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7359A - 도어 레버의 회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레버의 회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7359A
KR20140017359A KR1020120084296A KR20120084296A KR20140017359A KR 20140017359 A KR20140017359 A KR 20140017359A KR 1020120084296 A KR1020120084296 A KR 1020120084296A KR 20120084296 A KR20120084296 A KR 20120084296A KR 20140017359 A KR20140017359 A KR 20140017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lever
rotation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2590B1 (ko
Inventor
정화수
Original Assignee
정화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화수 filed Critical 정화수
Priority to KR1020120084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590B1/ko
Publication of KR20140017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57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by locking the handle, spindle, follower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레버의 회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래치 타입의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 몸체; 상기 외측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래치볼트;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래치볼트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도어의 잠금 및 해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아웃 레버; 상기 아웃 레버와 래치볼트 사이에 구성되어 아웃 레버의 회동에 따라 래치볼트가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는 회동부재;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잠금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아웃 레버가 회동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동부재와 연동되어 구비되는 잠금부재;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잠금 또는 해제동작에 따라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방향측에 위치되거나 제거되도록 상기 잠금부재의 위치가 변경되게 구동하는 구동부; 그리고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잠금 또는 해제동작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치 타입의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서 도어가 잠금상태일 때 외측 레버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도어 레버의 회전 방지장치{ROTATION PREVENTIVE APPARATUS OF DOOR LEVER}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래치 타입(latch type)의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 도어 레버(door lever)가 강제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디지털 도어록의 도어 레버의 회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가정에 마련된 공간(방, 욕실) 또는 사무실에 별도로 마련된 별도 공간의 출입구를 임의로 통제할 수 있도록 도어에 도어록 장치가 설치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록 장치는 기계식 잠금장치로서 인레버(in lever) 또는 아웃레버(out lever) 중 어느 하나를 회동시켜 도어록의 도어 프레임에서 도어를 잠김 해제시켜 출입하게 되는 구조였다.
최근에는 상술한 각각의 공간에 대한 독립성과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종래의 기계식 잠금장치 대신 전자식 잠금장치를 채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러한 전자식 잠금장치의 예로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있다.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통상적으로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잠금/해제 작동이 이루어지는 데드볼트를 포함하는 데드볼트 작동부, 내/외측 몸체의 손잡이에 의해 잠금/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는 래치볼트와 래치볼트의 작동을 위한 레버장치를 구비하여 되는 도어개폐 유니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도어의 잠금 구조를 해제하기 위하여 데드볼트와 래치볼트 모두를 해제해야 하는 동작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처럼 상기의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의 구동을 위한 데드볼트 작동부 및 레버장치가 함께 구성되고 있어 이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즉, 기존에 이미 설치된 도어에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상당히 어려웠다. 예컨대 기계식 도어장치로서 노브형 도어록이나 레버형 도어록이 장착된 기존의 도어에 이를 제거하고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장착할 경우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장착공간으로 인해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설치할 수 없었다.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장착하려 한다면 기계식 잠금장치가 장착된 공간의 구조를 변형해야 하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였던 것이다. 다시말해,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크기가 기계식 도어록의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서 그 장착 공간 역시 서로 다른 형상이었고, 따라서 상술한 장착 공간에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도어에 이미 형성된 장착 공간을 새롭게 가공해야 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수적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최근에는 래치볼트 및 래치볼트의 작동을 위한 레버장치만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종래 데드볼트 구조를 포함한 디지털 도어록 장치(이하, '종래 디지털 도어록 장치'라 칭하기로 함)에 비하여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기존 도어에 장착된 기계식 잠금장치를 제거한 위치에 곧바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로 인하여 상술한 별도 공간에 마련된 도어에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따라서 각각의 공간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종래 디지털 도어록 장치와 그 기능 및 구성은 대부분 동일하며 제어부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잠금/해제 작동이 이루어지는 데드볼트를 포함하는 데드볼트 작동부의 구조만이 