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0513A - 자동 침 시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사 침의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침 시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사 침의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0513A
KR20140010513A KR1020120076233A KR20120076233A KR20140010513A KR 20140010513 A KR20140010513 A KR 20140010513A KR 1020120076233 A KR1020120076233 A KR 1020120076233A KR 20120076233 A KR20120076233 A KR 20120076233A KR 20140010513 A KR20140010513 A KR 20140010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acupuncture
unit
automatic
nee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7597B1 (ko
Inventor
임판석
정수룡
감철우
윤대현
김동준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76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597B1/ko
Publication of KR20140010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침 시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사 침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 침 시술 장치는 환자에게 침을 발사하여 침을 시술하는 경우에, 발사된 침의 개수를 파악하여 안내하는 발사침 안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침 시술 장치는 환자는 물론 한의사에게도 발침에 따른 부주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에게는 침 시술에 대하여 불안감을 해소하고, 의사에게는 발침 부주의에 따른 의료사고 걱정 없이 침을 시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침 시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사 침의 모니터링 시스템{AUTOMATIC APPARATUS OF SHOOTING NEEDLE FOR AND SYSTEM OF MONITORING SHOOTED NEED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 침 시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사 침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침 부주의에 의한 의료 사고를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자동 침 시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사 침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방치료로 칭하는 한의학은 수천 년에 걸쳐 전승된 의학이지만 서양 의학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과학의 혜택을 받지 못하여 왔다. 그리고 한의학에서 행하는 한방치료는 한의사가 사진법을 통하여 환자의 상태를 파악한 후 침이나 뜸을 시술하고 있다. 상기 사진법은 환자의 상태를 보고, 듣고, 묻고, 맥을 짚는 방법에 의해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침이나 뜸은 환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치료를 위한 목적 및 보양을 위한 목적으로 시술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한방치료를 더욱 과학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며, 상기와 같은 한방치료 과학화의 한 방편으로 진단방법에 피부 임피던스 측정, 맥파 측정, 피부 온도 측정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한의학의 치료수단으로 침구나 뜸 및 탕약 등이 사용되어 지고 있으며, 이중 침구나 뜸은 체표상의 일정한 부위에 여러 가지 자극방법을 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피부 자극요법 중의 하나로 사용되어 왔고, 근래에는 그 자극방법에 있어서 전통적인 자극방법 이외에 여러 가지 신 치료법이 개발되어 임상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침구나 뜸의 경우 환자의 체표상에 직접적으로 접촉시켜 자극하는 방법으로 그에 따를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 중, 침구의 경우, 침의 크기가 작고 가늘 뿐만 아니라, 치료를 위해 많은 수의 침을 한꺼번에 직침하는 경우가 많아, 침술 도중 발침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되는 의료사고로 종종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사고는 한방병원 종사자라면 누구나 공감하고 있는 의료사고중 하나이다.
이처럼, 치료수단으로 환자의 몸에 직침한 후에 발침하는 과정에서 직침된 모든 침을 발침 과정에서 모두 회수하지 않고 환자 몸에 그대로 방치하여 발생되는 의료사고의 경우 환자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으며, 자칫 환자의 목숨까지 위협할 수 있다. 아울러, 이는 큰 민원소송을 유발시켜 해당 의료기관은 손해배상에 따른 손실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의료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항을 고려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시술된 침의 개수를 시술자에게 확인시켜 줌으로써 침 시술 후 발침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되는 의료사고를 막을 수 있는 자동 침 시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사 침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환자에게 침 시술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시술자가 여러 환자에게 시술한 침의 개수를 모두 정확히 파악하여 침 시술 후 복수의 환자에게서 안정적으로 침을 모두 회수하여 복수의 환자에게도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자동 침 시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사 침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 침 시술 장치는 환자에게 침을 발사하여 침을 시술하는 침 시술 장치에 있어서, 발사되는 침의 개수를 파악하여 안내하는 발사침 안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발사침 안내부는 상기 발사되는 침을 탐지하는 침 탐지부, 상기 침 탐지부를 통해 탐지된 발사침의 개수를 계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계산된 발사침의 개수를 표시하는 개수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발사침 안내부는 상기 발사되는 침에 특정 코드를 부여하기 위한 코드 부여수단 및 상기 코드 부여수단에 의해 부여된 침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발사침 안내부는 상기 발사되는 침에 특정 코드가 사전에 부여된 경우, 상기 침에 부여된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코드 인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시술장치는 하나 이상의 침을 수용하며 상기 침 시술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침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침통은 상기 침통에 수용되어 있는 침의 개수를 