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800A - 빔 런쳐를 이용한 교량의 가설에서의 거더 후방 공급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빔 런쳐를 이용한 교량의 가설에서의 거더 후방 공급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800A
KR20140023800A KR1020120090281A KR20120090281A KR20140023800A KR 20140023800 A KR20140023800 A KR 20140023800A KR 1020120090281 A KR1020120090281 A KR 1020120090281A KR 20120090281 A KR20120090281 A KR 20120090281A KR 20140023800 A KR20140023800 A KR 20140023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lower structure
support member
winch
sub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구삼
김충언
장형근
Original Assignee
(주)삼현피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현피에프 filed Critical (주)삼현피에프
Priority to KR1020120090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3800A/ko
Publication of KR20140023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8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by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bridge or bridge s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가설에서의 거더 후방 공급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1하부구조, 제2하부구조를 포함하는 종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교량 하부 구조 상에 바닥판 콘크리트가 합성될 예정인 개단면 제2거더를 후방으로부터 상기 제1하부구조 및 상기 제2하부구조에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윈치와 제2윈치가 구비된 빔 런쳐를 상기 제1하부구조와 상기 제2하부구조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되, 교축에 수직한 횡방향으로 상기 빔 런쳐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빔런쳐 설치단계와; 상기 제1하부구조의 후방에 거치될 제1거더 상면에 돌출된 연결재 사이에 교축 방향으로 종방향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종방향 지지부재의 상면에 교축 방향으로 뻗어 트롤리가 이동할 수 있는 궤도 레일을 상기 제1거더의 직선 구간에 지상에서 설치하되, 상기 제1거더의 직선 구간에서는 상기 궤도 레일이 상기 종방향 지지부재 상에만 거치되도록 설치한 후, 상기 빔 런쳐를 이용하여 상기 제1거더를 상기 제1하부구조의 후방에 위치한 하부 구조 상에 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하부구조 및 상기 제2하부구조 상에 거치될 상기 제2거더의 상면에 돌출된 연결재 사이에 교축 방향으로 종방향 지지부재를 제2거더에 지지되는 형태로 위치 고정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종방향 지지부재의 상면에 궤도 레일을 지상에서 설치하되, 상기 제2거더의 직선 구간에서는 상기 궤도 레일이 상기 종방향 지지부재 상에만 거치되도록 설치하는 궤도설치단계와; 상기 제2거더를 상기 트롤리로 운반하여 상기 빔 런쳐의 하측까지 이송하는 제1이송단계와; 상기 제1윈치와 상기 제2윈치로 상기 제2거더를 인상하여, 상기 제2거더의 양단부를 상기 제1하부구조 및 상기 제2하부구조의 상측에 각각 위치시키는 제3이송단계와; 상기 제1윈치와 상기 제2윈치에 의해 인상되어 있던 상기 제2거더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거더의 양단부를 상기 제1하부구조 및 상기 제2하부구조 상에 거치시키는 거더거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인상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거더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동시에 빔 런쳐의 이송 거리를 최소화하여 거더의 공급 효율을 향상시킨 교량 가설에서의 거더 후방 공급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빔 런쳐를 이용한 교량의 가설에서의 거더 후방 공급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공급 시스템 {FEEDING APPARATUS IN PUTTING PRECAST GIRDER ON PIERS WITH BACK FEEDING USING BEAM LAUNCHER AND METHOD USING SAME}
본 발명은 교량 가설에서의 거더 후방 공급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각이나 교대 등의 교량 하부 구조 상에 프리캐스트 개단면 거더를 공급하는 공정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하면서, 개단면 거더의 공급을 위한 시스템의 시공 및 해체를 보다 짧은 시간 내에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거더 후방 공급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교량은 강이나 계곡 등을 건널수 있게 만든 것으로, 교각이나 교대 등 거더를 거치시킬 수 있는 교량 하부 구조를 시공한 이후에, 교량 하부 구조 상에 공용 중 작용하는 힘을 견디는 구조 부재로서 거더를 설치하고, 거더 상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시공된다.
여기서, 교량의 거더는 현장에서 제작될 수도 있지만, 시공의 편의와 신속을 위하여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프리캐스트 거더를 사용하여 교량이 시공되기도 한다. 이 때, 프리캐스트 거더를 교량 하부 구조 상에 크레인으로 인상하여 거치시킬 수도 있지만, 깊은 계곡이나 강 위에서 시공되는 교량의 경우에는 크레인으로 인상하여 프리캐스트 거더를 거치시키는 공정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거더를 크레인으로 인상하는 대신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교량 하부 구조 상에 보다 효율적으로 거치시키는 방안이 모색되어 왔다. 그러나, 종방향으로 거더를 공급하는 종래의 방안은 크레인에 의해 인상하여 이동하는 것에 국한되어 있어서, 지상으로부터 거치하고자 하는 교각 상측에 거더를 이송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각이나 교대 등의 교량 하부 구조 상에 프리캐스트 개단면 거더를 거치시키는 공정을 보다 신속하면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교량 시공 중의 거더의 공급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판 또는 반바닥판이 거더에 합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미 가설된 거더 상측에 설치된 궤도 레일을 이용하여 거더를 운반 공급함으로써, 빔 런쳐(beam launcher)의 이송 거리를 최소화하여 거더의 공급 시간을 단축함에 따라 효율적인 거더 거치 공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이미 가설된 거더의 상측에 거더를 공급하는 궤도 레일을 가설함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거치되는 침목(종방향 지지부재 및 횡방향 지지부재)의 설치를 최소화하고, 거더의 상측에 미리 침목 및 궤도 레일을 설치해 둠으로써, 거더를 운반하는 장치의 시공 및 해체를 보다 짧은 시간에 할 수 있도록 하여, 거더를 공급하여 거치시키는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량의 연결부 구간에서는 횡방향 지지부재에 의해 궤도 레일을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거더거 일직선 형태로 배열되지 않는 경우에 거더의 종방향으로의 연결부 구간에 대해서도 이미 가설된 거더 상을 이동하면서 새로 거치될 거더를 쉽게 가설하여, 궤도 레일을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동시에, 횡방향 지지부재에 의해 궤도 레일을 지지함에 있어서도, 횡방향 지지부재로부터 하방 연장된 구속 부재에 의해 거치된 거더의 측면 거동을 구속함으로써, 교각에 거치된 거더가 풍하중 등에 의해 요동하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바닥판 또는 반바닥판이 거더에 합성되지 않은 개단면 거더 상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전단 연결재나 거더간의 횡구배 및 종방향 단차에도 불구하고, 교량 하부 구조에 거치시킬 거더를 기 설치된 거더의 상면을 이용하여 원활하게 공급함으로써, 거더 공급 공정을 보다 짧은 시간에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하부구조, 제2하부구조를 포함하는 종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교량 하부 구조 상에 바닥판 콘크리트가 합성될 예정인 개단면 제2거더를 후방으로부터 상기 제1하부구조 및 상기 제2하부구조에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윈치와 제2윈치가 구비된 빔 런쳐를 상기 제1하부구조와 상기 