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1930A - 비상구 유도등 - Google Patents

비상구 유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1930A
KR20140021930A KR1020120088538A KR20120088538A KR20140021930A KR 20140021930 A KR20140021930 A KR 20140021930A KR 1020120088538 A KR1020120088538 A KR 1020120088538A KR 20120088538 A KR20120088538 A KR 20120088538A KR 20140021930 A KR20140021930 A KR 20140021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xit
exit
light
indicator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7929B1 (ko
Inventor
홍소이
Original Assignee
(주)샤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샤다이 filed Critical (주)샤다이
Priority to KR1020120088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929B1/ko
Publication of KR20140021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05Illumination controller or illuminated signs including a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9Edge illuminated signs, boards or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조도를 갖는 제 1,2표시등이 구비되어 화재 발생시 비상구의 위치 및 방향을 동적으로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한 비상구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상구 유도등{Lighting display for emergency exit}
본 발명은 비상구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조도를 갖는 제 1,2표시등을 케이스의 전면에 배치하여 화재발생시 비상구의 방향 및 위치를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 상황시 대피자가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비상구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상구는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건물이나 숙박시설에 설치되어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시 대피용으로 설치한 출구(出口)로서 보통 때는 사용하지 않는다.
전술한 비상구에는 표시등(表示燈)이 구비되어 야간에도 식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표시등의 전원은 비상시에 일반전원이 단락되는 경우 충전된 배터리에 의한 비상전원으로 전환되어 점등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표시등은 주로 광도가 낮게 되어 있는 것이므로 화재의 발생에 의하여 건물 내부에 연기가 자욱해지면 표시등을 식별할 수 없었으므로 비상구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한 사람들이 건물을 빠져 나오지 못하게 됨에 따라 많은 인명피해를 당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또한, 비상구까지 도달할 수 있는 안내표시가 없었고, 비록 있다하더라도 연기에 의하여 안내표시의 식별이 어려우므로 비상구와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 사람들은 비상구를 찾을 수가 없었다.
물론, 매우 밝은 빛을 발산하는 표시등을 설치할 수도 있으나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매우 밝은 빛이라 하더라도 자욱한 연기는 효과적으로 투과할 수 없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 10-0321215호에 개시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표면에 화살표와 같은 안내표시(12)가 인쇄된 가이드(10)의 일단에는 레이저반도체(21)와 비상전원 배터리(22)가 내장된 케이스(20)가 장착되어 건물의 통로에 연속 설치되며, 레이저반도체(21)에서 발생된 레이저광선이 투명체 가이드(10)를 통해 발산되어 비상구로 향하는 길을 안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선행기술은 기존 비상구 유도등에 적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레이저광선의 직진 특성으로 인해 레이저반도체(21)에서 발생된 레이저광선이 투명체인 가이드(10)를 통해 일직선으로 조사되어 비상구쪽의 방향을 정확하게 표시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비상구 유도등은 화재발생시 연기가 자욱하게 깔리게 될 경우, 비상구의 위치 및 방향을 명확하게 식별할 수 없게 되므로, 대피자가 대피방향을 즉각적으로 신속하게 판단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화재 발생시 연기로 인해 비상구 유도등의 빛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빛의 조도 차이에 따른 방향성을 부여함으로써, 비상구 위치 및 방향을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비상구 유도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전면에 비상구를 표시하는 문자 또는 도형이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비상전원인 배터리가 배치되며, 화재 발생시 비상구의 위치 및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비상구 유도등을 구비하되,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비상구의 방향을 표시하는 제 1표시등과,
상기 비상구와 상기 제 1표시등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표시등의 조도보다 큰 조도를 가지는 제 2표시등을 구비한다.
상기 제 1표시등은 복수개의 지시등으로 구비되어 상기 비상구의 방향을 향해 릴레이방식으로 점멸된다.
상기 제 2표시등은 볼록렌즈로 구성되며 레이저 빔을 조사하도록 연결된 레이저 빔 발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표시등은 상기 제 2표시등의 조도보다 낮은 조도로 점멸되는 엘이디 조명으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조도를 갖는 제 1,2표시등(210,22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화재 발생시 비상구의 위치 및 방향을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대피자가 대피방향을 즉각적으로 판단하여 신속한 대피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시 연기에 의해 제 1표시등(210)이 보이지 않게 되더라도 상대적으로 조도가 큰 제 2표시등(220)의 점등으로 인해 비상구의 위치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둘째, 제 1표시등(210)이 릴레이방식으로 비상구쪽의 제 2표시등(220)을 향해 점멸동작되므로, 동적으로 방향성을 부여하여 화재 발생시 대피방향을 명확하게 대피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셋째, 볼록렌즈로 구성된 제 2표시등(220)이 레이저 빔을 조사하도록 하고, 제 1표시등(210)이 제 2표시등(220)을 향해 점멸 되도록 함으로써, 빛의 직진성 및 집중성을 향상시켜 화재 발생시 연기로 인해 대피자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더라도 비상구의 위치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한 조도의 제 1표시등(210)이 상대적으로 강한 빛의 제 2표시등(220) 측으로 점멸되므로 대피자가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대피방향을 