파악하는 수용 침 개수 탐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침통과 상기 자동 침 시술 장치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자동 침 시술 장치는 상기 수용 침 개수 탐지부를 통해 파악한 수용 침의 개수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시술장치는 상기 발사침 안내부를 통해 인식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는 송신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시술장치는 시술하는 환자 데이터 또는 시술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시술장치는 압축공기, 가스 또는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침을 발사하는 발사부 및 상기 발사부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작동시킬 수 있는 작동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시술장치는 상기 침 시술 장치를 전기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전기를 공급하며 충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자동 침 시술 장치에서 상기 침이 외부로 발사되는 앞단부는 상기 자동 침 시술 장치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동 침 시술 장치에서 상기 침이 외부로 발사되는 앞단부에는 상기 앞단부를 보호하는 보호캡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자동 침 시술 장치는 상기 자동 침 시술 장치를 지지하여 잡을 수 있으며 상기 침의 발사를 제어하는 발사버튼부를 구비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사 침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환자에게 침을 발사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로부터 발사되는 상기 침의 개수를 파악하는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에 파악한 침의 발사 개수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자동 침 시술 장치 및 상기 자동 침 시술 장치의 송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침의 발사 개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로 수신되는 상기 침의 발사 개수 정보를 표시하는 현황판을 포함하는 알림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알림 장치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침의 개수 정보를 음향으로 제공하기 위한 스피커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정보의 확인 및 변경, 상기 현황판에 표시되는 화면의 설정, 스피커의 제어를 위해 외부에서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알림 장치는 상기 자동 침 시술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휴대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림 장치에는 침 시술이 종료된 환자로부터 회수한 침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회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수부는 상기 회수한 침의 개수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회수 감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수한 침의 개수 정보를 상기 알림 장치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침 시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사 침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환자는 물론 한의사에게도 발침에 따른 부주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에게는 침 시술에 대하여 안정감을 제공하며 시술자에게는 발침 부주의에 따른 의료사고 걱정 없이 침을 시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 침 시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침 시술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 침 시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사 침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표현이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을 위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장착된", "설치된", "접속된", "연결된", "지지된", "결합된" 등의 표현은, 다른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시하거나 한정하고 있는 않는 한, 직접적인 그리고 간접적인 장착, 설치, 접속, 연결, 지지, 및 결합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다. "접속된", "연결된", "결합된"이라고 하는 표현은, 물리적인 또는 기계적인 접속, 연결 또는 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상부, 하부, 하향, 상향, 후방, 바닥, 전방, 후부 등과 같이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편의를 위해 도면에 대해 상대적인 방향(정상적으로 봤을 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어떠한 형태로든 본 발명을 그 문자대로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상대적인 중요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 침 시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침 시술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 침 시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침 시술 장치(이하 침 시술 장치)(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 후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기 침 시술 장치(1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침 시술 장치(10)는 몸체부(100), 발사침 안내부, 구동부 및 침통(200)으로 이루어진다.
몸체부(100)는 침 시술 장치(10)의 외부를 형성하는 케이스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기 편하며 시술시 쉽게 잡고 시술할 수 있는 펜과 같은 형태로 구성하여 주었다.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건(Gun) 형태로 구성하여 줄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몸체부(100)를 지지하여 잡을 수 있으며 상기 침의 발사를 제어하는 발사버튼부(510)를 구비하고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부(500)를 별도로 구성하여 줄 수 있다.
그리고 침(300)이 발사되는 몸체부(100)의 앞단부(136)는 침(300)의 직경보다 조금 큰 관 형태로 구비하여 줌으로써 침 시술자가 환자 환부에 정확하게 조준한 후 시술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리고 앞단부(136)는 몸체부(100)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줄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탈부착되는 형태로 구성하여 줄 수 있다.
