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457A - 자동차용 매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13457A KR20140013457A KR1020120080435A KR20120080435A KR20140013457A KR 20140013457 A KR20140013457 A KR 20140013457A KR 1020120080435 A KR1020120080435 A KR 1020120080435A KR 20120080435 A KR20120080435 A KR 20120080435A KR 20140013457 A KR20140013457 A KR 201400134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t
- cutting line
- common
- vehicle
- automobi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Carp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 차종과 무관하게 차실내에 설치되는 바닥 매트에서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크기를 형상화한 공통부; 상기 공통부에 형성되는 포집홈을 포함하고 사각판상으로 형성된 한 겹의 하부매트; 상기 공통부의 포집홈과 간격을 두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공통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되어 이중 매트 구조를 형성하며, 다수의 포집구멍이 구비된 상부매트; 상기 하부매트에서 공통부를 제외한 부분에 형성되어 차종에 따라 대응되는 매트 크기에 맞게 절단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커팅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 매트 구조를 통해 미세먼지를 포집하기 때문에 차실내 위생상태를 양호하게 하고, 차종에 관계없이 규격화 혹은 표준화된 하나의 매트를 생산함으로써 제조비용과 투자비용을 절감하며, 소음을 줄이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 매트 구조를 통해 미세먼지를 포집하기 때문에 차실내 위생상태를 양호하게 하고, 차종에 관계없이 규격화 혹은 표준화된 하나의 매트를 생산함으로써 제조비용과 투자비용을 절감하며, 소음을 줄이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종에 상관없이 단일크기로 규격화시킨 후 차종에 맞게 잘라서 쓸 수 있고, 흙이나 먼지 등이 배출되기 때문에 실내 공기오염은 물론 소음을 줄이면서 바닥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자동차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동차의 실내 바닥면에는 차실 내부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면서 흡음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바닥 매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바닥 매트는 시트 주변의 영역을 포함한 차체 바닥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실내 외관을 해치는 차체 용접 부위나 시트 주변 혹은 바닥 상에 부속되는 각 부품 및 구조를 외관상으로 드러나지 않게 적절히 가려주는 차량 내장재 중 하나이기도 하다.
승용차의 경우, 보통 운전석, 조수석, 운전석 뒤, 조수석 뒤 및 중간의 바닥면에는 각각 해당 크게와 형상에 맞게 설계된 총 5개 또는 4개의 바닥 매트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바닥 매트는 보통 복수개의 위사와 경사를 교직 성형하여 그물망 구조의 카펫형으로 만든 카펫형 매트가 많이 사용되는데, 이는 촉감이 부드럽고 쿠션감이 좋은 이점이 있다.
그러나, 마찰에 의해 표면이 쉽게 마모되므로 수명이 짧고, 물기나 흙 등의 이물질이 매트 위에 떨어지게 되면 매트 내부로 흡수되거나 그물망 틈새에 끼어 세균번식의 원인, 악취와 먼지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자동차 실내의 위생상태를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에, 등록실용신안 제0259394호, 등록특허 제0402701호 등에서와 같이, 카펫형 매트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며 표면에 뭍은 물기나 흙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어 자동차 실내의 위생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금속매트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금속매트는 재질이 딱딱하여 쿠션감이 미비하며,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효과와 미려한 질감을 제공하기 위해 돌기부 또는 요철부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까다로운 작업공정과 재료의 특성으로 인해 제품의 가격이 기존의 카펫형 매트에 비해 현저히 상승되므로 대중적으로 활용하기 곤란하고, 이물이나 먼지 등이 쉽게 쌓이므로 빈번하게 청소해 줘야 하는데 그렇지 못할 경우 실내 위생상태를 해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고무 혹은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만든 수지형 바닥 매트도 개시되어 있으나, 역시 미세먼지 등이 고스란히 남게 되고, 탑승시마다 공기유동이나 발에 밟히면서 미세먼지가 일어나 유동되면서 위생상 좋지 못한 환경을 제공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 제2000-0054602호와 같이 오래전에 흙, 먼지 받침대를 바닥 매트 밑에 구비하여 흙이나 먼지를 수납한 후 차체 하부에 배출구를 형성하고 주행시 자동배출되도록 하는 특허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이 구조는 차체를 설계변경하여 개량해야 하므로 구조상 구현 가능성이 극히 낮고, 또 카페트형 매트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어 구현된다고 하더라도 효율성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앞서 설명한 카페트형 매트가 갖는 문제를 그대로 갖게 되는 한계가 있다.
