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397A -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 및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 및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397A
KR20140006397A KR1020120073185A KR20120073185A KR20140006397A KR 20140006397 A KR20140006397 A KR 20140006397A KR 1020120073185 A KR1020120073185 A KR 1020120073185A KR 20120073185 A KR20120073185 A KR 20120073185A KR 20140006397 A KR20140006397 A KR 20140006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all
mobile terminal
list
call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6959B1 (ko
Inventor
정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073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959B1/ko
Publication of KR20140006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 및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은 모드별 번호 리스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발신단말로부터의 호 수신에 연동하여, 상기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를 식별하는 발신자 식별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식별된 발신자정보가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 및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동작 방법{MOBILE TERMINAL FOR SUPPORTING MULTI MODE AND METHOD FOR OPERAT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호를 발생한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가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동단말(예컨대, 휴대폰)의 이용이 활성화되면서, 회사가 개인에게 업무 지원을 위해 이동단말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업무 시간이 종료된 이후에도 회사에서 제공된 이동단말로, 업무와 관련된 전화가 수시로 수신 됨에 따라, 개인의 사생활을 보장받기가 어렵다.
따라서, 번호를 모드별로 관리하여, 발신자의 호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발신단말로부터의 호 수신에 연동하여,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가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 함으로써, 원하지 않는 그룹에 속하는 발신단말의 호를 제어(예컨대, 호 차단, 알림 제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가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 내 번호(예컨대, 국번)를 일부로서 포함하는 경우에도, 발신단말로부터의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 함으로써, 스팸전화의 호를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은 모드별 번호 리스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발신단말로부터의 호 수신에 연동하여, 상기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를 식별하는 발신자 식별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식별된 발신자정보가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동작 방법은 발신단말로부터의 호 수신에 연동하여, 상기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를 식별하는 단계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드별 번호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식별된 발신자정보가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단말로부터의 호 수신에 연동하여,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가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 함으로써, 원하지 않는 그룹에 속하는 발신단말의 호를 제어(예컨대, 알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가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 내 번호(예컨대, 국번)를 일부로서 포함하는 경우에도, 발신단말로부터의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 함으로써, 스팸전화의 호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이 포함된 네트워크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모드별 번호 리스트에 기초한 동작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에서의 모드 설정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에서의 호 거부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 및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동작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이 포함된 네트워크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이 포함된 네트워크는, 발신단말(101), 기지국(103) 및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105)을 포함할 수 있다.
발신단말(101)은 이동단말의 수신자정보(예컨대, 수신자번호)를 입력 받고, 통화 요청에 연동하여 호를 발생하거나, 또는 메시지 전송 요청에 연동하여, 메시지(예컨대, SMS, MMS 문자)를 발송할 수 있다.
기지국(103)은 단말(즉, 발신단말(101) 또는 이동단말(105))과 교환국 간의 중계 역할을 수행 함으로써, 발신단말(101) 및 이동단말(105) 간의 통신(예컨대, 호 또는 데이터 전달)을 지원할 수 있다.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105)은 모드별 번호 리스트(예컨대, '회사', '거래처', '친구' 및 '가족' 모드별 번호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105)은 발신단말(101)로부터의 호 수신에 연동하여,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가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 함으로써, 원하지 않는 그룹에 속하는 발신단말의 호를 제어(예컨대, 호 차단, 알림 제한)할 수 있다. 