이는 앞단부(136)는 침(300)이 외부로 발사되는 곳으로 시술자의 사용에 따라서는 안전 침 시술 장치(10)의 앞단부(136)를 환자의 환부에 접촉한 후 시술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환자에게 시술하는 경우 위생상으로 발생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환자별로 앞단부(136)를 교체하여 사용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앞단부(136)는 몸체부(100)의 발사관(134)과 연결되며 몸체부(100)에 앞단부(136)를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구(137)를 가져 몸체부(100)에 슬라이딩 삽입된다.
앞단부(136)는 이와 같이 교체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는 몸체부(100)에 고정되게 형성하여 주며 고정된 앞단부(136)에 도 1 및 2에 도시된(B)바와 같이 보호캡(138)을 씌어 주는 형태로 구성하여 줄 수 있다. 보호캡(138)은 탄성을 가지고 유연한 재질을 이루어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몸체부(100)에는 침(300)을 발사하기 위한 구동부 및 발사된 침의 개수를 파악하며 이를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는 침(300)을 자동으로 발사하기 위한 장치로 침(300)을 침 시술 장치(10)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130), 장착된 침(300)에 외력을 가하여 침(300)을 발사시키는 발사부(400), 침(300)이 발사부(400)를 통해 외력을 받아 발사되도록 안내하는 발사관(134) 및 발사부(40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침(300)을 발사시킬 수 있는 발사 버튼부(110)로 이루어진다.
장착부(130)는 침(300)이 침 시술 장치(10)의 침 발사 위치에 안착되는 곳으로 개별침을 각각 장착시킬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침통(200)을 통하여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장착부(130) 및 침통(20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발사부(400)는 침 시술 장치(10)의 침 발사 위치에 안착된 침(300)에 외력을 가하여 침(300)이 발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외력은 공압, 자력 또는 탄성력 등이 이용된다.
즉, 자동 또는 수동으로 압축된 공기를 침 시술 장치(10)의 침 발사위치부(132)에 안착된 침(300)의 몸통부(320)에 제공하여 침(300)을 발사시킬 수 있으며, 침 시술 장치(10)에 가스를 저장하는 가스 저장부(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소량의 가스를 분출하여 기화시켜 기화되는 힘을 이용하여 상기 침을 발사시킬 수 있다.
또는 모터(도시되지않음)를 구비하여, 상기 모터를 회전시켜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침(300)을 발사하도록 구성하여 줄 수 있다.
발사관(134)은 침 시술 장치(10)의 침 발사 위치에 안착된 침(300)이 발사부(400)로부터 외력을 받아 발사되도록 안내하는 통로로서 침(300)의 외경보다 소정의 크기만큼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 관 형태로 구비된다.
발사관(134)의 길이는 침(300)이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발사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진다.
발사 버튼부(110)는 발사부(40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침(300)이 발사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인 작동부로서 버튼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사부(400)의 제어는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발사부(400)를 제어하거나 전기적 신호를 주어 발사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침 시술 장치(10)는 구비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전기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부(460)를 구비한다. 전원부(460)는 배터리 형태로 구비되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충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침통(2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침통(200)은 침 시술자가 침(300)을 시술시마다 매번 상기 침 시술 장치(10)에 장착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도록 침 시술 장치(10)에 침(300)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장치다.
침통(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상기 침(300)이 구비될 수 있는 공간부를 가지며 침통(200)에 장착된 침(300)을 침 시술 장치(10)의 장착부(130)로 침(300)을 제공하기 위하여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부(210)를 구비한다.
그리고 침통(200)은 침 시술 장치(10)의 몸체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침(300)을 침통(200)에 장착한 후 몸체부(100)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침통(200)은 침(300)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침(300)을 잡아주는 걸림부(215)를 구비하며, 걸림부(215)에 걸린 침(300)은 침통(200)이 몸체부(100)에 삽입되었을 때 발사부(400)의 앞단 발사관(134)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침통(200)에는 걸림 돌기(216)가 형성되고 침통(200)이 슬라이딩 삽입되는 장착부(130)에는 침통(200)의 걸림 돌기(216)가 걸리는 걸림홈(21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부(130)에서 침통(200)이 슬라이딩 삽입되어 안착되는 침 발사 위치부(132)에는 소정의 단턱이 형성되어 침통(200)이 장착부(130)에 장착되었을 때 침통(200)의 걸림부(215)에 걸려 발사대기 상태에 있는 침(300)이 발사관(134)관 일직선 상태에 놓일 수 있도록 하여준다.