또다른 예로, 이중 구조의 매트가 개시된 바 있으나, 개시된 이중 구조의 매트는 두 층 사이가 밀착되어 있어 미세먼지들이 구멍에 그대로 고여 있다가 탑승자가 발로 밟았을 때 먼지가 일어나면서 분산되어 차실내 위생상태를 더욱 악화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자동차는 제조사마다 다수의 모델이 존재하므로 차종에 따라 차실 바닥의 크기와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차종별로 각각 해당되는 고유의 바닥 매트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매트 성형상 통일화 혹은 규격화되지 못함으로써 인한 비용과 인력낭비가 심하고, 에프터 마켓을 상대적으로 좁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다.
예컨대, 각각 5개의 모델을 갖는 3개사가 각 모델에 맞는 차종을 출시할 경우, 적어도 15개의 서로 다른 바닥 매트가 서로 다르게 성형되어 제조되어야 하는데, 승용차의 경우라면 바닥 매트가 5개씩 구비되므로 결국 15×5=75개의 성형틀이 존재해야 하므로 낭비가 심하였다.
더욱이, 매년마다 각 모델들이 조금씩 업그레이드 되면서 실내 공간이나 구조가 약간씩 바뀌게 되는데, 그때마다 바닥 매트도 바뀌어야 하므로 자원의 낭비가 심해 종국적으로 국가적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당해 분야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효과있게 해결할 수 있도록 창출된 것으로, 자동차용 바닥 매트를 종류별로 규격화 혹은 표준화한 매트를 이용하여 국내에서 출시되는 대부분의 승용차용 바닥 매트에 사용될 수 있으면서 이중 매트구조를 갖추어 미세먼지를 흡수 수납토록 하여 실내에서 미세먼지가 부유되면서 비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하지 않도록 하여 탑승 환경을 개선하고, 제조비용을 줄이면서, 소음발생도 저감시키도록 한 자동차용 매트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차종과 무관하게 차실내에 설치되는 바닥 매트에서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크기를 형상화한 공통부; 상기 공통부에 형성되는 포집홈을 포함하고 다각형상으로 형성된 한 겹의 하부매트; 상기 공통부의 포집홈과 간격을 두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공통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되어 이중 매트 구조를 형성하며, 다수의 포집구멍이 구비된 상부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부매트 또는 하부매트에서 공통부를 제외한 부분에 형성되어 차종에 따라 대응되는 매트 크기에 맞게 절단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커팅라인;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커팅라인은 격자 내부에 상부면 또는 하부면이 오목한 형태의 호형 곡선커팅라인과, 상기 공통부의 양측면과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직선커팅라인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커팅라인에는 차종에 맞는 커팅라인을 확인하기 쉽도록 알파벳을 포함한 구분 기호나 문자가 표시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공통부는 상부매트 또는 하부매트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되, 상기 공통부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된 테두리부에 상기 상부매트 또는 하부매트의 둘레가 탄성끼움되어 결합되며, 상기 상부매트 또는 하부매트에는 상부매트와 하부매트 사이에 포집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매트에는 상기 지지돌기가 끼워지는 돌기홈이 대응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포집구멍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길이를 갖고 형성되어 방음, 소음차단기능은 물론 포집된 미세먼지가 역류하지 못하도록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포집구멍은 원형, 다각형, 또는 벌집형 중 어느 하나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 매트 구조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포집하기 때문에 차실내 위생상태를 양호하게 하고, 차종에 관계없이 규격화 혹은 표준화된 하나의 매트를 생산함으로써 제조비용과 투자비용을 절감하며, 소음을 줄이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공용화 된 자동차용 매트로서, 공통부분의 이중화 된 상부매트를 배제한 상태를 보인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상부매트를 설치하여 공통부분을 이중화시킨 상태를 보인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공용화 된 자동차용 매트로서, (a)는 뒷좌석, (b)는 중간석에 사용되는 매트 형상을 보인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공용화 된 자용차용 매트의 다른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매트의 사용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상부매트를 설치하여 공통부분을 이중화시킨 상태를 보인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공용화 된 자동차용 매트로서, (a)는 뒷좌석, (b)는 중간석에 사용되는 매트 형상을 보인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공용화 된 자용차용 매트의 다른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매트의 사용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매트는 크게 2개의 실시예가 있는데, 먼저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매트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전차종, 즉 거의 대부분의 모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공용화 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예는 앞좌석, 즉 운전석과 조수석에 사용될 바닥 매트의 공용화 구조이다.