이때,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105)은 상기 부재중 처리시, 모드별로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부재중 처리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호를 발생한 발신단말(101)이 포함되는 모드에 대응하는 부재중 처리 정보에 따라, 착신거절신호, 발신단말(101)을 수신처로 설정된 부재중 메시지(예컨대, 통화불가 메시지), 또는 착신전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지국(103)을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부재중 처리 정보는 부재중 처리 방식(예컨대, 착신거절, 부재중 메시지 발송, 착신전환 중 어느 하나의 선택정보) 또는 부재중 처리 방식이 부재중 메시지 발송으로 지정할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부재중 메시지의 내용, 부재중 처리 방식이 착신전환일 경우, 착신전환될 단말기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105)은 착신거절신호를 전송 함으로써, 상기 호를 차단할 수 있고, 모드에 대응하는 부재중 메시지를 전송 함으로써, 통화불가 상태를 알릴 수 있으며, 착신전환정보를 전송 함으로써, 다른 단말과의 통화 환경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105)은 상기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에 대한 알림 설정에 따라, 상기 호 수신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거나 또는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번호 리스트 내 상기 발신자정보의 포함 여부 확인시,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105)은 상기 발신자정보와 동일한 번호가 상기 번호 리스트에서 검색되는 경우 뿐 아니라, 상기 발신자정보의 일부를 포함하는 번호가 상기 번호 리스트에서 검색되는 경우에도, 상기 번호 리스트에 상기 발신자정보가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하여,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 함으로써, 스팸전화의 호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105)은 입력받는 대로, 모드별 활성화 여부(예컨대, '활성화', '비활성화')를 설정하도록 하거나, 또는 모드에 대해, 시간 또는 장소와 연관하여 활성화 여부를 기지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105)은 번호 리스트에 연관된 모드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기 모드를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번호 리스트에 연관된 모드에 대해, 시간 또는 장소와 연관하여 기지정된 활성화 여부를, 상기 시간 또는 상기 장소로의 변화에 따라, 자동설정할 수 있다. 이때,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105)은 사용자로부터 '활성화'로 지정된 모드 이외의 잔여 모드를 자동으로 '비활성화'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105)은 발신단말(101)로부터의 호 수신에 연동하여,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가 '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호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고, 상기 '활성화'로 설정된 모드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105)은 발신단말(101)로부터의 메시지 수신에 연동하여,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가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에 대한 알림 설정에 따라, 상기 메시지 수신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거나 또는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 함으로써, 원하지 않는 그룹에 속하는 발신단말의 호를 제어(예컨대, 호 차단, 알림 제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105)은 인터페이스(201), 발신자 식별부(203), 프로세서(205), 알림부(207) 및 데이터베이스(209)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201)는 번호, 번호를 포함하는 번호 리스트에 연관된 모드 또는 상기 모드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201)는 번호를 입력 받아, 데이터베이스(209)에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저장된 번호를 그룹화하여 생성된 번호 리스트에 각각 연관된 모드 예컨대, '회사', '거래처', '친구', '가족', '스팸' 등을 입력 받아, 모드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209)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201)는 모드에 대한 활성화 여부로서, 예컨대, '활성화', '비활성화'를 입력 받아, 모드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209)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201)는 모드에 대한 활성화 여부 입력 시, 시간 또는 장소와 함께 입력 받거나, 또는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105)의 수신자정보를 함께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201)는 모드가 '비화성화'로 설정될 경우, 모드에 대응하여, 부재중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참조할 부재중 처리 정보(예컨대, 부재중 처리 방식, 부재중 메시지의 내용, 착신전활될 단말기의 식별정보 또는 호/메시지에 대한 알림 설정 등)를 사용자로부터 더 입력 받을 수 있다.
발신자 식별부(203)는 발신단말로부터의 호 수신에 연동하여, 상기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즉, 발신자번호)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205)는 데이터베이스(209)를 참조하여, 상기 식별된 발신자정보가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05)는 상기 발신자정보와 동일한 번호가 상기 번호 리스트에서 검색되는 경우, 또는 상기 발신자정보의 일부를 포함하는 번호가 상기 번호 리스트에서 검색되는 경우, 발신자정보가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하여, 상기 호에 대해 해당 모드에 대응한 부재중 처리 정보를 참조하여 부재중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05)는 상기 부재중 처리로서, 착신거절신호,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에 대응하는 부재중 메시지, 또는 착신전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발신단말로 전송하여, 호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임을 발신단말로 알리거나, 또는 다른 단말로의 전환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5)는 상기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에 대한 알림 설정에 따라, 상기 호 수신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거나 또는 제한하도록 알림부(207)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5)는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에 대한 알림 설정이 '온(ON)'일 경우, 상기 호 수신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도록 하고,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에 대한 알림 설정이 '오프(OFF)'일 경우, 상기 호 수신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05)는 알림부(207)가 복수의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 각 구성에 대한 알림 설정에 따라 각 구성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알림부(207)가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205)는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에 대한 소리 알림 설정에 따라, 상기 호 수신에 대한 소리 알림을 스피커로 출력하거나 또는 제한하도록 하고,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에 대한 표시 알림 설정에 따라, 상기 호 수신에 대한 표시 알림을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거나 또는 제한할 수 있다.