제2하부구조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되, 교축에 수직한 횡방향으로 상기 빔 런쳐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빔런쳐 설치단계와; 상기 제1하부구조의 후방에 거치될 제1거더 상면에 돌출된 연결재 사이에 교축 방향으로 종방향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종방향 지지부재의 상면에 교축 방향으로 뻗어 트롤리가 이동할 수 있는 궤도 레일을 상기 제1거더의 직선 구간에 지상에서 설치하되, 상기 제1거더의 직선 구간에서는 상기 궤도 레일이 상기 종방향 지지부재 상에만 거치되도록 설치한 후, 상기 빔 런쳐를 이용하여 상기 제1거더를 상기 제1하부구조의 후방에 위치한 하부 구조 상에 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하부구조 및 상기 제2하부구조 상에 거치될 상기 제2거더의 상면에 돌출된 연결재 사이에 교축 방향으로 종방향 지지부재를 제2거더에 지지되는 형태로 위치 고정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종방향 지지부재의 상면에 궤도 레일을 지상에서 설치하되, 상기 제2거더의 직선 구간에서는 상기 궤도 레일이 상기 종방향 지지부재 상에만 거치되도록 설치하는 궤도설치단계와; 상기 제2거더를 상기 트롤리로 운반하여 상기 빔 런쳐의 하측까지 이송하는 제1이송단계와; 상기 제1윈치와 상기 제2윈치로 상기 제2거더를 인상하여, 상기 제2거더의 양단부를 상기 제1하부구조 및 상기 제2하부구조의 상측에 각각 위치시키는 제3이송단계와; 상기 제1윈치와 상기 제2윈치에 의해 인상되어 있던 상기 제2거더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거더의 양단부를 상기 제1하부구조 및 상기 제2하부구조 상에 거치시키는 거더거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에서의 거더 후방 공급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기 설치된 제1거더를 이용하여 트롤리가 통행가능한 궤도 레일을 거더에 위치 고정된 종방향 지지부재 상에 설치한 후, 거치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거치하고자 하는 제2거더를 운반하여 이동시키고, 그 다음에는 빔 런쳐를 이용하여 윈치로 제2거더를 거치시키는 공정에 의해 거더를 공급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원활하게 거더를 공급하여 신속하고 인상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거더를 교량 하부 구조 상에 이송 거치시키는 공정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트롤리가 통행하는 궤도는 거더의 폭이 충분히 큰 경우에는 하나의 제1거더 상에 한 쌍의 종방향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궤도 레일을 가설할 수도 있지만, 거더의 폭이 작은 I자형 거더에 대해서도 횡방향으로 인접한 제1거더에 종방향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궤도 레일을 가설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궤도 레일은 종방향 지지부재에 의해서만 지지될 수도 있고, 종방향 지지부재와 횡방향 지지부재가 조합된 형태로 지지될 수 있다. 다만, 직선 구간에서는 종방향 지지부재에 의해서만 궤도 레일이 설치됨으로써, 보다 짧은 시간에 궤도 레일의 시공 및 해체가 가능해지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제1하부구조와 제2하부구조에 거치하고자 하는 제2거더의 전방에 위치한 이미 가설된 거더들(제1하부구조와 제2하부구조의 직전에 거치된 제1거더 포함)의 직선 구간에서는, 상기 궤도 레일은 직선 형상의 종방향 지지부재 상에만 거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직선 형태로 긴 길이의 종방향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궤도 레일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형성함으로써, 궤도 레일을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고, 동시에 거더의 가설이 모두 종료된 이후에 궤도 레일을 해체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잇점이 얻어진다. 즉, 트롤리가 이동하는 궤도는 상기 제1하부구조로부터 후방으로 교대까지 연장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직선 구간'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거더가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영역의 양단부를 제외한 구간'을 지칭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거더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므로, 교량이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거더의 종방향 연결부(이하에서는 간단히 '연결부'라고 함)를 포함하여 일직선으로 배열된 다수의 거더의 양끝단을 제외한 구간을 말하며, 교량이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종방향으로 인접한 거더가 하부 구조 상에서 일직선으로 배열되지 않는 곳이 발생되므로, 종방향으로 인접한 거더가 일직선으로 배열되지 않는 하부 구조를 경계로 하여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거더의 양단부를 제외한 구간을 말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직선 구간'은 하나의 거더에 한정되지 않으며 종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이미 가설된 제1거더 상의 종방향 지지부재는 궤도 레일을 따라 제2거더를 운반하면서 이동하는 트롤리를 확실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제1거더에 지지되는 형태로 위치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거더와 상기 제2거더가 일직선으로 배열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거더와 상기 제2거더의 종방향으로의 연결부 구간에서는, 횡방향으로 인접한 2개의 상기 제1거더에 횡방향 지지부재를 거치하는 횡방향 지지부재 거치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거더와 상기 제2거더의 연결부 구간에서는 상기 궤도 레일이 상기 제1거더 및 상기 제2거더가 하부 구조 상에 거치된 이후에 상기 횡방향 지지부재 상에 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거더와 제2거더가 일직선으로 배열되지 않아 트롤리가 운행하는 궤도 레일이 곡선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연결부 구간에서, 횡지지부재에 의해 궤도 레일을 곡선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설치 시간 및 해체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하부구조와 제2하부구조에 거치하고자 하는 제2거더의 전방에 위치한 이미 가설된 거더들(제1하부구조와 제2하부구조의 직전에 거치된 제1거더 포함)의 연결부 구간에서는, 곡선 형상의 종방향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궤도 레일을 지지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하부구조와 제2하부구조에 거치하고자 하는 제2거더의 전방에 위치한 이미 가설된 거더들(제1하부구조와 제2하부구조의 직전에 거치된 제1거더 포함)의 직선 구간에서는 직선 형상의 종방향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궤도 레일을 지지하고, 거더의 배열각이 변동되는 하부 구조 주변의 연결부 구간에서는 횡방향으로 인접한 전방 거더들에 지지되도록 횡방향 지지부재를 거치하여, 횡방향 지지부재 상에 궤도 레일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특정 교량 이외에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직선 형상의 종방향 지지부재를 활용하여 궤도 레일을 설치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 시간을 크게 단축하면서도, 연결부 구간에서 궤도 레일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연결부 구간'은 교량의 하부 구조 상에서 종방향으로 인접한 2개의 거더가 일직선으로 배열되지 않고,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거더(10', 11') 사이의 각도편차가 존재하는 경우에, 하부 구조를 중심으로 궤도 레일을 곡선으로 형성하는 데 필요한 구간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이 때, 횡방향으로 인접한 거더에 거치되면서 궤도 레일을 지지하는 횡방향 지지부재에는 상기 제1거더의 횡방향으로의 요동을 구속하는 구속 부재가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교량의 하부구조 상에 거치된 거더들이 풍하중 등에 의하여 횡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구속 부재에는 브레이싱재나 연결 강재 등으로 연결되어, 구속 부재가 횡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속 부재에 의해 기 거치된 거더의 횡방향으로의 저항 능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궤도 레일이 종방향 지지부재 상에만 거치되도록 설치되는 직선 구간에서도, 횡지지부재와, 상기 횡지지부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부 구조에 거치된 거더의 횡방향으로의 요동을 억제하는 구속 부재와,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상기 구속 부재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구속 부재의 요동을 구속하는 연결 부재로 이루어진 거더 횡지지 장치를 상기 제1거더에 설치하되, 상기 횡지지부재가 횡방향으로 인접한 2개의 상기 제1거더에 양단 지지되도록 거치되도록 상기 거더 횡지지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 거치된 거더의 중앙부(하부 구조의 사잇 공간)에서도 거더를 횡방향으로 지지하여 장시간 동안 바닥판이 합성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안전하게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하고자 하는 교량하부구조에 인접한 위치까지 제2거더를 운반하는 트롤리의 궤도를 종방향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종방향으로 인접한 거더 사이의 틈새 및 교대와 거더 사이의 단턱을 원활하게 넘어 거더를 제1하부구조 및 제2하부구조에 근접한 위치까지 이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교대에 거치되는 거더는 그 상측에 합성되는 바닥판 콘크리트에 의해 인접한 지면과 상면 높이가 일정해진다. 