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5630A -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방법 및 이를 위한 중량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방법 및 이를 위한 중량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5630A
KR20140025630A KR1020120091104A KR20120091104A KR20140025630A KR 20140025630 A KR20140025630 A KR 20140025630A KR 1020120091104 A KR1020120091104 A KR 1020120091104A KR 20120091104 A KR20120091104 A KR 20120091104A KR 20140025630 A KR20140025630 A KR 20140025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wheel
horizontal
weight
column structure
horizontal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3287B1 (ko
Inventor
김영진
조정래
박영환
박종섭
진원종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91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287B1/ko
Publication of KR20140025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03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posts, e.g. scaffolding, trees or ma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6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185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erecting wind tur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6Pulleys, sheaves, pulley blocks or thei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에 부유되어 풍력발전 터빈이 상단에 구비되는 풍력발전타워, 교량의 주탑 등과 같은 해상에서 연직하게 설치되는 기둥구조물에서, 풍력발전터빈, 최상단의 연결구조체 등과 같은 중량물을, 기둥구조물의 중공 내부에 배치되는 윈치(winch)를 포함한 도르래 구성의 이송장치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는 중량물 이송방법 및 이를 위한 중량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둥구조물(100)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며 제1도르래 휠(51)이 구비되어 있는 수평플랫폼(10)과; 상기 수평플랫품(10)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레일설치 프레임(20)과; 상기 레일설치 프레임(20)에 의해 기둥구조물(100)의 최상단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제2도르래 휠(52)과 제3도르래 휠(53)이 구비되어 있는 수평레일(30)과; 상기 수평플랫폼(10)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구조물(100)의 중공 내부에 위치하는 윈치장치(40)와; 상기 윈치장치(40)에 일단이 감겨있으며 타단은 제1도르래 휠(51)과 제2도르래 휠(52)과 제3도르래 휠(53)을 순차적으로 지나서 인양대상의 중량물(M)과 결합되는 인양케이블(50)을 포함하여 구성된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장치와, 이를 이용한 중량물 이송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방법 및 이를 위한 중량물 이송장치 {Transferring Method and Transferring Apparatus of Load in Column Structure}
본 발명은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방법 및 이를 위한 중량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해상에 부유되어 풍력발전 터빈이 상단에 구비되는 풍력발전타워, 교량의 주탑 등과 같은 해상에서 연직하게 설치되는 기둥구조물에서, 풍력발전터빈, 최상단의 연결구조체 등과 같은 중량물을, 기둥구조물의 중공 내부에 배치되는 윈치(winch)를 포함한 도르래 구성의 이송장치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는 중량물 이송방법 및 이를 위한 중량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재생에너지와 관련하여 해상에서의 풍력발전에 대한 관심과 필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해상풍력발전에서는 상단에 풍력발전터빈이 설치되는 기둥형태의 구조물인 풍력발전타워의 설치가 필요하다. 염해 방지 등을 위하여 풍력발전타워를 콘크리트로 제작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슬립폼(slip form) 공법을 이용하게 된다. 즉, 거푸집을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면서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형태로 풍력발전타워를 제작하는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사장교나 현수교와 같은 장대교량의 수요가 늘면서, 주탑의 시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교량의 주탑 역시 슬립폼 공법을 이용한 현장타설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위에서 예시한 풍력발전타워나 주탑과 같은 기둥구조물의 경우, 상단에는 풍력발전터빈, 주 현수선의 지지설비, 기타 기계장치, 장비 설치를 위한 최상단 구조물 등과 같은 무거운 중량물이 설치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기둥구조물의 구축 장소가 해상일지라도 필요한 높이까지는 슬립폼 공법을 이용하여 연직한 상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데, 소정 높이까지 시공이 완료된 후에 상단에 중량물을 설치할 때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해상에 선박을 띄워서 크레인(200)을 이용하여 중량물(M)을 케이블로 인상하는 방법이 있다. 