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4606A - 대용량 고전압 릴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대용량 고전압 릴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4606A
KR20140014606A KR1020120081036A KR20120081036A KR20140014606A KR 20140014606 A KR20140014606 A KR 20140014606A KR 1020120081036 A KR1020120081036 A KR 1020120081036A KR 20120081036 A KR20120081036 A KR 20120081036A KR 20140014606 A KR20140014606 A KR 20140014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starting current
high voltage
curren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열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1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4606A/ko
Priority to CN201310292901.8A priority patent/CN103576571A/zh
Publication of KR20140014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electric machines
    • B60L2240/429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대용량 고전압 릴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제어 장치는, 차량 시동 중에 모터에 전원 공급을 위한 릴레이를 On 시키기 위한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릴레이 제어부와 차량 시동 초기에 릴레이를 On 시키기 위한 기동전류를 공급하는 보조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보조적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차량 시동 초기에 릴레이를 On 시키기 위한 기동전류를 보조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어, 고전압 릴레이 제어를 위해 소요되는 부품과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대용량 고전압 릴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ass high voltage relay}
본 발명은 릴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용량 고전압 릴레이의 스위칭 동작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주/보조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배터리의 전원을 모터에 공급함에 있어서는, 고전압 릴레이가 On/Off 되면서 전원공급의 스위치 역할을 담당한다.
도 1은 전기/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고전압 릴레이 제어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 릴레이(10)는 고정 접점(11), 구동 접점(12) 및 구동 코일(13)로 구성된다.
릴레이 제어기(20)는 구동 코일(13)에 전류를 공급/차단하여, 구동 접점(12)을 고정 접점(11)에 연결/분리함으로서, 고전압 릴레이(10)를 On/Off시킨다.
구체적으로, 차량 시동 On의 경우에는 배터리의 전원을 릴레이를 통해 모터로 공급하기 위해, 릴레이 제어기(20)는 구동 코일(13)에 전류를 공급하여, 구동 접점(12)을 올려 고정 접점(11)에 연결함으로써, 고전압 릴레이(10)를 On 시킨다.
반면, 차량 시동 OFF의 경우에는 릴레이 제어기(20)가 구동 코일(13)에 전류 공급을 차단하여, 구동 접점(12)을 내려 고정 접점(11)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고전압 릴레이(10)를 Off 시킨다.
한편, 고출력을 요하는 차량의 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배터리 용량은 더욱 증대되고 있고, 이에 따라 전원공급을 스위칭하기 위한 고전압 릴레이(10)의 용량 역시 증대되어, 고전압 릴레이(10)의 크기와 중량이 증대되는 결과가 초래되었다.
즉, 고전압 릴레이(10)의 통전 능력을 높이기 위해, 구동 접점(12)의 기계적 대형화가 요구되었는데, 고전압 릴레이(10)의 대형화로 인해 구동 코일(13)의 턴-수가 늘어나게 되고 허용 전류가 증가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대형화된 구동 접점(12)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릴레이 제어기(20)의 전원 회로에 대한 부품 사양 역시 증가 되어야 하는데, 이는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고전압 릴레이(10)의 크기와 무게 증대는 다방면으로 많은 전력 소모를 유발시켜, 차량의 주행가능거리를 낮추어 연비가 낮아지는 문제를 야기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전압 릴레이 제어를 위해 소요되는 부품과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보조적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차량 시동 초기에 릴레이를 On 시키기 위한 기동전류를 보조적으로 공급하는 릴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제어 장치는, 차량 시동 중에, 모터에 전원 공급을 위한 릴레이를 On 시키기 위한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릴레이 제어부; 및 차량 시동 초기에, 상기 릴레이를 On 시키기 위한 기동전류를 공급하는 보조 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구동부는, 상기 릴레이가 On 된 이후에는, 상기 릴레이에 상기 기동전류를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구동부는, 상기 기동전류를 생성하여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릴레이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상기 릴레이가 On 되기 전까지 상기 기동전류가 상기 릴레이에 공급되도록 상기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릴레이 제어부에서 상기 릴레이로 출력되는 구동전류가 안정상태로 진입하면 상기 릴레이 상태를 On 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구동부는, 기동전류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릴레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된 기동전류가 차량 시동 초기에만 상기 릴레이에 공급되도록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릴레이 제어부는, 상기 차량 시동시 상기 기동전류가 상기 릴레이에 공급되고, 기동 시간 경과 후에는 상기 기동전류가 상기 릴레이에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제어 방법은, 차량 시동 중에, 모터에 전원 공급을 위한 릴레이를 On 시키기 위한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단계; 및 차량 시동 초기에, 상기 릴레이를 On 시키기 위한 기동전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적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차량 시동 초기에 릴레이를 On 시키기 위한 기동전류를 보조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어, 고전압 릴레이 제어를 위해 소요되는 부품과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대용량 기구적 사양항목 축소로 인한 경량화는 물론, 기구적 사양 증대 부분 대비 원가절감이 가능하고, 비교적 간단한 회로 구성을 통해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전력 소모 절감을 통해 연비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1은 전기/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고전압 릴레이 제어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릴레이 제어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전압 릴레이 제어장치에 의한 고전압 릴레이 제어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릴레이 제어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5은, 도 3에 도시된 고전압 릴레이 제어장치에 의한 고전압 릴레이 제어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릴레이 제어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서는 고전압 릴레이 제어장치 외에 고전압 릴레이(10)를 더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릴레이 제어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 제어부(110) 및 보조 구동부(120)를 포함한다.