프로세서(205)는 인터페이스(201)에 의해, 입력된 모드에 대한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기 모드를 설정하거나, 또는 모드에 대해, 시간 또는 장소와 연관하여 기지정된 활성화 여부를, 상기 시간 또는 상기 장소로의 변화에 따라, 자동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05)는 예컨대, '회사' 모드에 대해 '비활성'으로 입력되는 경우, '회사' 모드를 '비활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5)는 '거래처' 모드에 대해, '오후 6시∼오전 9시'에 '비활성'으로 기지정된 경우, '현재시각'이 '오후 6시'가 됨에 따라, '거래처' 모드를 '비활성'으로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05)는 번호 리스트에 연관된 모드가 상기 시간 또는 상기 장소로의 변화에 따라, 상기 기지정된 활성화 여부로 자동설정되는 경우, 상기 모드 및 상기 모드에 자동설정된 활성화 여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205)는 예컨대, '거래처' 모드에 대해, '오후 6시∼오전 9시'에 '비활성'으로 기지정된 경우, '현재시각'이 '오후 6시'가 됨에 따라, '거래처' 모드를 '비활성'으로 설정한 것에 연동하여, 자동설정에 관한 알림정보(예컨대, '오후 6시∼오전 9시'에 해당되어 '거래처' 모드가 '비활성'으로 설정됨)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 함으로써, 시간의 변화에 따른 모드에 대한 활성화 여부 변경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프로세서(205)는 사용자로부터 '활성화'로 지정된 모드 이외의 잔여 모드를 자동으로 '비활성화'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05)는 예컨대, 복수의 모드 중 '친구' 모드를 '활성화'로 지정한 경우에는 잔여 모드 즉, '회사' 모드 및 '거래처' 모드를 모두 자동으로 '비활성화'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반면, 프로세서(205)는 발신단말로부터의 호 수신에 연동하여,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가 '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호를 유지하고, 알림부를 통해 상기 호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며, 상기 '활성화'로 설정된 모드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05)는 상기 '활성화'로 설정된 모드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 함으로써, 원하는 그룹에 속하는 발신단말의 호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프로세서(205)는 호 수락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를 지원하는 반면, 상기 호가 유지되는 동안에, 호 거부 요청 또는 모드 거부 요청에 따라,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05)는 호 거부 요청에 따라, 상기 호에 한하여 일회성으로 부재중 처리를 수행하는 반면, 모드 거부 요청에 따라, 모드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조정(예컨대, '활성화'에서 '비활성화')하여, 상기 유지되는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할 뿐 아니라, 이후, 상기 모드에 속하는 다른 발신단말로부터의 호 수신에 대해 부재중 처리되도록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5)는 발신단말로부터의 호 수신에 연동하여,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가 모드별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신규 번호일 경우, 기본 알림 설정에 따라, 호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거나 또는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105)이 이중 번호(duplex number service)를 사용하는 경우, 번호 각각에 대응하여, 모드 별로 활성화 여부가 기설정 됨에 따라, 프로세서(205)는 발신단말로부터의 호 수신에 연동하여, 상기 호와 연관된 번호를 더 고려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5)는 발신단말로부터의 호 수신에 연동하여, 상기 발신단말로부터의 호와 연관된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105)의 번호를 확인하고,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가 상기 확인된 이동단말의 번호에 대응하여,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105)이 '010-1111-2222' 및 '010-3333-4444'의 이중 번호를 사용하는 경우, 프로세서(205)는 발신단말로부터 '010-1111-2222'의 번호로 호가 수신되면, '010-1111-2222'에 대응하여 '비활성화'로 설정된 '회사'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 즉, '010-1234-5678'가 포함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05)는 상기 확인 결과, '010-1111-2222'에 대응하여 '비활성화'로 설정된 '회사'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회사' 모드가 '010-3333-4444'에 대응하여 '활성화'로 설정될 때, 프로세서(205)는 발신단말로부터 '010-3333-4444'의 번호로 호가 수신되면, '010-3333-4444'에 대응하여 '활성화'로 설정된 '회사'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105)은 이중 번호의 사용으로 인해, 발신자를 일차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고, 이중 번호 각각에 대응하여 기지정된 활성화 여부를 이용하여, 부재중 처리를 수행 함으로써, 발신자를 이차적으로 필터링하여, 원하는 발신자의 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5)는 발신단말로부터의 메시지 수신에 연동하여,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가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에 대한 알림 설정에 따라, 상기 메시지 수신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거나 또는 제한할 수 있다. 프로세서(205)는 상기 모드에 대해, 발신단말로의 메시지 알림 기능이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발신단말로 메시지 확인 불가 메시지를 발송하여, 수신자의 상태를 알릴 수 있다.
