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7918A - 녹내장 치료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녹내장 치료용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7918A
KR20140007918A KR1020137024813A KR20137024813A KR20140007918A KR 20140007918 A KR20140007918 A KR 20140007918A KR 1020137024813 A KR1020137024813 A KR 1020137024813A KR 20137024813 A KR20137024813 A KR 20137024813A KR 20140007918 A KR20140007918 A KR 20140007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openings
implant
segmen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4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 알. 그레이스하버
마티아스 그레이스하버
로버트 스테그만
Original Assignee
그리에샤버 옵탈믹 리서치 파운데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리에샤버 옵탈믹 리서치 파운데이션 filed Critical 그리에샤버 옵탈믹 리서치 파운데이션
Publication of KR20140007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9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81Apparatus for modifying intraocular pressure, e.g. for glaucom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1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04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 A61F2230/0013Horseshoe-shaped, e.g. crescent-shaped, C-shaped, U-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 A61F2250/0012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for adjusting elasticity, flexibility, spring rate or mechanical tension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한 지점이 노출되어진, 예를 들어 원주 방향으로 기계적으로 신장된 눈의 쉴렘관으로 삽입할 임플란트로서 고안된 관에 관한 것이다. 신장된 쉴렘관 (15)에 삽입할 수 있는 긴 관은, 섬유주 조직 (18), 상기 관의 내부 공간 (30) 및 상공막 정맥 계통의 안방수 정맥 (20)과 연결되며, 이격된 고리 부재 (29)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며,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개구부; 및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개구부들 (28)을 가지며, 상기 관의 종단면에 따르면 둥근 호형 형상이며, 축 방향으로 배향되며, 분절 파트 (27)를 가진다. 섬유주를 경유한 안방수의 자연스러운 배액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관 (25.4)은, 상기 분절 (27)의 상기 제2 개구부 (28)가 개별 안방수 정맥 (20)의 개구부 (20'')와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분절 (27)과 상기 제2 개구부 (28)가 섬유주 조직 (18)과 연합되는 방식으로, 쉴렘관 (15)에 삽입된다.

Description

녹내장 치료용 임플란트 {IMPLANT FOR TREATING GLAUCOMA}
본 발명은 공막의 적어도 한 위치에서 노출된 쉴렘관 안으로 삽입가능한 긴 관을 포함하는 녹내장 치료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관이 유연하고 구부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안방수 (aqueous humor)의 섬유주 배액을 위해, 상기한 유연한 관의 내부와 소통하도록 관 벽에 서로 이격되어 축 및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1 개구부를 포함한다.
건강한 눈에서는, 순환하는 안방수의 배액이 후안방에서 전안방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전방우각(chamber angle)에서는 섬유주 조직을 통해 쉴렘관으로 배출된 다음, 여기서 상공막 정맥계를 경유하여 순환성 혈류에 도달한다. 눈에 질병이 발병한 상태에서는, 특히, 예를 들어, 교착(conglutination) 또는 유사 병태에 의해 쉴렘관이 막혀 흐름에 저항이 발생한 경우, 모양체의 상피에 의해 생산되며 끊임없이 재생되는 안방수의 지속적인 배액이, 충분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안내압 (IOP)이 시신경의 순환과 그로 인한 기능 소실이 발생하는 수준으로 상승한다. 이러한 기능 부전은 녹내장 또는 "그뤼너 스타(gruner star)"라는 질병을 유발할 수 있으며, 한쪽 또는 양쪽 눈을 실명시킬 수 있다.
국제 공개공보 WO 2010/072574에는 쉴렘관에 삽입가능한 긴 유연한 관으로 구성된 임플란트가 개시되는데, 이 관은 축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거리로 배열된 복수개의 고리 부재와, 유연한 관의 내부와 소통하여 상기 고리 부재들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갭 뿐만 아니라, 축 방향으로 배향된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이 연결 부재는 각 개구부가 섬유주 조직에서 상공막 정맥 계통까지의 직접 연결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쉴렘관의 내벽 원형 표면에 결합되어 있다.
공개공보 (EP 0 898 947)에는 다양한 형상의 녹내장 치료용 지지 요소들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지지요소는, 예를 들어 관 상에 개구부들이 분포된 긴 관으로서 또는 긴 지지 요소 또는 관-형태의 메쉬 네트워크로서 구성되며, 타겟 부위에 장착될 수 있도록 개방 공막편 (open scleral flap)을 구비한 외과적 절개부를 통해 노출된 쉴렘관으로 삽입가능하며, 상기 쉴렘관은 높은 점성의 매질의 주입을 통해 기계적으로 확장된다. 상기 지지 요소를 이용함으로써, 안방구에서 섬유주 조직을 경유하여 쉴렘관으로, 쉴렘관에서 상공막 정맥 계통을 경유하여 순환성 혈류로 흐르는, 순환하며 계속적으로 재생되는 안방수의 자연스러운 배액이 개선된다.
아울러, 국제 공개번호 2004/0210181에는, 플레이트에 의해 열린 상태로 유지되는 공막 절개부를 통해 전안방으로 외과적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섬유주 조직을 통해 전안방으로 삽입되는, T자형 종단면을 가진 임플란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임플란트는 근위 관 영역 뿐만 아니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열된 노출된 쉴렘관으로 삽입가능한 2개의 원위 관 영역을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배액 목적으로 구축된 이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계속적으로 재생되는 안방수를, 전안방에 삽입된 근위 영역과 2개의 원위 관 영역을 통해, 병리학적으로 막힌 섬유주 조직으로부터 전안방에서 쉴렘관 쪽으로 인공 경로를 통해 배액시키고, 쉴렘관에서 상공막 정맥 계통을 통해 눈의 순환성 혈류로 배액시킨다.