제거된 구성에만 차이가 있을 뿐이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도 내/외측 몸체의 레버에 의해 도어의 잠금 및 해제 동작을 할 수 있고, 도어가 닫히게 되면 자동으로 도어가 잠금 상태가 되며, 외측에서 도어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 키패드 등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정당한 인증절차를 수행해야만 하는 등, 그 기본적인 동작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도어에 디지털 도어장치가 장착되고 잠금 상태를 유지할 때, 외측 몸체에 구비된 아웃 레버는 어느 정도의 회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물론, 아웃 레버의 회동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도어의 잠금이 유지된 상태에서 아웃 레버가 회동될 경우, 도어개폐유니트의 내부에 장착된 부품이나 기계적인 구조가 손상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어가 잠금상태이지만 아웃 레버를 인위적으로 회동시킨다거나, 잠김 상태를 모르는 사람에 의해 회전력이 과도하게 가해지면, 아웃레버에 가해진 회전력이 도어록 몸체의 내부에 불필요한 과부하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도어개폐유니트를 구성부품들 간에 뒤틀림이 발생하여 부품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작동되어지지 못하고 비정상적으로 작동되어지는 문제가 야기됨은 물론, 급기야는 부품들의 마모 등으로 인한 작동불능 상태에 이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에 설치된 도어에 쉽게 장착이 가능한 래치타입의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서, 그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잠금상태일 때 도어를 열기 위한 방향으로 아웃 레버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레버의 회전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로 인하여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잠겨 있을 때 도어 레버의 회동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기대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래치 타입의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 몸체; 상기 외측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래치볼트;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래치볼트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도어의 잠금 및 해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아웃 레버; 상기 아웃 레버와 래치볼트 사이에 구성되어 아웃 레버의 회동에 따라 래치볼트가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는 회동부재;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잠금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아웃 레버가 회동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동부재와 연동되어 구비되는 잠금부재;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잠금 또는 해제동작에 따라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방향측에 위치되거나 제거되도록 상기 잠금부재의 위치가 변경되게 구동하는 구동부; 그리고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잠금 또는 해제동작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 레버의 회전 방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해제되면, 상기 잠금부재를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방향측에서 제거되게 하여, 상기 아웃 레버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어의 내측에는 내측 몸체가 더 구성되고, 상기 내측몸체에는 상기 도어를 잠금상태가 되게 잠금핀이 구비되되, 상기 잠금핀은 상기 도어의 닫힘상태 또는 개방상태에 따라 구동부재에 의해 자동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도어가 잠금 또는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모터가 적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레버의 회전방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도어가 잠금상태를 유지할 때 아웃 레버가 회동되는 것이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도어 외부에서 아웃 레버를 인위적으로 회동시킨다거나 잠김 상태를 모르는 사람에 의해 회전력이 과도하게 가해지지 않도록 하여 도어록 장치의 각종 구성 부품들이 손상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록 장치의 잠금핀이 자동으로 인입 및 인출되기 때문에 종래 수작업으로 잠금핀을 조작해야 하는 노력을 덜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어 레버의 회전방지장치를 보인 블럭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따라 본 발명의 도어레버의 회전방지장치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따라 본 발명의 도어레버의 회전방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도어레버의 회전방지장치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어레버의 회전방지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본 설명에서는 도어레버의 회전방지장치와 관련된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하고, 이외의 다른 구성들에 대해서는 공지의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구성을 따르기로 한다. 따라서 도면 중 도 2 및 도 3에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지만 본 발명과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만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함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어 레버의 회전방지장치를 보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된 바와 같이, 도어 레버의 회전방치장치(100)는 도어의 외측에 장착된 외측 몸체(110)가 구성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도어의 내측 및 외측에 각각 구성되는 내측 몸체와 외측 몸체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외측 몸체(110)의 외면에는 미도시 하고 있으나 도어의 개방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나 터치패드 장치, 또는 지문이나 홍채 등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장치 등이 구성된다. 이러한 키패드나 터치패드 장치, 인식장치 등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게 구성할 수 있거나, 덮개에 의해 선택적으로 노출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외측 몸체(110)의 외면에는 아웃 레버(120)가 구성된다. 아웃 레버(120)는 통상적으로 도어 외측에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역할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술한 키패드나 터치패드, 인식장치 등을 통해 정당한 사용자임을 인증해야만 이용할 수 있다.
