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0343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0343A
KR20140010343A KR1020130082927A KR20130082927A KR20140010343A KR 20140010343 A KR20140010343 A KR 20140010343A KR 1020130082927 A KR1020130082927 A KR 1020130082927A KR 20130082927 A KR20130082927 A KR 20130082927A KR 20140010343 A KR20140010343 A KR 20140010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vailable
peer
status information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세희
마유레시 마두카 패틸
이지혜
김준형
이종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10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3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4Group managemen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4Group management mechanisms 
    • H04L67/1046Join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4Group management mechanisms 
    • H04L67/1051Group master selection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87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cross-functional networking aspects
    • H04L67/1093Some peer nodes performing special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통해 파일 전송 시 토폴리지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경험을 고려하여 토폴리지를 처리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TOPOLOG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이하, “Wi-Fi Direct”라 칭함) 기술은 모바일 기기 간 직접 연결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기술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Wi-Fi Direct 기술은 TV, 노트북, 프린터, 카메라와 같은 휴대 기기 및 모바일 단말 등에 탑재하여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이하, “AP”라 칭함) 또는 라우터와 같은 별도의 장비 없이도 단말 간 직접 통신을 통하여 기기간 컨텐츠 및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Wi-Fi Direct는 Wi-Fi P2P(Peer to Peer)와 혼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직접 무선 연결 기술로 널리 쓰이고 있는 블루투스가 있지만, Wi-Fi Direct 기술은 블루투스에 비해 기기간 연결이 가능하고, 대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Wi-Fi가 이동 후 해당 지역에 설치된 AP를 검색해 접속함으로써, 이동성이 떨어지는 것과 달리, Wi-Fi Direct는 기기간 연결 유지가 가능해 기존 Wi-Fi의 단점으로 지적되었던 이동성 문제점도 일부 해결될 수 있다.
Wi-Fi P2P 그룹 내부에서 기존의 인프라 스트럭처(infra-structure) 망에서 AP의 역할을 담당하는 장치가 존재하는데, 이를 그룹 오너(Group Owner, 이하, “GO”라 칭함)라고 칭한다. 1개의 그룹 내에서 GO는 오직 1대만 존재 가능하며, 나머지 장치는 모두 클라이언트 장치가 된다.
Wi-Fi Direct에서 연결 요청한 디바이스는 연결할 단말 및 서비스를 찾기 위해 Pre-association 단계에서 디바이스 발견 및 서비스 발견 단계를 수행한다. 발견된 디바이스/서비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연결 요청한 디바이스는 선택된 디바이스/서비스에 연결 요청을 하게 되는데 이때 연결 요청을 받은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제약, 동작 상태, 또는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따라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에러가 발생한 경우, 연결 요청한 디바이스는 에러 없이 연결될 때까지 주기적으로 요청해야 하며 이로 인해 많은 시그널링과 불필요한 전력 소모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파일을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단말이 파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검색된 상대 단말로 주기적으로 파일 전송 시, 에러를 줄이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미 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타 디바이스와 P2P 그룹을 형성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폴리지 처리 방법은,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와 P2P(peer to peer) 그룹을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초대 요청(invitation request)을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초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대기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대기 메시지에 포함된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상기 P2P 그룹의 형성을 위한 협상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데 사용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폴리지 처리 방법은, 제1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와 P2P(peer to peer) 그룹을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에 있어서, 모든 디바이스로 오픈 서비스 요청(open service request)을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모든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로부터 오픈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와 상기 P2P 그룹의 형성을 위한 협상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데 사용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폴리지 처리 장치는,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와 P2P(peer to peer) 그룹을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초대 요청(invitation request)을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초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대기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대기 메시지에 포함된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상기 P2P 그룹의 형성을 위한 협상 절차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폴리지 처리 장치는, 제1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와 P2P(peer to peer) 그룹을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장치에 있어서, 모든 디바이스로 오픈 서비스 요청(open service request)을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모든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로부터 오픈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와 상기 P2P 그룹의 형성을 위한 협상 절차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데 사용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폴리지 처리 방법은, 제 제2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와 P2P(peer to peer) 그룹을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초대 