본 발명의 과제는, 원형의 쉴렘관의 내강을 통해 안내압을 조절하는 안방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하여, 섬유주를 경유한 상공막 정맥 계통과 눈의 혈액 순환으로의 자연스러운 안방수의 배액을 개선 및 영구적으로 유지시키는, 쉴렘관에 삽입가능한, 관-형태의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는, 상기 관이 둥근 호형 종단면 (circular arc profile cross section)을 가진 분절 (segment)을 포함하며, 상기 분절이 상기 관의 벽부에 기하학적 패턴으로 분포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개구부들과 제2 개구부들을 축 방향으로 포함하며, 상기 제2 개구부들과 제1 개구부들이 축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관의 원통형 빈 공간과 소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임플란트에 대한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레이저 처리를 통해 표면 및 에지에 생기는 모든 돌기, 풀린 부분 등은, 예를 들어, 열적 수선 (thermal repair)을 통해 제거하고, 레이저 처리로 생긴 에지 (edge)는 적절한 수단으로 매끈하게 만든다.
도 3에 따른, 쉴렘관의 내강으로 삽입되는 관은, 쉴렘관이 한편으로는 영구적으로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따라서 안정적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섬유주를 통한 안방수의 자연스러운 배액이 상기 관 상에 배치된 제1 개구부들을 통해 섬유주 조직으로부터 임플란트의 내부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다시 상기 분절 파트의 제2 개구부들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공막 정맥 계통의 천연적으로 분포된 소관으로, 상기 소관에서 혈액 순환으로 배출된다는 점에서 이점을 가진다.
도 3a에 예시된 변형체의 경우, 관을 장축을 중심으로 약 180 ° 회전시켜 쉴렘관에 삽입하며, 이로써, 섬유주를 통한 안방수의 자연스러운 배액은 먼저 상기 관의 분절내 제2 개구부들을 통해 섬유주 조직으로부터 이루어진 다음, 고리 부재들 사이에 배치된 제1 개구부들을 통해 상공막 정맥 계통의 천연 소관으로, 그런 후 순환성 혈류로 배출된다.
임플란트로서 구축된 긴 관과 이의 기능적 변형체 및 구현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은 임플란트로서 구상된 관을 삽입하기 위해 노출시킨 쉴렘관을 보여주는, 라멜라 절개(lamellar cut)와 개방 공막편이 표시된 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임플란트를 쉴렘관 안에 장착한 도 1의 A-A 선에 따른 눈 일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노출시킨 쉴렘관에 제1 임플란트 변형체가 삽입된 것을 나타낸 눈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a는 노출시킨 쉴렘관에 제2 임플란트 변형체가 삽입된 것을 나타낸 도 3의 눈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벽 개구부가 임플란트를 형상화하는 프리폼(preform) 전체에 기하학적 패턴으로 분포된 관 형태의 프리폼의 투시도이다.
도 5는 제1 개구부가 제1 기하학적 패턴으로 분포된 관 벽의 평면도이다.
도 5a는 제1 개구부가 제1 기하학적 패턴으로 분포된 도 5에 따른 벽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6은 제1 개구부가 제2 기하학적 패턴으로 분포된 관의 단면 평면도이다.
도 7은 제1 개구부가 제3 기하학적 패턴으로 분포된 관의 단면 평면도이다.
도 8은 제1 개구부가 각 고리 부재들 사이에 제4 기하학적 패턴에 따라 분포된 관의 투시도이다.
도 8a는 제1 개구부가 고리 부재들 사이에 분포된 도 8에 따른 관의 단면 평면도이다.
도 9는 제1 개구부가 고리 부재들 사이에 다른 기하학적 패턴으로 분포된 도 8a에 따른 관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낸 관의 정면 종단면도이다.
녹내장 수술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도 1 - 도 3은, 각각 눈의 일부를 나타내며, 도 2와 3은 각각 본원에 기재되지 않은 방식으로 쉴렘관에 삽입되는 긴 관으로서 구성된 임플란트를 예시한다.
도 1은 수정체 (14), 동공 (14'), 홍채 (12), 공막 (13), 일부 표시된 쉴렘관 (15) 및 각 소관 (20')을 구비한 안방수 정맥 (20) (채집 채널(collector channel))이 표시된 눈 전체 (10)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지된 방식으로 현미경 수술(microsurgery)을 통해, 공막을 라멜라 절개하고, 상세히 도시하지 않은 섹션을 제거한 후, 바깥 섹션 (13')을 열어서 넘겨두고, 상세히 도시하지 않은 수단에 의해 고정시킨다. 노출된 쉴렘관 (15)의 영역에 라멜라 절개를 행하여, 공막대 (scleral bed, 17)를 만든 후, 관-형상의 임플란트를 삽입 및 장착한 후, 다시 닫는다.
도 2는 도 1의 선 A-A에 따른 눈 (10)의 확대도로서, 각막 (11), 홍채 (12)의 한 섹션 (12'), 개방 공막편 (13')이 젖혀진 공막 (13), 수정체 (14), 띠 섬유 (19), 후안방 (H), 전안방 (V) 및 홍채각막 각 (V'), 뿐만 아니라 쉴렘관 (15) 앞에 위치한 섬유주 조직 (18)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체 (14)를 둘러싸고 둥글게 배향된 쉴렌관 (15)은, 홍채각막 각 (V') 영역에서 한쪽 말단에서 시작되어 다른 반대쪽에 위치한 말단 방향으로 점점 가늘어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는, 긴 타원형의 종단면 (profile cross section)을 가진다.
