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030A - 나무모자이크패널 - Google Patents

나무모자이크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030A
KR20140023030A KR1020120089399A KR20120089399A KR20140023030A KR 20140023030 A KR20140023030 A KR 20140023030A KR 1020120089399 A KR1020120089399 A KR 1020120089399A KR 20120089399 A KR20120089399 A KR 20120089399A KR 20140023030 A KR20140023030 A KR 20140023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aic
wood
panel
wooden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현
Original Assignee
박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현 filed Critical 박준현
Priority to KR1020120089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3030A/ko
Publication of KR20140023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0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8Uniting ornamental elements on a support, e.g. mosa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wood or with an outer layer of 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설치면에 부착되며 다수의 결합용 삽입공이 형성되어 조각으로 디자인된 나무 원목을 결합하여 문양을 형성함으로써 시공이 편리하고, 조각으로 디자인되어 삽입되는 다수의 나무 원목 조각도 심미감을 갖도록 디자인되고, 아울러 나무 원목 조각이 결합되는 패널구조베이스도 다양한 형상으로 디자인되도록 함으로써 설치면의 디자인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나무모자이크패널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설치면에 설치되는 하나 또는 다수 개의 나무모자이크패널이 구비되고, 나무모자이크패널은, 다수 개의 모자이크원목이 결합된 패널구조베이스, 및 패널구조베이스에 형성된 삽입공에 위치되는 모자이크원목을 포함하고, 다수 개의 나무모자이크패널이 설치면에 설치되어 설치면에 디자인 조형물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나무모자이크패널{MOSAIC DESIGN PANEL USING TREE PIECES}
본 발명은 설치면에 부착되고 다수의 결합용 삽입공에 조각으로 디자인된 나무 원목을 결합하여 문양을 형성함으로써, 시공이 편리하고 조각으로 디자인되어 삽입된 다수의 나무 원목이 심미감을 갖도록 디자인되고, 아울러 나무 원목이 결합된 패널구조베이스도 다양한 형상으로 디자인되도록 함으로써 설치면의 디자인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나무모자이크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옥이나 아파트와 같은 주거공간, 빌딩이나 전시관, 공연장 등 다수 이용자들이 이용하는 건축물 등에는 다양한 디자인적인 시설물들이 설치된다. 그리하여 건축물이 단순한 사용의 목적에 더하여 디자인 측면에서 심미감을 갖도록 함으로써, 보다 여유로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건축물에 설치되는 디자인적인 시설물 중에는 벽면을 장식하는 요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대부분 건축물의 내벽면, 외벽면 등을 페인트로 칠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이에 보다 다양한 형태로 주거, 상업, 업무공간 등에 사용하는 벽면 마감자재로, 주로 금속재, 화학섬유, Sheet, 인조타일, 대리석 및 M.D.F. 종류의 건축자재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에서 사용되는 자재들은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를 포함한 유해물질 방출로 인하여, 인체에 나쁜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시공 면에서 기존 타일 및 대리석의 공정은 1회 50% ~ 2회 50% 줄눈 마감으로 이어지는 번거로움이 있고 능률면에서도 취약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기술들에서는 대부분 금속재, 타일, 대리석, 페인트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실내외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울림현상으로 인하여 실내생활이 불편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설치면에 부착되며 다수의 결합용 삽입공이 형성되어 조각으로 디자인된 나무 원목을 결합하여 문양을 형성함으로써 시공이 편리하고 디자인적으로 심미감을 갖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각으로 디자인되어 삽입되는 다수의 나무 원목 조각도 심미감을 갖도록 디자인되고, 아울러 나무 원목 조각이 결합되는 패널구조베이스도 다양한 형상으로 디자인되도록 함으로써 설치면의 디자인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나무모자이크패널을 소형으로 형성할 경우 다수 개를 연이어 맞추어 시공함으로써, 다양한 결합문양을 형성하고, 아울러 나무모자이크패널을 대형의 크기로 실시할 경우에는 설치면에 몇 개만 설치하여도 디자인성을 갖추는 등 설치되는 상황에 알맞게 조율이 가능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나무 원목을 사용하기 때문에 나무 원목에서 나오는 나무향이나 피톤치드(Phytoncide) 등에 의한 친환경성분에 의해 쾌적한 생활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벌채에 의해 버려지는 나무를 다시 재활용할 경우 자원 낭비를 방지하며, 나무 수종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나무 종류별 형성되는 나이테 문양이 다채롭게 장식되어 설치면의 장식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나무모자이크패널을 여러 개 조립하여 시설할 경우 결합되는 부분이 서로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설치 및 시공이 편리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이 가능하고 설치된 후에도 간결하고 미세하게 연결되어 누구나 세밀하게 시공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설치면에 설치되는 하나 또는 다수 개의 나무모자이크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나무모자이크패널은, 다수 개의 모자이크원목(40)이 결합된 패널구조베이스(20); 및 상기 패널구조베이스(20)에 형성된 삽입공에 위치되는 모자이크원목(40)을 포함하고, 다수 개의 나무모자이크패널이 설치면에 설치되어 설치면에 디자인 조형물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모자이크패널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구조베이스(20)에는 모자이크원목(40)이 삽입되는 모자이크목삽입공(21)이 형성되고, 상기 모자이크원목(40)은 모자이크목삽입공(21)으로 일부가 삽입되고, 다른 일부가 노출되며, 상기 패널구조베이스(20)의 모자이크목삽입공(21) 내부에는 삽입되는 모자이크원목(40)의 배면을 지지하는 모자이크목받침부(2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구조베이스(20)에 하나의 모자이크원목(40)이 결합되어 이루는 하나의 모자이크단위셀(15)은: 모자이크원목(40)이 삽입되기 위해 패널구조베이스(20)에 형성된 모자이크목삽입공(21); 상기 모자이크목삽입공(21) 내부에서 모자이크원목(40)의 배면을 지지하는 모자이크목받침부(25); 모자이크목삽입공(21)에 삽입된 모자이크원목(40)의 측면을 지지하는 모자이크간벽(23); 및 패널구조베이스(20)의 모자이크목삽입공(21)에 삽입되는 모자이크원목(40)을 포함하고, 상기 모자이크목삽입공(21)의 횡방향에 대한 모자이크단위셀(15)의 단면형상은: 마름모형상; 꼭지점이 짧은 선을 이루는 마름모형상; 사각형상; 직사각형 형상; 정사각형 형상; 꼭지점이 짧은 선을 이루는 사각형상; 다이아몬드형상; 평형사변형 형상; 삼각형상; 다각형상; 원형상; 타원형상; 및 캐릭터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고, 상기 모자이크원목(40)의 종단면 형상의 상면은: 평면, 경사면, 상부 일측이 높고 경사면을 이루는 면, 둥근면 중 어느 하나의 면 형상을 이루며, 하나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에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모자이크원목(40)이 복수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구조베이스(20)에는 다수 개의 모자이크원목(40)이 포함된 다수의 모자이크단위셀(15)들 사이에 포인트목(50)이 결합된 포인트단위셀(16)이 형성되고, 상기 포인트단위셀(16)은: 포인트목(50)이 삽입되기 위해 패널구조베이스(20)에 형성된 포인트목삽입공(22); 상기 포인트목삽입공(22) 내부에서 포인트목(50)의 배면을 지지하는 포인트목받침부(26); 포인트목삽입공(22)에 삽입된 포인트목(50)의 측면을 지지하는 모자이크포인트간벽(24); 및 패널구조베이스(20)의 포인트목삽입공(22)에 삽입되는 포인트목(50)을 포함하고, 상기 포인트목삽입공(22)의 횡방향에 대한 포인트단위셀(16)의 단면형상은: 마름모형상; 사각형상; 직사각형 형상; 정사각형 형상; 삼각형상; 다각형상; 원형상; 타원형상; 및 캐릭터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고, 상기 포인트목(50)의 종단면 형상의 상면은: 평면, 경사면, 둥근면, 돌출면 중 어느 하나의 면 형상을 이루며, 상기 나무모자이크패널(10)에는 다수 개의 모자이크원목(40)과 다수 개의 포인트목(50)이 배열을 이루어 다수 개의 나무모자이크패널을 연속해서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구조베이스(20)의 배면에 부착활성부재(60)가 결합되고, 패널구조베이스(20)의 모자이크목삽입공(21)에 삽입되는 모자이크원목(40)의 배면이 상기 부착활성부재(60)에 부착되며, 패널구조베이스(20)의 포인트목삽입공(22)에 삽입되는 포인트목(50)의 배면이 상기 부착활성부재(60)에 부착되고, 패널구조베이스(20)의 배면에 부착된 부착활성부재(60)에 의하여 패널구조베이스(20)가 설치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설치면에 부착되며 다수의 결합용 삽입공이 형성되어 조각으로 디자인된 나무 원목을 결합하여 문양을 형성함으로써 시공이 편리하고 설치면의 디자인적 심미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조각으로 디자인되어 삽입되는 다수의 나무 원목 조각도 심미감을 갖도록 하고, 아울러 나무 원목 조각이 결합되는 패널구조베이스도 다양한 형상으로 디자인되어 디자인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나무모자이크패널을 소형으로 형성할 경우 다수 개를 연이어 맞추어 시공할 수 있고, 또한 나무모자이크패널을 대형의 크기로 실시할 경우에는 설치면에 몇 개만 설치할 수 있는 등 설치되는 상황에 알맞게 조율이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나무 원목을 사용하기 때문에 나무 원목에서 나오는 나무향이나 피톤치드(Phytoncide) 등에 의한 친환경성분에 의해 쾌적한 생활을 이루는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벌채에 의해 버려지는 나무를 다시 재활용할 경우 자원을 낭비하지 않으며, 나무 수종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나무 종류별 형성되는 나이테 문양이 다채롭게 장식되어 설치면의 장식효과가 탁월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나무모자이크패널을 여러 개 조립하여 시설할 경우 결합되는 부분이 서로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설치 및 시공이 편리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이 가능하고 설치된 후에도 간결하고 미세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마름모셀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마름모셀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하나의 모자이크원목과 포인트목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마름모셀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패널구조베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마름모셀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부착활성부재가 결합된 패널구조베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 선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마름모셀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의 측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B-B 선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마름모셀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의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C 부분에 대한 확대도로,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마름모셀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의 패널구조베이스에 모자이크원목과 포인트목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D 부분에 대한 확대도로,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마름모셀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의 패널구조베이스에 모자이크원목과 포인트목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마름모셀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모자이크원목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마름모셀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모자이크원목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마름모셀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포인트목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마름모셀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포인트목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마름모셀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나무모자이크패널이 다수 개 결합되어 설치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사각셀 상하수평직교무늬배열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사각셀 상하수평직교무늬배열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사각셀 상하수평직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부착활성부재가 결합된 패널구조베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14'-14' 선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사각셀 상하수평직교무늬배열 실시예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사각셀 상하수평직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모자이크원목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사각셀 상하수평직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포인트목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사각셀 상하수평직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패널구조베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직사각형셀 상하수평직교무늬배열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직사각형셀 상하수평직교무늬배열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직사각형셀 상하수평직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부착활성부재가 결합된 패널구조베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24는 도 21의 21'-21' 선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직사각형셀 상하수평직교무늬배열 실시예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직사각형셀 상하수평직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모자이크원목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직사각형셀 상하수평직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포인트목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직사각형셀 상하수평직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패널구조베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대사각형셀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대사각형셀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대사각형셀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부착활성부재가 결합된 패널구조베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31은 도 28의 28'-28' 선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대사각형셀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대사각형셀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일실시 형태의 모자이크원목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대사각형셀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일실시 형태의 모자이크원목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대사각형셀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포인트목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대사각형셀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패널구조베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사각셀 테두리포인트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사각셀 테두리포인트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사각셀 테두리포인트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부착활성부재가 결합된 패널구조베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39는 도 36의 36'-36' 선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사각셀 테두리포인트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사각셀 테두리포인트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모자이크원목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사각셀 테두리포인트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테두리목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사각셀 