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447U -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447U
KR20140006447U KR2020130004915U KR20130004915U KR20140006447U KR 20140006447 U KR20140006447 U KR 20140006447U KR 2020130004915 U KR2020130004915 U KR 2020130004915U KR 20130004915 U KR20130004915 U KR 20130004915U KR 20140006447 U KR20140006447 U KR 201400064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source
injection
injection mode
liqui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9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49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6447U/ko
Publication of KR201400064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44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6Cleaning devices for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관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분사기구, 상기 분사기구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원, 상기 분사기구로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기체 공급원, 상기 액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가 상기 분사기구를 통해 분사되는 수압 분사모드 및 상기 기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기체가 상기 분사기구를 통해 분사되는 공압 분사모드 간에 분사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개폐기구 및 상기 개폐기구에 의해 상기 액체 공급원 및 상기 기체 공급원 중에서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일측이 상기 개폐기구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분사기구에 연결되는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배수관을 절단하고 재 설치하지 않고도 이물질에 대한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이물질 제거공정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물질 제거공정에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of Ship}
본 고안은 선박의 배수관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체의 기본 구조는 판재, 횡늑골(Transverse frames), 종방향 거더(Longitudinal Girder), 론지(Longi, Stiffner, 이하 "보강부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체의 주요 판재는 갑판(Hull), 외판(Shell), 거더(Girder)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갑판은 선수에서 선미까지를 통과하여 외판과 함께 선체의 종강도를 담당하는 부재이다. 또한, 갑판은 선박의 외부에 드러나 선체의 상면을 수밀하고, 선박 내부로의 침수를 방지하여 외판과 함께 선박의 부력을 확보해 주며, 비와 바람을 막아 주고 햇볕을 가려주는 역할을 한다.
갑판에는 양쪽 현(舷)의 여러 곳에 배수공(排水孔)이 뚫려 있다. 배수공은 갑판에서 흐르는 물이 배출되는 구멍으로, 배수관(排水管)과 연결되어 있다. 비가 오거나, 갑판을 청소하기 위해 물을 뿌리는 경우, 배수공 또는 배수관이 이물질에 의해 막혀있다면 갑판에서 물이 빠져나가지 못해 물이 점차 차오르는 문제가 발생한다.
배수관에 투입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기체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공압 분사장치가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압 분사장치는 가벼운 이물질은 제거가 가능하나, 배수관을 단단히 막고 있는 이물질이나 무거운 이물질은 제거할 수 없다. 따라서, 배수관에 투입된 이물질은 배수관을 절단하는 방법으로 제거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배수관의 이물질 제거방법은 절단된 배수관을 폐기한 후에, 새로 제조된 배수관을 재 설치해야 하므로, 이물질 제거공정이 지연되고 이물질 제거공정에 소모되는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선박의 배수관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배수관을 절단하고 재 설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는 배수관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분사기구, 상기 분사기구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원, 상기 분사기구로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기체 공급원, 상기 액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가 상기 분사기구를 통해 분사되는 수압 분사모드 및 상기 기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기체가 상기 분사기구를 통해 분사되는 공압 분사모드 간에 분사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개폐기구 및 상기 개폐기구에 의해 상기 액체 공급원 및 상기 기체 공급원 중에서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일측이 상기 개폐기구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분사기구에 연결되는 이송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는 상기 수압 분사모드를 설정한 이후에 상기 공압 분사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개폐기구를 제어하는 설정 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는 상기 수압 분사모드를 설정한 이후에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공압 분사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개폐기구를 제어하는 설정 