그리고 침통(200)에는 수용되어 있는 침(300)의 개수를 파악하여 이를 외부로 안내하여 줄 수 있는 수용 침 개수 탐지부(220)를 구비한다.
수용 침 개수 탐지부(220)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치 형태로 구비된 것으로 예시하였다.
스위치는 돌기 바 형태의 스위치로 양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여 침통(200)의 내측 앞단부에 구비되어 침통(200)에 침(300)을 밀어 넣을 때는 안쪽으로 한 번 씩 움직여 수용되는 침(300)의 개수를 파악하며 침(300)이 모두 수용된 다음 침(300)이 발사될 때에는 밖으로 밀려나오는 침(300)에 의해 바깥쪽으로 한 번 씩 움직이면서 발사되는 침(300)의 개수를 계산한다.
이와 같이 스위치 형태의 수용 침 개수 탐지부(220)를 통해 측정된 수용되는 침(300)의 개수 정보와 빠져나오는 침(300)의 개수 정보는 침통(200)과 상기 침 안착 위치부(132)에 형성된 접촉단자(230)를 통해 제어부(420)로 전송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전송된 정보를 통해 제어부(420)는 남은 침의 개수를 계산하여 이를 외부에 표시하여 준다. 상기 표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되는 개수 안내부(120)를 같이 이용하여 표시하여 줄 수 있다.
다음으로, 침(300)에 대하여 설명하면 침(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단부는 한방에서 침 시술시 사용되는 일반적인 침의 형태를 가지며 뒷단부는 몸통부(320)로서 침(300)이 침통(200)에 삽입된 후 침통(300)의 걸림부(215)에 걸릴 수 있도록 소정의 직경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몸통부(320)는 원기둥형태 또는 사각 기둥형태 등으로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는데 침이 원활하게 발사될 수 있도록 원기둥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몸통부(320)는 발사부(400)로부터 침(300)이 발사되는 외력을 받기 때문에 상기 외력에 손상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몸통부(320)에는 침(300)을 인식할 수 있는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식수단은 침에 구비된 자석, 형광물질, 바코드, 또는 단거리 무선 통신수단 등을 인식하거나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에 바코드(330)가 구비된 형태인 경우, 상기 인식수단은 침의 바코드(330)를 스캔하여 상기 스캔한 침(330)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안내부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안내부는 침 시술 장치(10)를 통해 발사되는 침(300)의 개수를 파악하여 이를 시술자에게 안내하는 장치로서 발사관(134)에 구비되어 침(300)에 부착된 바코드(330)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 형태의 침 탐지부(410), 침 탐지부(410)를 통해 인식된 침(300)의 개수를 계산하는 제어부(420), 및 제어부(420)를 통해 계산된 발사된 침(300)의 개수를 안내하는 개수 안내부(120)로 구성된다.
개수 안내부(120)는 몸체부(100)에 외측에 부착되는 LCD 패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는 발사되는 하나 이상의 침 단위를 구분하는 코드 부여수단(150) 및 코드 부여수단(150)에 의해 구분되는 침 단위를 표시하는 코드 표시부(140)를 구비한다.
코드 부여수단(150)은 침 시술 장치(10)를 이용하여 침(300)을 시술하는 시술자가 한명 이상의 환자에게 침(300)을 시술하는 경우 각각의 환자에게 시술된 침(300)의 개수를 계산하기 전에 발사되는 침(300)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하여 침에 코드를 부여하기 위한 수단이다.
코드 부여수단(150)은 버튼 형태로 구비되어 버튼을 누늘 때마다 LCD패널 형태로 몸체부(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코드 표시부(140)에 1, 2, 3, 4, 또는 A, B, C, D… 와 같은 형태로 표시되어 시술자가 환자별로 시술하는 침(300)을 구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코드 부여수단(150)의 버튼은 환자를 구분하는 버튼, 시술된 침(300)의 개수를 확인하는 버튼, 및 리셋 버튼 등으로 복수개로 구비하여 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는 하나의 버튼으로 구성한 후 버튼을 누르는 시간에 따라 다르게 작동되도록 구성하여 줄 수도 있다.