테두리포인트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포인트목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사각셀 테두리포인트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패널구조베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사각셀 테두리형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사각셀 테두리형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사각셀 테두리형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부착활성부재가 결합된 패널구조베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47은 도 44의 44'-44' 선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사각셀 테두리형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사각셀 테두리형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일 실시 형태의 모자이크원목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사각셀 테두리형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다른 실시 형태의 모자이크원목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사각셀 테두리형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테두리목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사각셀 테두리형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패널구조베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소사각셀 대테두리포인트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53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소사각셀 대테두리포인트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소사각셀 대테두리포인트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부착활성부재가 결합된 패널구조베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55는 도 52의 52'-52' 선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소사각셀 대테두리포인트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6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소사각셀 대테두리포인트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모자이크원목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7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소사각셀 대테두리포인트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테두리목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8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소사각셀 대테두리포인트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포인트목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9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소사각셀 대테두리포인트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패널구조베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0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소사각셀 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6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소사각셀 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2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소사각셀 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부착활성부재가 결합된 패널구조베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63은 도 60의 60'-60' 선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소사각셀 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4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소사각셀 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모자이크원목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5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소사각셀 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패널구조베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6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광폭마름모셀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67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광폭마름모셀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8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광폭마름모셀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부착활성부재가 결합된 패널구조베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69는 도 66의 66'-66' 선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광폭마름모셀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0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광폭마름모셀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일 실시 형태의 모자이크원목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7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광폭마름모셀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다른 실시 형태의 모자이크원목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72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광폭마름모셀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패널구조베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3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광폭마름모셀 포인트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74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광폭마름모셀 포인트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5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광폭마름모셀 포인트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부착활성부재가 결합된 패널구조베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76은 도 73의 73'-73' 선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광폭마름모셀 포인트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7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광폭마름모셀 포인트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일 실시 형태의 모자이크원목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78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광폭마름모셀 포인트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다른 실시 형태의 모자이크원목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79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광폭마름모셀 포인트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포인트목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80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광폭마름모셀 포인트 대각선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패널구조베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평행사변형셀 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82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평행사변형셀 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3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평행사변형셀 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부착활성부재가 결합된 패널구조베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84는 도 81의 81'-81' 선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평행사변형셀 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5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평행사변형셀 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모자이크원목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86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평행사변형셀 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패널구조베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7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중앙볼록-편심볼록형 사각셀 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88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중앙볼록-편심볼록형 사각셀 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9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중앙볼록-편심볼록형 사각셀 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부착활성부재가 결합된 패널구조베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90은 도 87의 87'-87' 선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중앙볼록-편심볼록형 사각셀 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9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중앙볼록-편심볼록형 사각셀 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일 실시 형태의 모자이크원목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92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중앙볼록-편심볼록형 사각셀 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다른 실시 형태의 모자이크원목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93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의 중앙볼록-편심볼록형 사각셀 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에서 패널구조베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10)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93 등에서와 같이, 설치면에 설치되는 하나 또는 다수 개의 나무모자이크패널에 대한 것이다. 이에 설치면이라고 하면, 일반적인 건물의 내벽면, 천정, 또는 일부 장식을 위한 바닥면 등을 말하며, 일부 건축물의 외벽면이나 외부의 장식을 위한 벽면이나 바닥 등에도 설치되는 면을 말한다. 이처럼 건축물의 내외의 설치면에 하나 또는 다수 개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을 설치함으로써, 건축면 및 설치면의 디자인성을 한층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특히 나이테가 보이는 나무조각이 다수 개 배열되어 모자이크 디자인을 이루게 결합된 나무모자이크패널(10, Mosaic design panel using tree piece which has showing annual rings, it effect to look like mosaic)에 대한 것이다. 즉 다수의 나무 조각을 원목의 조각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으로 설치면을 장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원목은 벌채로 버려질 수 있는 것을 이용하면 자원을 재활용하여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도 함께 이루게 된다.
아울러 원목에서는 다양한 나무의 고유 나무향이 나오고 또한 피톤치드(Phytoncide)와 같은 유효한 성분이 나오며, 이러한 나무원목의 향과 함께 피톤치드가 나오는 원목으로 실내시설을 할 경우에는, 스트레스완화(예, 스트레스의 주원인인 호르몬 코티졸(Cortisol) 분출량을 낮춤), 알레르기 예방효과(예, 피하 지방샘에 기생하는 세균에 대한 강력한 항균작용으로 아토피 예방에 효과적), 면역력 증가(예, 감기, 비염, 천식 및 항암작용에 양호함), 치매예방(예, Brain의 알파파 활성을 도와 기억, 집중력에 도움), 다이어트(예, 과식 및 폭식을 유발하는 호르몬을 억제시키며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한다고 함) 등에 효과가 있다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어, 이러한 원목을 이용함으로써 피톤치드와 같은 양호한 성분을 통한 다양한 작용도 기대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원목의 구성과 함께, 패널구조베이스(20)에 모자이크원목(40), 포인트목(50), 테두리목(51) 등 원목에 의하여 다수의 돌출부분, 홈부분이 형성됨으로써, 소음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고 울림현상을 줄이는 작용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나무 원목에 의한 친환경소재로부터 자연을 그대로 느낄 수 있고 보다 쾌적한 생활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주거공간 및 생활공간에서의 정서적 안정을 기대할 수 있어 보다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신축 아파트, 재건축 아파트, 고급주택, 고급빌라 등의 주거공간과 함께, 각종매장, 호텔, 고급식당, 일반식당, Interior 공간, 예식장, 기타공간 등의 상업공간, 학원, 사무실, 병원, 교회, 빌딩공용부위, 관공서 등의 업무공간 등의 설치 벽면에서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정생활뿐만 아니라 회사생활, 사회생활에서도 더욱 쾌적한 환경에서 활동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특히 나무모자이크패널(10) 하나 만의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갖추도록 하고, 또한 다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설치된 경우에도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갖도록 실시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이러한 나무모자이크패널(10)은 다수의 원목들이 디자인성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아울러 다수 원목들이 배열되는 배열 구조도 심미감을 갖추도록 실시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다수의 원목, 즉 모자이크원목(40)에 의한 디자인적인 배열구조에 더하여, 이들 모자이크원목(40)이 나무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나무에서 느껴지는 자연적인 심미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나무재질로 이루어진 모자이크원목(40)에는 나무 나이테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나무 나이테의 형상도 디자인성을 한층 향상시킬 것이다.
그리고 나무 자체에서 나오는 나무향이나 피톤치드 등의 유효성분들은 실내 설치면 주위의 공기도 산듯하게 하기 때문에 자연의 느낌을 더욱 잘 느낄 수 있어 생활 안정에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다수 개의 모자이크원목(40)이 결합된 패널구조베이스(20)가 마련된다. 이러한 패널구조베이스(20)는 전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형체를 이루는 것이며, 그 재질로는 플라스틱, 금속재, 나무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조 및 시설의 편의를 위하여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패널구조베이스(20)는 다수의 요소들로 세부 형상을 이루어 디자인성과 심미감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어 단일로 설치되어도 장식물로써 장식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하여 패널구조베이스(20)의 다수 요소들에 의한 형상들은 패널구조베이스(20)를 다수 개 설치되면 서로 연속되어 결속되는 부분이 서로 암수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속결합에 의하더라도 패널구조베이스(20)의 모자이크 디자인 배열이 다수로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배치된 상태에서도 설치면 전체적인 디자인을 갖추도록 실시될 수 있음이 가장 큰 특징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다수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을 연결하여 설치면에 넓게 시설하더라도 개별 패널구조베이스(20) 및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결합되는 가장자리 부분의 결합부분이 패널구조베이스(20)의 암수결합부분들에 의해 연결부분들이 세세히 맞춰지는 등, 개별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설치를 위한 형상이 디자인성을 갖게 되는 탁월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로써 도 1, 도 2 등에서와 같이 나무모자이크패널(10) 단독으로 설치되어도 나름대로 심미감을 가질 뿐만 아니라, 도 13에서와 같이 다수 개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함께 연속되어 설치되더라도 디자인성을 갖기 때문에 결합설치에 따른 새로운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패널구조베이스(20)에 형성된 삽입공에 위치되는 모자이크원목(40)이 포함되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을 갖추게 된다.
