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7936A - 스타일러스 펜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스타일러스 펜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7936A
KR20140017936A KR1020120084867A KR20120084867A KR20140017936A KR 20140017936 A KR20140017936 A KR 20140017936A KR 1020120084867 A KR1020120084867 A KR 1020120084867A KR 20120084867 A KR20120084867 A KR 20120084867A KR 20140017936 A KR20140017936 A KR 20140017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housing
handle
stylus pen
head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0565B1 (ko
Inventor
김종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4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565B1/ko
Priority to EP13179052.9A priority patent/EP2693308B1/en
Priority to ES13179052T priority patent/ES2767603T3/es
Priority to CN201310334263.1A priority patent/CN103576922B/zh
Priority to US13/957,774 priority patent/US9170662B2/en
Publication of KR20140017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2Pen holder integrated in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데이터 입력을 위한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에 조작을 위한 팁을 갖는 일정 길이의 중공형 실린더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타단에서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에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내부에서 헤드의 출몰 동작에 따라 함께 유동되는 유동체 및 상기 실린더 하우징에서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유동체의 유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외면보다 높도록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를 포함하여,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크기가 줄어들더라도 사용시 길이가 인출됨과 동시에 손잡이 부분이 확장되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리하다.

Description

스타일러스 펜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장치{STYLUS PEN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장치를 갖는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스타일러스 펜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각종 전자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달로 말미암아 휴대용 단말기로 대별되는 각종 전자 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이러한 전자 장치는 점차 경박 단소화되어 가고 있으며 그 기능은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전자 장치로는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전화(mobile phone),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tablet)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대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비약적인 발전에 부응하여 전자 장치에 부착 또는 부가하여 사용되고 있는 주변기기 역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주변 기기들로는 보조 메모리 카드, 전자 장치에 장착하여 상대방과 통화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어 마이크로폰, 전자 장치에 설치되는 블루투스 모듈에 의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블루투스 헤드셋, 입, 출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터치 스크린 장치를 용이하게 조작하기 위한 스타일러 펜 등이 대별될 수 있다.
최근 대표적인 휴대용 전자 장치로는 소위 스마트 폰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스마트 폰은 사용 편의성을 고려하여 대화면으로 입출력을 동시에 수행하는 터치 스크린 장치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 장치에 사용되는 터치 패널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터치 패널,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초음파식 터치 패널, 광(적외선) 센서식 터치 패널, 전자유도식 터치 패널, 음파 터치 패널 등 다양한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별된다.
상술한 다양한 방식의 터치 스크린 장치를 갖는 전자 장치는 터치의 편의성 및 다양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전자 장치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단부가 첨예한 팁(tip)을 갖는 일정 길이의 스타일러스 펜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저항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을 갖는 전자 장치는 단순히 단부가 첨예하여 터치 화면에 일정 압력으로 터치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의 경우 터치 화면에 접촉되는 팁을 도전성 재질로 구성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 유도식 터치 패널의 경우, 스타일러스 펜의 내부에 코일체와 자성체를 구비하여 전자기 유도에 따른 공진 주파수를 발생시키고, 전자 장치 내부의 별도의 디지타이저에 의해 스타일러스 펜의 해당 위치를 독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은 외형적으로는 대체적으로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점차 슬림해지는 전자 장치에 착탈 가능하도록 적용될 수 있게 펜의 전체 크기가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점차 그 크기(길이 및 직경)가 줄어드는 스타일러스 펜은 사용자가 이를 파지하여 사용하기 용이하지 않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장치에 