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7540A - 유동성 물질용 방출 장치 - Google Patents

유동성 물질용 방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7540A
KR20140017540A KR1020137020077A KR20137020077A KR20140017540A KR 20140017540 A KR20140017540 A KR 20140017540A KR 1020137020077 A KR1020137020077 A KR 1020137020077A KR 20137020077 A KR20137020077 A KR 20137020077A KR 20140017540 A KR20140017540 A KR 20140017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discharge
storage element
flowable material
carri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8890B1 (ko
Inventor
알베르토 씨. 소가로
Original Assignee
디스펜시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스펜시스 아게 filed Critical 디스펜시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140017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ir or other gas pressure applied to the liquid or other product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07Syringe-type or piston-type sprayers or atomi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78Arrangements for separately storing several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성 물질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 챔버(48;48A,48B)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저장 요소(14,14A,14B); 및 방출 개구(22)가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분에서 원통형이고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채널(40);40A,40B)과 축방향 채널(40;40A,40B)로부터 분기되는 적어도 하나의 교차 채널(44;44A,44B)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핀(16;72A,72B)이 마련되고, 저장 요소(14)를 외주면에서 안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실링 립(54,56;54A,56A,54B,56B)이 마련되고, 전면에서 저장 요소(14;14A,14B)의 수용 챔버(48;48A,48B)에 접하는 캐리어 본체(12)를 구비하고; 방출 개구(22) 방향으로 원통형 핀을 기준으로 저장 요소(14;14A,14B)를 슬라이딩시킬 때, 실링 립(54,56;54A,56A,54B,56B)이 원통형 핀(16;72A,72B)의 교차 채널(44;44A,44B)을 스치고 지나가서 원통형 핀(16;72A,72B)이 수용 챔버(48;48A,48B)로부터 빠져나오는 피스톤의 이동 작용에 의해 유동성 물질을 교차 채널(44;44A,44B)과 축방향 채널(40;40A,40B)을 경유하여 방출 개구(22)를 향해 이송시키는 방식으로 유동성 물질의 방출이 이루어지는 유동성 물질용 방출 장치에 있어서: 캐리어 본체(12)는 저장 요소(14;14A,14B)의 슬라이딩에 의해 유동성 물질이 분무 형태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방출 개구(22)의 영역에 배치된 분무 장치를 구비하한다.

Description

유동성 물질용 방출 장치{Discharge device for flowable material}
본 발명은 유동성 물질용 방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을 가진 약물 및/또는 백신을 위한 방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출 장치는 예를 들어, 독일 공개 번호 DE 200 19 091 U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특히 인체에 약물 또는 화장품 물질을 투여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여러가지 종류의 방출 장치들이 알려져 있다. 공지된 투여 장치는 소형 주사기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고, 유동성 물질의 배출을 위해 앞쪽에 배출 개구가 마련된 캐리어 본체를 구비한다. 캐리어 본체는 배출 개구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측에, 축방향 채널과 축방향 채널로부터 분기되는 교차 채널을 가진 원통형 핀을 구비한다. 저장 요소는 그 외측을 의미하는 원통형 핀에서 축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실링 립들(sealing lips)을 통해 안내된다. 저장 요소는 항아리-모양으로 형성되거나 일측이 폐쇄된 소형 튜브 형태이고, 핀은 저장 요소에 저장된 유동성 물질을 이동시키는 이동 피스톤으로서 작용하고, 캐리어 본체의 교차 채널과 축방향 채널을 통해 방출 개구로 이송하는 방식과 같이, 원통형 핀에서 수동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그러나, DE 200 19 191 U1으로부터 알려진 방출 장치에 의하면, 유동성 물질은 충분히 분무되어 배출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기술과 대조적으로 분무 성질이 향상된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가진 배출 장치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캐리어 본체는 방출 개구의 영역에서 분무 장치를 구비하고, 이러한 분무 장치를 통해 유동성 물질은 저장 요소의 슬라이딩에 의해 분무 형태로 방출된다.