특히 다수 개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설치면에 설치되는 경우에,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패널구조베이스(20)에 모자이크 배열로 결합되는 다수의 모자이크원목(40)에 의하여 디자인특성이 뛰어난 설치면의 디자인 조형물을 이루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패널구조베이스(20)에는 모자이크원목(40)이 삽입되는 모자이크목삽입공(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모자이크원목(40)은 도 5 내지 도 8 등에서와 같이 모자이크목삽입공(21)으로 일부가 삽입되고, 다른 일부가 노출되며, 노출되는 부분은 도 2을 비롯한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들에서와 같이 나무의 나이테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여, 자연미를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패널구조베이스(20)의 모자이크목삽입공(21) 내부에는 삽입되는 모자이크원목(40)의 배면을 지지하는 모자이크목받침부(25)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모자이크목삽입공(21)에 삽입되는 모자이크원목(40)의 배면을 모자이크목받침부(25)가 받히기 때문에, 모자이크원목(40)이 후방으로 빠지지 않고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10)은 설치면에 하나로 설치될 수도 있고, 다수 개가 서로 연결되어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며, 아울러 나무모자이크패널(10)은 전체 형태를 이루는 패널구조베이스(20)와 패널구조베이스(20)에 형성된 모자이크목삽입공(21)과 후술되는 포인트목삽입공(22) 등에 모자이크무늬를 이루는 모자이크원목(40)과 후술되는 포인트목(50) 등이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수 개의 모자이크원목(40)의 배열로 심미감을 갖는 것이며, 다수 배열된 포인트목(50)에 의해 디자인의 포인트점을 갖게 하여 심미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모자이크원목(40)이 마련되는 부분과 포인트목(50)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에 대한 설명을 하기와 같이 할 수 있다.
우선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패널구조베이스(20)에는 다수 개의 모자이크원목(40)이 결합되는 것이며, 하나의 모자이크원목(40)이 결합되어 이루는 하나의 모자이크단위셀(15)이 마련될 것이다.
이에 하나의 모자이크단위셀(15)은, 모자이크원목(40)이 삽입되기 위해 패널구조베이스(20)에 형성된 모자이크목삽입공(21)과, 상기 모자이크목삽입공(21) 내부에서 모자이크원목(40)의 배면을 지지하는 모자이크목받침부(25)와, 모자이크목삽입공(21)에 삽입된 모자이크원목(40)의 측면을 지지하는 모자이크간벽(23) 및 패널구조베이스(20)의 모자이크목삽입공(21)에 삽입되는 모자이크원목(40) 등을 포함하여 마련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자이크목삽입공(21)의 횡방향에 대한 모자이크단위셀(15)의 단면형상은, 마름모형상, 꼭지점이 짧은 선을 이루는 마름모형상, 사각형상, 직사각형 형상, 정사각형 형상, 꼭지점이 짧은 선을 이루는 사각형상, 다이아몬드형상, 평형사변형 형상, 삼각형상, 다각형상, 원형상, 타원형상, 및 캐릭터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 도 3, 도 9, 도 10 등을 비롯한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들의 예에서 보면, 모자이크단위셀(15) 및 이에 삽입되는 모자이크원목(40)의 횡방향 단면 형상이 대체로 사각, 마름모형을 이루면서, 꼭지점이 짧은 선을 이루는 형상을 갖는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기 모자이크원목(40)의 종단면 형상의 상면은, 평면, 경사면, 상부 일측이 높고 경사면을 이루는 면, 둥근면 중 어느 하나의 면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이에 첨부된 도 5 내지 도 8 등의 예에서는 평면을 이루는 형상의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아울러 후술되는 예에서와 같이 하나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에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모자이크원목(40)이 복수로 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높이의 모자이크원목(40)들이 소정 배열을 이루어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패널구조베이스(20)에는 다수 개의 모자이크원목(40)이 포함된 다수의 모자이크단위셀(15)들 사이에 포인트목(50)이 결합된 포인트단위셀(16)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포인트단위셀(16)은, 포인트목(50)이 삽입되기 위해 패널구조베이스(20)에 형성된 포인트목삽입공(22), 상기 포인트목삽입공(22) 내부에서 포인트목(50)의 배면을 지지하는 포인트목받침부(26), 포인트목삽입공(22)에 삽입된 포인트목(50)의 측면을 지지하는 모자이크포인트간벽(24) 및 패널구조베이스(20)의 포인트목삽입공(22)에 삽입되는 포인트목(50) 등을 포함하여 실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인트목삽입공(22)의 횡방향에 대한 포인트단위셀(16)의 단면형상은, 마름모형상, 사각형상, 직사각형 형상, 정사각형 형상, 삼각형상, 다각형상, 원형상, 타원형상 및 캐릭터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어 실시될 수 있다.
즉 도 2, 도 3, 도 11, 도 12 등의 예에서는 사각형상(정사각형 형상)을 이루어 형성됨을 예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포인트목(50)의 종단면 형상의 상면은, 평면, 경사면, 둥근면, 돌출면 중 어느 하나의 면 형상을 이루도록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는 평면형상을 이루어 실시됨을 보이고 있다.
아울러 상기 나무모자이크패널(10)에는 다수 개의 모자이크원목(40)과 다수 개의 포인트목(50)이 배열을 이루어 다수 개의 나무모자이크패널을 연속해서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10)에는 상기 패널구조베이스(20)의 배면에 부착활성부재(60)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부착활성부재(60)는 도 4을 비롯한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들의 예에서와 같이 벌집형태를 갖는 육각형 망사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다양한 형태의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기타 부직포 형태나 잘 찢기지 않는 얇은 막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패널구조베이스(20) 배면에 용이하게 결합된 상태를 가질 수 있으면 다양한 실시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패널구조베이스(20)의 모자이크목삽입공(21)에 삽입되는 모자이크원목(40)의 배면이 상기 부착활성부재(60)에 부착되도록 하여, 모자이크원목(40)이 부착활성부재(60)에 부착된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패널구조베이스(20)의 포인트목삽입공(22)에 삽입되는 포인트목(50)의 배면이 상기 부착활성부재(60)에 부착되도록 하여, 포인트목(50)의 이탈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패널구조베이스(20)의 배면에 부착된 부착활성부재(60)에 의하여 패널구조베이스(20)가 설치면에 견고하게 부착되게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모자이크패널(10)은 도 1 내지 도 13 등에서와 같은 제1실시예시인 일명 '마름모셀 대각선격자무늬배열 모자이크디자인'실시예에 더하여 후술에서와 같이 보다 다양한 실시예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도 1 내지 도 13 및 제1실시예의 설명 및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들은 후술되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것이고, 반복되어 설명되는 구성들은 다른 실시예에서 언급하지 않아도 제1실시예의 설명구성 및 앞서 설명한 구성들을 그대로 적용하여 구성됨은 당연한 것이어서 별도로 추가설명은 하지 않고 생략하게 될 것이다. 즉 다른 실시예에서 언급하지 않았어도 제1실시예의 설명 또는 앞서 설명한 구성들에 비추어 다른 실시예에서도 구성되고 기술범위를 갖추고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아울러 후술되는 개별 실시예들의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기본 구성들에 더하여 추가적으로 마련되는 개별 구성들을 더 부연하도록 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13 등의 제1실시예에서는 일명 '마름모셀 대각선격자무늬배열 모자이크디자인'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즉 하나의 모자이크단위셀(15)은 마름모의 형태로 셀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도 9, 도 10에서와 같이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은 횡방향 단면 및 전방의 형태가 마름모 형상을 이루고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이 결합되어 마름모 셀을 이루는 모자이크단위셀(15)이 대각선격자무늬 배열을 이루어 하나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디자인 무늬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은 마름모의 긴변이 4개 형성되고, 각 꼭지점 부분에 짧은 변이 4개 형성되어, 긴변과 짧은 변이 서로 번갈아가면서 이어진 형상을 하게 된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전체 형태를 이루는 패널구조베이스(20)가 다수의 모자이크목삽입공(21)이 대각선격자무늬배열을 이루어 형성되고, 이러한 개별 모자이크목삽입공(21)에 모자이크원목(40)이 하나씩 삽입결합되어 도 1, 도 2에서와 같이 외부에서 보면 모자이크원목(40)이 격자무늬배열의 모자이크디자인을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모자이크원목(40)은 나무조각으로 나이테가 형성되어 있어, 전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전체적으로 나무나이테가 대각선 모자이크 배열의 디자인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은 사각형상의 포인트목(50)이 도 3의 포인트단위셀(16)에 삽입되어 도 1 및 도 2 등에서와 같이 격자무늬배열을 이루어, 모자이크원목(40)과 함께 포인트목(50)도 대각선 배열의 모자이크 디자인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포인트목(50)은 모자이크원목(40) 보다 작은 크기로 되고 정사각형을 이루는 것으로, 나무모자이크패널(10)에서 모자이크원복(40)에 의한 패턴 무늬에서 포인트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모자이크 디자인형성으로, 도 13에서와 같이 여러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연결되어도 마름모셀들이 대각선격자무늬배열을 이루는 모자이크디자인을 전체 설치면에 형성되어 대각선격자무늬 배열에 의한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에 나무모자이크패널(10) 및 패널구조베이스(20) 등의 가장자리에는 암수구성이 마련된 것으로, 두 개의 모자이크단위셀(15) 사이의 내향으로 포인트단위셀(16) 부분이 홈을 형성한 부분(암)이 있고, 하나의 모자이크단위셀(15)의 꼭지점 형상이 되는 돌출된 부분(수)이 형성된다. 따라서 다수 개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결합되면 서로 다른 나무모자이크패널(10)들에 형성된 이러한 홈부분과 돌출부분이 서로 끼워맞춰지면서 암수결합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그리하여 나무모자이크패널(10)을 다수 개 결합하여 설치하면, 설치면에 넓게 나무모자이크패널들에 의한 디자인특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8 등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패널구조베이스(20)에 연속되게 배열되는 모자이크목삽입공(21)과 포인트목삽입공(22)에 모자이크원목(40)과 포인트목(50)이 삽입되며,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과 포인트목(50)은 상면이 평면을 이루는 형상을 갖는다.
