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442U - 수평 유지 장치 - Google Patents

수평 유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442U
KR20140006442U KR2020130004907U KR20130004907U KR20140006442U KR 20140006442 U KR20140006442 U KR 20140006442U KR 2020130004907 U KR2020130004907 U KR 2020130004907U KR 20130004907 U KR20130004907 U KR 20130004907U KR 20140006442 U KR20140006442 U KR 201400064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crew
coupled
wir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9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4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6442U/ko
Publication of KR201400064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44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2Feeding working-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7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moving work to adjust its position betwee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Devices for holding work using magnetic or electric force acting directly on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02Magnetic work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평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스크류 체결홀을 가진 스크류 체결 블록; 상기 스크류 체결 블록의 일면에 결합된 지지 블록; 상기 스크류 체결 블록에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 체결홀에 나란한 가이드 홀을 가진 사이드 서포트; 상기 사이드 서포트에 결합되어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와이어 릴;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사이드 바와, 상기 사이드 바에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 바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헤드 바를 포함하여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가이드 부; 및 상기 헤드 바에 고정 체결되고, 상기 스크류 체결홀에 삽입되어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의 높이를 제어하는 스크류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는 스크류 바를 회전시켜 와이어를 지지하는 가이드 부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수평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는 지지 블록을 포함하여 지지체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와이어 릴을 통해 수평 조절을 위해 필요한 와이어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본 고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는 수평 조절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수평 유지 장치{APPARATUS FOR MAINTAINING HORIZONTAL POSITION}
본 고안은 수평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교량, 토목, 건축 등의 대형 구조물은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된 다수의 블록으로 구성된다. 대형 구조물 제조 공정시 블록은 핀 지그(Pin jig)등과 같은 지지체 다수에 의해 지지된다.
블록을 지지하는 지지체들 설치시, 지지체들의 수평을 조절해야 한다. 지지체들의 수평 조절을 위해서는 수평이 유지되는 수평 유지 장치가 필요하며, 그 수평 유지 장치를 기준으로 핀 지그와 같은 지지체들의 높낮이를 조절해야 한다. 현재, 핀 지그와 같은 지지체들의 수평 조절을 위한 마땅한 수평 유지 장치가 없는 실정이므로 수평 조절 작업의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평 조절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평 유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는 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스크류 체결홀을 가진 스크류 체결 블록; 상기 스크류 체결 블록의 일면에 결합된 지지 블록; 상기 스크류 체결 블록에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 체결홀에 나란한 가이드 홀을 가진 사이드 서포트; 상기 사이드 서포트에 결합되어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와이어 릴;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사이드 바와, 상기 사이드 바에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 바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헤드 바를 포함하여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가이드 부; 및 상기 헤드 바에 고정 체결되고, 상기 스크류 체결홀에 삽입되어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의 높이를 제어하는 스크류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 블록은 지지체를 감싸는 홀더; 및 상기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체에 부착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 릴은 상기 사이드 서포트에 결합된 몸체; 상기 몸체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랙 기어; 상기 몸체 내부에 수납된 스프링 스톱퍼; 및 상기 스프링 스톱퍼에 외압을 가할 수 있는 돌기부, 상기 돌기부 양측에 형성되어 복원력에 의해 돌출된 상기 스프링 스톱퍼가 삽입될 수 있는 스톱퍼 홈, 및 상기 랙 기어의 톱니부에 대응하는 톱니 홈을 가지며, 상기 랙 기어와 상기 스프링 스톱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랙 기어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와인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부는 상기 스크류 바 상단을 고정하는 스크류 고정 홈을 가지며 마주하는 제1 및 제2 몸체와, 상기 헤드 바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몸체에 체결된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 바 상단은 I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 고정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부는 상기 헤드 바와 상기 사이드 바의 교차부에서 상기 헤드 바와 상기 사이드 바의 중앙선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안착될 수 있는 와이어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는 스크류 바를 회전시켜 와이어를 지지하는 가이드 부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수평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는 지지 블록을 포함하여 지지체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와이어 릴을 통해 수평 조절을 위해 필요한 와이어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본 고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는 수평 조절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지지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와이어 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와이어 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높이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가이드 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의 베어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과 스크류 바의 체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100)는 와이어(도 10의 190)를 가진 본체(110), 본체(110)에 체결된 높이 제어부(120), 와이어(190)를 지지하며 높이 제어부(120)에 의해 높이가 제어되는 가이드 부(13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스크류 체결 블록(111), 스크류 체결 블록(111)의 일측에 결합된 지지 블록(113), 스크류 체결 블록(111)의 타측에 결합된 사이드 서포트(115), 및 사이드 서포트(115)에 결합된 와이어 릴(117)을 포함한다. 본체(11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높이 제어부(120)는 스크류 체결 블록(111)에 체결되어 회전이 가능한 스크류 바(121) 및 스크류 바(121) 하단에 결합되어 스크류 바(121) 회전 시 이용되는 핸들(12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130)는 사이드 서포트(115)를 관통하는 사이드 바(135), 사이드 바(135)에 결합되어 사이드 바(135)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헤드 바(133), 헤드 바(133)의 하면에 형성되어 스크류 바(1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베어링(131)을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 부(130)는 사이드 서포트(115)로부터 가이드 부(13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이드 바(135) 하단에 체결된 스톱 플레이트(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130)는 헤드 바(133)와 사이드 바(135)의 중심선을 따라 와이어(19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와이어 가이드 홈(13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수평 유지 장치(100)는 스크류 바(121)를 회전시켜 가이드 부(13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는 스크류 체결 블록(111), 지지 블록(113), 사이드 서포트(115), 및 와이어 릴(117)을 포함한다.
