggle)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작동 검출 회로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프로세서(141)는 작동 검출 회로(140) 내에 제공되고, 래치 회로(148)로부터 작동 신호(142)를 수신한다. 이 경우에서, 프로세서(141)는 (사용자 작동가능 OLED(131)에 대한 디밍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작동 신호 또는 값(150)을 연관 드라이버(120)의 레벨 제어 회로(122)에 제공할 수 있고/있거나 프로세서(141)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에 의해 접속된 것인지에 상관없이, 그러한 작동 신호 및/또는 값(150)을 작동 검출 회로(142)의 통신 인터페이스(149)를 통해 하나 이상의 외부 조명 디바이스(110)(및/또는 하나 이상의 비-조명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프로세서(122) 및 통신 인터페이스(129)가 드라이버(120) 내에 제공되는 또 다른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예시에서, 래치 회로(148)는 드라이버 프로세서(122)에 작동 신호(들)(142)를 제공하고, 이는 차례로 하나 이상의 작동 신호 또는 값(150)을 연관 드라이버(120)의 레벨 제어 회로(122) 중 하나 또는 양자에 제공하고/하거나 통신 인터페이스(129)를 통해 하나 이상의 외부 조명 디바이스(110)(및/또는 하나 이상의 비-조명 디바이스, 미도시)에 제공한다.
작동 검출 회로(140) 및/또는 드라이버(120) 중 하나 또는 양자 내 프로세서(141, 129)의 제공은 무제한 번의 제어 조치가 하나 이상의 OLED(131)의 사용자 개시된 작동에 기초하여 취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작동된 OLED는 그러한 사용자 개시된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디밍될 수 있다. 또한, 또는 조합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조명 디바이스(110)는 그러한 사용자 작동에 의해 온 또는 오프로 전환 되고/되거나 선택적으로 디밍될 수 있다. OLED(들)(113)에 관한 의도치 않은 작동에 대한 구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작동 검출 회로(140) 및/또는 프로세서(122, 149)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감지된 변화가 하나 이상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작동에 대해서만 그러한 제어 조치를 취하거나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있거나 그러한 컴포넌트들은 두 개 이상의 변화(202)가 비-제로인 사전결정된 시간(a non-zero predetermined time) 내에서 검출된 이후에 제어 조치를 개시할 수 있다.
더욱이, 상이한 제어 조치는 사용자 작동의 검출된 진동수(frequency)에 기초하여 취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OLED(131)를 빠르게 가압하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더 큰 증가로 디밍하고 사용자가 OLED(131)를 천천히 가압하는 미세 조명 조정(fine-tuned lighting adjustment)에 대해서는 작은 증가로 디밍한다. 또한, 프로세서(122, 149)는 사용자 작동 진동수 및/또는 전압 변화(202)의 진폭에 기초하여 상이한 조치를 취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가령 빠른 사용자 작동이나 더 높은 진폭 변화(202)에 대해서는 디밍 업(dimming up)하고, 느린 사용자 작동이나 더 낮은 진폭 전압 변화(202)에 대해서는 디밍 다운(dimming down)한다.