도 2에 또한 나타낸 바와 같이, 관을 쉴렘관 (15)에 삽입하고, 아울러 내표면 (17'')과 방향 (21)로 밑으로 접히게 되는 공막편 (13')에 대한 지지 표면 (17')을 구비한 공막 대 (17)를, 상기 공막 대의 평탄부 (17')에 이의 내표면 (13'')과 함께 평평하게 놓고, 본원에서 상세히 기술하지 않은 수단으로 고정한다. 도 2는 관 (25.4)이 내부 공간 (30)을 가진 임플란트로서 구성된 일 구현예이다. 도 2에서, 안방수가 전안방 (H)으로부터 전안방 (V)의 화살 표시 (1)로 표시된 방향으로 순환되는 것이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화살 표시 (1')에 따라, 안방수는 홍채각막 각 (V')에서 섬유주 조직 (18)을 경유하여 쉴렘관 (15)으로, 여기에서 정맥 계통으로, 그리고 혈류 순환계로 이동하는 본래의 경로를 통해 도달하게 된다.
도 3 및 도 3a는 각각 공막 대 (17)와 들어 올린 공막 편 (13')과, 노출된 제1 개구부 (22)를 통해 환형 쉴렘관 (15)의 내강 (16)에 관 (25.4) 삽입이 도시된 눈 (10)의 일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관 (25.4)은 도 8과 연계하여 아래에서 추가로 후술되는 임플란트로서 구성된 것으로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분절 (27)에 이격되어, 축 방향으로 배치된 둥근 호형 형태로 기본적으로 구성된, 수개의 고리 부재 (29)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공된다.
도 3 및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쉴렘관 (15)으로 삽입되는 유연하게 구성된 임플란트는, 제1 개구부 (22)에서 상기 제1 개구부 (22)의 반대쪽에 위치한 제2 개구부 (22')까지, 예를 들어 쉴렘관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가지며, 쉴렘관 (15)의 고유 형상에 따라 자가-조정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변형체로서, 관 (25.4)은 쉴렘관 (15)에 삽입되고, 각 고리 부재들 (29)이 섬유주 조직 (18)과 대면하고 쉴렘관 (15)의 내벽 (15')에 평평하게 놓여지는 방식으로 안에 장착되며, 이러한 배치 (도 3)에 의해, 개구부들 (28)을 구비한 분절 (27)은 소관 (20') 및 개구부들 (20'')과 함께 개략적으로 도시한 안방수 정맥 (20) (채집 채널)과 연합되어, 서로 연결되게 된다.
도 3a의 제2 변형체의 경우, 관 (25.4)은 장축 (Z)을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로 쉴렘관 (15)에 삽입되어 (도 4 및 도 8), 서로 이격된 각 고리 부재들 (29)이 쉴렘관 (15)의 내벽 (15')과 연계되어, 안방수 정맥 (20)의 소관 (20')과 연결되며, 분절 파트 (27)가 관 (25.4)에서 섬유주 조직 (18)에 해당되는 쉴렘관 (15)의 맞은편 내벽(15')에 축 방향으로 배향되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이때, 임플란트로서 구성되는 관 (25.4)은, 예를 들어 쉴렘관 (15)의 내강 (16)에 삽입되었을 때, 쉴렘관 (15)의 유기적이고 해부학적인 상태를 좌우하므로; 그 결과, 안방수의 섬유주를 경유한 상공막 정맥 계통으로, 다시 순환성 혈류로의 자연스러운 배액이 개선되고 영구적으로 유지된다는 점에 유념하여야 한다.
섬유주를 경유한 안방수의 배액을 최적화하기 위해, 쉴렘관을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으며, 그런 후 확장된 내강으로 본 발명의 임플란트 (관)를 삽입하고, 예를 들어 타겟 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하게 구성된 임플란트를 예시하기 위한 임플란트 프리폼 (25)의 투시도이다. 프리폼 (25)은 벽부 (31)와 내부 공간 (30)을 구비한 속이 빈 원통형 케이싱 (26), 축 방향으로 배향된 분절 (27), 및 상기 내부 공간을 따라 이어지는 축으로 배향된 축 (Z)으로 구성된다. 길이 방향으로 배향된 상기 분절 (27)은 프리폼 (25)에 해당하는 둥근 호형 종단면을 가지며, 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서로 이격된 수개의 개구부들 (28)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제1 개구부 (32, 33, 36, 36' 및 38)와 상기 분절에 배치된 수개의 제2 개구부 (28)를 포함하는, 관-형태의 프리폼 (25)으로부터 구성된 각각의 임플란트들, 즉 관들로 (25.1 - 25.5) 구성된 임플란트들을 설명한다. 제1 개구부 (32, 33, 36, 36', 38)는 관 (25.1 - 25.5)의 벽부 (31)에 기하학적 패턴 또는 기하학적 구조로 배치된다. 제2 개구부 (28)는 웨브(web) (28')들 사이에 배치되며, 관 (25.1 - 25.5)의 분절 (27)에 서로 이격되어 축 Z를 따라 축 방향으로 배향되어 배치되어, 안방수 정맥(채집 채널)의 각 개구부 (20'')의 안방수 배액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3 및 도 3a 참조). 예를 들어, 제2 개구부들 (28)은 긴 사각형의 제2 개구부(28)로서 구성되며, 웨브들 (28') 간에 배치되며, 크기가 동일하거나 다르다.