여기에서, 공용화란 하나의 매트 만으로 다수의 차종에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로서, 규격화 혹은 표준화란 표현으로도 설명될 수 있다. 공용화는 국내의 모든 차종을 대상으로 할 수도 있지만, 특정회사의 차종만을 대상으로 하거나, 특정 범위의 배기량을 가지는 차량을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다만, 공용화라고 해서 그냥 매트 자체가 대부분의 차종에 다 맞도록 설계되었다는 의미는 아니고, 해당 차종에 맞게 표시된 라인을 따라 절단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매트로 대부분의 자동차, 특히 승용차의 바닥 매트를 대체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와 같은 공용화를 위해, 본 발명자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전차종의 바닥 매트(승용차 기준 5종:운전석, 조수석, 운전석 뒤, 조수석 뒤, 중간)를 수거한 후 디자인 및 설계분석을 통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부분을 찾아 설계한 결과, 도 1의 도시와 같은 공통부(100)를 찾아낼 수 있었다.
즉, 상기 공통부(100)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거의 대부분 차종의 바닥 매트에 모두 포함되어 있다고 보면 된다.
이때, 상기 공통부(100)의 형상은 운전석과 조수석이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운전석 뒤와 조수석 뒤가 도 4의 (a)와 같이 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뒷좌석의 중간에 깔리는 매트는 도 4의 (b)와 같은 형태로 공통부(100)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5의 (a)는 운전석만 공용화시킨 구조이고, 도 5의 (b)는 조수석만 공용화시킨 구조로서, 이와 같이 도 4의 예처럼 운전석과 조수석을 하나의 형상의 바닥 매트로 공용화시켜 절단 형태에 따라 운전석용으로 혹은 조수석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아니면 도 5의 예처럼 아예 운전석용만 전용으로 공용화시키고 또 조수석용만 전용으로 공용화시킬 수도 있다.
다만, 도 5,6에서도 도 1의 예와 같이 커팅라인이 모두 존재할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팅라인은 생략한 채 형상만을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공통부(100)는 한 겹의 하부매트(110) 상에 요입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공통부(100)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미세먼지 등을 포집하여 수납하는 포집홈(140)을 포함하고, 상기 포집홈(140)을 형성하는 테두리부(150)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포집홈(140)은 도 3의 (a)와 같이, 테두리부(150)가 상향 돌출되는 경우에는 상향 돌출되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홈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의 (b)와 같이 하부매트(110)의 공통부(100)를 좀 더 눌러 하방향으로 요입되게 형성할 수도 있는데, (b)와 같은 후자가 (a)와 같은 전자에 비해 미세먼지 등이 포집되는 공간의 크기가 더 커 활용성이 더 클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포집구멍(124, 도 3 참조)의 입구가 넓고 출구가 좁기 때문에 포집홈(140)으로 수납된 미세먼지, 흙 등의 이물질이 역류, 즉 역배출될 확률이 극히 낮게 되므로 역류를 방지하여 보다 쾌적한 위생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상기 하부매트(110)는 공통부(100)를 포함한 상태로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상의 부재, 바람직하기로는 고무 혹은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하부매트(110)는 표시 또는 무늬가 없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전 차종에 맞게 디자인할 수 있도록 공통부(10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다수의 곡선커팅라인(130)이 형성된다.
