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383B1 -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383B1
KR102290383B1 KR1020200148618A KR20200148618A KR102290383B1 KR 102290383 B1 KR102290383 B1 KR 102290383B1 KR 1020200148618 A KR1020200148618 A KR 1020200148618A KR 20200148618 A KR20200148618 A KR 20200148618A KR 102290383 B1 KR102290383 B1 KR 102290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phone
phone number
internet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류로빈석준
Original Assignee
아틀라스 가이드, 인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틀라스 가이드, 인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아틀라스 가이드, 인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10105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3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383B1/ko
Priority to JP2021140793A priority patent/JP2022046432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85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93Notifying the calling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ed or connecte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9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 H04M3/42263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where the same subscriber uses different terminals, i.e. nomad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터넷 전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인터넷 전화 신호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착신전환을 이용하여, 추출된 제1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하고,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수신번호로 하는 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호를 통신사의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KEEPING PHONE NUMBER OF USER TERMINAL BASED ON CALL FORWARDING}
본 개시는 인터넷 전화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번호를 유지할 수 있는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전화(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는 IP 주소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을 디지털 패킷으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기술이다. 회선 교환방식인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이용하는 기존의 유선전화와 달리, 인터넷 전화는 그물망 형태의 기존 인터넷을 이용하여 음성을 주고받을 수 있다. 최근 스마트폰 등을 이용한 모바일 인터넷이 발전하면서, 모바일에서 인터넷 전화를 사용할 수 있는 m-VoIP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모바일 인터넷 전화는 통신사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010'으로 시작하는 스마트폰의 번호를 사용하지 못하고, '070'으로 시작하는 번호만을 사용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 '070' 번호를 이용한 스팸 전화, 보이스피싱 등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전화를 이용하여 전화는 거는 경우, 수신자 측에서 스팸 전화 등으로 오해하여 전화를 거절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시스템)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방법, 장치(시스템) 또는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터넷 전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인터넷 전화 신호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착신전환을 이용하여, 추출된 제1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하고,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수신번호로 하는 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호를 통신사의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된 인터넷 전화 신호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단계는, 수신된 인터넷 전화 신호 상에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인터넷 전화 신호 상에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착신전환을 이용하여, 추출된 제1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하고,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수신번호로 하는 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착신전환을 이용하여, 통신사의 시스템의 프로토콜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 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터넷 전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인터넷 전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착신전환을 이용하여, 추출된 제1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하고,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수신번호로 하는 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통신 가능한 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터넷 전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통신사 전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인터넷 전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착신전환을 이용하여, 추출된 제1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하고,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수신번호로 하는 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통신사 전화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통신 가능한 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착신전환을 수행하는 동안에, 제1 사용자 단말로 미리 정해진 음성 정보 또는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술된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터넷 전화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 메모리 및 메모리와 연결되고,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수신된 인터넷 전화 신호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착신전환을 이용하여, 추출된 제1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하고,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수신번호로 하는 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호를 통신사의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이용 방법은,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터넷 전화 신호와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넷 전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인터넷 전화 신호를 착신전환과 연관된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가 발신번호로 착신전환된 호의 연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은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입력을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인터넷 전화 신호를 착신전환과 연관된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인터넷 전화 신호를 착신전환과 연관된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은 통신사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입력을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인터넷 전화 신호를 착신전환과 연관된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통신사 전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인터넷 전화 신호를 착신전환과 연관된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저렴한 비용 등의 이점이 있는 인터넷 전화를 이용하면서도, 인터넷 전화에 할당된 070 번호가 아닌 자신의 010 전화번호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수신자에게 스팸 전화 등으로 오인될 여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처리 시스템은 착신전환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가 유지되도록 호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070 전화번호를 사용하길 꺼려하는 사용자들도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유지하기 위해 착신전환을 수행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은, 인터넷 전화 신호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광고, 홍보 영상 등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하 설명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서비스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유지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서비스 이용 시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유지하기 위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정보 처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 정보 처리 시스템, 통신사 시스템 및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유지하도록 착신전환이 수행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대기중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번호 확인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이용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또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 또는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 또는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또는 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은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 또는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 또는 '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 '프로세서'는 주문형 반도체(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본 개시에서 '인터넷 전화(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는, IP주소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을 디지털 패킷으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기술로서, 일반 유선전화와 달리 와이파이(Wi-fi), 5G 망 등의 인터넷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전화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에서 수행되는 인터넷 전화는 m-VoIP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넷 전화는 인터넷이 연결된 곳에서 낮은 요금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070 번호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스팸 전화로 오해받기 쉬운 단점이 있다.
