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178B1 - 언더플로를 이용한 청소 및 건조 설비 - Google Patents

언더플로를 이용한 청소 및 건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178B1
KR101792178B1 KR1020160061280A KR20160061280A KR101792178B1 KR 101792178 B1 KR101792178 B1 KR 101792178B1 KR 1020160061280 A KR1020160061280 A KR 1020160061280A KR 20160061280 A KR20160061280 A KR 20160061280A KR 101792178 B1 KR101792178 B1 KR 101792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nozzle
tube
lane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흥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1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2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더플로를 이용한 청소 및 건조 설비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매설되고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관으로 마련되는 튜브레인;
상기 튜브레인 내에 흐르는 유체가 상기 바닥을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바닥을 관통하여 상기 튜브레인과 연결되는 노즐; 및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상기 유체의 분사압력 또는 분사순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언더플로를 이용한 청소 및 건조 설비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언더플로를 이용한 청소 및 건조 설비 {INSTALLATION FOR CLEANING AND DRYING USING THE UNDEFLOW}
본 발명은 언더플로를 이용한 청소 및 건조 설비에 관한 것으로, 바닥으로부터 유체를 분사시켜 바닥에 존재하는 먼지 및 이물질을 한 곳에 모아 손쉽게 청소를 도울 수 있으며, 청소 후에는 공기를 분사시켜 바닥을 건조시킬 수 있는 언더플로를 이용한 청소 및 건조 설비에 관한 것이다.
선박 및 해양설비 내의 화장실의 경우, 한정된 공간을 활용해야 하는 공간적 제약에 의해 협소할 뿐만 아니라, 각종 시설에 의해 간섭되는 공간이 많아 바닥을 청소함에 있어서 어려움이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한, 객실 내의 화장실의 경우 공기의 순환이나 환기를 시키기 어려운 조건이라, 화장실을 사용함에 있어서 바닥이 젖을 경우 잘 마르지 않아 쉽게 물때가 끼거나 세균이 번식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미끄러운 바닥으로 인해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존재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객실 내 화장실의 바닥 청소가 손쉽게 할 수 있으며, 환기가 어려운 여건에서도 화장실 바닥을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는 청소 및 건조 설비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바닥으로부터 유체를 분사시켜 바닥에 존재하는 먼지 및 이물질을 한 곳에 모아 손쉽게 청소를 도울 수 있으며, 청소 후에는 공기를 분사시켜 바닥을 건조시킬 수 있는 언더플로를 이용한 청소 및 건조 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언더플로를 이용한 청소 및 건조 설비는, 바닥에 매설되고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관으로 마련되는 튜브레인; 상기 튜브레인 내에 흐르는 유체가 상기 바닥을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바닥을 관통하여 상기 튜브레인과 연결되는 노즐; 및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상기 유체의 분사압력 또는 분사순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튜브레인과 연결되어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레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된 각각의 튜브레인과 상기 공급레인이 연결되는 연결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튜브레인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상기 유체의 분사압력을 제어하는 복수 개의 펌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튜브레인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레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된 각각의 튜브레인과 상기 공급레인이 연결되는 연결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튜브레인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유체의 흐름을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상기 유체의 분사순서를 제어하는 복수 개의 밸브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복수 개의 튜브레인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레인; 및 상기 공급레인에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공기를 분사시켜 상기 바닥을 건조시키는 뉴매틱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언더플로를 이용한 청소 및 건조 설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바닥으로부터 유체를 분사시켜 바닥에 존재하는 먼지 및 이물질을 한 곳으로 손쉽게 모을 수 있어, 협소할 뿐만 아니라 각종시설에 의한 간섭이 많은 공간 내에서도 바닥 청소를 빠르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환기가 어려운 여건에서도 청소 후에 공기를 분사시켜 바닥을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바닥에 설치되는 튜브레인 및 노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레인, 노즐, 공급레인 및 펌프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플로를 이용한 청소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레인, 노즐, 공급레인 및 밸브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플로를 이용한 건조 설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먼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언더플로를 이용한 청소 및 건조 설비는 튜브레인(100), 노즐(200) 및 제어부(400, 500)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레인(100)은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관으로서, 객실 내 화장실의 바닥과 같이 주기적인 청소가 요구되는 실내의 바닥(10)에 매설될 수 있다.
이러한 튜브레인(100)은 띠의 형태로 마련되어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도 2와 같이 바닥(10)의 외곽에서부터 중심에 이르기까지 바닥(10) 전체를 경유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튜브레인(100)은 설치 환경에 따라 금속재, PVC 등을 포함한 합성수지재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배치 형태 또한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바닥(10)에 매설될 수 있다.
노즐(200)은 앞서 설명한 튜브레인(100) 내에 흐르는 유체가 바닥(1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바닥(10)을 관통하여 튜브레인(1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노즐(200)은 별도의 관으로 마련되어 바닥(10)을 관통하여 튜브레인(1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바닥(10) 자체에 미리 천공된 홀 또는 필요에 따라 후속 공정을 통해 튜브레인(100)이 매설된 위치를 따라 드릴링된 홀로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노즐(200) 또한 튜브레인(100)과 마찬가지로, 도 2와 같이 바닥(10)의 외곽에서부터 중심에 이르기까지 바닥(10) 전체에 걸쳐 분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튜브레인(100)으로 공급되어 노즐(20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유체의 경우에는 물로 구성되는 것이 통상적이나, 필요에 따라 살균, 소독, 그리고 건조의 용이성을 위해 세제 또는 화학용액이 혼합될 수도 있다.
