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8565A -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 Google Patents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18565A KR20140018565A KR1020120084830A KR20120084830A KR20140018565A KR 20140018565 A KR20140018565 A KR 20140018565A KR 1020120084830 A KR1020120084830 A KR 1020120084830A KR 20120084830 A KR20120084830 A KR 20120084830A KR 20140018565 A KR20140018565 A KR 201400185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link
- handle
- rotation
- home applian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4 contradic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51 dish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6—Handles for carry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4—Hand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47B2095/022—Pivotable handles with two socke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46—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76—Transmission of human force
- E05Y2201/68—Handles, cra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제품에 관한 것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가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챔버를 개폐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도어; 그리고 상기 도어 개폐시, 상기 도어에 대하여 회전하고,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도어를 도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는 핸들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가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챔버를 개폐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도어; 그리고 상기 도어 개폐시, 상기 도어에 대하여 회전하고,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도어를 도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는 핸들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전제품에 관한 것으로, 도어가 구비된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가전제품은 가정이나 실내에서 전기 또는 기타 에너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품들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물을 세탁하거나 건조하기 위한 세탁장치,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기 위한 냉장고,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식기세척기,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오븐이나 전자레인지 등이 가전제품의 일례일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일례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가전제품이 있을 것이다.
많은 경우, 가전제품은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 내부에는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챔버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챔버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 세탁물이 세탁되는 공간, 의류가 보관되거나 처리되는 공간,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 또는 음식물이 보관되는 공간 등 그 형태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전제품의 용도나 목적에 따라 상기 챔버는 다양한 용어로 불릴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가전제품은 대상물의 출입을 위해 개폐되는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상기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핸들이 구비될 수 있다.
가전제품의 용량, 특히 챔버의 용량이 커짐에 따라 상기 도어의 크기도 커지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도어의 무게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어의 크기와 무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상기 핸들을 통해 용이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가전제품 중 종래의 오븐 또는 식기세척기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어(30)의 전면 상부에 핸들(40)이 구비되고, 도어 하부의 회전 중심에 따라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오븐 또는 식기세척기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캐비닛(20)의 전면에 구비되는 핸들(40)을 잡고, 잡아당김과 동시에 아래로 힘을 가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도어를 풀다운 (pull-down) 형태의 도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들(40)은 상기 도어(30)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많은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a)는 손등(b)이 상부를 향하게 주먹을 쥔 상태로 핸들(40)을 잡고 도어(40)를 열게 된다. 이 경우, 도어가 열림에 따라 사용자의 손목이 꺾이게 되고, 심지어 도어 상부 모서리(30a)에 손등(b)이 눌리는 경우도 발생 될 수 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도어를 여는 도중 핸들을 잡는 형태를 바꾸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 왜냐하면 이때 한 손은 핸들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바꿔 상기 핸들을 잡아야 하는 불편이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사용자는 손바닥이 상부를 향하게 주먹을 쥔 상태로 핸들(40)을 잡고 도어(40)를 열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손목이 꺾이게 되며, 손목이나 손바닥이 상기 모서리(30a)에 눌리는 경우도 발생 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가 어느 정도 회전하여 열린 상태에서는 핸들(40)이 사용자의 시야를 벗어나게 된다. 특히, 도어가 90도 회전하여 완전히 열린 상태인 경우에는, 핸들(40)이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나게 되어 도어를 다시 닫게 될 때 핸들(40)을 다시 잡기 불편한 문제가 있다.
특히, 이러한 핸들을 통해 도어를 개폐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목이나 팔뿐만 아니라 허리, 무릎이나 어깨 등 다양한 관절과 근육 부위의 움직임을 요하게 되어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가전제품의 용량이 커짐에 따라 도어의 크기 및 무게도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함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핸들을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 시 사용자의 수고와 불편을 최소화하여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가전제품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도어 개폐 시에 핸들이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도어를 열고 다시 닫을 때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도어 개폐 시 사용자의 손목의 꺾이는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도어의 모서리에 사용자의 손등이나 손목이 눌리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도어 회전과 연동되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핸들을 잡는 형태를 바꿀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도어가 개폐되는 형태와 무관하게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도어의 회전에 종속적으로 그리고 비례적으로 핸들이 이동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도어의 개폐와 핸들의 이동 사이에서 오인 혼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도어 개폐시 핸들을 통해서 최소한의 힘을 지속적으로 가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 개폐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종래의 핸들보다 도어를 회전시켜 개폐하기 위한 모멘트 거리를 늘릴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챔버를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해 도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그리고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회전과 연동되어 상기 도어의 열림 각도에 따라 상기 도어에 대한 위치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핸들을 갖는 핸들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가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챔버를 개폐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도어; 그리고 상기 도어 개폐시, 상기 도어에 대하여 회전하고,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도어를 도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는 핸들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회전과 연동되어 상기 도어에 대한 위치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도어에 대한 각도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가 달라지도록 구비되는 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핸들의 회전과 상기 도어의 회전은 서로 연동된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핸들의 회전이 상기 도어의 회전을 일으킨다고 할 수 있고, 반대로 도어의 회전이 핸들의 회전을 일으킨다고 할 수 있다.