본 개시에서 '착신전환'은 인터넷 전화 서비스 이용 시, 특정 회선으로 전화가 수신되거나 발신되는 경우, 수신되거나 발신된 특정 회선과 다른 회선을 연결하는 기술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전화 서버가 010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인터넷 전화 서버는 최종 수신자의 사용자 단말로 새로운 전화 신호를 발신하고, 수신된 전화 신호와 발신된 전화 신호를 연결하여 착신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인터넷 전화 서버는 착신전환을 통해, 070으로 시작하는 인터넷 전화 번호가 아닌, 010으로 시작하는 사용자 단말의 번호를 발신번호로 하여 인터넷 전화를 발신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호(call)'는 전화, 통화 등을 위해 연결된 채널을 지칭하거나, 전화, 통화 등을 연결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시스템 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사이에서 전송되거나, 수신되는 임의의 데이터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서비스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전화번호를 유지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단말(140)의 사용자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설치된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 단말(140)의 사용자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넷 전화(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는 IP주소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을 디지털 패킷으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기술로서, 일반 유선전화와 달리 와이파이(Wi-fi), 5G 망 등의 인터넷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전화를 지칭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가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단말(140)로 전화를 거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전화번호가 아닌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120)의 인터넷 전화번호가 발신번호로서, 제2 사용자 단말(14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70으로 시작하는 임의의 전화번호가 제2 사용자 단말(14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전화번호가 발신번호로서, 제2 사용자 단말(14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인터넷 전화 신호를 수신한 시스템(120)은 착신전환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전화번호가 발신번호로서, 제2 사용자 단말(14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시스템(120)은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인터넷 전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120)은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설치된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터넷 전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넷 전화 신호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전화번호, 제2 사용자 단말(140)의 전화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 전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시스템(120)은 수신된 인터넷 전화 신호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전화번호 및 제2 사용자 단말(140)의 전화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시스템(120)은 착신전환을 이용하여, 추출된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하고, 제2 사용자 단말(140)의 전화번호를 수신번호로 하는 호(call)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시스템(120)은 데이터베이스 상에 인터넷 전화 신호를 전송한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전화번호를, 착신전환을 위한 발신번호로서 저장하고, 인터넷 전화 신호에 포함된 제2 사용자 단말(140)의 전화번호를, 착신전환을 위한 수신번호로서 저장한 후, 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시스템(120)은 자신의 서버에 포함된 070으로 시작하는 번호를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전화번호로 착신전환하여 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시스템(120)은 제2 사용자 단말(140)과 연관된 통신사의 시스템(130)으로 착신전환을 이용하여 생성된 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사의 시스템(130)이 해당 호를 제2 사용자 단말(140)로 전송하는 경우, 제2 사용자 단말(140)의 디스플레이 화면(142) 상에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전화번호(예를 들어, 010-1111-1111)가 발신번호로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사용자 단말(140)의 사용자가 전화를 수신함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110),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120), 통신사의 시스템(130) 및 제2 사용자 단말(140)을 연결하는 하나의 채널이 생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시스템(120)이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시스템인 것으로 도시되고 상술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시스템(120)은 별도의 인터넷 전화기(예를 들어, 특정 인터넷 전화번호를 갖는 전화기)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는 제2 사용자 단말(140)의 전화번호를 최종 수신번호로서 입력한 후, 특정 인터넷 전화기로 직접 전화를 걸 수 있으며, 전화 신호를 수신한 해당 인터넷 전화기는 자신의 전화번호를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전화번호로 착신전환하여 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는 저렴한 비용 등의 이점이 있는 인터넷 전화를 이용하면서도, 인터넷 전화에 할당된 070 번호가 아닌 자신의 010 전화번호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수신자에게 스팸 전화 등으로 오인될 여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서비스 이용 시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의 전화번호를 유지하기 위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사용자간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인터넷 전화 서비스 및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의 전화번호 유지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된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저장, 제공 및 실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기반의 하나 이상의 분산 컴퓨팅 장치 및/또는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의 각각에 설치된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전화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의 발신번호 유지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과 정보 처리 시스템(230)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220)는 설치 환경에 따라,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유선 홈 네트워크(Power Line Communication), 전화선 통신 장치 및 RS-serial 통신 등의 유선 네트워크, 이동통신망, WLAN(Wireless LAN), Wi-Fi, Bluetooth 및 ZigBee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22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서 휴대폰 단말(210_1), 태블릿 단말(210_2) 및 PC 단말 (210_3)이 사용자 단말의 예로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3개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이한 수의 사용자 단말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로부터 인터넷 전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에서 동작하는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터넷 전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에서 동작하는 통신사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터넷 전화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어떤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지 여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210)은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하고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컴퓨팅 장치를 지칭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의 휴대폰 단말(210_1), 태블릿 단말(210_2), PC 단말(210_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10)은 메모리(312), 프로세서(314), 통신 모듈(31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메모리(332), 프로세서(334), 통신 모듈(33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33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각각의 통신 모듈(316, 336)을 이용하여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장치(32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사용자 단말(210)에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생성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312, 