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5770A - 이종소재 단위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자동화공정 - Google Patents

이종소재 단위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자동화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5770A
KR20140025770A KR1020120091860A KR20120091860A KR20140025770A KR 20140025770 A KR20140025770 A KR 20140025770A KR 1020120091860 A KR1020120091860 A KR 1020120091860A KR 20120091860 A KR20120091860 A KR 20120091860A KR 20140025770 A KR20140025770 A KR 20140025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component body
material unit
component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강환
서민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91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5770A/ko
Publication of KR20140025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8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light alloys, e.g. extru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단위부품은 용접 대상물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는 연결부 및 용접자동화공정에 적용토록, 용접 대상물의 용접결합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연결부를 제공하며, 상기 용접 대상물과 이종의 소재로 형성되는 부품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자동화공정은 상기 이종소재 단위부품과 용접 대상물이 제공되는 준비단계 및 상기 이종소재 단위부품과 상기 용접 대상물을 자동용접장치에 의해 용접하는 조립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종소재 단위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자동화공정{Different materials composing unit member and automatic assembly process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이종소재 단위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자동화공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 대상물에 용접되는 부분만을 용접 대상물과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고, 그 이외의 부분은 이종의 소재로 구성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자동차 산업에서는 자동차의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한 수많은 연구가 진행중에 있다. 그중에서도 자동차의 경량화를 통한 연비 향상을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차의 경량화를 위한 연구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소재를 개선하여 경량화하려는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즉,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소재인 스틸 대신에 스틸보다 가벼운 소재를 자동차에 사용하여 경량화하려는 것이다.
그 일례인 마그네슘은 실용 금속 중 가장 가벼운 금속으로 밀도가 철의 약 5분의 1 정도여서 제품에 적용시 무게 절감 효과가 큰 소재이다. 이와 같은 마그네슘은 자동차 부품의 특성 및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으나, 이종소재와의 결합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즉, 자동차에 있어 대부분의 부품끼리의 결합은 용접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마그네슘 소재로 구성된 부재의 경우에는 동종인 마그네슘 소재로 구성된 부재와는 용접이 가능하나 마그네슘이 아닌 이종의 소재로 구성된 부재와는 용접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마그네슘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또는 철 등의 이종의 소재로 구성된 부재 간의 결합에서도 문제된다. 일례로, 마그네슘과 알루미늄 간의 용접은 어느 정도 가능하지만 용접시에 생성되는 금속간 화합물 생성으로 용접부의 강도가 취약한 단점이 있다.
즉, 통상적으로 실행되는 용접 공정으로는 이종소재를 접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특히, 용융온도가 높은 스틸에 용융온도가 낮은 마그네슘 등의 경량 금속을 접합하는 경우 스틸의 미용융 및 경량 금속의 과다 입열로 인해 용접부는 낮은 강도를 가질 수밖에 없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신규 공정을 적용할 수밖에 없어 기존 자동화된 용접장비를 활용할 수 없는 단점이 발생한다.
즉, 대부분의 자동차 생산설비의 용접장치는 스팟용접을 하고 있으며, 스틸 부품에 특화되어 있는 자동화 생산설비가 구축되어 있다. 따라서, 마그네슘 등의 경량 소재를 차체에 접합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설비를 구축해야 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생산설비의 구축은 수백에서 수천억 수준의 투자가 필요하므로 제조사 입장에서는 상당한 부담이 되며 경량 소재 적용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자동차 산업뿐만 아니라, 이종의 소재를 결합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는 모든 산업 전반에 나타나는 문제이다.