요청(invitation request)을 수신하는 과정;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 상태 정보를 포함한 대기 메시지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P2P 그룹의 형성을 위한 협상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폴리지 처리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와 P2P(peer to peer) 그룹을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오픈 서비스 요청(open service request)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 상태 정보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P2P 그룹의 형성을 위한 협상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폴리지 처리 장치는, 제2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와 P2P(peer to peer) 그룹을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초대 요청(invitation request)을 수신하는 수신부;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 상태 정보를 포함한 대기 메시지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P2P 그룹의 형성을 위한 협상 절차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폴리지 처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와 P2P(peer to peer) 그룹을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오픈 서비스 요청(open service request)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 상태 정보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P2P 그룹의 형성을 위한 협상 절차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파일을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검색된 상대 단말로 주기적으로 파일 전송 시, 에러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미 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타 디바이스와 효율적으로 P2P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어 디바이스들 중의 하나가 기존 그룹에 참여하고 있을 때에, 새로운 그룹을 형성하고자 하는 두 개의 피어 디바이스들 간의 디바이스 연결을 위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Wi-Fi Direct 연결이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 및 도 7은 수신기가 복수 개일 경우, 특정 수신기와 P2P 그룹을 형성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와 수신기의 토폴리지 흐름도;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와 수신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Wi-Fi Direct 연결이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송신기(Sender) 및 서비스 탐색자(Service Seeker)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Wi-Fi 단말인 송신 단말(110)와, 수신기 및 서비스 광고자(Service Advertiser)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Wi-Fi 단말인 수신 단말(12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은 설명을 위하여 편의상 명명된 것이다. 수신 단말(120)은 하나 혹은 다수의 Wi-Fi 단말들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단말(110) 및 수신 단말(120)은 Wi-Fi 모듈이 내장된 전자기기로서,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스마트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재생 플레이어, 디스플레이 장치, 휴대게임기, 프린터, 카메라 등 다양한 전자기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송신 및 수신 단말(110,120)은 텔레비전(Television: TV), LFD(Large Format Display), DS(Digital Signage), 미디어 폴(media pole), 퍼스널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 프린터, 및 복합기 등의 중대형 단말에 포함되어 운용될 수 있다.
Wi-Fi 기반의 시스템은 송신 단말(110)과 수신단말(120) 간에 Wi-Fi Direct 기능을 지원하고, 다이렉트 접속(Direct Access: DA) 모드로 상호 간에 Wi-Fi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즉, 도 1은 Wi-Fi Direct 방식을 통해 Wi-Fi 단말들(110, 120) 간에 연결이 설정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근거리에 위치한 Wi-Fi 단말들(110, 120)은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하지 않고, 내장된(혹은 주변장치로서 접속된) Wi-Fi 모듈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상호간에 Wi-Fi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Wi-Fi 단말들(110, 120)은 자신들이 지원하는 기능에 대한 지원 정보를 상호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단말(100)에서 사용자가 Wi-Fi 서비스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시 송신 단말(110)은 수신 단말(200)에서 전달된 지원 정보를 식별한다. 그리고 송신 단말(110)은 상기 지원 정보를 참조하여 소정 선별 조건에 따라, 일 예로서 송신 단말(100)과 동일한 제조사의 수신 단말(들)을 우선적으로 선별할 수 있다. 다수의 수신 단말들이 우선적으로 선별된 경우, 선별된 수신 단말들 중 송신 단말(11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Wi-Fi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단말이 2차적으로 선별될 수 있다. 2차적으로 다수의 수신 단말들이 선별된 경우, 선별된 수신 단말들의 신호 품질 정보, 일 예로서 수신 신호 세기 등에 따라 Wi-Fi 서비스를 위한 최적의 수신 단말이 결정될 수 있다. 송신 단말(110)은 최종적으로 결정된 수신 단말(120)에게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여, 그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수신 단말(120)에게 지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Wi-Fi 단말들(110, 120) 간에 Wi-Fi Direct 방식으로 상호 연결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Wi-Fi 단말들(110, 120)이 반드시 Wi-Fi Direct에 의해 연결되는 경우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즉,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Wi-Fi 단말들(110, 120)이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이용하는 경우와, AP를 통하여 상호간에 연결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토폴로지는 멀티 디바이스들간 연결들의 배열 및 연관성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특히, 와이파이 다이렉트에서 토폴로지는 그룹 오너들 또는 동일 그룹의 그룹 맴버들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토폴리지 디바이스들은 IP를 통해, 또는 다이렉트로(directly), 또는 GO를 통해 통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수신기가 P2P 클라이언트일 경우의 실시 예이고, 송신기는 하나의 수신기와 파일을 공유하고자 한다. 이때, 수신기(272)와 GO(274)는 동일한 그룹에 속해 있고, 이미 연결 중임을 가정한다. 즉, 수신기(272)와 GO(274)는 이미 기존의 P2P 그룹을 형성하고 있고, 송신기(260)는 수신기(272)와 연결을 원한다고 가정한다. 도 2의 전송기(260)측에 기재된 user는 전송기(260)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의미하고, 수신기(272)와 GO(274)측에 기재된 user는 다비이스를 의미한다.