332)는 비-일시적인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312, 332)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210) 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12, 332)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 통신사 전화 애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312, 332)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이러한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직접 연결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을 통해 메모리(312, 332)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예: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312, 332)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314, 334)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312, 332) 또는 통신 모듈(316, 336)에 의해 프로세서(314, 334)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4, 334)는 메모리(312, 332)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316, 336)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10)과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서로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10) 및/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다른 사용자 단말 또는 다른 시스템(일례로 별도의 클라우드 시스템 등)과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314)가 메모리(312) 등과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 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인터넷 전화 신호, 통신사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인터넷 전화 신호 등)는 통신 모듈(316)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프로세서(334)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이 통신 모듈(336)과 네트워크(220)를 거쳐 사용자 단말(210)의 통신 모듈(316)을 통해 사용자 단말(210)에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은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부터 통신 모듈(316)을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과 통화 가능한 채널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는 입출력 장치(32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입력 장치는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키보드, 마이크로폰,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는 터치스크린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314)가 메모리(312)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나 다른 사용자 단말이 제공하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 등이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입출력 장치(320)가 사용자 단말(210)에 포함되지 않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210)과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338)는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연결되거나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포함할 수 있는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 338)가 프로세서(314, 334)와 별도로 구성된 요소로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출력 인터페이스(318, 338)가 프로세서(314, 334)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도 3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10)은 상술된 입출력 장치(32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10)은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이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사용자 단말(2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314)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 또는 통신사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해당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프로그램 코드가 사용자 단말(210)의 메모리(312)에 로딩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동안에,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314)는 입출력 장치(320)로부터 제공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수신하거나 통신 모듈(316)을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부터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메모리(312)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통신 모듈(316)을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제공할 수 있다.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동안에, 프로세서(31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와 연결된 터치 스크린, 키보드,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마이크로폰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되거나 선택된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텍스트, 이미지 및/또는 영상 등을 메모리(312)에 저장하거나 통신 모듈(316) 및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4)는 입력 장치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인터넷 전화 신호를 네트워크(220) 및 통신 모듈(316)을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4)는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터넷 전화 신호와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프로세서(31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넷 전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프로세서(314)는 인터넷 전화 신호를 착신전환과 연관된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프로세서(314)는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부터 사용자 단말(210)의 전화번호가 발신번호로 착신전환된 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은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314)는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터넷 전화 신호를 착신전환과 연관된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은 통신사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314)는 통신사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터넷 전화 신호를 착신전환과 연관된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4)는 해당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210)에 설치된 별도의 통신사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 인터넷 전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프로세서(334)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및/또는 복수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관리, 처리 및/또는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34)는 사용자 단말 (210)로부터 인터넷 전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넷 전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프로세서(334)는 수신된 인터넷 전화 신호로부터 사용자 단말(210)의 전화번호 및 다른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프로세서(334)는 착신전환을 이용하여, 추출된 사용자 단말(210)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수신번호로 하는 호(call)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호는 통신사의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34)는 인터넷 전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인터넷 전화 신호 상에 다른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전화 신호 상에 다른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프로세서(334)는 다른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인터넷 전화 신호 상에 다른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프로세서(334)는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수신된 전화 신호를 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34)는 호를 생성하는 경우, 착신전환을 이용하여, 통신사의 시스템의 프로토콜(protocol)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 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사의 시스템의 프로토콜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334)는 SIP에 적합한 형태의 