따라서, 경량의 소재를 사용하면서도 기존의 생산설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이종소재 단위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자동화공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되는 부분 이외의 부분만을 경량의 이종소재로 제공하여, 기존의 생산설비에 적용할 수 있는 동시에 경량화된 이종소재 단위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자동화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단위부품은 용접 대상물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는 연결부 및 용접자동화공정에 적용토록, 용접 대상물의 용접결합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연결부를 제공하며, 상기 용접 대상물과 이종의 소재로 형성되는 부품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단위부품의 상기 연결부의 면적은 지름(D)이 D = 5t1 /2인 원의 면적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t는 연결부의 두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단위부품의 상기 연결부는 철(Fe)로 구성되며, 상기 부품바디는 상기 철(Fe)보다 경량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단위부품의 상기 부품바디는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및 티타늄(Ti)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단위부품의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부품바디에 절연코팅막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단위부품의 상기 부품바디에는 상기 연결부와 동일한 소재의 결합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부품바디를 고정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결합부재와 스팟용접되어 상기 부품바디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단위부품의 상기 결합부재는 전극이 접하는 부분에 접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자동화공정은 상기 이종소재 단위부품과 용접 대상물이 제공되는 준비단계 및 상기 이종소재 단위부품과 상기 용접 대상물을 자동용접장치에 의해 용접하는 조립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종소재 단위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자동화공정은 연결부를 기존과 동일한 소재로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생산설비에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의해, 새로운 설비의 투자가 불필요하여 생산설비의 투자에 의한 생산비용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를 제외한 부분은 경량화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경량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에 의해, 자동차 등의 제품에서는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도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단위부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단위부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단위부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단위부품과 용접 대상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단위부품의 부품바디와 연결부의 결합구조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단위부품(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단위부품(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단위부품(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단위부품(1)과 용접 대상물(2)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단위부품(1)은 용접결합되는 용접 대상물(2)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는 연결부(10) 및 용접자동화공정에 적용토록, 용접 대상물(2)의 용접결합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연결부(10)를 제공하며, 상기 용접 대상물(2)과 이종의 소재로 형성되는 부품바디(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단위부품(1)의 상기 연결부(10)의 면적은 지름(D)이 D = 5t1 /2인 원의 면적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t는 연결부(10)의 두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단위부품(1)의 상기 연결부(10)는 철(Fe)로 구성되며, 상기 부품바디(20)는 상기 철(Fe)보다 경량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단위부품(1)의 상기 부품바디(20)는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및 티타늄(Ti)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단위부품(1)의 상기 연결부(10) 및 상기 부품바디(20)에 절연코팅막(40)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종소재 단위부품(1)은 용접 대상물(2)에 용접되는 부분만을 용접 대상물(2)과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고, 그 이외의 부분은 이종의 소재로 구성된 발명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이종소재 단위부품(1)은 조립자동화공정 중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조립부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조립자동화공정 전에 완성되어 상기 조립자동화공정에 제공되는 단위부품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기존의 용접에 의한 생산설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새로운 설비의 투자가 불필요하여 생산설비의 투자에 의한 생산비용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0)를 제외한 부분은 경량화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경량화가 가능하여, 자동차 등의 제품에서는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도 발생한다.