초기에 도어를 열기 위해서는 핸들에 힘을 가하게 될 것이며, 이로 인해 도어가 열리게 된다. 따라서, 핸들의 회전이 도어의 회전을 일으킨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도어가 열림에 따라 도어의 자중에 의해서 도어가 열리는 힘이 더욱 커진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반대로 도어가 급격히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핸들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은 오히려 도어가 닫히는 방향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어느 정도 열린 후에는 도어의 회전이 핸들의 회전을 일으킨다고 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은 오븐 또는 식기세척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전제품은 냉장고, 리프레셔 또는 세탁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도어는 핸들을 잡고 상부로 회전시켜 여는 풀업(pull-up) 형태 또는 하부로 회전시켜 여는 풀다운(pull-down) 형태의 도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풀사이드(pull-side) 형태의 도어일 수도 있다. 이러한 도어 형태는 가전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식기 세척기나 오븐과 같은 가전제품에는 풀 업 형태 또는 풀 다운 형태의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냉장고나 세탁장치와 같은 가전제품에는 풀 사이드 형태의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핸들과 연결되고, 상기 도어와 연동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 또는 회전력을 상기 핸들로 전달하는 링크(link)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핸들의 회전과 연동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 각도 또는 회전력을 상기 도어로 전달하는 링크(link)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링크는 상기 핸들과 일체로 회전하는 핸들 링크와 상기 핸들 링크가 회전하는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링크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링크와 링크 회전축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핸들의 회전 각도는 상기 도어의 열림 각도가 커질수록 커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은 상기 도어의 전면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링크 회전축은 상기 도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열림 각도가 커짐에 따라 상기 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핸들 링크의 길이가 커질 수 있다.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핸들 링크가 노출되는 부분을 덮도록 구비되는 링크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링크는, 상기 링크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도어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에서 상기 도어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핸들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3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핸들 링크는, 상기 핸들과 실질적으로 수평이 되도록 상기 링크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도어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수평부; 상기 상부 수평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수평부와 상기 핸들 사이의 수직 이격 거리를 형성하는 수직부; 그리고 상기 수직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일단이 상기 핸들과 연결되는 하부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수평부를 제1연결부, 하부 수평부를 제2연결부 그리고 수직부를 제3연결부라 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와 하부 수평부는 하나의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부를 이루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수평부는 상기 핸들이 상기 도어 전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는 거리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부는 상기 핸들이 상기 도어 전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거리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 링크는 핸들이 도어 전면으로부터 수평 방향 그리고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는 범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실질적으로 90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수평부가 상기 링크 회전축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90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크는, 상기 도어가 상기 도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핸들 링크를 상기 링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링크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핸들 링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링크 연결부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링크 연결부는 상기 링크 연결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연결부의 일단은 상기 핸들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 연결부와 상기 핸들 링크가 연결되는 부분을 링크 노드라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회전축과 상기 링크 연결부 회전축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회전축에 대한 상기 링크 회전축의 회전 반경과 상기 링크 연결부 회전축에 대한 상기 링크 회전축의 회전 반경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 링크가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면 패널, 측면 패널 그리고 후면 패널로 이루어지고 도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전방에 구비되는 핸들을 갖는 핸들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전제품에 있어서,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되는 링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핸들을 상기 링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핸들 링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핸들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전면 패널에 대한 상기 핸들의 수평 이격 거리와 수직 이격 거리가 가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 패널에는 상기 핸들 링크가 출입하도록 연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일단은 링크 연결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타단은 상기 핸들 링크를 회전시키는 링크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연결부 회전축은 상기 도어 회전축과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회전축에 대한 상기 링크 회전축의 회전 반경과 상기 링크 연결부 회전축에 대한 상기 링크 회전축의 회전 반경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 링크가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연결부의 타단은 상기 핸들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즉, 링크 노드를 통해 상기 링크 연결부와 상기 핸들 링크 사이의 각도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연결부는 상기 핸들 링크의 회전 시 간섭을 피하기 위한 루푸 연결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의 개폐시 개폐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댐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링크 연결부의 타단은 상기 댐퍼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핸들이 상기 링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전제품의 베이스에 대한 상기 핸들의 자세는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어 전면 일측에 구비되는 핸들; 도어 내부에 링크 회전축을 갖고 상기 핸들과 연결되어, 상기 핸들을 상기 링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핸들 링크; 그리고 상기 핸들 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도어의 타측에 구비되는 도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핸들 링크를 회전시키는 링크 연결부를 갖는 도어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 어셈블리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도어와 핸들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도어는 전면, 후면, 측면 패널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핸들, 핸들 링크 그리고 링크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링크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핸들 링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링크 연결부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링크 연결부는 상기 링크 연결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회전축, 상기 링크 연결부 회전축 그리고 상기 링크 회전축은 상기 도어에 대해서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링크와 상기 링크 연결부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링크 회전축을 중심으로 스윙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와 상기 핸들의 회전 각도는 실질적으로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 연결부는 상기 도어의 회전력을 상기 링크에 전달하여 상기 링크가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전제품의 베이스에 대한 상기 핸들의 자세는 고정되며, 상기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상기 핸들은 상기 도어 전면을 벗어나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실시예들 각각의 특징들이 서로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은 한, 각각의 실시예들은 서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도어 개폐 시에 핸들이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도어를 열고 다시 닫을 때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도어 개폐 시 사용자의 손목의 꺾이는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도어 회전과 연동되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핸들을 잡는 형태를 바꿀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도어가 개폐되는 형태와 무관하게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도어의 회전에 종속적으로 그리고 비례적으로 핸들이 이동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도어의 개폐와 핸들의 이동 사이에서 오인 혼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도어 개폐시 핸들을 통해서 최소한의 힘을 지속적으로 가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 개폐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종래의 핸들보다 도어를 회전시켜 개폐하기 위한 모멘트 거리를 늘릴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전제품의 도어 개폐 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전제품의 도어 개폐 각도에 따른 핸들의 자세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전제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가전제품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가전제품에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가전제품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핸들 링크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전제품의 도어 개폐 각도에 따른 핸들의 자세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전제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가전제품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가전제품에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가전제품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핸들 링크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개략도이며, 도 1에 도시된 가전제품과 본 발명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100)은 캐비닛(200), 도어(300) 그리고 핸들(4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핸들(40)과는 달리 본 실시예에서의 핸들(410)은 도어(300)에 대해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30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핸들(410)의 이동은 상기 도어의 개폐와 연동될 수 있다.