장착되기 위한 크기가 줄어들더라도 사용시 파지가 용이하도록 구현되는 스타일러스 펜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드를 인출시키는 동작만으로 손잡이를 확장시켜 파지가 용이하도록 구현되는 스타일러스 펜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타일러스를 전자 장치에서 인출시키는 동작만으로 길이 및 손잡이의 확장이 자연스럽게 유도되도록 구현되는 스타일러스 펜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데이터 입력을 위한 스타일러스 펜에 있어서, 일단에 조작을 위한 팁을 갖는 일정 길이의 중공형 실린더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타단에서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에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내부에서 헤드의 출몰 동작에 따라 함께 유동되는 유동체 및 상기 실린더 하우징에서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유동체의 유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외면보다 높도록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를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실린더 하우징은 외면에서 중공 부분까지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 수용공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 수용공으로 일부가 돌출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손잡이의 양단에는 걸림편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손잡이 수용공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동체는 상기 헤드와 고정되는 일정 길이의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상기 손잡이 부분까지 연장 형성되는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연결대 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는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돌기가 형성되어, 유동체의 유동에 따라 상기 지지편이 상기 접촉 돌기를 접촉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받는 방식으로 상기 손잡이를 돌출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손잡이가 상기 실린더 하우징에 최대한 삽입된 위치에서 임의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단속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단속 수단은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 고정되는 몸체와, 몸체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 설치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 유닛과, 상기 유동체의 연결대에 형성되며, 상기 판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관통구를 갖는 캠을 포함하여, 상기 유동체의 유동에 따라 상기 캠이 상기 탄성 유닛의 판 스프링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에 배치된 장착구에 착탈 가능하도록 상술한 구성을 갖는 스타일러스 펜이 설치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 장착구의 내측면에는 걸림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팁의 외주면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장착구에 착탈될 때, 일시적으로 걸리도록 하되, 상기 헤드를 상기 실린더 하우징에서 인출시키는 힘보다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힘을 강하게 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상기 장착구에서 완전히 인출시키기 전에 상기 헤드를 인출시킴으로써 상기 손잡이를 상기 실린더 하우징에서 돌출 또는 삽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크기가 줄어들더라도 사용시 길이가 인출됨과 동시에 손잡이 부분이 확장되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이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스타일러스 펜의 분리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스타일러스 펜의 헤드가 실린더 하우징내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a의 상태에서 탄성 유닛과 캠의 위치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스타일러스 펜의 헤드가 실린더 하우징에서 완전히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a의 상태에서 탄성 유닛과 캠의 위치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이 전자 장치의 장착구에서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스타일러스 펜의 헤드가 실린더 하우징에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스타일러스 펜의 헤드가 실린더 하우징에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스타일러스 펜은 다양한 센싱 방식의 터치 스크린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도시하고 이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이 적용되는 전자 장치는 통신용 스마트 폰(smart phone),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tablet)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터치 스크린 장치를 갖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이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와 전자 장치(100)의 하단에 형성된 장착구(110)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타일러스 펜(1)을 포함한다.