또한, 프로세서(122, 149)는, 천장 팬 시스템 및/또는 히팅/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의 환경 제어 설정을 변경하는 것, 홈 보안 시스템을 활성화/비활성화하는 것, 차고 문을 여는 것/닫는 것, 전화기 또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의 응답/설정조정하는 것,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것, 컴퓨터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것 등과 같은, 대응하는 제어 조치를 개시하기 위해 신호 및/또는 메시지를 (예를 들어, 접속된 통신 인터페이스(129, 149)를 통해) 임의 형태의 제어가능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이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그래프(200 및 210)는 상이한 위치에서 주어진 OLED 패널(130)을 가압하는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이한 진폭을 가지는 전압 변화(202)를 도시한다. 도 13의 예시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증폭기 입력 신호는, 사용자가 거의 중앙 영역(136)에서 4개의 세그먼트 OLED 어레이(130)를 가압하는 경우에 상대적으로 높은 진폭의 변화(202)를 갖는다. 이와 반대로, 도 14는 사용자가 OLED 패널(130)의 가장자리 근처의 다른 위치(138)를 가압하는 경우에 증폭기 입력의 낮은 진폭에서의 변화(202)를 도시한 그래프(210)를 보여준다. 그래프(200 및 210)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상이한 임계값(TH1 및 TH2)의 사용은 작동 검출 회로(140) 및/또는 프로세서(122, 149)로 하여금 패널(130)의 이러한 상이한 부분(136, 138)에 관한 사용자 작동을 구별가능하게 하며, 이로써 사용자는 패널(130)의 상이한 부분을 선택적으로 작동함으로써 별개의 조명(또는 다른) 제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더욱이, 유사 임계값 기반 선택적 제어는, OLED 패널(130)에 인가된 사용자 작동 압력에 관한 두 개 이상의 상이한 레벨들을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높은 진폭 변화(202)(예를 들어, 도 13)는 패널(130)을 강하게 가압하는 사용자로부터 야기되며, 이와 반대로 더 부드러운 작동(심지어 패널(130) 상의 동일한 위치에서)은 더 낮은 진폭 전압 변화(202)(예를 들어, 도 14)를 야기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조명 디바이스(110)는 사용자에게 작동 압력에 기초하여 별개의(조명 또는 다른) 제어 조치를 수행하는 능력, 예를 들어, 패널(130)에 대한 강한 압력에 대해서는 빠른 디밍, 및 더 약한 압력에 대한 더 작은 디밍 증가를 제공한다.
또한 도 18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셀프 디밍 OLED 기반 조명 디바이스(110)가 도 15 및 도 16에서 도시되고, 여기서 작동 검출 회로(140)는 제 1 DC 접속부(132)와 직렬로 연결되어 온보드 및 외부 드라이버 각각과 함께 전류 변화(222)를 검출한다(도 17 및 도 18). 작동 검출 회로(140)는 광 패널(130)의 하나 이상의 OLED(131)를 가압하는 사용자에 의해 야기된 전류 변화를 검출한다. 이러한 예시들에서, 정전압 드라이버 소스(120)는 조절된 전압 출력을 광 패널(130)에 제공하고, OLED(131)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변화(222)는 작동 검출 회로(140)에 의해 감지되며, 이는 감지된 전류 변화(22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작동 신호(142)를 제공한다.
도 17 및 도 18의 그래프(220 및 2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검출 회로(140)는 상이한 비교기 임계값(TH1 및 TH2)을 사용하여 OLED 패널(130)의 상이한 부분을 가압하는 사용자에 의해 야기된 전류 변화들을 구별한다. 도 17의 그래프(220)는, 사용자가 패널(130)의 중앙 부분(136)을 가압하는 경우 TH1 및 TH2 모두를 초과하는 상대적으로 높은 진폭을 가지는 예시적인 OLED 전류 변화(222)를 도시한다. 도 18의 그래프(2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신에 사용자가 패널(130)의 코너 부분(138)을 가압하는 경우, 더 작은 전류 변화(222)가 야기되고, 여기서 작동 검출 회로(140)는 TH1를 초과하지만 제 2 임계값(TH2)은 초과하지 않기 때문에 이 상이한 진폭을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임의의 적합한 전류 감지/검출 기술 및/또는 회로는, 예컨대 증폭기, 비교기, 펄스 검출기 및/또는 래치를 사용하여(예를 들어, 위의 도 9 내지 도 11의 전압 변화 예시들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그 밖의 전반적으로 일정한 DC 전류에서의 22에 대한 변화가 감지될 수 있는 작동 검출 회로(140)에 채용될 수 있다. 작동 검출 회로(140)는, 셀프 디밍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제어 조치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에 작동 신호(142)를 출력(및/또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를 통해, 하나 이상의 작동 신호 또는 값(150)을 출력)한다.