인식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비상구 유도등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다른 방향의 비상구 유도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a,5b,5c는 본 발명 제 1표시등의 릴레이식 점멸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제 1표시등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 제 2표시등의 배치를 달리한 다른 사용 예를 보인 도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조도를 갖는 제 1,2표시등이 구비되어 화재 발생시 비상구의 위치 및 방향을 동적으로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한 비상구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면에 비상구(E)를 표시하는 문자 또는 도형 등의 안내문(12)이 마련되고 내부에 비상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 전원 공급부(20)가 배치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일측에 비상구의 방향을 표시하는 제 1표시등(210)이 배치되고 타측에 제 1표시등(210)의 조도 세기와는 다른 조도로 점등되어 비상구의 위치를 표시하는 제 2표시등(220)이 배치되는 보조 케이스(100)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케이스(10)는 공지의 비상구 유도등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되, 케이스(10)의 상부에 보조 케이스(100)가 마련된다.
보조 케이스(100)는 케이스(10)의 상부가 아닌 하부 또는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 1표시등(210)은 복수의 지시등(212)이 하나의 화살표 형태로 구성되고, 복수의 화살표가 일렬로 배치되어 화살표의 방향성으로 비상구(E)의 방향을 지시하게 된다.
또한, 제 1표시등(210)은 방향성을 부여하도록 비상구(E)쪽 방향으로 릴레이방식으로 점멸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 2표시등(220)은 제 1표시등(210)과 비상구(E) 사이에 배치되고 제 1표시등(210)의 조도보다 더 큰 빛의 세기를 가지며, 화재 발생시 연기에 가려서 상대적으로 약한 조도를 갖는 제 1표시등(210)이 보이지 않을 경우, 비상구(E) 및 비상구 유도등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2표시등(220)은 제 1표시등(210)과 비상구(E) 사이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화재 발생시 연기에 의해 제 1표시등(210)이 보이지 않게 되더라도 대피자가 제 1표시등(210)보다 더 큰 조도를 갖는 제 2표시등(220)을 쉽게 확인 및 식별할 수 있게 되어 비상구(E)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를 위해 제 1표시등(210)은 LED등으로 구성되고, 제 2표시등(220)은 제 1표시등(210)보다 고휘도의 LED등 또는 레이저 빔을 조사하도록 보조 케이스(100)의 내부에 마련된 레이저 빔 발생부(310)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2표시등(220)은 빛의 직진성 및 집중성을 고려하여 볼록렌즈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도 2참조)
제 1표시등(210)의 릴레이식 점멸 동작과 제 2표시등(220)의 점멸 동작은 보조 케이스(100)의 내부에 마련된 회로기판(미도시)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
또한, 제 1,2표시등(210,220)은 공지의 화재 경보센서와 연계 동작되어 화재 발생시에만 점등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항시 점등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2표시등(210,220)은 보조 케이스(10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비상구의 방향이 좌측에 위치하게 될 경우, 제 1표시등(210)의 화살표 방향이 좌측을 향해 동적으로 점등되어 대피방향을 알려주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비상구의 방향이 우측에 위치하게 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표시등(210)의 화살표 방향이 우측을 향하게 되며, 제 2표시등(220)이 보조 케이스(100)의 일측에 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표시등(210)은 화살표가 아닌 삼각형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제 1표시등(210)이 화살표가 아닌 다른 형태로 방향성을 부여할 수도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제 2표시등(220)은 보조 케이스(100)의 전면과 후면이 아닌 측면에 배치되어 비상구의 위치를 측방향에서 LED램프의 빛 또는 레이저 빔으로 표시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보조 케이스(100)는 내부에 화재 경보센서와 연계 동작되어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을 대피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경보음 발생부(400)가 더 구비된다.
경보음 발생부(400)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버저(BUZZER) 또는 화재 등의 비상상황을 안내하고 비상구의 위치 및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 방송을 출력할 수도 있다.
비상 전원 공급부(20)는 공지의 충전회로와 충전용 배터리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비상구 유도등은 벽체에 돌출되게 부착되거나, 매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비상구 유도등은 평상시 케이스(10)의 전면에 마련된 안내문에 항시 또는 비상시에 점등되는 구성은 공지의 것과 동일하지만, 보조 케이스(100)에 마련된 제 1,2표시등(210,220)은 서로 다른 조도를 갖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비상구(E)의 대피방향 및 비상구(E)의 위치를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 1표시등(210)은 화재 경보센서와 연계된 경우, 화재 발생시 비상구(E)쪽 방향으로 릴레이 방식으로 점멸되어 비상시의 대피방향을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2표시등(220)은 화재 경보센서와 연계된 경우, 화재 발생시 비상구(E)의 위치 및 비상구 유도등의 위치를 대피자에게 명확하게 인식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제 1,2표시등(210,22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항시 점등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화재 경보센서와 연계 동작되어 충전용 비상 전원 공급부(20)에 의해 점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LED램프로 구성된 제 1표시등(210)은 약한 조도의 빛을 조사하면서 제 2표시등(220)의 강한 빛을 향해 점멸 동작되므로, 대피자가 대피방향을 명확하게 인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재 등의 비상 상황시 대피자가 비상구(E)의 위치 및 방향을 명확하게 인식시켜 비상구(E)의 방향을 즉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기가 자욱하게 깔리더라도 비상구(E)의 위치 및 방향을 손쉽게 시각적으로 식별토록 하여 대피자가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갖는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스 12 : 안내문
20 : 비상 전원 공급부 100 : 보조 케이스
210 : 제 1표시등 212 : 지시등
220 : 제 2표시등 310 : 레이저 빔 발생부
400 : 경보음 발생부 E : 비상구