상기 핸들(410)은 도 1에 도시된 핸들(40)과는 달리 도어(300)에 대해서 기울어질 수 있고, 그 기울기는 도어(3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핸들(410)은 도 1에 도시된 핸들(40)과는 달리 도어(300)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고, 그 회전 각도는 도어(3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즉, 상기 핸들(410)은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도어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달리하여 사용자의 손목 꺾임 등을 방지할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어가 회전함에도 불구하고 핸들(410)의 자세는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바닥면이나 가전제품의 베이스에 대한 상기 핸들(410)의 자세는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410)은 도어가 열림에 따라 항상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아울러, 도어 전면에 대해 상기 핸들(410)이 이루는 각도는 도어가 열리는 각도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가 열림에 따라 사용자의 손목이 꺽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손등(b)이 도어 모서리(300a)에 눌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어의 개폐와 핸들(410)의 연동, 그리고 핸들(410)의 이동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어의 열림 각도에 따른 핸들(410)의 위치 변화를 명확히 도시하고 있다. 도 3과 도 4에서는 바닥면에 대해 도어가 수직하게 위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일례에 불과하며, 바닥면에 대해 도어가 예각 또는 둔각을 갖도록 위치될 수 있고, 아울러 도어가 닫혔을 때 도어 전면에 대해 핸들이 이루는 각도도 수직이 아닌 예각 또는 둔각일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410)은 도어(30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도어(300)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410)는 바닥면이나 가전제품의 베이스에 대해서 수평하게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도어(300)가 회전하여 열림에 따라 상기 핸들(410)이 도어로부터 이동하게 되고 이동 거리가 점차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어(300)가 회전하여 열림에 따라 도어(300) 전면과 상기 핸들(41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또한, 도어(300)가 회전하여 열림에 따라 도어(300) 전면에 대한 상기 핸들(410)의 각도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핸들(410)의 기울어짐 각도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어의 열림 각도(α)가 커짐에 따라 핸들(410)의 기울어짐 각도(θ)가 커짐을 알 수 있다. 일례로 도어의 열림 각도가 α1에서 α2로 커짐에 따라 핸들(410)의 기울어짐 각도가 θ1에서 180도로 커짐을 알 수 있다.
도 3은 α가 0도에서 90도로 가변됨에 따라 θ가 90도에서 180도로 가변되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반드시 이러한 각도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핸들(410)의 자세, 즉 바닥면에 대한 자세는 고정될 수 있고, 반면에 도어(300)에 대한 상대적인 핸들(410)의 위치는 가변될 수 있다. 또한, 도어(300)가 회전하여 열림에 따라 도어(300)에 대하여 핸들(410)은 상대적인 수직 이동 및 수평 이동을 하게 된다. 이를 상기 도어에 대한 핸들(410)의 회전 이동이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어가 바닥면에 대해 90도 위치에서 닫힌 상태이고 180도 위치에서 완전히 열린 상태라 하면, 도어에 대한 핸들은 90도 위치에서 닫힌 상태이고 180도 위치에서 완전히 열린 상태라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핸들(300)은 도어 전면이 형성하는 영역에 위치된다. 그러나, 도어(300)가 회전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핸들(300)은 상기 도어 전면이 형성하는 영역을 벗어나게 된다. 실질적으로 도어가 90도 회전하여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상기 핸들(300)은 상기 도어 전면이 형성하는 영역을 완전히 벗어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도어가 어떠한 위치에 있든지 상기 핸들(410)은 항상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어 개폐 시 사용자의 손목이 꺾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핸들(410)을 용이하게 찾아서 잡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핸들(410) 조작을 위한 사용자의 신체 이동이 최소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300)와 핸들(410) 사이에는 도어의 회전과 연동되어 상기 핸들(410)을 이동시키는 링크(430, 도 6참조)가 포함될 수 있다. 링크에 대한 상세는 후술한다. 도 3과 도 4에는 상기 링크(430)를 이루는 핸들 링크(43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링크(430)는 도어(300)와 핸들(410) 사이에 구비되는 핸들 링크(4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도어(300)에 대한 핸들(410)의 상대적인 위치는 상기 핸들 링크(431)의 이동으로 인해 발생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410)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그립부(411) 그리고 상기 그립부(411)와 도어(300) 전면과 기본적인 거리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돌출부(4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거리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립부(411)를 통하여 핸들(410)을 잡고 도어(300)를 열어서 가전제품(100) 내부의 챔버(250)를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0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 특히 오븐에 대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오븐의 도어(300)는 사용자가 핸들(410)을 잡고 도어를 하부로 회전시켜 여는 풀다운(pull-down) 형태라 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은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내부에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250)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캐비닛 자체가 상기 챔버(250)를 직접 형성할 수도 있고, 캐비닛 내부에 별도의 구조물들을 통해서 챔버(250)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가전제품의 전방에는 도어(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0)를 열면 상기 챔버(250)가 가전제품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300)를 열어 챔버(250) 내로 대상물을 투입하거나 챔버(250) 내에서 대상물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300)는 도어 회전축(350, 도 7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도어 회전축(350)은 상기 도어(300)의 무게를 감안하여 상기 캐비닛(200)에 대해서 고정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적어도 상기 도어 회전축(350)의 병진 이동은 제한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도어(300)는 병진 이동이 고정된 도어 회전축(35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폐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 회전축(350) 내지는 도어를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 힌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본 발명의 특별한 관심 사항이 아니고, 당업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도시되어 있지만 설명되지 않은 구성들은 가전제품을 이루는 구성들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별한 관심 사항이 아니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오븐의 경우에는 챔버(250) 내부가 고온에 노출되기 때문에 챔버(250) 내의 열이 도어(300)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챔버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그 구조가 복잡하고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300)는 전면 패널(310), 측면 패널(330) 그리고 후면 패널(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310)과 후면 패널(320)에는 중앙 부분에 개구부(311, 32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개구부에는 투명창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에서 챔버(250) 내부를 살펴볼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면 패널(330)은 상기 전면 패널(310)이나 후면 패널(320)과 별도로 구성되거나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300)는 전면 패널(310)과 후면 패널(320)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 패널(3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중간 패널(340)에도 중앙 부분에 개구부(34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개구부에는 투명창이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패널들(310, 320, 330, 340)을 통해 도어(300)의 외형이 형성될 수 있고, 도 5에는 이러한 복수 개의 패널들이 분해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설명의 편의상 핸들 어셈블리(400)와 캐비닛(200)에서 복수 개의 패널들이 분해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어(300)의 전면 상부, 구체적으로는 전면 패널(310)의 전면 상부에는 핸들(410)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410)은 도어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핸들(410)의 위치에 대응되어 상기 도어 회전축(350)은 도어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즉, 핸들(410)이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면, 도어 회전축(350)은 도어의 타측에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은 상기 도어(300)의 회전과 연동되어 상기 도어의 열림 각도에 따라 상기 도어에 대한 위치가 가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의 열림 각도가 커짐에 따라 상기 핸들(410)의 이동 변위는 더욱 커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핸들(410)은 기본적으로 도어의 전면 패널(310) 외측에 구비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잡게 되는 그립부(411, 도 3참조)와 상기 그립부(411)를 상기 전면 패널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돌출부(412, 도 3 참조)를 포함하여 핸들(410)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의 전면 패널(310)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구비되는 부분을 그립부(411)라 할 수 있고, 그립부(411) 양단에서 상기 그립부(411)를 상기 전면 패널(310)과 연결시키는 부분을 돌출부(412)라 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핸들은 상기 돌출부(412)가 상기 도어에 고정되어 있다. 이를 통해 그립부(411)도 상기 도어(300)에 고정되어 있다. 반면에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들(410)은 상기 도어의 열림 각도에 따라 상기 도어에 대한 위치가 가변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핸들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고, 이는 도어의 회전과 연동됨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핸들(410)은 핸들 어셈블리(400)를 이룰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전제품은 상기 핸들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었으나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 312, 342 그리고 343 등에 대응되는 구성들의 설명은 후술한다.
