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6373A - 통신 시스템, 데이터 중계 장치, 기지국, 이동 단말기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데이터 중계 장치, 기지국, 이동 단말기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6373A
KR20140016373A KR1020137032760A KR20137032760A KR20140016373A KR 20140016373 A KR20140016373 A KR 20140016373A KR 1020137032760 A KR1020137032760 A KR 1020137032760A KR 20137032760 A KR20137032760 A KR 20137032760A KR 20140016373 A KR20140016373 A KR 20140016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bile terminal
base station
sequence number
base st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2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3310B1 (ko
Inventor
마사쯔구 시미즈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6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 H04L1/005Iterative decoding, including iteration between signal detection and decoding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04W36/023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4Concatenated codes
    • H04L1/0066Parallel concatenated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4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ensuring sequence integrity, e.g. using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04W36/023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H04W36/0235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by transmitting sequence numbers, e.g. SN status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3Point-to-multi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7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36/0069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using simultaneous multiple data streams, e.g. cooperative multipoint [CoMP], carrier aggregation [CA] o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기지국(4)을 통해 데이터 중계 장치(3)로부터 이동 단말기(5)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 복수의 기지국(4)이 데이터에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여 이동 단말기(5)에 전송한다. 데이터 중계 장치(3)는, 이동 단말기(5)에 제1 및 제2 데이터를 각각 복수의 기지국(4) 중 상이한(different) 기지국(4)에 전송할 때, 제2 데이터보다도 먼저 수신한 제1 데이터를 임의의 기지국(4)에 전송하고, 제1 및 제2 데이터의 수신 순서에 따른 정보를 제2 데이터에 부여하여 다른 기지국(4)에 전송한다. 복수의 기지국(4)의 각각은, 데이터 중계 장치(3)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상기한 정보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에 상기한 정보에 기초하는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여 이동 단말기(5)에 전송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데이터 중계 장치, 기지국, 이동 단말기 및 통신 방법{COMMUNICATION SYSTEM, DATA RELAY APPARATUS, BASE STATION,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실시 형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다운 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에서는 전송로의 데이터 결손에 대응하기 위해, 재송 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재송 제어가 행해지면 데이터의 도달 순서가 송출 순서와 상이한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수신 장치는 데이터에 부여된 시퀀스 번호를 참조하여 수신 데이터의 순서의 보정을 행한다.
또한, 동시에 상이한 기지국 장치를 경유하여 상이한 데이터를 동일한 이동 단말기 장치에 전송하는 기술이 검토되어 있다. 이러한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의 예로서는 Inter-eNB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이나 다지점 협조(CoMP:Coordinated Multi Point) 기술이 있다. Inter-eNB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은, 상이한 기지국으로부터 복수의 캐리어를 경유하여 상이한 데이터를 동시 수신하는 기술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 및 이동 단말기 장치를 각각 「기지국」 및 「이동 단말기」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동국으로부터 복수의 기지국을 통해 무선망 제어 장치에 이르는 복수의 경로의 각각에, 송신 순서 번호가 부가된 데이터를 송출하는 통신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에서는, 무선망 제어 장치는 각 경로의 통신 상태를 감시하고, 각 경로의 통신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경로 모두에 데이터를 송출할지, 소정의 2 이상의 경로에 데이터를 송출할지, 소정의 1개의 경로에 데이터를 송출할지를 결정한다. 무선망 제어 장치는, 이 결정한 경로를 이동국에 통지하고, 이동국은 통지된 경로에 각각 상이한 데이터를 송신 순서 번호를 부여하여 송출한다. 무선망 제어 장치는 각 경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송신 순서 번호를 참조하여 재배열하여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72452호
동일한 이동 단말기에 일련의 상이한 데이터를 동시에 상이한 기지국을 경유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각 기지국이 독립적으로 시퀀스 번호를 전송 데이터에 부여하면, 일련의 데이터에 부여된 시퀀스 번호가 본래의 순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결과, 데이터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는 적절하게 순서를 보정할 수 없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장치 및 방법은, 동시에 상이한 기지국을 경유하여 일련의 상이한 데이터를 동일한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경우에, 각 기지국에 의해 전송 데이터에 부여되는 시퀀스 번호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장치의 일 관점에 따르면, 복수의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중계 장치로부터 이동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복수의 기지국이 데이터에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여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이 공급된다. 데이터 중계 장치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이동 단말기로 송신되는 제1 및 제2 데이터를 각각 복수의 기지국 중 상이한 기지국에 전송할 때, 제2 데이터보다도 먼저 수신한 제1 데이터를 임의의 기지국에 전송하고, 제1 및 제2 데이터의 수신 순서에 따른 정보를 제2 데이터에 부여하여 다른 기지국에 전송하는 처리를 행하는 제1 프로세서를 구비한다. 복수의 기지국 각각은, 데이터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상기한 정보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에 상기한 정보에 기초하는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여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처리를 행하는 제2 프로세서를 구비한다. 이동 단말기는, 복수의 기지국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한다.
또한 다른 장치의 일 관점에 따르면, 복수의 기지국에 접속된 이동 단말기에, 데이터 중계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이 공급된다. 데이터 중계 장치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이동 단말기로 송신되는 제1 데이터 및 제1 데이터와는 상이한 제2 데이터를 각각 복수의 기지국 중 상이한 기지국에 전송할 때,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의 수신 순서를 제1 및 제2 데이터에 반영하고, 제1 데이터를 임의의 기지국에 전송함과 함께, 제2 데이터를 다른 기지국에 전송하는 처리를 행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다. 이동 단말기는, 임의의 기지국을 통해 제1 데이터를 수신함과 함께, 다른 기지국을 통해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한다.
다른 장치의 일 관점에 따르면, 복수의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중계 장치로부터 이동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복수의 기지국이 데이터에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여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중계 장치가 공급된다. 데이터 중계 장치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이동 단말기로 송신되는 제1 및 제2 데이터를 각각 복수의 기지국 중 상이한 기지국에 전송할 때, 제2 데이터보다도 먼저 수신한 제1 데이터를 임의의 기지국에 전송하고, 제1 및 제2 데이터의 수신 순서에 따른 정보를 제2 데이터에 부가하여 다른 기지국에 전송하는 처리를 행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다.
다른 장치의 일 관점에 따르면, 복수의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중계 장치로부터 이동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복수의 기지국이 데이터에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여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이 공급된다. 기지국은, 데이터 중계 장치에 있어서의 이동 단말기로 송신되는 제1 및 제2 데이터의 네트워크로부터의 수신 순서에 따른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중계 장치에 의해 제1 데이터보다도 나중에 수신되어 자국에 전송된 제2 데이터에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여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처리를 행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다.
다른 장치의 일 관점에 따르면, 복수의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중계 장치로부터 이동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복수의 기지국이 데이터에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여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 단말기가 공급된다. 이동 단말기는, 데이터 중계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제1 및 제2 데이터 중, 임의의 기지국으로부터 시퀀스 번호가 부여된 제1 데이터를 수신함과 함께,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시퀀스 번호가 부여된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각각에 부여된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순서 보정을 행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다. 제1 데이터는 제2 데이터보다도 먼저 데이터 중계 장치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이동 단말기로 송신되는 데이터이며, 제2 데이터에 부여된 시퀀스 번호는, 데이터 중계 장치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 데이터의 수신 순서에 따른 정보에 기초하는 시퀀스 번호이다.