나아가 도 4에서처럼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배면에 부착활성부재(60)가 결합되는 것으로, 벌집과 같은 형태로 하여 육각 망형상의 부착활성부재(60)가 패널구조베이스(20), 모자이크원목(40), 포인트목(50) 등의 배면에 접착되어 모자이크원목(40)과 포인트목(50)이 패널구조베이스(20)에서 이탈됨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마름모셀 대각선격자무늬배열의 모자이크디자인 실시인 제1실시예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은 전방에서 보면 마름모 형상의 모자이크원목(40)이 대각선격자무늬의 배열을 이루는 모자이크디자인을 형성하고, 배면방향에서 보면 육각 망형상의 부착활성부재(60)에 의한 형상과 함께 대각선 배열의 디자인이 형성된 것이며, 전방에서 다수의 모자이크원목(40)에 형성된 나무 나이테에 의하여 자연미를 느낄 수 있는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20 등의 제2실시예에서는 일명 '사각셀 상하수평직교무늬배열 모자이크디자인'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즉 하나의 모자이크단위셀(15)은 횡단면도가 사각형의 형태로 셀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도 18에서와 같이 이러한 개별 모자이크원목(40)은 횡방향 단면 및 전방에서의 형태가 꼭지점이 잘려 짧은 직선을 이루는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이 결합되어, 전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사각형 셀 모양의 모자이크단위셀(15)이 상하와 수평방향의 직교무늬 배열을 이루어 하나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디자인 무늬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은 정사각형의 긴변이 4개 형성되고, 각 꼭지점 부분에 짧은 변이 4개 형성되어, 긴변과 짧은 변이 서로 번갈아가면서 이어진 형상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 20에서와 같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전체 형태를 이루는 패널구조베이스(20)가 다수의 모자이크목삽입공(21)이 수평과 수직방향의 직교방향으로 무늬배열을 이루어 형성되고, 이러한 개별 모자이크목삽입공(21)에 모자이크원목(40)이 하나씩 삽입결합되어 도 14, 도 15에서와 같이 외부에서 보면 모자이크원목(40)이 수평과 수직방향으로 직교무늬배열의 모자이크디자인을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모자이크원목(40)은 나무조각으로 나이테가 형성되어 있어, 전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전체적으로 나무나이테가 대각선 모자이크 배열의 디자인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4 및 도 19에서와 같은 사각형상의 포인트목(50)이 도 20의 포인트단위셀(16)에 삽입되어 도 14 및 도 15 등에서와 같이 상하-좌우 무늬배열을 이루어, 모자이크원목(40)과 함께 포인트목(50)도 상하와 좌우 방향 배열의 모자이크 디자인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포인트목(50)은 모자이크원목(40) 보다 작은 크기로 되고 마름모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나무모자이크패널(10)에서 모자이크원복(40)에 의한 패턴 무늬에서 포인트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모자이크 디자인형성으로, 여러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연결되어도 상하좌우배열셀들이 상하좌우방향의 무늬배열을 이루는 모자이크디자인을 전체 설치면에 형성되어 상하좌우격자무늬 배열에 의한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에 나무모자이크패널(10) 및 패널구조베이스(20) 등의 가장자리에는 암수구성이 마련된 것으로, 두 개의 모자이크단위셀(15) 사이의 내향으로 삼각형 형상의 홈을 형성한 부분(암)이 있고, 하나의 포인트목단위셀(16)의 마름모 형상의 절반으로 이루어진 삼각형 형상이 되는 돌출된 부분(수)이 형성된다. 따라서 다수 개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결합되면 서로 다른 나무모자이크패널(10)들에 형성된 이러한 홈부분과 돌출부분이 서로 끼워맞춰지면서 암수결합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그리하여 나무모자이크패널(10)을 다수 개 결합하여 설치하면, 설치면에 넓게 나무모자이크패널들에 의한 디자인특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7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패널구조베이스(20)에 연속되게 배열되는 모자이크목삽입공(21)과 포인트목삽입공(22)에 모자이크원목(40)과 포인트목(50)이 삽입되며,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과 포인트목(50)은 상면이 평면을 이루는 형상을 갖는다.
나아가 도 16에서처럼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배면에 부착활성부재(60)가 결합되는 것으로, 벌집과 같은 형태로 하여 육각 망형상의 부착활성부재(60)가 패널구조베이스(20), 모자이크원목(40), 포인트목(50) 등의 배면에 접착되어 모자이크원목(40)과 포인트목(50)이 패널구조베이스(20)에서 이탈됨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사각셀 상하좌우방향의 직교격자무늬배열의 모자이크디자인 실시인 제2실시예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은 전방에서 보면 사각형 형상의 모자이크원목(40)이 상하좌우방향의 직교격자무늬의 배열을 이루는 모자이크디자인을 형성하고, 배면방향에서 보면 육각 망형상의 부착활성부재(60)에 의한 형상과 함께 대각선 배열의 디자인이 형성된 것이며, 전방에서 다수의 모자이크원목(40)에 형성된 나무 나이테에 의하여 자연미를 느낄 수 있는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다음으로 도 21 내지 도 24 등의 제3실시예에서는 일명 '직사각형셀 상하수직직교격자무늬배열 모자이크디자인'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즉 하나의 모자이크단위셀(15)은 직사각형의 형태로 셀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도 25에서와 같이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은 꼭지점이 잘려 짧은 선으로 되고 횡방향 단면 및 전방의 형태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이 결합되어 직사각형 셀을 이루는 모자이크단위셀(15)이 상하좌우방향의 직교격자무늬 배열을 이루어 하나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디자인 무늬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은 직사각형 형상에서 긴변과 짧은 변이 4개 형성되고, 직사각형 형상에서 각 꼭지점 부분에 아주 짧은 변이 4개 형성되어, 긴변, 짧은 변과 더불어 아주 짧은 변 등이 서로 번갈아가면서 이어진 형상을 하게 된다.
즉 도 27에서와 같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전체 형태를 이루는 패널구조베이스(20)가 다수의 모자이크목삽입공(21)이 대각선격자무늬배열을 이루어 형성되고, 이러한 개별 모자이크목삽입공(21)에 모자이크원목(40)이 하나씩 삽입결합되어 도 21, 도 22에서와 같이 외부에서 보면 모자이크원목(40)이 격자무늬배열의 모자이크디자인을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모자이크원목(40)은 나무조각으로 나이테가 형성되어 있어, 전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전체적으로 나무나이테가 대각선 모자이크 배열의 디자인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6에서와 같은 사각형상의 포인트목(50)이 도 27의 포인트단위셀(16)에 삽입되어 도 21 및 도 22 등에서와 같이 격자무늬배열을 이루어, 모자이크원목(40)과 함께 포인트목(50)도 상하좌우방향의 직교격자배열의 모자이크 디자인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포인트목(50)은 모자이크원목(40) 보다 작은 크기로 되고 마름모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나무모자이크패널(10)에서 모자이크원복(40)에 의한 패턴 무늬에서 포인트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모자이크 디자인형성으로, 여러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연결되어도 직사각형셀들이 상하좌우방향 직교격자무늬배열을 이루는 모자이크디자인을 전체 설치면에 형성되어 상하좌우방향 격자무늬 배열에 의한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에 나무모자이크패널(10) 및 패널구조베이스(20) 등의 가장자리에는 암수구성이 마련된 것으로, 두 개의 모자이크단위셀(15) 사이의 내향으로 삼각형 형상의 홈을 형성한 부분(암)이 있고, 하나의 포인트단위셀(16)의 절반에 해당하는 삼각형 형상이 되는 돌출된 부분(수)이 형성된다. 따라서 다수 개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결합되면 서로 다른 나무모자이크패널(10)들에 형성된 이러한 홈부분과 돌출부분이 서로 끼워맞춰지면서 암수결합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그리하여 나무모자이크패널(10)을 다수 개 결합하여 설치하면, 설치면에 넓게 나무모자이크패널들에 의한 디자인특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4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패널구조베이스(20)에 연속되게 배열되는 모자이크목삽입공(21)과 포인트목삽입공(22)에 모자이크원목(40)과 포인트목(50)이 삽입되며,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과 포인트목(50)은 상면이 평면을 이루는 형상을 갖는다.
나아가 도 23에서처럼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배면에 부착활성부재(60)가 결합되는 것으로, 벌집과 같은 형태로 하여 육각 망형상의 부착활성부재(60)가 패널구조베이스(20), 모자이크원목(40), 포인트목(50) 등의 배면에 접착되어 모자이크원목(40)과 포인트목(50)이 패널구조베이스(20)에서 이탈됨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직사각형셀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의 모자이크디자인 실시인 제3실시예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은 전방에서 보면 직사각형 형상의 모자이크원목(40)이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의 배열을 이루는 모자이크디자인을 형성하고, 배면방향에서 보면 육각 망형상의 부착활성부재(60)에 의한 형상과 함께 상하수평직교 배열의 디자인이 형성된 것이며, 전방에서 다수의 모자이크원목(40)에 형성된 나무 나이테에 의하여 자연미를 느낄 수 있는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다음으로 도 28 내지 도 35 등의 제4실시예에서는 일명 '대사각형셀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모자이크디자인'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즉 하나의 모자이크단위셀(15)은 커다란 사각형인 대사각형의 형태로 셀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도 32, 도 33에서와 같이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은 횡방향 단면 및 전방의 형태가 대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이 결합되어 대사각형 셀을 이루는 모자이크단위셀(15)이 상하좌우방향 교차격자무늬 배열을 이루어 하나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디자인 무늬를 형성하는 것이다. 특히 일측 모자이크원목은 낮은 높이를 갖고 타측 모자이크원목은 높은 높이를 갖게 하여 다수 모자이크무늬목들이 배열을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은 두 가지 형태로 이루어짐을 예로 하였으며, 각 모자이크원목(40)은 정사각형의 긴변이 4개 형성되고, 각 꼭지점 부분에 짧은 변이 4개 형성되어, 긴변과 짧은 변이 서로 번갈아가면서 이어진 형상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 33에서처럼 상면이 돌출되고 가장자기에 경사면의 테두리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예로 할 수 있다.