상기 연결부(10)는 용접 결합되는 용접 대상물(2)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용접 대상물(2)과 용접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연결부(10)와 상기 용접 대상물(2)은 동종의 소재로써, 이종소재 간의 용접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용이하게 용접을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동종의 소재를 용접하기 위한 스팟용접 등의 자동화 설비에 의해서도 용접가능하여 기존의 용접설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이종소재 단위부품(1)을 기존의 부품과 대체하여 자동용접공정에 사용하여 용접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이종소재 단위부품(1)은 각각의 제품이 필요로 하는 부품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10)는 상기 제품의 다른 부품인 용접 대상물(2)의 용접결합되는 부분의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도록 후술할 부품바디(20)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10)가 제공되는 부분을 상기 용접 대상물(2)과 용접되는 부분에 한정되게 형성하여 최적 경량화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일례로써, 스팟용접을 위한 최소의 넓이인 연결부(10) 두께(t)의 1/2승의 5배 이상의 지름(D)을 갖는 원의 넓이 이상의 넓이로 상기 연결부(1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부(10)는 지름(D)이 D = 5t1 /2인 원의 넓이 이상의 넓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부(10)의 형상이 사각형이라면, 상기 부품바디(20)와 겹치지 않고 용접을 위해 제공될 수 있는 부분의 일변의 길이(L1, L2)가 L1, L2 ≥ 5t1 /2인 면적 이상의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품바디(20)는 상기 연결부(10) 또는 상기 용접 대상물(2)과 이종의 소재로 형성되어 경량화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부품바디(20)의 소재는 상기 연결부(10) 또는 상기 용접 대상물(2) 보다 경량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일례로써, 상기 연결부(10)가 철(Fe)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부품바디(20)는 상기 철(Fe)보다 경량인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또는 티타늄(Ti)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부품바디(20)의 형상은 본 발명의 이종소재 단위부품(1)이 제공될 제품의 부품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써, 자동차의 프레임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4에는 자동차의 루프 헤더에 본 발명의 이종소재 단위부품(1)이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자동차의 프레임에 제공될 경우에는 각각의 자동차의 프레임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각각의 이송소재 부품의 용접결합을 위한 부분은 전술한 연결부(10)로 형성되어 기존의 자동용접설비를 이용하여 용접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10)와 상기 부품바디(20)의 결합은 이종소재의 부품의 결합을 위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의 'A' 부분이 상기 연결부(10)와 상기 부품바디(20)의 결합을 위한 구조가 적용되는 부분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10)와 상기 부품바디(20)가 결합된 본 발명의 이종소재 단위부품(1)의 외면에는 절연코팅막(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종의 소재가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 산화력에 따라 일측의 소재가 급격히 부식되는 갈바닉 부식(Galvanic Corrosion)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연코팅막(40)의 형성은 전착도장(Electro Deposition Coating), 분체도장(Powder Coating), 아노다이징(Anodizing), 플라즈마 전해 산화 도장(Plasma Electrolytic Oxidation: PEO), 수산화마그네슘층을 이용한 코팅 등이 활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절연 수지를 삽입하는 절연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단위부품(1)의 부품바디(20)와 연결부(10)의 결합구조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단위부품(1)의 상기 부품바디(20)에는 상기 연결부(10)와 동일한 소재의 결합부재(30)가 삽입되어 상기 부품바디(20)를 고정하는 삽입홀(21)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10)는 상기 결합부재(30)와 스팟용접되어 상기 부품바디(2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단위부품(1)의 상기 결합부재(30)는 전극이 접하는 부분에 접합홈(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0)와 상기 부품바디(20)의 결합은 이종소재의 부품의 결합을 위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구멍 삽입 결합구조(hole insert structure)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연결부(10)와 상기 부품바디(20)를 결합하는 구조라면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방법은 제품의 생산설비라인 전부에 적용하기에는 설비 구축비용을 고려할 때 부담스럽기 때문에, 부품의 생산공정에서 상기 결합방법을 위한 생산설비를 구축하고, 나머지 조립생산라인에서는 본 발명의 이종소재 단위부품(1)을 조립만하여 기존의 자동화생산설비를 그대로 활용함에 따라 생산설비 투자에 의한 생산비용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멍 삽입 결합구조는 상기 연결부(10)와 상기 부품바디(20)를 용접 및 기구적 구성에 의해 결합시키기 위해, 결합부재(3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부품바디(20)에 형성된 삽입홀(21)에 상기 연결부(1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된 결합부재(30)를 삽입하여 기구(機構)적인 구성에 의해 상기 부품바디(20)를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결합부재(30)와 상기 연결부(10)는 동종의 소재로써, 용접하여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부품바디(20)를 기구적인 구성에 의해 고정시키기 위해서, 플렌지부(32) 및 멜팅부(31)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멜팅부(31)는 상기 연결부(10)에 멜팅(melting)되어 용접(w)결합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플렌지부(32)에서는 멜팅이 일어나지 않고, 상기 멜팅부(31)에서만 멜팅이 일어나 용접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멜팅부(31)가 용접에 의해 상기 연결부(10)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멜팅부(31)는 상기 부품바디(20)와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멜팅부(31)의 두께는 상기 부품바디(20)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부품바디(20)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상기 플렌지부(32)가 상기 부품바디(20)의 일면에 접촉하는 동시에, 상기 멜팅부(31)의 일단부가 상기 연결부(10)에 접촉하여 스팟용접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멜팅부(31)는 하나의 플렌지부(32)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연결부(10)와 부품바디(20)의 결합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다.