본 발명의 방출 장치는 약물 또는 백신을 인간의 코구멍에 투여하거나 약물 또는 백신을 인간의 인두 점막에 바르는데 특히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출 장치는 투여될 때 분무(atomizing or nebulization)될 단일- 또는 다중-성분 시스템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분무 장치는 편향 요소가 배치되어 유동성 물질이 노즐을 통해 분무 형태로 배출되는 분무 챔버의 하류에 배치된 노즐을 구비한다. 유동성 물질이 노즐의 축에 대해 방사상 외측으로 옵셋되는 방식으로 노즐로 전송되도록 편향 요소는 안내 장치로 작용한다. 이것은 분무 챔버에 있어서, 유동성 물질이 노즐로 이상한 방식으로 이송되어, 방출 장치의 분무 속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출 장치의 특수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동성 물질이 노즐 방향으로 전송되는 주변에서 소형 플레이트 형상 또는 볼 형상 요소로부터 편향 요소가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편향 요소의 주변은 분무 챔버의 벽과 함께 유동성 물질의 유동 경로를 구획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출 장치에 있어서, 감소 봉에 의해 결합된 방출 채널은 분무 동작을 더 적정화시키기 위해 분무 챔버의 상류에 배치된다. 방출 채널의 벽과 함께, 감소 봉은 그곳을 통해 유동성 물질이 분무 챔버로 이송되는 환형의 챔버를 형성한다. 또한, 감소 봉은 방출 장치를 사용한 후 방출 장치에 가능한 적은 양의 잔류물을 남길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것은 감소 봉이 방출 채널의 체적을 제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출 장치의 조립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감소 봉은 편향 요소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조적인 측면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될 수 있는 실시예에 있어서, 원통형 핀은 특히 환형 숄더를 통해 캐리어 본체에 고정된 인서트에 의해 형성된다.
원통형 핀을 형성하는 인서트는 일측으로부터 캐리어 본체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서트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측면으로부터, 편향 요소에 제공되는 감소 봉은 방출 개구와 방출 채널을 통해 삽입되는 것이 유리하므로 편향 요소는 분무 챔버 내부에 배치된다. 감소 봉을 고정하기 위해, 분무 챔버를 방사상으로 제한하고 노즐의 전면에 형성된 항아리-모양의 노즐 인서트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단일-성분 시스템으로 형성되고, 유동성 물질을 위한 수용 챔버와 원통형 핀을 구비하고 핀의 축방향 채널이 분무 챔버에 인접하는 방출 채널과 정렬된 방출 장치에 있어서, 감소 봉은 핀의 축방향 채널과 결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핀의 축방향 채널을 크게 침투할 수 있다.
또한, 인서트를 고정하기 위해, 캐리어 본체는 계단 형태로 형성되어 인서트에 의해 결합된 축방향 통로를 가질 수 있다. 방출 채널은 통로의 일 부분이거나 통로에 통합될 수 있다.
다중-성분 시스템 즉, 저장 요소의 다중 저장 챔버들에 저장된 유동성 물질을 위한 방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핀들이 인서트에 형성될 수 있고, 각각에서 하나의 저장 요소는 미끄러지게 안내되거나 상응하는 수용 챔버들을 가진 단일 저장 요소가 미끄러지게 안내될 수 있다. 그 어떤 경우에도, 하나의 핀은 각각 하나의 수용 챔버에 결합된다. 또한, 하나의 핀을 가진 다중 인서트들이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다중 핀들을 가진 인서트와 캐리어 본체 사이에서, 가이드 피스(piece)가 정렬되고, 적어도 부분 형태로 분무 챔버로 향하는 방출 채널을 형성한다. 캐리어 본체에 삽입된 가이드 피스에 있어서, 성분들의 혼합은 다중-성분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다. 가이드 피스로부터, 방출될 물질은 혼합된 형태에 적합한 경우, 방출 채널로 안내된다.
유동성 물질의 투여를 촉진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finger rest) 표면은 플런저 플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는 플런저 표면을 구비하는 캐리어 본체 또는 저장 요소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출 장치는 일반적인 일회용 주사기 형태로 작동됨으로써, 그것이 사용될 때, 사용자의 2개의 손가락이 캐리어 본체의 손잡이 표면을 받칠 수 있고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으로 저장 요소의 플런저 표면을 밀게 함으므로써 방출 장치는 망원경 형태로 압축되고, 원통형 핀 또는 핀들은 유동성 물질을 수용 챔버 또는 챔버들로부터 피스톤의 이동 방식에 의해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출 장치에 의하거나 저장 요소의 수용 챔버에 의해 수납된 약물을 복용하기 위해, 다중 단계로 정의된 방식으로, 본 발명의 방출 장치의 특수한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분리가능한 멈춤 요소가 마련되어, 저장 요소와 캐리어 본체 사이의 상대 운동을 제한한다. 투여될 때, 제1 단계에서, 약물 또는 백신은 먼저, 멈춤 요소에 도달할 때까지 방출 장치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제2 투여 단계를 위해, 멈춤 요소가 분리됨으로써 저장 요소와 캐리어 본체 사이의 상대 이동이 더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는 특히, 백신이 인간의 코의 2개의 코구멍 모두에 균일한 양으로 투여되는 경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장점과 이점은 상세한 설명, 첨부된 도면 및 청구범위로부터 취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출 장치의 4개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에서 개략적이고 간략하게 설명되고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유동성 물질을 위한 수용 챔버를 구비하는 방출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방출 장치의 캐리어 본체를 개별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방출 장치의 저장 요소를 개별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저장 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캐리어 본체의 인서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방출 장치의 감소 봉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유동성 물질을 위한 2개의 수용 챔버들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출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방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방출 장치의 캐리어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방출 장치의 안내 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9의 안내 피스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A선을 따른 도 12의 안내 피스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9의 방출 장치의 인서트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인서트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인서트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인서트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20은 2개의 저장 챔버들을 가진 도 9의 방출 장치의 저장 요소의 제1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저장 요소의 제2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9의 방출 장치의 감소 봉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감소 봉의 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출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방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액체 약물 또는 백신의 2단계 투여를 위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방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있어서, 방출 장치(10)는 주사기 형식으로 형성되어 인간의 코에 액체 약물 또는 백신을 투여하는데 사용된다.