이에 도 35에서와 같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전체 형태를 이루는 패널구조베이스(20)가 다수의 모자이크목삽입공(21)이 상하좌우방향 교차격자무늬배열을 이루어 형성되고, 이러한 개별 모자이크목삽입공(21)에 모자이크원목(40)이 하나씩 삽입결합되어 도 1, 도 2에서와 같이 외부에서 보면 모자이크원목(40)이 격자무늬배열의 모자이크디자인을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모자이크원목(40)은 나무조각으로 나이테가 형성되어 있어, 전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전체적으로 나무나이테가 대각선 모자이크 배열의 디자인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34에서와 같은 사각형상의 포인트목(50)이 도 35의 포인트단위셀(16)에 삽입되어 도 28 및 도 29 등에서와 같이 상하좌우방향의 직교격자무늬배열을 이루어, 모자이크원목(40)과 함께 포인트목(50)도 상하좌우방향 배열의 모자이크 디자인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포인트목(50)은 모자이크원목(40) 보다 작은 크기로 되고 마름모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나무모자이크패널(10)에서 모자이크원복(40)에 의한 패턴 무늬에서 포인트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모자이크 디자인형성으로, 여러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연결되어도 대사각형 셀들이 상하좌우방향의 교차격자무늬배열을 이루는 모자이크디자인을 전체 설치면에 형성되어 상하좌우교차격자무늬 배열에 의한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에 나무모자이크패널(10) 및 패널구조베이스(20) 등의 가장자리에는 암수구성이 마련된 것으로, 두 개의 모자이크단위셀(15) 사이에 삼각형 형상의 홈을 형성한 부분(암)이 있고, 하나의 포인트단위셀(16)의 절반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삼각형 형상을 이루게 되는 돌출된 부분(수)이 형성된다. 따라서 다수 개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결합되면 서로 다른 나무모자이크패널(10)들에 형성된 이러한 홈부분과 돌출부분이 서로 끼워맞춰지면서 암수결합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그리하여 나무모자이크패널(10)을 다수 개 결합하여 설치하면, 설치면에 넓게 나무모자이크패널들에 의한 디자인특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31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패널구조베이스(20)에 연속되게 배열되는 모자이크목삽입공(21)과 포인트목삽입공(22)에 모자이크원목(40)과 포인트목(50)이 삽입되며,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과 포인트목(50)은 상면이 평면을 이루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하나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에는 다수 개의 모자이크원목(40)이 결합되어지되, 도 28, 도 29, 특히 도 31의 단면형상에서 우측에서처럼 일측으로 결합되는 모자이크원목이 낮은 높이로 형성되고, 반면 도 31의 좌측에서처럼 타측으로 결합되는 모자이크원목은 비교적 높은 높이로 형성되게 하였다. 이로써 도 28, 도 19 등에서처럼 높은 높이의 모자이크원목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왼쪽 아래에 형성되고, 낮은 높이의 모자이크원목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오른쪽 상부에 형성되어, 서로 다른 높이의 모자이크원목에 따른 입체형상의 심미감을 갖게 하는 것이다. 아울러 이처럼 서로 다른 높이의 모자이크원목(40)이 다수로 이루어지는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복수 개로 설치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높이 차이를 갖는 설치면 디자인을 형성하여 다양한 심미감을 형성함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도 30에서처럼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배면에 부착활성부재(60)가 결합되는 것으로, 벌집과 같은 형태로 하여 육각 망형상의 부착활성부재(60)가 패널구조베이스(20), 모자이크원목(40), 포인트목(50) 등의 배면에 접착되어 모자이크원목(40)과 포인트목(50)이 패널구조베이스(20)에서 이탈됨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대사각형셀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의 모자이크디자인 실시인 제4실시예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은 전방에서 보면 사각형 형상의 모자이크원목(40)이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의 배열을 이루는 모자이크디자인을 형성하고, 배면방향에서 보면 육각 망형상의 부착활성부재(60)에 의한 형상과 함께 상하수평직교 배열의 디자인이 형성된 것이며, 전방에서 다수의 모자이크원목(40)에 형성된 나무 나이테에 의하여 자연미를 느낄 수 있는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다음으로 도 36 내지 도 43 등의 제5실시예에서는 일명 '사각셀 테두리포인트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모자이크디자인'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즉 하나의 모자이크단위셀(15)은 사각형의 형태로 셀과 사각셀 주변을 둘러 테두리와 포인트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도 40에서와 같이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은 횡방향 단면 및 전방의 형태가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이 결합되어 사각형 셀을 이루는 모자이크단위셀(15)이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 배열을 이루어 하나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디자인 무늬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은 정사각형의 긴변이 4개 형성되고, 각 꼭지점 부분에는 'L' 자 형상으로 홈이 내향되게 형성된 2변형의 내향 홈이 4개 형성되어, 긴변과 'L'자 내향홈 등이 서로 번갈아가면서 이어진 형상을 하게 된다.
즉 도 38에서와 같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전체 형태를 이루는 패널구조베이스(20)가 다수의 모자이크목삽입공(21)이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을 이루어 형성되고, 이러한 개별 모자이크목삽입공(21)에 모자이크원목(40)이 하나씩 삽입결합되어 도 36, 도 37에서와 같이 외부에서 보면 모자이크원목(40)이 격자무늬배열의 모자이크디자인을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모자이크원목(40)은 나무조각으로 나이테가 형성되어 있어, 전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전체적으로 나무나이테가 상하수평직교격자의 모자이크 배열의 디자인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1 및 도 42에서와 같은 사각형상의 포인트목(50)이 도 43의 포인트단위셀(16)에 삽입되어 도 41 및 도 42 등에서와 같이 격자무늬배열을 이루어, 모자이크원목(40)과 함께 포인트목(50)도 상하수평직교 격자배열의 모자이크 디자인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직교격자배열로 된 포인트목(50)과 함께 모자이크단위셀(15)의 모자이크원목(40)의 둘레로 4개의 테두리목(51)이 배치되어, 제5실시예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은 하나의 모자이크원목(40) 주위로 네 꼭지점 위치에 포인트목(50)이 위치되며 이들 사이에 네개의 테두리목(51)이 형성됨으로써 사각셀 테두리포인트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실시예를 이룬 것이다.
이러한 포인트목(50)은 모자이크원목(40) 보다 작은 크기로 되고 정사각형을 이루는 것으로, 나무모자이크패널(10)에서 모자이크원복(40)에 의한 패턴 무늬에서 포인트역할을 한다.
아울러 테두리목(51)은 모자이크원목(40) 보다 작고 포인트목(50) 보다 크게 된 형상이며 직사각형을 이루는 것으로, 나무모자이크패널(10)에서 모자이크원복(40)의 주변을 둘러 테두리를 형성한 문양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모자이크 디자인형성으로, 여러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연결되어도 사각셀들과 테두리포인트들이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을 이루는 모자이크디자인을 전체 설치면에 형성되어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 배열에 의한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에 나무모자이크패널(10) 및 패널구조베이스(20) 등의 가장자리에는 암수구성이 마련된 것으로, 두 개의 모자이크단위셀(15) 사이의 테두리목이 위치된 부분이 'ㄷ'자 형상으로 내향되게 들어간 부분이 홈을 형성한 부분(암)이 있고, 하나의 포인트단위셀(16) 부분이 'ㄷ'자 형상으로 돌출된 부분(수)이 형성된다. 따라서 다수 개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결합되면 서로 다른 나무모자이크패널(10)들에 형성된 이러한 홈부분과 돌출부분이 서로 끼워맞춰지면서 암수결합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그리하여 나무모자이크패널(10)을 다수 개 결합하여 설치하면, 설치면에 넓게 나무모자이크패널들에 의한 디자인특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39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패널구조베이스(20)에 연속되게 배열되는 모자이크목삽입공(21)과 포인트목삽입공(22)에 모자이크원목(40)과 포인트목(50), 그리고 테두리목(51) 등이 삽입되며,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과 포인트목(50)은 상면이 평면을 이루는 형상을 갖는다.
나아가 도 38에서처럼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배면에 부착활성부재(60)가 결합되는 것으로, 벌집과 같은 형태로 하여 육각 망형상의 부착활성부재(60)가 패널구조베이스(20), 모자이크원목(40), 포인트목(50) 등의 배면에 접착되어 모자이크원목(40)과 포인트목(50)이 패널구조베이스(20)에서 이탈됨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사각셀 그리고 테두리포인트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의 모자이크디자인 실시인 제5실시예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은 전방에서 보면 사각형 형상의 모자이크원목(40)이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의 배열을 이루는 모자이크디자인을 형성하고, 배면방향에서 보면 육각 망형상의 부착활성부재(60)에 의한 형상과 함께 상하수평직교 배열의 디자인이 형성된 것이며, 전방에서 다수의 모자이크원목(40)에 형성된 나무 나이테에 의하여 자연미를 느낄 수 있는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다음으로 도 44 내지 도 51 등의 제6실시예에서는 일명 '사각셀 테두리형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모자이크디자인'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즉 하나의 모자이크단위셀(15)은 사각형의 형태로 셀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도 48, 49에서와 같이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은 횡방향 단면 및 전방의 형태가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이 결합되어 사각형 셀을 이루는 모자이크단위셀(15)이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 배열을 이루어 하나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디자인 무늬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하나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에 대해 모자이크원목(40)은 일측으로는 도 48과 같이 높이가 높은 형태를 이루고 타측으로는 도 49에서와 같이 높이가 낮은 형태를 이루어 실시되는 것으로, 다양한 높이로 인한 심미감을 갖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은 정사각형의 긴변이 4개 형성된 것이며, 평평한 예의 실시예 및 평평한 상태에서 중앙이 돌출된 평면을 형성하며 주위에 경사면의 테두리가 형성된 실시예 등으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51에서와 같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전체 형태를 이루는 패널구조베이스(20)가 다수의 모자이크목삽입공(21)이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을 이루어 형성되고, 이러한 개별 모자이크목삽입공(21)에 모자이크원목(40)이 하나씩 삽입결합되어 도 44, 도 45에서와 같이 외부에서 보면 모자이크원목(40)이 격자무늬배열의 모자이크디자인을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모자이크원목(40)은 나무조각으로 나이테가 형성되어 있어, 전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전체적으로 나무나이테가 대각선 모자이크 배열의 디자인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의 포인트목 대신에, 도 50에서와 같이 직사각형상에 양측으로 삼각형으로 돌출된 테두리목(51)이 마련되어, 도 51의 테두리목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도 44 및 도 45 등에서와 같이 모자이크원목 주위로 배치되어, 모자이크원목(40)과 함께 상하수평의 직교격자 배열의 모자이크 디자인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테두리목(51)은 모자이크원목(40) 보다 작은 형상이며 대체로 직사각형을 이루되, 긴변을 길게 직선을 이루고 짧은 부분은 아주 짧게 되는 반면, 긴변과 아주 짧은 변 사이에 경사선을 두어 전체적으로 양측이 삼각형상의 뾰족하고 길게 형성된 것이며, 나무모자이크패널(10)에서 모자이크원복(40)의 주변을 둘러 테두리를 형성한 문양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모자이크 디자인형성으로, 여러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연결되어도 사각형셀들과 그 주위의 테두리목(51)들이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을 이루는 모자이크디자인을 전체 설치면에 형성되어 상하수평격자무늬 배열에 의한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에 나무모자이크패널(10) 및 패널구조베이스(20) 등의 가장자리에는 암수구성이 마련된 것으로, 두 개의 모자이크단위셀(15) 사이에 위치된 테두리목들 부분이 내향으로 삼각형 형상으로 들어간 부분이 홈을 형성한 부분(암)이 있고, 두 개의 모자이크단위셀(15) 사이에 위치된 하나의 테두리목의 일측 끝부분인 삼각형 형상을 이루어 돌출된 부분(수)이 형성된다. 따라서 다수 개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결합되면 서로 다른 나무모자이크패널(10)들에 형성된 이러한 홈부분과 돌출부분이 서로 끼워맞춰지면서 암수결합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그리하여 나무모자이크패널(10)을 다수 개 결합하여 설치하면, 설치면에 넓게 나무모자이크패널들에 의한 디자인특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7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패널구조베이스(20)에 연속되게 배열되는 모자이크목삽입공(21)과 테두리목이 삽입되는 공간 등에 모자이크원목(40)과 테두리목(51)이 삽입된다. 이때 도 47의 왼쪽, 도 44의 왼쪽 아래에는 높은 높이의 모자이크원목(40)이 위치되고, 도 47의 오른쪽, 도 44의 오른쪽 위쪽에는 낮은 높이의 모자이크원목이 위치되게 실시되어 높이 단차가 다름으로 인한 심미감을 갖게 된다.