아웃 레버(120)와 연동되어 외측 몸체(110) 내에는 회동부재(130)가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재(130)는 후술하는 래치볼트(140)의 슬라이딩 이동을 도와준다. 회동부재(130)는 아웃 레버(120)가 일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그와 연동되어 회동하게 되고, 이러한 회동 동작에 따라 래치볼트(140)는 일방향, 즉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된다. 여기서 회동부재(130)의 형상은 아웃 레버(120)와 연동되어 회동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상관없다. 다만, 후술하는 잠금부재(150)에 의해 일방향으로의 회동동작이 간섭받을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예컨대, 원형 형상이지만 일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잠금부재(150)의 일부가 삽입되거나 회동방향의 경로에 위치되어 원호상으로 이동하는 회동부재(130)의 회동동작을 차단할 수 있어야 한다.
회동부재(130)의 회동 동작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잠금부재(150)가 구비된다. 잠금 부재(150) 역시 그 형상은 회동부재(130)의 회동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상관없다. 예컨대, 바(bar)의 일부가 회동부재(130)의 개구부나 절개홈에 삽입되거나 원호상으로 움직이는 회동방향의 경로상에 위치되어 회동부재(130)의 움직임을 간섭할 수 있는 일정 길이로 이루어지는 바(bar) 형태일 수 있다. 또는 바 형태의 변형된 구조일 수 있다.
잠금부재(150)를 구동하는 구동모터(160)가 구비된다. 구동모터(160)는 후술하는 제어부(170)의 제어동작에 따라 구동되거나 정지된 상태를 갖는다. 통상 본 실시 예에서는 도어가 잠금상태일 때 잠금부재(150)의 일부가 회동부재(130)측으로 이동되어 회동부재(130)의 회동을 차단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잠금부재(150)가 이 상태에 있을 때를 '제 1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반면 상술한 정당한 사용자의 인증에 따라 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회동부재(130)측에 위치된 잠금부재(150)를 회동부재(130)와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잠금부재(150)가 이 상태를 있을 때를 '제 2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처럼 구동모터(160)는 잠금부재(150)를 제 1위치 또는 제 2위치가 위치되게 하여 회동부재(130)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구동모터(16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70)가 구비된다. 제어부(170)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잠금부재(150)의 위치를 변경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즉 제어부(170)는 도어의 잠금 및 해제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와 연동하여, 특히 도어가 잠금상태가 되면 잠금부재(150)가 제 1위치가 되도록 구동모터(160)를 제어하고 또한 출입자에 의해 도어의 개방이 요청되면 잠금부재(150)가 제 2위치가 되도록 구동모터(160)를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레버의 회전방지장치의 작용상태를 실시 예를 보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은 서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잠금부재 및 회동부재의 형상에만 일부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부품들은 상호 동일하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따라 본 발명의 도어레버의 회전방지장치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몸체(110)가 구성된다. 외측 몸체(110)에는 아웃 레버(120)가 외측 몸체(1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구비되고, 아웃 레버(120)와 연동되어 도어의 단면에서 일부가 돌출 또는 삽입되게 도어 내부에 래치볼트(140)가 구성된다. 즉 아웃 레버(120)를 회동시키면 래치볼트(140)는 그 회동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아웃 레버(120)와 래치볼트(140) 사이에는 서로 협력하에 구동하는 부품들이 구비되고 있다. 이러한 부품들은 이미 다양한 도어록 장치에 채용되고 있는 바, 본 실시 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아웃 레버(120)와 래치볼트(140) 사이에 위치되어 서로 연동되도록 구비되는 회동부재(130)의 구성만을 설명한다. 즉 아웃 레버(120)가 회동되면 회동부재(130)는 아웃레버(120)의 회동력을 래치볼트(140)로 전달하여 래치볼트(140)가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회동부재(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측 레버(120)와 연동되어 회동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상관없고, 실시 예에서는 일부가 절개된 대략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잠금부재가 시계추와 같이 원호상의 경로를 따라 움직일 때 잠금부재(150)에 의해 회동동작이 제한된다.
회동부재(130)의 회동동작을 간섭하는 잠금부재(150)가 구비된다. 잠금부재(150)는 소정 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추와 같이 일정 각도의 범주 내에서 회동하게 되고, 회동 시 잠금부재(150)가 회동부재(130)의 회동방향에 위치하게 되면 회동부재(130)는 회동하지 않게 된다.