도 1에는 이와 같이 해상 선박에 설치된 크레인(200)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기둥구조물(100)의 상단으로 인상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기둥구조물의 하부가 수중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선박에 설치된 크레인(200)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인상할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 선박의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작업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칫 중량물(M)이 기둥구조물(100)과 충돌하여 중량물 또는 기둥구조물에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2에는 타워크레인(300)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개념도가 설치되어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타워크레인(300)을 기둥구조물(100) 주변에 설치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도 있지만, 타워크레인(300)의 경우, 그 하부가 지반에 고정 설치되어야 하므로, 수심이 깊은 해상에서 기둥구조물(100)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타워크레인을 설치하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렵고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는 공사이므로, 해상의 기둥구조물(100)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806661호에는 지상에 설치된 윈치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인상하는 종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의 경우, 윈치장치가 지반에 설치되어야 하는데, 윈치장치가 해저면에 설치될 수 없으므로, 해상에 구축되는 기둥구조물의 경우에는 이용할 수 없다. 또한 윈치장치가 지상에 설치되므로 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며, 그에 따라 비용 증가, 중량물 인상 범위의 제한 등의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해상에서 구축되는 기둥구조물의 경우에는 그 하부가 수중에 잠겨 있기 때문에, 중량물(M)을 기둥구조물의 상부로 인상하여 거치하는데는 상당한 어려움이 존재하며, 그로 인하여 공사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인 바,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제안이 매우 절실한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806661호(2008. 02. 26. 공고) 참조.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해당 기술분야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부가 수중에 잠겨 있도록 해상에서 구축되는 기둥구조물에서도, 중량물을 용이하고 경제작인 방법으로 기둥구조물의 상부로 인상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중공형의 기둥구조물을 횡방향을 관통하여 상기 기둥구조물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제1도르래 휠이 설치되어 있는 수평플랫폼과; 상기 수평플랫품에 하부가 결합되어 상기 기둥구조물의 상단 위쪽으로 설치되는 레일설치 프레임과; 상기 레일설치 프레임에 지지된 상태로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측에는 제2도르래 휠이 설치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3도르래 휠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기둥구조물의 최상단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상기 수평플랫폼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는 수평레일과, 상기 수평플랫폼에 설치되어 있되 상기 기둥구조물의 중공 내부에 위치하는 윈치장치와, 상기 윈치장치에 일단이 감겨있으며 타단은 제1도르래 휠과 제2도르래 휠과 제3도르래 휠을 순차적으로 지나서 인양대상이 되는 중량물과 결합되는 인양케이블을 포함하며; 기둥구조물의 상부에 상기 수평플랫폼(10)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윈치장치가 작동하여 인양케이블을 당겨서 중량물을 상승시키고, 기둥구조물의 상단부 이상의 높이로 인양되면, 제3도르래 휠이 수평레일을 따라 수평이동하여 중량물을 기둥구조물의 상단부 위쪽에 위치하여 설치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장치를 기둥구조물의 상부에 상기 수평플랫폼이 결합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상기 윈치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인양케이블을 당겨서 중량물이 기둥구조물의 상단 이상의 높이로 인양하는 단계; 수평레일을 따라 상기 제3도르래 휠을 이동시켜 상기 중량물을 기둥구조물의 상단부 위쪽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인양케이블을 늘어뜨려서 상기 중량물을 하강시켜 기둥구조물의 상단부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방법이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도르래 휠이 설치되어 있는 수평플랫폼의 일측에는 균형을 잡기 위한 균형 중량추가 상기 수평플랫품을 따라 이동가능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중량물을 인양하고 수평이동할 때, 상기 균형 중량추를 수평플랫폼을 따라 이동시켜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중량물 이송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레일설치 프레임은, 하단이 상기 수평플랫폼에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연직부재와, 상기 연직부재를 가로질러 배치되며 상기 수평레일이 결합되는 수평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양대상 중량물을 인상시기 위한 인양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주는 윈치장치가 기둥구조물의 상단부에서 중공 내에 위치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기둥구조물이 해상에 설치되더라도 윈치장치는 항상 수면 위쪽에 존재하게 되며, 그에 따라 특별한 방수조치를 하지 않고서도 언제든지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기둥구조물이 해상에서 구축되는 경우에도, 크레인을 위한 선박을 띄우거나, 하부를 해저 지반에 고정시킨 상태로 타워크레인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인양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줄 수 있는 윈치장치를 수면 위쪽에 위치시켜 인양케이블을 이용하여 도르래 작동에 의해 용이하게 중량물을 원하는 높이로 인양하고 이송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중량물 이송장치를 기둥구조물에 상단부에 설치한 후에는 중량물을 인양하고 이송할 수 있는 거리에 제한이 없으므로, 기둥구조물의 높이가 타워크레인이나 선반 설치 크레인이 닿기 어려울 정도로 높더라도, 그 높은 위치까지 중량물을 용이하게 인양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윈치장치는 중량물이 놓이게 되는 기둥구조물의 상단부 