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0637A - 헤어 롯드 - Google Patents

헤어 롯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0637A
KR20140020637A KR1020120087798A KR20120087798A KR20140020637A KR 20140020637 A KR20140020637 A KR 20140020637A KR 1020120087798 A KR1020120087798 A KR 1020120087798A KR 20120087798 A KR20120087798 A KR 20120087798A KR 20140020637 A KR20140020637 A KR 20140020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base body
fixing member
rod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경
Original Assignee
이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경 filed Critical 이은경
Priority to KR1020120087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0637A/ko
Publication of KR20140020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1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 A45D2/122Means for fastening the hair on the curler bod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1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 A45D2/14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of single-piece type, e.g. stiff rods or tubes with or without cord, band, or the like as hair-fastening means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Abstract

헤어 롯드가 개시된다. 개시된 헤어 롯드(10)는, 베이스 몸체(12)와, 상기 베이스 몸체(12)와 일 측이 힌지 결합된 헤어 고정부재(14)와, 상기 베이스 몸체(12)와 상기 헤어 고정부재(14)와 연결된 손잡이(18)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18)를 가압하여 상기 베이스 몸체(12)와 상기 헤어 고정부재(14)를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킬 수 있는 헤어 롯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12)는, 머리카락의 뿌리부분 모발이 원호 형상으로 감기도록 원호형상의 볼륨부(90)를 포함한 외주면(11)과, 파마용 헤어롤(40)이 안착될 수 있는 반원형상의 오픈된 헤어롤 안착홈(20)을 형성하도록 오목한 곡선형상을 갖는 내주면(13)으로 구성되며, 상기 헤어 고정부재(14)는, 상기 베이스 몸체(12)의 외주면(11)과 동일한 원호형상을 갖는 내주면(5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헤어 롯드{Hair Rod}
본 발명은 헤어 롯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발의 뿌리부분까지의 모류 교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모발의 뿌리부분 볼륨시술과 동시에 일반 파마 웨이브 시술을 한꺼번에 편리하게 실시 할 수 있는 헤어 롯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사람들은 모발에 볼륨을 넣어서 풍성한 모습을 갖기를 원한다. 그러나 모발은 두피로부터 직각방향이 아닌 45° 이하의 기울기로 자라나고, 또한 가마를 중심으로 소용돌이 형태로 자라거나 같은 한 방향으로 휘어져 자라면서 모발성장방향(毛流)를 만들어 낸다.
이 모발성장방향(모류)으로 인해 모발은 볼륨을 갖지 못한다. 또한 휘어진 모발방향을 변형하기 어렵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머리 스타일을 연출하기가 어렵다. 게다가 모발성장 기울기가 더 낮은 사람은 모발이 두피에 밀착되어 전체적으로 푹 가라앉아 스타일 연출하기가 더욱 어려우며, 나이가 들면서 모발이 빠지거나, 탈모가 일어나면 이러한 형상들은 더욱 두드러져 큰 고민과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이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볼륨형성기계(매직플랜기) 또는 헤어드라이 작업이나 모발에 붙이는 찍찍이 롯드 등을 통해 모류의 교정이나 모발의 뿌리분분에 볼륨감을 주는 등 여러 방법을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방법들은 모류교정이나 볼륨확대의 효과도 떨어지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모류교정을 보다 편리하게 하기 위해 등록실용 제0448306호, 등록특허 제1134889호, 특허공개 제10-2012-0042145호 등에는 모류 교정을 위한 헤어 롯드나 헤어핀셋 등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헤어 롯드나 헤어핀셋 등으로 모류교정은 기존의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한 것 보다는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모근에 가깝게 즉 머리카락의 뿌리부분에 아주 가까운 부분의 모류교정이 안 되는 단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머리카락 뿌리부분의 볼륨조정이 여전히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머리를 원하는 모양으로 파마를 하기 위해서는 머리카락 뿌리부분의 모류교정이나 볼륨조정뿐만 아니라 머리카락 상부의 일반 헤어 파마를 해야 하는데, 개시된 헤어 롯드나 헤어 핀셋 등은 뿌리부분의 모류교정은 가능하나, 일반 헤어 파마를 동시에 진행할 수 없어서 모류교정 작업을 끝낸 후, 다시 머리카락 상부의 헤어 파마를 별도로 시술해야 