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0510A - 측구 - Google Patents

측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0510A
KR20140020510A KR1020120087061A KR20120087061A KR20140020510A KR 20140020510 A KR20140020510 A KR 20140020510A KR 1020120087061 A KR1020120087061 A KR 1020120087061A KR 20120087061 A KR20120087061 A KR 20120087061A KR 20140020510 A KR20140020510 A KR 20140020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ground
prevention plate
drain pipe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6289B1 (ko
Inventor
윤봉석
Original Assignee
(주) 가인이엔지코퍼레이션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가인이엔지코퍼레이션,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 가인이엔지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20087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289B1/ko
Publication of KR20140020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우시 배수로와 상부 지반 경계부위에 발생할 수 있는 지반 침식을 방지하여 산사태예방 및 우수의 원활한 흐름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측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측구는 배수관과, 배수관의 상부 외측벽에 날크립형상의 접합부재를 통해 고정 설치되는 지반침식방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지반침식방지판은 경량콘크리트나 PVC계열로 미끌림방지를 위해 하부가 톱날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토사방지턱이 설치되며, 토사방지턱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배수구멍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집중호우에도 배수관에 토사유입을 방지하여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산사태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측구{Gutter}
본 발명은 호우시 배수로와 상부 지반 경계부위에 발생할 수 있는 지반 침식을 방지하여 산사태예방 및 우수의 원활한 흐름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측구에 관한 것이다.
측구란 비눈에 의해 생긴 도로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도로 양쪽 또는 한쪽 도로에 평행하게 만든 배수구로서, 하수구가 완비된 시가지에서는 차도의 양쪽을 낮게 포장한다거나 낮은 L자형의 측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측구를 설치하는 것은 자동차 주행상의 안정성과 주차 등의 편리를 고려한 것이다. 이 측구에 유입된 물은 일정한 간격마다 설치된 집수 유입구에 떨어져 하수도로 흘러든다.
하수도가 없는 지구의 도로에서는 주로 단면이 U자형인 "U"형플륨관이나 벤치플륨관으로 되어 있는 측구가 사용되는데, 깊이는 약 40㎝ 이상이며 덮개를 한 곳도 있다. 이 측구는 노면의 배수뿐만 아니라, 도로에 인접한 가옥으로부터 오수의 배수구도 겸하고 있다. 구릉 지대나 산을 절개한 도로면의 측구는 그 안쪽에 돌이나 벽돌을 깐 것도 있다. 측구의 크기 방식은 배수량과 구배 등에 따라 계산해서 결정한다.
종래 산마루 측구의 기본적인 구조는 그 용도와 형태, 제작 재료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는데, 콘크리트 제품의 경우에는 도 1a 및 1b와 같이 바닥부와 양측벽부로 구성된 구조로서 그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다.
기존 측구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측구설치를 위해 소요공간을 굴착, 측구의 설치(기성제품 또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 제작), 굴착부의 측구 설치 후 잉여 굴착부 되메우기와 다짐 실시 순으로 시공된다.
그러나, 기존 측구제품 및 현장타설 측구를 설치하는 일련의 시공공정에서는 측구 측벽부 상단까지만 되메움 할 수 있고 측구 하부 및 주변지반의 되메움토의 다짐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없기 때문에, 도 2a 및 2b와 같이 호우시 측구 주변지반의 침식이 유발되어 측구와 지반의 연결부 사이에서 굴곡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으로 우수는 결국 측구 하부로 유입되고 이는 사면을 이루는 지반의 단위중량을 증가시키고, 지반강도는 저하시켜 사면의 붕괴가 유발되는 매몰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호우시 기존 측구와 토사 경계분에 발생할 수 있는 유실 및 침식을 예방하는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된 것으로, 상부사면쪽의 측구벽과 상부 지반의 경계에 지반 침식을 방지시켜줄 지반침식방지판을 간단하게 접합 구성함으로써 호우시 측구 주변지반의 침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산사태 예방 및 우수의 원활한 흐름을 유지하도록 한 측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구는, 경사면 측구에 있어서,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의 상부 외측벽에 설치되며, 상면에 배수관과의 연결을 위한 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지반침식 방지판, 및 상기 배수관의 상부 내측벽과 상기 지반침식 방지판에 형성됨 홈 사이에 설치되어 배수관에 상기 지반침식 방지판을 접합 