가까이에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윈치장치로부터 중량물까지의 거리가 가까우며, 그에 따라 중량물의 인양 및 이송에 이용되는 인양케이블의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되고, 그만큼 인양케이블의 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양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주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해상 선박에 설치된 크레인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기둥구조물의 상단으로 인상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라 타워크레인을 설치하여 중량물을 기둥구조물의 상단으로 인상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기둥구조물의 상부로 중량물을 인양하는 개념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가 해상에 설치된 기둥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 3의 원 B 부분의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기둥구조물의 상부로 중량물을 인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1)를 이용하여 기둥구조물(100)의 상부로 중량물(M)을 인양하는 개념을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1)가 해상에 설치된 기둥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 3의 원 B 부분의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도 4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1)를 이용하여 기둥구조물(100)의 상부로 중량물(M)을 인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1)는 기둥구조물(100) 자체에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기둥구조물(100)을 횡방향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제1도르래 휠(51)이 설치되어 있는 수평플랫폼(10)과, 상기 수평플랫품(10)에 하부가 결합되어 상기 기둥구조물(100)의 상단 위쪽으로 설치되는 레일설치 프레임(20)과, 상기 레일설치 프레임(20)에 지지된 상태로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단부에는 제2도르래 휠(52)이 설치되어 있고 제3도르래 휠(53)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수평레일(30)과, 상기 수평플랫폼(10)에 설치되어 있되 상기 기둥구조물(100)의 중공 내부에 위치하는 윈치장치(40)와, 상기 윈치장치(40)에 일단이 감겨있으며 타단은 제1도르래 휠(51)과 제2도르래 휠(52)과 제3도르래 휠(53)을 순차적으로 지나서 인양대상이 되는 중량물(M)과 결합되는 인양케이블(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플랫폼(10)은 기둥구조물(100)을 횡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기둥구조물(100)에 고정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수평플랫폼(10)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둥구조물(100)의 외부 위치에서, 중량물(M)이 인양되는 쪽과 반대되는 상기 수평플랫폼(10)의 일측에는 제1도르래 휠(51)이 설치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1도르래 휠(51)이 설치되어 있는 수평플랫폼(10)의 일측에는 균형을 잡기 위한 균형 중량추(6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균형 중량추(60)는 상기 수평플랫품(1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둥구조물(100)의 중공 내부에서 상기 수평플랫폼(10)에는 인양케이블(50)을 감거나 풀어주는 윈치장치(40)가 설치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수평플랫폼(10)이 기둥구조물(100)을 관통한 형태로 기둥구조물(100)에 직접 고정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수평플랫폼(10)에 윈치장치(40)가 설치되어 있되 윈치장치(40)는 기둥구조물(100)의 중공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레일설치 프레임(20)은, 수평레일(30)을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복수개의 연직부재(21)와, 상기 연직부재(21)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수평연결부재(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연결부재(22)에는 수평레일(20)이 결합된다. 이러한 레일설치 프레임(20)은 상기 수평플랫폼(1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즉, 레일설치 프레임(20)을 이루는 연직부재(21)의 하단이 상기 수평플랫폼(10)에 결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기둥구조물(100)의 외부에서 상기 수평플랫폼(10)을 가로지르는 가로빔(11)을 더 설치하여 상기 가로빔(11)에 연직부재(21)의 하단을 결합할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레일설치 프레임(20)에는 수평레일(20)이 구비되는데, 상기 수평레일(20)은 기둥구조물(100)의 최상단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상기 수평플랫폼(10)과 나란하게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수평연결부재(22)에 상기 수평레일(20)이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수평레일(20)에는 제2도르래 휠(52)과 제3도르래 휠(53)이 구비되어 있는데, 수평레일(20)의 양측에서 상기 제2도르래 휠(52)은 상기 제1도르래 휠(51)을 마주보는 쪽에 설치되어 있고, 제3도르래 휠(53)은 중량물(M)이 인양되는 쪽에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제3도르래 휠(53)은 수평레일(2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후술하는 것처럼 중량물(M)을 수직하게 인양한 후에는, 수평하게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인양케이블(50)은 그 일단이 상기 윈치장치(40)에 감긴 상태에서 타단이 기둥구조물(100)을 관통하여 연장된 후 상기 제1도르래 휠(51)에 의해 상승하는 방향으로 진행하고, 후속하여 제2도르래 휠(52)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한 상태로 연장된 후, 제3도르래 휠(53)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진행하여 인양대상인 중량물(M)과 체결된다.