전자 장치(100)는 전면(101)에 데이터 입출력이 동일 영역에서 수행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장치(102)가 설치되며, 터치 스크린 장치(102)의 상부에는 통화용 이어피스(ear-piece)(103)가 설치되고, 터치 스크린 장치(102)의 저부에는 통화용 마이크로폰 장치(104)가 설치된다. 따라서, 도시된 전자 장치(100)는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상술한 전자 장치(100)는 데이터 입출력 수단으로 구비된 터치 스크린 장치(102)를 사용자가 좀더 효율적으로 조작하기 위하여 저부에 착탈 가능한 스타일러스 펜(1)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은 일정 길이의 원통형 실린더 하우징(10)의 일단에 출몰 가능한 헤드(30)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터치 스크린을 조작하기 위한 팁(tip)(20)이 설치된다. 더욱이 원통형 실린더 하우징(10)의 몸체에는 다수개의 손잡이(40)가 설치되며, 이러한 손잡이(40)는 헤드의 출몰 동작에 의하여 실린더 하우징(10)의 몸체에서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1)의 헤드가 길이 방향인 ①의 방향으로 유동될 때 실린더 하우징(10)의 몸체에 설치된 손잡이(40)는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도, 상술한 스타일러스 펜(1)은 전자 장치(100)의 장착구(110)에서 어느 정도 이탈되면 더 이상 이탈되지 않도록 걸리게 되며, 이러한 걸림 동작에 의해 헤드(30)가 실린더 하우징(10)에서 돌출되며 이로 인하여 실린더 하우징(10)의 몸체에 설치된 손잡이(40)가 실린더 하우징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 또는 삽입될 수 있다. 그후, 사용자는 헤드(30)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스타일러스 펜(1)을 이탈시키려는 방향으로 좀더 잡아당기면 전자 장치(100)에서 원활히 이탈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1)을 전자 장치(100)에서 분리시킨 후 헤드(30)를 인출시키는 2단계 동작을 한 번의 동작으로 줄일 수 있는 편리한 구성인 것이다. 바람직하게도, 손잡이(40)는 사용자에 의한 파지가 용이하도록 마찰력을 갖는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 수지 재질의 손잡이에 러버, 실리콘 재질이 코팅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러버 또는 실리콘 재질이 손잡이(40)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스타일러스 펜(1)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스타일러스 펜(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스타일러스 펜(1)은 일정 길이를 갖는 중공형 원통형 실린더 하우징(10)과, 실린더 하우징(10)의 일단에서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헤드(30)와, 실린더 하우징(10)의 타단에 설치되어 터치 스크린과 접촉하는 팁(20)과, 실린더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헤드(30)와 함께 길이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설치되는 유동체(60)와, 실린더 하우징(10)에 형성된 다수의 손잡이 수용공(14)에 돌출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술한 유동체(60)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손잡이(40) 및 손잡이(40)에 설치되어 유동체(60)의 유동에 따라 손잡이가 임의로 유동하는 것을 단속하는 탄성 유닛(50)을 포함한다.
실린더 하우징(10)은 일단에 제1삽입공(12)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제2삽입공(13)이 형성된다. 또한, 실린더 하우징(10)에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손잡이 수용공(14)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도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 수용공(14)이 120도의 간격으로 3개소가 설치되고 이에 적용되는 손잡이(40) 역시 3개가 적용될 수 있으나, 1개, 2개 또는 4개 이상이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헤드(30)는 일정 길이의 원통형 몸체(31)와, 몸체(31)에서 연장 형성되며 몸체(3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샤프트부(32)와, 샤프트부(32)에서 연장 형성되며 샤프트부(32)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결합부(33)를 포함한다. 샤프트부(32)는 실린더 하우징(10)의 중공 부분에 삽입된 후 완전히 이탈되지 않고 일정 출몰 거리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팁(20)은 원통형 몸체(20)에서 일단으로 갈수록 단부가 첨예해지는 접촉 단부(22)가 형성되며, 타단은 상술한 실린더 하우징(10)의 제2삽입공(13)에 고정되기 위한 결합부(24)로 형성된다. 따라서, 접촉 단부(22)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장치를 터치하기 위한 접촉 부분으로 사용될 것이다. 또한, 몸체(20)에는 후술될 단말기 장착구(110)의 케이스 프레임 내측에 형성된 걸림 돌기(111)에 일시적으로 걸릴 수 있는 걸림홈(23)이 주연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유동체(60)는 실린더 하우징(10)의 중공 부분에 삽입되어 그 내부에서 원활히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는 길이 및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유동체(60)의 일단은 헤드(30)가 고정되는 일정 길이의 바디(61)가 형성되며, 바디(61)의 타단은 일정 길이의 연결대(62)가 형성되고, 연결대(62)에 일정 간격으로 제1지지편(63)과 제2지지편(64)이 형성된다. 제1지지편(63)과 제2지지편(64)은 연결대(62)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양단은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지지편(63, 64)을 갖는 연결대(62)는 적용되는 손잡이(42)의 갯 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1지지편(63)과 제2지지편(64) 사이에는 캠(65)이 형성되어 후술될 탄성 유닛(50)의 판 스프링(52)을 선택적으로 수용함으로서 손잡이(40)가 임의로 유동되는 것을 단속할 수 있다. 따라서 캠(65)은 일정 길이의 판 스프링(52)을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관통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40)는 상술한 실린더 하우징(10)의 손잡이 수용공(14)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일정 크기의 몸체(41)와, 몸체(41)의 양단에 연장 형성되어 실린더 하우징(10)의 중공형 내측면에 걸려 손잡이(40)가 실린더 하우징(10)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편(42, 43)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손잡이(40)의 내측면에는 제1접촉돌기(도 3a의 44)와 제2접촉돌기(도 3a의 45)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접촉 돌기(44, 45)는 상술한 유동체(60)가 실린더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유동될 때 제1지지편(63) 및 제2지지편(64)과 각각 접촉되어 작용한다.