송신기(260)는 송신 단말(100)을 의미하는 것으로, 201 단계에서 초청 메시지를 수신 단말(120)을 의미하는 수신기(272)로 전송한다. 이때, 수신기(272)는 P2P 클라이언트이고, P2P 세션이 존재하고, 파일을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가정한다. 그리고, 201 단계에서 초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이전에, 송신기(26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프로비젼 디스커버리 요청(Provision Discovery Request) 메시지를 수신기(272)로 전송하고, 수신기(272)는 프로비젼 디스커버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기(260)를 전송한다(디스커버리 과정).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고자 하는 수신기를 결정한다.
그리고, 201 단계에서 초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이전에, 송신기(260)는 전송할 파일을 선택하고, 스캔 과정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201 단계 이후, 수신기(272)는 203 단계에서 대기(wait) 메시지를 송신기(260)로 전송한다. 상기 대기 메시지 뿐만 아니라, 이하에서 기재될 대기 메시지는 상기 수신기(272)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서비스 상태 정보(이하 “상태 정보”라 칭함)를 포함한다. 즉, 상태 정보에는 수신기의 연결 용량(connection capability)이 반영된다. 예컨대, 상기 수신기(272)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할 경우, 상태 정보는 “Available”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기(272)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불가능할 경우, 상태 정보는 “Unavailable”로 설정한다.
송신기(260)는 대기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에게 이를 통지한다. 소정 시간 이후, 수신기(272)는 205 단계에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한 시작(start) 메시지를 송신기(260)로 전송한다. 상기 메타 데이터는 파일을 받고자 하는 대상에 대한 확인(confirm)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면, 송신기(260)는 수신기(272)가 상태 정보를 근거로 하여 파일 전송과 같은 특정 서비스를 지원하는 지를 판단하고, success 메시지를 수신기(272)로 전송한다.
송신기(260)는 209 단계에서 수신기(272)에 대한 그룹(270) 형성을 수행하고(Group Formation),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그룹 내의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며, Association를 통해 수신기(272)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송신기(260)는 211 단계 및 212 단계를 통해 전송 서비스 세션을 수신기(272)와 설정하고, 215 단계에서 상기 파일 전송 서비스 세션을 통해 상기 파일을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수신기가 GO인 경우의 실시 예이고, 송신기는 특정 피어 디바이스로 파일을 전송하고자 한다. 피어 디바이스는 이미 존재하는 그룹의 P2P 클라이언트가 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370)와 GO(374)는 동일한 그룹에 속해 있고, 이미 연결 중임을 가정한다. 즉, 수신기(372)와 GO(374)는 이미 기존의 P2P 그룹을 형성하고 있고, 송신기(260)는 수신기(372)와 연결을 원한다고 가정한다. 도 3 및 도 4의 전송기(260)측에 기재된 user는 전송기(260)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의미하고, 수신기(372)와 GO(374)측에 기재된 user는 다비이스를 의미한다.
송신기(260)는 송신 단말(100)을 의미하는 것으로, 301 단계에서 초청 메시지를 수신 단말(120)을 의미하는 수신기(370)로 전송한다. 이때, 수신기(272)는 GO이고, P2P 세션이 존재하고, 파일을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가정한다. 도 2의 201 단계 내지 215 단계와 도 3의 301 단계 내지 315 단계는 수신기의 대상이 다를 뿐, 그 동작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수신기(372)와 GO(374)는 동일한 그룹에 속해 있고, 이미 연결 중임을 가정한다.