코드 부여수단(150)은 이와 같은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는 침 시술 장치(10)에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440)를 구비하여 주어 시술자가 시술하는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환자를 구분하는 정보를 송신 받아 자동으로 환자별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줄 수도 있다.
그리고 침 시술 장치(10)는 상기 안내부를 통해 인식한 발사침의 정보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는 송신부(450)를 구비하여 줄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송신부(450)를 구비하여 주면 시술자가 시술한 환자별 침의 개수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여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표시부(미도시)에 이를 표시하여 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는 침 시술 장치(10)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침 시술자가 환자별로 시술한 침의 개수를 정확히 파악하여 발침이 모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발침 오류를 막아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는 침 시술 장치(1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침 시술자는 침통(200)에 원하는 개수의 침(300)을 밀어 넣어 장착하여 준다.
그리고 침통(200)을 몸체부(100)에 형성된 장착부(130)에 삽입하여 침통(200)을 몸체부(100)에 장착하여 준다.
상기와 같이 침통(200)이 몸체부(100)에 장착되면 코드 부여수단(150)의 버튼을 눌러 환자별 구분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침별로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드 부여수단(150)의 버튼을 누르면 코드 표시부(140)에는 "A"로 표시된다. 이 때, 침 시술 장치(10)를 통하여 시술되는 침(300)에 "A"라는 코드가 부여되는 것이다.
이와 달리, 침(300) 자체에 코드가 부여된 경우, 일 예로 침(300)의 말단에 구비된 바코드(330)에 저장된 "A"라는 코드를 코드 인식수단이 스캔하여 인식하는 방식으로 현재 환자에게 부여되는 침의 고유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자별 구분 정보 또는 침별 코드가 입력되면 침 시술자는 침 시술 장치(10)를 환자의 환부에 조준하여 주고 발사 버튼부(110)를 눌러 침(300)을 발사하는 방식으로 환자의 환부에 침을 시술한다.
이와 같이 침(300)을 시술하면 개수 안내부(120)에 발사된 침의 개수가 한 개 이므로, 숫자 '1'이 표시된다. 그리고 침(300)을 연속적으로 시술하는 경우, 개수 안내부(120)에 숫자로 '2'로 표시될 것이다.
이와 같이 한 환자에게 복수 개의 침들을 시술하고 다른 위치에 있는 환자에게 침을 다시 시술하기 위해서는 의사 등의 침 시술자가 코드 부여수단(150)의 버튼을 눌러 코드를 'B'로 변경하여 환자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어서 'B' 환자에게도 상기 침(300)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연속적으로 세 번 시술하면 상기 개수 안내부(140)에는 '1', '2', '3'의 아라비아 숫자로 발사되는 침의 개수에 따라 침 시술 개수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A, B 환자에게 침을 모두 시술하고 일정시간이 흐른 후 시술된 상기 침(300)을 발침 할 때, 침 시술자는 코드 부여수단(150)의 버튼을 눌러 A로 변경하여 주면 상기 개수 안내부(140)에는 시술 침 개수인 2가 표시되고 상기 침 시술자는 이를 확인하고 시술된 침 개수인 2개를 환자로부터 발침한다.
그리고 A 환자에게 발침이 모두 이루어지면 B 환자에게 이동하여 상기 코드 부여수단(150)의 버튼을 눌러 B로 변경하여 주고 B 환자에게 시술된 침의 개수가 표시되는 개수 표시부(140)에 표시된 침의 개수인 '3'을 확인한 후 환자에게서 침 3개를 발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침 시술 장치는 침을 안전하게 시술할 수 있는 하나의 시스템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사 침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환자에게 침을 발사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로부터 발사되는 상기 침의 개수를 파악하는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에 파악한 침의 발사 개수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자동 침 시술 장치(10)와, 상기 자동 침 시술 장치(10)의 송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침의 발사 개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로 수신되는 상기 침의 발사 개수 정보를 외부에 안내하는 현황판(22)을 포함하는 알림 장치(20)로 구성되어 발사된 침의 개수를 파악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되면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알림 장치(20)를 통해 각 환자별로 시술된 침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자가 아닌 시술자의 시술을 도와주는 보조 시술자도 시술된 침의 개수를 시술자에게 별도로 확인할 필요 없이 시술된 침의 개수를 정확히 파악하여 발침할 수 있다.