도 5는 케이싱 (36.1)을 구비한 관 (25.1)에 대한 일 구현예의 평면도이다. 케이싱 (26.1)은 제1 기하학적 패턴에 따라 배치된 제1 개구부 (32)들을 포함하며, 웨브들 (28')과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2 개구부 (28)들을 포함하는, 장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분절 (27)을 포함한다. 제1 개구부들 (32)이 벽부 (31.1)에 열 (R) 형태로 서로 분리되어(set-off) 배치된 상기한 구현예에 따른 케이싱 (26.1)을 플립-오픈(flipped-open) 상태로 도 5에 도시한다. 축 방향으로 이어지는 분절 (27)의 양쪽 면에는, 상기 케이싱 (26.1)의 일부분 (26.1.1)이 도시된다. 이 일부분 (26.1.1)의 양쪽 면을 조합하며, 예를 들어 스크린과 유사한 천공의 케이싱 구조(screen-like perforated casing structure)를 가지는 원통형의 빈 관 (hollow cylindrical tube) (25.1)이 된다.
도 5a는 벽부 (31.1)에 제1 개구부 (32)들이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열 (R)들로 서로 분리되며, 아울러,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케이싱 (26.1)의 일부 (26.1.1.) 확대도이다. 상기 제1 개구부 (32)들은 도 5 또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이며, 본원에 상세하게 도시하진 않는다.
도 6은 케이싱 (26.2)을 구비한 관 (25.2)에 대한 제2 구현예의 평면도이다. 제2 기하학적 패턴으로 배치된 제1 개구부 (33), 예를 들어, 사각형의 제1 개구부 (33)를 포함하는 케이싱은, 축 방향으로 이어지는 축 (Z)을 따라 배향된 분절 (27)과,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그 사이에 웨브들 (28')이 배치된 제2 개구부 (28)를 포함한다.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분절 (27)의 양쪽 면에, 케이싱 (26.2)의 일부 (26.2.1)가 웨브 (34)와 함께 제공된다. 이들 양쪽 부분 (26.2.1)을 조합하며, 천공의 케이싱 구조를 가진 원통형의 빈 관 (25.2)이 된다. 케이싱 (26.2)은, 장축 (Z)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열 (R)들로 서로 분리된, 복수개의 제1 개구부 (33)를 벽부 (31.2)에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변형체에 대한 예로서, 상기 제1 개구부 (33)는 사각형 또는 타원형 형태이며, 열 (R')이 다른 열 (R')과 분리되어 있다. 양쪽 부분 (26.2.1)을 조합한 상태는, 긴 개구부를 가진 천공의 케이싱 구조를 구비한 임플란트로서 구성된 관 (25.2)이 된다.
도 7은 케이싱 (26.3)을 포함하는 관 (25.3)에 대한 제3 구현예의 평면도이다. 케이싱은 벽부 (31.3)에 격자 패턴으로 분포된 제3 기하학적 패턴의 제1 개구부들 (36, 36')을 포함하며, 축 방향으로 배향되어 장축과 평행하게 이어지는 분절 (27)과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2 개구부 (28) 및 웨브들 (28')을 포함한다. 열린 상태로, 상기 분절 (27)의 양쪽 면에, 방사상으로 배향된 제1 웨브들 (35)과 이들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제2 웨브들 (35')이 각각 구비된 일부분 (26.3.1)을 도시한다. 원주 방향로 배치된 제1 웨브 (35)들 사이와 상기 제1 웨브들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2 웨브 (35')들 사이에는, 각각, 제1 개구부들 (36, 36')이 서로 분리되어 도시된다. 양쪽 면 부분 (26.3.1)을 조합하면, 격자 (그리드-유사) 패턴으로 실질적으로 구성된 케이싱을 가진 원통형의 빈 관 (25.3)으로서 구성되는 임플란트가 된다.
도 8은 장축 (Z) 방향으로 이어지는 분절 (27),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2 개구부 (28), 및 분절 (27)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고리 부재 (29)를 포함하는 관에 대한 제4 구현예의 투시도이다. 본질적으로 관 (25.4)의 내부 공간 (30)을 형성하는 고리 부재 (29)들은, 본원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관 (25.4)의 축 방향으로 배향된 분절 파트 (27)에 구축된다.
도 8a는, 축으로 배향된 분절 (27)과 웨브 (28)들이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이격된 각각의 제2 개구부 (28)를 포함하는 케이싱 (26.4)을 구비한, 도 8에 따른 제4 구현예의 관 (25.4)의 전면도이다. 이 구현예에서, 관에서 원주 방향으로 배향된 제1 개구부 (38)들은 단일 고리 부재 (29)들 사이에 일정 거리 (38')로 이격되어 각각 배치된다. 거리 (38')는, 예컨대, 각 고리 부재 (29)의 폭의 2 - 3배이다. 양쪽 면 부분 (26.4.1)을 조합하면, 분절 (27), 고리 부재 (29)와 함께,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를 구비한, 원통형의 빈 관 (25.4)이 임플란트로서 제공된다. 서로 평행하여 배향된 단일 고리 부재 (29)들은 본질적으로 격자형 (그리드 유사)의 케이싱 구조를 형성한다.