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배수관에 따라 형태가 변형되도록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은 선박의 배수관을 절단하고 재 설치하지 않고도 이물질에 대한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이물질 제거공정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물질 제거공정에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가 선박의 배수관에는 본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가 선박의 배수관에는 본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1)는 배수관(100)에 위치한 이물질(200)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배수관(100)은 선박에 설치되는 것으로, 특히 갑판에 설치됨으로써 우천 시의 빗물 또는 갑판을 청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을 배수하여 갑판에 물이 고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물질(200)은 물이 상기 배수관(100)을 통해 배수되는 과정에서 물과 함께 상기 배수관(100)으로 유입된 각종 비닐, 선박 건조에 사용되는 각종 자재 또는 배수공을 임시 덮어두는 배수공 커버 등의 덩어리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1)는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원(2),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기체 공급원(3), 배수관(100)에 위치한 이물질(200)을 제거하기 위한 분사기구(4), 상기 액체 공급원(2)으로부터 공급되는 기체가 상기 분사기구(4)를 통해 분사되는 수압 분사모드 및 상기 기체 공급원(3)으로부터 공급되는 기체가 상기 분사기구(4)를 통해 분사되는 공압 분사모드 간에 분사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개폐기구(5) 및 일측이 상기 개폐기구(5)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분사기구(4)에 연결되는 이송부재(6)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재(6)는 상기 개폐기구(5)에 의해 상기 액체 공급원(2) 및 상기 기체 공급원(3) 중에서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기구(5)는 상기 수압 분사모드 및 공압 분사모드 간에 분사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1)는 액체를 분사하는 수압 분사모드 및 기체를 분사하는 공압 분사모드를 선택적으로 이용하고자 분사모드를 전환할 수 있으므로, 배수관(100)에 위치한 이물질(200)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1)는 상기 배수관(100)을 절단한 후 재 설치하지 않고도 상기 배수관(100)을 막고 있는 이물질(200)에 대한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이물질 제거공정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물질 제거공정에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액체 공급원(2), 상기 기체 공급원(3), 상기 분사기구(4), 상기 개폐기구(5) 및 상기 이송부재(6)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액체 공급원(2)은 상기 분사기구(4)로 액체를 공급한다. 상기 액체 공급원(2)은 상기 분사기구(4)로 공급하기 위한 액체를 저장한다. 예컨대, 상기 액체 공급원(2)은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액체 공급원(2)은 저장된 액체에 고압의 압력을 가함으로써, 저장된 액체를 상기 분사기구(4)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1)는 수압 분사모드로 설정되어 상기 배수관(100)에 위치한 이물질(200)을 향해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액체 공급원(2)은 제1전달부재(21)를 이용하여 액체를 상기 분사기구(4)로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전달부재(21)는 일측이 상기 액체 공급원(2)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개폐기구(5)에 연결된다. 상기 제1전달부재(21)는 액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갖는 것으로, 예컨대 호스일 수 있다.
상기 기체 공급원(3)은 상기 분사기구(4)로 기체를 공급한다. 상기 기체 공급원(3)은 상기 분사기구(4)로 공급하기 위한 기체를 저장한다. 예컨대, 상기 기체 공급원(3)은 공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체 공급원(3)은 저장된 기체에 고압의 압력을 가함으로써, 저장된 기체를 상기 분사기구(4)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1)는 공압 분사모드로 설정되어 상기 배수관(100)에 위치한 이물질(200)을 향해 기체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기체 공급원(3)은 제2전달부재(31)를 이용하여 기체를 상기 분사기구(4)로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전달부재(31)는 일측이 상기 기체 공급원(3)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개폐기구(5)에 연결된다. 상기 제2전달부재(31)는 기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갖는 것으로, 예컨대 호스일 수 있다.
상기 분사기구(4)는 배수관(100)에 위치한 이물질(200)을 제거한다. 상기 분사기구(4)는 상기 액체 공급원(2)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 또는 상기 기체 공급원(3)으로부터 공급되는 기체를 상기 배수관(100)에 위치한 상기 이물질(200)을 향해 분사함으로써, 상기 배수관(100)으로부터 상기 이물질(200)을 제거한다. 상기 분사기구(4)는 상기 이송부재(6)에 연결된다. 상기 이송부재(6)는 일측이 상기 개폐기구(5)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분사기구(4)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분사기구(4)는 상기 이송부재(6)로부터 이송되는 액체 및 기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상기 분사기구(4)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개폐기구(5)는 수압 분사모드 및 공압 분사모드 간에 분사모드를 전환한다.