방법의 일 관점에 따르면, 복수의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중계 장치로부터 이동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복수의 기지국이 데이터에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여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 방법이 공급된다. 데이터 중계 장치는, 이동 단말기에 제1 및 제2 데이터를 각각 복수의 기지국 중 상이한 기지국에 전송할 때, 제2 데이터보다도 먼저 수신한 제1 데이터를 임의의 기지국에 전송하고, 제1 및 제2 데이터의 수신 순서에 따른 정보를 제2 데이터에 부가하여 다른 기지국에 전송하는 처리를 행한다. 복수의 기지국 각각은, 데이터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상기한 정보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에 상기한 정보에 기초하는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여 이동 단말기에 전송한다. 이동 단말기는, 복수의 기지국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장치 또는 방법에 따르면, 동시에 상이한 기지국을 경유하여 일련의 상이한 데이터를 동일한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경우에, 각 기지국에 의해 전송 데이터에 부여되는 시퀀스 번호의 연속성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이점은, 특허청구범위에 개시한 요소 및 그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화되어 달성된다. 전술한 일반적인 기술 및 이하의 상세한 기술의 양쪽은, 단순한 예시 및 설명이며, 특허청구범위와 같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이동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이동 단말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레이어 1 처리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레이어 2 처리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기지국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기지국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레이어 1 처리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하는 레이어 2 처리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데이터 중계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데이터 중계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경로 설정의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데이터 중계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통신 시스템의 구성>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1)은, 네트워크(2)와, 데이터 중계 장치(3)와, 기지국(4a 및 4b)과, 이동 단말기(5)를 구비한다. 네트워크(2)는, 통신 시스템(1)이 이동 단말기(5)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유선 구간에서 전송하는 네트워크이다. 데이터 중계 장치(3)는, 네트워크(2)로부터 이동 단말기(5)에 송신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2)로부터 수신하여 기지국(4a 및 4b)에 전송한다. 또한 데이터 중계 장치(3)는, 이동 단말기(5)로부터 네트워크(2)에 송신되는 데이터를 기지국(4a 및 4b)으로부터 수신하여 네트워크(2)에 전송한다.
기지국(4a 및 4b)은, 무선 통신 회선을 경유하여 이동 단말기(5)와 통신하고, 네트워크(2)로부터 이동 단말기(5)에 송신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중계 장치(3)로부터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5)에 송신한다. 또한 데이터 기지국(4a 및 4b)은, 이동 단말기(5)로부터 네트워크(2)에 송신되는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5)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 중계 장치(3)에 전송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기지국(4a 및 4b)을 총칭하여, 「기지국(4)」이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통신 시스템(1)은, 예를 들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사양이 검토되어 있는 LTE(Long-term evolution)―Advanced 방식에 준거하는 통신 시스템이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네트워크(2)는, 공중망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사이를 중계하는 코어 네트워크에 대응한다. 또한, 데이터 중계 장치(3)는 S―GW(Serving Gateway) 및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에 대응한다. S―GW 및 MME는, 각각 별개의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되고, 단일의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2. 이동 단말기의 구성>
도 2는, 이동 단말기(5)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동 단말기(5)는,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10)와, 어플리케이션 처리용 회로(11)와, 안테나(12)를 구비한다.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10)는, 프로세서(13),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4), 데이터 버퍼(15), 코덱 회로(16), 변조 회로(17), 무선 회로(18)를 구비한다. 어플리케이션 처리용 회로(11)는, 프로세서(19)와, 음성 코덱 회로(20)와, 화상 코덱 회로(21)와, 음성 입출력 디바이스(22)와, 화상 출력 디바이스(23)를 구비한다. 도면 중, 점선으로 그려진 접속선은 제어 정보의 교환을 나타낸다. 또한 실선으로 그려진 접속선은 데이터의 교환을 나타낸다. 또한, 첨부하는 도면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및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를 각각 「BB」 및 「DSP」라고 표기한다. 도 2에 나타내는 하드웨어 구성은, 이동 단말기(5)를 실현하는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하에 기재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면, 다른 어떠한 하드웨어 구성이 채용되어도 된다.
코덱 회로(16)는 이동 단말기(5)와 기지국(4)과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레이어 1 처리에 있어서의 부호화 처리 및 복호화 처리를 행한다. 변조 회로(17)는, 레이어 1 처리에 있어서의 변조 처리 및 복조 처리를 행한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4)는, 이들 코덱 회로(16) 및 변조 회로(17)를 제어한다. 무선 회로(18)는,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와 아날로그 무선 주파수 신호와의 사이의 변환을 행한다. 프로세서(13)는, 레이어 3 처리 및 레이어 2 처리를 실행한다. 데이터 버퍼(15)는, 송수신 데이터를 저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10)와 어플리케이션 처리용 회로(11)와의 사이에 있어서 송수신 데이터를 중계한다. 또한 프로세서(13)는, 호(呼)접속의 상태 관리를 행한다.
음성 코덱 회로(20)는, 이동 단말기(5)와 기지국(4)과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음성 신호의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음성 신호는, 음성 입출력 디바이스(22)에 의해 입출력된다. 화상 코덱 회로(21)는, 이동 단말기(5)와 기지국(4)과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화상 신호의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화상 신호는, 화상 입출력 디바이스(23)에 의해 입출력된다. 프로세서(19)는, 이들 음성 코덱 회로(20) 및 화상 코덱 회로(21)를 제어한다.
도 3은, 이동 단말기(5)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5)는, 무선 신호 처리부(30)와, 레이어 1 처리부(31)와, 레이어 2 처리부(32)와, 레이어 3 처리부(33)와,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처리부(34)를 구비한다. 무선 신호 처리부(30)에 의한 신호 처리는, 도 2에 나타내는 무선 회로(18)에 의해 실행된다. 레이어 1 처리부(31)에 의한 처리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4), 코덱 회로(16) 및 변조 회로(17)에 의해 실행된다. 레이어 2 처리부(32) 및 레이어 3 처리부(33)에 의한 처리는, 프로세서(13)에 의해 실행된다.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처리부(34)에 있어서의 처리는, 어플리케이션 처리용 회로(11)에 의해 실행된다.
무선 신호 처리부(30)는, 안테나(12)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무선 신호 처리부(30)는, 이동 단말기(5)에 의해 생성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고, 안테나(12)를 통해 송신한다.
레이어 1 처리부(31)의 구성예를 도 4에 나타낸다. 레이어 1 처리부(31)는, 복조 처리부(40)와, 복호화 처리부(41)와, 부호화 처리부(42)와, 변조 처리부(43)를 구비한다. 복조 처리부(40)는, 무선 신호 처리부(30)가 수신한 신호의 복조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복조 처리부(40)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에 의한 복조 처리를 행해도 된다. 이 경우, 복조 처리부(40)는, 측정부(44)와, 고속 푸리에 변환부(45)와, 복조부(46)를 구비한다. 또한, 첨부하는 도면에 있어서 고속 푸리에 변환을 「FFT」라고 표기한다. 측정부(44)는 셀 서치 및 수신 신호의 레벨 측정을 행한다. 고속 푸리에 변환부(45)는 수신 신호를 푸리에 변환함으로써 서브캐리어 심볼을 복원한다. 복조부(46)는, 1차 변조 신호인 서브캐리어 심볼에 복조 처리를 실시하고 부호화 데이터를 복원한다.
복호화 처리부(41)는, 복원된 부호화 데이터의 복호 처리를 행한다. 복호화 처리부(41)는, 디레이트 매칭부(47)와, 합성부(48)와, 복호화부(49)와, 오류 검출부(50)를 구비한다. 디레이트 매칭부(47)는, 할당된 물리 채널 리소스에 따라 신축되어 있는 데이터를 복원한다. 합성부(48)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하이브리드형 자동 재송 요구) 등의 재송 처리에 의해 재송 데이터를 합성한다. 복호화부(49)는, 예를 들어 터보 복호 처리에 의해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한다. 오류 검출부(50)는, 복호화된 데이터의 오류 검출 처리를 행한다.
부호화 처리부(42)는, 송신 신호의 부호화 처리를 행한다. 부호화 처리부(42)는, 오류 검출 부호 부가부(51)와, 부호화부(52)와, 레이트 매칭부(53)를 구비한다. 오류 검출 부호 부가부(51)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ing) 부호 등의 오류 검출 부호를 산출하여 송신 데이터에 부가한다. 부호화부(52)는, 예를 들어 터보 부호화 처리에 의해 데이터를 부호화한다. 레이트 매칭부(53)는, 할당된 물리 채널 리소스에 따라 부호화 데이터를 신축한다.