프로세서(205)는 발신단말로부터의 호 또는 메시지 수신시,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가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호 또는 메시지와 연관하여, 비활성 모드에 연관된 수신내역 목록을 작성할 수 있으며, 차단 목록 요청에 상기 수신내역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알림부(207)는 예컨대,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205)의 제어에 따라 알림(예컨대, 소리, 진동, 표시)을 출력하거나 또는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09)는 모드별 번호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09)는 인터페이스(201)에 의해, 모드별 입력된 설정(예컨대, 모드에 대한 활성화 여부, 활성화 여부와 연관된 시간, 장소,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알림 설정) 또는 부재중 처리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모드별 번호 리스트에 기초한 동작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단말은 모드별 번호 리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이동단말은 모드별 활성화 여부에 따라, 모드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단말은 '회사', '스팸', '친구' 모드의 번호 리스트를 유지하는 경우, '비활성'으로 설정된 '회사', '스팸' 모드(301, 303)를 반투명 처리하거나, 또는 음영 처리하여, '활성화'로 설정된 '친구' 모드와 구분할 수 있다.
이동단말은 발신단말로부터의 호 수신에 연동하여,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가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 정보를 참조하여 부재중 처리를 수행 함으로써, 원하지 않는 그룹에 속하는 발신단말의 호를 제어(예컨대, 호 차단, 알림 제한)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단말은 '010-1234-5678'의 발신자정보를 갖는 발신단말로부터의 호를 수신하는 경우, '010-1234-5678'가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이동단말은 예컨대, '비활성화'로 설정된 '회사' 모드의 번호 리스트(305)에서 발신자정보와 동일한 번호 즉, '010-1234-5678'(307)가 검색 됨에 따라, 발신자정보가 '비활성화'로 설정된 '회사' 모드의 번호 리스트(305)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하여, 상기 모드에 설정된 부재중 처리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이동단말은 '회사'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서 발신자정보의 일부를 포함(이때, 번호의 위치를 고려할 수 있음)하는 번호 즉, '010-1234'가 검색되는 경우에도, 발신자정보가 '비활성화'로 설정된 '회사'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하여,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에서의 모드 설정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단말은 매번 입력되는 모드에 대한 활성화 여부에 따라 번호 리스트에 연관된 모드를 설정하거나, 또는 모드에 대해, 시간 또는 장소와 연관하여 기지정된 활성화 여부를, 상기 시간 또는 상기 장소로의 변화에 따라, 자동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단말은 '거래처' 모드에 대해, '오후 6시∼오전 9시'에 '비활성'으로 기지정된 경우, '현재시각'이 '오후 6시'가 됨에 따라, '거래처' 모드를 '비활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은 '회사' 모드에 대해, '회사와 5km 이상의 이격 거리: 비활성화'로 기지정된 경우, '현재위치'가 '회사를 기준으로 5km 이상되는 지점'에서 '회사' 모드를 '비활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동단말은 모드의 활성화 여부가 자동설정되는 경우, 자동설정에 관한 알림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 함으로써, 모드의 활성화 여부 변경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이동단말은 '거래처' 모드에 대해, '오후 6시∼오전 9시'에 '비활성'으로 기지정된 경우, '현재시각'이 '오후 6시'가 됨에 따라, '거래처' 모드를 '비활성'으로 설정한 것에 연동하여, 자동설정에 관한 알림정보(예컨대, '오후 6시∼오전 9시'에 해당되어 '거래처' 모드가 '비활성'으로 설정됨)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은 '회사' 모드에 대해, '회사와 5km 이상의 이격 거리: 비활성화'로 기지정된 경우, '현재위치'가 '회사를 기준으로 5km 이상되는 지점'에서 '회사' 모드를 '비활성'으로 설정한 것에 연동하여, 자동설정에 관한 알림정보(예컨대, '회사와 5km 이상의 이격 거리'에 해당되어 '회사' 모드가 '비활성'으로 설정됨)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에서의 호 거부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단말은 발신단말로부터의 호 수신에 연동하여,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가 '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호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고, 상기 '활성화'로 설정된 모드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단말은 