도 6에는 상기 핸들 어셈블리(400)가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도어를 이루는 패널들이 제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 어셈블리(400)는 핸들(410)과 아울러 링크(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링크(430)는 도어의 회전과 연동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430)는 도어의 회전력 또는 도어의 회전 각도를 전달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링크(430)는 상기 핸들(410)과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상기 도어와 연동되어 도어의 회전 각도나 회전력이 상기 링크를 통해 상기 핸들(410)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도어는 상기 링크(430)의 이동과 연동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상기 링크(430)는 핸들(410)의 회전을 상기 도어의 회전으로 전환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430)는 전술한 핸들(410)의 돌출부(412)와 연결되는 핸들 링크(4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핸들 링크(431)는 상기 돌출부(4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 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링크(430)는 상기 핸들 링크(431)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링크 회전축(4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 링크(431)가 상기 링크 회전축(433)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핸들(410)도 상기 링크 회전축(43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기본적으로 상기 핸들(410)은 상기 도어의 전면 외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링크 회전축(433)과 핸들 링크(431)는 도어의 내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어(300)의 전면 패널(310)과 후면 패널(320) 사이의 공간에 상기 핸들 링크(43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핸들 링크(431)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핸들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어의 열림 각도가 커짐에 따라 상기 링크 회전축(433)에 대한 상기 핸들 링크(431)의 회전 각도도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핸들(410)의 회전 각도도 커지게 된다. 이는 상기 핸들 링크(431)가 도어 전면에 노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의 열림 각도가 커짐에 따라 상기 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링크의 길이도 커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핸들(410)의 회전 각도는 상기 도어의 열림 각도가 커질수록 커짐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핸들 링크(431)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핸들 링크(431)의 적어도 일부분은 도어(300) 전면에 노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핸들 링크(431)의 노출을 위해서 상기 도어(300)에는 상기 핸들 링크(431)가 출입하도록 연통부(312, 34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는 상기 핸들의 돌출부(412)와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연통부(312, 342)는 상기 돌출부(412)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의 전면 패널(410)에 이러한 연통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중간 패널(440)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중간 패널에도 연통부(44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후면 패널(420)에는 이러한 연통부가 형성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후면 패널(420)은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핸들 링크(431)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핸들 어셈블리(400)는 링크 커버(4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링크 커버(437)는 상기 핸들 링크(431)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핸들 링크(431)가 도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부분은 모두 감쌀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링크 커버(437)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어 전술한 연통부(312, 342)의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커버(437)는 미려한 외관 디자인을 형성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고, 즉, 상기 핸들 링크(431)가 직접 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링크 커버(437)가 상기 연통부를 통해 원활히 출입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링크 커버(437)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으며, 길이 방향에 따라 단면적은 점차 증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노출 길이가 길어질수록 점차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링크 커버(437)와 상기 연통부 사이의 갭은 최소가 됨이 바람직하고, 도어가 열림에 따라 상기 링크 커버(437)와 상기 연통부 사이의 갭은 증가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부드럽고 연속적으로 상기 링크 커버(437)가 상기 연통부를 통해 출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링크 커버(437)과 연통부 사이의 갭을 최소화하여 상기 갭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도어가 열림에 따라 이러한 갭의 크기가 증가되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로 놓이기 때문에 이러한 갭의 크기가 문제되지 않을 것이다.
한편, 상기 링크 커버(437)는 양쪽에서 서로 결합되어 상기 핸들 링크(431)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을 위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홀(437a) 또는 결합 보스들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430)는 링크 연결부(4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링크 연결부(435)는 도어의 회전 각도 또는 회전력을 상기 핸들 링크(431)에 전달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링크 연결부(435)는 상기 도어가 도어 회전축(350)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핸들 링크(431)를 링크 회전축(433)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 연결부(435)는 일단이 상기 핸들 링크(431)와 연결되고 타단이 링크 연결부 회전축(434)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연결부(435)는 상기 도어(30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링크 연결부 회전축(434)을 기준으로 스윙 이동 또는 회전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링크 연결부 회전축(434)은 상기 캐비닛(20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링크 연결부(435)의 일단은 상기 핸들 링크(4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 연결부(435)와 상기 핸들 링크(431)가 연결되는 부분을 링크 노드(node, 436)라 할 수 있으며, 상기 링크 노드(436)는 도어 내부에서 병진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링크 노드(436)의 이동 궤적은 상기 링크 연결부(435)와 상기 핸들 링크(431)의 이동 궤적에 종속될 것이다.
