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8612A -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8612A
KR20140008612A KR1020120074731A KR20120074731A KR20140008612A KR 20140008612 A KR20140008612 A KR 20140008612A KR 1020120074731 A KR1020120074731 A KR 1020120074731A KR 20120074731 A KR20120074731 A KR 20120074731A KR 20140008612 A KR20140008612 A KR 20140008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isplay module
module
touch window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3345B1 (ko
Inventor
조승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20074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345B1/ko
Publication of KR20140008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 윈도우 모듈; 터치 윈도우 모듈의 일 방향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터치 윈도우 모듈의 일면이 노출되도록 터치 윈도우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감싸되 터치 윈도우 모듈과는 비접착 관계를 갖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윈도우 모듈을 케이스에 부착하는 구조가 아니라 터치 윈도우 모듈을 직접 디스플레이 모듈에 부착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종래에 비해 케이스의 테두리 부분 즉 베젤의 폭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면이 증가하더라도 베젤의 폭 감소로 인해 기기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하거나 오히려 줄일 수도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휴대용 단말기가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윈도우 모듈을 케이스에 부착하는 구조가 아니라 터치 윈도우 모듈을 직접 디스플레이 모듈에 부착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종래에 비해 케이스의 테두리 부분 즉 베젤의 폭을 줄일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가 개시된다.
최근 들어, 과학 및 정보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PDA, 넷북, 노트북,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 등의 각종 휴대용 단말기가 점차 소형화, 다기능화되어 가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 중 스마트폰에 있어서는, 터치 윈도우의 면은 점점 커지는 추세에 있고, 터치 윈도우를 사면에서 감싸는 프레임의 폭, 즉 베젤 부분은 점점 축소되고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의 두께 역시 줄이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 중 스마트폰을 예로 들어 그 구성을 설명하면, 일반적인 스마트폰은, 예를 들면 정전용량 방식에 의해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윈도우 모듈과, 그 하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터치 윈도우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부 및 하부를 감싸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는, 터치 윈도우 패널의 하면의 테두리 영역이 접착 테이프에 의해 케이스에 접착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케이스가 소정 폭을 가져야 하였으며, 이로 인해 화면의 액티브 영역으로부터 케이스의 외곽까지의 거리를 가리키는 베젤의 폭이 커지는 한계가 있다. 이는 소정 크기, 예를 들면 3인치대의 화면 크기를 갖는 기기의 사용에서는 별 영향이 없었으나, 최근 들어 화면 장치의 대형화로 인해 기기의 폭이 증가되면서 사용자의 그립감 저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 윈도우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사이에 쿠션이 개재되는데, 이러한 쿠션과 전술한 접착 테이프는 병렬 배치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접착 테이프 및 쿠션의 부착 공차를 감안한 거리 유지로 인해 유실 폭이 발생될 수 있고 이에 베젤 폭이 비효율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터치 윈도우 모듈을 케이스에 부착하는 구조가 아니라 터치 윈도우 모듈을 직접 디스플레이 모듈에 부착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종래에 비해 케이스의 테두리 부분 즉 베젤의 폭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면이 증가하더라도 베젤의 폭 감소로 인해 기기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하거나 오히려 줄일 수도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터치 윈도우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1 접착부, 예를 들면 OCA 필름 또는 양면 테이프에 의해 부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아울러 터치 윈도우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사이로 이물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 윈도우 모듈; 상기 터치 윈도우 모듈의 일 방향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터치 윈도우 모듈의 일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터치 윈도우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감싸되 상기 터치 윈도우 모듈과는 비접착 관계를 갖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터치 윈도우 모듈을 케이스에 부착하는 구조가 아니라 터치 윈도우 모듈을 직접 디스플레이 모듈에 부착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종래에 비해 케이스의 테두리 부분 즉 베젤의 폭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면이 증가하더라도 베젤의 폭 감소로 인해 기기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하거나 오히려 줄일 수도 있다.