발신단말로부터의 호 수신에 연동하여,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가 '활성화'로 설정된 '친구'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호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고, '010-5555-3333, 차수영'의 발신자정보와 함께, '활성화'로 설정된 '친구' 모드(501)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이동단말은 상기 호를 유지하는 동안, '통화', '호 거부', '모드 거부'의 버튼을 제공할 수 있으며, '통화' 버튼 입력에 따라, 호 수락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를 지원하는 반면, '호 거부' 버튼 입력에 따른 호 거부 요청 또는 '모드 거부' 버튼의 입력에 따른 모드 거부 요청에 따라,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이동단말은 호 거부 요청에 따라, '차수영' 발신단말로부터의 호에 한하여 일회성으로 부재중 처리를 수행하는 반면, 모드 거부 요청에 따라, 모드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조정(예컨대, '활성화'에서 '비활성화')하여, '차수영' 발신단말로부터의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할 뿐 아니라, 이후, '친구' 모드에 속하는 다른 발신단말로부터의 호 수신에 대해 부재중 처리되도록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01에서, 발신단말은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이하, 이동단말로 칭함)의 수신자정보(예컨대, 수신자번호)를 입력 받고, 단계 603에서, 통화 요청에 연동하여 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발신단말(101)은 상기 이동단말로의 메시지 전송 요청에 연동하여, 메시지(예컨대, SMS, MMS 문자)를 발송할 수 있다.
단계 605에서, 이동단말은 발신단말로부터의 호 수신에 연동하여,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즉, 발신자번호)를 식별한다.
단계 607에서, 이동단말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드별 번호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식별된 발신자정보가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이동단말은 상기 발신자정보와 동일한 번호가 상기 번호 리스트에서 검색되는 경우, 또는 상기 발신자정보의 일부를 포함하는 번호가 상기 번호 리스트에서 검색되는 경우, 상기 발신자정보가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단계 609에서, 이동단말은 상기 발신자정보가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모드에 설정된 부재중 처리 정보(예컨대, 부재중 처리 방식, 부재중 메시지의 내용, 착신전활될 단말기의 식별정보 또는 호/메시지에 대한 알림 설정)를 참조하여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동단말은 상기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에 대한 알림 설정에 따라, 상기 호 수신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거나 또는 출력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단계 611에서, 발신단말은 이동단말로부터 수신한 부재중 메시지를 표시하여, 이동단말의 상태를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이동단말과의 통화가 용이하지 않음을 알릴 수 있다.
반면, 상기 단계 609에서, 이동단말은 상기 발신자정보가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즉, 발신자정보가 '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호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고, 상기 '활성화'로 설정된 모드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이동단말은 호 수락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를 지원하는 반면, 상기 호가 유지되는 동안에, 호 거부 요청 또는 모드 거부 요청에 따라,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동단말은 호 거부 요청에 따라, 상기 호에 한하여 일회성으로 부재중 처리를 수행하는 반면, 모드 거부 요청에 따라, 모드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조정(예컨대, '활성화'에서 '비활성화')하여, 상기 유지되는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할 뿐 아니라, 이후, 상기 모드에 속하는 다른 발신단말로부터의 호 수신에 대해 부재중 처리되도록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은 발신단말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가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면, 상기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에 대한 알림 설정에 따라, 상기 메시지 수신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거나 또는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이동단말은 상기 모드에 대해, 발신단말로의 메시지 알림 기능이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발신단말로 메시지 확인 불가 메시지를 발송하여, 수신자의 상태를 알릴 수 있다.