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410), 정보 처리 시스템(420), 통신사 시스템(430) 및 제2 사용자 단말(440) 사이에서 제1 사용자 단말(410)의 전화번호를 유지하도록 착신전환이 수행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410)은 인터넷 전화를 발신하는 발신자 측의 사용자 단말로서,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처리 시스템(420)은 인터넷 전화 서비스 및 착신전환 기반의 전화번호 유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등일 수 있으며, 통신사 시스템(430)은 제2 사용자 단말(440)과 연관된 통신사의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 단말(440)은 제1 사용자 단말(410)에 의해 발신된 전화를 수신하는 수신자 측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410)은 정보 처리 시스템(420)으로 인터넷 전화 신호(412)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410)은 제1 사용자 단말(410)에 설치된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420)으로 인터넷 전화 신호(412)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넷 전화 신호(412)는 제1 사용자 단말(410)의 전화번호, 제2 사용자 단말(440)의 전화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사용자 단말(440)의 전화번호는 제1 사용자 단말(410)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인터넷 전화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420)은 수신된 인터넷 전화 신호(412)를 기초로, 착신전환된 호를 생성할 수 있다(422). 구체적으로, 정보 처리 시스템(420)은 인터넷 전화 신호(412)에 포함된 제1 사용자 단말(410)의 전화번호 및 제2 사용자 단말(440)의 전화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정보 처리 시스템(420)은 추출된 제1 사용자 단말(410)의 전화번호를 최종 발신번호로서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하고, 제2 사용자 단말(440)의 전화번호를 최종 수신번호로서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할 수 있다. 그 후, 정보 처리 시스템(420)은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기초로 착신전환된 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정보 처리 시스템(420)은 070 번호만을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임에도, 착신전환을 이용함으로써, 자신에게 먼저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410)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하는 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420)은 통신사 시스템(430)으로 착신전환된 호(424)를 전송할 수 있다. 호를 수신한 통신사 시스템(430)은, 해당 호가 통신사 시스템(430)의 프로토콜(예를 들어, SIP 등)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 경우, 해당 호를 기초로 하는 전화 신호(432)를 제2 사용자 단말(44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사용자 단말(440)의 디스플레이 상에는 제1 사용자 단말(410)의 전화번호가 표시된 전화 수신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440)의 사용자가 수신된 전화 신호(432)를 수락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410)과 제2 사용자 단말(440) 사이의 호가 연결될 수 있다(450). 다시 말해, 제1 사용자 단말(410), 정보 처리 시스템(420), 통신사 시스템(430) 및 제2 사용자 단말(440)을 통하는 통화 채널이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정보 처리 시스템(420)은 착신전환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410)의 전화번호가 유지되도록 호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070 전화번호를 사용하길 꺼려하는 사용자들도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510)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510)는 최종 수신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영역(512),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 또는 통신사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받기 위한 영역(514, 5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영역(512)에 최종 수신번호를 입력하고,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영역(514)을 선택하거나, 또는 통신사 전화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영역(516)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510)는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 상의 화면으로서, 인터넷 전화를 사용하면서도 자신의 전화번호(예를 들어, 010 전화번호)를 유지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등)는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터넷 전화 신호와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510)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10) 상에서 영역(512)에 최종 수신번호를 입력하고,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영역(514)을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10)를 통해 인터넷 전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프로세서는 인터넷 전화 신호를 착신전환과 연관된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최종 수신번호에 대응되는 수신자가 전화를 수락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가 발신번호로 착신전환된 호의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10) 상에서 영역(512)에 최종 수신번호를 입력하고, 통신사 전화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영역(516)을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10)를 통해 인터넷 전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통신사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프로세서는 인터넷 전화 신호를 착신전환과 연관된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와 최종 수신번호를 착신전환과 연관된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먼저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통신사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인터넷 전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통신사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인터넷 전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술된 바와 마찬가지로, 최종 수신번호에 대응되는 수신자가 전화를 수락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가 발신번호로 착신전환된 호의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10)가 최종 수신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영역(512),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연관된 영역(514), 통신사 전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연관된 영역(516)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510)는 인터넷 전화와 연관된 임의의 영역(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버튼 영역, 광고 영역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복수의 영역(512, 514, 516)이 상하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영역(512, 514, 516)은 사용자 인터페이스(510) 상의 임의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대기중의 사용자 인터페이스(610)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610)는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터넷 전화 신호를 전송한 후, 수신자 측과 호가 연결되기 전에 사용자 단말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610)는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6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612)에는 기업의 광고 영상, 상품 또는 행사 등의 홍보 영상, 유명인사의 촬영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착신전환과 연관된 정보 처리 시스템은 인터넷 전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인터넷 전화 신호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로, 미리 정해진 음성 정보, 영상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처리 시스템은 음성 정보와 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음성 정보 또는 영상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에 의해 전송된 음성 정보, 영상 정보 등은 사용자 단말의 스피커 센서를 통해 송출되거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이 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 해당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10)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영역(612)이 사용자 인터페이스(610)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영역(61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610) 상의 임의의 영역에 배치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610)의 전체를 포함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유지하기 위해 착신전환을 수행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은, 인터넷 전화 신호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광고, 홍보 영상 등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700)의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700)은 정보 처리 시스템(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700)은 프로세서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터넷 전화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S710).