도 3의 303 단계에서 수신기(372)는 대기(wait) 메시지를 송신기(260)으로 전송한 이후, 메타 데이터를 포함한 시작(start) 메시지를 송신기(260)로 전송한다. 이때 메타 데이터는 파일을 받고자 하는 대상에 대한 확인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4의 403 단계에서 수신기(372)는 참여(joint) 메시지를 송신기(260)로 전송한 이후, 송신기(260)이 405 단계에서 참여 그룹 메시지를 수신기(372)로 전송한다. 나머지 과정은 도 3과 동일하다. 다시 말해서, 도 2 및 도 3은 이미 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수신기(272, 372)는 기존 그룹(270, 370)을 해제하고, 전송기(260)와 새로운 그룹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 4는 이미 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수신기(372)와 GO(374)는 기존 그룹을 해제하지 않고, 전송기(260)를 기존 그룹(370)에 참여시키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는 수신기가 복수 개가 존재할 경우이고, 소정의 수신기는 이미 그룹의 속해 있음을 가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는 피어 디바이스는 동시 발생 모드 P2P 세션을 지원할 수 있음을 가정한다.
송신기(260)는 501 단계에서 수신기(560)와 P2P 그룹을 형성하고, 503 단계에서 수신기(572)로 초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수신기(572)는 P2P 클라이언트이다. 501 단계 이후, 수신기(572)는 505 단계에서 대기(wait) 메시지를 송신기(260)로 전송한다.
송신기(260)는 대기 메시지를 수신하면, 507 단계에서 수신기(560)에 대한 그룹 형성을 수행한다. 수신기(572)는 509 단계에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한 참여 메시지를 송신기(260)로 전송한다. 상기 메타 데이터는 파일을 받고자 하는 대상에 대한 확인 정보를 포함한다. 송신기(260)는 511 단계에서 상기 참여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려는 success 메시지를 수신기(572)로 전송한다. 이후, 송신기(260)와 수신기(572)는 513 단계에서 그룹을 형성한다.
도 6은 수신기가 복수 개일 경우, 특정 수신기와 P2P 그룹을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이를 위해 송신기(260)는 오픈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각 수신기(660, 662, 664)로 전송한다. 그러면, 각 수신기(660, 662, 664) 중 관심 있는 수신기(660, 662)만이 P2P 그룹 세션에 참여할 수 있고, 관심 있는 수신기(660, 662)만이 전송기로 오픈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사용자가 모든 사용자들에게 오픈 서비스 요청(open service request)을 보낸다. 모든 사용자들 중 관심 있는(interested) 임의의 타 사용자는 타 p2p 그룹에 참여하길 원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오픈 서비스 요청의 필요성이 있다. 여기서 오픈 서비스 요청이란, 요청의 대상인 ‘피요청자(requestee)’가 특정되지 않은 서비스 요청을 의미한다. 즉, 오픈 서비스 요청이란, 디바이스가 미래에 자신과 p2p 그룹을 형성하여 자신의 클라이언트가 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들에게 보내는 서비스 요청이다. 오픈 서비스 요청은 개방형 서비스 요청이라고 지칭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오픈 서비스 요청의 예로는, 오픈 초대 요청(open invitation request)이 있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송신기(260)는 복수의 수신기(660, 662, 664)로 오픈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복수의 수신기 중 송신기가 전송할 서비스에 관심있는 수신기(660, 662)는 오픈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기로 전송한다. 상기 오픈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에는 전술한 상태 정보가 포함된다.
그러면, 송신기는 복수의 수신기 중 송신기가 전송할 서비스에 관심있는 임의의 디바이스를 발견하고, 이를 선택한다. 이후, 송신기는 선택된 디바이스(수신기)와 P2P 그룹을 형성한다.
한편, 수신기는 송신기로부터 오픈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송신기가 전송할 서비스에 관심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는 상태 정보에 반영한다. 상기 오픈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에는 전술한 상태 정보가 포함된다. 즉, 상태 정보에는 수신기의 연결 용량(connection capability)이 반영된다. 예컨대, 상기 수신기(272)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할 경우, 상태 정보는 “Available”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기(272)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불가능할 경우, 상태 정보는 “Unavailable”로 설정한다.
도 7은 수신기가 복수 개일 경우, 특정 수신기와 P2P 그룹을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특히 도 7은 특정 수신기(762)가 GO인 경우이다. 이를 위해 송신기(260)는 오픈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각 수신기(760, 762, 764)로 전송한다. 그러면, 각 수신기 중 관심 있는 수신기(760, 764)는 P2P 그룹 세션에 참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송신기는 801 단계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결정하고, 803 단계에서 스캔 및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해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한 상대 단말, 즉 수신기를 검색한다. 송신기는 검색 결과, 805 단계에서 파일을 전송할 디바이스를 결정한다.