Claims (3)

  1. 케이스의 전면에 비상구를 표시하는 문자 또는 도형이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비상전원인 비상 전원 공급부가 배치되며, 화재 발생시 비상구의 위치 및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비상구 유도등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비상구(E)의 방향을 표시하는 제 1표시등(210)과,
    상기 비상구(E)와 상기 제 1표시등(210)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케이스(10)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표시등(210)의 조도보다 큰 조도를 가지는 제 2표시등(22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표시등(210)은 복수개의 지시등으로 구비되어 상기 비상구(E)의 방향을 향해 릴레이방식으로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등.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표시등(220)은 볼록렌즈로 구성되며 레이저 빔을 조사하도록 연결된 레이저 빔 발생부(310)를 구비하고,
    상기 제 1표시등(210)은 상기 제 2표시등(220)의 조도보다 낮은 조도로 점멸되는 엘이디 조명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조명등.
KR1020120088538A 2012-08-13 2012-08-13 비상구 유도등 KR101407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538A KR101407929B1 (ko) 2012-08-13 2012-08-13 비상구 유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538A KR101407929B1 (ko) 2012-08-13 2012-08-13 비상구 유도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930A true KR20140021930A (ko) 2014-02-21
KR101407929B1 KR101407929B1 (ko) 2014-06-17

Family

ID=50268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538A KR101407929B1 (ko) 2012-08-13 2012-08-13 비상구 유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9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783A1 (ko) * 2015-06-23 2016-12-29 주식회사 지스타 대피 안내 겸용 조명장치
KR20200046615A (ko) * 2018-10-25 2020-05-07 한국광기술원 시퀀셜 유도등
KR20200114565A (ko) * 2019-03-29 2020-10-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이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대피안내장치
KR200497028Y1 (ko) * 2023-02-02 2023-07-06 (주)한국미래안전 다방향 시인성이 우수한 입체 비상구 유도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356B1 (ko) 2019-03-07 2020-02-12 김기대 방화문 led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491Y1 (ko) * 2003-03-06 2003-06-02 박현병 복합 경보기능이 탑재된 비상유도장치
KR200332123Y1 (ko) * 2003-07-08 2003-11-05 (주)다산방재산업 통로 유도등
KR100782417B1 (ko) 2006-07-03 2007-12-06 주식회사 효진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안내등
KR100972793B1 (ko) * 2008-03-20 2010-07-29 주식회사 하나아이엔씨 비상구 안내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783A1 (ko) * 2015-06-23 2016-12-29 주식회사 지스타 대피 안내 겸용 조명장치
KR20200046615A (ko) * 2018-10-25 2020-05-07 한국광기술원 시퀀셜 유도등
KR20200114565A (ko) * 2019-03-29 2020-10-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이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대피안내장치
KR200497028Y1 (ko) * 2023-02-02 2023-07-06 (주)한국미래안전 다방향 시인성이 우수한 입체 비상구 유도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929B1 (ko) 2014-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7929B1 (ko) 비상구 유도등
KR100653604B1 (ko)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KR101565727B1 (ko)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감지 및 경보 시스템
US20100013658A1 (en) Dynamic emergency escape indicator
KR100602371B1 (ko) 비상구 유도등
KR20170053910A (ko) 재난유도장치
KR101849330B1 (ko) 화재시 종합 대피 시스템
KR200320784Y1 (ko) 움직이는 대피로유도표시 생성 레이저유도등
KR100699361B1 (ko) 레이저 다이오드와 광학 랜즈를 이용한 문자 및 기호 투영방식의 비상통로 유도등
KR102102796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비상구 알림장치
KR200417468Y1 (ko) 피난구 유도등.
KR101735264B1 (ko) 비상 유도 및 통화 시스템
KR101887656B1 (ko)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KR20150002983U (ko) 비상유도 등
KR101317654B1 (ko) 비상구 유도등
KR20160004745A (ko) 비상 대피로의 안내장치
KR101783826B1 (ko)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KR20110037802A (ko) 비상시 유도기능을 갖는 엘이디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332123Y1 (ko) 통로 유도등
KR101888467B1 (ko)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JP2012247845A (ja) 誘導灯装置及び誘導灯システム
JP4442527B2 (ja) 照明器具
KR20180035303A (ko) 휴대용 랜턴
KR200303073Y1 (ko) 비상구 표시등
KR20190001440U (ko) 피난유도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