제어부(400, 500)는 바닥(10)의 외곽에 위치한 노즐(200)에서부터 바닥(10)의 중심에 위치한 노즐(200)에 이르기까지, 노즐(200)을 통해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압력 또는 분사순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언더플로를 이용한 청소 및 건조 설비는 전술한 복수 개의 튜브레인(100)과 각각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레인(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레인(300)이라 함은 상기 복수 개의 튜브레인(100)과 각각 연결되어 물 또는 화학용액이 혼합된 유체를 각각의 튜브레인(100)으로 공급하는 관을 말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급레인(300)의 경우, 선박 및 객실의 제반 시설 중 하나인 수도관과 연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별도로 마련된 공급탱크와 연결되어 튜브레인(100)으로 유체를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공급레인(300)에는 공급레인(300)을 통해 튜브레인(100)으로 공급되는 유체의 공급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압력조절장치가 포함될 수도 있다.
본론으로 돌아와, 제어부(400, 500)는 띠의 형태로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된 각각의 튜브레인(100)과 공급레인(300)이 연결되는 연결지점에 설치되는 펌프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펌프유닛(500)은 상기 복수 개의 튜브레인(100)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노즐(20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상기 유체의 분사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0, 500)는 전술한 펌프유닛(500)을 이용해 바닥(10)의 중심으로부터 바닥(10)의 외곽으로 갈수록 노즐(20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압력이 점차적으로 강해질 수 있게 유체의 분사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10)에 존재하는 먼지 또는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D)들은 노즐(200)을 통해 분사되는 유체(W)에 의해 바닥(10)으로부터 해리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10)의 외곽에 비해 중심에 위치한 노즐(200)을 통해 분사되는 유체(W)의 분사압력이 약하기 때문에, 바닥(10)으로부터 해리된 이물질들은 바닥(10)의 중심부로 모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언더플로를 이용한 청소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을 통해, 바닥(10)에 존재하는 이물질(D)들을 바닥(10)의 중심으로 쉽게 모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바닥(10)의 중심에 모인 이물질(D)들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일일이 바닥(10)을 쓸고 닦아 이물질(D)을 제거할 필요가 없으며, 객실 내 화장실과 같이 시설물에 의한 공간간석이 많고 협소한 공간에서도 쉽게 바닥청소를 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0, 500)은 띠의 형태로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된 각각의 튜브레인(100)과 앞서 언급한 공급레인(300)이 연결되는 연결지점에 설치되는 밸브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밸브유닛(400)은 복수 개의 튜브레인(100)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을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노즐(20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순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노즐(20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순서가 바닥(10)의 외곽에 위치하는 노즐(200)부터 시작되어 순차적으로 바닥(10)의 중심에 위치하는 노즐까지 이르도록, 밸브유닛(400)을 이용해 상기 유체의 분사순서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닥(10)에 존재하는 먼지 또는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들은 노즐(200)을 통해 분사되는 유체에 의해 바닥(10)으로부터 해리될 수 있으며, 바닥(10) 외곽의 노즐(200)에서부터 바닥(10) 중심의 노즐(200)까지 순차적으로 분사되는 유체에 의해 바닥(10)의 중심부로 모일 수 있다.
그리고 앞서 펌프유닛(500)을 이용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일일이 바닥(10)을 쓸고 닦아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없으며, 바닥(10)의 중심에 모인 이물질들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0, 5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밸브유닛(400) 및 펌프유닛(500)이 조합되어 구성됨으로써, 노즐(200)을 통해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압력뿐만 아니라 분사순서를 조절하여, 바닥(10)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언더플로를 이용한 청소 및 건조 설비는 뉴매틱유닛(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뉴매틱유닛(600)은 복수 개의 튜브레인(100)과 각각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레인(300)에 공기(A)를 공급하고, 노즐(200)을 통해 공기(A)를 분사시켜 바닥(10)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뉴매틱유닛(600)은 선박의 특성상 선체 내 제반시설로 이미 배치되어 있는 컴프레셔 설비와 연결되어 압축공기(CA)를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전력시스템이나 유체공급 시스템이 필요치 않는다.
또한, 뉴매틱유닛(600)은 자체적으로 개폐시스템이 적용되어 있으며, 청소 또는 건조의 목적에 맞춰 사용자가 쉽게 공급레인(300)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변경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뉴매틱유닛(600)을 통해 공급레인(300)으로 공급된 압축공기(CA)는 공급레인(300)을 거쳐 각각의 튜브레인(100)으로 공급되고 노즐(200)을 통해 바닥(10)의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닥(10)의 외부로 분사된 공기(A)는 바닥(10)에 인접해 있는 실내공기의 흐름에 변화를 줄 뿐만 아니라, 주변 공기의 흐름을 가속화함으로써 청소과정에서 바닥(10)에 남아있게 되는 유체(예컨대, 물기)의 증발이 빠르게 일어나게 할 수 있다.
이때, 바닥(10)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A)는 압축공기(CA) 상태에 비해 적절한 압력을 갖도록 압력이 낮춰진 상태로 튜브레인(100)으로 공급된 공기(A)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압축공기(CA) 상태의 압력을 그대로 가질 수도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언더플로를 이용한 청소 및 건조 설비는 뉴매틱유닛(600)을 더 포함함으로써, 공기의 순환이나 환기가 어려운 환경인 객실 내 화장실 바닥의 경우에도 청소과정을 거친 후 빠르게 바닥(10)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바닥(10)이 쉽게 마르지 않아 발생되는 물때 및 세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미끄러운 바닥으로 인해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바닥
100: 튜브레인
200: 노즐
300: 공급레인
400: 밸브유닛
500: 펌프유닛
600: 뉴매틱유닛