고정하기 위한 접합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측구는 호우시에도 경사면에서 측구로 유입되는 우수가 측구 하부지반으로 스며들지 않아 사면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대형 매몰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 시공시 다소 불량하게 측구 주변지반이 다짐되었다 할지라도 그 측구벽 상부의 지반 경계면에 간단하게 추가 시공될 수 있게 되어 측구 주변지반이 유실되고 하부지반으로 우수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반침식방지판 상부에는 토사방지턱을 설치해 두기 때문에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측구 내 우수의 원활한 흐름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종래 측구에 사용되는 배수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2b는 도 1a 및 1b의 배수관 시공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 "A"부분의 확대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의한 측구의 설치 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 "A"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의한 측구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5b를 보면, 배수관(10), 배수관(10)의 일측벽 상부에 연결되어 지반 침식을 방지하는 지반침식방지판(20), 배수관(10)과 지반침식방지판(20)을 상호 접합하기 위한 접합부재(30), 그리고 토사가 배수관(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토사방지턱(4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배수관(10)은 기존 측구로 사용되는 "U"형플륨관이나 벤치플륨관 등의 기성품이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지반침식방지판(20)은 경량콘크리트 또는 PVC계열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배수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또는 다수의 지반침식방지부재(20A,20B)가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지반침식방지판(20)은 도 4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로 각각 배치되는 지반침식방지부재(20A,20B)의 이음부(21a,21b)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서로 조립되게 되며, 그 조립된 이음부(21a,21b)에 앵커볼트(5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지반침식방지판(20) 하부는 토사 미끌림 방지를 위해 톱날형태로 가공되게 되며, 상부는 배수관(10)과의 연결을 위해 접합부재(30)가 삽입되는 삽입홈(23)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지반침식방지판(20) 상부에는 또한, 토사방지턱(40)을 주변 지역의 여건에 따라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라인(25)이 형성된다. 즉, 지반침식방지판(20)의 상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라인(25)이 다수개 형성되어 토사방지턱(40)을 원하는 고정라인(25)에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접합부재(30)는 날크립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양측 날이 배수관(10)의 일측과 지반침식방지판(20)의 삽입홈(23)에 끼워져 배수관(10)에 지반침식방지판(20)을 고정 설치하게 된다.
토사방지턱(40)은 지반침식방지판(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의 수직으로 세워서 설치되며, 일정간격으로 배수구멍(41)이 형성되어 배수구멍(41)을 통해 우수만 배수로(1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지반침식 방지판(20)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토사방지턱(40)은 호우시 사면을 따라 흐르는 토사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토사방지턱(40)은 우수만을 배수구멍(41)을 통해 배출시킨다.
이상에서 배수관(10)은 통상 사용되는 콘크리트재 또는 프라스틱재가 될 수 있고 지반침식 방지판(20)은 경량콘크리트 또는 PVC 계열로 일체로 성형하거나 별도 성형하여 추가 설치할 수 있으며, 산 지형을 감안하여 중량을 최소화하여 시공성 및 이동성이 향상되게 한다.
이와 같은 측구의 시공방법은 도 5a 및 5b에 보여진 바와 같이, 우선 배수관(10) 설치를 위해 경사면을 가로질러 배수관(10) 크기와 시공성을 고려하여 일정크기의 도랑을 굴착하고 배수관(10)을 설치 또는 현장타설한 후 잉여 굴착부 되메우기와 상부 경사면측에 토사를 일정높이까지 채우면서 다짐을 실시한 후 상부 경사면측 배수관(10)의 측벽에 날크립 형상의 접합부재(30)로 지반침식 방지판(20)을 설치 연결하면 시공이 끝난다. 본 발명의 측구는 기존 배수로에도 추가적인 설치 시공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측구는 배수로의 상부 경사면쪽의 측벽에 지반침식 방지판(20)이 설치되어 있어 지반을 다짐하므로서 호우시 경사면에서 흘러 내려오는 물이 배수로의 측벽과 경사면과의 경계부를 침식할 수 없게 되어 배수로의 저면이나 주위에 세굴이 발생되지 않으며 또한 지반침식 방지판(20)에 설치된 토사방지턱(40)에 의해 상부 경사면에서 흘러 내려오는 토사가 배수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산사태 예방 및 우수의 원활한 흐름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 : 배수관 20 : 지반침식 방지판
21 : 이음부 23 : 삽입홈
25 : 고정라인 30 : 접합부재
40 : 토사방지턱 41 : 배수구멍
50 : 앵커볼트