다음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방법에 대해 각 단계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수평플랫폼(10)이 기둥구조물(100)의 상부에 결합되고, 기타 구성들이 설치되도록 상기한 본 발명에 다른 중량물 이송장치(1)를 기둥구조물(100)에 설치하고, 인양케이블(50)의 타단에 중량물(M)이 연결된 상태에서 윈치장치(40)를 작동시킨다. 윈치장치(40)의 감김 작동에 의해 인양케이블(50)이 윈치장치(40)에 감기면서 당겨져서 중량물(M)이 위로 상승하여 인양된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중량물(M)이 기둥구조물(100)의 상단부 이상의 높이로 인양되면, 후속하여 제3도르래 휠(53)이 수평레일(30)을 따라 기둥구조물(100) 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중량물(M)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기둥구조물(100)의 상단부 위쪽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윈치장치(40)로부터 인양케이블(50)을 풀어서 중량물(M)을 하강시킴으로써,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중량물(M)을 기둥구조물(100)의 상단부 위에 설치하게 된다. 중량물(M)의 설치가 완료되면 또다른 중량물의 인양을 위하여 제3도르래 휠(53)은 다시 인양 가능한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1)에는, 균형을 잡기 위한 균형 중량추(60)가 상기 제1도르래 휠(51)이 설치되어 있는 수평플랫폼(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균형 중량추(60)는 상기 수평플랫품(10)을 따라 이동가능한 상태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중량물(M)을 인양하고 수평이동하는 과정을 수행할 때, 상기 균형 중량추(60)를 수평플랫폼(10)을 따라 이동시켜서 균형을 유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장치(1)가 기울어지거나 또는 기둥구조물(100)의 상단부에 과도한 휨모멘트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1)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이송방법에서는, 윈치장치(40)가 기둥구조물(100)의 상단부에서 중공 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기둥구조물(100)이 해상에 설치되더라도 윈치장치(40)는 항상 수면 위쪽에 존재하게 되며, 그에 따라 특별한 방수조치를 하지 않고서도 언제든지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기둥구조물(100)이 해상에서 구축되는 경우에도, 크레인을 위한 선박을 띄우거나, 하부를 해저 지반에 고정시킨 상태로 타워크레인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인양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줄 수 있는 윈치장치(40)를 수면 위쪽에 위치시켜 인양케이블을 이용하여 도르래 작동에 의해 용이하게 중량물(M)을 원하는 높이로 인양하고 이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장치(1)를 기둥구조물(100)에 상단부에 설치한 후에는 중량물(M)을 인양하고 이송할 수 있는 거리에 제한이 없으므로, 기둥구조물(100)의 높이가 타워크레인이나 선반 설치 크레인이 닿기 어려울 정도로 높더라도, 그 높은 위치까지 중량물(M)을 용이하게 인양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윈치장치(40)는 중량물(M)이 놓이게 되는 기둥구조물(100)의 상단부 가까이에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윈치장치(40)로부터 중량물(M)까지의 거리가 가까우며, 그에 따라 중량물(M)의 인양 및 이송에 이용되는 인양케이블(50)의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되고, 그만큼 인양케이블(50)의 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양케이블(50)을 감거나 풀어주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1: 중량물 이송장치
10: 수평플랫폼
20: 레일설치 프레임
30: 수평레일
40: 윈치장치
50: 인양케이블

Claims (5)

  1. 중공형의 기둥구조물(100) 상부를 횡방향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며 제1도르래 휠(51)이 구비되어 있는 수평플랫폼(10)과;
