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9704A - 트윈 스케그 선박 - Google Patents

트윈 스케그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9704A
KR20140019704A KR1020120086442A KR20120086442A KR20140019704A KR 20140019704 A KR20140019704 A KR 20140019704A KR 1020120086442 A KR1020120086442 A KR 1020120086442A KR 20120086442 A KR20120086442 A KR 20120086442A KR 20140019704 A KR20140019704 A KR 20140019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hull
propeller
ster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준
홍춘범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6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9704A/ko
Publication of KR20140019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6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in recesses; with stationary water-guiding elements; Means to prevent fouling of the propeller, e.g. guards, cages 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8Shape of aft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Abstract

트윈 스케그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 스케그 선박은 복수의 프로펠러를 대응하여 구동시키도록 복수의 샤프트가 선미에 설치되는 선체; 복수의 샤프트에 대응하여 선체의 선미에 마련되며, 복수의 샤프트가 각각 내입되어 해수에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스케그; 및 복수의 스케그에 대한 각 유동영역의 상류에서 프로펠러를 향해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프로펠러의 상부영역으로 해수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조절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윈 스케그 선박{TWIN SKEG VESSEL}
본 발명은, 트윈 스케그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미에 한 쌍의 추진기가 설치되어 화물적재에 대한 선폭을 넓게 할 수 있는 트윈 스케그 선박에 관한 것이다.
트윈 스케그 선박은 2축선임에도 불구하고 1축선의 특징을 부여하려고 연구된 선형으로서, 선수 부분은 기존과 같은 단동선이지만, 선박의 후반 부분이 2개로 나뉘어진 변형된 선형을 갖는다.
이러한 선박은 일반적인 2축선 보다도 1축선의 경향에 가깝기 때문에 추진 효율이 4~7% 높다고 알려져 있어, 2축선의 적용이 요구되는 선박에 대해 연료소모량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으나, 프로펠러 위치에서의 불균일한 압력분포로 기진력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부연하면, 이러한 트윈 스케그 선박의 추진기는 점성으로 잃어버린 운동 에너지가 회수될 수 있도록 선미에 설치된다. 즉 추진기가 선미의 느린 흐름에 있으면 선수에 있는 경우와 비교해 선체효율이 우수하여 연비가 좋아진다.
대부분의 1축선 선박은 선체 근방에서 느려진 흐름을 프로펠러로 유도하는 선형이 채택되고 있다. 트윈 스케그 선박도 선체가 만든 소용돌이 같은 흐름이 프로펠러에 흡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기존의 1축선은 선폭을 넓히면 직진성이 나빠져 사용할 수 없지만, 트윈 스케그 선박은 그렇지 않고 2축선을 가지므로 선폭을 넓힐 수 있다. 트윈 스케그 선박은 선폭을 넓힐 수 있어 적재되는 화물이 증가하며 연비도 동시에 증가된다.
그러나, 트윈 스케그 선박은 선체와 프로펠러 사이에서 발생되는 유동저항으로 인해 프로펠러 상부의 흐름이 불안정해지고 트윈 스케그 바깥쪽에서 스케그 사이의 터널 내부로 유동이 발생한다.
이때 트윈 스케그 선박은 스케그에 설치되어 있는 추진기의 프로펠러 상부에 대한 유동압력이 약해지고, 프로펠러에 대한 압력분포의 차이가 심해져 기진력이 발생됨으로써 선박자체에 진동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1998-0009126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선미에 설치된 추진기의 프로펠러에 의한 기진력을 줄일 수 있는 트윈 스케그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프로펠러를 대응하여 구동시키도록 복수의 샤프트가 선미에 설치되는 선체; 상기 복수의 샤프트에 대응하여 상기 선체의 선미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샤프트가 각각 내입되어 해수에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스케그; 및 상기 복수의 스케그에 대한 각 유동영역의 상류에서 상기 프로펠러를 향해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프로펠러의 상부영역으로 해수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조절장치를 포함하는 트윈 스케그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케그는, 상기 선체의 하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샤프트를 따라 유선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선체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는 샤프트 유동안내부; 및 상기 선체와 상기 샤프트 유동안내부를 연결하여 상기 샤프트 유동안내부의 바깥쪽에서 상기 복수의 샤프트 유동안내부 사이로 해수의 유동을 차단하며, 상기 샤프트 유동안내부의 상류로부터 하류까지 해수를 안내하는 선미 유동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조절장치는, 상기 샤프트 유동안내부의 상류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 유동안내부의 유선에 대해 10도 ~ 20도 상기 프로펠러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유동 제어판일 수 있다.