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터넷 전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넷 전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수신된 인터넷 전화 신호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S720). 이와 같이 추출된 제1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프로세서는 착신전환을 이용하여, 추출된 제1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하고,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수신번호로 하는 호를 생성할 수 있다(S730). 또한, 프로세서는 생성된 호를 통신사의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S740). 즉, 프로세서는 내부의 인터넷 전화의 번호를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된 제1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로 착신전환하여, 발신번호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착신전환을 이용하여, 통신사의 시스템의 프로토콜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 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사의 시스템의 프로토콜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는 통신사의 시스템의 프로토콜에 적합한 형태의 호를 생성하고, 통신사의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번호 확인 방법(800)의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번호 확인 방법(800)은 정보 처리 시스템(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수신번호 확인 방법(800)은 프로세서가 수신된 인터넷 전화 신호 상에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S810).
인터넷 전화 신호 상에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프로세서는 인터넷 전화 신호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S820). 이 경우, 상술된 바와 마찬가지로, 제1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및 추출된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호를 통신사의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S830).
반면에, 인터넷 전화 신호 상에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프로세서는 전화 신호를 거절할 수 있다(S84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최종 수신번호를 입력하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는 전화번호를 입력한 경우, 프로세서는 인터넷 전화 신호 상에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가 전화 신호를 거절하는 경우,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 및 수신번호 확인 방법(800)의 절차가 종료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이용 방법(900)의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이용 방법(900)은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이용 방법(900)은 프로세서가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터넷 전화 신호와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함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S910).
그리고 나서, 프로세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넷 전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920).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프로세서는 인터넷 전화 신호를 착신전환과 연관된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S930).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은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입력, 통신사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가 발신번호로 착신전환된 호의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940). 즉, 정보 처리 시스템에 의해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가 발신번호로 착신전환된 호가 생성될 수 있으며, 해당 호를 수신한, 최종 수신자가 호를 수락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호의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이용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제공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 동작 또는 기법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법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의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대체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의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요구사항들에 따라 달라진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으나, 그러한 구현들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기법들을 수행하는 데 이용되는 프로세싱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ASIC들, 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들),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들(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컴퓨터,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DSP, ASIC, FPGA나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나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것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기법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비휘발성 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NVRA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플래시 메모리,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할 수도 있고,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의 특정 양태들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실시예들이 하나 이상의 독립형 컴퓨터 시스템에서 현재 개시된 주제의 양태들을 활용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나 분산 컴퓨팅 환경과 같은 임의의 컴퓨팅 환경과 연계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나아가, 본 개시에서 주제의 양상들은 복수의 프로세싱 칩들이나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스토리지는 복수의 장치들에 걸쳐 유사하게 영향을 받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PC들, 네트워크 서버들, 및 휴대용 장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10: 제1 사용자 단말 120, 130: 시스템
140: 제2 사용자 단말 142: 디스플레이 화면

Claims (11)

  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터넷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하는 인터넷 전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인터넷 전화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착신전환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제1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수신번호로 하는 호(call)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호를 통신사의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인터넷 전화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인터넷 전화 신호 상에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넷 전화 신호 상에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인터넷 전화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전환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제1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수신번호로 하는 호(call)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전환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사의 시스템의 프로토콜(protocol)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 상기 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터넷 전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인터넷 전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착신전환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제1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수신번호로 하는 호(call)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통신 가능한 상기 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터넷 전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통신사 전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인터넷 전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착신전환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제1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수신번호로 하는 호(call)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통신사 전화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통신 가능한 상기 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전환을 수행하는 동안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미리 정해진 음성 정보 또는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