도 6에 도시되었으나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 210 등에 대응되는 구성들의 설명은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핸들(431)의 이동 메커니즘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어(300)는 도어 회전축(350)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개폐된다. 상기 도어 회전축(350)은 가전제품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 회전축(350)은 캐비닛(20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링크 회전축(433)은 도어(30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링크 회전축(433)은 회전 반경 A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상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링크 회전축(433)을 기준으로 핸들 링크(431)가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핸들 링크(431)의 회전은 링크 연결부(435)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연결부(435)는 도어(300)가 회전함에 따라 링크 연결부 회전축(434)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크 연결부 회전축(434)은 캐비닛(20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링크 연결부 회전축(434)은 상기 도어 회전축(350)과 이격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링크 연결부 회전축(434)은 상기 도어 회전축(35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링크 노드(436)는 상기 링크 연결부 회전축(434)를 기준으로 회전 반경 B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 반경 A와 회전 반경 B의 차이는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양 회전 반경의 차이는 실질적으로 없으나, 도어가 90도 회전하여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양 회전 반경의 차이가 최대가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링크 연결부(434)를 기준으로 상기 링크 노드(436)와 상기 링크 회전축(433)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회전 반경, 즉 회전 반경 A 또는 B 상에 위치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 회전축(433)은 회전 반경 A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링크 회전축(433)과 링크 노드(436)의 회전 반경의 차이가 발생되며, 이러한 회전 반경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 링크가 회전하게 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링크 회전축(433), 링크 노드(436) 그리고 링크 연결부 회전축(434)은 "ㄱ" 형상을 갖을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링크 회전축(433), 링크 노드(436) 그리고 링크 연결부 회전축(434)은 실질적으로 일직선 상에 놓일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링크 회전축(433)과 링크 연결부 회전축(434) 사이의 거리는 최소가 되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그 거리는 최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리의 차이로 인해 상기 핸들 링크(431)가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해 핸들(410)도 회전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링크(430) 형상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링크(430)를 이루는 핸들 링크(431)의 형상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링크(431)는 상부 수평부(431a), 수직부(431b) 그리고 하부 수평부(431c)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수평부(431a)는 링크 회전축(433)으로부터 도어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수평부(431a)는 상기 핸들(410) 특히 그립부(411)와 수평이 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431b)는 상기 상부 수평부(431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부(431b)는 상기 상부 수평부(431a)와 상기 핸들 사이의 수직 이격 거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직 이격 거리는 실질적으로 도어를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모멘트 거리가 더욱 늘어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도어를 열기 위한 힘이 상기 핸들이 아닌 상기 링크 회전축(433)에 가해짐을 의미한다. 이는 핸들(410)과 도어 회전축(350) 사이의 모멘트 거리보다 상기 링크 회전축(433)과 상기 도어 회전축(350) 사이의 모멘트 거리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힘을 가했을 때 모멘트 거리가 크다는 것은 보다 큰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모멘트 거리가 크다는 것은 보다 적은 힘으로 동일한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상기 핸들 링크(410)의 형상, 특히, 수직부(431b)에 의해 모멘트 거리 증가로 인해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 수평부(431c)는 상기 수직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수평부(431c)는 상기 핸들(41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431b)와 하부 수평부(431c)는 하나의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연결부를 이루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수직부의 하부와 상기 하부 수평부가 하나의 곡선 형태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상부 수평부(431a)는 상기 핸들(410)이 상기 도어 전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는 거리를 형성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수평의 길이가 커질수록 도어 회전 시 핸들이 도어 전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더욱 이격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수직부(431c)의 길이는 상기 도어 전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거리를 형성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수직부의 길이가 커질수록 도어 회전 시 핸들이 도어 전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더욱 이격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직부의 길이가 커질수록 도어 전면이 형성하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핸들이 더욱 멀리 벗어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핸들 링크(410)는 회전하는 구성이다. 도어가 완전히 열리거나 닫힐 때 도어의 하중이나 관성력에 의해 핸들 링크(410)에 큰 충격이 발생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상태에서 핸들 링크(410)의 회전이 갑자기 멈출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핸들 링크(410)의 충격, 특히 도어가 닫힐 때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핸들 링크(410)의 후방에는 충격 방지를 위한 완충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210)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210)와 접촉하는 면적을 늘리기 위해 상기 수직부(431b)는 상기 완충부 전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완충부와 맞닿는 링크 커버(437) 부분도 상기 완충부 전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어가 수직 위치에서 닫힘을 감안하며, 완충부 전면은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완충부(210)은 후면 패널(320)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링크 노드(436)는 상부 수평부(431a)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링크 노드(436)는 상부 수평부(431a)의 말단부가 아닌 중간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가 닫힐 때 핸들 링크(431)에 전달되는 충격을 줄이기 위한 완충 구조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즉, 수직부(431b)와 완충부(210) 사이의 완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함이라 할 수 있다.