상기 유동 제어판은, 상기 선미로부터 2.5 ~ 3.5 스테이션에 배치되며, 설계흘수의 1/2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제어판은, 상기 선체의 길이와 폭에 대해 각각 1% ~ 2%의 길이 및 0.2% ~ 0.4%의 폭을 갖고, 20mm ~ 5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의 하류 영역에서 상기 선미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의 하류에 대한 유동을 제어하는 복수의 러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체는, 크루즈선 또는 대형 페리의 선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선미의 양측 스케그에 대한 유동구간의 초입에 프로펠러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복수의 유동제어장치에 의해 프로펠러로부터 이탈되기 쉬운 프로펠러에 대한 해수의 유동을 제어하여 프로펠러에 대한 유동압력분포의 편차를 줄임으로써 선미에 설치된 추진기의 프로펠러로부터 발생되는 기진력을 줄일 수 있는 트윈 스케그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윈 스케그 선박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윈 스케그 선박의 유동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윈 스케그 선박과 단일 스케그의 양측에 샤프트가 노출되게 설치된 선박의 프로펠러에 대한 반류분포를 비교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그래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선체는 주로 풍력발전을 위한 풍력발전설비가 탑재된 특수선박의 선체이나,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진 않으며, 레그를 사용하여 해저에 지지되는 기능을 가진 모든 선박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윈 스케그 선박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윈 스케그 선박의 유동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윈 스케그 선박과 단일 스케그의 양측에 샤프트가 노출되게 설치된 선박의 프로펠러에 대한 반류분포를 비교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그래프이다.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윈 스케그 선박은, 한 쌍의 프로펠러(100)를 대응하여 구동시키도록 복수의 샤프트(미도시)가 선미에 설치되는 선체(120)와, 복수의 샤프트(미도시)에 대응하여 선체(120)의 선미에 마련되며 복수의 샤프트(미도시)가 각각 내입되어 해수에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스케그(130)와, 복수의 스케그(130)에 대한 각 유동영역의 상류에서 프로펠러(100)를 향해 경사지도록 설치되되 설치각도가 유선대비 10도~20도로 유지되어 프로펠러(100)의 상부영역으로 해수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조절장치(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선체(120)의 선미에는 추진기의 프로펠러(100)가 설치되는 한 쌍의 스케그(130)가 설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스케그(130)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기존의 한 쌍의 샤프트(미도시)가 노출되어 있고 그 사이에 단일한 스케그가 설치된 오픈 샤프트 선형과 달리, 추진기의 샤프트(미도시)가 노출되어 있지 않고 스케그(130) 안으로 설치되어 있어 해수의 유동저항을 상당히 줄어들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트윈 스케그 선박은, 선체(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동력을 공급하는 추진기의 엔진 또는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샤프트(미도시) 및 샤프트(미도시)에 연결되어 해수를 선미의 하류로 밀어내는 프로펠러(100)가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한 쌍의 샤프트(미도시)를 선미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가 각 스케그(130)와 일체화된 유선형 구조를 갖는다.