한편, 잠금부재(150)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160) 및 구동모터(16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70)는 도 2a 및 도 2b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몸체부 내부, 즉 도어 내측에 구성된 몸체부 내에 구성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동작을 살펴보면, 평상시 즉 도어가 잠금상태일 경우 제어부(170)는 도어의 잠금상태를 감지하여 구동모터(160)를 제어한다. 제어동작에 따라 구동모터(160)는 잠금부재(150)를 도 2a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 1위치에 위치되게 한다.
그렇게 되면, 도어 외측에 아웃 레버(120)를 회동시키려고 하더라도 잠금부재(150)에 의해 회동부재(130)가 회동할 수 없기 때문에 아웃 레버(120)는 회동되지 않는다. 즉 잠금부재(150)의 일부가 회동부재(130)의 절개홈에 삽입된 상태이거나 회동부재(130)의 회동 방향의 절개부 일단과 밀착된 상태로 회동부재(130)의 회동을 간섭하기 때문이다.
반면, 도어를 개방하고자 도어 외측에서 정당한 사용자임을 인증하는 절차가 수행되면, 상기 제어부(170)는 구동모터(160)를 제어하여 잠금부재(150)가 제 2위치에 위치되게 한다. 즉 도 2b와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어 외측에 위치한 출입자는 외측 레버(120)를 회전시킬 수 있고 이에 연동하여 래치볼트(140)는 도어의 내부로 삽입되어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도어가 개방된 후 다시 도어 잠금상태가 되면 제어부(170)는 이를 감지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부재(150)가 제 1위치에 위치되게 하여 아웃 레버(12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즉 도 2a와 같은 상태임).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따라 본 발명의 도어레버의 회전방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의 구성이 도 2의 구성과 다른 부분은 잠금부재(150)의 형상과 잠금부재(150)의 일부가 접촉되게 회동부재(130)에 연장부(132)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 기능은 동일하기 때문에 도 3에 도면부호는 도 2에 부여된 도면 부호와 동일하게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의 다른 실시 예는 도면에서와 같이 잠금부재(150)는 대략 'ㄱ' 형상으로 형성되고, 잠금부재(150)의 일부는 회동부재(130)의 연장부(부호 미부여)와 접촉 또는 이탈되게 되어 회동부재(130)의 회동 운동을 제한하고 있다.
즉, 도 3a을 참조하면 잠금부재(150)는 제 1위치에 있는 상태이고, 이 상태는 아웃 레버(120)가 회동되지 않는 상태이다. 반면, 도어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 잠금부재(150a)는 현재의 제 1 위치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3b와 같이 제 2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회동부재(130)의 연장부는 잠금부재(150)와의 접촉이 해제된 상태로 아웃레버(120)를 회동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처럼 다른 실시 예에서도 도어 잠금상태일 때에는 아웃 레버(120)가 인위적으로 회전되지 않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의 내측에는 내측 몸체를 더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내측몸체에는 도어 내측에서 상기 도어를 잠금상태가 되게 잠금핀의 구성을 더 구성한다.