이에 따라, 바닥판 콘크리트가 거더에 합성되기 이전에는 거더와 지면 사이에 단턱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트롤리가 이동하는 궤도를 횡방향 지지부재 하측에 종방향 지지부재를 위치시키고, 종방향 지지부재의 높이(두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교대에서 거더와 지면 사이의 단턱에도 불구하고 지면과 거더 사이에 트롤리 이동 궤도를 연속적으로 시공하여, 단턱없는 궤도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횡방향으로 인접한 2개의 거더의 높이차이가 있는 경우에, 횡방향으로 인접한 2개의 거더 상에 각각 거치되는 상기 종방향 지지 부재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횡방향 지지부재는 수평 상태로 가설되는 잇점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이송단계는 상기 제2거더의 일단부를 상기 빔 런쳐의 하측까지 이송하고; 상기 빔 런쳐의 상기 제1윈치가 상기 제2거더의 일단부를 인상한 후, 상기 제1윈치가 상기 빔 런쳐를 따라 상기 제2하부구조를 향하여 이동하면서, 동시에 상기 트롤리가 상기 제2거더의 타단부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제1윈치와 함께 상기 제2거더를 상기 빔 런쳐의 하측까지 이송하는 제2이송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이송단계는 상기 제2윈치가 상기 제2거더의 타단부를 인상한 후, 상기 제1윈치와 상기 제2윈치가 상기 빔 런쳐를 따라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여, 상기 제2거더의 양단부를 상기 제1하부구조 및 상기 제2하부구조의 상측에 각각 위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하부구조, 제2하부구조를 포함하는 종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교량 하부 구조 상에 바닥판 콘크리트가 합성될 예정인 개단면 제2거더를 상기 제1하부구조 및 상기 제2하부구조에 공급하는 데 사용되는 교량 가설에서의 거더 후방 공급 시스템으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윈치와 제2윈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1하부구조와 상기 제2하부구조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되, 교축에 수직한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빔 런쳐와; 상기 제1거더가 하부 구조 상에 거치되기 이전에 지상에서 설치되고, 상기 제1하부구조의 후방에 거치된 제1거더의 상면에 돌출된 연결재 사이에 교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1거더에 지지되는 형태로 위치 고정되게 설치된 종방향 지지부재와; 상기 제1거더가 하부 구조 상에 거치되기 이전에 지상에서 설치되고, 상기 종방향 지지부재를 상기 제1거더에 위치 고정시키는 지지부재 고정체와; 상기 제1거더가 하부 구조 상에 거치되기 이전에 지상에서 설치되고, 상기 제1거더에 위치고정된 상기 종방향 지지부재의 상면의 직선 구간에 설치되되, 상기 제1거더의 직선 구간에서는 상기 종방향 지지부재의 상면에만 지지되도록 설치된 궤도 레일과; 상기 궤도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2거더를 이송하는 트롤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에서의 거더 후방 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때, 제1하부구조와 제2하부구조에 거치하고자 하는 제2거더의 전방에 위치한 거더들의 직선 구간에서는, 상기 궤도 레일은 상기 종방향 지지부재 상에만 거치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하부구조와 제2하부구조에 거치하고자 하는 제2거더의 전방에 위치한 거더들의 연결부 구간에서는, 인접한 2개의 상기 제1거더에 거치되어, 상기 궤도 레일을 지지하는 횡방향 지지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제1거더의 횡방향으로의 요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횡방향 지지 부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구속 부재와;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상기 구속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기 거치된 거더의 횡방향으로의 요동을 억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교량 가설에서의 거더 후방 공급 시스템은, 횡방향으로 인접한 2개의 상기 제1거더의 상기 직선 구간에 양단 지지되게 설치되는 횡지지부재와, 상기 횡지지부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부 구조에 거치된 거더의 횡방향으로의 요동을 억제하는 구속 부재와,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상기 구속 부재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구속 부재의 요동을 구속하는 연결 부재로 이루어진 거더 횡지지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교량 하부 구조'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교량의 거더를 거치시키는 교대 또는 교각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개단면 거더'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바닥판 콘크리트가 거더에 합성되기 이전의 거더로서, 그 자체로 바닥판의 역할을 하지 않는 거더로 정의하기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거더의 공급 방법은 '제1이송단계', '제2이송단계', '제3이송단계', '거더거치단계'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지지만, 그 밖의 구성은 임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거더를 거치하고자 하는 교량의 하부 구조의 후방에 기 설치된 제1거더를 이용하여 그 상면에 트롤리가 통행가능한 궤도를 제작한 후, 거치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거치하고자 하는 제2거더를 운반하여 이동시키고, 그 다음에는 빔 런쳐를 이용하여 윈치로 제2거더를 거치시키는 공정에 의해 거더를 이송 거치함에 따라, 인상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빔 런쳐의 이송 거리를 최소화하여 연속적으로 원활하게 거더를 궤도 레일을 통해 공급함으로써, 보다 짧은 시간 내에 하부 구조에 거치시킬 거더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미 가설된 거더의 상측에 거더를 공급하는 궤도 레일을 가설함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거치되는 침목의 설치를 최소화함으로써 거더를 운반하는 장치의 시공 및 해체를 보다 짧은 시간에 할 수 있도록 하여, 거더를 공급하여 거치시키는 공정을 보다 짧은 시간에 행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교량의 직선 구간에서는 전단 연결재 사이에 종방향 지지부재를 종방향으로 거치하고, 종방향 지지부재를 거더에 지지되도록 위치 고정한 후, 그 위에 곧바로 궤도 레일을 설치함으로써, 전단 연결재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이미 가설된 거더 상의 궤도 레일을 따라 거더를 운반 이동할 수 있는 트롤리의 이동 경로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거더 상에 트롤리가 운행하는 궤도 레일을 설치함에 있어서, 거더를 하부 구조 상에 거치시키기 이전에, 미리 지상에서 종방향 지지부재를 거더에 지지되도록 위치고정시키고, 직선 구간에 대하여 종방향 지지부재 상에 궤도 레일을 설치해 둠으로써, 거더를 하부 구조상에 거치시키기만 하면, 거더를 후방에서 공급하는 트롤리가 운행할 수 있는 궤도 레일의 시공이 직선 구간에 대해 완료되므로, 거더 후방 공급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용이하게 행해진다.