이에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샤프트(미도시)에 대한 직접적인 해수의 접촉이 차단되어 샤프트(미도시)의 원통형상에 따른 유동박리 현상이 줄어들고, 프로펠러(100)의 전후를 기해 해수가 원활하게 유동되어 전체적인 선박의 추진에 대한 유동저항을 줄이고, 동시에 프로펠러(100)로부터 캐비티(cavity)의 발생을 줄이어 기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샤프트(미도시)에 의한 유동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스케그(130)는, 선체(120)의 하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저면으로부터 선미부 측으로 돌출-되어 샤프트(미도시)를 따라 유선형으로 마련되며 선체(120)(선미부 저면)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는 샤프트 유동안내부(145)와, 선체(120)(선미부 저면)에 샤프트 유동안내부(145)를 연결하여 샤프트 유동안내부(145)의 바깥쪽에서 복수의 샤프트 유동안내부(145) 사이로 해수의 유동을 차단하며 샤프트 유동안내부(145)의 상류로부터 하류까지 해수를 안내하는 선미 유동안내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스케그(130)는 한 쌍의 스케그(130)이며, 유선형인 샤프트 유동안내부(145)에 의해 샤프트(미도시)를 따라 해수의 유동이 원활하게 형성됨으로써 샤프트(미도시)에 대한 유동저항을 줄일 수 있고, 샤프트 유동안내부(145)의 상면부로터 선체(120)의 저면으로 결합되는 물고기의 꼬리 지느러미와 같은 선미 유동안내부(146)에 의해 선미의 상류 바깥 측로부터 선미의 프로펠러(100) 측으로 유입되는 해수가 한 쌍의 스케그(130) 사이로 유동되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한 쌍의 프로펠러(100)에 사이에서 해수의 와류에 의한 유동저항을 줄일 수 있다.
이때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미 측 해수의 유동은 한 쌍의 스케그(130)의 바깥쪽과 한 쌍의 스케그(130) 사이로 크게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다. 즉 추진기가 가동되어 선체(120)가 이동될 때, 선체(120)에 대한 해수의 유동은 선체(120)의 측면과 그 하부로부터 각 스케그(130) 측으로 향하는 제1 해수의 유동과, 선체(120)의 바닥과 하부로터 한 쌍의 스케그(130) 사이로 향하는 제2 해수의 유동이 있을 수 있다.
선미의 양측 스케그(130) 바깥 측으로부터 프로펠러(100) 측으로 유입되는 제1 해수의 유동은 선미 유동안내부(146)에 의해 제2 해수의 유동과 분리될 수 있으며, 제2 해수의 유동은 한 쌍의 선미 유동안내부(146) 사이를 지나 선미의 하류를 향하는데, 제1 해수의 유동에 의한 영향이 적어 소용돌이의 발생이 적고 선체(120)로부터 박리가 없도록 유동 경계층이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 쌍의 스케그(130)에 대한 유동저항은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한 쌍의 스케그(130)에는 샤프트(미도시)가 해수에 노출되지 않게 설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로펠러(100) 측으로 해수의 유동을 안내하여 프로펠러(100)를 지나는 해수의 압력감소에 의한 캐비티의 발생을 줄임으로써 프로펠러(100)에 의한 기진력을 줄일 수 있는 유동조절장치(140)가 설치된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 유동조절장치(140)는, 샤프트 유동안내부(145)의 상류영역에 배치되며, 샤프트 유동안내부(145)의 유선에 대해 10도 ~ 20도 프로펠러(100)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유동 제어판(150)일 수 있다.
유동조절장치(140)가 복잡하게 구성되는 경우에는 고장을 일으켜 수리가 어려운 측면이 있으므로, 본 실시 예에서는 선체(120)에 일정한 각도로 견고하게 설치되어 해수를 안내할 수 있는 유동 제어판(150)을 유동조절장치(140)로 상정한다.