변조 처리부(43)는, 부호화 데이터의 변조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변조 처리부(43)는,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evision Multiple Access: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방식에 의한 변조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이 경우, 변조 처리부(43)는, 변조부(54)와, 이산 푸리에 변환부(55)와, 맵핑부(56)와, 역고속 푸리에 변환부(57)를 구비한다. 변조부(54)는 부호화된 데이터에 다치(多値) 변조 등의 1차 변조 처리를 실시한다. 이산 푸리에 변환부(55)는, 다치 변조된 심볼에 이산 푸리에 변환을 실시함으로써 비교적 광대역의 단일 캐리어의 주파수 영역 신호를 생성한다. 맵핑부(56)는, 기지국(4)으로부터 할당된 물리 채널 리소스의 서브캐리어 상에 주파수 영역 신호를 맵핑한다. 역고속 푸리에 변환부(57)는 서브캐리어 상에 할당된 주파수 영역 신호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한다. 또한, 첨부하는 도면에 있어서 이산 푸리에 변환 및 역고속 푸리에 변환을 각각 「DFT」 및 「IFFT」라고 표기한다. 변조 처리부(43)에 의해 변조된 신호는, 무선 신호 처리부(30)에 의해 송신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레이어 2 처리부(32)의 구성예를 도 5에 나타낸다. 또한, 첨부하는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매체 액세스 제어, 무선 링크 제어 및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을 각각 「MAC」, 「RLC」 및 「PDCP」라고 표기한다. 레이어 2 처리부(32)는, MAC 수신부(60)와, RLC 수신부(61)와, PDCP 수신부(62)와, PDCP 송신부(63)와, RLC 송신부(64)와, MAC 송신부(65)를 구비한다.
MAC 수신부(60)는, 레이어 1 처리부(31)의 오류 검출부(5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논리 채널마다 분리하여 RLC 수신부(61)에 출력한다. RLC 수신부(61)는, MAC 수신부(6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송신된 순서로 재배열하여 PDCP 수신부(62)에 전송한다. PDCP 수신부(62)는, RLC 수신부(6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이 데이터에 부가된 시퀀스 번호의 순서로 배열하여, 레이어 3 처리부(33) 및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처리부(34)에 출력한다.
PDCP 송신부(63)는, 레이어 3 처리부(33) 및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처리부(34)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시퀀스 번호를 할당하여, RLC 송신부(64)에 전송한다. RLC 송신부(64)는, PDCP 송신부(63)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재송 제어 처리에 의해 MAC 송신부(65)에 송출한다. MAC 송신부(65)는, RLC 송신부(64)로부터 논리 채널마다 수신한 데이터를 결합하여, 레이어 1 처리부(31)의 오류 검출 부호 부가부(51)에 출력한다. MAC 송신부(65)는, 송신 신호의 HARQ 처리를 행하는 HARQ 처리부(66)와, 논리 채널마다의 데이터를 결합하는 결합 처리부(67)를 구비한다.
도 3을 참조한다. 레이어 3 처리부(33)는, 무선 리소스의 제어 및 이동 단말기(5) 전체의 제어를 실시한다. 레이어 3 처리부(33)는, 페이징, 및 호의 확립 및 해방 처리 등의 RRC(Radio Resource Control:무선 리소스 제어) 접속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레이어 3 처리부(33)는, 측정의 관리 및 보고를 행하는 메저먼트 제어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레이어 3 처리부(33)는, 이동 단말기(5)가 취급하는 트래픽량을 측정하고, 기지국(4)에 보고해도 된다. 레이어 3 처리부(33)는, 핸드오버나 리셀렉션 등 접속 절환 제어를 행하는 모빌리티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처리부(34)는, 사용자의 통신 목적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를 처리한다.
<3. 기지국의 구성>
다음으로, 기지국(4)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기지국(4a)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4b)도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기지국(4a)은, 프로세서(70)와, 코덱 회로(71)와, 변조 회로(72)와, 무선 회로(73)와, 안테나(74)와, 데이터 버퍼(75)와, 관리 정보 버퍼(76)와, 레이어 2 처리용 보조 회로(77)를 구비한다. 도면 중, 점선으로 그려진 접속선은 제어 정보의 교환을 나타낸다. 또한 실선으로 그려진 접속선은 데이터의 교환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하는 하드웨어 구성은, 어디까지나 기지국(4a)을 실현하는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하에 기재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면, 다른 어떠한 하드웨어 구성이 채용되어도 된다.
코덱 회로(71)는 이동 단말기(5)와 기지국(4a)과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레이어 1 처리에 있어서의 부호화 처리 및 복호화 처리를 행한다. 변조 회로(72)는, 레이어 1 처리에 있어서의 변조 처리 및 복조 처리를 행한다. 프로세서(70)는, 이들 코덱 회로(71) 및 변조 회로(72)의 제어, 레이어 2 처리 및 레이어 3 처리, 사용자의 접속 상태의 관리, 및 리소스 할당 스케줄링 처리를 실행한다. 레이어 2 처리용 보조 회로(77)는, 레이어 2 처리의 일부를 실행한다. 무선 회로(73)는,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와 아날로그 무선 주파수 신호와의 사이의 변환을 행한다. 데이터 버퍼(75) 및 관리 정보 버퍼(76)는, 송수신 데이터를 저장하고, 기지국(4a)과 데이터 중계 장치(3)와의 사이에 있어서 송수신 데이터를 중계한다. 메모리(78)에는, 기지국(4a)의 PDCP 서브 레이어가 송신 데이터에 부가하는 시퀀스 번호의 값이 저장된다.
도 7은, 기지국(4a)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4b)도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기지국(4a)은, 무선 신호 처리부(80)와, 레이어 1 처리부(81)와, 레이어 2 처리부(82―1 내지 82―n)와, 레이어 3 처리부(83)와, 상태 통지부(84)와, 시퀀스 번호 제어부(85)와, 접속 상태 관리부(86)와, 캐리어 제어부(87)를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복수의 레이어 2 처리부(82―1 내지 82―n)를 총칭하여 「레이어 2 처리부(82)」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무선 신호 처리부(80)에 의한 신호 처리는, 도 6에 도시하는 무선 회로(73)에 의해 실행된다. 레이어 1 처리부(81)에 의한 처리는, 프로세서(70), 코덱 회로(71) 및 변조 회로(72)에 의해 실행된다. 레이어 2 처리부(82)에 의한 처리는, 프로세서(70) 및 레이어 처리용 보조 회로(77)에 의해 실행된다. 레이어 3 처리부(83), 상태 통지부(84), 시퀀스 번호 제어부(85), 접속 상태 관리부(86) 및 캐리어 제어부(87)에 의한 처리는, 프로세서(70)에 의해 실행된다.
무선 신호 처리부(80)는, 안테나(74)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무선 신호 처리부(80)는, 기지국(4a)에 의해 생성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고, 안테나(74)를 통해 송신한다.
레이어 1 처리부(81)의 구성예를 도 8에 나타낸다. 레이어 1 처리부(81)는, 복조 처리부(90), 복호화 처리부(91)와, 부호화 처리부(92)와, 변조 처리부(93)를 구비한다. 복조 처리부(90)는, 무선 신호 처리부(80)가 수신한 신호의 복조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복조 처리부(90)는, SC―FDMA 방식에 의한 복조 처리를 행해도 된다. 이 경우, 복조 처리부(90)는, 고속 푸리에 변환부(100)와, 디맵핑부(101)와, 역이산 푸리에 변환부(102)와, 복조부(103)를 구비한다. 또한, 첨부하는 도면에 있어서 역이산 푸리에 변환을 「IDFT」라고 표기한다.
고속 푸리에 변환부(90)는, 수신한 시간 영역 신호의 수신 신호를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하고, 서브캐리어 심볼을 복원한다. 디맵핑부(101)는, 각 서브캐리어에 맵핑된 심볼을 복수의 사용자마다의 심볼(S11 내지 S1n)로 분할한다. 역이산 푸리에 변환부(102)는, 단일 캐리어의 주파수 영역 신호인 각 사용자의 서브캐리어 심볼(S11 내지 S1n)을 각각 역이산 푸리에 변환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1차 변조 신호를 복원한다. 복조부(46)는, 1차 변조 신호에 복조 처리를 실시하고 각 사용자마다의 부호화 데이터(S21 내지 S2n)를 복원한다.
복호 처리부(91)는, 각 사용자마다의 부호화 데이터(S21 내지 S2n)의 복호 처리를 행하고, 부호화된 사용자마다의 데이터(S31 내지 S3n)를 복원한다. 복호 처리부(91)는, 디레이트 매칭부(104)와, 합성부(105)와, 복호화부(106)와, 오류 검출부(107)를 구비한다. 디레이트 매칭부(104), 합성부(105), 복호화부(106) 및 오류 검출부(107)의 처리는, 상술한 디레이트 매칭부(47)와, 합성부(48)와, 복호화부(49)와, 오류 검출부(50)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데이터(S31 내지 S3n)는, 각각 레이어 2 처리부(82―1 내지 82―n)에 출력된다.