릴레이 제어부(110)는 고전압 릴레이(10)를 On/Off 시키기 위해, 고전압 릴레이(10)의 구동 코일(13)에 구동전류를 공급/차단한다. 릴레이 제어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릴레이 제어기(20)와 동일한 사양으로 구현하여도 무방하다.
보조 구동부(120)는 차량 시동 초기에만 고전압 릴레이(10)의 구동 코일(13)에 기동전류를 공급하며, 이후에는 구동 코일(13)에 기동전류를 공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차량 시동 초기에는 릴레이 제어부(110)와 보조 구동부(120)가 함께 고전압 릴레이(10)의 구동 코일(13)에 전류를 공급하는 반면, 그 이후에는 릴레이 제어부(110)만이 구동 코일(13)에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의 전류 공급은, 대용량의 고전압 릴레이(10)를 On 시켜야 하는 차량 시동 초기에는 큰 전류가 필요하지만, On 된 이후 On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 보다 작은 전류가 필요함에 기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구동부(120)는, 기동전류 공급부(121) 및 제어부(123)를 구비한다.
기동전류 공급부(121)는 기동전류를 생성하여 구동 코일(13)에 공급하기 위한 전력소자들로, 기동전류 생성소자, 기동전류 출력 스위칭 소자, 스위칭 구동을 위한 게이트 소자들을 구비한다.
제어부(123)는 기동전류 공급부(121)에 의한 기동전류 공급을 제어하는 소자이다. 제어부(123)는 기동전류 공급부(121)와 함께 PCB 상에 마련된다.
차량 시동 초기에 릴레이 제어부(110)로부터 구동 코일(13)에 전류가 공급되지만 구동 접점(12)이 고정 접점(11)에 연결되기 전까지는, 기동전류 공급부(121)에서 기동전류가 출력되도록 제어부(123)가 기동전류 공급부(121)의 기동전류 출력 스위칭 소자를 On 시킨다.
하지만, 구동 접점(12)이 고정 접점(11)에 연결된 이후, 기동전류 공급부(121)로부터 기동전류 출력이 차단되도록, 제어부(123)가 기동전류 공급부(121)의 기동전류 출력 스위칭 소자를 Off 시킨다.
구동 접점(12)이 고정 접점(11)에 연결되기 전까지, 릴레이 제어부(110)로부터 구동 코일(13)에 공급되는 구동전류는 과도상태에 있어 오버 슈트와 언더 슈트가 나타나는 등 불안정하다.
반면, 구동 접점(12)이 고정 접점(11)에 연결된 이후, 릴레이 제어부(110)로부터 구동 코일(13)에 공급되는 구동전류는 안정상태에 있다.
따라서, 제어부(123)는 릴레이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모니터링하여, 과도상태에는 기동전류 공급부(121)에서 기동전류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정상상태에는 기동전류 공급부(121)에서 기동전류가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전압 릴레이 제어장치에 의한 고전압 릴레이 제어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시동 On 되면(S210-Y), 릴레이 제어부(110)는 고전압 릴레이(10)의 구동 코일(13)에 구동전류를 공급한다(S220).
한편, 보조 구동부(120)의 제어부(123)는 릴레이 제어부(110)의 출력 전류를 모니터링하여 고전압 릴레이(10)의 스위칭 상태를 판별한다(S230).
S230단계에서의 판별결과 고전압 릴레이(10)가 Off 인 경우, 즉 구동 접점(12)이 고정 접점(11)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S230-N), 제어부(123)는 기동전류가 출력되도록 기동전류 공급부(121)를 제어한다(S240).