송신기는 807 단계에서 상기 결정된 디바이스 중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관심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그러면, 송신기는 809 단계에서 토폴리지 룰(또는 Connection Capabilities)에 의해 파일을 전송할 디바이스를 결정한다. 이때, 토폴리지 룰은 구성된 정책, 현재 디바이스 상태, 서비스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결정된다. 토폴리지 룰(또는 Connection Capabilities)는 하기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서 PD(Provision Discovery) Requestor는 송신기를 의미할 수 있고, PD Responder는 수신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PD Requestor가 “New”인 경우 및 PD Responder가 “New”인 경우는 PD Requestor와 PD Responder간 GO 협상한다. PD Requestor가 “Client”인 경우 및 PD Responder가 “New”인 경우는 PD Requestor는 P2P GO가 됨으로써, 자동적으로 P2P 그룹을 시작한다. PD Requestor가 “GO”인 경우 및 PD Responder가 “New”인 경우는 PD Responder는 PD Requestor의 그룹에 참여하게 된다.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PD Requestor가 “New”인 경우 및 PD Responder가 “Client”인 경우, PD Requestor는 P2P GO가 됨으로써, 자동적으로 P2P 그룹을 시작한다. PD Requestor가 “Client”인 경우 및 PD Responder가 “Client”인 경우, PD Requestor와 PD Responder간 GO 협상을 실패한다. PD Requestor가 “GO”인 경우 및 PD Responder가 “Client”인 경우, PD Responder는 PD Requestor의 그룹에 참여하게 된다.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PD Requestor가 “New”인 경우 및 PD Responder가 “GO”인 경우, PD Requestor는 PD Responder의 그룹에 참여하게 된다. PD Requestor가 “Client”인 경우 및 PD Responder가 “GO”인 경우, PD Responder는 PD Requestor의 그룹에 참여하게 된다. PD Requestor가 “GO”인 경우 및 PD Responder가 “GO”인 경우, PD Requestor와 PD Responder간 GO 협상을 실패한다.
상기 809 단계의 동작은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송신기는 811 단계에서 상기 결정된 및/또는 선택된 디바이스로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
송신기는 상기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송신기는 수신기들로부터 서비스 확인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
만약, 송신기는 813 단계에서 수신기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 및/또는 서비스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였는가를 판단한다.
만약, 수신한 경우, 송신기는 815 단계에서 GO를 형성하고, 상기 수신기와 파일 전송 서비스 세션을 연결하고, 817 단계에서 상기 수신기로 파일 전송 서비스 세션을 통해 파일을 전송한다. 815 단계 이전에, 송신기는 도 2, 도 3의 대기(wait) 메시지 또는 도 4의 참여 메시지를 수신하고, 대기 메시지 또는 참여 메시지는 상기 수신기(272)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상태 정보에는 수신기의 연결 용량(connection capability)이 반영된다. 예컨대, 상기 수신기(272)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할 경우, 상태 정보는 “Available”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기(272)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불가능할 경우, 상태 정보는 “Unavailable”로 설정한다.
추가 가능한 실시 예로써, 만약, 813 단계에서 상기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 및/또는 서비스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송신기는 수신기 연결 용량 정보를 복원하고, 자신의 용량 및 수신된 용량을 근거로 토폴로지를 도출할 수 있다. 추가 가능한 실시 예로써, 만약 813 단계에서 상기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 및/또는 서비스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송신기는 새로운 그룹이 시작되거나, 수신기 그룹에 참여하거나, 송신기 그룹에 참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수신기는 901 단계에서 스캔하고, 프로비젼 디스커버리 요청 메시지(또는 인커밍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수신기는 프로비젼 디스커버리 요청 메시지(또는 인커밍(incoming)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기의 사용자에게 인커밍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통지하고, 사용자의 확인을 요청한다. 수신기는 905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락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이는 905 단계는 다른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을 받는 단계이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수락되지 않으면, 수신기는 수락될 때까지 대기한다. 그러나, 사용자로부터 수락될 경우, 수신기는 907 단계에서 전술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909 단계에서 상태 정보와 함께 디스커버리 요청 메시지(또는 인커밍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기로 전송한다. 이후, 수신기는 송신기로부터 최종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였는가를 판단한다. 만약, 최종 응답 메시지를 송신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기는 913 단계에서 그룹을 형성하고, 파일 전송 서비스 세션을 연결하고, 915 단계에서 파일 전송 서비스 세션을 통해 파일을 수신한다.