Claims (8)

  1. 경사면 측구에 있어서,
    배수관;
    상기 배수관의 상부 외측벽에 설치되며, 상면에 배수관과의 연결을 위한 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지반침식 방지판; 및
    상기 배수관의 상부 내측벽과 상기 지반침식 방지판에 형성됨 홈 사이에 설치되어 배수관에 상기 지반침식 방지판을 접합 고정하기 위한 접합부재를 포함하는 측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침식 방지판은 경량콘크리트나 PVC계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침식 방지판은 토사 미끌림 방지를 위해 하부가 톱니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침식 방지판은 토사의 배수관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에 토사방지턱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방지턱은 지반침식 방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되, 일정간격으로 배수구멍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침식 방지판은 상부에 설치되는 토사방지턱의 위치 조절을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라인이 마련되어, 고정라인에 상기 토사방지턱이 끼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는 날크립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침식 방지판은 복수의 지반침식방지부재가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지되, 각각의 지반침식방지부재의 연결부위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서로 조립되며, 그 조립부분은 앵커볼트가 삽입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
KR1020120087061A 2012-08-09 2012-08-09 측구 KR101416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061A KR101416289B1 (ko) 2012-08-09 2012-08-09 측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061A KR101416289B1 (ko) 2012-08-09 2012-08-09 측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510A true KR20140020510A (ko) 2014-02-19
KR101416289B1 KR101416289B1 (ko) 2014-07-28

Family

ID=50267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061A KR101416289B1 (ko) 2012-08-09 2012-08-09 측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2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023A (ko) 2017-11-22 2019-05-30 (주)아모레퍼시픽 폴리글리세릴계 에스테르 오일을 포함하는 샤베트 질감의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1785A (zh) * 2020-04-05 2020-08-07 沈飞 一种路基施工用雨水冲刷防护结构
KR102419419B1 (ko) * 2021-11-10 2022-07-11 하이워터 주식회사 조립식 배수로 장치 및 그 설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806U (ko) * 1997-09-13 1999-04-15 송주원 배수구의 브라켓
KR100385642B1 (ko) * 2000-10-30 2003-06-02 (주)안 엔지니어링 유자형측구에 설치되는 유수침식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법면보호구조
KR101023983B1 (ko) * 2008-03-04 2011-03-28 조우철 타입식 배수용 측구의 시공 방법
KR20090009835U (ko) * 2008-03-26 2009-09-30 주식회사씨앤테크 산마루 측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023A (ko) 2017-11-22 2019-05-30 (주)아모레퍼시픽 폴리글리세릴계 에스테르 오일을 포함하는 샤베트 질감의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6289B1 (ko) 2014-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8710B2 (en) Rainwater channel drain
CN110670605A (zh) 山体道路边坡加固方法
KR101416289B1 (ko) 측구
HU226433B1 (en) Foundation slab of underground passage for road
CN114575208A (zh) 一种便于预制安装的陡坡路基结构
CN213233719U (zh) 边坡地表截排水结构
CN113529752A (zh) 泡沫混凝土生态处治隧道进出口结构的施工方法
KR101172668B1 (ko)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07386320B (zh) 穿越地下混凝土水管道的地下管廊的施工方法
CN113464174B (zh) 一种隧道排防水综合处理系统的施工方法
CN202181539U (zh) 坝后设弃渣场的土石坝坝体渗流监测结构
JP7343188B2 (ja) 谷地形用排水構造および暗渠ブロック
KR100758231B1 (ko)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CN109779682B (zh) 一种富水地段公路隧道排水沟结构体系
KR100647210B1 (ko) 경계석과 일체로 구성된 측구
CN113374936B (zh) 下穿施工中顶部承插管道的托换保护系统及施工方法
CN214460528U (zh) 一种防滑坡治理防护结构
CN109973147B (zh) 一种公路隧道排水沟槽的施作方法
KR20090055149A (ko) 배수관용 비탈면의 보호 블록
CN210013081U (zh) 市政道路排水边沟
KR102174082B1 (ko) 비탈면 배수로 시공방법
KR20090014932A (ko) 배수관용 배수 유도장치
JP2011047107A (ja) 歩車道境界ブロック及び歩車道境界排水構造
KR200346107Y1 (ko) 경계석과 일체로 구성된 측구
JP3594561B2 (ja) 溝構造体用セグメント、溝構造体、該溝構造体用セグメントおよび該溝構造体の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