도어가 완전히 열릴 때 핸들 링크(431)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마찬가지로 완충부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부(431b)가 아닌 상부 수평부(431a)를 통한 완충 구조를 제시할 수 있다. 왜냐하면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상부 수평부(431)가 도어의 전면 패널(310) 또는 중간 패널(340)과 수평이 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패널, 특히 중간 패널(340)에 상기 상부 수평부(431a)가 출입될 수 있는 슬롯(343)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슬롯에 대응되는 부분에 미도시된 완충부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슬롯(343)은 특히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핸들(410)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부 수평부(431a)가 상기 슬롯(343)에 끼인 상태에서 상부 수평부(431a)의 좌우 이격은 제한될 것이고, 이로 인해 핸들(410)의 좌우 이격 또한 제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전술한 연통부(312, 342)와 링크 커버(437)로 인해 핸들의 좌우 이격이 제한될 수 있다. 그러나, 핸들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링크 커버(437)와 연통부(312, 342) 사이의 갭은 전술한 바와 같이 최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롯(343)을 통해 핸들(410)의 좌우 이격을 효과적으로 제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슬롯(343)은 미려한 외관 형성을 위해서 전면 패널이 아닌 중간 패널에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링크 노드(436)는 상부 수평부(431a)의 말단이 아닌 중간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실질적으로 상부 수평부의 길이는 링크 회전축(433)과 상기 링크 노드(436)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링크 노드(436)의 위치 결정으로 인해 링크 연결부(435)와 핸들 링크(431)의 회전 시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링크 연결부(435)는 루프 연결부(4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링크 연결부(435) 중 상기 핸들 링크(431)에 인접하는 부분은 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링크 노드(436) 양쪽에서 핸들 링크와 링크 연결부(435)는 보다 견고히 결합될 수 있으며, 서로 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핸들 링크(431)의 적어도 일부분은 루프 연결부(439)를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연결부(439)의 관통홀(439a)을 통해 핸들 링크(431)의 제2연결부의 일부와 제3연결부가 출입할 수 있다. 즉, 수직부(431b)와 하부 수평부(431c)가 상기 관통홀(439a)을 통해 출입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연결부 또는 수직부(431b)가 상기 관통홀(439a)의 후방에 위치되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부 또는 수직부(431b)가 상기 관통홀(439a)를 통과하여 상기 관통홀(439a)의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핸들 링크(431)과 링크 연결부(435)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댐퍼(450)를 이용하여 핸들(410)을 회전시키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댐퍼(450)는 도어(300)의 개폐 시 충격을 완화하고 도어 하중이 핸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줄이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댐퍼(450)는 하부 링크(452)와 상부 링크(4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링크(452)는 제1 회전축(45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 링크(454)는 제2 회전축(45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링크(454)와 하부 링크(452)는 댐퍼 노드(453)를 통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전축(451)은 전술한 링크 연결부 회전축(434)과 마찬가지로 상기 도어 회전축(350)과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링크 연결부(435)를 상기 댐퍼(450)를 통해 구현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링크 연결부(435)가 링크 연결부 회전축(434)가 아닌 댐퍼(450)와 연결되는 것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즉, 종래에 구비되는 댐퍼(450)를 이용하여 마찬가지로 회전 반경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종래의 댐퍼(450)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링크 연결부(435)의 일단은 댐퍼(450)의 제2 회전축(455)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상기 링크 노드(435)는 상기 댐퍼(450)의 제1 회전축(455)에 대해서 전술한 회전 반경 B를 갖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는 제1 회전축(455)과 도어 회전축(350)을 이격시킴으로써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기어 등을 통해서 도어의 회전 각도를 상기 핸들 링크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어가 90도 회전하면 핸들 링크도 90도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기어를 양쪽에 사용함으로써 도어의 회전이 그대로 핸들 링크에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어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핸들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따라서,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되 그 회전 방향을 반대가 되도록 벨트나 풀리 또는 기어 배치를 용이하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어 회전과 연동되는 기어와 핸들 링크를 회전시키는 기어 사이에 벨트를 엇갈리게 하여 서로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일측 기어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타측 기어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도어의 회전과 연동되어 핸들이 이동하는 것을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들도 전술한 링크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은 풀 다운 형태의 도어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풀업(pull-up) 형태나 풀사이드(pull-side) 형태의 도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왜냐하면 가전제품의 종류에 따라서 도어의 열림 형태는 달라질 수 있으나, 전술한 구조는 이러한 열림 형태와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에 도시된 도어에서 핸들(410)과 도어 회전축(350)의 위치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고, 이 경우 풀업 형태의 도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3에 도시된 오븐을 거꾸로 하면 풀업 형태의 도어라 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구성의 변화는 없음을 알 수 있고, 전술한 특징들이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효과들도 모두 동일하게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된 오븐을 옆으로 뉘이면 풀사이드 형태의 도어라 할 수 있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다른 구성의 변화는 없음을 알 수 있고, 전술한 특징이나 효과도 동일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어 형태와 무관하게 핸들은 항상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서 편리하게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드럼 타입의 세탁기나 건조기 등은 풀 사이드 타입의 도어를 채용하고 있다. 냉장고나 캐비닛 타입 리프레셔도 마찬가지로 풀 사이드 타입의 도어를 채용하고 있다. 식기세척기는 오븐과 마찬가지로 풀 다운 타입의 도어를 채용하고 있다. 물론, 전자레인지이나 오븐 등이 빌트 인 형태로 바닥이 아닌 싱크대의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풀 업 타입의 도어를 채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어의 열고 닫는 형태와 무관하게, 그리고 가전제품의 종류와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100 : 가전제품 200 : 캐비닛
300 : 도어 350 : 도어 회전축
400 : 핸들 어셈블리 410 : 핸들
430 : 링크 431 : 핸들 링크
435 : 링크 연결부 450 : 댐퍼
300 : 도어 350 : 도어 회전축
400 : 핸들 어셈블리 410 : 핸들
430 : 링크 431 : 핸들 링크
435 : 링크 연결부 450 : 댐퍼
Claims (34)
-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가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챔버를 개폐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도어; 그리고