상기 터치 윈도우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적어도 일부 영역에 개재되어 상기 터치 윈도우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접착하는 제1 접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1 접착부와의 접착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상기 제1 접착부는 OCA 필름(Optical Clear Adhesive) 또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터치 윈도우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형상에 대응되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 또는 상기 터치 윈도우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는 사각 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 미들 케이스; 및 백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상기 미들 케이스의 일부분이 인입되도록 상기 프론트 케이스 및 상기 미들 케이스는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 및 상기 미들 케이스는 인서트(insert)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 적어도 일부 영역에 개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케이스를 접착하는 제2 접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중 상기 제2 접착부가 개재되는 영역이 상기 제2 접착부의 두께에 대응되게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윈도우 모듈을 케이스에 부착하는 구조가 아니라 터치 윈도우 모듈을 직접 디스플레이 모듈에 부착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종래에 비해 케이스의 테두리 부분 즉 베젤의 폭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면이 증가하더라도 베젤의 폭 감소로 인해 기기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하거나 오히려 줄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윈도우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1 접착부, 예를 들면 OCA 필름 또는 양면 테이프에 의해 부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아울러 터치 윈도우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사이로 이물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수직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 예를 들면 스마트폰(100)은, 터치 윈도우 모듈(110, Touch window module)과, 디스플레이 모듈(150, LCD module)과, 이들을 하우징하는 케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본 실시예의 터치 윈도우 모듈(110)은, 정전용량식이 적용되는 터치 윈도우 모듈(110)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를 형성하는 글라스(111)와, 글라스(111)의 하면에 부착되는 인쇄 필름(113)과, 인쇄 필름(113)의 하면에 부착되는 ITO 필름(115)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위도우 모듈(110)이 정전용량식인 경우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식, 예를 들면 감압식과 같은 다른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글라스(111)는 내구성이 우수한 강화 글라스 또는 아크릴, PC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종류의 글라스가 윈도우를 형성하는 글라스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글라스(111)의 하면에는, 배선 또는 양면 테이프 등을 가려주는 등 디자인을 구현하는 인쇄 필름(113)이 부착되고, 그 하면에는 터치 배선을 형성하는 ITO 필름(115)이 부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정전용량 방식을 이용하여 글라스(111)를 터치하는 경우 소정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원하는 화면을 얻을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구성의 터치 윈도우 모듈(110)에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뷰 영역 라인(B)에 의한 뷰 영역(view area)이 설정된다. 여기서, 뷰 영역이란 후술한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액티브 영역 라인(A)과 일정 간격을 두고 윈도우의 인쇄가 시작되는 영역을 말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액티브 영역 자체의 위치 공차와 기구물에 조립될 시 조립공차가 있으므로 뷰 영역과 액티브 영역은 일정 간격을 두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51)과,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하부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51)로 빛을 투사하는 백라이트 유닛(153)과, 디스플레이 패널(151) 및 백라이트 유닛(153)의 측부를 감싸는 몰드 프레임(155)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패널(151)은 엘씨디 패널을 비롯한 다양한 패널이 적용될 수 있고, 백라이트 유닛은 별도로 구성되 액정 소자와 발광소자가 결합된 방식(예를 들어 AMOLED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아울러 다른 다양한 빛 투사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먼저, 디스플레이 패널(151)은 실질적으로 화상표시가 가능한 화면 표시 영역을 갖는다.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153)은 디스플레이 패널(151)의 후측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51)로 빛을 투사하는데, 이를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램프가 장착된 유연성 인쇄회로기판, 도광판, 광학시트, 차광테이프 등을 구비하며 이들이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몰드 프레임(155)은 사각 틀 형상을 가지며, 디스플레이 패널(151)이 지지되는 측벽 및 백라이트 유닛(153)이 지지되는 측벽이 계단식 구조로 형성된다. 몰드 프레임(155)은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몰드 프레임(155)의 강도를 강화하기 위해, 보강 프레임(157)을 더 구비한다. 