특히, 전체가 일직선 형태의 교량인 경우에는, 지상에서 미리 궤도 레일이 설치된 상태이므로, 하부 구조 상에 궤도 레일을 거치하는 순간 트롤리가 운행할 수 있는 궤도가 자동으로 설치되므로, 시공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량의 연결부 구간에서는 횡방향 지지부재에 의해 궤도 레일을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거더가 종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열되지 않는 경우에도, 하부 구조 주변의 연결부 구간(궤도 레일이 곡선으로 배열되는 구간)에서도 트롤리가 운행하는 궤도 레일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교량의 연결부 구간에서 횡방향 지지부재에 의하여 궤도 레일을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횡방향 지지부재로부터 하방 연장된 구속 부재에 의해 거치된 거더의 측면 거동을 구속함으로써, 교각에 거치된 거더가 풍하중 등에 의해 요동하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잇점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량의 거더 중앙부(직선 구간)에서도 횡지지 장치에 의해 거더의 측면 거동을 구속하여 횡방향으로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닥판 또는 반바닥판이 거더에 합성되지 않은 개단면 거더 상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전단 연결재나 거더간의 횡구배 및 종방향 단차에도 불구하고, 교량 하부 구조에 거치시킬 거더를 기 설치된 거더의 상면을 이용하여 원활하게 공급함으로써, 거더 공급 공정을 보다 짧은 시간에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횡방향으로 인접한 거더에 종방향 지지부재를 각각 거치시켜 트롤리가 통행하는 궤도를 제작함으로써, 거더의 상면의 넓이가 충분히 넓지 않은 상태에서도 거더를 운반하는 트롤리 궤도를 제작하여 거더를 원활히 운반할 수 있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트롤리가 거더를 운반하기 위하여 통행하는 궤도를 시공함에 있어서, 종방향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거더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보다 이격시키도록 구성함에 따라, 거더 상측의 전단연결재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으면서, 교대에서의 지면과 거더 사이의 단턱 및 거더 사이의 종방향 틈새에도 불구하고, 원활하게 거더를 거치하고자 하는 교량하부구조까지 운반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거더를 공급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더 공급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의 'A'의 확대도
도3은 도1의 절단선 X-X에 따른 횡단면도
도4a 내지 도4h는 도1의 거더 공급 장치를 이용한 거더의 공급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5는 도4d의 'C'부분의 확대도
도6은 교대 부근에 설치된 거더 공급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7a는 도3의 'B'부분의 확대도
도7b는 하부구조에 거치된 빔 런쳐의 지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8은 곡선 영역이 구비되는 교량의 거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9는 도8의 'D'부분의 정면도
도10a는 도8의 절단선 Y-Y에 따른 단면도
도10b는 도8의 절단선 Y-Y에 따른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10c는 도8의 절단선 Z-Z에 따른 단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더 공급 장치(100)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더 공급 장치(100)은 교각이나 교대로 이루어지는 교량의 하부구조(20, 21, 22,..., 29) 상에 거더(10, 10', 11, 11', 12,...)를 거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한 쌍의 윈치(111, 112)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2거더(12)를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빔 런쳐(110)와, 빔 런쳐(11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크레인 이동기구(120)와, 임의의 제1하부구조(21)와 제2하부구조(22)의 사이에 거치하고자 하는 제2거더(12)를 제1하부구조(21)까지 운반하는 트롤리(130, 130')와, 제1하부구조(21)의 후방에 기 설치된 거더(10, 11) 상에 트롤리(130, 130')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설되는 궤도(140)로 구성된다.
상기 거더(10, 10', 11, 11', 12,...)는 PSC거더이거나 프리캐스트 개단면 거더 등 다양한 형태의 거더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빔 런쳐(110)는 시공하는 교량의 교축 방향(종방향)을 따라 길게 배열되며,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하부구조(20, 21, 22,..., 29)에 미리 설치된 지지부(114)에 지지되거나,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구조(20, 21, 22,..., 29)에 거치된 거더들(10, 11)에 지지된다. 상기 빔 런쳐(110)에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윈치(111)와 제2윈치(112)가 구비되어, 한 쌍의 윈치(111, 112)로부터 인상 케이블(111a, 111b)로 거치하고자 하는 제2거더(12)를 인상하여 운반할 수 있다. 제1하부구조(21)와 제2하부구조(22)의 사이에 제2거더(12)를 거치하는 경우에는, 빔 런쳐(110)는 크레인 이동기구(120)에 의해 종방향으로 이동하여 일측이 제1하부구조(21)의 후방에 이미 거치된 제1거더(11) 상에 크레인 이동기구(120)로 지지되고 타측이 제2하부구조(22)의 전방측에 설치된 지지부(114)로 지지된 다. 그리고 나서, 제2거더(12)를 윈치(111, 112)로 운반하여 제1하부구조(21)와 제2하부구조(22)에 거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크레인 이동기구(120)는 빔 런쳐(110)를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거더(11) 상에 설치되어 구동 롤러(122)를 정,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빔 런쳐(110)를 종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킨다. 이 때, 아이들러 롤러(123)는 빔 런쳐(110)가 안정적으로 종방향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다수의 열로 거더(10, 10', 11, 11', 12,...)가 횡방향 거치되므로, 크레인 이동기구(120)는 횡방향 거치대(60)상에 횡방향으로 배열된 레일(61)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2거더(12)를 하나씩 이송하여 제1하부구조(21)와 제2하부구조(22)에 횡방향으로 다수의 열로 거치시킨다.
경우에 따라서는, 크레인 이동 기구(120)가 이미 거치된 거더(10, 11) 상에 위치하지 않고, 빔 런쳐(110)가 지지부(114) 상에서만 종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지지부(114)는 하부구조(20, 21, 22,..., 29) 상에서 거더(10, 10', 11, 11', 12,...)가 거치되는 위치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지지부(114)는 하부구조(20, 21, 22,..., 29)로부터 거더(10, 10', 11, 11', 12,...)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하부 구조(20, 21, 22,..., 29)에 설치되는 수직 지지대(114')와, 수직 지지대(114')를 연결하는 수평 지지대(114x)로 구성된다. 수평 지지대(114x)에는 빔 런쳐(110)가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횡방향 레일(미도시)이 설치되어, 하부 구조(20, 21, 22,..., 29) 상에 횡방향으로 다수의 열로 거치되는 거더(10, 10', 11, 11', 12,...)를 하나의 빔 런쳐(110)로 거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빔 런쳐(110)가 동시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트롤리(130, 130')는 제1하부구조(21)와 제2하부구조(22) 사이에 거치될 제2거더(12)를 제2거더(12)의 양단부(12e1, 12e2)에서 각각 지지하여 제1하부구조(21)까지 궤도(140)를 따라 운반한다. 이를 위하여,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궤도(140)의 궤도 레일(143)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132)와, 그 위에 새롭게 설치될 제2거더(12)를 거치하는 거치대(13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거치대(131) 상에 거치된 제2거더(12)는 케이블(77)로 위치 고정한다.
상기 궤도(14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인접한 제1거더(11, 11') 상에 종방향 지지부재(141)가 종방향으로 배열되게 놓여지고, 그 위에 트롤리(130, 130')가 통행하는 궤도 레일(143)이 설치된다. 이 때, 종방향 지지부재(141)는 종방향을 따라 연속하는 형태일 수도 있고, 간헐적으로 끊긴 상태일 수도 있다.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구조(20, 21, 22,..., 29) 상에 이미 거치된 종방향 지지부재(141)의 상면에 거치되는 종방향 지지부재(141)는 거더(11)에 지지되도록 고정 수단(150)에 의해 거더(11)에 지지되도록 견고하게 위치고정된다. 즉, 종방향 지지부재(141)의 양측면은 제1밀착판(151)에 밀착되고, 거더(11)의 측면(11s)은 제2밀착판(152)에 밀착하도록, 제1밀착판(151)과 제2밀착판(152) 사이의 간격을 수나사산이 형성된 조절봉(153)의 고정 너트(151a0, 152a1, 152a2)로 조절한 후, 고정 너트(151a0, 152a1, 152a2)를 죄어 위치 고정한다. 이에 의하여 종방향 지지부재(141)는 밀착판(151, 152)과 조절봉(153)으로 이루어진 고정 수단(150)에 의하여 거더(11)에 지지되어 횡방향으로 견고하게 위치 고정된다. 따라서, 종방향 지지부재(141)는 그 상면에 궤도 레일(143)이 설치되어 트롤리(130, 130')가 이동하더라도 견고하게 제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거더(10, 10', 11, 11', 12,...)가 일직선으로 배열되는 직선 구간 에서는 궤도 레일(143)은 종방향 지지부재(141)상에만 거치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각 거더(10, 10', 11, 11', 12,...)가 하부 구조(20, 21, 22,..., 29) 상에 거치되기 이전에, 지상에서 거더(10, 10', 11, 11', 12,...)의 상면에 미리 종방향 지지부재(141)와 궤도 레일(143)이 위치 고정된다. 이에 따라, 거더(10, 10', 11, 11', 12,...)를 하부 구조(20, 21, 22,..., 29) 상에 거치하기만 하면, 직선 구간에서는 트롤리(130, 130')가 운행할 수 있는 궤도가 만들어진다. 이를 통해, 전방에 거치할 거더를 운반하는 시스템을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을 크게 단축할 수 있고, 동시에 거더의 가설이 모두 종료된 이후에 종방향 지지거더와 함께 궤도 레일(143)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궤도 레일을 해체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잇점이 얻어진다.
