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0574A - 착신자 상황을 고려한 발신자 중심의 메시지 알림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착신자 상황을 고려한 발신자 중심의 메시지 알림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0574A
KR20200090574A KR1020190007763A KR20190007763A KR20200090574A KR 20200090574 A KR20200090574 A KR 20200090574A KR 1020190007763 A KR1020190007763 A KR 1020190007763A KR 20190007763 A KR20190007763 A KR 20190007763A KR 20200090574 A KR20200090574 A KR 20200090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ssage
called party
situation
ca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주
조현성
김주호
오진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007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0574A/ko
Publication of KR20200090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5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51/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selective forward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8Commands or executable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providing notification on incoming messages, e.g. pushed notifications of received messages
    • H04L51/2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착신자 상황을 고려한 발신자 중심의 메시지 알림 제어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발신 단말기에서 착신 단말기로 신규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신규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모바일 센싱으로 착신자의 상황을 인지한 후 착신자의 현재 상황에 방해될 만한 메시지의 알림은 차단하고 중요한 메시지의 알림만을 선별하여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착신자 상황을 고려한 발신자 중심의 메시지 알림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착신자 상황을 고려한 발신자 중심의 메시지 알림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essage Notification}
본 실시예는 착신자 상황을 고려한 발신자 중심의 메시지 알림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의 보급화로 인해 스마트폰 내에 탑재되는 인스턴트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카카오톡, 라인(Line), 와츠앱(WhatsApp), 위쳇(Wechat), 큐큐(QQ), 바이버(Viber), 텔레그램(Telegram)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간 의사소통하는 것이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이용되고 있다.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은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새로운 메시지를 수신하면, 푸쉬 알림 방식으로 새로운 메시지의 도착을 알린다. 스마트폰에서 푸쉬 알림 방식으로 새로운 메시지를 알려주기 때문에, 사용자는 새로운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매번 확인을 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켤 필요 없이, 실시간으로 새로운 메시지에 대한 알림을 확인할 수 있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스마트폰 내의 알림 설정 방식을 소리 또는 진동으로 설정하여 새로운 메시지에 대한 알림을 받는다. 하지만, 무분별하게 전달되는 새로운 메시지로 인해 알림 빈도가 빈번히 발생하면, 푸쉬 알림으로 인해 사용자들이 중요한 상황에 오히려 집중을 하지 못하게 하고 피곤함을 느끼게 된다.
최근 들어, 모바일 OS(iOS, 안드로이드) 자체적으로 ‘방해금지모드(Do Not Disturb Mode)’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가 신규 메시지에 대한 알림 때문에 방해받지 않도록 한다. 모바일 OS(iOS, 안드로이드)에 탑재된 ‘방해금지모드’가 활성화되면, 어떠한 신규 알림도 전달하지 않아 사용자는 알림으로 인한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
하지만, 종래의 ‘방해금지모드’의 동작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직접 일일이 ‘방해금지모드’를 수동으로 활성화 시켜야 하거나 특정 시간대를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예외 상황들을 고려하며 ‘방해금지모드’를 매번 수동으로 활성화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방해금지모드’가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에 어떠한 새로운 메시지에 대한 알림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중요한 메시지를 확인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실시예는 발신 단말기에서 착신 단말기로 신규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신규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모바일 센싱으로 착신자의 상황을 인지한 후 착신자의 현재 상황에 방해될 만한 메시지의 알림은 차단하고 중요한 메시지의 알림만을 선별하여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착신자 상황을 고려한 발신자 중심의 메시지 알림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기기에 결합되어,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발신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한 신규 메시지를 입력받는 과정; 상기 신규 메시지가 입력되면 메시지 발신 시도로 인지하여 상기 신규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미전송한 상태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로 착신자 상황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자 상황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착신자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자 상황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신규 메시지의 전송을 홀딩한 상태에서 상기 착신자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 기 저장된 액션 정보 중 상기 착신자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액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착신자 상황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복수의 액션 정보 중 선택된 액션 정보에 따라 상기 신규 메시지를 전달, 대기 및 취소 중 어느 하나의 액션이 수행되도록 하는 과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발신 단말기에서 착신 단말기로 신규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신규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모바일 센싱으로 착신자의 상황을 인지한 후 착신자의 현재 상황에 방해될 만한 메시지의 알림은 차단하고 중요한 메시지의 알림만을 선별하여 착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1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자 상황을 고려한 발신자 중심의 메시지 알림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자 상황을 고려한 발신자 중심의 메시지 알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a,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자 상황에 따라 메시지를 취소하거나 전송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1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자 상황을 고려한 발신자 중심의 메시지 알림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자 상황을 고려한 발신자 중심의 메시지 알림 제어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110), 네트워크(120), 착신 단말기(130),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 132)을 포함한다. 착신자 상황을 고려한 발신자 중심의 메시지 알림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신 단말기(110), 착신 단말기(13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발신 단말기(110), 착신 단말기(130)는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메시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50),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CPU(140) 등을 구비한다.