방출 장치(10)는 도 3에 분리되어 설명된 캐리어 본체 또는 주사기 본체(12) 및 플런저로서 형성되고, 도 4 및 도 5에 분리되어 설명된 저장 요소(14)를 구비한다. 다른 구성요소들로서, 방출 장치(10)는 봉-형상 또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인서트(16), 감소 봉(60), 노즐 인서트(20), 저장 요소(14)에 저장된 약물을 방출하기 위해 캐리어 본체(12)의 방출 개구(22) 영역에 노즐(21)을 구비한다.
캐리어 본체(12)는 방출 개구(22) 방향으로 테이퍼지고 큰 타원형 단면을 가지고 계단 모양으로 형성된 통로(28)에 의해 축방향으로 가로막힌 소켓(26)을 구비한다. 통로(28)는 분무 챔버(32)에서 끝나는 방출 채널(30)을 가진다. 조립 상태에서, 항아리-모양으로 형성된 노즐 인서트(20)는 분무 챔버(32)에 고정되고, 노즐 인서트(20)의 주변 벽은 분무 챔버(32)를 방사상의 경계를 정한다.
소켓(26)은 분무 챔버(32)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측면의 평면이 캐리어 본체(12)의 축에 대해 직각으로 향하는 손잡이 플레이트(34)에 의해 경계가 결정된다. 손잡이 플레이트(34)는 캐리어 본체(12)의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일정한 직경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타원형으로 구성된 안내 벽(36)에 접하게 된다.
원통형 인서트(16)는 노즐 인서트(20)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측면으로부터 소켓(26)의 통로(28) 속으로 삽입되어 통로(28)의 계단들에 상응하는 환형 숄더(38)에 의해 통로(28)에 고정된다.
인서트(16)는 튜브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이 폐쇄되어 있으며,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무 챔버(32)에 면하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의 전면 벽(42)까지 연장하고 축방향 채널(40), 및 전면 벽(42)에 면하는 타단 부근의 축방향 채널(40)로부터 분기되어 인서트(16)의 벽을 관통하는 교차 채널(44)을 가진다. 또한, 분무 챔버(32)의 방향으로 옵셋된 교차 채널(44)을 기준으로 인서트(16)의 외주면에는 환형 립(annular lip)(46)이 배치되고, 환형 립(46)에는 플런저로서 형성된 저장 요소(14)가 안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 요소(14)가 플런저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플런저의 작용에 의해, 저장 요소(14)의 수용 챔버(48)에 저장된 액체 약물(24)은 방출 장치(10)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수용 챔버(48)는 저장 요소(14)의 플런저 플레이트(50)에 의해 일단의 경계가 구획되고, 인서트(16)의 전면 벽(42)에 의해 타단의 경계가 구획된다. 수용 챔버(48)는 원형 모양을 가지며, 2개의 실링 립들(54)(56)이 내부에 마련된 내부 벽(52)에 의해 방사상의 경계가 구획된다. 2개의 실링 립들(54)(56)은 인서트(16)의 축방향으로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고, 실링 립들(54(56) 사이의 간격은 인서트(16)의 교차 채널(44)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크다. 저장 요소(14)는 실링 립들(54)(56)과 인서트(16)의 립(46)을 매개로 하여 인서트(16)에서 미끄러지게 안내된다. 부연 설명하면, 저장 요소(14)의 실링 립들(54)(56)과 인서트(16)의 립(46)은 인서트(16)에 대한 저장 요소(14)의 각각의 작동 위치를 사용자게 표시할 수 있는 멈춤(stop)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저장 요소(14)가 작동할 때 실링 립들(54)(56)은 인서트(16)의 립(46)을 지나쳐서 미끄러질 수 있다.