부호화 처리부(92)는, 레이어 2 처리부(82―1 내지 82―n)로부터 각각 입력한 사용자마다의 데이터(S41 내지 S4n)를 부호화하고, 각 사용자마다의 부호화 데이터(S51 내지 S5n)를 생성한다. 부호화 처리부(92)는, 오류 검출 부호 부가부(110)와, 부호화부(111)와, 레이트 매칭부(112)를 구비한다. 오류 검출 부호 부가부(110), 부호화부(111) 및 레이트 매칭부(112)의 처리는, 상술한 오류 검출 부호 부가부(51), 부호화부(52) 및 레이트 매칭부(53)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변조 처리부(93)는, 사용자마다의 부호화 데이터(S51 내지 S5n)의 변조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변조 처리부(93)는, OFDMA 방식에 의한 변조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이 경우, 변조 처리부(43)는, 변조부(113)와, 맵핑부(114)와, 역고속 푸리에 변환부(115)를 구비한다. 변조부(113)는, 사용자마다의 부호화 데이터(S51 내지 S5n)에 다치 변조 등의 1차 변조 처리를 실시하고 서브캐리어 심볼(S61 내지 S6n)을 생성한다. 맵핑부(114)는, 서브캐리어 심볼(S61 내지 S6n)을 물리 채널 리소스의 서브캐리어 상에 맵핑한다. 역고속 푸리에 변환부(115)는, 서브캐리어 심볼에 역고속 푸리에 변환을 실시하고 시간 영역 신호를 생성한다. 변조 처리부(93)에 의해 변조된 신호는, 무선 신호 처리부(80)에 의해 송신된다.
레이어 2 처리부(82―1)의 구성예를 도 9에 나타낸다. 레이어 2 처리부(82―2 내지 82―n)의 구성은, 레이어 2 처리부(82―1)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레이어 2 처리부(82―1 내지 82―n)는, 각각 사용자마다의 데이터(S31 내지 S3n 및 S41 내지 S4n)에 관한 레이어 2 처리를 실시한다. 레이어 2 처리부(82―1)는, MAC 수신부(120)와, RLC 수신부(121)와, PDCP 수신부(122)와, PDCP 송신부(123)와, RLC 송신부(124)와, MAC 송신부(125)를 구비한다. 또한, MAC 송신부(125)는, HARQ 처리부(126)와, 결합 처리부(127)를 구비한다. MAC 수신부(120), RLC 수신부(121), PDCP 수신부(122), PDCP 송신부(123), RLC 송신부(124) 및 MAC 송신부(125)의 처리는, 각각, MAC 수신부(60), RLC 수신부(61), PDCP 수신부(62), PDCP 송신부(63), RLC 송신부(64) 및 MAC 송신부(65)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PDCP 송신부(123)는, PDCP 서브 레이어에 있어서, 데이터 중계 장치(3)로부터 수신한 패킷 데이터에 시퀀스 번호를 부가하는 처리를 행한다.
도 7을 참조한다. 레이어 3 처리부(83)는, 무선 리소스의 제어 및 RRC 접속 제어를 실행한다. 상태 통지부(84)는, 기지국(4a)의 소정의 상태를 측정하여, 데이터 중계 장치(3)에 통지한다. 소정의 상태는, 예를 들어 기지국(4a)이 취급하는 트래픽량이나 데이터 버퍼(75)의 남은 용량과 같은 기지국(4a)의 부하에 관한 상태여도 된다.
시퀀스 번호 제어부(85)는, 메모리(78)에 저장되는 시퀀스 번호의 값을, 다른 기지국(4b)과의 사이에서 동기시키기 위한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시퀀스 번호 제어부(85)는, 데이터 중계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시퀀스 번호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78)에 저장되는 시퀀스 번호의 값을 데이터 중계 장치(3)에 송신한다. 또한, 예를 들어 시퀀스 번호 제어부(85)는, 메모리(78)에 저장되는 시퀀스 번호의 값을, 데이터 중계 장치(3)로부터 통지되는 시퀀스 번호 지정값으로 재기입한다.
또한, 시퀀스 번호 제어부(85)는, 이동 단말기(5)에 전송하는 데이터에 수반하여 데이터 중계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시퀀스 번호 기초 정보에 따라, 메모리(78)에 저장되는 시퀀스 번호의 값을 지정하는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접속 상태 관리부(86)는, 기지국(4a)에 접속되는 각 사용자의 접속 상태 관리를 실행한다. 캐리어 제어부(87)는, 리소스 할당 스케줄링 처리를 행한다. 또한, 캐리어 제어부(87)는, 데이터 중계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상이한 데이터를, 동시에 상이한(different) 기지국(4)을 경유하여 동일한 이동 단말기(5)에 전송하기 위한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캐리어 제어부(87)는, 경로 추가 요구를 다른 기지국(4b)에 통지한다. 경로 추가 요구는, 데이터 중계 장치(3)로부터의 송신 데이터를 기지국(4a)에 접속 중인 이동 단말기(5)에 전송하는 전송 처리를 다른 기지국(4b)도 실행하는 것을 요구한다. 또한, 캐리어 제어부(87)는, 다른 기지국(4b)으로부터 통지된 경로 추가 요구의 여부를 판정하고, 그 응답인 경로 추가 요구 응답을 다른 기지국(4b)에 통지한다. 다른 기지국(4b)으로부터 통지된 경로 추가 요구에 의해 데이터 전송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캐리어 제어부(87)는, 이동 단말기(5)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물리 채널의 설정을 다른 기지국(4b)에 통지한다.
또한 캐리어 제어부(87)는, 기지국(4a)이 이동 단말기(5)에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는 물리 채널 리소스와 다른 기지국(4b)이 이동 단말기(5)에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는 물리 채널 리소스와의 조정을 행해도 된다. 캐리어 제어부(87)는, 예를 들어, 기지국(4a)과 다른 기지국(4b)과의 사이에서 물리 채널 리소스가 경합하지 않도록, 각각이 이동 단말기(5)에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는 무선 주파수를 다르게 하는 리소스 할당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4. 데이터 중계 장치의 구성>
다음으로, 데이터 중계 장치(3)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데이터 중계 장치(3)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데이터 중계 장치(3)는, 프로세서(130)와, 데이터 버퍼(131)와, 관리 정보 버퍼(132)와, 데이터 전송 처리 보조 회로(133)를 포함한다. 도면 중, 점선으로 그려진 접속선은 제어 정보의 교환을 나타낸다. 또한 실선으로 그려진 접속선은 데이터의 교환을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하는 하드웨어 구성은, 어디까지나 데이터 중계 장치(3)를 실현하는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하에 기재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면, 다른 어떠한 하드웨어 구성이 채용되어도 된다.
프로세서(130)는, 이동 단말기(5)에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선택 가능한 경로에 관한 경로 정보를, 이동 단말기(5)마다 관리하는 사용자 모빌리티 처리를 실행한다. 관리 정보 버퍼(132)는 경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이동 단말기(5)에의 데이터를 어느 기지국(5)에 전송할지를 판단하는 전송 경로 판단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기지국(4)으로부터 보고되는 소정의 상태에 관한 통지를 감시한다. 프로세서(130)는, 기지국(4)의 소정의 상태에 따라 전송 경로를 판단한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PDCP 서브 레이어에 있어서 전송 데이터에 부가되는 시퀀스 번호를 관리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데이터 버퍼(131) 및 관리 정보 버퍼(132)는, 송수신 데이터를 저장하고, 기지국(4a)과 데이터 중계 장치(3)와의 사이에 있어서 송수신 데이터를 중계한다. 데이터 전송 처리 보조 회로(133)는, 기지국(4)과 데이터 중계 장치(3)와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보조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처리 보조 회로(133)는, 전송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억 영역의 선두 어드레스, 사이즈 및 전송에 사용하는 파라미터를 지정하면, 기지국(4)에 전송 데이터 및 필요한 정보를 전송하는 하드웨어여도 된다.
또한, 데이터 중계 장치(3)는 단체의 정보 처리 장치로서 실현되어도 되고,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중계 장치(3)가 S―GW 및 MME인 경우, S―GW 및 MME를 일체의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현해도 되고, 개별의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도 11은, 데이터 중계 장치(3)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데이터 중계 장치(3)는, 모빌리티 관리부(140), 상태 감시부(141), 경로 선택부(142), 시퀀스 번호 제어부(143) 및 카운터(144)를 구비한다. 모빌리티 관리부(140), 상태 감시부(141), 경로 선택부(142), 시퀀스 번호 제어부(143) 및 카운터(144)의 처리는, 프로세서(130)에 의해 실행된다.