한편, S230단계에서의 판별결과 고전압 릴레이(10)가 On 인 경우, 즉 구동 접점(12)이 고정 접점(11)에 연결된 경우(S230-Y), 제어부(123)는 기동전류 출력이 차단되도록 기동전류 공급부(121)를 제어한다(S250).
이후, 차량 시동 OFF 되면(S260-Y), 릴레이 제어부(110)는 고전압 릴레이(10)의 구동 코일(13)에 구동전류를 공급을 차단한다(S270).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릴레이 제어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서도 고전압 릴레이 제어장치 외에 고전압 릴레이(10)를 더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릴레이 제어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 제어부(310) 및 보조 구동부(320)를 포함한다.
릴레이 제어부(310)는 고전압 릴레이(10)를 On/Off 시키기 위해, 고전압 릴레이(10)의 구동 코일(13)에 구동전류를 공급/차단한다. 릴레이 제어부(310)는 도 1에 도시된 릴레이 제어기(20)와 동일한 사양으로 하되, 후술할 기동전류 공급 스위치(323)를 제어하기 위한 로직만을 추가하여 구현 가능하다.
보조 구동부(320)는 차량 시동 초기에만 고전압 릴레이(10)의 구동 코일(13)에 기동전류를 공급하며, 이후에는 구동 코일(13)에 기동전류를 공급하지 않는다. 즉, 보조 구동부(320)는 도 2에 도시된 보조 구동부(120)와 동일한 기능 및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보조 구동부(320)의 세부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보조 구동부(120)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구동부(3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동전류 생성부(321) 및 기동전류 공급 스위치(323)를 구비한다.
기동전류 생성부(321)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기동전류를 생성하는 전력소자이고, 기동전류 공급 스위치(323)는 기동전류 생성부(321)에서 생성된 기동전류가 구동 코일(13)에 공급/차단 되도록 스위칭하기 위한 소자로, 접점 스위치, 릴레이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기동전류 공급 스위치(323)가 On 되면 기동전류 생성부(321)에서 생성된 기동전류가 구동 코일(13)에 공급되고, 기동전류 공급 스위치(323)가 Off 되면 기동전류 생성부(321)가 구동 코일(13)로부터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기동전류가 공급되지 않는다.
기동전류 공급 스위치(323)의 스위칭은, 릴레이 제어부(310)에 의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차량 시동 On 시, 릴레이 제어부(310)는 기동전류 공급 스위치(323)를 On 시켜, 기동전류 생성부(321)에서 생성된 기동전류가 구동 코일(13)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기동 시간이 경과하면, 릴레이 제어부(310)는 기동전류 공급 스위치(323)를 Off 시켜, 기동전류 생성부(321)에 의한 기동전류 공급을 차단한다. 여기서, 기동 시간이란 구동 접점(12)이 고정 접점(11)에 연결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말한다.
도 5은, 도 3에 도시된 고전압 릴레이 제어장치에 의한 고전압 릴레이 제어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시동이 On 되면(S410-Y), 릴레이 제어부(310)는 고전압 릴레이(10)의 구동 코일(13)에 구동전류를 공급한다(S420).
한편, 릴레이 제어부(310)는 보조 구동부(320)의 기동전류 생성부(321)를 On 시켜 기동전류 생성부(321)에 의해 생성되는 기동전류를 구동 코일(13)에 공급한다(S430).
이에 따라, 릴레이(10)의 구동 코일(13)에는 S420단계와 S430단계에 의해 구동전류와 기동전류가 함께 공급되게 된다.
이후, 기동 시간이 경과하면(S440-Y), 릴레이 제어부(310)는 보조 구동부(320)의 기동전류 생성부(321)를 Off 시켜 구동 코일(13)에 기동전류 공급을 차단한다(S450).
기동 시간이 경과하면, 고전압 릴레이(10)가 On 된 상태이기 때문에, 구동 코일(13)에 기동전류 생성부(321)에 의한 기동전류 공급을 차단하고 릴레이 제어부(310)에 의한 구동전류만을 공급하는 것이다.
이후, 차량 시동이 OFF 되면(S460-Y), 릴레이 제어부(310)는 고전압 릴레이(10)의 구동 코일(13)에 구동전류를 공급을 차단한다(S470).