발신 단말기(110), 착신 단말기(13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개인 휴대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무선 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미디어 플레이어 등과 같은 전자 기기일 수 있다.
발신 단말기(110), 착신 단말기(130)는 (ⅰ) 각종 기기 또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부(190), (ⅱ)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50), (ⅲ)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CPU(140) 등을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이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50)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롬(Read Only Memory: ROM), 플래시 메모리, 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등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저장매체일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CPU(140)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동작과 기능을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CPU(140)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특정한 구성의 주문형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등의 하드웨어로써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50)에 관련 데이터 및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CPU(140)가 메모리(150)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읽어들여 처리한다. CPU(140)는 하나의 프로세서가 위 각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지만, 복수 개의 프로세서가 분담하여 처리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CPU(140)는 범용 프로세서에서 구현될 수도 있지만,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별도로 제작된 칩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발신 단말기(110), 착신 단말기(130)는 임베디드(Embedded) 형태로 탑재되거나 별도로 인스톨된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 132)을 탑재하여 서로 간에 메시지 서비스를 수행한다.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 132)은 발신 단말기(110), 착신 단말기(130)가 스마트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로부터 다운로드된 후 인스톨될 수 있으며, 단말기(110)에 탑재되어, 단말기(11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동작될 수 있다.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 132)은 발신 단말기(110), 착신 단말기(130) 내에 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들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발신 단말기(110), 착신 단말기(13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 132)을 구동한다. 발신 단말기(110), 착신 단말기(130)는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 132)을 이용하여 서로 간에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네트워크(120)는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의미한다.
네트워크(120)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5G,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110), 착신 단말기(13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40), 메모리(150), 입력부(160), 메인메모리(Main Memory)(170), 디스플레이부(180), 통신부(190)를 포함한다. 발신 단말기(110), 착신 단말기(13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PU(14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 132)을 메모리(150)로부터 메인메모리(170)에 로딩한다. CPU(140)는 터치스크린(또는 외부 입력장치인 마우스 및 키보드)를 포함하는 입력부(160)를 이용하여 사용자(발신자 또는 착신자)의 명령을 입력받는다. CPU(140)는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 132)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80)로 출력한다. CPU(140)는 통신부(190)를 이용하여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 132)을 다운로드한 후 메모리(150)에 저장한다.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은 발신 단말기(110)에 탑재되어 동작하며, 착신 단말기(130)로 전송하기 위한 발신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한 신규 메시지를 입력받는다.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은 신규 메시지가 입력되면, 메시지 발신 시도로 인지한다.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은 신규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30)로 미전송한 상태(홀딩)에서 착신 단말기(130)로 착신자 상황을 요청하는 착신자 상황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은 착신 단말기(130)로부터 착신자 상황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착신자 상황 응답신호로서 착신자 상황 정보를 수신한다.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은 신규 메시지의 전송을 홀딩한 상태에서 착신자 상황 정보를 출력한다.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은 착신자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액션 정보를 착신자 상황 정보와 함께 출력한다.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은 복수의 액션 정보 중 발신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선택된 액션 정보에 따라 신규 메시지를 전달, 대기 및 취소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32)은 착신 단말기(130)에 탑재되어 동작하며,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착신자 상황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착신자의 현재 상황을 감지하여 착신자 상황 정보를 생성한다.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32)은 착신자 상황 정보를 착신자 상황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착신자 상황 응답신호를 발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32)은 착신 단말기(130)에 구비된 GPS, 모션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Wi-Fi, 핑거프린트,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를 취합하여 착신자의 현재 상황을 인지한다.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32)은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착신자 상황 정보를 생성한다.