모빌리티 관리부(140)는, 네트워크(2)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5)에 전송하기 위해 선택 가능한 경로의 경로 정보를 이동 단말기(5)마다 관리한다. 경로 정보는, 이동 단말기(5)와의 서비스의 커넥션이 확립된 경우나, 기지국(4)의 캐리어 제어부(87)에 의해, 데이터 중계 장치(3)로부터 이동 단말기(5)에의 데이터를 경유시키는 기지국(4)이 새롭게 추가된 경우에 생성된다.
상태 감시부(141)는, 기지국(4)의 상태 통지부(84)로부터 보고되는 기지국(4)의 소정의 상태를 감시한다. 경로 선택부(142)는, 모빌리티 관리부(140)에 유지된, 이동 단말기(5)에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선택 가능한 경로 중, 어느 경로를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지를, 기지국(4)의 소정의 상태에 기초하여 선택한다. 예를 들어, 경로 선택부(142)는, 비교적 부하가 가벼운 기지국(4)을 경유하는 경로를 선택한다.
시퀀스 번호 제어부(143)는, PDCP 서브 레이어에 있어서 전송 데이터에 부가되는 시퀀스 번호를 관리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시퀀스 번호 제어부(143)는, 데이터 중계 장치(3)로부터 동일한 이동 단말기(5)에 전송되는 상이한 데이터가 각각 경유하는 상이한 기지국(4a 및 4b) 내의 메모리(78)에 저장되는 시퀀스 번호의 값을, 서로 동기시키기 위한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시퀀스 번호 제어부(143)는, 한쪽의 기지국(4a)에 대하여, 메모리(78)에 저장되는 시퀀스 번호의 값을 데이터 중계 장치(3)에 송신시키는 시퀀스 번호 요구 신호에 송신해도 된다. 또한, 시퀀스 번호 제어부(143)는, 시퀀스 번호 요구 신호에 의해 한쪽의 기지국(4a)으로부터 취득한 시퀀스 번호로, 메모리(78)에 저장되는 시퀀스 번호를 다른 쪽의 기지국(4b)에 재기입시켜도 된다.
임의의 실시예에서는, 시퀀스 번호 제어부(143)는, 기지국(4)의 PDCP 서브 레이어에 있어서의 시퀀스 번호의 결정에 사용되는 시퀀스 번호 기초 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 전송에 수반하여 기지국(4)에 통지해도 된다. 임의의 기지국(4a)에 전송되는 데이터에 수반하여 송신되는 시퀀스 번호 기초 정보는, 기지국(4a) 경유로 이동 단말기(5)에 전송하는 이 데이터와, 이 데이터 이전에 송신되고 다른 기지국(4b) 경유로 이동 단말기(5)에 전송되는 데이터와의 사이의 데이터 순서에 따른 값을 가져도 된다. 시퀀스 번호 기초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기지국(4a)은, 데이터 중계 장치(3)로부터 기지국(4a)에 송신된 데이터와, 그 이전에 다른 기지국(4b)에 송신된 다른 데이터와의 데이터 중계 장치(3)로부터의 데이터 순서에 따라 데이터의 시퀀스 번호를 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동 단말기(5)에 전송되는 복수 데이터가, 상이한 기지국(4)을 거치는 경로를 경유해도, 데이터 순서에 따른 시퀀스 번호를 데이터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시퀀스 번호 제어부(143)는, 데이터 중계 장치(3)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순서를, 예를 들어 데이터 중계 장치(3)가 네트워크(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수신 순서에 따라 정해도 된다. 또한 시퀀스 번호 제어부(143)는, 네트워크(2)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부여되어 있는 정보에 따라 데이터 중계 장치(3)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순서를 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시퀀스 번호 기초 정보는, 기지국(4a)을 경유로 이동 단말기(5)에 전회 데이터를 전송하고 나서 금회의 데이터 전송까지의 사이에, 기지국(4a) 이외의 다른 기지국 경유로 이동 단말기(5)에 전송된 데이터량이나 패킷수의 누적값이어도 된다. 또한, 시퀀스 번호 기초 정보는, 예를 들어 데이터 중계 장치(3)로부터 이동 단말기(5)에 전송하는 일련의 데이터의 개시로부터 금회의 데이터 전송까지의 사이에, 이동 단말기(5)에 전송된 데이터량이나 패킷수의 누적값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정해지는 시퀀스 번호 기초 정보의 값은, 데이터 중계 장치(3)로부터 기지국(4a)에 전송되는 데이터, 및 그 이전에 다른 기지국(4b)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중계 장치(3)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수신 순서에 따라 상이한 값으로 된다. 카운터(144)는, 이동 단말기(5)에 전송하는 데이터량이나 패킷수의 누적값을 카운트한다.
<5. 경로의 설정 처리>
계속해서, 데이터 전송 장치(3)로부터 복수의 기지국(4)을 경유하여 동일한 이동 단말기(5)에 상이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경로의 설정 처리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경로 설정의 처리의 설명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데이터 전송 장치(3)가 기지국(4a)을 경유하여 이동 단말기(5)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새롭게 기지국(4b)을 경유하는 경로를 추가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하기의 오퍼레이션(AA 내지 AJ)의 각 오퍼레이션은 스텝이어도 된다.
참조 부호 200은, 기지국(4a)의 메모리(78)에 기억되는 시퀀스 번호의 값을 나타낸다. 새롭게 경로를 늘리기 직전의 시퀀스 번호의 값은 「A」이다. 오퍼레이션(AA)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5)의 레이어 3 처리부(33)는, 이동 단말기(5)가 취급하는 트래픽량을 측정하고, 기지국(4a)에 보고한다. 기지국(4a)의 캐리어 제어부(87)는, 이동 단말기(5)의 트래픽량에 따라 이동 단말기(5)에 할당하는 물리 채널의 증가 여부를 판단한다. 도 12 및 도 13에 있어서 시퀀스 번호를 「SN」이라고 표기한다.
이동 단말기(5)에 할당하는 물리 채널을 증가시키는 경우에, 기지국(4a)의 캐리어 제어부(87)는, 기지국(4b)을 경유하는 경로를 새롭게 추가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기지국(4b)을 경유하는 경로를 추가하는 경우, 오퍼레이션(AB)에 있어서 기지국(4a)의 캐리어 제어부(87)는, 경로 추가 요구를 다른 기지국(4b)에 통지한다.
기지국(4b)에 있어서 데이터 중계 장치(3)로부터의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는 경우, 오퍼레이션(AC)에 있어서 기지국(4b)의 캐리어 제어부(87)는, 데이터 전송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알리는 경로 추가 요구 응답을 기지국(4a)에 통지한다. 그때, 기지국(4b)의 캐리어 제어부(87)는, 기지국(4b)이 이동 단말기(5)에 할당한 물리 채널 리소스를 기지국(4a)에 통지한다.
또한, 오퍼레이션(AB 및 AC)에 있어서, 기지국(4a 및 4b)의 캐리어 제어부(87)는, 기지국(4a 및 4b)과의 사이에서 이동 단말기(5)에의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하는 무선 주파수를 다르게 하는 리소스 할당 처리를 행해도 된다. 임의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4a)의 캐리어 제어부(87)는, 경로 추가 요구에 있어서 기지국(4a)이 사용하는 무선 주파수를 기지국(4b)에 알려도 된다. 기지국(4b)의 캐리어 제어부(87)는, 기지국(4a)이 사용하는 무선 주파수와 상이한 주파수의 물리 채널 리소스를 이동 단말기(5)에 할당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4a)은 경로 추가 요구 응답을 수신하였을 때에, 기지국(4b)이 사용하는 주파수와 상이한 주파수의 물리 채널 리소스를 이동 단말기(5)에 다시 할당해도 된다. 이러한 리소스 할당 처리에 의해, 기지국(4a 및 4b)으로부터 복수의 캐리어를 경유하여 상이한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하는 Inter-eNB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이 가능해진다.
오퍼레이션(AD)에 있어서 기지국(4a)의 레이어 3 처리부(83)는, 기지국(4b)이 이동 단말기(5)에 할당한 물리 채널 리소스를 통지한다. 기지국(4a)이 리소스를 재할당한 경우에는, 레이어 3 처리부(83)는, 필요에 따라 기지국(4a)이 이동 단말기(5)에 할당한 물리 채널 리소스를 통지한다.