역시 손잡이(40)는 합성 수지 재질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파지시 높은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한 러버, 실리콘 재질일 수 있고, 합성 수지 재질의 표면을 상술한 러버 또는 실리콘과 같은 높은 마찰력을 갖는 물질을 코팅한 구성일 수도 있다.
탄성 유닛(50)은 손잡이(40)의 내측에 고정되는 몸체(51)와 몸체(51)에 고정되어 실린더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연장 설치되는 판 스프링(52)을 포함한다. 상술한 판 스프링(52)은 유동체(60)의 유동에 따라 유동체(60)에 구비된 캠(65)의 단속을 받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캠(65)는 손잡이(40)를 단속하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도, 캠(65)은 헤드(30)가 실린더 하우징(10)에서 완전히 인출되거나 완전히 인입되었을 때 손잡이(4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판 스프링(52)을 단속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스타일러스 펜(1)은 손잡이(40)를 실린더 하우징(10)의 손잡이 수용공(14)에 몸체(41)가 노출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손잡이(40)의 걸림편(42, 43)에 의해 손잡이(40)는 손잡이 수용공(14)에서 일부만 돌출되며 완전히 돌출되지는 않는다. 물론 이때 손잡이(40)의 내측에는 판 스프링(52)을 갖는 탄성 유닛(50)의 몸체(51)가 고정되어 있다. 그후, 유동체(60)를 실린더 하우징(10)의 중공 부분에 삽입한 후, 실린더 하우징(10)의 제1삽입공(12)을 통해 헤드(30)의 결합부(33)를 유동체(60)의 결합공(66)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유동체(60)는 헤드(30)의 출몰 동작에 따라 함께 실린더 하우징(10)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유동될 것이다.
물론, 실린더 하우징(10)의 제2삽입공(13)에 팁(20)을 고정시키는 것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이 완료되면 헤드(30)의 출몰 동작에 의해 손잡이(40)는 실린더 하우징(10)의 반경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헤드(30)가 실린더 하우징(10)에서 완전히 인출될 때 손잡이(40)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헤드(30)가 실린더 하우징(10)에 완전히 인입되었을 때 손잡이(40)가 실린더 하우징(10)의 외면과 일치하거나 외면 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스타일러스 펜(1)의 헤드(30)가 실린더 하우징(10)내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a의 상태에서 탄성 유닛(50)과 캠(65)의 위치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30)가 실린더 하우징(10)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는 유동체(30)의 제1지지편(63) 및 제2지지편(64)이 손잡이(40)의 제1접촉 돌기(44) 및 제2접촉 돌기(45)와 서로 간섭받지 않는다. 따라서, 손잡이(40)는 실린더 하우징(10)의 외면과 일치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40)에 고정된 탄성 유닛(50)의 판 스프링(52)은 유동체(60)에 형성된 캠(65)의 단속을 받아 손잡이(40)가 임의로 실린더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단속한다. 상술한 캠(65)은 내측에 판 스프링을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관통구에 판 스프링이 수용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손잡이(40)가 임의로 유동되는 것을 단속하게 되는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스타일러스 펜(1)의 헤드(30)가 실린더 하우징(10)에서 완전히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a의 상태에서 탄성 유닛(50)과 캠(65)의 위치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30)를 실린더 하우징(10)에서 인출시킬 경우 유동체(60) 역시 함께 유동된다. 이때 유동체(60)의 제1, 2지지편(63, 64)은 손잡이(40)의 제1, 2접촉 돌기(44, 45)를 외측 방향으로 미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손잡이(40)는 제1, 2지지편(63, 64)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 나오게 되며, 헤드(30)가 실린더 하우징(10)에서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는 유동체(60)의 제1, 2지지편(63, 64)이 손잡이(40)의 제1, 2접촉 돌기(44, 45)를 받치는 형태가 되어 손잡이(40)가 실린더 하우징(10)에서 돌출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동체(60)의 캠(65)은 손잡이(40)에 설치된 판 스프링(52)의 단속을 해제함으로써 원활히 손잡이(40)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태를 마련한다.