저장 요소(14)는 타원형 모양으로 내부 벽(52)을 감싸고 캐리어 본체(12)의 안내 벽(36)의 내측에서 안내되거나 저장 요소(14)가 작용할 때 안내 벽(36)에 밀착되어 미끄러지는 외부 벽(58)을 더 구비한다.
방출 장치(10)는, 도 7 및 도 8에 분리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본체(12)의 방출 채널(30)과 인서트(16)의 축방향 채널(40)을 완전히 관통하는 원통형 샤프트(62)를 가진 감소 봉(60)을 더 구비한다. 감소 봉(60)의 샤프트(62)의 직경은 캐리어 본체(12)의 방출 채널(30)과 인서트(16)의 축방향 채널(40)의 직경보다 약간 더 작다.
감소 봉(60)은, 인서트(16)로부터 이격되어 면하는 끝단에서 육각 프리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방출 장치로부터 약물을 방출시킬 수 있도록 편향 요소를 형성하는 작은 플레이트-모양의 헤드(64)를 구비한다. 헤드(64)는 분무 챔버(32) 내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항아리-모양의 노즐 인서트(20)와 함께, 분무 챔버(32)에 있는 약물의 유동 경로를 구획한다. 노즐 인서(20)트의 바닥의 내측에는 그루브들이 형성되고, 약물은 그루브들을 통과하여 노즐(21) 방향으로 유동하여 그곳에서 분무화된다.
도 2에 도시된 저장 위치에서, 실링 립들(54)(56)은 교차 채널(44)이 그들 사이에 배치되는 핀을 형성하는 인서트(16)의 외측에 접촉된다. 수용 챔버(48)에 저장된 약물(24)을 투여하기 위해서 인서트(16)의 전면에 압력을 가하면, 캐리어 본체(12)의 소켓(26) 방향으로 저장 요소(14)가 미끄러지고, 실링 립(56)은 교차 채널(44)을 스치고 지나가서 내부 벽(52)과 인서트(16)의 외주 사이에 형성된 링 챔버를 통해 수용 챔버(48)와 교차 채널(44) 사이에 유체 연통이 개방된다. 인서트(16)에 대한 저장 요소(14)의 연속적 슬라이딩 및 연속적 밀기 동작에 의해, 약물(24)은 수용 챔버(48)로부터 인서트(16)에 의해 방출되고, 교차 채널(44) 및 감소 봉(60)의 샤프트(62)와 인서트(16)에 의해 형성된 링 챔버를 통해, 축방향 채널(30) 및 감소 봉(60)의 샤프트(62)와 캐리어 본체(12)의 소켓(26)에 의해 형성된 방출 채널(30)의 영역에 형성된 링 챔버를 통해, 분무 챔버(32)를 향해 이송되어, 분무 챔버(32)로부터 방출되어 헤드(64)의 형성에 의한 노즐(21)을 통해 분무 형태로 된다. 약물(24)은 감소 봉(60)에 의해 잔류물을 남기지 않고이 방출 장치(10)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출 장치(70)의 외형은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된 방출 장치의 그것에 상응한다. 그러나, 방출 장치(70)는 2개의 성분들(24A)(24B)로 구성된 약물의 투여에 적합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방출 장치(70)는 플런저로서 형성되고 약물 성분(24A)(24B)을 각각 수용하고 원형 내부 벽(52A)(52B)에 의해 각각 구획되는 2개의 수용 챔버들(28A)(28B)을 가진 저장 요소(14')를 구비한다. 도 9 내지 도 22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요소(14') 역시 실질적으로 타원형 외관을 가진 외부 벽(58)을 구비한다.
저장 요소(14')의 2개의 내부 벽들(52A)(52B)은 각각 인서트(16')의 2개의 원통형 핀들(72A)(72B)에서 저장 요소(14')를 안내하는 기능을 가지며, 방출 장치(70)의 캐리어 본체(12')에 고정된 2개의 실링 립들(54A)(56A)(54B)(56B)를 각각 구비한다.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인서트(16')는 록킹 위치로 기능하고 캐리어 본체(12')의 소켓(26')의 리세스(76)에 고정되는 소켓(74)을 가진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소켓(74)은 록킹 숄더(78)를 가진다.