한편, 교량이 일직선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구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하부 구조(20) 상에 거치된 직선 형태의 거더(10', 11')는 일직선으로 배열되지 않고 종방향으로 소정의 각도(180도가 아닌 각도)를 이루고 있으므로, 이 거더들(10', 11') 상에 설치된 궤도 레일(143)은 거더(10', 11')가 서로 꺾인 각도로 배열되었음에도 꺾인 각도가 없는 부드러운 곡선 주행로를 형성해야 원활하게 트롤리(130, 130')가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직선 구간(SA)에서는 종방향 지지부재(141)상에 궤도레일(143)이 설치되지만, 거더(10', 11')의 연결부 구간(CA)에서는 횡방향 지지부재(142)가 횡방향으로 인접한 2개의 거더(10'; 11')상에 양단 지지되도록 거치된다. 그리고, 연결부 구간(CA)에서는 횡방향 지지부재(142) 상에 궤도 레일(143)이 설치되어, 궤도 레일(143)이 연결부 구간(CA)에서 부드러운 곡선 주행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즉, 직선 구간(SA)에서는 종방향 지지부재(141) 상에 궤도 레일(143)이 지상에서 미리 거더(10', 11')에 설치되어, 하부 구조(20, 21, 22,..., 29) 상에 거더(10', 11')를 거치하기만 하면 트롤리(130, 130')가 운행할 수 있는 궤도의 설치가 직선 형태로 이루어고, 또한 연결부 구간(CA)에서는 횡방향 지지부재(142) 상에 궤도 레일(143)이 설치되어 트롤리(130, 130')가 운행할 수 있는 궤도의 설치가 곡선 형태로 이루어진다. 트롤리(130, 130')가 운행하는 곡선 궤도에만 횡방향 지지부재(142)가 설치되므로, 지상에서 미리 거더에 궤도 레일(143)이 설치되는 직선 구간(SA)이 전부 또는 대부분이어서, 궤도(140)의 설치 및 해체를 보다 짧은 시간에 행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 구간(CA)을 포함하는 교량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종방향 지지부재(141)가 연결부 구간의 곡률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종방향 지지부재(141)가 특정 교량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교량에 범용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에 직선 구간(SA) 이외에 연결부 구간(CA)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직선 구간(SA)에서는 직선 형태의 종방향 지지부재(141)에 의해 궤도 레일(143)을 지지하고, 연결부 구간(CA)에서는 횡방향으로 인접한 2개의 거더(11')에 양단 단순거치되도록 횡방향 지지부재(142)를 걸쳐 거치시킨 후, 그 양끝단부에 침목 형태로 궤도 레일(143)이 설치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곡률의 연결부 구간(CA)에 대해서도 지지 부재(141, 143)의 규격이나 치수, 곡률 등을 변동시키지 않고서도 다양한 형태로 궤도 레일(143)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종방향 지지부재(141)는 거더(10, 11,...)의 상면에 종방향으로 거치되게 설치되므로, 본 발명은 거더(10, 11,...)의 직선 구간(SA)에서 전단 연결재(11c, 11c')가 거더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된 형태(도3참조)에 한하여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전단 연결재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 형태의 전단 연결재(11c)일 수도 있고,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워진 'ㄷ' 자 형태의 노출 철근으로 이루어진 전단 연결재(11c')일 수도 있다.
트롤리(130, 130')의 이동 중에 전단 연결재(11c, 11c')와 간섭되지 않도록, 트롤리(130, 130')의 바퀴 높이와 궤도 레일(143)의 높이를 고려하여 종방향 지지부재(141) 및 횡방향 지지부재(142)의 높이가 정해진다.
한편, 직선 구간(SA)에서 종방향 지지부재(141)에 의해서만 궤도 레일(143)이 지지되므로, 주어진 길이만큼 궤도 레일(143)을 거더(10, 11, 11', 12, 12',...) 상에 설치하는 데 있어서, 이를 지지하는 종방향 지지부재(141)의 설치 공정이 매우 간단하고 쉽게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거더(10, 11, ...)의 거치 공정이 모두 종료된 이후에 궤도 레일(143)을 해체하는 공정도 매우 간편해진다. 이를 통해, 거더(10, 11,..)의 공급 장치를 설치 및 해체 공정이 유리해지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횡방향 지지부재(142)에 의하여 궤도 레일(143)을 설치하는 구간(CA)에서는, 도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 지지부재(142)로부터 하방으로 구속 부재(144)가 연장 형성된다. 구속 부재(144)는 거더(11')의 양측면과 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풍하중 등에 의하여 거더(11')가 횡방향으로의 요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정도의 작은 간극을 거더(11')와 둘 수도 있다. 그리고, 횡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구속 부재(144)는 도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싱(145)으로 연결되거나, 도10b에 도시된 강재 등으로 형성된 연결 부재(145')로 연결되어, 거더(11')가 횡방향으로 전복하려는 힘을 브레이싱재 등의 연결재(145, 145')로 버틸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횡방향 지지부재(142)의 상면에는 트롤리(130, 130')가 이동할 수 있는 궤도 레일(143)에 의해 상방으로 들뜨는 힘이 상쇄되고, 하나의 횡방향 지지부재(142)에 2개 이상의 구속 부재(144)가 연장 형성됨에 따라, 거더(10, 11,...)에 횡방향으로 전도되려는 힘이 횡방향 지지부재(142)와 구속 부재(144)에 의해 억제되므로, 풍하중 등에 의해 전도되려는 힘을 효과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도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궤도 레일(143)이 종방향 지지부재(141) 상에만 거치되도록 설치되는 직선 구간(SA)에서도, 종방향 지지부재(141)의 횡방향으로의 사잇공간의 거더(11') 상면에 거치되는 횡지지부재(161)와, 횡지지부재(16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부 구조에 거치된 거더의 횡방향으로의 요동을 억제하는 구속 부재(162)와,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구속 부재(162)를 상호 연결하여 구속 부재(162)의 요동을 구속하는 연결 부재(163)로 이루어진 거더 횡지지 장치(160)를 거더(11')에 설치하여, 이미 거치된 거더(11')의 직선 구간(SA)에서도 거더를 횡방향으로 지지하여 장시간 동안 바닥판이 합성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안전하게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지지부재(141)는 그 위에 가설되는 궤도 레일(143)을 통행하는 트롤리(130, 130')가 거더(11, 11')의 상측에 노출된 전단 연결재(11c, 11c')에 간섭되지 않는 높이로 그 두께(H1)가 정해진다. 그리고, 횡방향으로 인접한 기 설치된 제1거더(11, 11')의 높이 편차(H2)가 있는 경우에는, 그 위에 놓여지는 종방향 지지부재(141)의 두께(높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종방향 지지부재(141) 상에 설치되는 궤도 레일(143)의 높이를 일정하게 조절함으로써, 궤도 레일(143)을 따라 이동하는 트롤리(130, 130')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듯, 본 발명은 종방향 지지부재(141)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전단 연결재(11c)와 간섭을 회피하면서 횡방향으로 인접배열된 제1거더(11, 11')의 (주로 거더의 캠버량에 따라 발생되는) 높이 편차(H2)를 보상하여, 트롤리(130, 130')가 운행하는 궤도(140)를 간섭없는 수평 상태로 유지하여 원활한 시공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교량 하부 구조(29, 20, 21) 상에 이미 거치되고 바닥판이 합성되지 않은 거더(10, 11)의 상면에 종방향 지지부재(141)를 이용하여 거더(12)를 운반하는 트롤리(130, 130')가 통행하는 궤도를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교량 하부 구조(29, 20, 21, 22...) 상에 개단면 거더(10, 10', 11, 11', 12,...)를 거치시키는 공정을 보다 신속하면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거더 공급 장치(100)을 이용한 교량 시공 중의 거더 공급 방법을 제1하부구조(21)와 제2하부구조(22)의 사이에 제2거더(12)를 거치시키는 공정을 예로 들어 상술한다.