한다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머리카락의 뿌리부분 모류교정과 동시에 일반 파마 작업을 한꺼번에 할 수 있어 한꺼번에 모든 파마작업을 마칠 수 있는 헤어 롯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머리카락 모근 가까운 뿌리부분까지 모류교정이나 볼륨확대 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헤어 롯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헤어 롯드(10)는, 베이스 몸체(12)와, 상기 베이스 몸체(12)와 일 측이 힌지 결합된 헤어 고정부재(14)와, 상기 베이스 몸체(12)와 상기 헤어 고정부재(14)와 연결된 손잡이(18)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18)를 가압하여 상기 베이스 몸체(12)와 상기 헤어 고정부재(14)를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킬 수 있는 헤어 롯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12)는, 머리카락의 뿌리부분 모발이 원호 형상으로 감기도록 원호형상의 볼륨부(90)를 포함한 외주면(11)과, 파마용 헤어롤(40)이 안착될 수 있는 반원형상의 오픈된 헤어롤 안착홈(20)을 형성하도록 오목한 곡선형상을 갖는 내주면(13)으로 구성되며, 상기 헤어 고정부재(14)는, 상기 베이스 몸체(12)의 외주면(11)과 동일한 원호형상을 갖는 내주면(5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몸체(12)는, 일단(72)의 길이 보다 타 단(73)의 길이가 더 길게 구성되도록 연장 돌출부(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헤어 고정부재의 일 단(76)은 상기 베이스 몸체(12)의 외주면 연장선(L1) 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 돌출부(80)의 단 부(73)에는 다수 개의 제 1 지지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파마약제가 상기 고정부재(14)와 상기 베이스 몸체(12) 사이의 모발로 쉽게 흘러 들어가고 모발에 자국이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헤어 고정부재(14)의 일 단(74)에는, 길이가 다른 복수 개의 제 2 지지홈(24)이 물결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헤어 롯드는, 헤어롤 안착홈에 헤어롤을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인해 머리카락의 뿌리볼륨과 일반 웨이브 파마를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파마 소요시간과 노력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헤어 고정부재의 단 부를 베이스 몸체의 외주면 연장선 상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머리카락의 모근에 매우 가까운 뿌리부분까지도 볼륨을 주거나 모류를 교정할 수 있어, 전체적인 모류교정 및 볼륨확대 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따른 퍼팅용 헤어 롯드(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어 롯드(10)의 손잡이(18)를 눌러 헤어 고정부재(14)와 베이스 몸체(12)를 이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헤어 롯드(10)를 사람의 머리(60)에 올려 놓은 후 머리카락 뿌리부분의 모류교정 작업을 하는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헤어 롯드(10)의 헤어롤 안착홈(20)에 통상적인 헤어롤(40)을 장착한 후, 머리카락 뿌리 부분의 볼륨을 높임과 동시에 머리카락(H)의 상부에 웨이브 파마 작업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따른 퍼팅용 헤어 롯드(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손잡이(18)를 눌러 헤어 고정부재(14)와 베이스 몸체(12)를 이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헤어 롯드(10)를 사람의 머리(60)에 올려 놓은 후 머리카락 뿌리부분의 모류교정 작업을 하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어 롯드(10)는, 베이스 몸체(12), 헤어 고정부재(14), 손잡이(18) 및 스프링(16)을 포함한다.
베이스 몸체(12)는, 반원 형상으로 일 측이 오픈된 형상을 갖고, 일단부에는 손잡이(18)의 일부를 이루는 제 1손잡이부(56)를 구비한다. 도 3과 같이 머리카락의 뿌리부분 모발이 원호 형상으로 감기는 원호형상의 외주면(11)과, 파마용 헤어롤(40, 도 4 참조)이 안착될 수 있는 반원형상의 헤어롤 안착홈(20)을 형성하도록 오목한 곡선형상을 갖는 내주면(13)으로 구성된다. 제 1 손잡이부(56)와 반대편 단 부(52)는 원호 형상으로 라운드 처리되어 있어서, 헤어롤(40)을 헤어롤 안착홈(20)에 장착하거나 빼내기 편리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 몸체(12)를 머리(60) 위에 안착시켜 사용하는 상태에서 베이스 몸체(12)의 일 측 외주면 연장선(L1)과 타 측 외주면 연장선(L2)이 만나는 각도 Θ는 약 30도-50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몸체(12)의 일단(72) 길이 보다 타 단(73)의 길이가 더 길게 구성되도록, 베이스 몸체(12)는 연장 돌출부(80)를 구비하고, 연장 돌출부(80)의 단 부인 베이스 몸체(12)의 타단(73)에는 다수 개의 제 1 지지홈(22, 도1 참조)이 물결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지지홈(22)은 도 3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헤어 롯드(10)를 사용 시에 머리(60)의 표면과 접촉되어 마찰력을 증대시키며, 따라서 헤어 롯드(10)가 머리의 표면에 대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베이스 몸체(12)는 원호형상으로 도 3의 좌측방향으로 돌출된 볼륨부(90, 도 3 참조)를 구비한다.