도 4에 도시된 고전압 릴레이 제어장치의 보조 구동부(320)는, PCB, 제어용 소자, 전자파 강성회로(필터) 등이 필요 없으므로, 도 2에 도시된 고전압 릴레이 제어장치의 보조 구동부(120) 보다 저비용으로 구현가능하며, 전자파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고전압 릴레이 11 : 고정 접점
12 : 구동 접점 13 : 구동 코일
20 : 릴레이 제어기
110 : 릴레이 제어부 120 : 보조 구동부
121 : 기동전류 공급부 123 : 제어부
310 : 릴레이 제어부 320 : 보조 구동부
321 : 기동전류 생성부 323 : 기동전류 공급 스위치

Claims (7)

  1. 차량 시동 중에, 모터에 전원 공급을 위한 릴레이를 On 시키기 위한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릴레이 제어부; 및
    차량 시동 초기에, 상기 릴레이를 On 시키기 위한 기동전류를 공급하는 보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구동부는,
    상기 릴레이가 On 된 이후에는, 상기 릴레이에 상기 기동전류를 공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구동부는,
    상기 기동전류를 생성하여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릴레이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상기 릴레이가 On 되기 전까지 상기 기동전류가 상기 릴레이에 공급되도록 상기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제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릴레이 제어부에서 상기 릴레이로 출력되는 구동전류가 안정상태로 진입하면 상기 릴레이 상태를 On 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제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구동부는,
    기동전류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릴레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된 기동전류가 차량 시동 초기에만 상기 릴레이에 공급되도록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제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제어부는,
    상기 차량 시동시 상기 기동전류가 상기 릴레이에 공급되고, 기동 시간 경과 후에는 상기 기동전류가 상기 릴레이에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제어 장치.
  7. 차량 시동 중에, 모터에 전원 공급을 위한 릴레이를 On 시키기 위한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단계; 및
    차량 시동 초기에, 상기 릴레이를 On 시키기 위한 기동전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제어 방법.
KR1020120081036A 2012-07-25 2012-07-25 대용량 고전압 릴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40014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036A KR20140014606A (ko) 2012-07-25 2012-07-25 대용량 고전압 릴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CN201310292901.8A CN103576571A (zh) 2012-07-25 2013-07-12 高压继电器控制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036A KR20140014606A (ko) 2012-07-25 2012-07-25 대용량 고전압 릴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606A true KR20140014606A (ko) 2014-02-06

Family

ID=50048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036A KR20140014606A (ko) 2012-07-25 2012-07-25 대용량 고전압 릴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14606A (ko)
CN (1) CN103576571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6309B2 (ja) * 2004-10-12 2010-05-26 株式会社デンソー エンジン始動補助システム
KR100921098B1 (ko) * 2008-04-10 2009-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고전압 릴레이 제어 방법
KR101086974B1 (ko) * 2009-03-03 2011-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구동차량의 릴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DE102009027828A1 (de) * 2009-07-20 2011-01-27 Robert Bosch Gmbh Steuerung und Verfahren eines Startermotors für eine Startvorrichtung
US8766472B2 (en) * 2009-11-11 2014-07-01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Holding Sweden Ab Apparatus for shutting off power supply for vehicle
CN102155342B (zh) * 2011-03-04 2012-12-12 广州金升阳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供电电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76571A (zh)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5741A (ko) 점프 스타트를 위한 차량 전원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11309578B2 (en)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WO2014061137A1 (ja) 電源管理システムおよび電源管理方法
US102207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lay of an auxiliary battery
JP2013236442A (ja) 電気自動車
JP2015196447A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
JP2018098892A (ja) 電動車両の電源装置
JP2019213269A (ja) Dc/dc変換ユニット
US9670891B2 (en) Power supply for vehicle
JP2019213270A (ja) Dc/dc変換ユニット
CN110816274A (zh) 一种供电控制装置、汽车及其供电控制方法
JP2005102496A (ja) 直流電圧搭載電源
US9533580B2 (en) Power converter for vehicle generator-mo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generator-motor
KR20130080943A (ko) 대용량인버터의 입력부방전회로
US9827929B2 (en) Method for managing a system for supplying a vehicle electrical system with electrical energy
JP7279620B2 (ja) ソーラー充電システム
CN111746308A (zh) 电力系统及其控制方法
CN108683374B (zh) 一种励磁轴发系统启停逻辑控制电路和励磁轴发系统
JP6744786B2 (ja) 電動車両の電源制御装置
JP2009071921A (ja) 蓄電システム
KR20140014606A (ko) 대용량 고전압 릴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JP2020162295A (ja) 車両
KR20120083065A (ko) 전기자동차 전력시스템에서의 이중 스위칭 장치 및 스위치 단속 방법
CN113557161B (zh) 高电压辅机及高电压辅机控制系统
CN211106979U (zh) 一种供电控制装置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