그러나, 유동조절장치(140)는 선박의 속도에 따라 능동적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경사각 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의 유동 제어판(150)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유동 제어판(150)은, 선체(120)의 저면부에서 선미 끝단 측으로 배치되는 스케그(130)의 시작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데, 선체(120)의 저면부와 측방으로부터 스케그(130)로 유입되어 형성되는 해수의 일부 유동이 프로펠러(100)의 상부 측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유동 제어판(150)은, 각각의 스케그(130)에 접촉되면서 각각의 스케그(130)를 따라 유동되는 해수의 유선방향에 대해 10도 ~ 20도 사이로 기울어지게 설치됨으로써 하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해수의 유동압력이 감소되는 프로펠러(100)의 상부 측으로 해수의 유동을 유도할 수 있다.
즉 프로펠러(100)의 상부는 선미의 저면부에 인접하여 선체(120)의 저면부보다 높은 위치로서, 선체(120)의 후방부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프로펠로(100)는 회전될 때 상부영역에 대한 유동압력의 손실이 커서 -프로펠러(100)가 상부영역을 지날 때는 해수의 유입량이 충분하지 못해 해수의 압력이 떨어지게 됨- 프로펠러(100)의 각속도가 크고 해수에 먼저 부딪히게 되는 날개 외곽부에는 캐비티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유동 제어판(150)은, 선미로부터 2.5 ~ 3.5 스테이션(station)에 배치되며, 설계흘수의 1/2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션은 선체(120)를 10등분 하였을 때 1등분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설계흘수는 선박의 설계 시에 해수에 가라앉는 선체(120)의 허용높이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유동조절장치(140)가 배치되는 2.5 ~ 3.5 스테이션(station)과 설계흘수의 1/2 하부에 위치는, 선체(120)의 하부에서 스케그(130)가 시작되는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해당될 수 있다.
유동 제어판(150)은, 해수가 각 스케그(130)로 진입되는 상태에서 해수의 유동을 프로펠러(100)로 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해수는 스케그(130)의 시작위치로부터 점차 하류로 이동되면서 유속이 증가되는데, 스케그(130)의 시작위치에 인접하여 유속이 증가되어가는 해수가 프로펠러(100) 측으로 안내됨으로써 유동저항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프로펠러(100) 측에 대한 유동압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유동 제어판(150)은, 선체(120)의 길이와 폭에 대해 각각 1% ~ 2%의 길이 및 0.2% ~ 0.4%의 폭을 갖고, 20mm ~ 5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유동 제어판(150)의 선체(120)에 대한 비례적인 크기는 선체(120)의 크기에 비례하여 프로펠러(100)에 대한 유동압력분포의 편차가 증가됨을 고려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유체해석 및 이를 토대로 실험적으로 안출한 최적에 가까운 비례적인 치수이다. 유동 제어판(150)은, 최적화된 크기보다 커지는 경우에는 자체의 유동저항에 의한 손실이 커져 연료효율이 떨어지고, 최적화된 크기보다 작아지는 경우에는 프로펠러(100)에 대한 압력편차가 커져 프로펠러(100)에서 기진력에 의한 진동이 증가될 수 있다. 즉 유동 제어판(150)은 연료효율을 높이면서 프로펠러(100)의 기진력을 함께 감쇠시킬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이러한 비례적인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 예에 따른 트윈 스케그 선박은 프로펠러(100)에 대한 압력분포의 편차가 줄어들게 된다. 즉, 도 3에는 샤프트 오픈 타입의 선박과 본 실시 예에 따른 스케그(130)에 샤프트(미도시)가 완전히 내입되고 유동조절장치(140)가 설치된 트윈 스케그 선박에 대한 프로펠러(100)의 반류분포가 도시되어 있다. 반류분포가 세다는 것은 유동압력이 크다는 것이므로, 반류분포는 유동압력의 분포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도 3에서 좌측에 도시된 반류분포가 기존의 샤프트 오픈 타입 트윈스 케그 선박의 프로펠러에 대한 반류분포이며, 우측에 도시된 반류분포가 본 실시 예에 따른 트윈스 케그 선박의 프로펠러에 대한 반류분포이다. 즉 도 3의 좌측에 도시된 원형 안에 표시된 반류분포는 오픈 샤프트(미도시) 선형에 대한 반류분포이고, 우측에 도시된 반류분포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반류분포이다. 이때 반류분포가 표시된 원형은 프로펠러(100)의 회전영역에 해당된다. 또한 반류분포는 녹색, 노랑, 주황, 빨강색 순으로 세기가 커지는 순서이다. 또한 반류분포의 세기가 크면 기진력이 줄어들며, 반류분포의 세기가 약하면 기진력이 증가한다.도 3에 도시된 양측 반류분포를 비교해보면, 좌측에 도시된 반류분포의 상부에 보다 넓은 녹색분포가 존재하고 상대적으로 우측에 도시된 반류분포는 녹색분포가 줄어들어 있다. 즉 좌측과 우측에 도시된 반류분포는 녹색에 해당하는 영역만큼 반류분포가 약한-유동압력이 떨어지는-영역이 존재한다. 우측에 도시된 반류분포는 좌측에 비해 녹색영역이 줄어들었고, 빨강영역이 증가하였다.