상기 곡선커팅라인(130)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전차종의 디자인을 조사한 후 그것을 구현하기에 가장 적합한 형상을 창출한 것으로, 격자(S) 구조와 이 격자(S)를 호형상의 곡선커팅라인(130)이 하부매트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오목하게 새겨져 커팅시 연속라인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직선으로 길게 커팅되어야 할 부분, 이를 테면 공통부(100)의 양측면과 같은 부위에는 직선커팅라인(132)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곡선커팅라인(130)과 직선커팅라인(132)을 따라 적절하게 커팅하게 되면 자신이 소유한 차종에 적합한 바닥 매트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시된 예는 운전석과 조수석을 공용사용 가능하게 하고, 뒷좌석의 경우도 중앙을 제외한 나머지 양측을 공용사용 가능하게 하여 커팅 형태에 따라 운전석 바닥 매트로 사용할 수도 있고, 조수석 바닥 매트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뒷좌석용 바닥 매트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 경우,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곡선커팅라인(130) 및 직선커팅라인(132)에는 차종별 커팅선을 알려주는 커팅번호가 인쇄될 수 있다.
예컨대, A,a 등과 같은 알파벳을 표기하고, 표기된 것에 대해 설명서 상에 해당 차종을 나열해 두면 좀 더 쉽게 사용자가 커팅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알파벳 표시는 도 1에서 하부매트(110), 특히 하부매트(110)의 하부면에 표시되는 것이지만, 도면상 잘 나타나지 않아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부매트(110) 외측에 표시하였다.
이와 같이, 바닥 매트를 공용화하게 되면 생산자의 입장에서는 하나의 바닥 매트만 생산하면 되므로 금형설계가 자유롭고, 비용이 절감되며,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매트는 상기 공통부(100)가 이중 매트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공통부(100)는 포집홈(140)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매트(120)가 구비되어 결합됨으로써 두 겹의 이중 매트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정리하자면, 공통부(10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한 겹의 하부매트(110)로 이루어지고, 공통부(100)에서는 포집홈(140)에 의한 내부 공간을 갖도록 상부매트(120)를 포함한 하부매트(110)와 상부매트(120) 두 겹의 매트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은 운전석, 조수석 바닥 매트에 한정되지 않고, 도 4에 도시된 뒷좌석 바닥 매트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뒷좌석 바닥 매트에 대해서는 별도로 설명하지 않고 생략하기로 한다.
공통부(100)에 상부매트(120)가 결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통부(100)를 구성하는 하부매트(110)는 도 3의 (a)와 같이 공통부(100)의 둘레, 테두리의 내측면에는 후크형 걸림턱(152)이 형성된 테두리부(150)가 형성되어서, 양자가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통부(100)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면서 밀폐하기 위한 상부매트(1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상부매트(120)는 상기 공통부(100)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부매트(120)의 테두리가 상기 테두리부(150)의 걸림턱(152) 하부로 끼워진 채 걸림 고정되게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매트(120)가 쉽게 유동되지 않으면서 견고한 고정구조를 갖추게 된다.
이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상부매트(120)의 테두리를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테이퍼처리하게 되면 향후 상부매트(120)를 분리하기 쉬워 일정 기간 사용 후 포집된 미세먼지나 흙 등의 이물질을 버릴 때 편의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매트(120)와 포집홈(14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미세먼지 포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매트(120)의 하단면에는 다수의 지지돌기(122)가 돌출된다.
상기 지지돌기(122)는 상기 상부매트(120) 또는 하부매트(1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매트(120)와 하부매트(110) 사이의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매트(120)와 하부매트(110)는 상기 지지돌기(122)의 높이만큼 단차를 갖게 되므로 내부 공간, 즉 포집홈(140)이 형성되게 되며, 이 공간에서 미세먼지를 포함한 이물질 포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매트(120)에는 다수의 포집구멍(124)이 천공 형성된다.
상기 포집구멍(124)은 원형, 다각형(주로 육각형)을 비롯하여 벌집모양까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포집구멍(124)은 도 3에서와 같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미세먼지 포집과 함께 방음, 즉 소음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다시 말해, 차실내에서 발생되는 소음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기계음, 탑승자가 움직이면서 내는 소음 등 차실내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음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포집구멍(124)의 입구로 들어간 다음 상대적으로 현저히 작아진 배출구를 통해 배출 방사되면서 포집공간인 포집홈(140)에 갇히거나 흩어지면서 소음이 차단 또는 저감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차실내를 기존 차량 대비 더 조용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배출구쪽이 작게 설계되기 때문에 포집된 미세먼지 등은 쉽게 역류하여 되돌아 올라오지 못하게 되므로 포집효율, 포집능력이 더욱 증대된다.