도 19 및 도 20을 또한 참조하면, 도 19는 AC 입력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단자(T1 및 T2)에 각각 접속된 제 1 및 제 2 입력뿐만 아니라 접속된 광 패널(130)의 DC 전력 접속부(132 및 134)로의 접속을 위한 출력 단자를 가진 AC-DC 컨버터(드라이버 회로)(126)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전력 소스(120)를 도시한다. 컨버터(126)는, 전반 조명을 생성하는 광 패널(130)의 하나 이상의 솔리드 상태 조명 컴포넌트(OLED(131))로 출력(132 및 134)을 통해 DC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AC 소스(104)로부터의 입력 전력을 변환하도록 동작한다. 전력 소스(120)는 또한 OLED(131)에 조절된 출력 DC 전류를 제공하도록 AC-DC 컨버터(126)를 동작시키는 레벨 제어 회로(122)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서 전력 소스(120)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작동 검출 회로(140)를 포함하고, 이는 컨버터(126)가 하나 이상의 OLED(131)에 전력을 제공하는 동안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OLED(131)를 가압하거나 그렇지 않다면 물리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야기된 드라이버 출력(132 및 134)에 걸친 전압의 변화(202)를 감지한다. 작동 검출 회로(140)는 선택적 신호 출력 단자를 통해 레벨 제어 회로(122) 및/또는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미도시)에 하나 이상의 작동 신호(142)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도 20은 전력 소스(120)가 소스(120)로부터 입력 AC 전력을 수신하고 소스(120)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OLED(131)를 구동하기 위해 조절된 전압 DC 출력을 제공하는 정전압 AC-DC 컨버터(드라이버 회로)(126)를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작동 검출 회로(140)는, 사용자에 의한 하나 이상의 OLED(131)의 물리적 작동에 의해 야기되는 접속된 광 패널(130)의 OLED(131)를 통해 컨버터(126)로부터 흐르는 전류의 변화(위의 도 17 및 도 18의 222)를 감지한다. 또한, 작동 검출 회로(140)는 컨버터(126)를 작동시키는 레벨 제어 회로 및/또는 외부 디바이스에 하나 이상의 작동 신호(142)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개시물은, 연관 드라이버(120)와 조합하여 또는 단독으로, 작동 검출 회로(140) 및 솔리드 스테이트 광 패널(130)을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110)(예를 들어, 위의 도 1 내지 도 8) 뿐만 아니라, 연관 광 패널(130)에 접속될 수 있는 작동 검출 회로(140)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물은 드라이버(126)뿐만 아니라 솔리드 스테이트 광 패널(130)에 연결될 수 있는 통합된 작동 검출 회로(140)를 포함하는 전력 소스(120)를 제공한다.
위의 예시들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관한 다수의 가능한 실시예들을 단지 예증하는 것이며, 여기서 균등한 대안 및/또는 수정이 이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을 읽고 이해한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게 발생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된 컴포넌트들(어셈블리, 디바이스, 시스템, 회로 등)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기능에 대한 특정 관점에서, 그러한 컴포넌트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된 ("수단"에 대한 참조를 포함하는) 용어는, 달리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임의의 컴포넌트, 가령 하드웨어, 프로세서 실행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응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이는 본 개시물의 예증된 구현예들에서 기능을 수행하는 개시된 구조와 구조적으로 같이 않더라도, 설명된 컴포넌트에 관한 명시된 기능(즉, 기능적으로 균등한 기능)을 수행한다. 본 개시물의 특정 피쳐가 다수의 구현예들 중 하나에 관해서만 설명 및/또는 도시되었으나, 그러한 피쳐는, 임의의 주어진 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이점이 있고 요구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구현예들의 하나 이상의 다른 피쳐들과 조합될 수 있다. 더욱이, 달리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단일 컴포넌트 또는 아이템에 관한 참조는 두 개 이상의 그러한 컴포넌트 또는 아이템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상세한 설명 및/또는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포함하는(including)", "포함하다(include)", "가지는(having)", "가지다(have)", "가진(with)", 또는 이들의 변형에 대한 확장을 위해, 그러한 용어들은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과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명백하게, 수정 및 변경이 전술한 상세한 설명을 읽고 이해한 다른 이들에게 발생할 것이다. 본 발명은 그러한 모든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조명 디바이스로서,
    광 패널(a light panel)과,
    상기 광 패널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작동 검출 회로(an actuation detect circuit)를 포함하되,
    상기 광 패널은,
    드라이버로부터 DC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 1 광 패널 전력 접속부 및 제 2 광 패널 전력 접속부와,
    상기 드라이버에 의해 제공된 전류를 사용하여 전반 조명(general lighting)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1 광 패널 전력 접속부 및 상기 제 2 광 패널 전력 접속부 사이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검출 회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OLED가 전반 조명을 제공하는 동안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OLED의 물리적 작동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OLED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변화(perturbation) 또는 상기 제 1 광 패널 전력 접속부와 상기 제 2 광 패널 전력 접속부에 걸친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변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작동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조명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검출 