오퍼레이션(AE)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5)의 레이어 3 처리부(33)는, 통지된 물리 채널의 설정을 행하고, 물리 채널의 설정의 완료를 기지국(4b)에 통지한다. 오퍼레이션(AF)에 있어서 기지국(4b)은, 데이터 전송 장치(3)에 데이터 전송 경로의 추가 요구를 행한다. 경로 추가 요구를 받은 데이터 전송 장치(3)의 경로 선택부(142)는, 기지국(4b)을 경유하는 경로를, 이동 단말기(5)에의 데이터 전송용 경로에 추가한다.
오퍼레이션(AG)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장치(3)의 시퀀스 번호 제어부(143)는, 기지국(4a)의 시퀀스 번호 제어부(85)에, 메모리(78)에 저장되는 시퀀스 번호의 값을 조회하는 시퀀스 번호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오퍼레이션(AH)에 있어서 시퀀스 번호 제어부(85)는, 데이터 전송 장치(3)의 시퀀스 번호 제어부(143)에, 시퀀스 번호의 값 「A」를 통지한다.
오퍼레이션(AI)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장치(3)의 시퀀스 번호 제어부(143)는, 기지국(4b)의 시퀀스 번호 제어부(85)에, 시퀀스 번호 지정값 「A」를 송신한다. 오퍼레이션(AJ)에 있어서 시퀀스 번호 제어부(85)는, 메모리(78)에 저장하는 시퀀스 번호를, 지정값 「A」로 재기입한다. 이들 오퍼레이션(AG 내지 AJ)에 의해, 상이한 기지국(4a 및 4b) 사이에 있어서의 시퀀스 번호의 동기 처리가 완료된다.
또한, 상술한 동기 처리(AG 내지 AJ)는, 이미 기지국(4a)이 이동 단말기(5)와 통신하고 있는 상태에서 기지국(4b)을 추가하는 경우의 예이지만, 예를 들어 세션 개시 시에 복수의 경로를 동시에 설정하는 경우와 같이, 기존의 경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동시에 설정하는 복수의 경로의 기지국(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시퀀스 번호 요구 신호를 송신하고, 이 기지국(4)의 시퀀스 번호에 다른 기지국(4)의 시퀀스 번호를 맞추면 된다.
<6. 시퀀스 번호의 제어의 제1 예>
계속해서, 상술한 기지국(4a 및 4b)을 경유하는 데이터에 부여되는 시퀀스 번호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의 예에서는, 데이터 전송 장치(3)의 시퀀스 번호 제어부(143)는, 기지국(4)이 부여하는 시퀀스 번호를 시퀀스 번호 제어부(85)에 의해 보정하는 보정량인 오프셋값을, 시퀀스 번호 기초 정보로서 생성한다. 도 13은, 시퀀스 번호 제어의 처리의 설명도이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하기의 오퍼레이션(BA 내지 BO)의 각 오퍼레이션은 스텝이어도 된다.
참조 부호 201 및 202는, 기지국(4a 및 4b)의 메모리(78)에 각각 기억되는 시퀀스 번호의 값을 나타낸다. 도 12에 도시하는 동기 처리(AG 내지 AJ)에 의해, 기지국(4a 및 4b)의 메모리(78)에 각각 기억되는 시퀀스 번호의 값은 동일값 「A」로 설정된다. 또한, 동기 처리(AG 내지 AJ)를 실행한 경우, 시퀀스 번호 제어부(143)는, 기지국(4a)용의 오프셋값 및 기지국(4b)용의 오프셋값을 모두 「0」으로 설정한다.
오퍼레이션(BA)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장치(3)는, 네트워크(2)로부터 수신한 10개의 패킷 데이터를 기지국(4a)에 전송한다. 그때에 시퀀스 번호 제어부(143)는, 오프셋값 「0」을, 기지국(4a)에 송신한다. 오퍼레이션(BB)에 있어서 시퀀스 번호 제어부(143)는, 이 패킷 데이터가 전송된 기지국(4a)에 대해 기억하고 있는 오프셋값을 「0」으로 설정하고, 이 패킷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은 기지국(4b)에 대해 기억하고 있는 오프셋값을 「10」 증가시킴으로써 값을 「10」으로 변경한다.
오퍼레이션(BC)에 있어서 기지국(4a)의 시퀀스 제어부(85)는, 메모리(78)에 기억되어 있는 시퀀스 번호의 값 「A」에, 데이터 전송 장치(3)로부터 송신된 오프셋값을 더함으로써 시퀀스 번호를 보정한다. 이 경우, 오프셋값이 「0」이므로 시퀀스 번호의 값은 변하지 않는다. 오퍼레이션(BD)에 있어서 기지국(4a)은, 데이터 전송 장치(3)로부터 전송된 10개의 패킷 데이터를 이동국(5)에 전송한다. 그때에, 기지국(4a)의 레이어 2 처리부(82)는, 메모리(78)에 기억되어 있는 값 「A」로부터 시작되는 10개의 시퀀스 번호 「A」 내지 「A+9」를, 10개의 패킷 데이터에 각각 부여한다. 10개의 패킷 데이터에 각각 시퀀스 번호가 부여됨으로써, 오퍼레이션(BE)에 있어서 메모리(78)에 기억되어 있는 시퀀스값의 값은 「A+10」으로 갱신된다.
오퍼레이션(BF)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장치(3)는, 네트워크(2)로부터 수신한 4개의 패킷 데이터를 기지국(4b)에 전송한다. 그때에 시퀀스 번호 제어부(143)는, 기지국(4b)용의 오프셋값 「10」을, 기지국(4b)에 송신한다. 오퍼레이션(BG)에 있어서 시퀀스 번호 제어부(143)는, 이 패킷 데이터가 전송된 기지국(4b)에 대해 기억하고 있는 오프셋값을 「0」으로 설정하고, 이 패킷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은 기지국(4a)에 대해 기억하고 있는 오프셋값을 「4」 증가시킴으로써 값을 「4」로 변경한다.
오퍼레이션(BH)에 있어서 기지국(4b)의 시퀀스 제어부(85)는, 메모리(78)에 기억되어 있는 시퀀스 번호의 값 「A」에, 데이터 전송 장치(3)로부터 송신된 오프셋값 「10」을 더하는 보정을 행하고, 시퀀스 번호를 「A+10」으로 변경한다. 오퍼레이션(BI)에 있어서 기지국(4b)은, 데이터 전송 장치(3)로부터 전송된 4개의 패킷 데이터를 이동국(5)에 전송한다. 그때에, 기지국(4b)의 레이어 2 처리부(82)는, 메모리(78)에 기억되어 있는 값 「A+10」으로부터 시작되는 4개의 시퀀스 번호 「A+10」 내지 「A+13」을, 4개의 패킷 데이터에 각각 부여한다. 4개의 패킷 데이터에 각각 시퀀스 번호가 부여됨으로써, 오퍼레이션(BJ)에 있어서 메모리(78)에 기억되어 있는 시퀀스값의 값은 「A+14」로 갱신된다.
오퍼레이션(BK)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장치(3)는, 네트워크(2)로부터 수신한 5개의 패킷 데이터를 기지국(4b)에 전송한다. 그때에 시퀀스 번호 제어부(143)는, 기지국(4b)용의 오프셋값 「0」을, 기지국(4b)에 송신한다. 오퍼레이션(BL)에 있어서 시퀀스 번호 제어부(143)는, 이 패킷 데이터가 전송된 기지국(4b)에 대해 기억하고 있는 오프셋값을 「0」으로 설정하고, 이 패킷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은 기지국(4a)에 대해 기억하고 있는 오프셋값을 「4」 증가시킴으로써 값을 「9」로 변경한다.
오퍼레이션(BM)에 있어서 기지국(4b)의 시퀀스 제어부(85)는, 메모리(78)에 기억되어 있는 시퀀스 번호의 값 「A+14」에, 데이터 전송 장치(3)로부터 송신된 오프셋값을 더하는 보정을 행한다. 이 경우, 오프셋값이 「0」이므로 시퀀스 번호의 값은 변하지 않는다. 오퍼레이션(BN)에 있어서 기지국(4b)은, 데이터 전송 장치(3)로부터 전송된 5개의 패킷 데이터를 이동국(5)에 전송한다. 그때에, 기지국(4b)의 레이어 2 처리부(82)는, 메모리(78)에 기억되어 있는 값 「A+14」로부터 시작되는 5개의 시퀀스 번호 「A+14」 내지 「A+18」을, 4개의 패킷 데이터에 각각 부여한다. 5개의 패킷 데이터에 각각 시퀀스 번호가 부여됨으로써, 오퍼레이션(BO)에 있어서 메모리(78)에 기억되어 있는 시퀀스값의 값은 「A+19」로 갱신된다.