상기 도어 개폐시, 상기 도어에 대하여 회전하고,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도어를 도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는 핸들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전제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회전과 연동되어 상기 도어에 대한 위치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핸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도어에 대한 각도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가 달라지도록 구비되는 핸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은 오븐 또는 식기세척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를 상부로 회전시켜 여는 풀업(pull-up) 형태 또는 하부로 회전시켜 여는 풀다운(pull-down) 형태의 도어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핸들과 연결되고, 상기 도어와 연동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 또는 회전력을 상기 핸들로 전달하거나, 상기 핸들의 회전과 연동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 각도 또는 회전력을 상기 도어로 전달하는 링크(link)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전제품.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핸들과 일체로 회전하는 핸들 링크와 상기 핸들 링크가 회전하는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링크 회전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회전 각도는 상기 도어의 열림 각도가 커질수록 커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도어의 전면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링크 회전축은 상기 도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열림 각도가 커짐에 따라 상기 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핸들 링크의 길이가 커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핸들 링크가 노출되는 부분을 덮도록 구비되는 링크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링크는,
상기 링크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도어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에서 상기 도어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핸들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3연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링크는,
상기 핸들과 실질적으로 수평이 되도록 상기 링크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도어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수평부;
상기 수평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수평부와 상기 핸들 사이의 수직 이격 거리를 형성하는 수직부; 그리고
상기 수직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일단이 상기 핸들과 연결되는 하부 수평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와 하부 수평부는 하나의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부를 이루어 연속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평부는 상기 핸들이 상기 도어 전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는 거리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부는 상기 핸들이 상기 도어 전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거리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실질적으로 90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수평부가 상기 링크 회전축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90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도어의 회전을 상기 핸들 링크의 회전으로 변환하거나, 상기 핸들 링크의 회전을 상기 도어의 회전으로 변환하는 링크 연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핸들 링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링크 연결부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링크 연결부는 상기 링크 연결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연결부의 일단은 상기 핸들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회전축과 상기 링크 연결부 회전축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도어 회전축에 대한 상기 링크 회전축의 회전 반경과 상기 링크 연결부 회전축에 대한 상기 링크 회전축의 회전 반경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 링크가 회전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전면 패널, 측면 패널 그리고 후면 패널로 이루어지고 도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전방에 구비되는 핸들을 갖는 핸들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전제품에 있어서,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되는 링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핸들을 상기 링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핸들 링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전면 패널에 대한 상기 핸들의 수평 이격 거리와 수직 이격 거리가 가변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에는 상기 핸들 링크가 출입하도록 연통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일단은 링크 연결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타단은 상기 핸들 링크를 회전시키는 링크 연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연결부 회전축은 상기 도어 회전축과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도어 회전축에 대한 상기 링크 회전축의 회전 반경과 상기 링크 연결부 회전축에 대한 상기 링크 회전축의 회전 반경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 링크가 회전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연결부의 타단은 상기 핸들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연결부는 상기 핸들 링크의 회전 시 간섭을 피하기 위한 루푸 연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폐시 개폐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댐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링크 연결부의 타단은 상기 댐퍼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이 상기 링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전제품의 베이스에 대한 상기 핸들의 자세는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도어;
도어 전면 일측에 구비되는 핸들;
도어 내부에 링크 회전축을 갖고 상기 핸들과 연결되어, 상기 핸들을 상기 링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핸들 링크; 그리고
상기 핸들 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도어의 타측에 구비되는 도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핸들 링크를 회전시키는 링크 연결부를 갖는 도어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전제품.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핸들 링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링크 연결부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링크 연결부는 상기 링크 연결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회전축, 상기 링크 연결부 회전축 그리고 상기 링크 회전축은 상기 도어에 대해서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링크와 상기 링크 연결부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링크 회전축을 중심으로 스윙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와 상기 핸들의 회전 각도는 실질적으로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연결부는 상기 도어의 회전력을 상기 링크에 전달하여 상기 링크가 회전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전제품의 베이스에 대한 상기 핸들의 자세는 고정되며, 상기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상기 핸들은 상기 도어 전면을 벗어나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4830A KR101370923B1 (ko) | 2012-08-02 | 2012-08-02 |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
US13/773,160 US9138056B2 (en) | 2012-08-02 | 2013-02-21 | Home appliance having movable door hand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4830A KR101370923B1 (ko) | 2012-08-02 | 2012-08-02 |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8565A true KR20140018565A (ko) | 2014-02-13 |
KR101370923B1 KR101370923B1 (ko) | 2014-03-10 |
Family
ID=50024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4830A KR101370923B1 (ko) | 2012-08-02 | 2012-08-02 |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138056B2 (ko) |
KR (1) | KR101370923B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32420A (ko) * | 2014-09-16 | 2016-03-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
KR101626491B1 (ko) * | 2014-12-24 | 2016-06-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조리기기 |
EP3093561A1 (en) * | 2015-05-12 | 2016-11-16 | Lg Electronics Inc. | Home appliance having movable handle |
WO2018056756A1 (ko) * | 2016-09-23 | 2018-03-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US10371390B2 (en) | 2015-05-08 | 2019-08-06 | Lg Electronics Inc. | Cooking appliance |
US10443857B2 (en) | 2014-09-26 | 2019-10-15 | Lg Electronics Inc. | Cooking appliance |