도 9는, 관 (25.5)에 대한 다른 구현예로, 축으로 배향된 분절 (27), 웨브 (28')에 의해 서로 이격된 제2 개구부 (28), 축 방향으로 일정 거리 (38')로 떨어져 있는 제1 개구부 (38) 및 분절 (27)에 형성된 고리 부재 (29)를 가진 케이싱 (26.5)의 전면도이다. 양쪽 면 부분 (26.5.1)을 조합하면, 도 8a에 따라 유사한 격자형 케이싱 구조를 가진 원통형의 빈 관 (25.5)으로서 구성된 임플란트가 된다.
도 9에 따른 변형체에서, 바깥 원주에,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고리 부재 (29)들은, z-자형 슬롯 또는 갭 (37)에 2개의 반원 영역 (29')들로 각각 분할된다. 이들 2개의 영역 (29')들은 각각 화살 표시 X 방향에 따라 장축 Z에 대해 방사상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각 고리 부재 (29) 사이에 제1 개구부 (38)를 형성하는 거리 (38')는 각 고리 부재 (29)의 폭의 약 2 - 3배이다.
도 10에서, 고리 부재들 (29)과 내부 공간 (30)을 구비한 관 (25.4 또는 25.5)을, 축 방향으로 배향된 제2 개구부들 (28)을 갖춘 둥근 형태의 분절 (27)과 둥근 고리 부재 (29)를 가진 종단면으로 도시한다. 각 고리 부재 (29) 사이에 배치된 제1 개구부들 (38)은 각각 290 ° 내지 310°크기의 개방 각 (W)을 가진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되며 분절 (27)에 배치된 긴 구멍으로서 설정된 제2 개방구 (28)들과, 관 (25.2)에서의 제1 개방구 (33)들은, 각각 긴 사각형의 구멍으로서 구성된다. 본원에 도시되지 않은 변형체로서, 양쪽 말단에서 한개의 긴 구멍이 반원형의 전방 측면(semicircular front side)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10에 기술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빈 관 (25.1 - 25.5)으로서 구성되는 임플란트는 약 0.15 mm - 0.35 mm 수준의 외경과 약 0.1 mm - 0.25 mm 수준의 내경을 가진다. 상기 관 (25.1 - 25.5)의 케이싱에 배치되며 기하학적 패턴 또는 기하학적 구조로 형성되는 제1 개구부 (32, 33, 36, 36', 38)와, 분절 (27)에 축 방향으로 배향된 제2 개구부 (28)는, 적절한 마이크로-물질 처리법,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엑시머 레이저를 이용한 공지된 레이저 기법에 의해, 제작된다.
이 때, 관 (25.1 - 25.5)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구조를 형성하는 마이크로 처리법을 이용하는 경우에, 표면 또는 각 개구부 (32, 33, 36, 36', 38) (도 5, 5a, 6, 7)의 임의의 에지, 뿐만 아니라 고리 부재 (29) (도 8, 8a, 9)와 제2 개구부 (28)를 구비한 분절 (27)에 생기는 돌기 또는 유사 형태를 적정 수단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점에 유념하여야 한다.
돌출된 에지 또는 풀린 부분(frays) 등을 제거하기 위해, 예를 들어 열 에너지 기계 가공 (thermal energy machining), 연마 (honing), 래핑 (lapping) 등의 여러가지 마이크로-처리법을 이용할 수 있어, 릿지(ridge)와 위치에 도달하기 어렵게 하는 것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제거할 수 있다. 에지들은 모두, 특히 원형의 고리 부재 (29) (도 8) 각각에서 뿐만 아니라, 반경이 약 0.025 mm - 0.2인 축 방향으로 배향된 분절 (27)에서의 에지들도 모두 매끈하게 처리하는 것이 특히 좋다.
전술한 마이크로-처리법을 이용하여, 임플란트의 쉴렘관으로의 삽입을 상해나 어려움없이 구현하는, 완전히 매끈하게 다듬어진 표면과 매끈한 에지를 가진, 각각의 관 (25.1 - 25.5)을 제작한다.
관 (25.1 - 25.5)은, 예를 들어, 생체적합한 물질, 예컨대, 폴리머 재료로 제조되며, 또한 직경 측면에서, 쉴렘관 (15)의 내강 (16)으로 삽입하고 체온에 의해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호형의 플렉서블한 열적 또는 기계적 기억 특성과 형태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관 (25.1 - 25.5)은 금 또는 니티놀로 제작되며, 헤파린 코팅이 제공된다.
관 (25.1 - 25.5)으로 구성되는 전술한 임플란트들 중 하나를 쉴렘관 (15)의 내강 (16)으로 삽입하는 과정은, 쉴렘관을 먼저 플렉서블한 마이크로-카테터를 이용하여 공지 관성형술(canaloplasty)로 조심스럽게 원주 방향으로 확장시키고, 이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고분자 점성-탄성 매질을 주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성공적으로 기계적으로 확장시킨 후, 도 3 및 3a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관을 확장시킨 쉴렘관 (15)으로 삽입한다. 각 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술한 관 (25.1 - 25.5)을 이용하여, 둥근 쉴렘관 (15)의 내강 (16)을 영구적으로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섬유주를 경유한 안방수의 배액을 구현한다.