한편, 모드에 대한 활성화 여부 설정시, 이동단말은 모드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기 모드를 설정하거나, 또는 모드에 대해, 시간 또는 장소와 연관하여 기지정된 활성화 여부를, 상기 시간 또는 상기 장소로의 변화에 따라, 자동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이동단말은 모드가 상기 시간 또는 상기 장소로의 변화에 따라, 상기 기지정된 활성화 여부로 자동설정되는 경우, 자동설정에 관한 알림정보(예컨대, 모드 및 모드에 자동설정된 활성화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단말은 이중 번호(duplex number service)를 사용하는 경우, 번호 각각에 대응하여, 모드 별로 활성화 여부가 기설정 됨에 따라, 발신단말로부터의 호 수신에 연동하여, 상기 호와 연관된 번호를 더 고려할 수 있다. 즉, 이동다말은 발신단말로부터의 호 수신에 연동하여, 상기 발신단말로부터의 호와 연관된 이동단말의 번호를 확인하고,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가 상기 확인된 이동단말의 번호에 대응하여,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단말이 '010-1111-2222' 및 '010-3333-4444'의 이중 번호를 사용하는 경우, 이동단말은 발신단말로부터 '010-1111-2222'의 번호로 호가 수신되면, '010-1111-2222'에 대응하여 '비활성화'로 설정된 '회사'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 즉, '010-1234-5678'가 포함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동단말은 상기 확인 결과, '010-1111-2222'에 대응하여 '비활성화'로 설정된 '회사'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1: 발신단말
103: 기지국
105: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

Claims (16)

  1. 모드별 번호 리스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발신단말로부터의 호 수신에 연동하여, 상기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를 식별하는 발신자 식별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식별된 발신자정보가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부재중 처리로서, 착신거절신호,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에 대응하는 부재중 메시지, 또는 착신전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발신단말로 전송하는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발신자정보와 동일한 번호가 상기 번호 리스트에서 검색되는 경우, 또는
    상기 발신자정보의 일부를 포함하는 번호가 상기 번호 리스트에서 검색되는 경우,
    상기 식별된 발신자정보가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하는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인터페이스에 의해, 번호 리스트에 연관된 모드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기 모드를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번호 리스트에 연관된 모드에 대해, 시간 또는 장소와 연관하여 기지정된 활성화 여부를, 상기 시간 또는 상기 장소로의 변화에 따라, 자동설정하는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 리스트에 연관된 모드가 상기 시간 또는 상기 장소로의 변화에 따라, 상기 기지정된 활성화 여부로 자동설정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드에 대해 자동설정된 활성화 여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호와 연관된 상기 이동단말의 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식별된 발신자정보가 상기 확인된 이동단말의 번호에 대응하여,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하는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에 대한 알림 설정에 따라, 상기 호 수신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거나 또는 제한하도록 알림부를 제어하는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발신자정보가 '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알림부를 통해, 상기 호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고, 상기 '활성화'로 설정된 모드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
  9. 발신단말로부터의 호 수신에 연동하여, 상기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드별 번호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식별된 발신자정보가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부재중 처리로서, 착신거절신호,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에 대응하는 부재중 메시지, 또는 착신전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발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동작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정보와 동일한 번호가 상기 번호 리스트에서 검색되는 경우, 또는
    상기 발신자정보의 일부를 포함하는 번호가 상기 번호 리스트에서 검색되는 경우,
    상기 식별된 발신자정보가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동작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번호 리스트에 연관된 모드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기 모드를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번호 리스트에 연관된 모드에 대해, 시간 또는 장소와 연관하여 기지정된 활성화 여부를, 상기 시간 또는 상기 장소로의 변화에 따라, 자동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 리스트에 연관된 모드가 상기 시간 또는 상기 장소로의 변화에 따라, 상기 기지정된 활성화 여부로 자동설정되는 경우,
    상기 모드에 대해 자동설정된 활성화 여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동작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호와 연관된 상기 이동단말의 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식별된 발신자정보가 상기 확인된 이동단말의 번호에 대응하여,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동작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에 대한 알림 설정에 따라, 상기 호 수신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거나 또는 제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동작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발신자정보가 '활성화'로 설정된 모드의 번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호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고, 상기 '활성화'로 설정된 모드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동작 방법.