나아가 도 46에서처럼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배면에 부착활성부재(60)가 결합되는 것으로, 벌집과 같은 형태로 하여 육각 망형상의 부착활성부재(60)가 패널구조베이스(20), 모자이크원목(40) 등의 배면에 접착되어 모자이크원목(40)이 패널구조베이스(20)에서 이탈됨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사각셀과 테두리형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의 모자이크디자인 실시인 제6실시예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은 전방에서 보면 사각형 형상의 모자이크원목(40)이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의 배열을 이루는 모자이크디자인을 형성하고, 배면방향에서 보면 육각 망형상의 부착활성부재(60)에 의한 형상과 함께 상하수평 배열의 디자인이 형성된 것이며, 전방에서 다수의 모자이크원목(40)에 형성된 나무 나이테에 의하여 자연미를 느낄 수 있는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다음으로 도 52 내지 도 59 등의 제7실시예에서는 일명 '소사각셀 대테두리포인트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 모자이크디자인'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즉 하나의 모자이크단위셀(15)은 작은 크기의 사각형의 형태로 셀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도 56에서와 같이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은 횡방향 단면 및 전방의 형태가 작은 크기의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이 결합되어 사각형 셀을 이루는 모자이크단위셀(15)이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 배열을 이루어 하나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디자인 무늬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하나의 소형 사각형 셀 주위의 꼭지점 부분에는 도 58의 작은 크기의 포인트목(50)이 위치되고, 사각형셀인 작은 크기의 모자이크원목(40) 주위 테두리에 도 57의 테두리목(51)이 둘러져 위치되는 것이다.
즉 도 59에서와 같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전체 형태를 이루는 패널구조베이스(20)가 다수의 모자이크목삽입공(21)이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을 이루어 형성되고, 이러한 개별 모자이크목삽입공(21)에 모자이크원목(40)이 하나씩 삽입결합되어 도 52, 도 53에서와 같이 외부에서 보면 모자이크원목(40)이 격자무늬배열의 모자이크디자인을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모자이크원목(40)은 나무조각으로 나이테가 형성되어 있어, 전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전체적으로 나무나이테가 대각선 모자이크 배열의 디자인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8에서와 같은 작은 크기의 사각형상의 포인트목(50)이 도 59의 포인트단위셀(16)에 삽입되어 도 52 및 도 53 등에서와 같이 격자무늬배열을 이루어, 모자이크원목(40)과 함께 포인트목(50)도 상하수평직교 배열의 모자이크 디자인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포인트목(50)은 모자이크원목(40) 보다 작은 크기로 되고 정사각형을 이루는 것으로, 나무모자이크패널(10)에서 모자이크원복(40)에 의한 패턴 무늬에서 포인트역할을 한다.
아울러 테두리목(51)은 모자이크원목(40)과 포인트목(50) 보다 크게 된 형상이며 직사각형을 이루는 것으로, 나무모자이크패널(10)에서 모자이크원복(40)의 주변을 둘러 테두리를 형성한 문양을 이루는 것이다. 즉 도 57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긴 직선변이 대향되는 양측에 있고, 이와 직교하게 짧은 두 변이 직사각형의 다른 선분을 이루며, 이러한 긴변과 짧은 변 사이의 꼭지점 부분에 경사의 직선이 형성된 것으로, 긴변과 경사변과 짧은 변이 서로 순서로 이어진 형상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모자이크 디자인형성으로, 여러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연결되어도 소형 사각셀들과 이들 주위로 작은 크기의 포인트목(50) 및 커다란 크기의 테두리목(51) 등이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을 이루는 모자이크디자인을 전체 설치면에 형성되어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 배열에 의한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에 나무모자이크패널(10) 및 패널구조베이스(20) 등의 가장자리에는 암수구성이 마련된 것으로, 두 개의 모자이크단위셀(15) 사이의 내향으로 포인트단위셀(16)이 위치된 부분이 홈을 형성한 부분(암)이 있고, 두 개의 모자이크단위셀(15) 사이의 하나의 테두리목(51)이 위치된 부분이 돌출된 부분(수)을 형성한다. 따라서 다수 개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결합되면 서로 다른 나무모자이크패널(10)들에 형성된 이러한 홈부분과 돌출부분이 서로 끼워맞춰지면서 암수결합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그리하여 나무모자이크패널(10)을 다수 개 결합하여 설치하면, 설치면에 넓게 나무모자이크패널들에 의한 디자인특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5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패널구조베이스(20)에 연속되게 배열되는 모자이크목삽입공(21)과 포인트목삽입공(22)에 모자이크원목(40)과 포인트목(50)이 삽입되며,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과 포인트목(50)은 상면이 평면을 이루는 형상을 갖는다.
나아가 도 54에서처럼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배면에 부착활성부재(60)가 결합되는 것으로, 벌집과 같은 형태로 하여 육각 망형상의 부착활성부재(60)가 패널구조베이스(20), 모자이크원목(40), 포인트목(50) 등의 배면에 접착되어 모자이크원목(40)과 포인트목(50)이 패널구조베이스(20)에서 이탈됨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소형 사각셀과 대테두리포인트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배열의 모자이크디자인 실시인 제7실시예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은 전방에서 보면 사각형 형상의 모자이크원목(40)이 상하수평직교격자무늬의 배열을 이루는 모자이크디자인을 형성하고, 배면방향에서 보면 육각 망형상의 부착활성부재(60)에 의한 형상과 함께 대각선 배열의 디자인이 형성된 것이며, 전방에서 다수의 모자이크원목(40)에 형성된 나무 나이테에 의하여 자연미를 느낄 수 있는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도 60 내지 도 65 등의 제8실시예에서는 일명 '소사각셀 직교격자무늬배열 모자이크디자인'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즉 하나의 모자이크단위셀(15)은 작은 크기의 사각형의 형태로 셀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도 64에서와 같이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은 횡방향 단면 및 전방의 형태가 작은 크기의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이 결합되어 소사각형 셀을 이루는 모자이크단위셀(15)이 직교격자무늬 배열을 이루어 하나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디자인 무늬를 형성하는 것이다.
즉 도 65에서와 같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전체 형태를 이루는 패널구조베이스(20)가 다수의 모자이크목삽입공(21)이 직교격자무늬배열을 이루어 형성되고, 이러한 개별 모자이크목삽입공(21)에 모자이크원목(40)이 하나씩 삽입결합되어 도 60, 도 61에서와 같이 외부에서 보면 모자이크원목(40)이 격자무늬배열의 모자이크디자인을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모자이크원목(40)은 나무조각으로 나이테가 형성되어 있어, 전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전체적으로 나무나이테가 직교 모자이크 배열의 디자인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모자이크 디자인형성으로, 여러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연결되어도 소사각셀들이 직교격자무늬배열을 이루는 모자이크디자인을 전체 설치면에 형성되어 직교격자무늬 배열에 의한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3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패널구조베이스(20)에 연속되게 배열되는 모자이크목삽입공(21)에 모자이크원목(40)이 삽입되며,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은 상면이 평면을 이루는 형상을 갖는다.
나아가 도 62에서처럼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배면에 부착활성부재(60)가 결합되는 것으로, 벌집과 같은 형태로 하여 육각 망형상의 부착활성부재(60)가 패널구조베이스(20), 모자이크원목(40) 등의 배면에 접착되어 모자이크원목(40)이 패널구조베이스(20)에서 이탈됨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소사각셀 직교격자무늬배열의 모자이크디자인 실시인 제8실시예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은 전방에서 보면 작은 크기의 사각형 형상의 모자이크원목(40)이 직교격자무늬의 배열을 이루는 모자이크디자인을 형성하고, 배면방향에서 보면 육각 망형상의 부착활성부재(60)에 의한 형상과 함께 대각선 배열의 디자인이 형성된 것이며, 전방에서 다수의 모자이크원목(40)에 형성된 나무 나이테에 의하여 자연미를 느낄 수 있는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도 66 내지 도 72 등의 제9실시예에서는 일명 '광폭마름모셀 대각선격자무늬배열 모자이크디자인'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즉 하나의 모자이크단위셀(15)은 옆으로 넓게 퍼진 광폭의 마름모의 형태로 셀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도 70, 도 71에서와 같이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은 횡방향 단면 및 전방의 형태가 광폭의 마름모 형상을 이루고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이 결합되어 광폭마름모 셀을 이루는 모자이크단위셀(15)이 대각선격자무늬 배열을 이루어 하나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디자인 무늬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은 광폭 형상으로 옆으로 넓게 퍼진 형태로 하는 마름모의 긴변이 4개 형성되고, 각 꼭지점 부분에 짧은 변이 4개 형성되어, 긴변과 짧은 변이 서로 번갈아가면서 이어진 형상을 하게 된다. 또한 도 71에서처럼 상면이 평평하게 하거나 도 70에서처럼 상면이 둥글게 돌출된 형상을 이루어 실시될 수 있다.