Claims (4)

  1. 바닥에 매설되고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관으로 마련되는 복수 개의 튜브레인;
    상기 복수 개의 튜브레인과 연결되어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레인;
    상기 튜브레인 내에 흐르는 유체가 상기 바닥을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바닥을 관통하여 상기 튜브레인과 연결되는 노즐; 및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상기 유체의 분사압력 또는 분사순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된 각각의 튜브레인과 상기 공급레인이 연결되는 연결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튜브레인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상기 유체의 분사압력을 제어하는 복수 개의 펌프유닛; 및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된 각각의 튜브레인과 상기 공급레인이 연결되는 연결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튜브레인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유체의 흐름을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상기 유체의 분사순서를 제어하는 복수 개의 밸브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펌프유닛과 상기 밸브유닛이 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펌프유닛은,
    상기 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바닥의 외곽으로 갈수록 상기 노즐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압력이 점차적으로 강해지게 상기 유체의 분사압력을 제어하고,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유체의 분사순서가 상기 바닥의 외곽에 위치하는 노즐부터 시작되어 상기 바닥의 중심에 위치하는 노즐까지 이르도록 상기 유체의 분사순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유체에 의해 상기 바닥으로부터 해리된 이물질들이 상기 바닥의 중심부로 모이게 하는 언더플로를 이용한 청소 및 건조 설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레인에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공기를 분사시켜 상기 바닥을 건조시키는 뉴매틱유닛을 더 포함하는 언더플로를 이용한 청소 및 건조 설비.
KR1020160061280A 2016-05-19 2016-05-19 언더플로를 이용한 청소 및 건조 설비 KR101792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280A KR101792178B1 (ko) 2016-05-19 2016-05-19 언더플로를 이용한 청소 및 건조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280A KR101792178B1 (ko) 2016-05-19 2016-05-19 언더플로를 이용한 청소 및 건조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2178B1 true KR101792178B1 (ko) 2017-10-31

Family

ID=60301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280A KR101792178B1 (ko) 2016-05-19 2016-05-19 언더플로를 이용한 청소 및 건조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17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1358B1 (ko) 천정형 에어컨 세척장치
CN105627451A (zh) 一种自清洁空气净化装置
KR101655976B1 (ko)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갖는 공기정화기
US9259768B2 (en) Laminar air flow cabinet
US20120199225A1 (en) Plastic duct system and method of fabrication
KR101792178B1 (ko) 언더플로를 이용한 청소 및 건조 설비
KR101510191B1 (ko) 분수대 바닥을 쉽게 청소할 수 있는 클린 바닥분수 시스템
KR200434106Y1 (ko) 먼지 제거 분무장치
KR101941140B1 (ko) 고압 세척기
KR101528842B1 (ko) 셀프세차장의 폼건 장치
AU2009101291A4 (en) Efficient paint brush cleaner
HRP20230674T1 (hr) Uređaj i postupak za čišćenje kontejnera
JP6109706B2 (ja) 管洗浄装置及び管洗浄方法
JP5085791B1 (ja) 噴霧装置
KR20160003529A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씨체스트 청소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CN211368557U (zh) 一种改进型的大气污染防治喷淋设备管网结构
EP3170941A1 (en) System for cleaning a septic tank of a vehicle and a method performing the same
JP2009296966A (ja) 昆虫類侵入防止装置
KR101591453B1 (ko) 아파트 발코니 누수방지를 위한 벽체 매립배관 구조
KR100888948B1 (ko) 터널 배수지 청소용 약품 살포장치
JP6404576B2 (ja) トンネル覆工コンクリートの養生方法
KR20150100107A (ko) 에어필터 세정장치
KR20130003124U (ko) 셀프세차장용 자동 하부세차장치
CN204107950U (zh) 一种光学玻璃清洗机
KR100294321B1 (ko) 멀티스프레이식 터널청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