보강 프레임(157)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몰드 프레임(155)의 측부 및 하부를 감쌈으로써 몰드 프레임(155)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보강 프레임(157)은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측부를 형성하는 부분(157a)은 절곡에 의해 다층 구조로 마련됨으로써 강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터치 윈도우 모듈(110) 및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이들을 감싸는 케이스(170)의 테두리 부분, 즉 베젤 부분을 종래에 비해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최근 들어 화면이 커지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화면을 감싸는 베젤 부분을 구조적으로 줄이는 것이 중요한데, 본 실시예의 경우 터치 윈도우 모듈(110) 및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직접 결합 구조에 의해 베젤 부분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케이스(170)의 구성 설명 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터치 윈도우 모듈(110)과 디스플레이 모듈(150) 사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제1 접착부(130)가 개재됨으로써 터치 윈도우 모듈(110)과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상호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그 사이로 이물질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부(130)는, 예를 들어 터치 윈도우 모듈(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ITO 필름(115)의 저면과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몰드 프레임(155)의 상단면 및 디스플레이 패널(151)의 상면 사이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개재될 수 있다. 한편, 제1 접착부(130)가 터치 윈도우 모듈(110)과 디스플레이 모듈(150) 사이의 전체 영역에 개재되어 터치 윈도우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합지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의 제1 접착부(130)는, 투명한 제2 접착부 또는 첩착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광학 제2 접착부인 OCA(Optical Clear Adhesive) 필름(130)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윈도우 모듈(110)과 디스플레이 모듈(150) 사이에 제1 접착부(130)가 배치되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151)에 구현되는 화면이 글라스(111)를 통해 그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만, 터치 윈도우 모듈(110)과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제1 접착부(130)와 몰드 프레임(155)의 상단면 간의 접착 면적을 확보해야 한다. 이에, 본 실시예의 몰드 프레임(155)의 상단부는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155a)가 구비되며, 따라서 제1 접착부(130)와 몰드 프레임(155)의 상단면 간의 접착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터치 윈도우 모듈(110)이 케이스(170)에 결합되는 구조가 아니라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몰드 프레임(155)에 직접 접착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케이스(170)에 터치 윈도우 모듈(110)과의 결합을 위한 부분이 요구되지 않으며, 따라서 그만큼의 폭을 줄일 수 있어 케이스(170)의 테두리 부분, 즉 베젤의 폭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최소의 베젤 폭을 갖는 케이스(17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케이스(170)는, 터치 윈도우 모듈(110)의 테두리 부분을 감싸는 프론트 케이스(171)와, 프론트 케이스(171)의 하부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측부 및 하단부를 감싸는 미들 케이스(173)와, 프론트 케이스(171) 및 미들 케이스(173)의 하부에 결합되어 메인 PCB(미도시) 등을 감싸는 백 케이스(175)와, 배터리 커버(17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론트 케이스(171), 미들 케이스(173) 및 백 케이스(175)의 구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동일한 기능 및 구조를 갖도록 각 케이스는 분리 또는 결합된 형태로 얼마든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먼저, 본 실시예의 프론트 케이스(171)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터치 윈도우 모듈(110)과의 접착을 위한 부분이 요구되지 않으며 단지 터치 윈도우 모듈(110)의 테두리 부분만을 형성한다.
그리고, 미들 케이스(173)는, 터치 윈도우 모듈(110) 및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로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미들 케이스(173)는 금속 재질로 마련됨으로써 케이스(170)의 강성을 강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미들 케이스(173)의 재질로 마그네슘(Mg)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프론트 케이스(171) 및 미들 케이스(173)는 프론트 케이스(171)에 미들 케이스(173)의 일부분이 인서트되도록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71)에는 하단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된 케이스홈이 형성되고, 이러한 케이스홈에 미들 케이스(173)의 측부를 형성하는 부분이 인서트됨으로써 프론트 케이스(171)의 강도가 증대될 수 있다. 이처럼,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프론트 케이스(171) 및 미들 케이스(173)가 일체로 제조됨으로써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몰드 프레임(155), 보다 정확히는, 보강 프레임(157)이 미들 케이스(173)의 상면에 로딩되는데, 이 때 그 사이로 이물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들 케이스(173)와 디스플레이 모듈(150) 사이에는 제2 접착부(160)가 개재될 수 있다.
다만, 제2 접착부(160)는 미들 케이스(173)의 테두리 부분에 하부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테두리홈(173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테두리홈(173a)이 형성된 미들 케이스(173)의 두께가 다른 부분에 비해 얇아질 수 있다. 이에, 테두리홈(173a)이 형성된 미들 케이스(173)의 하단부(173b)는 테두리홈(173a)이 미형성된 미들 케이스(173)의 하단부에 비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따라서 미들 케이스(173)의 전 영역에 대해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백 케이스(175)는 프론트 케이스(171) 및 미들 케이스(173)에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메인 PCB와 같은 구성을 내장하며, 아울러 배터리가 결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배터리 커버(177)는 백 케이스(175)에 결합되어 배터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베젤 폭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베젤의 폭(L1)은, 프론트 케이스(171)의 폭(L2)과, 프론트 케이스(171)와 터치 윈도우 모듈(110)의 글라스(111)의 갭(L3)과, 윈도우 인쇄 폭(L4)과, 뷰 영역 라인(B) 및 액티브 영역 라인(A)의 간격(L5)을 더하면 된다. 여기서, 윈도우 인쇄 폭(L4)은 터치 신호 배선의 폭의 기술적 한계와 인쇄 공차 및 ITO 센서 부착 공차까지 고려한 폭으로서, 터치 윈도우 모듈(110)의 외곽 신호 배선의 최소폭 범위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프론트 케이스(171)의 폭(L2)은 1.5mm일 수 있으며, 갭(L3)은 0.1mm일 수 있고, 윈도우 인쇄 폭(L4)은 1.8mm일 수 있으며, 뷰 영역 라인(B) 및 액티브 영역 라인(A)의 간격(L5)은 0.4mm일 수 있다. 이에, 베젤의 폭(L1)은 3.8mm일 수 있다.