이상과 같이 시퀀스 번호를 제어함으로써, 기지국(4a 및 4b)을 각각 경유하는 복수의 경로로 전송되는 일련의 패킷 데이터에, 연속된 시퀀스 번호가 부가된다. 이 결과,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이한 경로로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의 도착 순서가 올바른 데이터 순서와 달라도, 패킷 데이터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5)는, 수신 데이터의 순서를 올바르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동시에 경유하는 기지국(4)의 수가 2대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동시에 경유하는 기지국(4)의 수가 3대 이상인 경우도 마찬가지로 시퀀스 번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대 이상인 n대의 기지국(4)을 경유하여 동일한 이동 단말기(5)에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를 생각한다. 임의의 기지국(4)에 송신하는 오프셋값은, 전회 이 기지국(4)을 경유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나서 금회의 데이터 전송까지의 사이에, 다른 (n-1)대의 기지국(4)을 경유한 패킷수의 누적값으로서 결정해도 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전송 장치(3)의 시퀀스 번호 제어부(143)는, 오프셋값 대신에, 시퀀스 번호를 시퀀스 번호 기초 정보로서 사용해도 된다. 시퀀스 번호 제어부(143)는, 기지국(4)에 전송하는 복수의 패킷 데이터의 선두 패킷의 시퀀스 번호를, 시퀀스 번호 기초 정보로서 송신해도 된다. 기지국(4b)의 시퀀스 제어부(85)는, 시퀀스 번호를 수신한 경우에, 메모리(78)에 저장하는 시퀀스 번호를 수신한 시퀀스 번호로 재기입해도 된다.
<7. 논리 채널의 설정에 대해>
다음으로, 기지국(4) 및 이동 단말기(5)와의 사이의 논리 채널의 설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시퀀스 번호의 제어 처리를 이용하여 PDCP 서브 레이어에서 데이터에 부여되는 PDCP 시퀀스 번호를 제어함으로써, 상이한 경로를 경유하는 데이터의 PDCP 시퀀스 번호의 순서를 본래의 데이터 순서와 맞출 수 있다.
여기서 PDCP 시퀀스 번호와, RLC 서브 레이어에서 데이터에 부여되는 RLC 시퀀스 번호는 독립적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상이한 기지국(4a 및 4b)을 경유하는 경로에 동일한 논리 채널이 할당되면, 이들 기지국(4a 및 4b)이 독립적으로 부여하는 RLC 시퀀스 번호가 이동 단말기(5)에서 혼재하므로, RLC 서브 레이어에 있어서 올바르게 순서 보정을 할 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해, 임의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중계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상이한 데이터를 동일한 이동 단말기(5)에 복수의 기지국(4)을 경유하여 동시에 전송하는 각각의 경로에, 각각 상이한 논리 채널이 할당된다. 데이터를 경유하는 복수의 기지국(4)의 캐리어 제어부(87)는, 도 12에 도시하는 오퍼레이션(AB 및 AC)에 있어서 새로운 경로를 추가할 때에, 복수의 기지국(4)과 이동 단말기(5)와의 사이의 논리 채널이 상이한 논리 채널로 되도록, 논리 채널의 설정 처리를 행해도 된다. 캐리어 제어부(87)는, 도 12에 도시하는 오퍼레이션(AD)에 있어서 레이어 3 처리부(83)가 물리 채널 리소스를 이동 단말기(5)에 통지할 때에, 논리 채널의 설정을 이동 단말기(5)에 통지해도 된다.
이동 단말기(5)의 MAC 수신부(60)는, 데이터를 경유하는 복수의 기지국(4)에 각각 대응하여 할당된 논리 채널마다 수신 데이터를 분리한다. 복수의 기지국(4)을 각각 경유한 데이터는 각각 RLC 수신부(61)에서 처리된다. PDCP 수신부(62)는, 논리 채널마다 분리된 복수의 기지국(4)을 각각 경유한 데이터를 통합하고, 시퀀스 번호에 따라 순서를 보정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를 경유하는 복수의 기지국(4)마다 논리 채널을 분리함으로써, 상이한 경로로 데이터가 전송되어도, 각 경로의 기지국(4)에서 독립적으로 RLC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8. 시퀀스 번호의 제어의 제2 예>
계속해서, 시퀀스 번호의 제어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임의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전송 장치(3)는, 시퀀스 번호 기초 정보를 각 패킷 데이터마다 기지국(4)에 송신해도 된다. 이때 데이터 전송 장치(3)는, 패킷 데이터와 별도로, 또는 각 패킷 데이터에 부가하여 시퀀스 번호 기초 정보를 기지국(4)에 송신해도 된다.
임의의 실시예에서는, 기지국(4)의 레이어 2 처리부(82)는, 각 패킷 데이터마다 송신된 시퀀스 번호 기초 정보에 따라, 각 패킷 데이터에 각각 부가하는 시퀀스 번호를 결정하여 패킷 데이터에 부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시퀀스 번호 기초 정보는 시퀀스 번호 자체여도 된다. 이 경우, 이동국(4)의 레이어 2 처리부(82)가, 데이터 전송 장치(3)로부터 송신된 시퀀스 번호를 패킷의 헤더에 저장해도 된다. 또는, 데이터 전송 장치(3)의 경로 선택부(142)는, 송신 패킷 데이터의 헤더에 직접 시퀀스 번호를 저장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상이한 경로로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의 도착 순서가 올바른 데이터 순서와 다른 경우에, 이동 단말기(5)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의 순서를 올바르게 보정할 수 있다.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모든 예 및 조건적인 용어는, 독자가, 본 발명과 기술의 진전을 위해 발명자에 의해 제공되는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적인 목적을 의도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상기한 예 및 조건, 및 본 발명의 우위성 및 열등성을 나타내는 것에 관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일 없이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다양한 변경, 치환 및 수정을 이것에 가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1 : 통신 시스템
2 : 네트워크
3 : 데이터 중계 장치
4, 4a, 4b : 기지국 장치
5 : 이동 단말기 장치
14 :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16 : 코덱 회로
17 : 변조 회로
18 : 무선 회로
70, 130 : 프로세서

Claims (14)

  1. 복수의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중계 장치로부터 이동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복수의 기지국이 상기 데이터에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데이터 중계 장치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되는 제1 및 제2 데이터를 각각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상이한 기지국에 전송할 때, 상기 제2 데이터보다도 먼저 수신한 상기 제1 데이터를 임의의 기지국에 전송하고,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의 수신 순서에 따른 정보를 상기 제2 데이터에 부여하여 다른 기지국에 전송하는 처리를 행하는 제1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기지국 각각은,
    상기 데이터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상기 정보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에 상기 정보에 기초하는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처리를 행하는 제2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의 수신 순서에 따른 정보는, 상기 제1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른 오프셋값이며,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오프셋값을 상기 제2 데이터에 부가하여 상기 다른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 각각은, 데이터에 부여하는 시퀀스 번호의 값을 유지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 사이에서, 상기 메모리에 유지되는 시퀀스 번호의 값을 동기시키는 동기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동기 처리 후에,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의 수신 순서에 따른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유지된 값에 반영시킴으로써, 상기 시퀀스 번호를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기지국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상이한 논리 채널마다 분리하는 처리와,
    상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상기 데이터의 순서를, 상기 시퀀스 번호에 따라 보정하는 처리를 행하는 제3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과 상이한 다른 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 중계 장치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에의 데이터의 전송 처리의 실행을 요구하는 처리와,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다른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의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하는 무선 주파수를 다르게 하는 리소스 할당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7. 복수의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중계 장치로부터 이동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복수의 기지국이 상기 데이터에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중계 장치로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되는 제1 및 제2 데이터를 각각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상이한 기지국에 전송할 때, 상기 제2 데이터보다도 먼저 수신한 상기 제1 데이터를 임의의 기지국에 전송하고,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의 수신 순서에 따른 정보를 상기 제2 데이터에 부가하여 다른 기지국에 전송하는 처리를 행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 장치.