단계 1: 교량의 하부구조(20, 21, ... 29) 중 제1하부구조(21)와 제2하부구조(22)의 전방에 위치할 거더들(10, 11,...)의 직선 구간(SA)에 대하여, 지상에서 먼저 종방향 지지부재(141)를 거더(10, 11)에 위치고정하고, 종방향 지지부재(141) 상에 궤도 레일(143)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나서,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거더(10, 11)를 하부 구조(29, 20, 21) 상에 거치시킨다. 이를 통해, 거더(10, 11,...)를 하부 구조(29, 20, 21)에 거치하기만 하면, 도3에 도시된 형태의 궤도(140)가 거더(10, 11,...)의 직선 구간(SA)에 걸쳐 상면에 설치된다.
이 때, 종방향 지지부재(141)는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끝단부가 고정 수단(150)에 의해 거더(10, 10', 11, 11',...)에 지지되도록 견고하게 위치 고정된다. 이와 같이 직선 구간에서는 직선 형태의 종방향 지지부재(141)를 전단 연결재(11c) 사이의 거더(10, 10', 11, 11',...) 상면에 설치함으로써, 새롭게 거치할 거더(12)를 전단 연결재(11c)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트롤리(130, 130')로 운반하여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동시에 긴 거리에 걸쳐 궤도 레일(143)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41)의 설치를 보다 짧은 시간 내에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하부구조(21) 및 제2하부구조(22)의 후방에 거더(10, 11,..)가 일직선으로 배열되지 않는 연결부 구간(CA)이 위치한 경우에는,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 구간(CA)의 횡방향으로 인접한 거더(11')에 양단 지지되는 형태로 횡방향 지지부재(142)를 설치한 후, 그 위에 궤도 레일(143)이 가설된다. 이를 통해, 제1하부구조(21)의 후방에 위치한 거더들(10, 11,...)에는 그 배치형상에 무관하게 궤도(140)가 모두 설치된다.
연결부 구간(CA)에 설치되는 횡방향 지지부재(142)에는 도10a 및 도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더(11')의 측면에 밀착하거나 근접 설치되는 구속 부재(144)가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고,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구속 부재(144)를 브레이싱재 등의 연결재(145, 145')로 상호 연결함으로써, 하부 구조(20, 21,..., 29)에 거치되어 있는 거더(10, 10', 11, 11',...)가 풍하중 등에 의해 전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횡방향 지지부재(142)는 궤도 레일(143)에 의해 눌린 상태가 되므로, 들뜨는 것이 방지되어 풍하중 등에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잇점도 얻어진다. 마찬가지로, 도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구간(SA)에도 횡지지 장치(160)를 횡방향으로 인접한 거더에 거치되도록 설치하여, 하부 구조의 종방향으로의 중앙 사잇 공간에서도 거더(10, 10',...)가 풍하중 등에 의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제1하부구조(21)의 전방에 위치한 거더들(10, 11,...)은 후술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공급되어 하부 구조(29, 20, 21) 상에 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2: 단계 1을 행하기 이전 또는 이후에,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하부 구조(29, 20, 21)에 이미 거치된 거더(10, 11) 상에 빔 런쳐(110)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단계 1을 행한 이후에 크레인 이동기구(120)로 빔 런쳐(110)를 종방향(110d)으로 이동시켜, 제2거더(12)를 거치하고자 하는 제2하부구조(22)의 전방측에 지지부(114)를 위치시킨다. 이로써, 빔 런쳐(110)의 일측은 이미 가설된 제1거더(11)에 지지되고 타측은 제2하부구조(22)의 전방측에 지지된다. 이 때, 빔 런쳐(110)의 무게 중심이 전방 끝단으로 치우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제1윈치(111) 및 제2윈치(112)는 후방 끝단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하부 구조(20, 21, 22,..., 29) 상에 미리 지지부(114)가 설치되어 있고, 빔 런쳐(110)가 어느 하부 구조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부로부터 다른 하부 구조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부로 종방향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도, 빔 런쳐(110)가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단계 1을 행하기 이전에도 빔 런쳐(110)가 미리 이동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단계 3: 단계 1 및 단계 2를 마친후에,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설된 궤도(140)를 따라 이동하는 트롤리(130, 130')에 의해 제1하부구조(21)와 제2하부구조(22)에 양단 거치될 제2거더(12)를 이송(12d)한다.
단계 4: 도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거더(12)의 전방 끝단부(12e1)가 빔 런쳐(110)의 전방에 위치한 제2윈치(112)의 하측에 도달하면, 제2윈치(112)의 인상 케이블(112a)로 제2거더(12)의 전방 끝단부(12e1)를 도면부호 12u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들어올린다. 이에 따라, 궤도(140)를 따라 제2거더(12)를 운반하기 위해 전방에 위치하는 제1트롤리(130)에는 제2거더(12)를 거치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단계 5: 그리고 나서, 도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윈치(112)와 제2트롤리(130')는 대체로 동일한 속도로 전방(112d, 130d)으로 이동하여, 제2거더(12)를 제2하부구조(22)를 향하여 이송한다.
단계 6: 그 다음, 도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거더(12)의 후방 끝단부(12e2)가 빔 런쳐(110)의 후방에 위치한 제1윈치(111)의 하측에 도달하면, 제1윈치(111)의 인상 케이블(111a)로 제2거더(12)의 후방 끝단부(12e2)를 도면부호 12u2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들어올린다. 이에 따라, 궤도(140)를 따라 제2거더(12)의 후방 끝단부(12e2)를 지지하면서 운반하고 있던 제2트롤리(130')에는 제2거더(12)를 더 이상 거치하지 않은 상태가 되고, 제2거더(12)는 제1윈치(111)와 제2윈치(112)에 의해 모두 인상된 상태가 된다.
단계 7: 그리고 나서, 도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윈치(111)와 제2윈치(112)가 대체로 동일한 속도로 전방(111d, 112d) 이동함으로써, 제2거더(12)를 전방(12d)으로 이동시킨다. 제1윈치(111)와 제2윈치(112)의 전방 이동은 제2거더(12)의 양단부(12e1, 12e2)가 제1하부구조(21)와 제2하부구조(22)의 상측에 각각 위치할 때까지 계속된다.
단계 8: 그리고 나서, 도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윈치(111)와 제2윈치(112)의 인상 케이블(111a, 112a)을 하방(12u1', 12u2')으로 내려, 제2거더(12)의 후방 끝단부(12e2)는 제1하부구조(21)의 후방측 교좌장치(21b)에 거치되고, 제2거더(12)의 전방 끝단부(12e1)는 제2하부구조(22)의 전방측 교좌장치(22a)에 거치된다. 이 때, 빔 런쳐(110)의 지지 기둥(114)은 제2하부구조(22)의 전방측에 위치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2거더(12)를 제2하부구조(22) 상의 전방측 교좌장치(22a)에 거치시키는 데 간섭되지 않는다.