아울러, 하부매트(110)의 하면에는 도시와 같이, 안착돌기(112)가 다수 돌출되어 있어 하부매트(110) 설치시 차량의 바닥에 고정되어 밀리지 않게 한다.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공통부(100)가 형성되는 포집홈(140)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돌기홈(16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홈(160)은 탑승자가 공통부(100)에 발을 댄 상태에서 원치않게 공통부(100)를 밀었을 경우 이 부분이 밀리않도록 유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돌기(122)와 상관없이 구비되나, 특별히 상기 지지돌기(122)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공용화된 운전석 전용 바닥매트(D), 공요화된 조수석 전용 바닥매트(E), 공용화된 뒷좌석 전용 바닥매트(F), 공용화된 뒷좌석 중간 전용 바닥매트(G) 등을 만들고, 이들을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운전석과 조수석이 공용화된 바닥 매트였지만, 도 5에서는 운전석, 조수석이 각기 따로 형상화되고 이들 각각이 전차종에 맞게 공용화되도록 구성되는 것이고, 도 6에서는 뒷좌석 바닥매트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더욱 더 효율적인 자동차용 바닥 매트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도 7과 같이 곡선커팅라인(130)과 직선커팅라인(132)을 따라 절단하게 되면 특정 차량의 운전석 바닥에 맞는 바닥 매트를 도시와 같이 얻을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알파벳으로 표기된 표지를 따라, Hf → Gg → Fh → Fj → Dk → Ci → Bm 과 같은 격자점을 기준으로 커팅라인을 만들고, 이 커팅라인을 따라 자르게 되면 도 7의 하측에 도시된 예와 같이 원하는 형태의 바닥 매트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자신이 차량에 맞도록 안내된 표지를 따라 커팅하게 되면 원하는 바닥 매트를 쉽게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것은 예시에 불과하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형태로 사용자들이 사각판상의 본 발명 매트를 구입한 다음 자신의 차량에 맞는 커팅라인을 따라 커팅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자신의 차량에 적합한 바닥 매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다른 예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커팅라인, 즉 곡선커팅라인(130)과 직선커팅라인(132)을 바닥 매트의 배면에 형성하고, 바닥 매트의 전면은 아무런 표시가 없거나 혹은 특별한 무늬를 디자인하여 미감을 향상시키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커팅라인을 안내하는 표지인 알파벳도 당연히 배면(후면)에 표시되어야 하며, 공통부(100)는 전면에 남을 수 있다. 다만, 도 3중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중매트 구조를 갖는 공통부(100)의 상부매트와 하부매트가 바뀔 경우에는 공통부(100)가 배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와 같이 커팅라인이 바닥 매트의 배면(후면)에 표시될 경우, 아예 미리 차종에 맞도록 커팅된 상태로 판매할 수도 있다.
덧붙여, 상술한 실시예는 상부매트(120)가 하부매트(110)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는 그 반대의 경우를 들 수 있다.
도 3(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도 공통부(100), 하부매트(110), 상부매트(120)를 포함하는데, 공통부(100)가 상부매트(120)가 아닌, 하부매트(110)에 형성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하부매트(110)가 공통부(100)의 형상으로 제작된다.
공통부(100)인 하부매트(110)는 상부매트(120)의 하부에 결합하게 된다. 하부매트(110)와 상부매트(120)의 결합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도 3(c)와 같은 형상으로 결합하면 된다. 이 경우에 커팅라인과 알파벳의 표시는 상부매트에 기재된다.