2개의 핀들(72A)(72B)은 소켓(74)으로부터 분기되고, 그곳에서 저장 요소(14')는, 도 6에서 설명된 인서트에 상응하고, 각각 립(46A)(46B)를 가지며, 저장 요소(14')의 각각의 내부 벽(52A)(52B)의 내측에 접촉한다.
나아가, 인서트(16')의 2개의 핀들(72A)(72B)은, 저장 요소(14')에 면하는 측면에서 각각의 전방 벽(52A)(52B)에 의해 구획되고 저장 요소(14')로부터 이격되어 면하는 전면까지 소켓(74)을 각각 관통하는 축방향 채널(40A)(40B)을 구비한다. 또한, 축방향 채널(40A)(40B)로부터 각각 분기되는 교차 채널(44A)(44B)의 기능은 도 6의 인서트의 교차 채널의 그것에 상응한다.
축방향 채널(40A)(40B)의 각각에는 하나의 감소 봉(80A)(80B)이 각각 배열되어 약물이 방출될 때 약물 잔류물을 최소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저장 요소(14')로부터 이격되어 면하는 인서트(16')의 앞쪽에는, 도 12 내지 도 15에서 분리되어 설명된 바와 같이, 캐리어 본체(12')의 통로(28)와 결합하는 튜브부(84) 및 록킹 플랩으로 형성되고 인서트(16')의 상응하는 헤드부(88)에 고정될 수 있는 2개의 기저부(86A)(86B)를 가진 가이드 피스(82)가 인접된다. 가이드 피스(82)에 있어서, 수용 챔버들(48A)(48B)로부터 방출되는 약물 성분들은 혼합된 후, 캐리어 본체(12')의 소켓(26)의 전방에서 형성되고 도 1 내지 도 8에 따른 실시예의 분무 챔버에 상응하게 형성된 분무 챔버(32)를 향해 튜브부(84)를 통해 전송된다. 또한, 방출 개구(22)의 영역의 소켓(26')에는 항아리-모양의 노즐 인서트(20)가 삽입되어 분무 챔버(32)를 방사상으로 구획하여 노즐(21)을 형성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23에 설명된 실시예는 육각 프리즘 형태로 형성된 헤드(64)와 샤프트(62)를 가진 감소 봉(60)을 구비하고, 헤드(64)는 분무 챔버(32)에 배치되고 샤프트(62)는 방출 채널(30)과 가이드 피스(82)의 튜브부(84)에 배치되어 방출 장치(70)의 내부 체적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방출 장치(70)에 저장된 약물을 투여할 때, 사용자는 저장 요소(14')의 플런저 플레이트(50)에 압력을 가해서 방출 장치(70)를 압축시키고, 저장 요소(14')는 캐리어 본체(12')의 소켓(26') 방향으로 인서트(16')의 핀들(72A)(72B)에 대해 슬라이딩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실링 립들(56A)(56B)은 핀들(72A)(72B)의 교차 채널(44A)(44B)을 스쳐 지나가고, 약물 성분들(24A)(24B)은 교차 채널들(44A)(44B)과 축방향 채널들(40A)(40B)을 경유하여 핀들(72A)(72B)의 피스톤 효과에 의해 가이드 피스(82)로 이송되어, 그곳에서 혼합된 후 방출 채널(30)과 분무 채널(32)을 통해 방출되면서 노즐(21)을 경유하여 분무 형태로 된다.
도 24 및 도 25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출 장치(90)의 구조는 도 9 내조 도 23에 따른 실시예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상응하지만, 2개의 저장 요소들(14A)(14B)을 구비하는 점에서 다르다. 이러한 저장 요소들(14A)14B)은 2개의 핀들(72A)(72B)에서 분리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출 장치(90)는 저장 요소(14A)에 저장된 제1 약물 성분(24A)을 인간의 코의 하나의 코구멍으로 투여하고, 제2 저장 요소(14B)에 저장된 제2 약물 성분(24B)을 인간의 코의 다른 코구멍으로 투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핀(72A)과 관련된 저장 요소(14A)는 약물 성분(24A)을 위한 수용 챔버(48A)를 구비하고, 핀(72B)과 관련된 저장 요소(14B)는 제2 약물 성분(24B)을 위한 수용 챔버(48B)를 구비한다. 2개의 수용 챔버들(48A)(48B)의 각각은 핀(72A)(72B)과 관련하여 안내되고 외벽(58A)(58B)에 의해 구획되는 원통형 내벽(52A)(52B)에 의해 구획되고, 반-타원형 외형을 가진다. 따라서, 수용 챔버들(48A)(48B)의 각각은 반-타원형 베이스 표면을 가진 플런저 플레이트(50A)(50B)에 의해 전면에서 구획된다.