상기 플렌지부(32)는 상기 부품바디(2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플렌지부(32)는 상기 부품바디(20)의 상기 삽입홀(21)의 폭 이상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플렌지부(32)는 상기 부품바디(20)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기구적으로 구성되어 상기 부품바디(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비슷한 원리로써, 못(nail)이 양측의 나무를 고정시킬때 한쪽의 나무가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못머리가 한쪽의 나무를 고정시키는 것과 유사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부품바디(20)를 고정시키는 원리 이외에 상기 연결부(1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된 상기 결합부재(30)를 용접에 의해 상기 연결부(10)와 결합시키는 것에 차이가 있다.
상기 플렌지부(32)는 상기 멜팅부(31)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멜팅부(31)와는 일체로 형성된 상기 결합부재(30)의 일부분이다.
한편, 상기 플렌지부(32)의 두께는 제한이 없으나, 상기 부품바디(20)가 외력에 의해 이탈하지 않는 강성을 갖출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30)에는 접합홈(3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부재(30)의 상기 플렌지부(32)에 접합홈(33)이 형성되어, 스팟용접을 위한 전극이 접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스팟용접의 전류가 흐르는 경로를 단축시켜, 상기 멜팅부(31)에 용접(W)을 위한 너겟의 형성을 빠르게 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용접(W)을 위한 전기에너지의 투입량을 감소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도 발생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전극에서 유입되는 전류의 경로를 상기 멜팅부(31)로 한정할 수 있어, 상기 플렌지부(32)가 멜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멜팅부(31)만 멜팅되어 용접(W)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자동화공정은 상기 이종소재 단위부품(1)과 용접 대상물(2)이 제공되는 준비단계 및 상기 이종소재 단위부품(1)과 상기 용접 대상물(2)을 자동용접장치에 의해 용접하는 조립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자동화공정은 조립자동화공정에 투입되기 전에 완성된 상기 이종소재 단위부품(1)을 조립자동화공정에서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용접에 의한 생산설비인 자동용접장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새로운 설비의 투자가 불필요하여 생산설비의 투자에 의한 생산비용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준비단계는 이미 완성된 단위부품인 상기 이종소재 단위부품(1)과 상기 이종소재 단위부품(1)과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상기 용접 대상물(2)을 상기 자동용접장치에 의해 용접결합될 수 있게 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조립단계는 상기 준비단계에서 제공된 상기 이종소재 단위부품(1)과 상기 용접 대상물(2)을 상기 자동용접장치에 의해 용접결합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이종소재 단위부품(1)은 상기 용접 대상물(2)과 용접결합되는 부분에 상기 용접 대상물(2)과 동일한 소재의 상기 연결부(10)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에 동종 소재의 용접을 위해 제공되는 상기 자동용접장치에 의해 용접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1 : 이종소재 단위부품 2 : 용접 대상물
10: 연결부 20: 부품바디
21: 삽입홀 30: 결합부재
31: 멜팅부 32: 플렌지부
33: 접합홈 40: 절연코팅막

Claims (8)

  1. 용접 대상물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는 연결부; 및
    조립자동화공정에 적용토록, 용접 대상물의 용접결합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연결부를 제공하며, 상기 용접 대상물과 이종의 소재로 형성되는 부품바디;
    를 포함하는 이종소재 단위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면적은 지름(D)이 D = 5t1 /2인 원의 면적 이상인 이종소재 단위부품.