반대로, 헤드(30)가 실린더 하우징(10)내로 인입될 경우 유동체(60)의 제1, 2지지편(63, 64)은 제1, 2접촉 돌기(44, 45)를 벗어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유동체(60)의 캠(65)은 손잡이(40)의 판 스프링(52)을 다시 단속하여 결과적으로 손잡이(40)를 실린더 하우징(10)의 내측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이 전자 장치(100)의 장착구(110)에서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로써, 전자 장치(100)의 장착구(110) 내부에는 걸림 돌기(111)가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 돌기(111)는 스타일러스 펜(1)의 팁(20)에 형성된 걸림홈(23)에 걸리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1)은 전자 장치(100)의 장착구(110)에서 어느 정도 이탈되면 더 이상 이탈되지 않도록 걸리게 되며, 이러한 걸림 동작에 의해 헤드(30)가 실린더 하우징(10)에서 돌출되며 이로 인하여 실린더 하우징(10)의 몸체(11)에 설치된 손잡이(40)가 돌출 또는 삽입될 수 있다.
그후, 사용자가 헤드(30)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스타일러스 펜(1)을 이탈시키려는 방향으로 좀더 잡아당기면 전자 장치(100)에서 원활히 이탈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1)을 전자 장치에서 분리시킨 후 헤드(30)를 인출시키는 2단계 동작을 한 번의 동작으로 줄일 수 있는 편리한 기능적 구성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30)가 실린더 하우징(10)내로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손잡이(47)가 돌출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헤드(30)를 실린더 하우징(10)에서 완전히 인출시켰을 때에는 손잡이(70)가 실린더 하우징(10)의 외면과 일치하거나 외면보다 낮은 위치에 있도록 삽입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헤드(30)를 도 6의 ③방향으로 인입시켰을 경우, 손잡이(70)는 실린더 하우징(10)의 직경 방향인 ④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성을 갖는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스타일러스 펜(2)의 헤드(30)가 실린더 하우징(10)에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스타일러스 펜(2)의 헤드(30)가 실린더 하우징(10)에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모든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기재하였다. 다만, 유동체(80)의 제1, 2지지편(83, 84)의 위치가 바뀌었고, 탄성 유닛(50)의 판 스프링(52)의 설치 방향이 바뀌었다.
즉,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30)를 실린더 하우징(10)에서 인출시킬 경우 유동체(80) 역시 함께 유동된다. 이때 유동체(80)의 제1, 2지지편(83, 84)은 손잡이(70)의 제1, 2접촉 돌기(74, 75)와 상호 간섭을 받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경우 탄성 유닛(50)의 몸체(51)에 고정된 판 스프링(52)은 유동체(80)의 캠(85)의 단속을 받기 때문에 손잡이(70)는 실린더 하우징(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위치가 단속될 수 있다.