100 : 공통부 110 : 하부매트
120 : 상부매트 130 : 곡선커팅라인
140 : 포집홈 150 : 테두리부
160 : 돌기홈
120 : 상부매트 130 : 곡선커팅라인
140 : 포집홈 150 : 테두리부
160 : 돌기홈
Claims (7)
- 차종과 무관하게 차실내에 설치되는 바닥 매트에서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크기를 형상화한 공통부;
상기 공통부에 형성되는 포집홈을 포함하고 다각형상으로 형성된 한 겹의 하부매트;
상기 공통부의 포집홈과 간격을 두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공통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되어 이중 매트 구조를 형성하며, 다수의 포집구멍이 구비된 상부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매트 또는 상부매트에서 공통부를 제외한 부분에 형성되어 차종에 따라 대응되는 매트 크기에 맞게 절단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커팅라인;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트.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팅라인은 격자 내부에 상부면 또는 하부면이 오목한 형태의 호형 곡선커팅라인과, 상기 공통부의 양측면과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직선커팅라인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트.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팅라인에는 차종에 맞는 커팅라인을 확인하기 쉽도록 알파벳을 포함한 구분 기호나 문자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트.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통부는 상부매트 또는 하부매트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되,
상기 공통부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된 테두리부에 상기 상부매트 또는 하부매트의 둘레가 탄성끼움되어 결합되며, 상기 상부매트 또는 하부매트에는 상부매트와 하부매트 사이에 포집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트.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집구멍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길이를 갖고 형성되어 방음, 소음차단기능은 물론 포집된 미세먼지가 역류하지 못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트.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집구멍은 원형, 다각형, 또는 벌집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0435A KR101446750B1 (ko) | 2012-07-24 | 2012-07-24 | 자동차용 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0435A KR101446750B1 (ko) | 2012-07-24 | 2012-07-24 | 자동차용 매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3457A true KR20140013457A (ko) | 2014-02-05 |
KR101446750B1 KR101446750B1 (ko) | 2014-10-01 |
Family
ID=50263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0435A KR101446750B1 (ko) | 2012-07-24 | 2012-07-24 | 자동차용 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675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9463Y1 (ko) * | 2019-03-07 | 2019-09-30 | 장형석 | 인서트 사출로 성형하는 이물질 유출 방지용 자동차 매트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9947Y1 (ko) * | 2009-10-21 | 2013-11-14 | 이상연 | 자동차용 매트 |
-
2012
- 2012-07-24 KR KR1020120080435A patent/KR101446750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9463Y1 (ko) * | 2019-03-07 | 2019-09-30 | 장형석 | 인서트 사출로 성형하는 이물질 유출 방지용 자동차 매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46750B1 (ko) | 2014-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27103B2 (en) | Removable bolster for ISOFIX | |
AU2007217260A1 (en) | Acoustic carpet for vehicle | |
KR20130107657A (ko) | 자동차용 실내 매트 | |
US20170320415A1 (en) | Lightweight Seat for Vehicles | |
JP5652746B2 (ja) | ドアトリムの取り付け構造 | |
KR200471751Y1 (ko) |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 | |
GB2422131A (en) | Vehicle trim panel with moulded cushion | |
USD489306S1 (en) | Vehicle floor mat | |
JP2019098107A (ja) | 乗物用シート | |
KR100957091B1 (ko) | 차량용 카매트 모듈구조 | |
KR101446750B1 (ko) | 자동차용 매트 | |
KR200407616Y1 (ko) |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한 자동차 보조매트 | |
JP3735900B2 (ja) | 自動車用サイドステップ | |
KR20130063665A (ko) | 차량용 청정매트 | |
JP5435554B2 (ja) | シートバックのトランクスルー部構造 | |
JP7363720B2 (ja) | 車両用ドア | |
KR200392926Y1 (ko) | 자동차용 바닥매트 | |
KR20170004043U (ko) | 차량용 바닥매트 성형 몰드 및 차량용 바닥매트 | |
KR20240011440A (ko) | 순정매트의 오염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순정매트 고정형 차량용 보조매트 | |
CN205871812U (zh) | 汽车脚垫 | |
JP2007020636A (ja) | シートパッド及びクッション材 | |
WO2008134911A2 (en) | Carpet arrangement for an automobile and insert mat | |
KR200325024Y1 (ko) | 자동차용 매트 | |
CN103640505A (zh) | 一种汽车地毯 | |
KR200337735Y1 (ko) | 다용도 매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