통신부(190)는 근거리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2G, 3G, LTE(Long Term Evolution), 5G, TD-LTE(Time-Division LTE), Wi-Fi를 포함하는 Wireless LAN(Local Area Network) 및 유선(Wired) 랜(LAN)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센서부(192)는 구비된 GPS, 모션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Wi-Fi, 핑거프린트, 마이크 등과 같은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부(192)는 구비된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 정보를 수집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 132)은 메시지 입력부(210), 착신자 상황 인지부(220), 액션 추출부(230), 액션 수행부(240), 상황 센싱부(250)를 포함한다.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 132)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 132)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도 2에 도시된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 132)의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하드웨어적인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 132)은 발신 단말기(110) 및 착신 단말기(130) 내에 탑재되어 구동된다.
메시지 입력부(210)는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 132)이 발신 단말기(110)에 탑재된 경우, 착신 단말기(130)로 전송하기 위한 발신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한 신규 메시지를 입력받는다. 메시지 입력부(210)는 신규 메시지를 입력받을 때, 신규 메시지에 중요도를 부여할 수 있다. 중요도는 발신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착신자 상황 인지부(220)는 메시지 입력부(210)로부터 신규 메시지가 입력되면, 메시지 발신 시도로 인지한다. 착신자 상황 인지부(220)는 신규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30)로 미전송한 상태(홀딩)에서 착신 단말기(130)로 착신자 상황을 요청하는 착신자 상황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착신자 상황 인지부(220)는 착신 단말기(130)로부터 착신자 상황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착신자 상황 응답신호로서 착신자 상황 정보를 수신한다. 착신자 상황 인지부(220)는 신규 메시지의 전송을 홀딩한 상태에서 착신자 상황 정보를 출력한다.
액션 추출부(230)는 기 저장된 액션 정보 중 착신자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액션 정보를 추출한다. 액션 추출부(230)는 착신자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액션 정보를 착신자 상황 정보와 함께 출력한다.
액션 추출부(230)는 복수의 액션 정보를 착신자 상황 정보와 함께 출력할 때, 복수의 액션 정보로 ‘지금 메시지 보내기’, ‘현재 상황이 끝나면 메시지 보내기’, ‘메시지 취소하기’를 추출하여 착신자 상황 정보와 함께 출력한다.
액션 수행부(240)는 복수의 액션 정보 중 발신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선택된 액션 정보에 따라 신규 메시지를 전달, 대기 및 취소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
액션 수행부(240)는 복수의 액션 정보 중 ‘지금 메시지 보내기’가 선택되면, 신규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30)로 전달한다. 액션 수행부(240)는 복수의 액션 정보 중 ‘현재 상황이 끝나면 메시지 보내기’가 선택되면, 신규 메시지를 대기시킨다. 액션 수행부(240)는 복수의 액션 정보 중 ‘메시지 취소하기’가 선택되면, 신규 메시지를 취소한다.
액션 수행부(240)는 신규 메시지에 대한 액션을 수행할 때, 발신자로부터 입력을 받지 않고, 신규 메시지에 포함된 중요도를 확인한 후 중요도에 따라 착신자의 현재 상황을 인지한 후 방해될 만한 메시지라고 판단되면, 복수의 액션 정보 중 알림을 차단하는 액션 정보를 수행할 수 있다.
액션 수행부(240)는 신규 메시지에 대한 액션을 수행할 때, 발신자로부터 입력을 받지 않고, 신규 메시지에 포함된 중요도를 확인한 후 중요도에 따라 긴급하거나 중요한 메시지라고 판단되면, 복수의 액션 정보 중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30)로 전송하도록 하는 액션을 수행할 수 있다.
상황 센싱부(250)는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32)이 착신 단말기(130)에 탑재된 경우, 착신자 상황 정보를 인지한다. 상황 센싱부(250)는 센서부(192)를 이용하여 착신자 상황 정보를 인지한다.
상황 센싱부(250)는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32)이 착신 단말기(130)에 탑재된 경우,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착신자 상황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상황 센싱부(250)는 착신자 상황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착신자의 현재 상황을 감지하여 착신자 상황 정보를 생성하며, 착신자 상황 정보를 착신자 상황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착신자 상황 응답신호를 발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상황 센싱부(250)는 센서부(192)에 포함된 GPS, 모션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Wi-Fi, 핑거프린트,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를 취합하여 착신자의 현재 상황을 인지한다. 상황 센싱부(250)는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착신자 상황 정보를 생성한다.