반대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30)를 실린더 하우징(10)으로 인입시킬 경우 유동체(80) 역시 함께 유동된다. 이때 유동체(80)의 제1, 2지지편(83, 84)은 손잡이(70)의 제1, 2접촉 돌기(74, 75)를 외측 방향으로 미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손잡이(70)는 제1, 2지지편(83, 84)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 나오게 되며, 헤드(30)가 실린더 하우징(10)에서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는 유동체(80)의 제1, 2지지편(83, 84)이 손잡이(70)의 제1, 2접촉 돌기(74, 75)를 받치는 형태가 되어 손잡이(70)가 실린더 하우징(10)에서 돌출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유동체(80)의 캠(85)은 손잡이(70)에 설치된 탄성 유닛(50)의 판 스프링(52)에 대한 단속을 해제함으로써 손잡이(70)가 원활히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태를 마련하게 된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1: 스타일러스 펜 10: 실린더 하우징
11: (실린더 하우징)몸체 12: 제1삽입공
13: 제2삽입공 14: 손잡이 수용공
20: 팁 21: (팁)몸체
22: 접촉 단부 23: 걸림홈
30: 헤드 31: (헤드)몸체
32: 샤프트부 33: (헤드)결합부
40: 손잡이 41: (손잡이)몸체
42, 43: 걸림편 44: 제1접촉 돌기
45: 제2접촉 돌기 50: 탄성 유닛
51: (탄성 유닛)몸체 52: 판 스프링
60: 유동체 61: (유동체)바디
62: 연결대 63: 제1지지편
64: 제2지지편 65: 캠
100: 전자 장치 110: 장착구
111: 걸림 돌기

Claims (20)

  1. 전자 장치의 데이터 입력을 위한 스타일러스 펜에 있어서,
    일단에 조작을 위한 팁을 갖는 일정 길이의 중공형 실린더 하우징;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타단에서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헤드;
    상기 헤드에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내부에서 헤드의 출몰 동작에 따라 함께 유동되는 유동체; 및
    상기 실린더 하우징에서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유동체의 유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외면보다 높도록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하우징은 외면에서 중공 부분까지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 수용공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 수용공으로 일부가 돌출되는 스타일러스 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양단에는 걸림편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손잡이 수용공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타일러스 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러버, 실리콘 재질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스타일러스 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금속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그 외면이 러버 또는 실리콘 재질로 코팅되는 스타일러스 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는,
    상기 헤드와 고정되는 일정 길이의 바디;
    상기 바디에서 상기 손잡이 부분까지 연장 형성되는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연결대 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는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돌기가 형성되어,
    유동체의 유동에 따라 상기 지지편이 상기 접촉 돌기를 접촉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받는 방식으로 상기 손잡이를 돌출시키는 스타일러스 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가 상기 실린더 하우징에서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 상기 손잡이는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외면에서 최대한 돌출되도록 하는 스타일러스 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가 상기 실린더 하우징에서 완전히 인입되었을 때 상기 손잡이는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외면에서 최대한 돌출되도록 하는 스타일러스 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상기 실린더 하우징에 최대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손잡이의 외면은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외면과 일치하거나,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외면 보다 낮은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스타일러스 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상기 실린더 하우징에 최대한 삽입된 위치에서 임의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단속 수단을 더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11. 제10항에 있어서, 단속 수단은,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 고정되는 몸체와, 몸체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 설치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 유닛; 및
    상기 유동체의 연결대에 형성되며, 상기 판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관통구를 갖는 캠을 포함하여,
    상기 유동체의 유동에 따라 상기 캠이 상기 탄성 유닛의 판 스프링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스타일러스 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상기 실린더 하우징에 최대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캠이 상기 판 스프링을 지지하며,
    상기 손잡이가 상기 실린더 하우징에서 최대한 돌출되었을 때, 상기 캠은 상기 판 스프링을 해제시키는 스타일러스 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 전자 장치에 배치된 장착구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도록 구성하는 스타일러스 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 장착구의 내측면에는 걸림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팁의 외주면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장착구에 착탈될 때, 일시적으로 걸리도록 하는 스타일러스 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를 상기 실린더 하우징에서 인출시키는 힘보다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힘을 강하게 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상기 장착구에서 완전히 인출시키기 전에 상기 헤드를 인출시킴으로써 상기 손잡이를 상기 실린더 하우징에서 돌출 또는 삽입시키는 스타일러스 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인 스타일러스 펜.