상기의 잠금핀은 일반적인 도어록 장치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도어 내측에서 잠금핀을 누르면 도어 외부에서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이다. 종래에는 상기 잠금핀을 도어 내부에 있는 사용자가 직접 눌러 도어를 잠그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의 잠금핀을 자동으로 누르거나 당겨지도록 한다. 즉, 도어가 닫히게 되면 제어부(170)는 잠금핀이 자동으로 눌러지도록 하여 도어가 잠금상태가 되게 하고, 도어의 개방 요청이 발생하면(즉 키패드 등을 이용하여 정상적인 출입자로 인증되면), 제어부(170)는 눌림 상태인 잠금핀이 외부로 도출되게 하여 도어가 개방상태가 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잠금핀이 눌러지거나 도출되는 구성은 잠금핀의 일단과 결합하는 별도의 부재가 소정의 구동력에 의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잠금핀에 가해지는 구동력은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모터 등이 적용되며, 솔레노이드 밸브나 모터는 상기 제어부가 제어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잠금핀에 구동력을 가하는 구성 이외에, 잠금핀이 눌러지거나 도출되는 구성은 다양한 선행문헌 등에 의하여 여러 구조 및 방안이 이미 적용되고 있고, 이들 중 일부를 참조하여 필요에 따라 용이하고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 예에서는 상세한 구성의 설명 및 도면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래치 타입의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서 도어가 잠금상태일 때 외측 레버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되게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어 내측에서 도어를 잠그는 역할을 수행하는 잠금핀을 자동으로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킬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110 : 외측 몸체 120 : 아웃 레버
130 : 회동부재 140 : 래치볼트
150 : 잠금부재 160 : 구동모터
170 : 제어부

Claims (4)

  1. 래치 타입의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 몸체;
    상기 외측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래치볼트;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래치볼트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도어의 잠금 및 해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아웃 레버;
    상기 아웃 레버와 래치볼트 사이에 구성되어 아웃 레버의 회동에 따라 래치볼트가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는 회동부재;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잠금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아웃 레버가 회동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동부재와 연동되어 구비되는 잠금부재;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잠금 또는 해제동작에 따라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방향측에 위치되거나 제거되도록 상기 잠금부재의 위치가 변경되게 구동하는 구동부; 그리고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잠금 또는 해제동작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 레버의 회전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잠금부재를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방향측에서 제거되게 하여, 상기 아웃 레버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레버의 회전 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측에는 내측 몸체가 더 구성되고,
    상기 내측몸체에는 상기 도어를 잠금상태가 되게 잠금핀이 구비되되,
    상기 잠금핀은 상기 도어의 닫힘상태 또는 개방상태에 따라 구동부재에 의해 자동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도어가 잠금 또는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레버의 회전 방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모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레버의 회전 방지장치.
KR1020120084296A 2012-08-01 2012-08-01 도어 레버의 회전 방지장치 KR101372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296A KR101372590B1 (ko) 2012-08-01 2012-08-01 도어 레버의 회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296A KR101372590B1 (ko) 2012-08-01 2012-08-01 도어 레버의 회전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359A true KR20140017359A (ko) 2014-02-11
KR101372590B1 KR101372590B1 (ko) 2014-03-11

Family

ID=50266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296A KR101372590B1 (ko) 2012-08-01 2012-08-01 도어 레버의 회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5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381B1 (ko) 2017-08-25 2018-10-26 (주)에버넷 디지털 도어락
KR102267632B1 (ko) 2019-09-10 2021-06-22 주식회사 인터크리에이티브 디지털 도어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5583Y1 (ko) * 1995-08-16 1998-04-21 박영호 문도어록(door lock) 잠금빗장동작상태감지 및 동작제한장치
KR101311812B1 (ko) * 2007-05-14 2013-09-26 주식회사 아이레보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
KR100897022B1 (ko) * 2007-06-29 2009-05-25 주식회사 씨큐넥스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590B1 (ko) 201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9048A (en) Automotive door latching system
BR102015016462A2 (pt) sistema de segurança para console de veículo com cobertura travável eletricamente
CN107355139B (zh) 电子锁及应用其的门禁系统
KR101372590B1 (ko) 도어 레버의 회전 방지장치
KR200452304Y1 (ko) 고정후크가 마련된 도어록 장치
KR101806612B1 (ko) 차량용 잠금 방지 도어래치
JP4127712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0961878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도어록
JP7206208B2 (ja) コレットラッチ
US20220243498A1 (en) Catch mechanism for a locking device
JP5007198B2 (ja) 扉用錠装置
KR101255563B1 (ko) 도어 래치 일체형 테일게이트 제어 장치
KR102670960B1 (ko) 도어락 모티스
KR200438043Y1 (ko) 도어용 핸들 장치
CN111527274A (zh) 带有钥匙超控件的电子隐藏式钩环挂锁
KR20120050648A (ko) 도어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KR102149694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KR101440528B1 (ko) 다중 래치 멀티 록 장치
KR20150059298A (ko) 세탁기의 도어 잠금장치
KR20160009721A (ko) 세탁기의 도어 잠금장치
KR20220065424A (ko) 도어락 모티스
KR200480524Y1 (ko)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
KR20230083509A (ko) 도어락 장치의 오픈 구조체
KR20230032566A (ko) 래치 볼트의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고정형 도어락 장치
KR200292256Y1 (ko) 디지털 도어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