상기 개폐기구(5)는 상기 상기 제1전달부재(21)를 통해 상기 액체 공급원(2)에 연결되고, 상기 제2전달부재(31)를 통해 상기 기체 공급원(3)에 연결된다. 상기 개폐기구(5)는 상기 이송부재(6)를 통해 상기 분사기구(4)에 연결된다. 상기 개폐기구(5)에는 상기 제1전달부재(21), 상기 제2전달부재(31) 및 상기 이송부재(6)가 각각 다른 위치에 연결된다.
상기 개폐기구(5)는 상기 이송부재(6)가 상기 제1전달부재(21) 및 상기 제2전달부재(31) 중에서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개폐기구(5)는 상기 제1전달부재(21)를 개방시켜서 상기 이송부재(6)에 연결하고 상기 제2전달부재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제1전달부재(21)로부터 상기 이송부재(6)로 액체를 이송시킴에 따라 수압 분사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개폐기구(5)는 상기 제2전달부재(31)를 개방시켜서 상기 이송부재(6)에 연결하고 상기 제1전달부재(21)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제2전달부재(31)로부터 상기 이송부재(6)로 기체를 이송시킴에 따라 공압 분사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개폐기구(5)는 밸브일 수 있다.
상기 개폐기구(5)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1)가 상기 수압 분사모드를 설정한 이후에 상기 공압 분사모드로 분사모드를 전환하거나, 상기 공압 분사모드를 설정한 이후에 상기 수압 분사모드로 분사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1)는 상기 수압 분사모드 및 상기 공압 분사모드를 선택적으로 이용하고자 분사모드를 전환할 수 있으므로, 이물질(200)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이송부재(6)는 일측이 상기 개폐기구(5)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분사기구(4)에 연결된다. 상기 이송부재(6)는 상기 개폐기구(5)에 의해 상기 액체 공급원(2) 및 상기 기체 공급원(3) 중에서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부재(6)는 상기 액체 공급원(2)에 연결됨에 따라 액체가 상기 분사기구(4)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송부재(6)는 상기 기체 공급원(3)에 연결됨에 따라 기체가 상기 분사기구(4)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이송부재(6)는 상기 배수관(100)에 따라 형태가 변형되도록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부재(6)는 상기 배수관(100)의 형태가 다양한 곡률을 가지더라도 상기 배수관(100)에 삽입되어 상기 분사기구(4)가 이물질(200)을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6)는 형태가 변형되므로, 상기 분사기구(4)를 상기 배수관(100)에서 이물질(200)이 막힌 부분에 더 근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1)는 분사기구로부터 분사되는 액체와 기체의 압력이 손실되는 정도를 줄임으로써, 이물질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상기 이송부재(6)는 호스(Hose)일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1)는 설정 전환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 전환부(7)는 상기 수압 분사모드를 설정한 이후에 상기 공압 분사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개폐기구(5)를 제어한다. 상기 설정 전환부(7)는 상기 개폐기구(5)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수압 분사모드를 설정한 이후에 상기 공압 분사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1)는 배수관(100)에 위치한 상기 이물질(200)을 제거하기 위해, 우선 상기 수압 분사모드를 설정함으로써 액체(300)를 분사한다. 이 경우, 상기 배수관(100)은 상기 이물질(200)과 상기 액체(300)를 함께 수용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1)는 상기 배수관(100)에 위치한 상기 이물질(200) 및 상기 액체(300)에 상기 공압 분사모드를 설정함으로써 기체를 분사한다. 이 경우,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배수관(100)에 위치하는 상기 이물질(200) 및 상기 액체(300)는 상기 기체(400)의 압력에 의해 상기 기체(400)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1)는 상기 배수관(100)에 위치한 상기 이물질(200)을 이동시킴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1)는 상기 설정 전환부(7)에 의해 상기 배수관(100)에 위치한 상기 이물질(200)에 상기 액체(300)를 분사한 후 상기 기체(400)를 분사함으로써, 기체만을 분사하는 경우에 비해 상기 이물질(200)에 더 강력한 압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1)는 상기 설정 전환부(7)가 상기 수압 분사모드를 설정한 이후에 상기 공압 분사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배수관(100)에 위치한 상기 이물질(200)을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설정 전환부(7)는 상기 수압 분사모드를 설정한 이후에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공압 분사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개폐기구(5)를 제어한다. 상기 설정 전환부(7)는 상기 개폐기구(5)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수압 분사모드를 설정한 이후에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상기 공압 분사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1)는 상기 설정 전환부(7)가 상기 수압 분사모드를 설정함에 따라 상기 분사기구(4)로 액체를 이송시킨 이후에, 상기 공압 분사모드로 분사모드를 자동 전환함에 따라 상기 분사기구(4)로 기체를 이송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1) 상기 수압 분사모드를 설정한 이후에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공압 분사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개폐기구(5)를 제어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상기 배수관(100)에 위치한 상기 이물질(200)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1)는 분사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함으로써, 분사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생략 가능하게 하므로 이물질(200) 제거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 2 : 액체 공급원