    상기 수평플랫품(10)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기둥구조물(100)의 상단 위쪽으로 설치되는 레일설치 프레임(20)과;
    상기 레일설치 프레임(20)에 결합되어 기둥구조물(100)의 최상단과 간격을 두고 상기 수평플랫폼(10)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측에는 제2도르래 휠(52)이 설치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3도르래 휠(53)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수평레일(30)과;
    상기 수평플랫폼(10)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구조물(100)의 중공 내부에 위치하는 윈치장치(40)와;
    상기 윈치장치(40)에 일단이 감겨있으며 타단은 제1도르래 휠(51)과 제2도르래 휠(52)과 제3도르래 휠(53)을 순차적으로 지나서 인양대상의 중량물(M)과 결합되는 인양케이블(50)을 포함하며;
    기둥구조물(100)의 상부에 상기 수평플랫폼(10)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윈치장치(40)의 인양케이블(50) 당김에 의해 중량물(M)이 기둥구조물(100)의 상단 높이 이상으로 인양되면, 제3도르래 휠(53)이 수평레일(30)을 따라 이동하여 중량물(M)을 기둥구조물(100)의 상단 위쪽으로 이송하여 설치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르래 휠(51)이 설치되어 있는 수평플랫폼(10)의 일측에는 균형을 잡기 위한 균형 중량추(60)가 상기 수평플랫품(10)을 따라 이동가능한 상태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설치 프레임(20)은, 하단이 상기 수평플랫폼(10)에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연직부재(21)와, 상기 연직부재(21)를 가로질러 배치되며 상기 수평레일(20)이 결합되는 수평연결부재(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장치.
  4. 중공형의 기둥구조물(100) 상부를 횡방향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며 제1도르래 휠(51)이 구비되어 있는 수평플랫폼(10)과, 상기 수평플랫품(10)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기둥구조물(100)의 상단 위쪽으로 설치되는 레일설치 프레임(20)과, 상기 레일설치 프레임(20)에 결합되어 기둥구조물(100)의 최상단과 간격을 두고 상기 수평플랫폼(10)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측에는 제2도르래 휠(52)이 설치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3도르래 휠(53)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수평레일(30)과, 상기 수평플랫폼(10)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구조물(100)의 중공 내부에 위치하는 윈치장치(40)와, 상기 윈치장치(40)에 일단이 감겨있으며 타단은 제1도르래 휠(51)과 제2도르래 휠(52)과 제3도르래 휠(53)을 순차적으로 지나서 인양대상의 중량물(M)과 결합되는 인양케이블(5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중량물 이송장치(1)를 기둥구조물(100)의 상부에서 상기 수평플랫폼(10)이 결합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상기 윈치장치(40)를 작동시켜 상기 인양케이블(50)을 당겨서 중량물(M)이 기둥구조물(100)의 상단 이상의 높이로 인양하는 단계;
    수평레일(30)을 따라 상기 제3도르래 휠(53)을 이동시켜 상기 중량물(M)을 기둥구조물(100)의 상단 위쪽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인양케이블(50)을 늘어뜨려서 상기 중량물(M)을 하강시켜 기둥구조물(100)의 상단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르래 휠(51)이 설치되어 있는 수평플랫폼(10)의 일측에는 균형을 잡기 위한 균형 중량추(60)가 상기 수평플랫품(10)을 따라 이동가능한 상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중량물(M)을 인양하고 수평이동하는 단계에서 상기 균형 중량추(60)를 수평플랫폼(10)을 따라 이동시켜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방법.