스크류 체결 블록(111)에는 스크류 체결 블록(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스크류 체결홀(111H)이 형성된다. 스크류 체결홀(111H)은 도 1에서 상술한 스크류 바(121)가 체결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이러한 스크류 체결 블록(111)에 체결된 스크류 바(121)를 회전시켜 본체(110)의 상부로 노출된 스크류 바(12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사이드 서포트(115)는 스크류 체결홀(111H)에 나란한 사이드 서포트(1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 홀(115H)을 포함한다. 이러한 가이드 홀(115H)은 사이드 바(135)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가이드 부(13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지지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블록(113)은 수평 유지 장치(100) 설치 시 지지체(예를 들어, 도 10의 210a, 210e)를 감쌀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홀더(113), 및 홀더(113)의 내면에 설치되어 지지체(210a, 210e)에 부착가능한 마그네트(153)를 포함한다. 이로써, 수평 유지 장치(100)는 홀더(113) 및 마그네트(153)를 통해 지지체(210a, 210e)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와이어 릴을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몸체(161)에 내설된 와인드 제어부(167)와 스프링 스톱퍼(169)가 보일 수 있도록 와이어 릴의 몸체(161)는 단면으로 도시하고, 회전 손잡이(165)는 일부를 절취하여 도시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릴(117)은 몸체(161), 랙 기어(163), 회전 손잡이(165), 와인드 제어부(167), 및 스프링 스톱퍼(169)를 포함한다. 몸체(161)는 사이드 서포트(115)에 결합된다. 랙 기어(163)는 몸체(161)에 의해 지지되어 와이어(190)를 감거나 풀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 손잡이(165)는 랙 기어(163) 측부에 설치되어 랙 기어(163)를 회전시킬 때 이용된다.
와인드 제어부(167)는 랙 기어(163)의 톱니부에 대응하는 톱니 홈(167a), 스프링 스톱퍼(169)에 외압을 가할 수 있는 돌기부(167b), 및 돌기부(167b) 양측에 형성된 스톱퍼 홈(167c)을 포함한다. 또한, 와인드 제어부(167)는 중심축(167d)을 기준으로 중심축(167d) 양측에 형성된 톱니 홈(167a) 중 어느 하나가 랙 기어(163)의 톱니 부에 닿을 수 있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스프링 스톱퍼(169)의 복원력에 의해 스프링 스톱퍼(169)가 돌출되어 스톱퍼 홈(167c)에 삽입될 수 있으며, 스프링 스톱퍼(169)의 일측이 돌기부(167b)에 의해 고정되어 랙 기어(163)의 회전 방향이 일 방향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인드 제어부(167)는 랙 기어(163)와 스프링 스톱퍼(169) 사이에 설치되어 랙 기어(163)의 회전 방향을 제어한다.
스프링 스톱퍼(169)는 몸체(161)의 내부에 마련된 수납부에 수납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스프링 스톱퍼(169)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수납부 외부로 돌출되거나, 돌기부(167b)의 외압에 의해 수납부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와이어 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인드 제어부(167)의 돌기부(167b) 중심선이 스프링 스톱퍼(169)의 중심선에 일치되어 돌기부(167b)가 스프링 스톱퍼(169)에 압력을 가하면, 스프링 스톱퍼(169)가 몸체(161)의 수납부 내부에 고정된다. 이 경우, 와인드 제어부(167)는 중심축을 기준을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스톱퍼(169)가 스톱퍼 홈(167c)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와인드 제어부(167)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랙 기어(163)는 "O"방향으로 회전 가능하지만, 돌기부(167b)에 의해 고정된 "X"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이로써, 랙 기어(163)의 회전 방향은 와인드 제어부(167)의 회전 방향에 따라 "O" 방향 및 "X" 방향 중 어느 하나로 제어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높이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제어부(120)는 스크류 바(121), 스크류 바(121) 하단에 결합된 핸들(123), 및 스크류 바(121) 상단에 체결된 보조 플레이트(125)를 포함한다.