기타, 방출 장치(90)의 구조는 도 9 내지 도 23에 따른 방출 장치의 그것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주사기와 유사하게 형성되고 인간의 코에 액체 약물 또는 백신을 투여하는데 사용되는 방출 장치(100)가 설명된다.
방출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상응하지만, 한편으로, 인서트(16)가 캐리어 본체(12)의 통로(28)를 완전히 침투하여 노즐(21)로부터 이격되는 측면에서 분무 챔버(32)를 구획하고, 다른 한편으로, 저장 요소(14C)의 외벽(58)에서, 플랩 형태의 멈춤 요소(102)가 일체로 형성되어 방출 장치(100)의 세로 방향 또는 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하고, 안내 벽(36)에 접촉되는 점에서 캐리어 본체(12)와 저장 요소(14C) 사이의 슬라이딩 경로를 구획하는 점에서 구별된다. 멈춤 요소(102)는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저장 요소(14C)는 캐리어 본체(12)에 대해 더 슬라이딩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 요소(14C)의 수용 챔버(48)에 저장된 약물(24)을 2 단계로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단계에서, 저장 요소(14C)가 안내 벽(36)에 접촉할 때까지 저장 요소(14C)는 캐리어 본체(12)에 대해 미끄러진다. 제2 단계에서, 멈춤 요소(102)가 분리된 후, 저장 요소(14C)가 캐리어 본체(12)에 대해 더 슬라이딩 되어 수용 챔버(48)에 남아있는 약물(24)이 완전히 방출될 수 있다.
기타, 방출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8에 따른 방출 장치에 상응한다.
10...방출 장치 12...캐리어 본체
14...저장 요소 16...인서트
20...노즐 인서트 21...노즐
22...방출 개구 24...약물
26...소켓 28...통로
30...방출 채널 32...분무 챔버
34...손잡이 플레이트 36...안내 벽
38...환형 숄더 40...축방향 채널
42...전면 벽 44...교차 채널
46...립 48...수용 챔버
50...플런저 플레이트 52...내부 벽
54,56...실링 립 58...외부 벽
60...감소 봉 62...샤프트
64...헤드

Claims (16)

  1. 유동성 물질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 챔버(48;48A,48B)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저장 요소(14,14A,14B); 및 방출 개구(22)가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분에서 원통형이고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채널(40);40A,40B)과 상기 축방향 채널(40;40A,40B)로부터 분기되는 적어도 하나의 교차 채널(44;44A,44B)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핀(16;72A,72B)이 마련되고, 상기 저장 요소(14)를 외주면에서 안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실링 립(54,56;54A,56A,54B,56B)이 마련되고, 전면에서 상기 저장 요소(14;14A,14B)의 수용 챔버(48;48A,48B)에 접하는 캐리어 본체(12)를 구비하고; 상기 방출 개구(22) 방향으로 상기 원통형 핀을 기준으로 상기 저장 요소(14;14A,14B)를 슬라이딩시킬 때, 상기 실링 립(54,56;54A,56A,54B,56B)이 상기 원통형 핀(16;72A,72B)의 상기 교차 채널(44;44A,44B)을 스치고 지나가서 상기 원통형 핀(16;72A,72B)이 상기 수용 챔버(48;48A,48B)로부터 빠져나오는 피스톤의 이동 작용에 의해 상기 유동성 물질을 상기 교차 채널(44;44A,44B)과 상기 축방향 채널(40;40A,40B)을 경유하여 상기 방출 개구(22)를 향해 이송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유동성 물질의 방출이 이루어지는 유동성 물질용 방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본체(12)는 상기 저장 요소(14;14A,14B)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유동성 물질이 분무 형태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방출 개구(22)의 영역에 배치된 분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용 방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무 장치는 분무 챔버(32)의 하류에 배치된 노즐(21); 및
    상기 유동성 물질이 상기 노즐로부터 분무 형태로 방출되도록 상기 분무 챔버에 설치된 편향 요소(6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용 방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무 챔버(32)의 상류에 배치되어 감소 봉(60)에 의해 결합된 방출 채널(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용 방출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감소 봉(60)은 상기 편향 요소(64)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용 방출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핀(16:72A,72B)은 환형 숄더(38;78)에 의해 상기 캐리어 본체(12)에 록킹된 인서트(16)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용 방출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핀(16)의 축방향 채널(40)은 방출 채널(30)과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용 방출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즐(21)은 분무 챔버(32)를 방사상으로 구획하는 항아리-모양의 노즐 인서트(2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용 방출 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감소 봉(60)은 핀(16)의 