이러한 베젤의 폭(L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가 갖는 베젤의 폭에 비해 1mm 넘게 차이 나는 값으로, 화면 대비 베젤의 폭을 줄임으로써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100)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가 동일한 화면 크기를 갖는 경우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100)는 더 좁은 베젤의 폭을 가짐으로써 전체적인 기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화면을 좀 더 크게도 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조립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베젤 폭의 축소로 인한 강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미들 케이스(173)를 프론트 케이스(171)에 인서트 사출 성형함으로써 프론트 케이스(171)와 미들 케이스(173)를 일체로 형성한다.
그리고 터치 윈도우 모듈(110)과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제1 접착부 (130)를 이용하여 부착한다. 이때 제1 접착부(130)를 몰드 프레임(155)의 외곽까지 확장하여 부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51)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터치 윈도우 모듈(110)과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미들 케이스(173)의 테두리홈(173a)에 제2 접착부(160)를 부착한 후 그 상부에 결합 상태의 터치 윈도우 모듈(110) 및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로딩시키며, 이를 통해 케이스(170)에 대한 터치 윈도우 모듈(110)과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백 케이스(175)를 프론트 케이스(171) 및 미들 케이스(173)에 결합시킨 후, 배터리 등을 장착한 후 배터리 커버(177)를 덮음으로써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100)의 조립을 개략적으로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윈도우 모듈(110)을 케이스(170)에 부착하는 구조가 아니라 터치 윈도우 모듈(110)을 직접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부착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종래에 비해 케이스(170)의 테두리 부분 즉 베젤의 폭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면이 증가하더라도 베젤의 폭 감소로 인해 기기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하거나 오히려 줄일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윈도우 모듈(110)과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제1 접착부(130)에 의해 부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아울러 터치 윈도우 모듈(110)과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사이로 이물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 설명하되 전술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수직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200)는 전술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100,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되, 터치 윈도우 모듈(210)과 디스플레이 모듈(250)을 상호 결합시키는 제1 접착부(230)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의 제1 접착부(230)는 접착력을 갖는 양면 테이프(230)로 마련될 수 있다. 양면 테이프(230)는 전체적으로 중공의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짐으로써 터치 윈도우 모듈(210)의 하면의 테두리 부분과, 몰드 프레임(255)의 상단면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251)의 테두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양면 테이프(230)가 배치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모듈(250)과 터치 윈도우 모듈(210) 사이는 에어갭(230S)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일 실시예의 OCA 필름(130, 도 1 참조)과는 달리 전면 접착 방식이 아닌 부분 접착 방식이기 때문에 몰드 프레임(255)의 상단면이 더 확장되도록 몰드 프레임(255)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충분한 접착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접착부(230)를 양면 테이프(230)로 적용함으로써 터치 윈도우 모듈(210) 및 디스플레이 모듈(250)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저지함은 물론 터치 윈도우 모듈(210) 및 디스플레이 모듈(250)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아울러 부분 접착 방식이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제1 접착부로 OCA 필름 또는 양면 테이프가 적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 윈도우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결합을 견고히 하면서도 이물질 인입을 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종류의 제1 접착부가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터치 윈도우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구분된 형태를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모듈 형태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의 터치 윈도우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은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모듈로 대체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모듈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커버하는 커버 글라스와,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커버 글라스에 배치되는 터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글라스, 디스플레이 유닛 및 터치 감지부는 일체형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다만, 터치 감지부의 위치에 따라 모듈의 타입이 구분될 수 있는데, 터치 감지부가 커버 글라스 및 디스플레이 유닛의 사이에 별도로 구비되는 아웃 셀(out cell) 방식, 터치 감지부가 커버 글라스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부착되는 온 셀(on cell) 방식, 디스플레이 유닛에 내장되는 인 셀(in cell)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터치 일체형 모듈은 케이스에 접착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의 제2 접착부에 대응되는 접착부로 터치 일체형 모듈과 케이스를 상호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모듈로 마련되는 경우에도 케이스의 베젤의 폭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면이 증가하더라도 베젤의 폭 감소로 인해 기기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하거나 오히려 줄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휴대용 단말기
110 : 터치 윈도우 모듈