스크류 바(121)의 상단에는 하단에 비해 좁은 폭을 가진 돌출부(12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출부(121a)에 접하여 돌출부(121a)보다 넓은 폭의 보조 플레이트(125)가 돌출부(121a) 상면에 체결될 수 있다. 돌출부(121a) 중심에는 나사 체결홀(121H)이 형성되고, 보조 플레이트(125) 중심에는 관통홀(125H)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홀(125H)과 나사 체결홀(121H)을 통해 체결 나사(127)를 조여셔 보조 플레이트(125)와 돌출부(121a)를 체결함으로써, 스크류 바(121) 상단을 I자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가이드 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이드 부의 일부만을 절취하여 도시였으며, 특히 와이어 가이드 홈(139) 및 베어링(131)이 형성된 부분이 보일 수 있도록 절취하여 도시하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130)는 헤드 바(133)와 사이드 바(135)의 교차부에서 헤드 바(133)와 사이드 바(135)의 중앙선을 따라 형성된 와이어 가이드 홈(139)을 포함한다. 이러한 가이드 부(139)의 헤드 바(133) 하부에는 베이링(131)이 결합된다. 베어링(131)은 스크류 바(121) 상단을 고정하는 스크류 고정 홈(129)을 가진다. 스크류 고정 홈(129)의 형태는 스크류 바(121) 상단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스크류 고정 홈(129)은 도 6에서 상술한 I자 형태의 스크류 바(121) 상단에 대응되도록 I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의 베어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131)은 스크류 고정 홈(129)을 가지며 마주하는 제1 및 제2 몸체(171a, 171b)와, 헤드 바(133)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몸체(171a, 171b)에 체결된 고정 플레이트(1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몸체(171a, 171b)에는 나사 체결홈(171H)이 형성되고, 고정 플레이트(173)에는 관통홀(173H)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홀(173H)과 나사 체결홈(171H)을 통해 체결 나사(175)를 조임으로써, 고정 플레이트(173)에 제1 및 제2 몸체(171a, 171b)를 체결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과 스크류 바의 체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바(121)의 돌출부(121a) 및 체결나사(127)를 통해 돌출부(121a)에 체결된 보조 플레이트(125)를 포함하는 스크류 바 상단을 스크류 고정 홈(129)에 삽입한 후, 체결 나사(175)를 조임으로써 고정 플레이트(173)에 제1 및 제2 몸체(171a, 171b)를 체결한다. 이로써, 스크류 바(121)를 가이드 부(130)의 헤드 바(133)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구조물 제조 공정시 블록 지지체로 이용되는 핀 지그(Pin jig)들(210a 내지 210e)의 수평 조절을 위해 본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100)를 기준이 되는 제1 및 제2 기준 핀 지그(210a, 210e)에 설치한다. 이 후, 제1 및 제2 기준 핀 지그(210a, 210e)의 수평을 맞춘다. 이어서, 제1 기준 핀 지그(210a)에 설치된 수평 유지 장치(100)로부터 와이어(190)를 필요한 길이만큼 풀어 와이어(190)가 제1 기준 핀 지그(210a)의 상단으로부터 제2 기준 핀 지그(210e)의 상단을 지나도록 한다. 그리고, 와이어(190) 끝단에 설치된 손잡이(195)를 제2 기준 핀 지그(210e)에 설치된 수평 유지 장치(100)에 고정한다.