단계 9: 상기와 같이 제1하부구조(21)와 제2하부구조(22) 상에 제2거더(12)를 거치시킨 후,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런쳐(110)를 수평 지지대(114x)에 설치된 횡방향 레일로 이동(110z)시켜 단계 1 내지 단계 9를 반복하면서 제1하부구조(21)와 제2하부구조(22) 상에 횡방향으로 다수의 열의 제2거더(12)를 거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반복하여, 제2하부구조(22)와 종방향 전방에 위치한 제3하부구조(미도시) 상에 거더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거더를 이송 거치시킨다.
한편, 교량의 시작 지점인 교대(20')에서는 도4a 내지 도4h에서의 제1거더(11) 상에 설치했던 궤도(140) 및 빔 런쳐(110)를 지면(66)에서 행하는 것에 의해 최초 거더를 하부 구조 상에 거치시키는 공정이 가능하다. 이 때,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20')에 거치되는 제3거더(10')는 그 상측에 합성되는 바닥판 콘크리트에 의해 인접한 지면(66)과 상면 높이가 일정해진다. 따라서, 바닥판 콘크리트가 거더에 합성되기 이전에는 제3거더(10')와 지면(66) 사이에 높이차(y)를 갖는 단턱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트롤리(130, 130')가 이동하는 궤도(140)를 횡방향 지지부재(142) 하측에 종방향 지지부재(141)를 위치시키므로, 지면(66) 상에서의 종방향 지지부재(141')의 높이(H1')를 제3거더(10') 상에서의 종방향 지지부재(140)의 높이(H1)보다 더 작게 함으로써, 교대(20')에서 제3거더(10')와 지면(66) 사이의 단턱을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궤도(14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인접한 거더(10, 11) 사이에는 틈새(c)가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횡지지부재(142) 상에 궤도 레일(143)이 설치되어 궤도(140)가 형성되므로, 거더(10, 11) 사이의 틈새(c)에도 불구하고 연속적으로 트롤리(130, 130')가 이동할 수 있는 궤도(14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거더(12)를 거치하고자 하는 교량의 하부 구조(11, 12)의 후방에 기 설치된 거더들(10, 11)를 이용하여 그 상면에 트롤리(130, 130')가 통행가능한 궤도(140)를 직선형태의 종방향 지지부재(141)에 지지되도록 지상에서 미리 설치한 후, 이 궤도(140)를 타고 트롤리(130, 130')가 거치하고자 하는 제2거더(12)를 거치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운반하여 이동시키고, 그 다음에 빔 런쳐(110)를 이용하여 윈치(111, 112)로 제2거더(12)를 거치시키는 공정에 의해 거더를 이송 거치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원활하게 거더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거더를 교량 하부 구조 상에 이송 거치시킬 수 있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설된 궤도(140)는 거더(10,...) 상부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합성하기 이전에 제거될 수 있다. 이 때에도, 궤도(140)는 최소한의 지지 부재(141, 142)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궤도 레일(143)과 이들 지지 부재(141, 142)를 짧은 시간 내에 제거함으로써, 교량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더(12)를 운반하는 트롤리(130, 130')의 궤도(140)를 종방향 지지부재(141) 상에 형성함으로써, 종방향 지지부재(141)와 궤도 레일(143)의 합친 높이가 거더(10, 10', 11)의 상면에 돌출된 전단 연결재(11c)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하면, 전단 연결재(11c, 11c')에 간섭되지 않는 궤도(140)를 제작하므로, 교량 하부구조에 거치될 거더를 보다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거더 공급 장치 110: 빔 런쳐
111: 제1윈치 112: 제2윈치
120: 크레인 이동기구 130: 제1트롤리
130': 제2트롤리 140: 궤도
141: 종방향 지지부재 142: 횡방향 지지부재
143: 레일 144: 구속 부재
145, 145': 연결재 150: 고정 수단
160: 횡지지장치

Claims (10)

  1. 제1하부구조, 제2하부구조를 포함하는 종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교량 하부 구조 상에 바닥판 콘크리트가 합성될 예정인 개단면 제2거더를 후방으로부터 상기 제1하부구조 및 상기 제2하부구조에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윈치와 제2윈치가 구비된 빔 런쳐를 상기 제1하부구조와 상기 제2하부구조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되, 교축에 수직한 횡방향으로 상기 빔 런쳐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빔런쳐 설치단계와;
    상기 제1하부구조의 후방에 거치될 제1거더 상면에 돌출된 연결재 사이에 교축 방향으로 종방향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종방향 지지부재의 상면에 교축 방향으로 뻗어 트롤리가 이동할 수 있는 궤도 레일을 상기 제1거더의 직선 구간에 지상에서 설치하되, 상기 제1거더의 직선 구간에서는 상기 궤도 레일이 상기 종방향 지지부재 상에만 거치되도록 설치한 후, 상기 빔 런쳐를 이용하여 상기 제1거더를 상기 제1하부구조의 후방에 위치한 하부 구조 상에 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하부구조 및 상기 제2하부구조 상에 거치될 상기 제2거더의 상면에 돌출된 연결재 사이에 교축 방향으로 종방향 지지부재를 제2거더에 지지되는 형태로 위치 고정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종방향 지지부재의 상면에 궤도 레일을 지상에서 설치하되, 상기 제2거더의 직선 구간에서는 상기 궤도 레일이 상기 종방향 지지부재 상에만 거치되도록 설치하는 궤도설치단계와;
    상기 제2거더를 상기 트롤리로 운반하여 상기 빔 런쳐의 하측까지 이송하는 제1이송단계와;
    상기 제1윈치와 상기 제2윈치로 상기 제2거더를 인상하여, 상기 제2거더의 양단부를 상기 제1하부구조 및 상기 제2하부구조의 상측에 각각 위치시키는 제3이송단계와;
    상기 제1윈치와 상기 제2윈치에 의해 인상되어 있던 상기 제2거더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거더의 양단부를 상기 제1하부구조 및 상기 제2하부구조 상에 거치시키는 거더거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에서의 거더 후방 공급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더와 상기 제2거더가 일직선으로 배열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거더와 상기 제2거더의 연결부 구간에서는, 횡방향으로 인접한 2개의 상기 제1거더에 횡방향 지지부재를 거치하는 횡방향 지지부재 거치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거더와 상기 제2거더의 연결부 구간에서는 상기 궤도 레일이 상기 제1거더 및 상기 제2거더가 하부 구조 상에 거치된 이후에 상기 횡방향 지지부재 상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에서의 거더 후방 공급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지지부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구속 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횡방향 지지부재 거치단계를 행함으로써 하부 구조에 거치된 거더의 횡방향으로의 요동을 억제되고,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상기 구속 부재를 연결 부재로 상호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에서의 거더 후방 공급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횡지지부재와, 상기 횡지지부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부 구조에 거치된 거더의 횡방향으로의 요동을 억제하는 구속 부재와,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상기 구속 부재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구속 부재의 요동을 구속하는 연결 부재로 이루어진 거더 횡지지 장치를 상기 제1거더에 설치하되, 상기 횡지지부재가 횡방향으로 인접한 2개의 상기 제1거더에 양단 지지되도록 거치되도록 상기 거더 횡지지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량 가설에서의 거더 후방 공급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 레일은 교대로부터 상기 제1거더 상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교대에 거치된 제3거더의 지면과의 경계턱은 상기 지면에서의 상기 종방향 지지부재와 상기 제3거더 상의 종방향 지지부재의 높이를 조절하여 단턱없는 궤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에서의 거더 후방 공급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단계는 상기 제2거더의 일단부를 상기 빔 런쳐의 하측까지 이송하고;
    상기 빔 런쳐의 상기 제1윈치가 상기 제2거더의 일단부를 인상한 후, 상기 제1윈치가 상기 빔 런쳐를 따라 상기 제2하부구조를 향하여 이동하면서, 동시에 상기 트롤리가 상기 제2거더의 타단부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제1윈치와 함께 상기 제2거더를 상기 빔 런쳐의 하측까지 이송하는 제2이송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이송단계는 상기 제2윈치가 상기 제2거더의 타단부를 인상한 후, 상기 제1윈치와 상기 제2윈치가 상기 빔 런쳐를 따라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여, 상기 제2거더의 양단부를 상기 제1하부구조 및 상기 제2하부구조의 상측에 각각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에서의 거더 후방 공급 방법.