상황 센싱부(250)는 센서부(192)에 포함된 GPS로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가 ‘도로’로 판명되고, 센서부(192)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가속도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착신자의 현재 상황을 ‘운전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운전중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자 상황 정보를 생성한다.
상황 센싱부(250)는 센서부(192)에 포함된 GPS로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가 ‘식당’으로 판명되고, 센서부(192)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가속도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착신자의 현재 상황을 ‘식사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식사중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자 상황 정보를 생성한다.
상황 센싱부(250)는 센서부(192)에 포함된 GPS로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가 ‘회의실’로 판명되고, 센서부(192)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가속도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고, 센서부(192)에 포함된 마이크로부터 기 설정된 데시벨 이상의 음성이 입력되는 경우, 착신자의 현재 상황을 ‘회의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회의중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자 상황 정보를 생성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자 상황을 고려한 발신자 중심의 메시지 알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발신 단말기(110)는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발신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신규 메시지를 입력받는다(S310).
단계 S310에서, 발신 단말기(110)는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발신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신규 메시지가 입력되면, 메시지 발신 시도로 인지한다.
발신 단말기(110)는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입력된 신규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30)로 미전송한 상태(홀딩)에서 착신 단말기(130)로 착신자 상황을 요청하는 착신자 상황 요청신호를 전송한다(S320).
착신 단말기(130)는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착신자 상황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착신자의 현재 상황을 감지하여 착신자 상황 정보를 생성한다(S330).
착신 단말기(130)는 착신자 상황 정보를 착신자 상황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착신자 상황 응답신호를 발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발신 단말기(110)는 착신 단말기(130)로부터 착신자 상황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착신자 상황 응답신호로서 착신자 상황 정보를 수신한다.
발신 단말기(110)는 착신 단말기(130)로부터 착신자 상황 정보를 수신하면,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신규 메시지의 전송을 홀딩한 상태에서 착신자 상황 정보를 출력한다(S340).
발신 단말기(110)는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착신자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액션 정보(옵션 정보)를 착신자 상황 정보와 함께 출력한다(S350).
발신 단말기(110)는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복수의 액션 정보(옵션 정보) 중 선택된 액션 정보(옵션 정보)에 따라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취소한다(S360).
도 3에서는 단계 S310 내지 단계 S36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3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자 상황을 고려한 발신자 중심의 메시지 알림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자 상황을 고려한 발신자 중심의 메시지 알림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도 4a,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자 상황에 따라 메시지를 취소하거나 전송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발신 단말기(110)는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을 구동한 후 발신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한 신규 메시지를 입력받는다. 발신 단말기(110)는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신규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30)로 전송하기 전에 임시로 저장하며, 착신 단말기(130)로 신규 메시지 시도로 인지한다.
착신 단말기(130)는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착신자 상황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32)을 구동한 후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32)의 제어에 따라 모바일 센싱을 수행하여 착신자의 상황을 인지한 착신자 상황 정보를 생성한다.
발신 단말기(110)는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로부터 발신자의 입력 또는 조작에 의한 신규 메시지가 입력되면, 신규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30)로 전송하기 전에 일반적인 메시지 시스템과 같이, 신규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30)로 바로 전달하지 않는다. 발신 단말기(110)는 착신 단말기(130)로부터 착신자 상황 정보를 수신한다.
착신 단말기(130)에 탑재된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32)은 착신자가 현재 운전중, 회의중, 식사중과 같은 메시지 알림이 방해가 될 수 있을만한 상황 인지하기 위해, 착신 단말기(130) 내에 구비된 GPS, 모션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Wi-Fi, 핑거프린트, 마이크 등과 같은 스마트폰 내장된 모든 센서를 이용하여 착신자의 현재 상황을 인지하고 착신자 상황 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착신 단말기(130)에 탑재된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32)은 GPS로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가 ‘도로’로 판명되고,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가속도 정보가 시속 30km 이상인 경우, 착신자가 운전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운전중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자 상황 정보를 생성한다.