그리고 알림 장치(20)에는 현황판(22)이외에 상기 수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침의 개수 정보를 음향으로 침 시술자 또는 침을 발침하는 간호사 등에게 추가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스피커(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정보의 확인 및 변경, 상기 현황판(22)에 표시되는 화면의 설정, 스피커의 제어를 위해 외부에서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포함하여 외부에서 상기 알림 장치(20)를 조작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알림 장치(20)는 상기 침 시술 장치(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휴대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는데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림 장치(20)에는 침 시술이 종료된 환자로부터 회수한 침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회수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수부는 상기 회수한 침의 개수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회수 감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수한 침의 개수 정보를 상기 알림 장치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알림 장치(20)는 발침 되는 침의 개수도 추가적으로 침 시술자 또는 발침자에게 알려주어 발침 오류를 추가적으로 막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침 시술 장치(10) 및 발사 침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침 시술자가 침을 효율적으로 시술할 수 있으며 시술된 침의 개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발침 부주의에 따른 의료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 자동 침 시술 장치 20 : 알림 장치
22 : 현황판 100: 몸체부
120: 개수 표시부 140: 코드 표시부
150: 코드 부여수단 200: 침통
215: 걸림부 300: 침
400: 발사부 410: 제어부

Claims (18)

  1. 환자에게 침을 발사하여 침을 시술하는 침 시술 장치에 있어서,
    발사되는 침의 개수를 파악하여 안내하는 발사침 안내부를 포함하는 자동 침 시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침 안내부는
    상기 발사되는 침을 탐지하는 침 탐지부;
    상기 침 탐지부를 통해 탐지된 발사침의 개수를 계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계산된 발사침의 개수를 표시하는 개수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침 시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침 안내부는
    상기 발사되는 침에 특정 코드를 부여하기 위한 코드 부여수단; 및
    상기 코드 부여수단에 의해 부여된 침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침 시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침 안내부는
    상기 발사되는 침에 특정 코드가 사전에 부여된 경우, 상기 침에 부여된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코드 인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침 시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침을 수용하며 상기 침 시술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침통을 더 포함하는 자동 침 시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침통은 상기 침통에 수용되어 있는 침의 개수를 파악하는 수용 침 개수 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침 시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침통과 상기 자동 침 시술 장치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자동 침 시술 장치는 상기 수용 침 개수 탐지부를 통해 파악한 수용 침의 개수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침 시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침 안내부를 통해 인식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침 시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시술하는 환자 데이터 또는 시술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침 시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압축공기, 가스 또는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침을 발사하는 발사부; 및
    상기 발사부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작동시킬 수 있는 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침 시술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 시술 장치를 전기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전기를 공급하며 충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침 시술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침 시술 장치에서 상기 침이 외부로 발사되는 앞단부는 상기 자동 침 시술 장치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침 시술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침 시술 장치에서 상기 침이 외부로 발사되는 앞단부에는 상기 앞단부를 보호하는 보호캡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침 시술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침 시술 장치는 상기 자동 침 시술 장치를 지지하여 잡을 수 있으며 상기 침의 발사를 제어하는 발사버튼부를 구비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침 시술 장치.