이를 볼 때, 우측에 도시된 반류분포를 갖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트윈 스케그 선박은, 유동조절장치(140)에 의해 프로펠러(100)의 상부에 대한 유동압력이 보충되어 프로펠러(100)의 상부에 대한 상부영역에서 유동압력이 증가되므로, 해수의 유동 중 유동압력이 줄어듦에 따라 발생되는 캐비티에 의한 기진력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트윈 스케그 선박은, 기존의 트윈스 케그 선박보다 유동조절장치(140)에 의해 더 많은 해수를 프로펠러(100) 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어 유동압력이 강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3의 좌측에 도시된 반류분포보다 녹색영역을 줄일 수 있으므로, 캐비티에 의한 기진력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트윈 스케그 선박은 복수의 프로펠러(100)의 하류 영역에서 선미에 설치되며, 복수의 프로펠러(100)에 각각 대응하여 복수의 프로펠러(100)의 하류에 대한 유동을 제어하는 복수의 러더(160, rudd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선미에는 한 쌍의 프로펠러(100)에 대응하여 선체(120)의 이동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한 쌍의 러더(160)가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러더(160)는 각 프로펠러(100)의 후류에 대한 메인 유동방향을 조정함으로써 배의 진행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키에 해당한다.
이러한 한 쌍의 러더(160)는 한 쌍의 프로펠러(100) 사이에 단일하게 설치되기보다는 한 쌍의 프로펠러(100)에 대응하게 하류에 설치됨으로써 한 쌍의 프로펠러(100)의 추력을 모두 이용하여 좀더 효율적으로 진행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선체(120)는, 크루즈선 또는 대형 페리의 선체(120)일 수 있다. 즉 크루즈선 및 대형 페리가 트윈 스케그 선형으로 제작되는 경우에, 트윈 스케그 선형에 의해 보다 넓은 선폭을 가질 수 있으므로, 대형 여객선답게 장거리를 여행할 많은 여객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캐빈과 각종 편의 시설물을 충분하게 탑재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프로펠러 110: 샤프트
120: 선체 130: 스케그
140: 유동조절장치 145: 샤프트 유동안내부
146: 선미 유동안내부 150: 유동 제어판
160: 러더

Claims (7)

  1. 복수의 프로펠러를 대응하여 구동시키도록 복수의 샤프트가 선미에 설치되는 선체;
    상기 복수의 샤프트에 대응하여 상기 선체의 선미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샤프트가 각각 내입되어 해수에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스케그; 및
    상기 복수의 스케그에 대한 각 유동영역의 상류에서 상기 프로펠러를 향해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프로펠러의 상부영역으로 해수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조절장치를 포함하는 트윈 스케그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케그는,
    상기 선체의 하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샤프트를 따라 유선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선체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는 샤프트 유동안내부; 및
    상기 선체와 상기 샤프트 유동안내부를 연결하여 상기 샤프트 유동안내부의 바깥쪽에서 상기 복수의 샤프트 유동안내부 사이로 해수의 유동을 차단하며, 상기 샤프트 유동안내부의 상류로부터 하류까지 해수를 안내하는 선미 유동안내부를 포함하는 트윈 스케그 선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조절장치는, 상기 샤프트 유동안내부의 상류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 유동안내부의 유선에 대해 10도 ~ 20도 상기 프로펠러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유동 제어판인 트윈 스케그 선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제어판은, 상기 선미로부터 2.5 ~ 3.5 스테이션에 배치되며, 설계흘수의 1/2 하부에 배치되는 트윈 스케그 선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제어판은, 상기 선체의 길이와 폭에 대해 각각 1% ~ 2%의 길이 및 0.2% ~ 0.4%의 폭을 갖고, 20mm ~ 50mm의 두께를 갖는 트윈 스케그 선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의 하류 영역에서 상기 선미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의 하류에 대한 유동을 제어하는 복수의 러더를 더 포함하는 트윈 스케그 선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는, 크루즈선 또는 대형 페리의 선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스케그 선박.