KR1020120091104A 2012-08-21 2012-08-21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방법 및 이를 위한 중량물 이송장치 KR101383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104A KR101383287B1 (ko) 2012-08-21 2012-08-21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방법 및 이를 위한 중량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104A KR101383287B1 (ko) 2012-08-21 2012-08-21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방법 및 이를 위한 중량물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630A true KR20140025630A (ko) 2014-03-05
KR101383287B1 KR101383287B1 (ko) 2014-04-10

Family

ID=50640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104A KR101383287B1 (ko) 2012-08-21 2012-08-21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방법 및 이를 위한 중량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2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72959A (zh) * 2020-02-07 2020-05-19 清华大学 一种水中结构物平衡装置及方法
WO2023282758A1 (en) * 2021-07-07 2023-01-12 Nekkar Asa Wind turbine tower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CN111172959B (zh) * 2020-02-07 2024-05-28 清华大学 一种水中结构物平衡装置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500B1 (ko) * 2019-02-07 2019-07-11 채봉철 풍력 발전기 설치,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195Y1 (ko) * 2001-12-26 2002-03-28 황재희 이동식 평형추를 가진 타우어 크레인
JP4796391B2 (ja) * 2006-01-11 2011-10-19 株式会社駒井ハルテック 風力発電装置の設置機構及び設置方法
KR100968876B1 (ko) * 2008-03-28 2010-07-09 주식회사 디엠에스 풍력 발전기 설치용 크레인
KR101038641B1 (ko) * 2008-09-01 2011-06-0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풍력터빈설비의 유지 보수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72959A (zh) * 2020-02-07 2020-05-19 清华大学 一种水中结构物平衡装置及方法
CN111172959B (zh) * 2020-02-07 2024-05-28 清华大学 一种水中结构物平衡装置及方法
WO2023282758A1 (en) * 2021-07-07 2023-01-12 Nekkar Asa Wind turbine tower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287B1 (ko) 201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1178B2 (en) Device and method for erecting at sea a large slender body, such as the monopile of a wind turbine
KR101266913B1 (ko) 해상 풍력발전 시설의 시공방법
EP2641825B1 (en) Ship for installing offshore wind turbines, and method for installing offshore wind turbines using same
US8584429B2 (en) Tower erection system and method
KR20120047740A (ko) 갑판승강식작업대선 및 이를 이용한 해상풍력발전시설의 시공방법
KR101407424B1 (ko) 해상 풍력발전기 고정유닛 및 그를 구비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
KR102033794B1 (ko) 해상 풍력 터빈용 토대, 그 해상 풍력 터빈 및 그 설치 방법
CN103193163B (zh) 船厂龙门式起重机的坞口安装方法
WO2016063210A1 (en) Method for transporting a structure with buoyancy over water using a vessel, and vessel applied in the method
KR101790970B1 (ko) 육상에서 조립한 해상풍력발전기의 해상에서의 설치방법
US8888410B2 (en) Modular heavy lift system
KR101383287B1 (ko)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방법 및 이를 위한 중량물 이송장치
JP5555272B2 (ja) 洋上風力発電施設の施工方法
KR101297669B1 (ko) 해상풍력발전기 설치 전용선을 이용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방법
CN113026563B (zh) 一种悬索桥高低位移梁栈桥吊装钢梁设施及其施工方法
AU2010250147B2 (en) Method for installing a topside module on an offshore support structure
CN118043522A (zh) 用于风力涡轮机或其部件的海上布置的装置和方法
EP3260604A1 (en) Top part of a base construction
KR20080109663A (ko) 이송와이어를 이용한 운송장치
KR20150009414A (ko)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서 조립하는 방법
EP4183672A1 (en) Installation for the load-out into the water of a heavy load
JP2016141983A (ja) 浮体式海洋構造物の海上構築方法および浮体式海洋構造物
CN104328741A (zh) 一种连续梁桥多种管线安装施工方法
CN113582032A (zh) 码头面板安装专用门式起重机
NL1037214C2 (nl) Werkmethode en hefplatformuitvoering om fundaties e.d. in woelige zee te plaats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