그러나, 최종 응답 메시지를 송신기로부터 수신하지 않은 경우, 수신기는 최종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909 단계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와 수신기의 토폴리지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송신기 용량이 “New”인 경우 및 수신기 용량이 “New”인 경우는 송신기는 수신기와 GO 협상한다.
송신기 용량이 “New”인 경우 및 수신기 용량이 “Client”인 경우는 송신기는 수신기의 그룹에 참여하게 된다.
송신기 용량이 “New”인 경우 및 수신기 용량이 “GO”인 경우는 송신기는 수신기의 그룹에 참여하게 된다.
송신기 용량이 “Client”인 경우 및 수신기 용량이 “New”인 경우는 송신기는 P2P GO가 됨으로써, 자동적으로 P2P 그룹을 시작한다.
송신기 용량이 “Client”인 경우 및 수신기 용량이 “GO”인 경우는 송신기는 수신기의 그룹에 참여하게 된다.
송신기 용량이 “GO”인 경우 및 수신기 용량이 “New”인 경우는 수신기는 자율적으로 송신기의 그룹에 참여하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수신기 용량이 “New”인 경우 및 송신기 용량이 “Client”인 경우는 수신기는 자율적으로 그룹에 참여하게 된다.
수신기 용량이 “New”인 경우 및 송신기 용량이 “GO”인 경우는 수신기는 송신기의 그룹에 참여하게 된다.
수신기 용량이 “Client”인 경우 및 전송기 용량이 “GO”인 경우는 수신기는 송신기의 그룹에 참여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와 수신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송신기는, 수신기와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을 이용하여 송신기가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을 수신기로 전달한다.
송신기의 수신부(1214)는 수신기로부터 수신기의 사용자가 파일 전송을 수락하는지 혹은 거부하는지에 대한 확인(confirm) 정보 및/또는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송신기의 제어부(1216)은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확인 정보 및/또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기와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계속하여 진행할 것인지 혹은 중단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수신기의 수신부(1224)는 송신기로부터, 송신기가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을 수신한다. 수신기의 송신부(1222)는 제어부(1226)의 제어하에, 수신기의 사용자가 파일 전송을 수락할 것인지 혹은 거부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확인 정보를 송신기에게 송신한다. 수신기의 제어부(1226)은 송신기로부터 수신한 초청 메시지를 기초하여 송신기로부터의 파일 전송 서비스를 수락할 것인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고, 그 결과에 따라 확인 정보 및/또는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부(1222)로 제공한다.
수신기의 제어부(1226)은 상기 확인 정보 및/또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기와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의 설정을 계속하여 진행할 것인지 혹은 중단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폴리지 처리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토폴리지 처리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Claims (48)

  1.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와 P2P(peer to peer) 그룹을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초대 요청(invitation request)을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초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대기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대기 메시지에 포함된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상기 P2P 그룹의 형성을 위한 협상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데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로지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가 “Available”일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가 “Unavailable”일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불가능함을 지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기존의 타 P2P 그룹에 참여 중인 디바이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타 P2P 그룹의 그룹 소유자 및 상기 타 P2P 그룹의 클라이언트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상 절차는, 그룹 소유자 협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방법.
  7. 제1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와 P2P(peer to peer) 그룹을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에 있어서,
    모든 디바이스로 오픈 서비스 요청(open service request)을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모든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로부터 오픈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와 상기 P2P 그룹의 형성을 위한 협상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데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로지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가 “Available”일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가 “Unavailable”일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불가능함을 지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는 기존의 타 P2P 그룹에 참여 중인 디바이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는 상기 타 P2P 그룹의 그룹 소유자 및 상기 타 P2P 그룹의 클라이언트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협상 절차는, 그룹 소유자 협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방법.
  13.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와 P2P(peer to peer) 그룹을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초대 요청(invitation request)을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초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대기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대기 메시지에 포함된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상기 P2P 그룹의 형성을 위한 협상 절차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데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로지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가 “Available”일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가 “Unavailable”일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불가능함을 지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기존의 타 P2P 그룹에 참여 중인 디바이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타 P2P 그룹의 그룹 소유자 및 상기 타 P2P 그룹의 클라이언트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협상 절차는, 그룹 소유자 협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장치.