회로는, 상기 감지된 변화의 진폭을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감지된 변화의 진폭이 상기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조명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검출 회로는, 상기 감지된 변화의 진폭을 복수의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감지된 변화의 진폭이 상기 복수의 임계값 중 어느 것을 초과하는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조명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검출 회로는 상기 감지된 변화의 진폭이 상기 복수의 임계값 중 어느 것을 초과하는지를 표시하도록 복수의 작동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조명 디바이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검출 회로는 상기 감지된 변화의 진폭이 상기 임계값보다 큰 경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신호 또는 값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임계값보다 큰 진폭을 가진 복수의 변화가 비-제로인 사전결정된 시간(a non-zero predetermined time) 내에서 감지되는 경우에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신호 또는 값을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조명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검출 회로는, 상기 감지된 변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작동 신호 또는 값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변화가 비-제로인 사전결정된 시간 내에서 감지된 경우에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신호 또는 값을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조명 디바이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변화의 진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이한 작동 신호 또는 값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조명 디바이스.
  10. 제 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신호 또는 값을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조명 디바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 패널 전력 접속부 및 상기 제 2 광 패널 전력 접속부를 경유하여 상기 광 패널로 DC 전력을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드라이버를 더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검출 회로는 상기 드라이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신호를 제공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광 패널에 제공되는 DC 전력의 양을 선택적으로 변경하도록 동작하는
    조명 디바이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변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 적어도 하나의 작동 신호 또는 값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변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 적어도 하나의 작동 신호 또는 값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검출 회로는,
    입력 및 출력을 포함하는 증폭기와,
    상기 제 1 광 패널 전력 접속부 및 상기 제 2 광 패널 전력 접속부 중 하나와 상기 증폭기의 상기 입력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턴스와,
    상기 증폭기의 출력과 연결된 제 1 비교기 입력과, 임계 전압과 연결된 제 2 비교기 입력과, 상기 제 1 비교기 입력 및 상기 제 2 비교기 입력에서의 전압의 상대적 극성(relative polarities)에 따른 출력 전압 세트를 가지는 비교기 출력을 포함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와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비교기 출력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비교기 출력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펄스 검출기 출력을 제공하는 펄스 검출기와,
    상기 펄스 검출기 출력을 래치하여 적어도 하나의 작동 신호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래치(a latch)를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
  16. 전반 조명을 제공하는 광 패널의 하나 이상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s)의 물리적 작동을 검출하기 위한 작동 검출 회로로서,
    광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OLED와 연관된 전류 또는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광 패널 전력 접속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 패널 전력 접속부와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OLED가 전반 조명을 제공하는 동안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OLED의 물리적 작동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OLED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서의 변화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OLED에 걸친 전압에서의 변화를 감지하는 검출 회로 ― 상기 검출 회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 패널 전력 접속부와 AC 연결된 입력 및 출력을 포함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의 상기 출력과 연결된 제 1 비교기 입력과, 임계 전압과 연결된 제 2 비교기 입력과, 상기 제 1 비교기 입력 및 상기 제 2 비교기 입력에서의 전압의 상대적 극성에 따른 출력 전압 세트를 가진 비교기 출력을 포함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와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비교기 출력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비교기 출력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펄스 검출기 출력을 제공하는 펄스 검출기를 포함함 ― 와,
    상기 펄스 검출기 출력을 래치하여 적어도 하나의 작동 신호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래치를 포함하는
    작동 검출 회로.