축방향 채널(30)에 결합하고 축방향 채널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용 방출 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본체(12)는 계단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16)가 결합되는 축방향 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용 방출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핀들(72A,72B)이 인서트(16)에 형성되고, 핀들의 각각에 하나의 저장 요소(14A,14B)가 미끄러지게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용 방출 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수용 챔버들(48A,48B)을 가진 저장 요소(14)가 미끄러지게 안내되고 각각 어느 하나의 수용 챔버들(48A,48B)에 결합되는 2개의 핀들(72A,72B)이 인서트(16)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용 방출 장치.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핀들(72A,72B)의 축방향 채널들(40A,40B)의 각각에 감소 봉(80A,80B)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용 방출 장치.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무 챔버(32)로 안내되는 방출 채널(3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인서트(16')의 하류에 배치된 가이드 피스(8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용 방출 장치.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어 본체(12)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 표면(3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용 방출 장치.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장 요소(14)는 플런저 플레이트(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용 방출 장치.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장 요소(14C)와 캐리어 본체(12) 사이의 상대 운동의 경계를 획정하고 저장 요소(14C)에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분리 가능한 멈춤 요소(10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용 방출 장치.
KR1020137020077A 2011-02-02 2012-01-26 유동성 물질용 방출 장치 KR1019988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53081.2 2011-02-02
EP11153081.2A EP2484454B1 (de) 2011-02-02 2011-02-02 Austragvorrichtung für fließfähigen Stoff
PCT/EP2012/051244 WO2012104199A1 (de) 2011-02-02 2012-01-26 Austragvorrichtung für fliessfähigen stof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540A true KR20140017540A (ko) 2014-02-11
KR101998890B1 KR101998890B1 (ko) 2019-07-10

Family

ID=44140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077A KR101998890B1 (ko) 2011-02-02 2012-01-26 유동성 물질용 방출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694148B2 (ko)
EP (1) EP2484454B1 (ko)
JP (1) JP5990540B2 (ko)
KR (1) KR101998890B1 (ko)
CN (1) CN103561873B (ko)
AU (1) AU2012213637B2 (ko)
CA (1) CA2825548C (ko)
ES (1) ES2492679T3 (ko)
WO (1) WO20121041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03622B4 (de) 2014-03-13 2021-01-07 Spang & Brands Gmbh Einwegdosierer
US10940274B2 (en) * 2015-12-01 2021-03-09 Cipla Limited Nasal spray assembly
US10556072B2 (en) * 2017-01-31 2020-02-11 Dunan Microstaq, Inc. Metering device for a metered dose inhaler
DE102019106251B4 (de) 2019-03-12 2021-02-18 Spang & Brands Gmbh Austragvorrichtung für zerstäubbares Fluid
JP6906773B1 (ja) * 2021-02-17 2021-07-21 水戸工業株式会社 細胞分注装置に用いられる吐出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3533A (ja) * 1997-11-25 2001-11-27 レクサム ソファブ 端部が閉鎖した鼻梁治療用末端部品
KR20100059895A (ko) * 2007-09-19 2010-06-04 케텐바흐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분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4900A (en) * 1976-05-03 1977-07-12 Ethyl Corporation Spray pump assembly
GB8625491D0 (en) * 1986-10-24 1986-11-26 Bespak Plc Discharge pump assembly
US5046644A (en) * 1989-11-27 1991-09-10 American Dispensing Systems Inc. Atomizing fluid dispenser one
IT1244803B (it) * 1990-11-21 1994-09-05 Promo Pack S A Erogatore-spruzzatore monodose per la somministrazione endonasale di medicamenti liquidi.