KR1020120086442A 2012-08-07 2012-08-07 트윈 스케그 선박 KR201400197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442A KR20140019704A (ko) 2012-08-07 2012-08-07 트윈 스케그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442A KR20140019704A (ko) 2012-08-07 2012-08-07 트윈 스케그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704A true KR20140019704A (ko) 2014-02-17

Family

ID=50267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442A KR20140019704A (ko) 2012-08-07 2012-08-07 트윈 스케그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970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987A (ko) 2014-07-10 2016-01-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트림 조절 장치
KR20160003503U (ko) * 2015-04-01 2016-10-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프로펠러와 러더의 거리 조절장치
KR20180056069A (ko) * 2016-11-18 2018-05-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추력 발생 장치
KR20190032937A (ko) 2017-09-20 2019-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20190116797A (ko) * 2018-04-05 2019-10-15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에너지 절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987A (ko) 2014-07-10 2016-01-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트림 조절 장치
KR20160003503U (ko) * 2015-04-01 2016-10-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프로펠러와 러더의 거리 조절장치
KR20180056069A (ko) * 2016-11-18 2018-05-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추력 발생 장치
KR20190032937A (ko) 2017-09-20 2019-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20190116797A (ko) * 2018-04-05 2019-10-15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에너지 절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9704A (ko) 트윈 스케그 선박
GB2515699A (en) Device for propelling and turning hull
Sauder et al. Hydrodynamic testing of wind-assisted cargo ships using a cyber–physical method
KR20140038217A (ko) 선박용 추진 시스템
JP5426699B2 (ja) 2軸ツインスケグ船
JP2018062329A (ja) スターンフィン装備船用舵装置
KR101049308B1 (ko) 가변핀을 구비하는 선박
WO2015121072A1 (en) Improvements related to ship propulsion provided with main and secondary propulsion devices
JP6026161B2 (ja) 船舶
Krasilnikov et al. Numerical investigation into scale effect on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win-screw offshore vessels
US7316194B1 (en) Rudders for high-speed ships
WO2006007054A9 (en) Transportation vehicle and method operable with improved drag and lift
KR102403616B1 (ko) 선박용 키 및 선박
JP5032873B2 (ja) 2軸ツインスケグ船
KR20120068222A (ko) 선박용 덕트 구조체
CN201670336U (zh) 水翼旋转的三体船
Moctar et al. Numerical analysis of the steering capability of a podded drive
CN219821744U (zh) 一种船舶用的闸门舵结构
Baniela The performance of a tunnel bow thruster with slow speed ahead: A revisited issue
KR101431497B1 (ko) 선박
US20230391436A1 (en) Ship construction and propulsion system
US20230150610A1 (en) Vessel with stern positioned foil to reduce wave resistance
KR101358126B1 (ko) 선박
KR20160056470A (ko) 선박용 추진장치
Lee et al. Development of Complex Energy Sav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