  17. 조명 시스템을 위한 전력 소스로서,
    입력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 1 입력 및 제 2 입력과 제 1 드라이버 출력 및 제 2 드라이버 출력을 가지는 드라이버 회로 ― 상기 드라이버 회로는, 접속된 광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하여금 전반 조명을 제공하게 하도록, 상기 입력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제 1 드라이버 출력 및 상기 제 2 드라이버 출력을 통해 DC 전력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OLED에 제공하도록 동작함 ― 와,
    상기 접속된 광 패널과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드라이버 회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OLED에 DC 전력을 제공하는 동안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OLED의 물리적 작동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접속된 광 패널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서의 변화 또는 상기 제 1 드라이버 출력과 상기 제 2 드라이버 출력에 걸친 전압에서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변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작동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작동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전력 소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검출 회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신호를 상기 드라이버 회로에 제공하고,
    상기 드라이버 회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OLED에 제공된 DC 전력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동작하는
    전력 소스.
  19. 제 17 항에 있어서,
    신호 출력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작동 검출 회로는 상기 신호 출력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신호를 제공하는
    전력 소스.
  20. 적어도 하나의 조명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가 전반 조명을 제공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OLED를 가지는 광 패널에 DC 전력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OLED가 전반 조명을 제공하는 동안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OLED의 물리적 작동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OLED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서의 변화 또는 상기 광 패널의 제 1 전력 접속부와 제 2 전력 접속부에 걸친 전압에서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변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137029342A 2011-05-05 2012-05-03 셀프 디밍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069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01,452 2011-05-05
US13/101,452 US8587215B2 (en) 2011-05-05 2011-05-05 Self-dimming OLED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PCT/US2012/036202 WO2012151337A1 (en) 2011-05-05 2012-05-03 Self-dimming oled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459A true KR20140026459A (ko) 2014-03-05
KR102069006B1 KR102069006B1 (ko) 2020-01-22

Family

ID=4604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9342A KR102069006B1 (ko) 2011-05-05 2012-05-03 셀프 디밍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87215B2 (ko)
EP (1) EP2705728B1 (ko)
JP (1) JP6132834B2 (ko)
KR (1) KR102069006B1 (ko)
CN (1) CN103503562B (ko)
TW (1) TWI555433B (ko)
WO (1) WO20121513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0501A (ko) * 2012-05-22 2013-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장치
SI3213608T1 (sl) 2014-10-30 2019-11-29 Tae Tech Inc Sistem in postopek za tvorjenje in ohranjanje plazme v visokozmogljivem FRC
US9741956B2 (en) 2014-11-25 2017-08-2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pparatus
CN106292383B (zh) * 2015-05-11 2020-06-26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控制系统及方法
CN106293017B (zh) * 2015-05-18 2019-12-0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外设工作状态的调控方法和装置
DE102015112635B4 (de) * 2015-07-31 2022-11-24 Pictiva Displays International Limited Optoelektronische Baugrupp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optoelektronischen Baugruppe
CN105120571B (zh) 2015-09-14 2018-05-01 昂宝电子(上海)有限公司 用于发光二极管照明系统中的电流调节的系统和方法
WO2018081724A1 (en) 2016-10-28 2018-05-03 Tae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sustainment of a high performance frc elevated energies utilizing neutral beam injectors with tunable beam energies
UA127712C2 (uk) 2016-11-04 2023-12-13 Тае Текнолоджіз, Інк. Системи і способи поліпшеної підтримки високоефективної конфігурації з оберненим полем з вакуумуванням із захопленням багатомасштабного типу