착신 단말기(130)에 탑재된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32)은 GPS로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가 ‘식당’으로 판명되고,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가속도 정보가 시속 5km 이내인 경우, 착신자가 식사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식사중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자 상황 정보를 생성한다.
착신 단말기(130)에 탑재된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32)은 GPS로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가 ‘회의실’로 판명되고,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가속도 정보가 시속 5km 이내이고, 마이크로부터 기 설정된 데시벨 이상의 음성이 입력되는 경우, 착신자가 회의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회의중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자 상황 정보를 생성한다.
착신 단말기(130)는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32)을 이용하여 착신자 상황 정보를 발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발신 단말기(110)는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착신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된 착신자 상황 정보를 출력하고, 착신자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액션 정보(예컨대, 지금 메시지 보내기, 현재 상황이 끝나면 메시지 보내기, 메시지 취소하기)를 추출하여 착신자 상황 정보와 함께 출력한다.
발신 단말기(110)는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발신자로부터 복수의 액션 정보(예컨대, 지금 메시지 보내기, 현재 상황이 끝나면 메시지 보내기, 메시지 취소하기) 중 선택된 액션 정보(옵션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발신 단말기(110)는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착신자의 현재 상황을 인지한 후 방해될 만한 메시지라고 판단되면, 복수의 액션 정보(옵션 정보) 중 알림을 차단하는 액션 정보(옵션 정보)를 선택하고, 긴급하거나 중요한 메시지라고 판단되면, 복수의 액션 정보(옵션 정보) 중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액션 정보(옵션 정보)를 선택한다.
발신 단말기(110)는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착신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된 착신자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발신자가 입력한 신규 메시지에 대한 복수의 액션 정보(예컨대, 지금 메시지 보내기, 현재 상황이 끝나면 메시지 보내기, 메시지 취소하기) 출력한다.
발신 단말기(110)는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복수의 액션 정보(예컨대, 지금 메시지 보내기, 현재 상황이 끝나면 메시지 보내기, 메시지 취소하기) 중 선택된 액션 정보(옵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30)로 전달하거나 취소한다.
발신 단말기(110)는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복수의 액션 정보(예컨대, 지금 메시지 보내기, 현재 상황이 끝나면 메시지 보내기, 메시지 취소하기) 중 하나의 액션 정보(옵션 정보)를 선택하는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도 4a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 단말기(110)는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발신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입력된 신규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30)로 전송할 때 착신자 상황 정보에 포함된 착신자 상황이 ‘운전중’인 것을 출력한다.
발신 단말기(110)는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운전중’에 대응하는 ‘지금 메시지 보내기’, ‘현재 상황이 끝나면 메시지 보내기’, ‘메시지 취소하기’와 같은 세 가지 액션 정보(옵션 정보)를 출력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는 발신 단말기(110)의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입력한 신규 메시지가 착신자 상황인 ‘운전중’을 방해할 만큼 중요한 메시지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세 가지 액션 정보(옵션 정보) 중 ‘메시지 취소하기’를 선택한다.
발신 단말기(110)는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메시지 취소하기’에 대응하여 발신자가 입력한 신규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30)로 미전송하고, 신규 메시지의 입력 자체를 취소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는 발신 단말기(110)의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입력한 신규 메시지가 착신자 상황인 ‘운전중’을 방해할 만큼 중요한 메시지로 판단한 경우, 세 가지 액션 정보(옵션 정보) 중 ‘지금 메시지 보내기’를 선택한다. 발신 단말기(110)는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지금 메시지 보내기’에 대응하여 발신자가 입력한 신규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발신 단말기 120: 네트워크
130: 착신 단말기
112, 132: 상황인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140: CPU 150: 메모리
160: 입력부 170: 메인 메모리
180: 디스플레이 190: 통신부
192: 센서부
210: 메시지 입력부 220: 착신자 상황 인지부
230: 액션 추출부 240: 액션 수행부
250: 상황 센싱부

Claims (6)

  1.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기기에 결합되어,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발신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한 신규 메시지를 입력받는 과정;
    상기 신규 메시지가 입력되면 메시지 발신 시도로 인지하여 상기 신규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미전송한 상태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로 착신자 상황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자 상황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착신자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자 상황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신규 메시지의 전송을 홀딩한 상태에서 상기 착신자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
    기 저장된 액션 정보 중 상기 착신자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액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착신자 상황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복수의 액션 정보 중 선택된 액션 정보에 따라 상기 신규 메시지를 전달, 대기 및 취소 중 어느 하나의 액션이 수행되도록 하는 과정