10 눈
11 각막
12 홍채 및 섹션 12'
13 공막편 13'과 내측 13''을 구비한 공막
14 수정체와 동공 14'
15 쉴렘관과 내벽 15'
16 내강
17 공막대(scleral be), 지지체 17', 내표면 17''
18 섬유주 조직
19 띠 섬유
20 안방수 정맥, 소관 20' 및 개구부 20''
21 화살 표시
22 개구부 및 22'
25 프리폼(preform)
25.1 관, 원통 케이싱 26.1 및 케이싱의 일부 26.1.1
25.2 관, 원통 케이싱 26.2 및 케이싱의 일부 26.2.1
25.3 관, 원통 케이싱 26.3 및 케이싱의 일부 26.3.1
25.4 관, 원통 케이싱 26.4 및 케이싱의 일부 26.4.1
25.5 관, 원통 케이싱 26.5 및 케이싱의 일부 26.5.1
26. 프리폼의 원통 케이싱 25
27 둥근 호형로 형상화된 분절
28 제2 개구부, 웨브(web) 28'
29 고리 부재와 분절 29'
30 내부 공간
31 벽
32 제1 개구부 (사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
33 제1 개구부 (긴 타원형의 구멍이 있는 사각형)
34 웨브
35 웨브와 35'
36 개구부 및 36'
37 Z-형상의 갭 또는 슬릿(slit)
38 고리 부품들의 간격
V 전안방 및 각 V'
H 후안방
X 분절 29'의 반경 움직임을 표시하기 위한 화살 표시
Z 장축
R,R" 제1 개구부 (32, 33) 열
1,1' 안방수의 흐름 방향

Claims (15)

  1. 공막 (13)의 적어도 한 지점에서 노출된 쉴렘관 (15)으로 삽입가능한 관(tube)을 포함하는 녹내장 치료용 임플란트로서,
    상기 관은, 유연하며 구부릴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섬유주를 경유한 안방수 배액을 위해, 섬유주 조직 (18), 상기 관의 내부 공간 (30) 및 상공막 정맥 계통 (20)과 소통하도록(in correspondence with), 축 및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개구부를 포함하며,
    제1 개구부 (32, 33, 36, 36', 38)들이 상기 관 (25.1 - 25.5)의 벽부에 기하학적 패턴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상기 관이, 관 (25.1 - 25.5)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분절 (27)을 포함하는 호형 (arc)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며,
    상기 분절이, 축 방향으로, 상기 제1 개구부 (32, 33, 36, 36', 38)와 유사하게 상기 관의 내부와 소통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제2 개구부 (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내장 치료용 임플란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 (32)가,
    사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상기 관 (25.1)의 벽부 (31.1)에 스크린-형태의 천공의 케이싱 구조 (screen-shaped perforated casing structure)로서 관 (25.1)의 원주 및 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내장 치료용 임플란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 (33)가,
    긴 사각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관 (25.2)의 벽부 (31.2)에 천공의 케이싱으로서 축 방향으로, 서로 분리된 열 (R') 형태로, 및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내장 치료용 임플란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 (36, 36')가, 원주 및 축 방향으로 배치된 웨브 (web) (35, 35')에 의해 격자형 케이싱 구조로서 상기 관 (25.3)의 벽부 (31.3)에 배치되며,
    상기 관에서 상기 웨브 (35, 35')들 사이의 개구부들은, 원주 방향으로 배향된 개구부가 축 방향으로 배향된 개구부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내장 치료용 임플란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절 (28)에 배치된 상기 개구부 (28)들은, 웨브 (28')들에 의해 분리된 긴 사각형의 구멍으로서 구성되며, 크기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서로 이격되어 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내장 치료용 임플란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절 (27)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 긴 사각형 구멍들로서 구성된 제2 개구부 (28)는, 분절의 양쪽 말단에서 반원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내장 치료용 임플란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 (25.4, 25.5)이 상기 분절 (27)에 연결된 둥근 호형 형상의 복수개의 고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 부재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갭 (38)에 의해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내장 치료용 임플란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절 (27)의 한쪽 면에서 반대쪽 면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향된 상기 제1 개구부 (38)가 각각 290 ° 내지 310°의 개방 각 (W)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내장 치료용 임플란트.
  9. 제7항 및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절 (27)의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고리 부재 (29)들은, 상기 분절 (27)의 맞은편 쪽에서, 슬롯, 예를 들어 Z자형 슬롯 (37)에 의해, 서로 벌어질 수 있는 2개의 부분으로 각각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내장 치료용 임플란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관 (25.1 - 25.5)의 벽부에 기하학적 패턴으로 배치된 상기 제1 개구부 (32, 33, 36, 36', 38), 및 상기 제2 개구부 (28)와 상기 고리 부재 (27)를 포함하는 상기 분절 (27)이, 마이크로-레이저 처리, 바람직하게는 엑시머 레이저(excimer laser)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내장 치료용 임플란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의 표면과 상기 관의 에지(edge)에 발생하는 돌기 (burr), 풀린 부분 (fray)은 모두 열적 디버링(thermal deburring)을 통해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내장 치료용 임플란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처리에 의해, 상기 관 (25.1 - 25.5)에 형성된 상기 에지, 특히 상기 둥근 호형 형상의 고리 부재 (29)의 에지는, 고리 부재가 반경 0.025 mm - 0.2 mm을 가지도록 둥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내장 치료용 임플란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 (25.1 - 25.5)이 생체적합한 물질로부터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열적 또는 기계적 형상 기억 성질을 가진 폴리머 물질로부터 제조되며, 헤파린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내장 치료용 임플란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 (25.1 - 25.5)이, 노출된 둥근 쉴렘관 (15)의 내강 (16)으로 삽입되고, 체온으로 인해 본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대략 둥근 호형 형태로 구부려질 수 있으며 직경 방향(cross section)으로 유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내장 치료용 임플란트.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 (25.1 - 25.5)이, 생물학적으로 적합한 물질, 예컨대 금 또는 니티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내장 치료용 임플란트.