  15. 환자에게 침을 발사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로부터 발사되는 상기 침의 개수를 파악하는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에 파악한 침의 발사 개수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자동 침 시술 장치; 및
    상기 자동 침 시술 장치의 송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침의 발사 개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로 수신되는 상기 침의 발사 개수 정보를 표시하는 현황판을 포함하는 알림 장치를 포함하는 발사 침의 모니터링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장치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침의 개수 정보를 음향으로 제공하기 위한 스피커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정보의 확인 및 변경, 상기 현황판에 표시되는 화면의 설정, 스피커의 제어를 위해 외부에서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 침의 모니터링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장치는 상기 자동 침 시술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휴대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 침의 모니터링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장치에는
    침 시술이 종료된 환자로부터 회수한 침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회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수부는 상기 회수한 침의 개수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회수 감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수한 침의 개수 정보를 상기 알림 장치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 침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20076233A 2012-07-12 2012-07-12 자동 침 시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사 침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97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233A KR101397597B1 (ko) 2012-07-12 2012-07-12 자동 침 시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사 침의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233A KR101397597B1 (ko) 2012-07-12 2012-07-12 자동 침 시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사 침의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513A true KR20140010513A (ko) 2014-01-27
KR101397597B1 KR101397597B1 (ko) 2014-05-30

Family

ID=50143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233A KR101397597B1 (ko) 2012-07-12 2012-07-12 자동 침 시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사 침의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5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1773A1 (fr) * 2015-07-02 2017-01-05 Sedatelec Dispositif d'implantation comprenant un ensemble d'implants
KR20190037005A (ko) * 2017-09-28 2019-04-0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침 시술장치
CN110037919A (zh) * 2019-05-16 2019-07-23 北京积水潭医院 一种针灸拔针器
WO2023229158A1 (ko) * 2022-05-25 2023-11-30 주식회사 다나메디컬 침 시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548B1 (ko) * 2016-08-31 2018-04-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침 시술장치
KR102091380B1 (ko) 2018-12-02 2020-03-19 주식회사 라온즈 침 시술 모니터링 방법 및 침 시술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115B1 (ko) * 2002-07-18 2005-06-28 추래흥 한방용 연속 자침기
KR100553006B1 (ko) * 2005-03-09 2006-02-20 주식회사 네오닥터 자동식 자침기
KR101067672B1 (ko) * 2009-02-25 2011-09-27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침 및 전기침 치료장치
KR101201296B1 (ko) * 2009-12-11 2012-11-14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침 치료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1773A1 (fr) * 2015-07-02 2017-01-05 Sedatelec Dispositif d'implantation comprenant un ensemble d'implants
FR3038225A1 (fr) * 2015-07-02 2017-01-06 Sedatelec Dispositif d’implantation comprenant un ensemble d’implants
US10765452B2 (en) 2015-07-02 2020-09-08 Sedatelec Implantation device comprising a set of implants
KR20190037005A (ko) * 2017-09-28 2019-04-0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침 시술장치
CN110037919A (zh) * 2019-05-16 2019-07-23 北京积水潭医院 一种针灸拔针器
CN110037919B (zh) * 2019-05-16 2024-01-30 北京积水潭医院 一种针灸拔针器
WO2023229158A1 (ko) * 2022-05-25 2023-11-30 주식회사 다나메디컬 침 시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597B1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597B1 (ko) 자동 침 시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사 침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47548B1 (ko) 자동 침 시술장치
RU2631477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реконструкции влагалища
US20130023910A1 (en) Tissue-identifying surgical instrument
JP5400277B2 (ja) 内視鏡システム
KR20180040602A (ko) 환형 led 디스플레이 수단을 갖는 의료용 유지 아암
US20150342521A1 (en) Surgical apparatus and system
RU2018127758A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сшивающий инструмент с изогнутой внешней поверхностью на упоре
US10213363B2 (en) Acupuncture needles with accessories for sensing and stimulation
US20200345258A1 (en) System To Monitor Neural Integrity
KR20190049860A (ko) 기기용 원격 제어 모듈
US1124704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neuroregenerative therapy
JP2018526157A (ja) 薬剤送達装置
KR20100107443A (ko) 비침습형 의료 데이터 수집 어셈블리
CN111110345B (zh) 刺激装置适配器
KR101991448B1 (ko) 자동 침 시술장치
KR101302074B1 (ko)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
CN104306042A (zh) 组合式电动套扎注射器
US20230132294A1 (en) Endoscope system and controller
CN111757711A (zh) 带有环形颜色指示器的导管柄部
KR101433849B1 (ko) 휴대용 침 탐지장치
EP3192448A1 (en) Elasticity detection probe
US20240099632A1 (en) Nerve stimulation patterns and device for detectability of nerve function and health
JP2020141745A (ja) 生体情報収集センサおよび生体情報収集装置
KR20130140459A (ko) 발침을 위한 위치추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