IT1249600B (it) * 1991-02-21 1995-03-09 Elettro Plastica Spa Erogatore nasale di sostanze farmaceutiche nebulizzate
US5348189A (en) * 1991-04-10 1994-09-20 Bespak Plc Air purge pump dispenser
US6152335A (en) * 1993-03-12 2000-11-28 Homax Products, Inc. Aerosol spray texture apparatus for a particulate containing material
GB9311892D0 (en) * 1993-06-09 1993-07-28 Glaxo Wellcome Australia Ltd Device
DE4400944A1 (de) * 1994-01-14 1995-07-20 Ursatec Verpackung Gmbh Saug-Druckpumpe für Fluidbehälter
US6209759B1 (en) * 1997-07-04 2001-04-03 Valois S.A. Hand-operated pump with a free floating sleeve piston
GB9814368D0 (en) * 1998-07-02 1998-09-02 Reckitt & Colmann Prod Ltd Inhalation of aerosol actives
US6745763B2 (en) * 1998-10-27 2004-06-08 Garth T. Webb Vaporizing device for administering sterile medication
FR2789371B1 (fr) * 1999-02-05 2001-04-27 Sofab Distributeur de produits chimiquement instables
US6447476B1 (en) 1999-11-19 2002-09-10 Dentaco Dentalindustrie-Und Marketing Gmbh Prefilled telescoping ampoule device
EP1205196B1 (en) * 2000-11-09 2006-06-14 Dentaco Dentalindustrie und -marketing GmbH A prefilled telescoping multiple chamber ampoule device
US7367478B2 (en) * 2003-06-25 2008-05-06 Ing. Erich Pfeiffer Gmbh Dosing device for at least one medium
GB2403153A (en) * 2003-06-26 2004-12-29 Bespak Plc Hand held nasal dispensing device
DE10336293A1 (de) * 2003-08-01 2005-02-17 Ing. Erich Pfeiffer Gmbh Dosiervorrichtung mit Applikationskuppe
EP1602415A1 (en) * 2004-06-04 2005-12-07 3M Espe AG Syringe for a multi-component paste
US20060207596A1 (en) * 2005-03-18 2006-09-21 Fairfield Clinical Trials, Llc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y of combination nasal medication
CA2547044C (en) * 2005-05-19 2014-08-12 Gotohti.Com Inc. Severable piston pump
DE102005033771A1 (de) * 2005-07-15 2007-01-25 Saint-Gobain Calmar Gmbh Fluidaustragkopf
WO2007123207A1 (ja) * 2006-04-21 2007-11-01 Toko Yakuhin Kogyo Kabushiki Kaisha 流体用容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エアレス式流体投与システム
US20100095957A1 (en) 2007-03-02 2010-04-22 Corbco, Inc. Manually operated monodose nasal sprayer device
EP3453418A1 (en) * 2007-07-06 2019-03-13 Manta Devices, LLC Delivery device and related methods
US8408427B2 (en) * 2009-09-07 2013-04-02 Mk International Pty Ltd Single dose nasal spray pump
ES2881328T3 (es) * 2010-11-12 2021-11-29 Teleflex Medical Inc Pulverizador para terapia nas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3533A (ja) * 1997-11-25 2001-11-27 レクサム ソファブ 端部が閉鎖した鼻梁治療用末端部品
KR20100059895A (ko) * 2007-09-19 2010-06-04 케텐바흐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분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2213637B2 (en) 2016-09-29
AU2012213637A1 (en) 2013-08-15
CA2825548A1 (en) 2012-08-09
JP5990540B2 (ja) 2016-09-14
JP2014513991A (ja) 2014-06-19
EP2484454B1 (de) 2014-05-14
KR101998890B1 (ko) 2019-07-10
US9694148B2 (en) 2017-07-04
WO2012104199A1 (de) 2012-08-09
EP2484454A1 (de) 2012-08-08
ES2492679T3 (es) 2014-09-10
CA2825548C (en) 2019-04-09
CN103561873B (zh) 2016-03-16
CN103561873A (zh) 2014-02-05
US20140060523A1 (en)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9342B2 (en) Atomizer for dispensing liquids for medical purposes
CN101316660B (zh) 流体制剂的分配泵
KR101998890B1 (ko) 유동성 물질용 방출 장치
KR101410891B1 (ko) 유체 분배기
US20030080210A1 (en) Device for producing high pressure in a fluid in miniature
AU2013276252B2 (en) Valved container assembly
CN111050828B (zh) 药剂保存用带喷嘴药筒及其喷射器、以及鼻腔用粉状药剂给药装置
CN105848787A (zh) 使用用于分配流体产品的组件的方法
JP2014532445A5 (ja) アプリケータ及びアプリケータシステム
TW201515714A (zh) 流體分配器
CA2808245A1 (en) Metered-dose inhal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1395887B2 (en) Intranasal device with inlet interface
JP7233431B2 (ja) 流体吐出装置
KR20170021017A (ko) 이중 주사기
CN110709171B (zh) 流体制品分配组件
PL201410B1 (pl) Ręcznie uruchamiany rozpylacz
JP2019502479A (ja) 経鼻流体投与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作動方法
JP5968167B2 (ja) 混合噴出器
JPH09140797A (ja) 鼻腔用投薬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