KR1020137024813A 2011-02-23 2011-02-23 녹내장 치료용 임플란트 KR201400079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1/052683 WO2012113450A1 (de) 2011-02-23 2011-02-23 Implantat zur behandlung von glauko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918A true KR20140007918A (ko) 2014-01-20

Family

ID=44625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4813A KR20140007918A (ko) 2011-02-23 2011-02-23 녹내장 치료용 임플란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492319B2 (ko)
EP (1) EP2677981B1 (ko)
JP (1) JP5902720B2 (ko)
KR (1) KR20140007918A (ko)
CN (1) CN103476371B (ko)
CA (1) CA2827306C (ko)
ES (1) ES2802602T3 (ko)
WO (1) WO20121134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9789B2 (en) 2006-06-26 2011-03-22 Sight Sciences, Inc. Intraocular implants and methods and kits therefor
JP5856569B2 (ja) 2010-02-05 2016-02-10 サイト サイエンシ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眼内圧を低減するためのデバイスと、それを含むキット
EP2677981B1 (de) 2011-02-23 2020-04-01 Grieshaber Ophthalmic Research Foundation Implantat zur behandlung von glaukom
US8747299B2 (en) 2011-06-02 2014-06-10 Grieshaber Ophtalmic Research Foundation Method and device for the pathology analysis of the Schlemm's canal
US9095412B2 (en) 2012-03-20 2015-08-04 Sight Sciences, Inc. Ocular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AU2015374033B2 (en) 2014-12-31 2020-07-02 Microoptx Inc. Glaucoma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US10299958B2 (en) 2015-03-31 2019-05-28 Sight Sciences, Inc. Ocular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WO2017059272A1 (en) 2015-09-30 2017-04-06 Microoptx Inc. Dry eye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CN106726124B (zh) * 2017-03-03 2023-08-18 杨勋 一种可通过非侵入式方法定量调节的青光眼引流管
CN107981969B (zh) * 2017-12-29 2023-07-14 苏州朗目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青光眼内引流替代仿生支架
CN114502098A (zh) * 2019-07-10 2022-05-13 阿奎健康公司 眼支架和递送系统
US11504270B1 (en) 2019-09-27 2022-11-22 Sight Sciences, Inc. Ocular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JP2022552284A (ja) 2019-10-10 2022-12-15 シファメド・ホールディングス・エルエルシー 流量調整可能な緑内障用シャントならびに関連システム及び方法
AU2021209698A1 (en) 2020-01-23 2022-08-04 Shifamed Holdings, Llc Adjustable flow glaucoma shu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AU2021219845A1 (en) 2020-02-14 2022-09-01 Shifamed Holdings, Llc Shunting systems with rotation-based flow control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EP4106695A4 (en) 2020-02-18 2024-03-20 Shifamed Holdings Llc ADJUSTABLE FLOW GLAUCOMA SHUNTS WITH NON-LINEAR FLOW CONTROL ELEME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1766355B2 (en) 2020-03-19 2023-09-26 Shifamed Holdings, Llc Intraocular shunts with low-profile actuation eleme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1596550B2 (en) 2020-04-16 2023-03-07 Shifamed Holdings, Llc Adjustable glaucoma treatment devi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1672702B2 (en) * 2020-05-15 2023-06-13 Eyeflow,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ant in the conventional aqueous humor outflow pathway of a mammalian eye
EP4149401A4 (en) * 2020-05-15 2024-02-14 Eyeflow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LACING AN IMPLANT IN THE CONVENTIONAL AQUEOUS HUMOR FLOW PATH OF A MAMMALIAN EYE
WO2022149249A1 (ja) * 2021-01-07 2022-07-14 株式会社ドックスネット インプラント、及び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EP4281144A1 (en) 2021-01-22 2023-11-29 Shifamed Holdings, LLC Adjustable shunting systems with plate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114855257A (zh) * 2022-04-20 2022-08-05 湖南华翔医疗科技有限公司 金属膜材的边缘抛光方法及金属膜材和应用
CN116370186A (zh) * 2023-03-27 2023-07-04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同仁医院 一种schlemm氏管扩张支架及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0399A (en) 1992-01-10 1994-11-01 Robert Stegman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the normal intraocular pressure
DE59309410D1 (de) 1992-11-06 1999-04-08 Grieshaber & Co Ag Einrichtung für mikrochirurgische Eingriffe am Auge eines Lebewesens
ATE187652T1 (de) 1992-11-06 2000-01-15 Grieshaber & Co Ag Ophthalmologisches aspirations- und irrigationssystem
ATE168260T1 (de) 1993-05-07 1998-08-15 Grieshaber & Co Ag Augenchirurgische einrichtung zum zerkleinern und entfernen des linsenkerns aus dem auge eines lebewesens
DE59510513D1 (de) 1994-11-07 2003-01-30 Grieshaber & Co Ag Vorrichtung zum Zerkleinern und Entfernen des Linsenkerns
EP0717970A1 (de) 1994-12-20 1996-06-26 GRIESHABER & CO. AG SCHAFFHAUSEN Opthalmologische Aspirations- und Irrigationseinrichtun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US5716328A (en) 1996-08-07 1998-02-10 Grieshaber & Co. Ag Schaffhausen Iris retractor for use in surgical procedure on the eye of a living being