  19. 제1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와 P2P(peer to peer) 그룹을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장치에 있어서,
    모든 디바이스로 오픈 서비스 요청(open service request)을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모든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로부터 오픈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와 상기 P2P 그룹의 형성을 위한 협상 절차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데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로지 처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가 “Available”일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가 “Unavailable”일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불가능함을 지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는 기존의 타 P2P 그룹에 참여 중인 디바이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는 상기 타 P2P 그룹의 그룹 소유자 및 상기 타 P2P 그룹의 클라이언트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협상 절차는, 그룹 소유자 협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장치.
  25. 제2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와 P2P(peer to peer) 그룹을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초대 요청(invitation request)을 수신하는 과정;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 상태 정보를 포함한 대기 메시지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P2P 그룹의 형성을 위한 협상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로지 처리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가 “Available”일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함을 지시하는 토폴리지 처리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가 “Unavailable”일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불가능함을 지시하는 토폴리지 처리 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기존의 타 P2P 그룹에 참여 중인 디바이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타 P2P 그룹의 그룹 소유자 및 상기 타 P2P 그룹의 클라이언트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방법.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협상 절차는, 그룹 소유자 협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방법.
  31.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와 P2P(peer to peer) 그룹을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오픈 서비스 요청(open service request)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 상태 정보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P2P 그룹의 형성을 위한 협상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로지 처리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가 “Available”일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함을 지시하는 토폴리지 처리 방법.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가 “Unavailable”일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불가능함을 지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방법.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는 기존의 타 P2P 그룹에 참여 중인 디바이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는 상기 타 P2P 그룹의 그룹 소유자 및 상기 타 P2P 그룹의 클라이언트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방법.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협상 절차는, 그룹 소유자 협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방법.
  37. 제2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와 P2P(peer to peer) 그룹을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초대 요청(invitation request)을 수신하는 수신부;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 상태 정보를 포함한 대기 메시지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P2P 그룹의 형성을 위한 협상 절차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로지 처리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가 “Available”일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장치.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가 “Unavailable”일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불가능함을 지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장치.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기존의 타 P2P 그룹에 참여 중인 디바이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타 P2P 그룹의 그룹 소유자 및 상기 타 P2P 그룹의 클라이언트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장치.
  42.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협상 절차는, 그룹 소유자 협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장치.
  43.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와 P2P(peer to peer) 그룹을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오픈 서비스 요청(open service request)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 상태 정보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P2P 그룹의 형성을 위한 협상 절차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로지 처리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가 “Available”일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함을 지시하는 토폴리지 처리 장치.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가 “Unavailable”일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 불가능함을 지시하는 토폴리지 처리 장치.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는 기존의 타 P2P 그룹에 참여 중인 디바이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는 상기 타 P2P 그룹의 그룹 소유자 및 상기 타 P2P 그룹의 클라이언트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장치.
  48.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협상 절차는, 그룹 소유자 협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폴리지 처리 장치.
KR1020130082927A 2012-07-16 2013-07-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400103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72039P 2012-07-16 2012-07-16
US61/672,039 2012-07-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343A true KR20140010343A (ko) 2014-01-24

Family

ID=49913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927A KR20140010343A (ko) 2012-07-16 2013-07-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016507A1 (ko)
EP (1) EP2873290A4 (ko)
JP (1) JP2015528249A (ko)
KR (1) KR20140010343A (ko)
CN (1) CN104429155A (ko)
IN (1) IN2015DN01048A (ko)
WO (1) WO201401424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9200B2 (en) 2014-11-28 2019-12-03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979900B2 (en) 2015-03-17 2021-04-13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8268A (ko) * 2012-07-11 2014-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및 p2p 그룹 형성 기법
EP2696643B1 (en) 2012-08-08 2020-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connecting service, according to user intention
CA2890323C (en) * 2012-11-05 2018-12-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arching for or advertising service in direct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US9992513B2 (en) 2012-12-21 2018-06-05 Sony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efficient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encoded information
US9924552B2 (en) * 2013-01-03 2018-03-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929720A (zh) * 2013-01-16 2014-07-1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信息推送的方法、系统及信息发送端