130 : 제1 접착부
150 : 디스플레이 모듈
170 : 케이스

Claims (10)

  1. 터치 윈도우 모듈;
    상기 터치 윈도우 모듈의 일 방향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터치 윈도우 모듈의 일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터치 윈도우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감싸되 상기 터치 윈도우 모듈과는 비접착 관계를 갖는 케이스;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윈도우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적어도 일부 영역에 개재되어 상기 터치 윈도우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접착하는 제1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1 접착부와의 접착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가 형성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부는 OCA 필름(Optical Clear Adhesive) 또는 양면 테이프인 휴대용 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터치 윈도우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형상에 대응되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 또는 상기 터치 윈도우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는 사각 틀 형상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
    미들 케이스; 및
    백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상기 미들 케이스의 일부분이 인입되도록 상기 프론트 케이스 및 상기 미들 케이스는 성형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 및 상기 미들 케이스는 인서트(insert)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조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 적어도 일부 영역에 개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케이스를 접착하는 제2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중 상기 제2 접착부가 개재되는 영역이 상기 제2 접착부의 두께에 대응되게 함몰 형성되는 휴대용 단말기.
  10. 커버 글라스, 디스플레이 유닛 및 터치 감지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감싸는 케이스; 및
    상기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 적어도 일부 영역에 개재되어 상기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케이스를 결합하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120074731A 2012-07-09 2012-07-09 휴대용 단말기 KR101453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731A KR101453345B1 (ko) 2012-07-09 2012-07-09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731A KR101453345B1 (ko) 2012-07-09 2012-07-09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612A true KR20140008612A (ko) 2014-01-22
KR101453345B1 KR101453345B1 (ko) 2014-10-22

Family

ID=50142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731A KR101453345B1 (ko) 2012-07-09 2012-07-09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3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15055A (zh) * 2015-05-18 2015-09-16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防撞式触控显示装置
WO2017007130A1 (en) * 2015-07-03 2017-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nternal structure of the same
KR20170040082A (ko) * 2015-10-02 2017-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706887B2 (en) 2015-10-02 2023-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06637B (zh) * 2015-10-30 2018-10-16 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921B1 (ko) * 2002-10-07 2005-06-10 주식회사 에이터치 평판디스플레이와 일체화된 터치패널 및 그 터치패널부가형 화상입력장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15055A (zh) * 2015-05-18 2015-09-16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防撞式触控显示装置
WO2017007130A1 (en) * 2015-07-03 2017-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nternal structure of the same
US10398039B2 (en) 2015-07-03 2019-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nternal structure of the same
KR20170040082A (ko) * 2015-10-02 2017-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706887B2 (en) 2015-10-02 2023-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345B1 (ko)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0714B2 (en) Electronic device with unified display mounting structures
US10502997B2 (en) Touch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two adhesives, touch display device and lamination method
CN102016780B (zh) 显示装置及输入装置
CN108254975B (zh)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TWI430147B (zh) 具有顯示功能的輸入裝置
US8704802B2 (en) Touch display device
US9442585B2 (en) Display device
US8797245B2 (en) Display device with display panel and backlight
JP5433450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9007320B2 (en) Electronic equipment and mobile terminal provided with same
JP2018072463A (ja) 表示装置
US20140036458A1 (en) Electronic apparatus
JP2010237493A (ja) 液晶表示装置
US20150049285A1 (en) Non-Planar Display Backlight Structures
KR101453345B1 (ko) 휴대용 단말기
WO2014020937A1 (en) Electronic apparatus
US998979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170066761A (ko) 커브드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0134139A (ja) 表示装置
JP2015087468A (ja) 表示装置
KR101463683B1 (ko) 액정표시장치
JP2017188304A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
JP2015031772A (ja) 液晶表示装置
JP5376438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9442592B2 (en) Module structure of touch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