    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자 상황 요청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착신자 상황 요청신호에 따라 착신자의 현재 상황을 감지하여 상기 착신자 상황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며, 상기 착신자 상황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착신자 상황 정보를 상기 착신자 상황 응답신호로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자 상황 정보를 생성할 때, 상기 착신 단말기로 하여금 구비된 GPS, 모션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Wi-Fi, 핑거프린트,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를 취합하여 착신자의 현재 상황을 인지하고, 상기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상기 착신자 상황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자 상황 정보를 생성할 때, 상기 착신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GPS로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가 도로로 판명되고,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가속도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착신자의 현재 상황을 운전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운전중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자 상황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며,
    상기 GPS로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가 식당으로 판명되고,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가속도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착신자의 현재 상황을 식사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식사중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자 상황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며,
    상기 GPS로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가 회의실로 판명되고,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가속도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고, 상기 마이크로부터 기 설정된 데시벨 이상의 음성이 입력되는 경우, 착신자의 현재 상황을 회의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회의중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자 상황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션 정보를 출력할 때, 상기 복수의 액션 정보로서 지금 메시지 보내기, 현재 상황이 끝나면 메시지 보내기, 메시지 취소하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착신자 상황 정보와 함께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액션 정보에 따른 액션이 수행될 때, 상기 복수의 액션 정보 중 상기 지금 메시지 보내기가 선택되면 상기 신규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달하도록 하며, 상기 복수의 액션 정보 중 상기 현재 상황이 끝나면 메시지 보내기가 선택되면 상기 신규 메시지를 대기하기 하도록 하며, 상기 복수의 액션 정보 중 상기 메시지 취소하기가 선택되면 상기 신규 메시지를 취소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90007763A 2019-01-21 2019-01-21 착신자 상황을 고려한 발신자 중심의 메시지 알림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000905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763A KR20200090574A (ko) 2019-01-21 2019-01-21 착신자 상황을 고려한 발신자 중심의 메시지 알림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763A KR20200090574A (ko) 2019-01-21 2019-01-21 착신자 상황을 고려한 발신자 중심의 메시지 알림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574A true KR20200090574A (ko) 2020-07-29

Family

ID=71893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763A KR20200090574A (ko) 2019-01-21 2019-01-21 착신자 상황을 고려한 발신자 중심의 메시지 알림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05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88636A1 (en) * 2021-12-15 2023-06-15 Snap Inc. Context-aware messag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88636A1 (en) * 2021-12-15 2023-06-15 Snap Inc. Context-aware messag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4273C2 (ru) Основанная на местоположении передача аудиосообщений
US103418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dible text center subsystem
US10334100B2 (en) Presence-based device mode modification
EP1919174A1 (en) Presence information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10244095B2 (en) Removable computing device that facilitates communications
US20170339278A1 (en) Method, apparatu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5023463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Voice Management
US20130300666A1 (en) Voice keyboard
US11310635B2 (e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automatically selecting message transmission channel and transmitting message
CN104901871A (zh) 即时通讯方法、装置及系统
KR20200090574A (ko) 착신자 상황을 고려한 발신자 중심의 메시지 알림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43808B1 (ko) 어플리케이션과 서버 간의 연동을 이용한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US9674666B1 (en) Zone-based away messages
US20120290664A1 (en) Cross-media, cross-channel, cross-protocol, and cross-network capable autoreply within a single application
CN105075189A (zh) 接收通信事件
US9400965B2 (en) Platform for modeling and embedding business scenarios in bar codes
CN114006881A (zh) 消息处理方法、智能终端及存储介质
CN114731355A (zh) 基于呼叫设置的呼入控制
US10491551B2 (en) Terminal devic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ontaining program for message processing
US20120172058A1 (en) Tracking and Alerting Populations Using Wireless, Wireline and Internet Mechanisms
US9807122B2 (en) Security considerations for outgoing communications
KR102240521B1 (ko)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통화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621136B1 (ko) 조도 센서를 이용한 음성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음성 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
KR102290383B1 (ko)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 및 시스템
CN110276181B (zh) 信息处理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