  17.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본체의 일측에 배치된 장착구에 착탈 가능하도록 스타일러스 펜이 설치되되,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일단에 조작을 위한 팁을 갖는 일정 길이의 중공형 실린더 하우징;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타단에서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헤드;
    상기 헤드에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내부에서 헤드의 출몰 동작에 따라 함께 유동되는 유동체; 및
    상기 실린더 하우징에서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유동체의 유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외면보다 높도록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는,
    상기 헤드와 고정되는 일정 길이의 바디;
    상기 바디에서 상기 손잡이 부분까지 연장 형성되는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연결대 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는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돌기가 형성되어,
    유동체의 유동에 따라 상기 지지편이 상기 접촉 돌기를 접촉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받는 방식으로 상기 손잡이를 돌출시키는 전자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 고정되는 몸체와, 몸체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 설치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 유닛; 및
    상기 유동체의 연결대에 형성되며, 상기 판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관통구를 갖는 캠을 포함하여,
    상기 유동체의 유동에 따라 상기 캠이 상기 탄성 유닛의 판 스프링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 장착구의 내측면에는 걸림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팁의 외주면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장착구에 착탈될 때, 일시적으로 걸리도록 하되,
    상기 헤드를 상기 실린더 하우징에서 인출시키는 힘보다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힘을 강하게 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상기 장착구에서 완전히 인출시키기 전에 상기 헤드를 인출시킴으로써 상기 손잡이를 상기 실린더 하우징에서 돌출 또는 삽입시키는 전자 장치.
KR1020120084867A 2012-08-02 2012-08-02 스타일러스 펜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장치 KR101940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867A KR101940565B1 (ko) 2012-08-02 2012-08-02 스타일러스 펜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장치
EP13179052.9A EP2693308B1 (en) 2012-08-02 2013-08-02 Stylus pen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ES13179052T ES2767603T3 (es) 2012-08-02 2013-08-02 Lápiz táctil y dispositivo electrónico que tiene el mismo
CN201310334263.1A CN103576922B (zh) 2012-08-02 2013-08-02 触控笔及具有触控笔的电子设备
US13/957,774 US9170662B2 (en) 2012-08-02 2013-08-02 Stylus pen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867A KR101940565B1 (ko) 2012-08-02 2012-08-02 스타일러스 펜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936A true KR20140017936A (ko) 2014-02-12
KR101940565B1 KR101940565B1 (ko) 2019-01-21

Family

ID=48917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867A KR101940565B1 (ko) 2012-08-02 2012-08-02 스타일러스 펜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70662B2 (ko)
EP (1) EP2693308B1 (ko)
KR (1) KR101940565B1 (ko)
CN (1) CN103576922B (ko)
ES (1) ES2767603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6753A1 (en) * 2016-02-26 2017-08-31 Rosales Jacquelin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75568A (zh) * 2013-08-16 2015-02-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JP2016126412A (ja) * 2014-12-26 2016-07-11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収納構造及び電子機器
KR102312888B1 (ko) 2015-05-13 2021-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장치,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55459B1 (ko) 2015-08-11 2022-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JP6586341B2 (ja) * 2015-10-01 2019-10-02 Dynabook株式会社 電子機器、ペン、及びペンの保持方法
US10073544B2 (en) * 2015-10-14 2018-09-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tylus with adjustable grip diameter
US10120954B2 (en) 2015-12-31 2018-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formation and presentation of on-demand native application crawling results
TWI630509B (zh) 2016-02-18 2018-07-2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觸控筆
US10185409B2 (en) 2016-03-15 2019-01-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tylus with an adjustable dimension