KR1020120073185A 2012-07-05 2012-07-05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 및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동작 방법 KR101936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185A KR101936959B1 (ko) 2012-07-05 2012-07-05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 및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185A KR101936959B1 (ko) 2012-07-05 2012-07-05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 및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397A true KR20140006397A (ko) 2014-01-16
KR101936959B1 KR101936959B1 (ko) 2019-01-10

Family

ID=5014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185A KR101936959B1 (ko) 2012-07-05 2012-07-05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 및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95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0076A (ko) * 2003-09-24 2005-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통화를 제한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및 방법
KR20060097154A (ko) * 2005-03-04 2006-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화 차단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060097754A (ko) * 2003-11-03 2006-09-15 콸콤 (유케이) 리미티드 전화 장치에서 인입 호출의 스크리닝 및 제어
KR20120042110A (ko) * 2010-10-22 2012-05-03 이너비트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소유자의 상황에 따른 전화 수신 방법 및 장치와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20064900A (ko) * 2010-12-10 2012-06-20 곽진호 사생활보호 기능이 구현되는 통신단말기 및 통신방법, 사생활보호 기능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0076A (ko) * 2003-09-24 2005-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통화를 제한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및 방법
KR20060097754A (ko) * 2003-11-03 2006-09-15 콸콤 (유케이) 리미티드 전화 장치에서 인입 호출의 스크리닝 및 제어
KR20060097154A (ko) * 2005-03-04 2006-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화 차단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42110A (ko) * 2010-10-22 2012-05-03 이너비트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소유자의 상황에 따른 전화 수신 방법 및 장치와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20064900A (ko) * 2010-12-10 2012-06-20 곽진호 사생활보호 기능이 구현되는 통신단말기 및 통신방법, 사생활보호 기능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959B1 (ko) 2019-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0006B1 (en) Techniques for automatically activating or deactivating a phone associated with a virtual phone number
US10298533B2 (en) Intelligent presence based messaging
US88977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forwarding wireless communications o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US20140051406A1 (en) Method for handling call receiving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806963B2 (en) Feature activation on device
KR101736234B1 (ko) 통화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361265B1 (ko) 복수의 알림 모드들을 이용하는 이동 단말의 알림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이동 단말
EP2988483B1 (en) Electronic device and call-forwarding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52699B1 (ko) 전자 장치에서 컨택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US20170353604A1 (en) Method of filtering messages to provide a "do not disturb" function
US9986379B2 (en) Zone-based away messages
KR20100118694A (ko) 메시지 수신 알림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936959B1 (ko)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 및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동작 방법
US9166674B2 (en) Satellite communication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JP5801991B2 (ja) 着信制御サーバ、及び、着信制御方法
US8577010B2 (en) Telephone relay device, method of relaying telephones, and program therefor
US10051128B2 (en) Rerouting electronic communications to trusted user's device while a primary user is occupied
KR20200090574A (ko) 착신자 상황을 고려한 발신자 중심의 메시지 알림 제어 방법 및 장치
JP6087787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6225569B2 (ja) 代表着信に対して特定内線を呼出す機能を有する電話装置
US20150341489A1 (en) Prioritized ongoing communication interrupt
KR20160044335A (ko) 착신 전환 방법 및 장치
KR101590542B1 (ko)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6442797B2 (ja) 携帯端末装置、呼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呼制御方法
KR101947189B1 (ko) 호 착신 전환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