즉 도 72에서와 같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전체 형태를 이루는 패널구조베이스(20)가 다수의 모자이크목삽입공(21)이 대각선격자무늬배열을 이루어 형성되고, 이러한 개별 모자이크목삽입공(21)에 모자이크원목(40)이 하나씩 삽입결합되어 도 66, 도 67에서와 같이 외부에서 보면 모자이크원목(40)이 격자무늬배열의 모자이크디자인을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모자이크원목(40)은 나무조각으로 나이테가 형성되어 있어, 전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전체적으로 나무나이테가 대각선 모자이크 배열의 디자인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모자이크 디자인형성으로, 여러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연결되어도 광폭마름모셀들이 대각선격자무늬배열을 이루는 모자이크디자인을 전체 설치면에 형성되어 대각선격자무늬 배열에 의한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에 나무모자이크패널(10) 및 패널구조베이스(20) 등의 가장자리에는 암수구성이 마련된 것으로, 두 개의 모자이크단위셀(15) 사이의 내향으로 들어간 홈을 형성한 부분(암)이 있고, 하나의 모자이크단위셀(15)의 꼭지점 형상으로 돌출된 부분(수)이 형성된다. 따라서 다수 개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결합되면 서로 다른 나무모자이크패널(10)들에 형성된 이러한 홈부분과 돌출부분이 서로 끼워맞춰지면서 암수결합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그리하여 나무모자이크패널(10)을 다수 개 결합하여 설치하면, 설치면에 넓게 나무모자이크패널들에 의한 디자인특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9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패널구조베이스(20)에 연속되게 배열되는 모자이크목삽입공(21)에 모자이크원목(40)이 삽입되며,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은 상면이 평면과 둥근면을 이루는 형상을 갖는다. 즉 도 70에서와 같은 둥근 상면의 모자이크원목이 도 69의 왼쪽에 위치되고, 평면 상면의 모자이크원목이 도 69의 오른쪽에 위치되게 실시될 것이다. 따라서 나무모자이크패널(10)에는 일측으로 둥근면의 모자이크원목이 배치되고, 다른 쪽에는 평평한 면의 모자이크원목이 형성되어, 둥근 장식과 평평한 면의 장식으로 하는 다양한 면장식의 디자인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도 68에서처럼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배면에 부착활성부재(60)가 결합되는 것으로, 벌집과 같은 형태로 하여 육각 망형상의 부착활성부재(60)가 패널구조베이스(20), 모자이크원목(40) 등의 배면에 접착되어 모자이크원목(40)이 패널구조베이스(20)에서 이탈됨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광폭마름모셀 대각선격자무늬배열의 모자이크디자인 실시인 제9실시예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은 전방에서 보면 광폭마름모 형상의 모자이크원목(40)이 대각선격자무늬의 배열을 이루는 모자이크디자인을 형성하고, 배면방향에서 보면 육각 망형상의 부착활성부재(60)에 의한 형상과 함께 대각선 배열의 디자인이 형성된 것이며, 전방에서 다수의 모자이크원목(40)에 형성된 나무 나이테에 의하여 자연미를 느낄 수 있는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다음으로 도 73 내지 도 80 등의 제10실시예에서는 일명 '광폭마름모셀 포인트형 대각선격자무늬배열 모자이크디자인'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즉 하나의 모자이크단위셀(15)은 광폭 마름모의 형태로 셀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도 77, 도 78에서와 같이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은 횡방향 단면 및 전방의 형태가 옆으로 넓게 퍼진 광폭의 마름모 형상을 이루고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이 결합되어 광폭마름모 셀을 이루는 모자이크단위셀(15)이 대각선격자무늬 배열을 이루어 하나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디자인 무늬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은 광폭으로 옆으로 넓게 퍼진 형상이 된 마름모의 긴변이 4개 형성되고, 각 꼭지점 부분에 짧은 변이 4개 형성되어, 긴변과 짧은 변이 서로 번갈아가면서 이어진 형상을 하게 된다. 또한 도 78에서처럼 상면이 평평한 형태를 이루거나 도 77에서처럼 상면이 둥글게 돌출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80에서와 같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전체 형태를 이루는 패널구조베이스(20)가 다수의 모자이크목삽입공(21)이 대각선격자무늬배열을 이루어 형성되고, 이러한 개별 모자이크목삽입공(21)에 모자이크원목(40)이 하나씩 삽입결합되어 도 73, 도 74에서와 같이 외부에서 보면 모자이크원목(40)이 격자무늬배열의 모자이크디자인을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모자이크원목(40)은 나무조각으로 나이테가 형성되어 있어, 전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전체적으로 나무나이테가 대각선 모자이크 배열의 디자인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9에서와 같은 소형 사각형상의 포인트목(50)이 도 80의 포인트단위셀(16)에 삽입되어 도 73 및 도 74 등에서와 같이 격자무늬배열을 이루어, 모자이크원목(40)과 함께 포인트목(50)도 대각선 배열의 모자이크 디자인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포인트목(50)은 모자이크원목(40) 보다 작은 크기로 되고 정사각형을 이루는 것으로, 나무모자이크패널(10)에서 모자이크원복(40)에 의한 패턴 무늬에서 포인트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모자이크 디자인형성으로, 여러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연결되어도 광폭마름모셀들이 대각선격자무늬배열을 이루는 모자이크디자인을 전체 설치면에 형성되어 대각선격자무늬 배열에 의한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에 나무모자이크패널(10) 및 패널구조베이스(20) 등의 가장자리에는 암수구성이 마련된 것으로, 두 개의 모자이크단위셀(15) 사이의 내향으로 포인트단위셀(16) 부분이 홈을 형성한 부분(암)이 있고, 하나의 모자이크단위셀(15)의 꼭지점 형상이 되는 돌출된 부분(수)이 형성된다. 따라서 다수 개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결합되면 서로 다른 나무모자이크패널(10)들에 형성된 이러한 홈부분과 돌출부분이 서로 끼워맞춰지면서 암수결합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그리하여 나무모자이크패널(10)을 다수 개 결합하여 설치하면, 설치면에 넓게 나무모자이크패널들에 의한 디자인특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6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패널구조베이스(20)에 연속되게 배열되는 모자이크목삽입공(21)과 포인트목삽입공(22)에 모자이크원목(40)과 포인트목(50)이 삽입되며,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과 포인트목(50)은 상면이 평면과 둥근면을 이루는 형상을 갖는다. 즉 도 76의 왼쪽에는 둥근 상면의 모자이크원목이 위치되고, 도 76의 오른쪽에는 평평한 상면의 모자이크원목이 위치되는 것이다.
나아가 도 75에서처럼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배면에 부착활성부재(60)가 결합되는 것으로, 벌집과 같은 형태로 하여 육각 망형상의 부착활성부재(60)가 패널구조베이스(20), 모자이크원목(40), 포인트목(50) 등의 배면에 접착되어 모자이크원목(40)과 포인트목(50)이 패널구조베이스(20)에서 이탈됨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광폭마름모셀 대각선격자무늬배열의 모자이크디자인 실시인 제10실시예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은 전방에서 보면 광폭마름모 형상의 모자이크원목(40)이 대각선격자무늬의 배열을 이루는 모자이크디자인을 형성하고, 배면방향에서 보면 육각 망형상의 부착활성부재(60)에 의한 형상과 함께 대각선 배열의 디자인이 형성된 것이며, 전방에서 다수의 모자이크원목(40)에 형성된 나무 나이테에 의하여 자연미를 느낄 수 있는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81 내지 도 86 등의 제11실시예에서는 일명 '평행사변형셀 직교격자무늬배열 모자이크디자인'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즉 하나의 모자이크단위셀(15)은 평행사변형의 형태로 셀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도 85에서와 같이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은 횡방향 단면 및 전방의 형태가 평행사변형 형상을 이루고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이 결합되어 평행사변형 셀을 이루는 모자이크단위셀(15)이 직교격자무늬 배열을 이루어 하나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디자인 무늬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은 도 85를 예로 하여 살펴볼 때, 상부가 좌측으로 쏠리고, 하부가 우측으로 쏠려 형성된 평행사변형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며 이러한 평행사변형의 2개의 긴변이 대향되고 2개의 경사된 짧은 변이 대향되고 나란하게 형성되며, 좌측상부와 우측하부의 각 꼭지점 부분에 짧은 변이 경사되게 2개 형성되어, 긴변과 나란한 짧은 변, 경사된 아주 짧은 변 등이 서로 번갈아가면서 이어진 형상을 하게 된다.
즉 도 86에서와 같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전체 형태를 이루는 패널구조베이스(20)가 다수의 모자이크목삽입공(21)이 직교격자무늬배열을 이루어 형성되고, 이러한 개별 모자이크목삽입공(21)에 모자이크원목(40)이 하나씩 삽입결합되어 도 81, 도 82에서와 같이 외부에서 보면 모자이크원목(40)이 격자무늬배열의 모자이크디자인을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모자이크원목(40)은 나무조각으로 나이테가 형성되어 있어, 전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전체적으로 나무나이테가 대각선 모자이크 배열의 디자인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모자이크 디자인형성으로, 여러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연결되어도 평행사변형셀들이 직교격자무늬배열을 이루는 모자이크디자인을 전체 설치면에 형성되어 직교격자무늬 배열에 의한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에 나무모자이크패널(10) 및 패널구조베이스(20) 등의 가장자리에는 암수구성이 마련된 것으로, 두 개의 모자이크단위셀(15) 사이의 내향되게 짧은 경사부분이 들어간 부분이 홈을 형성한 부분(암)이 있고, 하나의 모자이크단위셀(15)의 경사부분이 홈 부분과 대응되게 돌출된 부분(수)이 형성된다. 또한 평행사변형의 기울어진 변들이 서로 홈과 돌출부분을 형성하여 암수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다수 개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결합되면 서로 다른 나무모자이크패널(10)들에 형성된 이러한 홈부분과 돌출부분이 서로 끼워맞춰지면서 암수결합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그리하여 나무모자이크패널(10)을 다수 개 결합하여 설치하면, 설치면에 넓게 나무모자이크패널들에 의한 디자인특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84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패널구조베이스(20)에 연속되게 배열되는 모자이크목삽입공(21)에 모자이크원목(40)이 삽입되며,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은 상면이 평면을 이루는 형상을 갖는다.