  7.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8.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터넷 전화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인터넷 전화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착신전환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제1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수신번호로 하는 호(call)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호를 통신사의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인터넷 전화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것은,
    상기 수신된 인터넷 전화 신호 상에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인터넷 전화 신호 상에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인터넷 전화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9.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이용 방법으로서,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터넷 전화 신호와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넷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하는 인터넷 전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인터넷 전화 신호를 착신전환과 연관된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가 발신번호로 착신전환된 호(call)의 연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착신전환된 호는, 상기 인터넷 전화 신호 상에 상기 사용자 단말과 다른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넷 전화 신호로부터 추출된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수신번호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이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인터넷 전화 신호를 착신전환과 연관된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넷 전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인터넷 전화 신호를 착신전환과 연관된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이용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통신사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인터넷 전화 신호를 착신전환과 연관된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사 전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인터넷 전화 신호를 착신전환과 연관된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이용 방법.
KR1020200148618A 2020-09-10 2020-11-09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 및 시스템 KR102290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393A KR20220033979A (ko) 2020-09-10 2021-08-10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 및 시스템
JP2021140793A JP2022046432A (ja) 2020-09-10 2021-08-31 着信転換基盤のユーザ端末の電話番号を維持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method and system for keeping phone number of user terminal based on call forwar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16391 2020-09-10
KR1020200116391 2020-09-1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393A Division KR20220033979A (ko) 2020-09-10 2021-08-10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383B1 true KR102290383B1 (ko) 2021-08-19

Family

ID=774923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618A KR102290383B1 (ko) 2020-09-10 2020-11-09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 및 시스템
KR1020210105393A KR20220033979A (ko) 2020-09-10 2021-08-10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393A KR20220033979A (ko) 2020-09-10 2021-08-10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903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4774A (ko) * 2008-05-30 2008-07-09 주식회사 케이티 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90054851A (ko) * 2007-11-27 2009-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전화 통화 제어방법
KR20130140332A (ko) * 2012-06-14 2013-12-2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일번호를 이용한 멀티 단말로의 통화 지원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4851A (ko) * 2007-11-27 2009-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전화 통화 제어방법
KR20080064774A (ko) * 2008-05-30 2008-07-09 주식회사 케이티 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30140332A (ko) * 2012-06-14 2013-12-2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일번호를 이용한 멀티 단말로의 통화 지원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979A (ko)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6045B2 (en) Shareable applications on telecommunications devices
US9369500B2 (en) Call handling using IP multimedia subsystem
US7756536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displaying animated SMS messages
EP3404875B1 (en) Electronic device providing dialog contents, server and method thereof
RU260957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службы передачи речи
US20150105056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establishing call
AU2012376879B2 (en) Method for managing calls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JP2020080549A (ja) 追加情報の通信呼への統合
US10453160B2 (en) Embeddable communications software module
US10178230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municating supplemental data to a callee via data association with a software-as-a-service application
KR20220117070A (ko) 아바타 사용 권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9749828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telephone calls over the internet
WO2023241613A1 (zh) 通话建立方法、装置、终端、系统及可读存储介质
KR102290383B1 (ko)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88532A (ko) 통화 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US11310177B2 (en) Message display method and terminal
CN112929271B (zh) 一种路由配置方法、装置和用于配置路由的装置
KR102289026B1 (ko) 이중 착신전환 기반의 가상번호 연결 방법 및 시스템
CN114915923A (zh) 5g消息即服务触发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60373504A1 (en) Method for sharing a digital content during communication
KR102185853B1 (ko)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단말 연결 방법 및 시스템
JP2022046432A (ja) 着信転換基盤のユーザ端末の電話番号を維持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method and system for keeping phone number of user terminal based on call forwarding}
US8995639B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call diversion application that sends calls directly to the call completion service bypassing the called party
CN115002227B (zh) 用户访问请求响应方法、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9375959B (zh) 定向拉起应用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