  7. 제1하부구조, 제2하부구조를 포함하는 종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교량 하부 구조 상에 바닥판 콘크리트가 합성될 예정인 개단면 제2거더를 상기 제1하부구조 및 상기 제2하부구조에 공급하는 데 사용되는 교량 가설에서의 거더 후방 공급 시스템으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윈치와 제2윈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1하부구조와 상기 제2하부구조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되, 교축에 수직한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빔 런쳐와;
    상기 제1거더가 하부 구조 상에 거치되기 이전에 지상에서 설치되고, 상기 제1하부구조의 후방에 거치된 제1거더의 상면에 돌출된 연결재 사이에 교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1거더에 지지되는 형태로 위치 고정되게 설치된 종방향 지지부재와;
    상기 제1거더가 하부 구조 상에 거치되기 이전에 지상에서 설치되고, 상기 종방향 지지부재를 상기 제1거더에 위치 고정시키는 지지부재 고정체와;
    상기 제1거더가 하부 구조 상에 거치되기 이전에 지상에서 설치되고, 상기 제1거더에 위치고정된 상기 종방향 지지부재의 상면의 직선 구간에 설치되되, 상기 제1거더의 직선 구간에서는 상기 종방향 지지부재의 상면에만 지지되도록 설치된 궤도 레일과;
    상기 궤도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2거더를 이송하는 트롤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에서의 거더 후방 공급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더와 상기 제2거더가 일직선으로 배열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거더와 상기 제2거더의 연결부 구간에서는, 횡방향으로 인접한 2개의 상기 제1거더에 양단 지지되는 횡방향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거더와 상기 제2거더의 연결부 구간에서는 상기 궤도 레일이 상기 횡방향 지지부재 상에 거치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에서의 거더 후방 공급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지지부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구속부재와,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상기 구속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에서의 거더 후방 공급 시스템.

  10. 제 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인접한 2개의 상기 제1거더의 상기 직선 구간에 양단 지지되게 설치되는 횡지지부재와, 상기 횡지지부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부 구조에 거치된 거더의 횡방향으로의 요동을 억제하는 구속 부재와,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상기 구속 부재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구속 부재의 요동을 구속하는 연결 부재로 이루어진 거더 횡지지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에서의 거더 후방 공급 시스템.
KR1020120090281A 2012-08-17 2012-08-17 빔 런쳐를 이용한 교량의 가설에서의 거더 후방 공급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공급 시스템 KR201400238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281A KR20140023800A (ko) 2012-08-17 2012-08-17 빔 런쳐를 이용한 교량의 가설에서의 거더 후방 공급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281A KR20140023800A (ko) 2012-08-17 2012-08-17 빔 런쳐를 이용한 교량의 가설에서의 거더 후방 공급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800A true KR20140023800A (ko) 2014-02-27

Family

ID=5026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281A KR20140023800A (ko) 2012-08-17 2012-08-17 빔 런쳐를 이용한 교량의 가설에서의 거더 후방 공급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380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653B1 (ko) * 2016-06-03 2017-03-08 유근무 전도방지 psc 빔을 이용한 교량의 시공 공법
CN107313356A (zh) * 2017-08-19 2017-11-03 安徽省中冶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双层桥建造的运梁方法
CN108239936A (zh) * 2018-02-09 2018-07-03 中铁工程机械研究设计院有限公司 轮距可调的u型过隧运梁车及其喂梁方法
KR20200022143A (ko) * 2018-08-22 2020-03-03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레일 및 트롤리를 이용한 거더 런칭 시스템
KR20200031824A (ko) * 2018-09-17 2020-03-25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레일 및 트롤리를 이용한 숏 거더 런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거더 시공방법
CN111910525A (zh) * 2020-08-19 2020-11-10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钢栈桥
CN113020532A (zh) * 2021-02-26 2021-06-25 中铁宝桥(南京)有限公司 一种基于跟端精锻线的钢轨利用率提升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653B1 (ko) * 2016-06-03 2017-03-08 유근무 전도방지 psc 빔을 이용한 교량의 시공 공법
CN107313356A (zh) * 2017-08-19 2017-11-03 安徽省中冶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双层桥建造的运梁方法
CN108239936A (zh) * 2018-02-09 2018-07-03 中铁工程机械研究设计院有限公司 轮距可调的u型过隧运梁车及其喂梁方法
CN108239936B (zh) * 2018-02-09 2024-01-12 中铁工程机械研究设计院有限公司 轮距可调的u型过隧运梁车及其喂梁方法
KR20200022143A (ko) * 2018-08-22 2020-03-03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레일 및 트롤리를 이용한 거더 런칭 시스템
KR20200031824A (ko) * 2018-09-17 2020-03-25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레일 및 트롤리를 이용한 숏 거더 런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거더 시공방법
CN111910525A (zh) * 2020-08-19 2020-11-10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钢栈桥
CN113020532A (zh) * 2021-02-26 2021-06-25 中铁宝桥(南京)有限公司 一种基于跟端精锻线的钢轨利用率提升方法
CN113020532B (zh) * 2021-02-26 2024-02-27 中铁宝桥(南京)有限公司 一种基于跟端精锻线的钢轨利用率提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3800A (ko) 빔 런쳐를 이용한 교량의 가설에서의 거더 후방 공급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공급 시스템
EP240399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handling of railway sleepers
KR101040665B1 (ko) 곡선구간의 거더 설치가 가능한 교량 설치용 크레인
KR101162596B1 (ko) 런칭거더용 미들 레그
CN110799706B (zh) 用于建造建筑物的方法、建筑物和铺设装置
JP6247496B2 (ja) 鋼構造物の建方工法
CN111038940A (zh) 一种轨道式用于吊装运输的牵引系统
KR102149399B1 (ko) 레일 및 트롤리를 이용한 숏 거더 런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거더 시공방법
CN202369933U (zh) 栈桥悬臂提梁系统及桥面预制梁架设施工系统
CN113120771A (zh) 适用于复合截面节段梁桥后装挑臂的双侧同步吊装设备及施工方法
JP2020002563A (ja) 床版架設方法
KR20150070578A (ko) 불규칙 경간을 갖는 구간의 거더 연속 시공방법
CN102433844A (zh) 栈桥悬臂提梁系统、桥面预制梁架设施工系统及方法
RU2671793C1 (ru) Устройство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ой раскладки шпал на балластную призму
CN102409612A (zh) 横跨既有铁路线的悬臂龙门吊转换平台架梁工艺
JP4559370B2 (ja) 橋梁側方からのエレクションガータによる桁架設工法
KR20200022143A (ko) 레일 및 트롤리를 이용한 거더 런칭 시스템
CN108004930A (zh) 纵移系杆拱桥的施工方法
CN103061262B (zh) 一种跨缆吊机及其应用方法
KR101671163B1 (ko) 트러스 거더의 이동방법
JP7466368B2 (ja) 床版架け替え方法
CN202298467U (zh) 横跨既有铁路线的转换平台架梁装置
CN205369040U (zh) 悬索桥施工岸上加劲梁二次荡移装置
CN108840234B (zh) 一种预制节段用吊装装置及其吊装方法
CN101929113A (zh) 建造移动式轨道的方法及其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