나아가 도 83에서처럼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배면에 부착활성부재(60)가 결합되는 것으로, 벌집과 같은 형태로 하여 육각 망형상의 부착활성부재(60)가 패널구조베이스(20), 모자이크원목(40) 등의 배면에 접착되어 모자이크원목(40)이 패널구조베이스(20)에서 이탈됨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마름모셀 대각선격자무늬배열의 모자이크디자인 실시인 제11실시예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은 전방에서 보면 평행사변형 형상의 모자이크원목(40)이 직교격자무늬의 배열을 이루는 모자이크디자인을 형성하고, 배면방향에서 보면 육각 망형상의 부착활성부재(60)에 의한 형상과 함께 직교 배열의 디자인이 형성된 것이며, 전방에서 다수의 모자이크원목(40)에 형성된 나무 나이테에 의하여 자연미를 느낄 수 있는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도 87 내지 도 93 등의 제12실시예에서는 일명 '중앙볼록-편심볼록형 사각셀 직교격자무늬배열 모자이크디자인'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즉 하나의 모자이크단위셀(15)은 중앙볼록-편심볼록형 사각형의 형태로 셀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도 91, 도 92에서와 같이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은 횡방향 단면 및 전방의 형태가 중앙볼록-편심볼록형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이 결합되어 중앙볼록-편심볼록형 사각형 셀을 이루는 모자이크단위셀(15)이 직교격자무늬 배열을 이루어 하나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디자인 무늬를 형성하는 것이다. 즉 하나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에는 일측으로 중앙볼록한 형태의 상면을 갖는 사각형의 모자이크원목이 위치되고, 타측으로는 일측으로 편향된 볼록의 중심이 형성된 상면을 갖는 사각형의 모자이크원목이 위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은 정사각형의 4개의 변이 형성된 것이고, 도 92에서처럼 중앙이 상향으로 돌출되고 상부가 평면을 이루는 형상, 도 91에서처럼 상향 일측으로 돌출되어지되 중앙에서 일편으로 편향되어 쏠리게 돌출되고 상부가 평면을 이루는 형상 등으로 이루어지면 주위를 둘러 경사면을 이루는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즉 도 93에서와 같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전체 형태를 이루는 패널구조베이스(20)가 다수의 모자이크목삽입공(21)이 직교격자무늬배열을 이루어 형성되고, 이러한 개별 모자이크목삽입공(21)에 모자이크원목(40)이 하나씩 삽입결합되어 도 87, 도 88에서와 같이 외부에서 보면 모자이크원목(40)이 격자무늬배열의 모자이크디자인을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모자이크원목(40)은 나무조각으로 나이테가 형성되어 있어, 전체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전체적으로 나무나이테가 직교 모자이크 배열의 디자인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모자이크 디자인형성으로, 여러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연결되어도 중앙볼록-편심볼록형 사각형 셀들이 직교격자무늬배열을 이루는 모자이크디자인을 전체 설치면에 형성되어 직교격자무늬 배열에 의한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90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패널구조베이스(20)에 연속되게 배열되는 모자이크목삽입공(21)에 모자이크원목(40)이 삽입되며, 이러한 모자이크원목(40)은 상면이 중앙이 볼록하거나 일측으로 볼록한 상면을 이루는 형상을 갖는다. 즉 도 90의 오른쪽에는 중앙이 볼록한 상면을 갖는 모자이크원목이 위치되고, 도 90의 왼쪽에는 오른쪽으로 볼록한 상면을 갖는 모자이크원목이 위치되게 실시되는 것이다.
나아가 도 89에서처럼 나무모자이크패널(10)의 배면에 부착활성부재(60)가 결합되는 것으로, 벌집과 같은 형태로 하여 육각 망형상의 부착활성부재(60)가 패널구조베이스(20), 모자이크원목(40) 등의 배면에 접착되어 모자이크원목(40)이 패널구조베이스(20)에서 이탈됨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중앙볼록-편심볼록형 사각형셀 직교격자무늬배열의 모자이크디자인 실시인 제12실시예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은 전방에서 보면 중앙볼록-편심볼록형 사각형 형상의 모자이크원목(40)이 직교격자무늬의 배열을 이루는 모자이크디자인을 형성하고, 배면방향에서 보면 육각 망형상의 부착활성부재(60)에 의한 형상과 함께 대각선 배열의 디자인이 형성된 것이며, 전방에서 다수의 모자이크원목(40)에 형성된 나무 나이테에 의하여 자연미를 느낄 수 있는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다양하게 모자이크원목이 배열된 나무모자이크패널(10)이 구비되어 설치면에 다양한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나무모자이크패널
15 : 모자이크단위셀 16 : 포인트단위셀
20 : 패널구조베이스
21 : 모자이크목삽입공 22 : 포인트목삽입공
23 : 모자이크간벽 24 : 모자이크포인트간벽
25 : 모자이크목받침부 26 : 포인트목받침부
40 : 모자이크원목 50 : 포인트목
51 : 테두리목 60 : 부착활성부재

Claims (5)

  1. 설치면에 설치되는 하나 또는 다수 개의 나무모자이크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나무모자이크패널은,
    다수 개의 모자이크원목(40)이 결합된 패널구조베이스(20); 및
    상기 패널구조베이스(20)에 형성된 삽입공에 위치되는 모자이크원목(40);
    을 포함하고,
    다수 개의 나무모자이크패널이 설치면에 설치되어 설치면에 디자인 조형물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모자이크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구조베이스(20)에는 모자이크원목(40)이 삽입되는 모자이크목삽입공(21)이 형성되고,
    상기 모자이크원목(40)은 모자이크목삽입공(21)으로 일부가 삽입되고, 다른 일부가 노출되며,
    상기 패널구조베이스(20)의 모자이크목삽입공(21) 내부에는 삽입되는 모자이크원목(40)의 배면을 지지하는 모자이크목받침부(2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모자이크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구조베이스(20)에 하나의 모자이크원목(40)이 결합되어 이루는 하나의 모자이크단위셀(15)은:
    모자이크원목(40)이 삽입되기 위해 패널구조베이스(20)에 형성된 모자이크목삽입공(21);
    상기 모자이크목삽입공(21) 내부에서 모자이크원목(40)의 배면을 지지하는 모자이크목받침부(25);
    모자이크목삽입공(21)에 삽입된 모자이크원목(40)의 측면을 지지하는 모자이크간벽(23); 및
    패널구조베이스(20)의 모자이크목삽입공(21)에 삽입되는 모자이크원목(40);
    을 포함하고,
    상기 모자이크목삽입공(21)의 횡방향에 대한 모자이크단위셀(15)의 단면형상은:
    마름모형상; 꼭지점이 짧은 선을 이루는 마름모형상; 사각형상; 직사각형 형상; 정사각형 형상; 꼭지점이 짧은 선을 이루는 사각형상; 다이아몬드형상; 평형사변형 형상; 삼각형상; 다각형상; 원형상; 타원형상; 및 캐릭터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고,
    상기 모자이크원목(40)의 종단면 형상의 상면은:
    평면, 경사면, 상부 일측이 높고 경사면을 이루는 면, 둥근면 중 어느 하나의 면 형상을 이루며,
    하나의 나무모자이크패널(10)에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모자이크원목(40)이 복수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모자이크패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구조베이스(20)에는 다수 개의 모자이크원목(40)이 포함된 다수의 모자이크단위셀(15)들 사이에 포인트목(50)이 결합된 포인트단위셀(16)이 형성되고,
    상기 포인트단위셀(16)은:
    포인트목(50)이 삽입되기 위해 패널구조베이스(20)에 형성된 포인트목삽입공(22);
    상기 포인트목삽입공(22) 내부에서 포인트목(50)의 배면을 지지하는 포인트목받침부(26);
    포인트목삽입공(22)에 삽입된 포인트목(50)의 측면을 지지하는 모자이크포인트간벽(24); 및
    패널구조베이스(20)의 포인트목삽입공(22)에 삽입되는 포인트목(50);
    을 포함하고,
    상기 포인트목삽입공(22)의 횡방향에 대한 포인트단위셀(16)의 단면형상은:
    마름모형상; 사각형상; 직사각형 형상; 정사각형 형상; 삼각형상; 다각형상; 원형상; 타원형상; 및 캐릭터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고,
    상기 포인트목(50)의 종단면 형상의 상면은:
    평면, 경사면, 둥근면, 돌출면 중 어느 하나의 면 형상을 이루며,
    상기 나무모자이크패널(10)에는 다수 개의 모자이크원목(40)과 다수 개의 포인트목(50)이 배열을 이루어 다수 개의 나무모자이크패널을 연속해서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모자이크패널.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구조베이스(20)의 배면에 부착활성부재(60)가 결합되고,
    패널구조베이스(20)의 모자이크목삽입공(21)에 삽입되는 모자이크원목(40)의 배면이 상기 부착활성부재(60)에 부착되며,
    패널구조베이스(20)의 포인트목삽입공(22)에 삽입되는 포인트목(50)의 배면이 상기 부착활성부재(60)에 부착되고,
    패널구조베이스(20)의 배면에 부착된 부착활성부재(60)에 의하여 패널구조베이스(20)가 설치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모자이크패널.
KR1020120089399A 2012-08-16 2012-08-16 나무모자이크패널 KR20140023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399A KR20140023030A (ko) 2012-08-16 2012-08-16 나무모자이크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399A KR20140023030A (ko) 2012-08-16 2012-08-16 나무모자이크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030A true KR20140023030A (ko) 2014-02-26

Family

ID=50268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399A KR20140023030A (ko) 2012-08-16 2012-08-16 나무모자이크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30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35599A (zh) * 2016-04-15 2016-07-06 福州大学 一种具有双面马赛克图案装饰效果的格栅墙及其制作方法
KR102658392B1 (ko) * 2023-08-10 2024-04-17 주식회사 예건 다목적 조형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35599A (zh) * 2016-04-15 2016-07-06 福州大学 一种具有双面马赛克图案装饰效果的格栅墙及其制作方法
KR102658392B1 (ko) * 2023-08-10 2024-04-17 주식회사 예건 다목적 조형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9801A (en) Clip-on wooden drop ceiling
KR100787862B1 (ko) 건축용 흡음판넬
CN201762922U (zh) 装饰软包及装饰软包组
CN105672697A (zh) 城市森林花园建筑及建筑群
US9901036B2 (en) Versatile eco-friendly planting block
TWI578899B (zh) 多段疊層用之裝飾盆單元
KR20140023030A (ko) 나무모자이크패널
US20060059824A1 (en) Block structure
JP3134956U (ja) 組立式透光照明装置
Al Abidin The courtyard houses of Syria
JP6182338B2 (ja) 住宅および住宅群
KR20110137019A (ko) 조립식 가구
CN211369660U (zh) 一种景观园林休息亭
JP3232005U (ja) 屋外用高耐久性家具
CN212521453U (zh) 新型diy地毯
JP7363540B2 (ja) 住宅
KR102201498B1 (ko) 대리석 안내데스크
CN214195682U (zh) 景观亭
JP7344446B2 (ja) 窓辺構造及び居室
WO2008123655A1 (en) The sound-absorbing building panel
CN202347793U (zh) 软体马赛克装饰板
CN205894434U (zh) 一种集成吊顶
CN201793987U (zh) 乙烯基复合pvc机织网布
CN210798112U (zh) 一种砂岩景观背景墙
CN208925756U (zh) 防滑地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