US10753131B2 (en) | 2016-09-23 | 2020-08-25 | Lg Electronics Inc. | Apparatus for processing laundry |
US10753130B2 (en) | 2016-09-23 | 2020-08-25 | Lg Electronics Inc. | Garment processing device |
US10934660B2 (en) | 2016-09-23 | 2021-03-02 | Lg Electronics Inc. | Garment processing device |
US11136798B2 (en) | 2016-12-08 | 2021-10-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Home appliance having leveling door hand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209705B (zh) * | 2013-04-18 | 2017-02-15 | 深圳市金合联投资有限公司 | 铰链 |
US9888828B2 (en) * | 2015-08-20 | 2018-02-13 | Whirlpool Corporation | Dishwasher with pivoting handle |
CA179068S (en) * | 2015-09-03 | 2018-01-22 | Arcelik As | Cooking oven |
KR101765456B1 (ko) * | 2015-12-08 | 2017-08-07 | 이준영 | 도어 핸들 |
USD785398S1 (en) * | 2015-12-21 | 2017-05-02 | Lg Electronics Inc. | Gas oven range |
USD786006S1 (en) * | 2015-12-21 | 2017-05-09 | Lg Electronics Inc. | Gas oven range |
USD786005S1 (en) * | 2015-12-21 | 2017-05-09 | Lg Electronics Inc. | Gas oven range |
CA169074S (en) * | 2015-12-24 | 2017-01-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ic oven |
CA168983S (en) * | 2015-12-24 | 2017-01-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Gas oven |
US10684063B2 (en) * | 2015-12-28 | 2020-06-16 | Whirlpool Corporation | Easy open drawer/door with rotating handle |
USD849502S1 (en) * | 2017-01-09 | 2019-05-28 | Viking Range, Llc | Knob for kitchen range |
KR102423577B1 (ko) | 2017-04-07 | 2022-07-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전기기 |
KR102607767B1 (ko) * | 2017-07-21 | 2023-11-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
US11898759B2 (en) | 2021-05-06 | 2024-02-13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Twist release mechanism for a multi-pane door assembly |
US12007121B2 (en) | 2021-05-06 | 2024-06-11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Safety control logic for a multi-pane door assembly of an oven appliance |
US12111107B2 (en) | 2021-05-06 | 2024-10-08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Safety locking mechanism for a multi-pane door assembly of an oven appliance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75735A (en) * | 1960-12-05 | 1963-01-29 | Westmoreland Plastics Co | Handle or rack device with molded ends |
DE10208471A1 (de) * | 2002-02-27 | 2003-09-04 |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aushaltsgeräts sowie ein Haushaltgerät |
KR20040059678A (ko) * | 2002-12-28 | 2004-07-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오븐레인지의 오븐 도어장치 |
KR100936762B1 (ko) * | 2002-12-30 | 2010-01-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오븐레인지의 오븐 도어장치 |
KR100936761B1 (ko) * | 2002-12-30 | 2010-01-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오븐레인지의 오븐 도어장치 |
JP2005308277A (ja) * | 2004-04-20 | 2005-11-04 | Mitsubishi Electric Corp | 加熱調理器 |
DE102008010525A1 (de) * | 2008-02-22 | 2009-08-27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Hausgerätvorrichtung |
-
2012
- 2012-08-02 KR KR1020120084830A patent/KR10137092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
- 2013-02-21 US US13/773,160 patent/US9138056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777523B2 (en) | 2014-09-16 | 2017-10-03 | Lg Electronics Inc. | Home appliance having movable door handle |
KR20160032420A (ko) * | 2014-09-16 | 2016-03-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
US11946648B2 (en) | 2014-09-26 | 2024-04-02 | Lg Electronics Inc. | Cooking appliance |
US11054143B2 (en) | 2014-09-26 | 2021-07-06 | Lg Electronics Inc. | Cooking appliance |
US10443857B2 (en) | 2014-09-26 | 2019-10-15 | Lg Electronics Inc. | Cooking appliance |
KR101626491B1 (ko) * | 2014-12-24 | 2016-06-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조리기기 |
US10145564B2 (en) | 2014-12-24 | 2018-12-04 | Lg Electronics Inc. | Cooking appliance |
US10989418B2 (en) | 2015-05-08 | 2021-04-27 | Lg Electronics Inc. | Cooking appliance |
US10371390B2 (en) | 2015-05-08 | 2019-08-06 | Lg Electronics Inc. | Cooking appliance |
EP3093561A1 (en) * | 2015-05-12 | 2016-11-16 | Lg Electronics Inc. | Home appliance having movable handle |
US10145163B2 (en) | 2015-05-12 | 2018-12-04 | Lg Electronics Inc. | Home appliance having movable handle |
KR20180032855A (ko) * | 2016-09-23 | 2018-04-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US10753131B2 (en) | 2016-09-23 | 2020-08-25 | Lg Electronics Inc. | Apparatus for processing laundry |
US10753130B2 (en) | 2016-09-23 | 2020-08-25 | Lg Electronics Inc. | Garment processing device |
US10934660B2 (en) | 2016-09-23 | 2021-03-02 | Lg Electronics Inc. | Garment processing device |
CN109790673B (zh) * | 2016-09-23 | 2021-03-30 | Lg电子株式会社 | 衣物处理装置 |
AU2017330142B2 (en) * | 2016-09-23 | 2020-06-18 | Lg Electronics Inc. | Garment processing device |
CN109790673A (zh) * | 2016-09-23 | 2019-05-21 | Lg电子株式会社 | 衣物处理装置 |
US11168427B2 (en) | 2016-09-23 | 2021-11-09 | Lg Electronics Inc. | Garment processing device |
WO2018056756A1 (ko) * | 2016-09-23 | 2018-03-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US11136798B2 (en) | 2016-12-08 | 2021-10-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Home appliance having leveling door hand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138056B2 (en) | 2015-09-22 |
KR101370923B1 (ko) | 2014-03-10 |
US20140035453A1 (en) | 2014-0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0923B1 (ko) |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 |
KR102605675B1 (ko) | 레벨링 도어 핸들을 갖는 가전 기기 | |
KR101691837B1 (ko) |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 |
EP2481845B1 (en) | Electrical appliance with an improved door mechanism | |
EP3093561B1 (en) | Home appliance having movable handle | |
EP3040468B1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door thereof | |
US9435545B2 (en) | Home appliance | |
CN105671869B (zh) | 洗衣机 | |
CN102839855B (zh) | 具有门和把手的家用电器 | |
KR102464262B1 (ko) | 도어의 회전에 연동하는 도어 키를 구비한 가전기기 | |
EP1961856B1 (en) | Electrical appliance with an improved door mechanism | |
GB2512495A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WO2019015694A1 (zh) | 联动开盖组件和顶开式滚筒洗衣机 | |
CN113685104B (zh) | 多关节连杆铰链以及包括该多关节连杆铰链的冰箱 | |
KR102020537B1 (ko) | 2 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 |
US9706895B2 (en) |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balancing system | |
CN112226997A (zh) | 一种具有双桶的滚筒洗衣机 | |
KR200463705Y1 (ko) |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 | |
KR101799274B1 (ko) | 세탁장치 | |
CN213740157U (zh) | 洗衣机上盖组件及洗衣机 | |
CN214062673U (zh) | 烹饪器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