    여기서, t는 연결부의 두께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철(Fe)로 구성되며, 상기 부품바디는 상기 철(Fe)보다 경량의 소재로 형성되는 이종소재 단위부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바디는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및 티타늄(Ti)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형성된 이종소재 단위부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부품바디에 절연코팅막을 형성시킨 이종소재 단위부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바디에는 상기 연결부와 동일한 소재의 결합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부품바디를 고정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결합부재와 스팟용접되어 상기 부품바디에 제공되는 이종소재 단위부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전극이 접하는 부분에 접합홈이 형성된 이종소재 단위부품.
  8. 제1항 내지 제7항의 이종소재 단위부품과 용접 대상물이 제공되는 준비단계; 및
    상기 이종소재 단위부품과 상기 용접 대상물을 자동용접장치에 의해 용접하는 조립단계;
    를 포함하는 조립자동화공정.
KR1020120091860A 2012-08-22 2012-08-22 이종소재 단위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자동화공정 KR201400257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860A KR20140025770A (ko) 2012-08-22 2012-08-22 이종소재 단위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자동화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860A KR20140025770A (ko) 2012-08-22 2012-08-22 이종소재 단위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자동화공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770A true KR20140025770A (ko) 2014-03-05

Family

ID=50640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860A KR20140025770A (ko) 2012-08-22 2012-08-22 이종소재 단위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자동화공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57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1581B2 (en) 2016-09-01 2019-08-27 Hyundai Motor Company Joining apparatus for panel sheets and joining method for panel sheets using the same
KR102109519B1 (ko) * 2018-11-28 2020-05-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종 소재 결합체와, 이종 소재의 결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결합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1581B2 (en) 2016-09-01 2019-08-27 Hyundai Motor Company Joining apparatus for panel sheets and joining method for panel sheets using the same
US11440124B2 (en) 2016-09-01 2022-09-13 Hyundai Motor Company Joining apparatus for panel sheets and joining method for panel sheets using the same
KR102109519B1 (ko) * 2018-11-28 2020-05-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종 소재 결합체와, 이종 소재의 결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결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8985B2 (en) UAM transition for fusion welding of dissimilar metal parts
KR102055764B1 (ko) 강판의 겹침 용접 방법 및 겹침 용접 조인트
US11525469B2 (en) Junction structure
US10611125B2 (en) Method for joining dissimilar metals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US11806806B2 (en) Joint structure
WO2016068081A1 (ja) 金属接合体及び金属接合体の製造方法
US9487244B2 (en) Structural compon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component
CN107206462B (zh) 异种材料接合构造以及异种材料接合方法
WO2018056172A1 (ja) 異材接合用スポット溶接法、接合補助部材、及び、異材溶接継手
CN107107247A (zh) 异种材料接合构造及异种材料接合方法
JP5044162B2 (ja) 異種金属継手構造及び異種金属接合方法
WO2019167502A1 (ja) 異材接合用アーク溶接法
WO2017170213A1 (ja) 接合構造
JP6077136B2 (ja) 自動車のルーフモジュールの固定構造
CN105408052A (zh) 机动车部件的激光金属沉积焊接
JP2006224146A (ja) 異材接合方法
EP1506908A2 (en) Magnetically pulse welded vehicle underbody
JP2006312192A (ja) 異種金属製品の接合方法
KR20140025770A (ko) 이종소재 단위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자동화공정
JP2008036704A (ja) アルミ製品と鋼材製品との接合用継ぎ手及びそれを用いた接合方法
JP2007326146A (ja) 抵抗スポット溶接による異種金属の接合方法及び接合構造
JP2009226446A (ja) 異種板材のスポット溶接方法
US20160261071A1 (en) Brazed Ground Terminal for Non-Ferrous Vehicle Components
WO2018042681A1 (ja) 異材接合用アークスポット溶接法、接合補助部材、及び、異材溶接継手
JP2008246558A (ja) めっき鋼板とアルミニウム合金板との異材同士の突合せ接合継手及びその接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