상기에서, 수평 유지 장치(100)의 헤드 바(133)를 지나는 와이어(190)의 위치를 제1 및 제2 기준 핀 지그(210a, 210b)의 상단에 맞추기 위해 스크류 바(121)를 회전시켜 가이드 부(1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및 제2 기준 핀 지그(210a, 210e) 상단에 고정되어 수평을 유지하는 와이어(190)를 기준으로 제1 및 제2 기준 핀 지그(210a, 210b) 사이에 배치된 핀 지그들(210b 내지 210d)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핀 지그들(210b 내지 210d)의 수평을 맞출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스크류 바(121)를 회전시켜 와이어(190)를 지지하는 가이드 부(130)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수평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본 실시예는 지지 블록(113)을 포함하여 기준 핀 지그(210a, 210b)와 같은 지지체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와이어 릴(117)을 통해 수평 조절을 위해 필요한 와이어(190)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는 수평 조절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수평 유지 장치 110: 본체
111: 스크류 체결 블록 113: 지지 블록
115: 사이드 서포트 117: 와이어 릴
120: 높이 제어부 121: 스크류 바
130: 가이드 부 131: 베어링
133: 헤드 바 135: 사이드 바
151: 홀더 153: 마그네트
161: 몸체 163: 랙 기어
165: 회전 손잡이 167: 와인드 제어부
167a: 톱니 홈 167b: 돌기부
167c: 스톱퍼 홈 169: 스프링 스톱퍼
125: 보조 플레이트 121a: 스크류 바의 돌출부
139: 와이어 가이드 홈 171a, 171b: 베어링의 제1 및 제2 몸체
173: 고정 플레이트 195: 손잡이
190: 와이어 210a 내지 210e: 핀 지그

Claims (6)

  1. 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스크류 체결홀을 가진 스크류 체결 블록;
    상기 스크류 체결 블록의 일면에 결합된 지지 블록;
    상기 스크류 체결 블록에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 체결홀에 나란한 가이드 홀을 가진 사이드 서포트;
    상기 사이드 서포트에 결합되어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와이어 릴;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사이드 바와, 상기 사이드 바에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 바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헤드 바를 포함하여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가이드 부; 및
    상기 헤드 바에 고정 체결되고, 상기 스크류 체결홀에 삽입되어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의 높이를 제어하는 스크류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유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록은,
    지지체를 감싸는 홀더; 및
    상기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체에 부착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유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릴은
    상기 사이드 서포트에 결합된 몸체;
    상기 몸체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랙 기어;
    상기 몸체 내부에 수납된 스프링 스톱퍼; 및
    상기 스프링 스톱퍼에 외압을 가할 수 있는 돌기부, 상기 돌기부 양측에 형성되어 복원력에 의해 돌출된 상기 스프링 스톱퍼가 삽입될 수 있는 스톱퍼 홈, 및 상기 랙 기어의 톱니부에 대응하는 톱니 홈을 가지며, 상기 랙 기어와 상기 스프링 스톱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랙 기어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와인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유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는
    상기 스크류 바 상단을 고정하는 스크류 고정 홈을 가지며 마주하는 제1 및 제2 몸체와, 상기 헤드 바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몸체에 체결된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유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바 상단은 I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 고정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유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는 상기 헤드 바와 상기 사이드 바의 교차부에서 상기 헤드 바와 상기 사이드 바의 중앙선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안착될 수 있는 와이어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유지 장치.
KR2020130004907U 2013-06-19 2013-06-19 수평 유지 장치 KR201400064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907U KR20140006442U (ko) 2013-06-19 2013-06-19 수평 유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907U KR20140006442U (ko) 2013-06-19 2013-06-19 수평 유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442U true KR20140006442U (ko) 2014-12-30

Family

ID=53611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907U KR20140006442U (ko) 2013-06-19 2013-06-19 수평 유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644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982B1 (ko) * 2016-08-31 2017-04-06 박승열 소형 스케일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982B1 (ko) * 2016-08-31 2017-04-06 박승열 소형 스케일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54725A (zh) 云台
KR200463402Y1 (ko)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물용 지지장치
WO2016185638A1 (ja) 電子機器の取付器具、角度調整方法、及び通信装置
WO2018198912A1 (ja) 収容ボックス及び照明装置
KR101051887B1 (ko) 와이어쏘 장치의 장력조절유닛 및 이를 이용한 장력조절방법
KR20140006442U (ko) 수평 유지 장치
JP6401299B2 (ja) ハイブリッドアライメント
JP2009251207A5 (ko)
CN203868620U (zh) 云台
US9102002B1 (en) Integrated automatic voltage control (AVC) and oscillation control assembly for orbital welding applications
KR200445330Y1 (ko) 레이저 표시장치
CN204802098U (zh) 限位装置及具有该限位装置的无人飞行器
KR101985749B1 (ko)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
JP7038066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
JP2005016087A (ja) 外装材取付具
KR200487559Y1 (ko)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
KR20140002497U (ko) 케이블가이드
KR102042814B1 (ko) 계측기기용 마운트 어셈블리
KR20190085030A (ko) 고정 장치
KR101636916B1 (ko) 와이어 동력전달 메커니즘이 적용된 수중용 팬틸트 시스템
KR101639876B1 (ko) 차량용 바디마운팅 진동절연장치
JP4884323B2 (ja) 制震取付具
KR20120033158A (ko)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고정시스템
KR200480819Y1 (ko) 수차발전기 중심축 센터링 측정장치
JP4279243B2 (ja) レーザダイオード調整固定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