US10649548B2 (en) 2016-08-25 2020-05-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tractable fang attachment for stylus
US10754447B2 (en) * 2018-01-10 2020-08-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tylus capsule
CN110058700A (zh) * 2018-01-17 2019-07-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触控笔和电子设备
US11009955B2 (en) * 2018-07-30 2021-05-18 Apple Inc. Stylus with shear force feedback
CN110825246B (zh) * 2018-08-07 2023-05-23 深圳普赢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侧压式位置指示装置
CN112640407A (zh) * 2018-09-10 2021-04-09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10627923B2 (en) 2018-09-18 2020-04-21 Apple Inc. Stylus for electronic devices
KR20200082447A (ko) 2018-12-28 2020-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입력 버튼들이 구비된 펜 입력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244007B2 (en) 2019-04-16 2022-02-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adaption of a search configuration
TWI761163B (zh) * 2020-05-13 2022-04-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KR20220021063A (ko) * 2020-08-12 2022-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US11360616B1 (en) * 2020-09-25 2022-06-14 Apple Inc. Stylus with touch input and compressive force sensors
ES1269246Y (es) * 2021-02-18 2021-09-22 Gonzalez Juan Miguel Rodriguez Puntero para pantallas táctiles
CN114995590B (zh) * 2021-10-11 2023-04-07 荣耀终端有限公司 支撑装置
CN116048287B (zh) * 2022-07-11 2023-10-24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1911B1 (en) * 2001-05-28 2002-01-29 Ho-Yuan Shueh Writing instrument with adjustable shaft
US20040145579A1 (en) * 2003-01-29 2004-07-29 Lilenfeld David Michael Ergonomic stylus storable in the pen slot of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1644A (en) * 1998-07-15 1999-10-26 Kotobuki & Co., Ltd. Side knock-type writing instrument
EP1585016A1 (en) * 2004-04-08 2005-10-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nvertible input element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100082409A (ko) 2009-01-09 2010-07-19 (주)쉘라인 스타일러스 펜
KR20110016621A (ko) 2009-08-12 2011-02-18 이형훈 손에 쥐기 편리한 터치 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1911B1 (en) * 2001-05-28 2002-01-29 Ho-Yuan Shueh Writing instrument with adjustable shaft
US20040145579A1 (en) * 2003-01-29 2004-07-29 Lilenfeld David Michael Ergonomic stylus storable in the pen slot of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6753A1 (en) * 2016-02-26 2017-08-31 Rosales Jacquelin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35887A1 (en) 2014-02-06
CN103576922A (zh) 2014-02-12
EP2693308B1 (en) 2019-11-20
ES2767603T3 (es) 2020-06-18
KR101940565B1 (ko) 2019-01-21
US9170662B2 (en) 2015-10-27
CN103576922B (zh) 2016-12-28
EP2693308A1 (en)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0565B1 (ko) 스타일러스 펜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장치
US20140028636A1 (en) Multi-function stylus
US8502805B2 (en) Touch stylus for electronic device having retracted and extended positions
JP2018097458A (ja) 電子ペン
US20110221712A1 (en) Telescoping styl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7521290A (ja) 握持を容易にする異軸ペン
CN102193653A (zh) 触控笔
JP2011108217A (ja) 入力ペン
US20090050377A1 (en) Stylu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10139518A1 (en) Stylus
US20110227880A1 (en) Telescoping styl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4128458A (ja) 電子機器収納ケース及び電子機器収納ケースセット
JP5357104B2 (ja) 電子ペン
KR101308506B1 (ko)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위한 홀더
US9977490B2 (en) Dual mode input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169376B (zh) 触控笔
ITRM20130660A1 (it) Penna magnetica.
CN110303800B (zh) 一种可换笔芯的压缩笔
JP7179584B2 (ja) 入力タッチペン
KR200455688Y1 (ko)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
JP2020067797A (ja) 位置指示器
KR102422749B1 (ko) 전자 단말기용 터치 펜
KR20150067552A (ko) 다색볼펜 겸용 터치펜
KR101392387B1 (ko) 샤프심통이 일체화된 샤프펜슬
TWI460619B (zh) 具有觸控筆頭的筆型輸入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