EP0898947A3 (de) 1997-08-15 1999-09-08 GRIESHABER & CO. AG SCHAFFHAUS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bessern des Kammerwasserabflusses in einem Auge
DE19840047B4 (de) * 1998-09-02 2004-07-08 Neuhann, Thomas, Prof.Dr.med. Vorrichtung zur gezielten Verbesserung und/oder dauerhaften Gewährleistung des Durchlässigkeitsvermögens für Augenkammerwasser durch das Trabekelwerk in den Schlemmschen Kanal
US6149274A (en) 1998-11-07 2000-11-21 Grieshaber & Co. Ag Schaffhaus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ocusing a light flux
US20050119601A9 (en) * 1999-04-26 2005-06-02 Lynch Mary G. Shunt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glaucoma
JP2003514616A (ja) 1999-11-24 2003-04-22 グリースハーバー ウント コンパニー アーゲー シャフハウゼン 生体の眼の房水の流出を改善するための装置
US6726676B2 (en) 2000-01-05 2004-04-27 Grieshaber & Co. Ag Schaffhausen Method of and device for improving the flow of aqueous humor within the eye
US6375642B1 (en) 2000-02-15 2002-04-23 Grieshaber & Co. Ag Schaffhausen Method of and device for improving a drainage of aqueous humor within the eye
US6332866B1 (en) 2000-03-21 2001-12-25 Grieshaber & Co. Ag Schaffhausen Iris retractor for use in surgical procedure on the eye of a living being
US7708711B2 (en) 2000-04-14 2010-05-04 Glaukos Corporation Ocular implant with therapeutic agents and methods thereof
US6561974B1 (en) 2000-05-31 2003-05-13 Grieshaber & Co. Ag Schaffhausen Device for use in a surgical procedure on an eye of a living being, and method of retracting the iris
US6666841B2 (en) 2001-05-02 2003-12-23 Glaukos Corporation Bifurcatable trabecular shunt for glaucoma treatment
US6981958B1 (en) 2001-05-02 2006-01-03 Glaukos Corporation Implant with pressure sensor for glaucoma treatment
AT409586B (de) 2001-04-26 2002-09-25 Clemens Dr Vass Drainageimplantat zur ableitung von kammerwasser aus der vorderen augenkammer in den schlemm'schen kanal
WO2004026347A2 (en) * 2002-09-17 2004-04-01 Iscience Surgica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urgical bypass of aqueous humor
JP2007535386A (ja) 2004-04-29 2007-12-06 アイサイエンス・インターベンショナル・コーポレーション 房水排出の外科的強化のための装置
EP1833440B1 (en) 2004-12-16 2012-08-22 Iscience Interventional Corporation Ophthalmic implant for treatment of glaucoma
US20070213810A1 (en) * 2005-03-14 2007-09-13 Richard Newhauser Segmented endoprosthesis
US7909789B2 (en) * 2006-06-26 2011-03-22 Sight Sciences, Inc. Intraocular implants and methods and kits therefor
EP2088976B1 (en) * 2006-11-10 2019-07-03 Glaukos Corporation Uveoscleral shunt
EP2194941B1 (en) * 2007-09-24 2013-07-10 Ivantis, Inc. Ocular implants
EP2259833A1 (en) * 2008-03-05 2010-12-15 Ivanti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glaucoma
CH700161A2 (de) 2008-12-22 2010-06-30 Grieshaber Ophthalmic Res Foun Implantat zum einführen in den schlemmschen kanal eines auges.
US8951221B2 (en) 2009-08-20 2015-02-10 Grieshaber Ophthalmic Research Foundation Method and device for the treatment of glaucoma
US8845572B2 (en) 2009-11-13 2014-09-30 Grieshaber Ophthalmic Research Foundation Method and device for the treatment of glaucoma
EP2677981B1 (de) 2011-02-23 2020-04-01 Grieshaber Ophthalmic Research Foundation Implantat zur behandlung von glaukom
US8747299B2 (en) 2011-06-02 2014-06-10 Grieshaber Ophtalmic Research Foundation Method and device for the pathology analysis of the Schlemm's ca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77981B1 (de) 2020-04-01
US9492319B2 (en) 2016-11-15
CN103476371B (zh) 2015-12-16
CN103476371A (zh) 2013-12-25
JP5902720B2 (ja) 2016-04-13
WO2012113450A1 (de) 2012-08-30
EP2677981A1 (de) 2014-01-01
CA2827306A1 (en) 2012-08-30
CA2827306C (en) 2018-03-27
US20130331760A1 (en) 2013-12-12
JP2014513574A (ja) 2014-06-05
ES2802602T3 (es)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7918A (ko) 녹내장 치료용 임플란트
TWI527573B (zh) 治療青光眼之裝置
KR101735536B1 (ko) 눈의 쉴렘관 내로 삽입하기 위한 임플란트
KR20120064679A (ko) 녹내장 치료 방법 및 장치
US8444589B2 (en) Ocular implant with fluid outflow pathways having microporous membranes
US20020013546A1 (en) Method and device to improve aqueous humor drainage in an eye
CN108778398B (zh) 干眼症治疗装置和方法
US11833077B2 (en) Modular glaucoma implant
CN111757718A (zh) 用于调节眼压的眼部疾病用植入装置
JP2018501010A (ja) 緑内障治療装置および方法
EP3468513B1 (en) Devices and systems for trabecular meshwork extension
US11980574B2 (en) Ocular device for treating glaucoma and related minimally invasive glaucoma surgery method
WO2024013483A1 (en) Ocular implant, kit, method of deploy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