JP6093026B2 (ja) * 2013-03-12 2017-03-0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ダイレクト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p2pグループ形成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JP2014203201A (ja) * 2013-04-03 2014-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9571441B2 (en) * 2014-05-19 2017-02-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eer-based device set actions
WO2015190940A1 (en) * 2014-06-12 2015-12-17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creation of talkgroups based on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US9491148B2 (en) * 2014-07-18 2016-11-08 Facebook, Inc. Establishing a direct connection between two devices
CN105429767B (zh) * 2015-10-20 2019-03-29 北京小鸟听听科技有限公司 音频组的建组方法、建组系统及设备
JP2018044931A (ja) * 2016-09-16 2018-03-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電子時計、時刻変更方法、時刻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GB2555112A (en) * 2016-10-18 2018-04-25 Boldmind Ltd Data distribution network
KR102655626B1 (ko) * 2017-02-28 2024-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채널 설정방법
CN115802516A (zh) * 2021-09-10 2023-03-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Wi-Fi直连通信方法及装置
CN114727429B (zh) * 2022-03-22 2023-11-14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通信方法、通讯组、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0481B2 (en) * 2008-03-24 2012-05-01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discovering services provided in a wireless network
US9420631B2 (en) * 2009-10-02 2016-08-16 Qualcomm Incorporated WLAN peer-to-peer group owner negotiation
KR101598886B1 (ko) * 2009-10-13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랜을 이용한 피어투피어 연결 방법 및 장치
US9900759B2 (en) * 2009-11-04 2018-02-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er disco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X2012005628A (es) * 2009-11-17 2012-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odo y dispositivo de investigacion de servicio de visualizacion de fidelidad inalambrica en red directa de fidelidad inalambrica.
JP5440123B2 (ja) * 2009-11-24 2014-03-12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559340B2 (en) * 2009-12-22 2013-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discovery in Wi-Fi direct network
JP5304668B2 (ja) * 2010-01-22 2013-10-02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プログラ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5510000B2 (ja) * 2010-03-31 2014-06-04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送信装置、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送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509105B2 (en) * 2010-06-23 2013-08-1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network coordination
JP5671879B2 (ja) * 2010-08-24 2015-02-18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プログラ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742985B1 (ko) * 2010-11-02 2017-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에서 그룹 오너 결정 방법 및 그 디바이스
WO2012060611A2 (ko) * 2010-11-03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치 탐색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통신 장치
US9294545B2 (en) * 2010-12-16 2016-03-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ast join of peer to peer group with power saving mode
CN103270792B (zh) * 2010-12-24 2018-03-30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wi‑fi直连通信方案中保护内容的方法和设备
US8634771B2 (en) * 2011-06-15 2014-01-21 Microsoft Corporation Simple peer-to-peer network formation
EP2795993A4 (en) * 2011-12-20 2015-12-16 Intel Corp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 FOR PRODUCING WIRELESS PEER TO PEER (P2P) CONNECTIONS BETWEEN DEVICES
US8953490B2 (en) * 2012-03-02 2015-02-10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facilitating Wi-Fi peer-to-peer (P2P) wireless networking
US9060329B2 (en) * 2012-06-06 2015-06-16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facilitating communication for different types of wireless network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9200B2 (en) 2014-11-28 2019-12-03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979900B2 (en) 2015-03-17 2021-04-13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14245A1 (en) 2014-01-23
EP2873290A4 (en) 2016-04-13
US20140016507A1 (en) 2014-01-16
EP2873290A1 (en) 2015-05-20
JP2015528249A (ja) 2015-09-24
CN104429155A (zh) 2015-03-18
IN2015DN01048A (ko) 2015-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034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토폴리지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863564B1 (ko)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설정 시 그룹 오너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U2013356802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ssion initial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98008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KR10161132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전환 방법 및 장치
US9830619B2 (en) Method for searching for or advertising service in direct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US76568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bluetooth for WLAN service authentication and discovery
US96419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2P group for Wi-Fi direct service
US20140091987A1 (en)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method
RU2656733C2 (ru)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службы отображения по wi-fi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того
US20090157799A1 (en) Method for sharing service identity among multiple client devices in a real-time communications network
US20150334749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2400856B1 (ko) 통신장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WO2014084519A1 (ko) 와이파이 다이렉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통신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563416B2 (ja) 近接ベースのピアツーピアモバイルコンピューティング用のアプリケーションのユーザエクスペリエンスを向上させ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4390491A (zh) 一种组网方法、装置和系统
EP2856728B1 (en) A method, a server and a computer program for local discovery
KR20190077221A (ko) 통신장치, 제어방법, 기억매체 및 프로그램
US9451392B2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ling method for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70006204A (ko)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US20180317272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998614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1066014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wireless connections
JP2020088712A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076473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