3 : 기체 공급원 4 : 분사기구
5 : 개폐기구 6 : 이송부재
7 : 설정 전환부 21 : 제1전달부재
31 : 제2전달부재 100 : 배수관
200 : 이물질 300 : 액체
400 : 기체

Claims (4)

  1. 배수관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분사기구;
    상기 분사기구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원;
    상기 분사기구로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기체 공급원;
    상기 액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가 상기 분사기구를 통해 분사되는 수압 분사모드 및 상기 기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기체가 상기 분사기구를 통해 분사되는 공압 분사모드 간에 분사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개폐기구; 및
    상기 개폐기구에 의해 상기 액체 공급원 및 상기 기체 공급원 중에서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일측이 상기 개폐기구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분사기구에 연결되는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 분사모드를 설정한 이후에 상기 공압 분사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개폐기구를 제어하는 설정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 분사모드를 설정한 이후에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공압 분사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개폐기구를 제어하는 설정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배수관에 따라 형태가 변형되도록 유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
KR2020130004915U 2013-06-19 2013-06-19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 KR2014000644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915U KR20140006447U (ko) 2013-06-19 2013-06-19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915U KR20140006447U (ko) 2013-06-19 2013-06-19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447U true KR20140006447U (ko) 2014-12-30

Family

ID=53611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915U KR20140006447U (ko) 2013-06-19 2013-06-19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644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475B1 (ko) * 2018-07-23 2019-11-0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광학장비 투시창 세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10997A (ko) * 2019-05-27 2020-01-3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광학장비 투시창 세척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475B1 (ko) * 2018-07-23 2019-11-0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광학장비 투시창 세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10997A (ko) * 2019-05-27 2020-01-3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광학장비 투시창 세척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6447U (ko) 선박용 이물질 제거장치
JP4850775B2 (ja) 基板処理装置
KR20150063216A (ko) 빙해역 운항 선박의 선미형 쇄빙 보조 장치
KR20140013724A (ko) 비데
KR101019740B1 (ko) 해수 또는 밸러스트수를 이용하여 진행 방향 조정이 가능한선박
KR20140058740A (ko) 수문장치
KR20160003529A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씨체스트 청소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688110B1 (ko) 오일방제 기능을 갖는 오일펜스
KR101445007B1 (ko) 스윙 게이트 밸브
JP2003276675A (ja) 船首スラスター用外板開口部の船体抵抗低減装置
KR101046315B1 (ko) 침전지용 슬러지 워터제트 이송장치
KR102018744B1 (ko) 선박의 사이드 스러스터
KR101762590B1 (ko) 워터커튼 시스템
KR20150100109A (ko) 압축공기 혼합식 에어필터 세정장치
KR101627603B1 (ko) 스팀 보일러
KR102632195B1 (ko) 선별 세척 시설이 설치된 해사 채취 운반선
KR101013643B1 (ko) 폐비닐세척용 이물질제거장치
KR101729736B1 (ko) 해수를 이용한 선박의 진화장치
KR102389328B1 (ko) 드론 베이스 스테이션
KR100671438B1 (ko) 소형 수문이 장착된 도크 게이트
JP3172874U (ja) チップ船の清水散水設備
JP2008205360A (ja) 基板処理装置
KR101792178B1 (ko) 언더플로를 이용한 청소 및 건조 설비
KR101665442B1 (ko) 시추 구조물의 드레인 처리 시스템
KR101875085B1 (ko) 해양구조물의 오픈 드레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