PE20190836A1 (es) 2016-11-15 2019-06-17 Tae Tech Inc Sistemas y metodos para mejorar el sostenimiento de una frc de alto rendimiento y un calentado de los electrones de onda rapida de alta armonica en una frc de alto redimiento
CN207399550U (zh) * 2017-07-20 2018-05-22 上海互兴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记忆功能的可控硅调光调色驱动电源电路
CN107560769A (zh) * 2017-08-23 2018-01-09 上海交通大学 一种基于薄层面光源与压敏漆的全场压力测试系统
TWI749459B (zh) * 2020-02-05 2021-12-11 林國尊 吊扇控制系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405A (ko) * 2002-08-05 2002-11-18 주식회사 이에스에스디 전기 기기용 간접 터치 스위치
JP2005530200A (ja) * 2002-06-18 2005-10-06 ケンブリッジ ディスプレイ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ディスプレイドライバ回路
KR20070064647A (ko) * 2004-09-24 2007-06-21 터치센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용량성 터치 센서를 사용하는 무접촉 다지점 스위치
KR20090056883A (ko) * 2007-11-29 2009-06-03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가압 검지 센서, 입력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090109426A (ko) * 2008-04-15 2009-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3722A (ja) * 1997-04-24 1998-11-13 Oval Corp 光センシングタッチパネル装置
JP2006106294A (ja) * 2004-10-04 2006-04-20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TWI325285B (en) * 2006-12-18 2010-05-21 Addtek Corp Driving circuit and related driving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control and open-circuit protection
EP2106675B1 (en) * 2007-01-22 2018-11-07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rrangement
KR101476434B1 (ko) 2007-07-20 2014-1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시스템
TWI479714B (zh) * 2008-01-29 2015-04-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具整合式之鄰近感測器的有機發光二極體照明裝置
US8502454B2 (en) * 2008-02-08 2013-08-06 Innosys, Inc Solid state semiconductor LED replacement for fluorescent lamps
KR101549040B1 (ko) * 2008-07-11 2015-09-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제어방법
US9086753B2 (en) * 2008-10-01 2015-07-21 Koninklijke Philips N.V. OLED device and an electronic circuit
WO2010098199A1 (ja) * 2009-02-27 2010-09-0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タッチパネル、および電子機器
US8243045B2 (en) 2009-03-10 2012-08-14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and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0200A (ja) * 2002-06-18 2005-10-06 ケンブリッジ ディスプレイ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ディスプレイドライバ回路
KR20020086405A (ko) * 2002-08-05 2002-11-18 주식회사 이에스에스디 전기 기기용 간접 터치 스위치
KR20070064647A (ko) * 2004-09-24 2007-06-21 터치센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용량성 터치 센서를 사용하는 무접촉 다지점 스위치
KR20090056883A (ko) * 2007-11-29 2009-06-03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가압 검지 센서, 입력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090109426A (ko) * 2008-04-15 2009-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04600A (zh) 2013-01-16
CN103503562B (zh) 2016-01-20
TWI555433B (zh) 2016-10-21
CN103503562A (zh) 2014-01-08
JP6132834B2 (ja) 2017-05-24
WO2012151337A1 (en) 2012-11-08
JP2014519147A (ja) 2014-08-07
US20120280636A1 (en) 2012-11-08
US8587215B2 (en) 2013-11-19
EP2705728B1 (en) 2018-09-05
EP2705728A1 (en) 2014-03-12
KR102069006B1 (ko)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006B1 (ko) 셀프 디밍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10356879B2 (en) Automatic configuration of a load control device
US11382200B2 (en) Load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driver for a lighting load
US10756662B2 (en) Motor control device
CA2971424C (en) Calibration of a load control device for a light-emitting diode light source
TWI528856B (zh) Led調光驅動器
WO2020112838A1 (en) Load control device configured to operate in two-wire and three-wire modes
CN115428285A (zh) 用于改装远程控制装置的基座和改装远程控制装置
CN114080862A (zh) 具有可视指示器的控制装置
US10638563B2 (en) Voltage transducer for a lighting system
US8624526B2 (en) Sensing device for LED lighting equipment
US11968761B2 (en) Load control device responsive to non-contact actuations
CN107333358B (zh) 感应式灯泡
CN202353865U (zh) 应用于控制led照明设备的感应装置
US11983973B2 (en) System and scanning device for granting user access using a bluetooth low energy (BLE) Mesh
CN115803967A (zh) 具有电容触摸表面的负载控制装置
CN210168264U (zh) 电源驱动器和电源驱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