헤어 고정부재(14)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몸체(12)의 외주면(11)과 동일한 원호형상을 갖는 내주면(53)을 갖는 원호 형상의 부재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헤어 고정부재(14)의 일단(74)은 베이스 몸체(12)의 일단(72)의 길이와 같으나, 타 단(76)은 베이스 몸체(12)의 외주면(11) 연장선(L1) 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머리카락의 뿌리 부분까지 헤어 고정부재(14)의 타 단(76)이 접근할 수 있으며, 모근에 매우 가까운 부분까지 웨이브를 줄 수 있으므로 뿌리부분의 볼륨을 높이거나 모류교정 효과가 뛰어나다. 즉, 헤어 고정부재(14)의 타 단(76)는 머리카락의 모근 부분까지 접근하고, 머리카락의 뿌리에 아주 가까운 부분부터 헤어 고정부재(14)의 내주면(53)과 베이스몸체(12) 외주면(11) 사이에 삽입되어 머리카락이 베이스 몸체(12) 중 원호형상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볼륨부(90)에 의해 웨이브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모류교정 효과가 좋다. 헤어 고정부재(14)의 일 단(72)에는 다수 개의 제 2 지지홈(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지지홈(24)은 모발과의 마찰력을 높여 모발이 헤어 고정부재(14)의 내주면(53)과 베이스 몸체(11)의 외주면(11) 사이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제 2 지지홈(24)으로 인하여 파마 작업 시에 파마 약품이나 기타 약제를 고정부재(14)의 내주면(53)과 베이스 몸체(11)의 외주면(54) 사이로 흘러 들여 보내기가 용이하다. 즉, 고정부재(14)가 베이스몸체(12) 보다 길이가 짧고 물결모양의 제 2 지지홈(2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 2 지지홈(24)으로 파마용 약제를 떨어뜨리면 약제는 제 2 지지홈(24)을 통해 고정부재(14)의 내주면(53)과 베이스 몸체의 외주면(11) 사이 공간으로 흘러 들어가 원호형상의 볼륨부(90) 안에 감긴 모발에 도포, 흡수시켜 파마를 좀더 편하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4)가 베이스몸체(12) 보다 길이가 짧고 물결모양으로 제 2 지지홈(24)이 형성됨으로써, 집게형태인 헤어 롯드(10)의 베이스 몸체(12)와 고정부재(14)가 서로 맞물리면서 생길 수 있는 눌림 자국이 모발에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손잡이(18)는 제 1 손잡이부(56)와 제 2 손잡이부(58)로 구성되며, 제 1 손잡이부(56)는 베이스 몸체(12)의 일 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제 2 손잡이부(58)는 헤어 고정부재(14)의 일 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제 1 손잡이부(56)와 제 2 손잡이부(58)는 서로에 대해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어 있다.
스프링(16)은 제 1 및 제 2 손잡이부(56,58)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있다. 따라서, 손잡이(18)에 가해진 압력을 제거하면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베이스 몸체(12)와 헤어 고정부재(14)는 도 1과 같이 밀착된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헤어 롯드(10)의 헤어롤 안착홈(20)에 일반 헤어롤(40)을 장착한 후, 머리카락 뿌리 부분의 볼륨을 높임과 동시에 머리카락의 상부에 일반 파마를 시술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헤어 롯드(10)를 이용하여 머리카락의 뿌리부분의 볼륨확대와 동시에 일반 파마 헤어롤(40)을 이용하여 동시에 작업하여 한번에 파마작업을 끝낼 수 있다.
도 3 및 도 5와 같이, 머리카락 뿌리부분에 매우 인접하게 헤어 고정부재(14)의 타 단(76)가 접근되도록 머리(60) 표면에 베이스 몸체(12)의 외주면(11)이 접촉되도록 안착시켜 올려 놓은 후, 손가락으로 손잡이(18)를 눌러 베이스 몸체(12)와 헤어 고정부재(14)를 도 2와 같이 이격 시킨다.
그런 다음, 도 3 및 도 5와 같이, 머리카락을 헤어 고정부재(14)의 내주면(53)과 베이스 몸체(12)의 외주면(11) 사이에 끼워서 머리카락 뿌리부분을 원하는 방향으로 밀어주어 뿌리부분의 볼륨을 향상시킨다. 이와 동시에 도 4 및 도 5와 같이, 일반 파마에 사용되는 헤어롤(40)에 머리카락의 상부 부분은 말아서 헤어롤 안착홈(20)에 장착하여 끼워 넣는다.