  8. 복수의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중계 장치로부터 이동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복수의 기지국이 상기 데이터에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으로서,
    상기 데이터 중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되는 제1 및 제2 데이터의 네트워크로부터의 수신 순서에 따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중계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데이터보다도 나중에 수신되어 자국에 전송된 상기 제2 데이터에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처리를 행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9. 복수의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중계 장치로부터 이동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복수의 기지국이 상기 데이터에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 단말기로서,
    상기 데이터 중계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제1 및 제2 데이터 중, 임의의 기지국으로부터 시퀀스 번호가 부여된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함과 함께,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시퀀스 번호가 부여된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를 각각에 부여된 상기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순서 보정을 행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2 데이터보다도 먼저 상기 데이터 중계 장치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되는 데이터이며,
    상기 제2 데이터에 부여된 시퀀스 번호는, 상기 데이터 중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의 수신 순서에 따른 정보에 기초하는 시퀀스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복수의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중계 장치로부터 이동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복수의 기지국이 상기 데이터에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중계 장치는,
    이동 단말기에 제1 및 제2 데이터를 각각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상이한 기지국에 전송할 때, 상기 제2 데이터보다도 먼저 수신한 상기 제1 데이터를 임의의 기지국에 전송하고,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의 수신 순서에 따른 정보를 상기 제2 데이터에 부가하여 다른 기지국에 전송하는 처리를 행하고,
    상기 복수의 기지국 각각은,
    상기 데이터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상기 정보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에 상기 정보에 기초하는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1. 복수의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중계 장치로부터 이동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복수의 기지국이 상기 데이터에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중계 장치의 통신 방법으로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제1 및 제2 데이터를 각각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상이한 기지국에 전송할 때, 상기 제2 데이터보다도 먼저 수신한 상기 제1 데이터를 임의의 기지국에 전송하고,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의 수신 순서에 따른 정보를 상기 제2 데이터에 부가하여 다른 기지국에 전송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 장치의 통신 방법.
  12. 복수의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중계 장치로부터 이동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복수의 기지국이 상기 데이터에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의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중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되는 제1 및 제2 데이터의 네트워크로부터의 수신 순서에 따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중계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데이터보다도 나중에 수신되어 자국에 전송된 상기 제2 데이터에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통신 방법.
  13. 복수의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중계 장치로부터 이동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복수의 기지국이 상기 데이터에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 단말기의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중계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제1 및 제2 데이터 중, 임의의 기지국으로부터 시퀀스 번호가 부여된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함과 함께,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시퀀스 번호가 부여된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를 각각에 부여된 상기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순서 보정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2 데이터보다도 먼저 상기 데이터 중계 장치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되는 데이터이며,
    상기 제2 데이터에 부여된 시퀀스 번호는, 상기 데이터 중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의 수신 순서에 따른 정보에 기초하는 시퀀스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통신 방법.
  14. 복수의 기지국에 접속된 이동 단말기에, 데이터 중계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데이터 중계 장치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되는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데이터와는 상이한 제2 데이터를 각각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상이한 기지국에 전송할 때,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의 수신 순서를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에 반영하고, 상기 제1 데이터를 임의의 기지국에 전송함과 함께, 상기 제2 데이터를 다른 기지국에 전송하는 처리를 행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임의의 기지국을 통해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함과 함께, 상기 다른 기지국을 통해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137032760A 2011-06-17 2011-06-17 통신 시스템, 데이터 중계 장치, 기지국, 이동 단말기 및 통신 방법 KR101613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63961 WO2012172689A1 (ja) 2011-06-17 2011-06-17 通信システム、データ中継装置、基地局、移動端末及び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373A true KR20140016373A (ko) 2014-02-07
KR101613310B1 KR101613310B1 (ko) 2016-04-19

Family

ID=47356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2760A KR101613310B1 (ko) 2011-06-17 2011-06-17 통신 시스템, 데이터 중계 장치, 기지국, 이동 단말기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13705B2 (ko)
EP (1) EP2723115A4 (ko)
JP (1) JP5892163B2 (ko)
KR (1) KR101613310B1 (ko)
CN (1) CN103609158B (ko)
WO (1) WO20121726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6742B2 (ja) * 2012-01-19 2015-11-10 京セラ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CoMP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6259578B2 (ja) * 2013-03-25 2018-01-10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方法
CN113411852A (zh) * 2013-06-18 2021-09-17 索尼公司 通信装置
CN112566160A (zh) * 2013-08-13 2021-03-26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以及方法、基站、用户设备和装置
EP3110194A4 (en) * 2014-02-21 2017-11-29 Kyocera Corporation Moving body communication system, specific base station, and user terminal
US10841833B2 (en) * 2016-10-12 2020-11-17 Qualcomm Incorporated Streamlined user plane headers for high data rates
CN112543425B (zh) * 2019-09-20 2022-04-29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9836C2 (sv) * 1997-06-13 1999-03-15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och arrangemang i ett radiokommunikationssystem
FI106494B (fi) 1998-11-05 2001-02-15 Nokia Networks Oy Kehystahdistusmekanismi
JP3545682B2 (ja) * 2000-07-04 2004-07-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速パケット伝送システム
US6882677B2 (en) * 2001-02-28 2005-04-1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handoff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EP2538723B1 (en) * 2001-08-14 2019-07-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network connectivity
EP1599972B1 (de) * 2003-03-04 2010-07-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drahtlos ankoppelbare kommunikationseinrichtung zur paketorientierten datenübertragung
DE10314466A1 (de) * 2003-03-28 2004-10-14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ondensierten Harzen in Pulverform
JP4705814B2 (ja) * 2005-07-08 2011-06-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同期配信方法
WO2007043459A1 (ja) * 2005-10-07 2007-04-19 Nec Corporation 複数の基地局と移動局によるmimo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70110015A1 (en) * 2005-10-19 2007-05-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lect diversity for radio communications
KR20090008215A (ko) * 2006-03-28 2009-01-21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기지국 및 경로제어장치 및 핸드오버 제어방법
JP5140975B2 (ja) 2006-09-14 2013-02-13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方法
WO2008041329A1 (en) 2006-10-04 2008-04-10 Fujitsu Limited Data transfer method
EP2096803B1 (en) * 2006-12-22 2012-08-29 Fujitsu Limited Transmission station, relay station, and relay method
KR101114792B1 (ko) * 2007-04-26 2012-02-2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기지국, 이동국, 통신 시스템, 송신 방법 및 리오더링 방법
EP2178335A1 (en) * 2007-08-09 2010-04-21 Fujitsu Limited Handover method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terminal
US8477719B2 (en) * 2007-10-01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in-order delivery in downlink during handover
JP5157652B2 (ja) * 2008-06-03 2013-03-06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72689A1 (ja) 2012-12-20
JPWO2012172689A1 (ja) 2015-02-23
CN103609158B (zh) 2017-05-24
JP5892163B2 (ja) 2016-03-23
CN103609158A (zh) 2014-02-26
EP2723115A1 (en) 2014-04-23
KR101613310B1 (ko) 2016-04-19
US9313705B2 (en) 2016-04-12
US20140094179A1 (en) 2014-04-03
EP2723115A4 (en)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73738A1 (en) Communication system
AU2017243079B2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1003909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10594428B2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9313705B2 (en) Data relay apparatus for transferring data to a mobile terminal via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US11032833B2 (en) Method and device for dynamic scheduling in UE and base station
CN112152680A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基站中的方法和装置
WO2018124702A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210400659A1 (en) Method and device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nodes
US11985079B2 (en) Method and device in UE and base s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11083784B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US20220264501A1 (en) Method and device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11528704B2 (en) Method and device used in UE and base s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11848892B2 (en)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transmission
CN110140372A (zh) 基站、终端设备、方法、程序和记录介质
KR20220006540A (ko)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US114777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izing dynamic point selection
WO20202263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hann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276460A1 (en) Method and device in nodes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KR101660797B1 (ko) 클라우드 무선 접속망 시스템에서 가상 기지국 및 이의 상향 데이터 수신 방법
JP2016521025A (ja) 通信方法、基地局、ユーザ機器、およびシステム
JP201603615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JPWO2013098984A1 (ja) 基地局、無線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EP4084384A1 (en) Method and apparatus in node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WO2021141371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및 비동기 데이터의 재전송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