또한, 모발의 굵기 또는 손상의 정도(건강모, 손상모)에 따라 본 발명의 헤어 롯드(10)를 전기모자, 전기 캡 등의 발열기구 안에 넣어서 또는 헤어드라이 등으로 열을 전열시키거나 보온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헤어 롯드(10)는 뿌리부분의 볼륨작업과 웨이브 파마를 별도로 행할 필요가 없고, 한 번에 뿌리부분의 볼륨과 일반 웨이브 파마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어 시간적이 절약되며, 모근의 매우 가까운 부분까지 웨이브를 줄 수 있어 뿌리부분의 볼륨확대나 모류교정 효과가 뛰어난 특징이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 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헤어 롯드
11, 13: 베이스몸체의 외주면, 내주면
12: 베이스 몸체 14: 헤어 고정부재
16: 손잡이 20: 헤어롤 안착홈
22,24: 제 1 및 제 2 지지홈
80:연장돌출부 90: 볼륨부

Claims (5)

  1. 베이스 몸체(12)와, 상기 베이스 몸체(12)와 일 측이 힌지 결합된 헤어 고정부재(14)와, 상기 베이스 몸체(12)와 상기 헤어 고정부재(14)와 연결된 손잡이(18)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18)를 가압하여 상기 베이스 몸체(12)와 상기 헤어 고정부재(14)를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킬 수 있는 헤어 롯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12)는, 머리카락의 뿌리부분 모발이 원호 형상으로 감기도록 원호형상의 볼륨부(90)를 포함한 외주면(11)과, 파마용 헤어롤(40)이 안착될 수 있는 반원형상의 오픈된 헤어롤 안착홈(20)을 형성하도록 오목한 곡선형상을 갖는 내주면(13)으로 구성되며,
    상기 헤어 고정부재(14)는, 상기 베이스 몸체(12)의 외주면(11)과 동일한 원호형상을 갖는 내주면(5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롯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12)는,
    일단(72)의 길이 보다 타 단(73)의 길이가 더 길게 구성되도록 연장 돌출부(8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롯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 고정부재의 일 단(76)은 상기 베이스 몸체(12)의 외주면 연장선(L1)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롯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돌출부(80)의 단부에는 다수 개의 제 1 지지홈(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롯드.
  5. 제 4 항에 있어서,
    파마약제가 상기 고정부재(14)와 상기 베이스 몸체(12) 사이의 모발로 쉽게 흘러 들어가고 모발에 자국이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헤어 고정부재(14)의 일 단(74)에는, 길이가 다른 복수 개의 제 2 지지홈(24)이 물결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롯드.
KR1020120087798A 2012-08-10 2012-08-10 헤어 롯드 KR20140020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798A KR20140020637A (ko) 2012-08-10 2012-08-10 헤어 롯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798A KR20140020637A (ko) 2012-08-10 2012-08-10 헤어 롯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637A true KR20140020637A (ko) 2014-02-19

Family

ID=50267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798A KR20140020637A (ko) 2012-08-10 2012-08-10 헤어 롯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06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9928A1 (ko) * 2016-03-14 2017-09-21 김창기 모발 관리용 헤어클립
KR102330502B1 (ko) * 2021-08-17 2021-11-24 주식회사 케이앤엘큐브 누워짐 방지형 헤어 클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9928A1 (ko) * 2016-03-14 2017-09-21 김창기 모발 관리용 헤어클립
KR102330502B1 (ko) * 2021-08-17 2021-11-24 주식회사 케이앤엘큐브 누워짐 방지형 헤어 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86342B1 (en) Apparatus for curling hair
US20140041679A1 (en) Apparatus for hair modification
CA2838853C (en) Hair iron
KR20140020637A (ko) 헤어 롯드
KR100994214B1 (ko) 웨이브 헤어컬용 롯드
KR20160002450U (ko) 모근 인접 모발용 헤어 로드 세트
KR101176334B1 (ko) 모근 인접 모발용 헤어 로드 세트
US20140261509A1 (en) Hairband and method for using thereof
KR102326850B1 (ko) 뿌리 볼륨 파마용 롯드
KR200448306Y1 (ko) 모류 교정용 헤어핀셋
JP3078424U (ja) ヘアカーラー
US11963597B2 (en) Hair curling rod device configured to create tight spiral curls for all hair textures with or without the use of heat
KR200350249Y1 (ko) 안면 교정구
KR100912286B1 (ko) 파마용 스트레이트 판
CN216907134U (zh) 一种多层次烫发器
KR102620158B1 (ko) 펌용 롯드
JP3219960U (ja) ヘアカーラー
EP2133004A1 (en) Expandable curler
KR20110031870A (ko) 헤어 웨이브 롤
KR20160088672A (ko) 헤어 세팅 롤
KR200394962Y1 (ko) 속눈썹 퍼펙트 로드(rod)
KR20220078134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고데기
US20180132589A1 (en) Hair curler device, kit, and method
KR20220002016U (ko) 헤어롯드
JP4115469B2 (ja) ヘアー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